KR20140031079A - 남성용 팬티 - Google Patents

남성용 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079A
KR20140031079A KR1020130007668A KR20130007668A KR20140031079A KR 20140031079 A KR20140031079 A KR 20140031079A KR 1020130007668 A KR1020130007668 A KR 1020130007668A KR 20130007668 A KR20130007668 A KR 20130007668A KR 20140031079 A KR20140031079 A KR 20140031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tum
penis
plate
men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2995B1 (ko
Inventor
강신근
윤성원
유경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드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드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드월드
Publication of KR20140031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41B9/023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with separate spaces for 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01Under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0Air permeability;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41B2500/52Synthetic resins or rubbers in sheet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국부에 해당하는 부위에 형성된 앞겉단을 구비하고 전면에 배치된 앞판, 앞판의 후면에 배치된 뒷판, 앞판과 뒷판의 하부를 연결하는 밑단 및 앞겉단의 후면에 배치된 앞속단을 포함하며, 앞속단은 몰드성형가공을 통해 착용자의 음경 및 음낭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음경부 및 음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팬티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남성용 팬티의 음경부와 음낭부를 성형몰드 가공에 의해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음경부와 음낭부가 별도의 재봉 공정 없이 일체화 되도록 제작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가 재봉선과 닿지 않아 마찰로 인한 쓸림현상을 방지하고, 음경부와 음낭부를 분리 형성함으로써 습기가 원활하게 제거되고 통풍이 잘되도록 하기 위한 남성용 팬티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Description

남성용 팬티{UNDERPANTS FOR MAN}
본 발명은 남성용 팬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남성용 팬티의 음경부와 음낭부를 성형몰드 가공에 의해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음경부와 음낭부를 별도의 재봉 공정 없이 성형가공을 통해 재봉라인이 없는 입체패턴이 되도록 일체화하여 제작함으로써, 음경과 음낭의 분리 또는 사타구니와 음경음낭부의 분리기능을 강화하여 습기제거 및 통풍의 원활함을 도모하고, 일체형 원단으로 형성되어 살과 맞닿는 부위의 쓸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남성용 팬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남성용 팬티의 제작시, 남성의 음경 및 음낭의 형상으로 입체화시키기 위하여 남성용 팬티의 앞속단의 원단 또는 앞겉단과 일체화된 앞속단의 원단을 입체패턴의 구성을 위해 일부 또는 전부를 절개/분리하여 이를 다시 곡면형태의 봉제를 통해 입체 패턴을 완성하고 있었다.
종래의 방법과 같이 남성용 팬티를 제작하는 경우, 음경부와 음낭부가 별도로 분리 형성되지 않고 단순히 음경부와 음낭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음경과 음낭이 밀착되어 습기가 차거나 쓸리게 되어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였다.
또한, 종래의 방법과 같이 남성용 팬티를 제작하는 경우, 남성팬티의 앞겉단을 입체적 형상으로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곡면형태의 접합봉제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생산적 측면에서는 입체패턴 형성을 위한 재단과 봉제의 난이도를 과도하게 증가시키게 되었고 이는 생산성의 병목을 발생케 하는 원인이 되어 왔다.
또한, 소비자의 측면에서는 해당 상품의 착용시 입체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접합봉제 부위가 직접적으로 착용자의 가장 민감한 피부조직와 직접 접촉하게 됨으로 착용상의 불쾌감 및 접촉부 피부의 쓸림의 위험성 등을 초래하게 된다.
한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48533호는 남성용 팬티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더라도 음경부와 음낭부가 분리 형성되지 않아, 음경과 음낭간의 마찰 발생 및 원활하지 않은 통풍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남성용 팬티의 음경부와 음낭부를 성형몰드 가공에 의해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음경부와 음낭부를 별도의 재봉 공정 없이 성형가공을 통해 재봉라인이 없는 입체패턴이 되도록 일체화하여 제작함으로써, 음경과 음낭의 분리 또는 사타구니와 음경음낭부의 분리기능을 강화하여 습기제거 및 통풍의 원활함을 도모하고, 일체형 원단으로 형성되어 살과 맞닿는 부위의 쓸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남성용 팬티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팬티는, 착용자의 국부에 해당하는 부위에 형성된 앞겉단을 구비하고 전면에 배치된 앞판, 앞판의 후면에 배치된 뒷판, 앞판과 뒷판의 하부를 연결하는 밑단 및 앞겉단의 후면에 배치된 앞속단을 포함하며, 앞속단은 몰드성형가공을 통해 착용자의 음경 및 음낭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음경부 및 음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팬티는, 앞겉단의 착용자의 음경과 음낭이 안착되는 부위가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팬티의 음경부와 음낭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돌출 형상으로 몰드성형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팬티의 음경부와 음낭부는 분리 형성되어 각각 음경과 음낭 형상의 독립된 돌출 형상으로 몰드성형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팬티는, 음경부와 음낭부의 사이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팬티는, 일단이 앞겉단의 하부 및 앞속단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밑단의 상부에 연결되는 메쉬소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팬티의 밑단이 앞판의 높이의 중간 부분까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팬티의 앞속단은 면스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팬티는, 앞속단의 몰드성형가공시에 180℃ 내지 200℃에서 2분 내지 3분 동안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팬티의 앞속단은 메쉬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팬티는, 앞속단의 몰드성형가공시에 190℃ 내지 210℃에서 2분 내지 3분 동안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남성용 팬티의 앞속단에 일반 남성의 음낭과 음경 형상으로 돌출된 음낭부와 음경부를 몰드 형성함으로써, 남성용 팬티의 착용시 음경과 음낭이 각각 음낭부와 음경부에 안착되어 신체 굴곡에 맞도록 제작되어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앞속단에 음낭부와 음경부를 일체로 제작하되 음낭부와 음경부의 경계에 탄성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사용자의 음경과 음낭을 분리시켜주어 음경과 음낭이 밀착되거나 마찰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음경과 음낭 사이에 습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조 과정에 있어서 착용자의 국부 형상에 따른 입체적 패턴을 완성하기 위해 복잡하고 고도의 난이도를 가지는 입체재단과 입체봉제의 생산공정을 제거하고 별도의 몰드 성형된 앞속단 부자재를 통해 국부형상에 따른 입체패턴을 완성을 가능케 함으로써 생산 공정상 재단공정과 봉제공정의 병목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경부와 음낭부를 봉제방법을 통해 입체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아닌, 일체의 원단에 성형공정을 통하여 돌출되도록 제작함으로써 별도의 재봉 접합 부위가 형성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내피가 제작됨으로써 재봉 접합 부위로 인한 피부의 쓸림이나 사용자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앞겉단 하단에 메쉬소재를 결합함으로써 통풍이 잘 이루어지고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남성용 팬티의 앞겉단과 앞속단을 분리하여 제작함으로써 앞속단의 음경부와 음낭부에 의해 분리된 음경과 음낭의 형상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남성용 팬티의 착용시 외형상 혐오감이 들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팬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팬티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팬티의 속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팬티의 속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팬티의 속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암성형틀과 수성형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암성형틀과 수성형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성형틀의 성형공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팬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팬티는 앞판(100), 앞판(100)의 내측 중앙에 결합된 앞속단(400)(도 3내지 도 5에 도시됨), 앞판(100)의 외측 중앙에 형성된 앞겉단(110), 뒷판(200) 및 앞판(100)과 뒷판(200)의 하측 중앙을 연결하는 밑단(300)을 포함한다. 앞판(100)과 뒷판(200)은 양 끝단의 두 개의 봉제라인을 통하여 결합된다. 즉, 앞판(100) 양 끝단과 뒷판(200) 양 끝단이 각각 봉제되어 결합된다.
앞속단(400)과 뒷판(200)은 면스판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고, 혹은 구멍이 뚫려있는 메쉬원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앞속단(400)과 뒷판(200)이 면스판원단으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부드럽고 탄력있는 재질감을 전달할 수 있고, 메쉬원단으로 구성되는 경우 통풍이 잘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앞판(100)은 앞판(100)의 중앙에 위치한 앞겉단(110), 앞겉단(110)을 기준으로 좌측에 결합되는 좌측판(130), 앞겉단(110)을 기준으로 우측에 결합되는 우측판(120)을 포함한다.
좌측판(130)의 일단에는 뒷판(200)이 봉제되어 결합된다. 좌측판(130)의 타단의 상부에는 앞겉단(110)이 결합되고, 좌측판(130)의 타단의 하부에는 좌측밑단(320)이 결합된다.
우측판(120)의 일단에는 뒷판(200)이 봉제되어 결합된다. 우측판(120)의 타단의 상부에는 앞겉단(110)이 결합되고, 우측판(120)의 타단의 하부에는 우측밑단(310)이 결합된다.
앞겉단(110)은 우측판(120)과 좌측판(130)의 사이에 결합되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음경과 음낭 형상이 아닌 하나의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착용시에 음경과 음낭의 형상이 외부에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고, 혐오감이 들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판(100)과 뒷판(200)의 하단에는 밑단(300)이 결합된다. 밑단(300)의 일단은 앞판(100)의 하단과 결합되고, 밑단(300)의 타단은 뒷판(200)의 하단과 결합된다. 밑단(300)은 좌측밑단(320)과 우측밑단(310)을 포함한다. 좌측밑단(320)과 우측밑단(310)은 봉제 결합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좌측밑단(320)은 좌측판(130)의 하단과 결합되고, 우측밑단(310)은 우측판(120)의 하단과 결합된다. 좌측밑단(320)의 일부는 앞겉단(110)의 하단의 일부와 결합되고, 우측밑단(310)의 일부도 앞겉단(110)의 하단의 일부와 결합된다.
즉, 밑단(300)은 앞판(100)의 중앙에 위치한 앞겉단(110)의 하단과 결합된다. 따라서 앞겉단(110)의 하단과 밑단(300)이 결합됨으로써 밑단(300)은 앞판(100)의 높이의 중간 부분까지 형성된다. 즉, 밑단(300)은 좌측판(130)과 우측판(120)의 사이에 형성되어, 뒷판(200)보다 앞판(100)에 더 많은 면적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밑단(300)이 앞판(100)측으로, 뒷판(200) 측보다 30%이상 길게 패턴이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남성용 팬티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남성용 팬티의 밑단(300)이 뒷판(200)보다 앞판(100)에 치우쳐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음낭의 하부를 받쳐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음낭과 가랑이를 분리시켜 줌으로써 더욱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겉단(110)의 하단부와 밑단(300)은 메쉬소재(500)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메쉬소재(500)는 U자형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메쉬소재(500)를 통하여 앞겉단(110)의 하부와 밑단(300)을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착용시 신체활동에 부합하여 탁월한 활동성을 제공할 수 있고 메쉬소재(500)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낭에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메쉬소재(500)의 일단은 앞겉단(110)의 하부 및 앞속단(400)의 하부에 연결되고, 메쉬소재(500)의 타단이 밑단(300)의 상부에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팬티의 속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앞겉단(110)의 내측면에는 앞속단(400)이 결합된다. 앞속단(400)은 상부에 배치된 음경부(410)와 하부에 배치된 음낭부(420)로 구성된다. 즉, 음경부(410)는 앞겉단(110)의 뒷면 상부에 배치되며, 음낭부(420)는 앞겉단(110)의 뒷면 하부에 배치된다.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는 몰드 입체 성형 공정을 통하여 제작된다.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는 각각 사용자의 음경과 음낭의 형상에 맞게 몰드 입체 성형 처리되어 돌출된다.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는 하나의 앞속단(400) 내에 몰드 입체 성형 처리되어 제작된다. 사용자의 음경은 앞속단(400)의 음경부(410)에 안착되며, 사용자의 음낭은 앞속단(400)의 음낭부(420)에 안착된다.
즉,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는 각각 분리되어 돌출되고, 하나의 앞속단(400) 내에 몰드성형공정을 통하여 제작된다. 따라서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는 하나의 앞속단(400) 내에 몰드성형되어 하나의 원단상에 돌출되지만, 음경부(410)의 돌출된 부분과 음낭부(420)의 돌출된 부분은 별도로 형성된다.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는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몰드 입체 성형 처리된다. 즉,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는 앞속단(400)에서 앞겉단(110)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음경부(410)와 음낭부(420)의 돌출 형성된 형상은 각각 일반 남성의 음경과 음낭의 구조와 일치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음경부(410)는 높이방향으로 길쭉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앞판(100) 방향으로 돌출되고, 음낭부(420)는 둥근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앞판(100)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1 실시예와 같이 음경부(410)와 음낭부(420)가 독립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경우에는, 음경부(410)는 높이 방향으로 길쭉한 형상, 즉 음경 형상으로 형성되어 앞판(100)을 향하여 돌출된다. 또한, 음낭부(420)는 둥근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앞판(100)을 향하여 돌출되되, 음경부(410)의 하부에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돌출 형성된다.
앞속단(400)은 면스판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고, 구멍이 뚫려있는 메쉬원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앞속단(400)이 면스판원단으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부드럽고 탄력있는 재질감을 전달할 수 있고, 메쉬원단으로 구성되는 경우 통풍이 잘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팬티의 속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앞겉단(110)의 내측면에는 앞속단(400)이 결합된다. 앞속단(400)은 상부에 배치된 음경부(410)와 하부에 배치된 음낭부(420)로 구성된다. 즉, 음경부(410)는 앞겉단(110)의 뒷면 상부에 배치되며, 음낭부(420)는 앞겉단(110)의 뒷면 하부에 배치된다.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는 몰드 입체 성형 공정을 통하여 제작된다.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는 각각 사용자의 음경과 음낭의 형상에 맞게 몰드 입체 성형 처리되어 돌출된다.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는 하나의 앞속단(400) 내에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몰드 입체 성형 처리되어 제작된다. 사용자의 음경은 앞속단(400)의 음경부(410)에 안착되며, 사용자의 음낭은 앞속단(400)의 음낭부(420)에 안착된다.
즉,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는 각각 일체로 돌출되고, 하나의 앞속단(400) 내에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는 하나의 앞속단(400) 내에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하나의 원단상에 돌출되며, 음경부(410)의 돌출된 부분과 음낭부(420)의 돌출된 부분은 연결되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는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몰드 입체 성형 처리된다. 즉,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는 앞속단(400)에서 앞겉단(110)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음경부(410)와 음낭부(420)의 돌출 형성된 형상은 각각 일반 남성의 음경과 음낭의 구조와 일치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음경부(410)는 높이방향으로 길쭉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앞판(100) 방향으로 돌출되고, 음낭부(420)는 둥근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앞판(100)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2 실시예와 같이 음경부(410)와 음낭부(420)가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경우에는, 음경부(410)는 높이 방향으로 길쭉한 형상, 즉 음경 형상으로 형성되어 앞판(100)을 향하여 돌출된다. 또한, 음낭부(420)는 둥근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앞판(100)을 향하여 돌출되되, 음경부(4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앞속단(400)은 면스판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고, 구멍이 뚫려있는 메쉬원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앞속단(400)이 면스판원단으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부드럽고 탄력있는 재질감을 전달할 수 있고, 메쉬원단으로 구성되는 경우 통풍이 잘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팬티의 속단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앞겉단(110)의 내측면에는 앞속단(400)이 결합된다. 앞속단(400)은 상부에 배치된 음경부(410)와 하부에 배치된 음낭부(420)로 구성된다. 즉, 음경부(410)는 앞겉단(110)의 뒷면 상부에 배치되며, 음낭부(420)는 앞겉단(110)의 뒷면 하부에 배치된다.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는 몰드 입체 성형 공정을 통하여 제작된다.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는 각각 사용자의 음경과 음낭의 형상에 맞게 몰드 입체 성형 처리되어 돌출된다.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는 하나의 앞속단(400) 내에 몰드 입체 성형 처리되어 제작된다. 사용자의 음경은 앞속단(400)의 음경부(410)에 안착되며, 사용자의 음낭은 앞속단(400)의 음낭부(420)에 안착된다.
즉,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는 각각 분리되어 돌출되고, 하나의 앞속단(400) 내에 몰드 성형 처리되어 제작된다. 따라서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는 하나의 앞속단(400) 내에서 하나의 원단상에 돌출되지만, 음경부(410)의 돌출된 부분과 음낭부(420)의 돌출된 부분은 별도로 형성된다.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는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몰드 입체 성형 처리된다. 즉,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는 앞속단(400)에서 앞겉단(110)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음경부(410)와 음낭부(420)의 돌출 형성된 형상은 각각 일반 남성의 음경과 음낭의 구조와 일치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음경부(410)는 높이방향으로 길쭉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앞판(100) 방향으로 돌출되고, 음낭부(420)는 둥근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앞판(100)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3 실시예와 같이 음경부(410)와 음낭부(420)가 독립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경우에는, 음경부(410)는 높이 방향으로 길쭉한 형상, 즉 음경 형상으로 형성되어 앞판(100)을 향하여 돌출된다. 또한, 음낭부(420)는 둥근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앞판(100)을 향하여 돌출되되, 음경부(410)의 하부에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돌출 형성된다.
앞속단(400)은 면스판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고, 구멍이 뚫려있는 메쉬원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앞속단(400)이 면스판원단으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부드럽고 탄력있는 재질감을 전달할 수 있고, 메쉬원단으로 구성되는 경우 통풍이 잘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앞속단(400)의 음경부(410)와 음낭부(420)의 경계에는 탄성부재(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430)의 대표적인 예로는 고무줄이 있다. 탄성부재(430)의 삽입으로 인하여 음경의 음경부(410)에 대한 안착과 지지를 보조함으로 음경과 음낭의 분리기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경부(410)와 음낭부(420)의 테두리는 앞겉단(110)과 결합된다.
즉, 음경부(410)와 음낭부(420)의 중간 경계부위에 고무줄과 같은 탄성부재(430)를 가로 경계를 이루도록 배치하여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를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무줄 등과 같은 탄성부재(430)가 음경부(410)와 음낭부(420)의 경계부에 삽입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남성용 팬티의 착용시 음경과 음낭이 분리 안착되어 음경과 음낭이 맞닿아 쓸리는 등의 불편함이 없이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를 일반 남성의 음경과 음낭의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고무줄 등의 탄성부재(430)를 통하여 음경부(410)와 음낭부(420)를 분리함으로써, 사용자가 남성용 팬티를 착용시에 사용자의 배치된 음경부(410)에 안착되고 사용자의 음낭은 음낭부(420)에 안착되어 음경과 음낭이 각각 분리 안착된다. 따라서 음경과 음낭의 마찰이 없어지고 습기가 제거되며 통풍이 잘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암성형틀(620a)과 수성형틀(610a)의 평면도이다. 도 6의 (a)는 암성형틀(620a)을 나타내고, (b)는 수성형틀(610a)을 나타낸다.
암성형틀(620a)은 음경홈(621a)과 음낭홈(622a)을 포함한다. 음경홈(621a)은 사용자의 음경의 형상과 같이 길쭉한 타원 형상으로 홈이 형성된다. 음낭홈(622a)은 음경홈(621a)의 하단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음낭의 형상과 같이 둥근 형상으로 홈이 형성된다. 음경홈(621a)과 음낭홈(622a)은 인접하여 배치되며,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다.
수성형틀(610a)은 음경돌출부(611a)와 음낭돌출부(612a)를 포함한다. 음경돌출부(611a)는 사용자의 음경의 형상과 같이 길쭉한 타원 형상으로 돌출되며, 음경홈(621a)의 홈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돌출 형성된다.
음낭돌출부(612a)는 음경돌출부(611a)의 하단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음경의 형상과 같이 둥근 형상으로 돌출된다. 음낭돌출부(612a)는 음낭홈(622a)의 홈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돌출 형성된다. 음경돌출부(611a)와 음낭돌출부(612a)는 인접하여 배치되며,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암성형틀(620b)과 수성형틀(610b)의 평면도이다. 도 7의 (a)는 암성형틀(620b)을 나타내고, (b)는 수성형틀(610b)을 나타낸다.
암성형틀(620b)은 음경홈(621b)과 음낭홈(622b)을 포함한다. 음경홈(621b)은 사용자의 음경의 형상과 같이 길쭉한 타원 형상으로 홈이 형성된다. 음낭홈(622b)은 음경홈(621b)의 하단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음낭의 형상과 같이 둥근 형상으로 홈이 형성된다. 음경홈(621b)과 음낭홈(622b)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즉, 음경홈(621b)과 음낭홈(622b)은 하나의 홈으로 형성된다.
수성형틀(610b)은 음경돌출부(611b)와 음낭돌출부(612b)를 포함한다. 음경돌출부(611b)는 사용자의 음경의 형상과 같이 길쭉한 타원 형상으로 돌출되며, 음경홈(621b)의 홈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돌출 형성된다.
음낭돌출부(612b)는 음경돌출부(611b)의 하단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음경의 형상과 같이 둥근 형상으로 돌출된다. 음낭돌출부(612b)는 음낭홈(622b)의 홈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돌출 형성된다. 음경돌출부(611b)와 음낭돌출부(612b)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즉, 음경홈(621b)과 음낭홈(622b)은 하나의 홈으로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성형틀의 성형공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수성형틀(610a)은 상부에 배치되고 암성형틀(620a)은 하부에 배치된다. 암성형틀(620a)의 상면, 즉 음경홈(621a)과 음낭홈(622a)이 형성된 면에는 앞속단을 형성할 원단을 올려놓는다.
수성형틀(610a)의 음경돌출부(611a)는 암성형틀(620a)의 음경홈(621a)의 위치와 정확히 대응되도록 배치하여야 하고, 수성형틀(610a)의 음낭돌출부(612a)는 암성형틀(620a)의 음낭홈(622a)의 위치와 정확히 대응되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수성형틀(610a)과 암성형틀(620a)이 밀착하여 열가압시켜 원단에 음경부와 음낭부가 돌출 형성되도록 제작한다.
앞속단이 메쉬원단인 경우에는 190℃ 내지 210℃에서 2분 내지 3분 동안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5℃에서 2분 20초동안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속단이 면스판원단인 경우에는 180℃ 내지 200℃에서 2분 내지 3분 동안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에서 2분 10초동안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가압 온도 또는 시간은 앞속단 원단의 재질, 앞속단 원단의 두께, 원단의 컬러 등에 따라 성형온도나 시간은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음경부와 음낭부를 별도로 제작하여 봉제 결합하는 것이 아닌, 일체의 원단에 성형공정을 통하여 돌출되도록 제작함으로써 별도의 재봉 접합 부위가 형성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앞속단이 제작됨으로써 재봉 접합 부위로 인한 피부의 쓸림이나 사용자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앞속단의 음경부와 음낭부가 일체화되어 돌출된 남성용 팬티의 제작시에는 하나의 돌출몰드를 통하여 음경부와 음낭부가 일체화된 앞속단을 형성한다.
또한, 앞속단의 음경부와 음낭부가 분리되어 돌출된 남성용 팬티의 제작시에는 음낭과 음경 형상으로 각각 돌출된 일체형 몰드로 음경부와 음낭부가 독립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앞속단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소비자의 기호에 맞도록 음경부와 음낭부를 독립적으로 또는 일체로 돌출 제작함으로써 남성용 팬티의 착용시 사타구니와 국부의 분리배치 또는 사타구니와 음경부과 음낭부의 각각의 신체 굴곡에 맞도록 제작되어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적 측면에서는 착용자의 국부 형상에 따른 입체적 패턴을 완성하기 위해 복잡하고 고도의 난이도를 가지는 입체재단과 입체봉제의 생산공정을 제거하고 별도의 몰드 성형된 앞속단 부자재를 통해 국부형상에 따른 입체패턴을 완성을 가능케 함으로써 생산 공정상 재단공정과 봉제공정의 병목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음경부와 음낭부를 봉제방법을 통해 입체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아닌, 일체의 원단에 성형공정을 통하여 돌출되도록 제작함으로써 별도의 재봉 접합 부위가 형성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내피가 제작됨으로써 재봉 접합 부위로 인한 피부의 쓸림이나 사용자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남성용 팬티의 착용시 신체 굴곡에 맞도록 제작되어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고, 음경부와 음낭부가 별도로 분리 형성됨으로써 음경과 음낭이 밀착되거나 마찰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음경과 음낭 사이에 습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남성용 팬티의 앞속단과 앞겉단의 형상을 분리하여 제작함으로써 남성용 팬티의 착용시 외형상 혐오감이 들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앞판 110: 앞겉단
120: 우측판 130: 좌측판
200: 뒷판 300: 밑단
310: 우측밑단 320: 좌측밑단
400: 앞속단 410: 음경부
420: 음낭부 430: 탄성부재
500: 메쉬소재 610a, 610b: 수성형틀
611a, 611b: 음경돌출부 612a, 612b: 음낭돌출부
620a, 620b: 암성형틀 621a, 621b: 음경홈
622a, 622b: 음낭홈

Claims (11)

  1. 착용자의 국부에 해당하는 부위에 형성된 앞겉단을 구비하고, 전면에 배치된 앞판;
    상기 앞판의 후면에 배치된 뒷판;
    상기 앞판과 상기 뒷판의 하부를 연결하는 밑단; 및
    상기 앞겉단의 후면에 배치된 앞속단을 포함하며,
    상기 앞속단은 몰드성형가공을 통해 착용자의 음경 및 음낭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음경부 및 음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팬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앞겉단의 착용자의 음경과 음낭이 안착되는 부위가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팬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경부와 상기 음낭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돌출 형상으로 몰드성형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팬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경부와 상기 음낭부는 분리 형성되어 각각 음경과 음낭 형상의 독립된 돌출 형상으로 몰드성형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팬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경부와 상기 음낭부의 사이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팬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앞겉단의 하부 및 상기 앞속단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밑단의 상부에 연결되는 메쉬소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팬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밑단이 상기 앞판의 높이의 중간 부분까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팬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앞속단은 면스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팬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앞속단의 몰드성형가공시에 180℃ 내지 200℃에서 2분 내지 3분 동안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팬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앞속단은 메쉬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팬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앞속단의 몰드성형가공시에 190℃ 내지 210℃에서 2분 내지 3분 동안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팬티.
KR1020130007668A 2012-08-31 2013-01-23 남성용 팬티 KR101402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6235 2012-08-31
KR1020120096235 2012-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079A true KR20140031079A (ko) 2014-03-12
KR101402995B1 KR101402995B1 (ko) 2014-06-11

Family

ID=50643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668A KR101402995B1 (ko) 2012-08-31 2013-01-23 남성용 팬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9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136Y1 (ko) * 2014-03-31 2014-06-13 코웰패션 주식회사 남성용 팬티
KR101578429B1 (ko) * 2015-04-06 2015-12-28 박기봉 남성용 기능성 팬티
CN109363257A (zh) * 2018-11-20 2019-02-22 中山市捷豹服饰有限公司 一种男士内裤及其制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692Y1 (ko) * 2014-08-08 2014-12-23 코웰패션 주식회사 남성용 팬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8940A (ko) * 2010-08-24 2012-03-06 이광성 몰딩컵을 갖는 남성용 팬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136Y1 (ko) * 2014-03-31 2014-06-13 코웰패션 주식회사 남성용 팬티
KR101578429B1 (ko) * 2015-04-06 2015-12-28 박기봉 남성용 기능성 팬티
WO2016163638A1 (ko) * 2015-04-06 2016-10-13 박기봉 남성용 기능성 팬티
CN109363257A (zh) * 2018-11-20 2019-02-22 中山市捷豹服饰有限公司 一种男士内裤及其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995B1 (ko)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7535B1 (en) Pants having body-shaping function
EP1843671B1 (en) Girdle underwear for men
KR100759946B1 (ko) 체형보정 기능을 갖는 바지
KR101402995B1 (ko) 남성용 팬티
JP6386836B2 (ja) 肌着
KR101382130B1 (ko) 언더웨어
KR200478360Y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KR200464651Y1 (ko) 바지용 힙 보정기구
KR20180051124A (ko) 무봉제 접착 속옷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79446Y1 (ko) 남성용 드로즈 팬티
KR101571692B1 (ko) 다기능 덧신
KR200486661Y1 (ko)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여성용 팬티
KR102065495B1 (ko) 몰드 삽입 구조를 갖는 남성 보정 언더웨어
KR200488935Y1 (ko) 음낭돌출부를 갖는 무봉제 팬티
JP3214243U (ja) ズボン
KR20160067390A (ko) 통풍이 잘되는 분리형 남성용 팬티
KR20090000026U (ko) 허리 조절 기능을 갖는 치마
KR20150000402U (ko) 냉매제 수용형 남성용 쿨링 팬티
JP2018118024A (ja) 靴及びその製造方法
CN211482995U (zh) 运动文胸
CN214072046U (zh) 鞋内里
KR200430652Y1 (ko) 체형보정 기능을 갖는 바지
KR101857241B1 (ko) 남성용 기능성 팬티
JP3547689B2 (ja) 地下足袋
CN209058150U (zh) 内裤的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