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619A -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619A
KR20140030619A KR1020120097013A KR20120097013A KR20140030619A KR 20140030619 A KR20140030619 A KR 20140030619A KR 1020120097013 A KR1020120097013 A KR 1020120097013A KR 20120097013 A KR20120097013 A KR 20120097013A KR 20140030619 A KR20140030619 A KR 20140030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nfc tag
financial transac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남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097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0619A/ko
Publication of KR20140030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9Use of the SIM of a M-device as secure el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2Verifyin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P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정보를 입력 받고, 금융 거래용 정보를 생성하며, 초기 PIN 정보, 사용자 PIN 정보, 금융 거래용 정보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정보를 전송하는 제1 단말 및 제1 단말로부터 초기 PIN 정보, 사용자 PIN 정보, 금융 거래용 정보 및 NFC 태그 정보를 수신하고, 기 저장된 초기 PIN 정보와 수신한 초기 PIN 정보의 일치함을 확인하면 기 저장된 초기 PIN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PIN 정보로 업데이트하며, 금융 거래용 정보 및 NFC 태그 정보를 저장하고, PIN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PIN 정보와 사용자 PIN 정보의 일치 및 NFC 태그로부터 획득한 NFC 태그의 식별 정보와 NFC 태그 정보의 일치함을 확인하면,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제2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inancial transaction servic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이동 단말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금융 거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그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점차로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부가 서비스 중 특히, 다양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로서는 거래 은행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금융 계좌 조회, 이체 송금 및 납입, 대출금 조회 및 납입 등과 같은 금융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각종 은행 서비스의 이용 시마다 ID/패스워드와 보안 카드 정보 등을 이동 통신 단말 상에 입력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로서는 이용상의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에서 손쉽게 금융 거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에서 금융 거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로그인 정보, 보안 카드 정보 등 각종 정보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도 금융 거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정보를 입력 받고, 금융 거래용 정보를 생성하며, 초기 PIN 정보, 사용자 PIN 정보, 금융 거래용 정보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정보를 전송하는 제1 단말 및 제1 단말로부터 초기 PIN 정보, 사용자 PIN 정보, 금융 거래용 정보 및 NFC 태그 정보를 수신하고, 기 저장된 초기 PIN 정보와 수신한 초기 PIN 정보의 일치함을 확인하면 기 저장된 초기 PIN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PIN 정보로 업데이트하며, 금융 거래용 정보 및 NFC 태그 정보를 저장하고, PIN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PIN 정보와 사용자 PIN 정보의 일치 및 NFC 태그로부터 획득한 NFC 태그의 식별 정보와 NFC 태그 정보의 일치함을 확인하면,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제2 단말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은, 타 단말로부터 초기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정보, 사용자 PIN 정보, 금융 거래용 정보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기 저장된 초기 PIN 정보와 수신한 초기 PIN 정보의 일치함을 확인하면 기 저장된 초기 PIN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PIN 정보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금융 거래용 정보 및 NFC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PIN 정보를 입력 받으며, NFC 태그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입력 받은 PIN 정보와 사용자 PIN 정보의 일치 및 획득한 NFC 태그의 식별 정보와 NFC 태그 정보의 일치함을 확인하면,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신하는 단계는, 단말이 타 단말에 일정 거리 이상 접근하면, RF(Radio Frequency) 통신을 통해 초기 PIN 정보, 사용자 PIN 정보, 금융 거래용 정보 및 NFC 태그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획득하는 단계는, 단말이 NFC 태그에 일정 거리 이상 접근하면, NFC 통신을 통해 NFC 태그로부터 NFC 태그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단말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식별 모듈 및 타 단말로부터 초기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정보, 사용자 PIN 정보, 금융 거래용 정보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정보를 수신하고, 식별 모듈에 기 저장된 초기 PIN 정보와 수신한 초기 PIN 정보의 일치함을 확인하면 기 저장된 초기 PIN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PIN 정보로 업데이트하며, 금융 거래용 정보 및 NFC 태그 정보를 식별 모듈에 저장하고, PIN 정보를 입력 받으며 NFC 태그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입력 받은 PIN 정보와 사용자 PIN 정보의 일치 및 획득한 NFC 태그의 식별 정보와 NFC 태그 정보의 일치함을 확인하면,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단말에 있어서, 제어부는, 단말이 타 단말에 일정 거리 이상 접근하면, RF(Radio Frequency) 통신을 통해 초기 PIN 정보, 사용자 PIN 정보, 금융 거래용 정보 및 NFC 태그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단말에 있어서, 제어부는, 단말이 NFC 태그에 일정 거리 이상 접근하면, NFC 통신을 통해 NFC 태그로부터 NFC 태그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단말에 있어서, 식별 모듈은 사용자 인증 모듈(UIM: User Identify Module), 가입자 인증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단말에 있어서, 금융 거래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단말이 NFC 태그에 일정 거리 이상 접근하면, 금융 거래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타 단말로부터 초기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정보, 사용자 PIN 정보, 금융 거래용 정보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기 저장된 초기 PIN 정보와 수신한 초기 PIN 정보의 일치함을 확인하면 기 저장된 초기 PIN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PIN 정보로 업데이트하는 수단, 금융 거래용 정보 및 NFC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 PIN 정보를 입력 받으며, NFC 태그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 및 입력 받은 PIN 정보와 사용자 PIN 정보의 일치 및 획득한 NFC 태그의 식별 정보와 NFC 태그 정보의 일치함을 확인하면,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에서 손쉽게 금융 거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금융 기관에서 발급 받은 태그에 일정 거리 이상 접근을 통해 손쉽게 금융 거래를 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로그인 정보, 보안 카드 정보 등 각종 정보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도 금융 거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을 이용한 금융 거래 서비스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1. NFC ( Near Field Communication )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근접한 기기 간에 자장 유도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접속 규격으로 관련 표준은 Ecma 340, ISO/IEC 18092 등이 있다. 본 방식은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며, 스마트 카드와 유사하게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나, 단방향 통신만을 지원하는 스마트 카드와는 달리 양방향 통신을 지원한다는 큰 차이점이 있다. 즉, 특정 정보를 저장하여 리더기에 전송해주는 태그(Tag) 역할만을 수행하는 스마트카드와는 달리, NFC는 필요에 따라 태그 역할 뿐만 아니라 태그의 정보를 읽거나 쓰는 리더/라이터(reader/writer) 역할도 할 수 있으며, NFC가 양측 이동 단말이기 모두에 구비된 경우 P2P(Point to Point) 정보교환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와 비교 시 높은 보안수준이 구현될 수 있으며, 빠른 연결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비록 블루투스 방식에 비해 통신거리가 짧으나(최대 10~20cm), 역으로 복잡한 공간에서 혼동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동 단말간 별도의 사용자 인식이 필요 없이 근거리에 있는 것만으로도 곧바로 통신 설정이 가능하며, 통신시간이 비교적 짧아 보안에도 유리하다.
NFC 모듈을 탑재한 이동 단말은 리더 모드(reader mode), 카드 모드(card mode), P2P(Peer to Peer) 모드 총 3가지의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3가지의 모드를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일련의 과정을 폴링(polling)이라고 한다. 이 때, 폴링 동작에서 각 모드가 변경되는 순서는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바뀔 수 있다. 각 모드의 동작이 순차적으로 한 번씩 수행되면서 소요되는 총 시간을 폴링 주기(interval)라고 하며, 폴링 주기 간격으로 이동 단말은 폴링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NFC의 기능에 포함되는 각 모드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 단말의 NFC 모듈이 활성화되도록 타 이동 단말과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를 편의상 "NFC 접촉"이라 칭한다.
첫째, 리더 모드의 경우 이동 단말은 카드 리더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동 단말은 NFC 접촉한 외부 NFC 장치로 소정의 명령 메시지를 전달하고, 명령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외부 NFC 장치의 정보를 읽어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은 외부 NFC 장치의 정보를 읽어오기 위하여 무선 주파수 필드(Radio Frequency Field)를 생성하게 된다. 무선 주파수 필드는 자기장의 세기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무선 전파를 일컫는다. 외부 NFC 장치가 무선 전파를 발사하는 이동 단말과 NFC 접촉을 하게 되면, 이동 단말이 발사한 무선 전파로 인하여 외부 NFC 장치에 구비된 코일을 통해 유도 전류가 발생한다. 외부 NFC 장치는 발생된 유도 전류를 이용하여 메모리 칩 등에 저장된 정보를 무선으로 이동 단말에 전송하게 된다. 즉, 외부 NFC 장치는 이동 단말에서 발사하는 무선 전파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게 되므로 전원이 필요가 없지만, 이동 단말은 무선 전파를 발사하기 위해서는 전원을 공급받아야 한다.
이동 단말이 리더 모드로 동작하는 일례로,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신용 카드에 NFC 접촉시키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의 화면을 통해 신용 카드의 결제 예정 금액, 한도액 등을 조회할 수 있으며, 신용 카드사의 서버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을 획득하여 신용 카드사의 서버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각종 물품에 부착된 태그에 NFC 접촉시키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의 화면을 통해 물품의 가격, 유통일자 등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카드 모드의 경우, 이동 단말은 상술한 태그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동 단말이 외부 NFC 리더와 NFC 접촉을 하게 되면, 이동 단말은 외부 NFC 리더의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고, 이에 따른 응답으로 응답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이 경우, 외부 NFC 리더가 발사하는 무선 전파로 인하여 이동 단말 내에 유도 전류가 발생되므로, 이동 단말은 내부로부터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지 않고도 응답메시지를 외부 NFC 리더로 전달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이 카드 모드로 동작하는 일례로, 이동 단말에 교통카드 칩을 탑재한 경우,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버스나 지하철에 설치된 교통카드 리더기에 NFC 접촉시켜 버스나 지하철의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교통카드 리더기는 이동 단말에 요금 정보를 요청하는 명령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동 단말은 그에 따른 응답으로 저장된 요금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P2P 모드의 경우, 이동 단말은 NFC 리더의 기능과 태그의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이를 각각, 개시 모드(initiator mode), 타겟 모드(target mode)라고도 한다. 이동 단말이 NFC 모듈이 설치된 외부 NFC 장치와 NFC 접촉하게 되면, 이동 단말은 무선 주파수 필드(Radio Frequency Field)를 생성하여 외부 NFC 장치의 정보를 읽어오거나, 외부 NFC 장치로부터 무선 주파수 필드를 통해 수신한 명령 메시지에 따른 응답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즉, 외부 NFC 장치와 소정의 정보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이 P2P 모드로 동작하는 일례로,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타인의 이동 단말과 NFC 접촉을 하면, 사용자의 계좌에 있는 일정 금액을 타인의 계좌로 간단하게 송금하거나 사용자의 이동 단말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문서, 음악 등을 전달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P2P 모드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무선 주파수 필드를 생성하지 않지만,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무선 주파수 필드를 생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무선 주파수 필드를 생성하는 모드인 리더 모드 및 P2P 모드는 능동 모드(active mode)라고 칭하고, 무선 주파수 필드를 생성하지 않는 모드인 카드 모드를 수동 모드(passive mode)라고 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근거리 정보 교환은 NFC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가정하며, 각 단말에는 NFC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NFC 모듈이 구비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2.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을 이용한 금융 거래 서비스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금융기관 단말(110), 사용자 단말(120) 및 NFC 태그(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 언급되는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융기관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20)에서 금융 거래를 개시하기 위한 NFC 태그 정보와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금융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금융 거래용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여기서, NFC 태그 정보는 NFC 태그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의미하며, 그 일례로 NFC 태그의 UIC(Unique ID)가 될 수 있다. 또한, 금융 거래용 정보는 사용자 단말(120)을 이용하여 금융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제반 정보를 의미하며, 금융기관에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ID) 및 패스워드(Password), 사용자의 계좌 정보, 보안 카드 정보 혹은 OTP(One Time Password) 정보,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에 탑재된 식별 모듈의 초기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정보를 NFC 태그 정보, 금융 거래용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초기 PIN의 인증을 수행한 후 NFC 태그 정보, 금융 거래용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정보를 입력 받아, 사용자 PIN 정보도 함께 사용자 단말(1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NFC 태그 정보, 금융 거래용 정보와 함께 사용자 PIN 정보를 저장한 후, 사용자가 금융 거래를 수행하고자 할 때 저장된 사용자 PIN 정보를 이용하여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금융기관 단말(110)의 일례로,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상술한 예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가 소지하여 금융 거래 서비스를 위하여 이용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금융기관 단말(110)로부터 NFC 태그 정보 및 금융 거래용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금융 기관으로부터 발급 받은 NFC 태그와 NFC 접촉을 함으로써 금융 거래를 위한 어플케이션(application)을 구동시키고, NFC 태그 인증에 성공한 경우 수신한 금융 거래용 정보를 이용하여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20)은 NFC 태그와 NFC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NFC 모듈과 금융기관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NFC 태그 정보 및 금융 거래용 정보를 저장하는 식별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금융기관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초기 PIN 정보와 식별 모듈에 기 저장된 초기 PIN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PIN 인증을 수행하고 NFC 태그 정보 및 금융 거래용 정보를 식별 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금융기관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PIN 정보를 식별 모듈에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 PIN 정보를 이용한 PIN 인증을 통하여 금융 거래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의 일례로,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 태블릿 PC, 스마트폰, PD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상술한 예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금융기관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PIN 정보를 입력 받고(S201), 금융 거래용 정보를 생성한다(S203). 즉, 고객이 금융기관을 방문하여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금융 거래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일련의 제반 정보를 작성하여 금융기관 직원에 전달하면, 금융기관 단말(110)은 금융기관 직원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금융 거래용 정보를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금융 거래용 정보는 금융기관에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ID) 및 패스워드(Password), 사용자의 계좌 정보, 보안 카드 정보 혹은 OTP(One Time Password) 정보,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20)이 금융기관 단말(110)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RF(Radio Frequency) 접촉), 금융기관 단말(110)은 RF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20)에 초기 PIN 정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사용자 PIN 정보, 생성한 금융 거래용 정보 및 NFC 태그 정보를 사용자 단말(120)에 전송한다(S205).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PIN 정보를 입력 받는 S201 단계는 S203 단계 이후 RF 접촉 이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RF 접촉 이후 S205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S205 단계에서 금융기관 단말(110)로부터 초기 PIN 정보, 사용자 PIN 정보, 금융 거래용 정보 및 NFC 태그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 단말(120)에 기 저장된 초기 PIN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초기 PIN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 기 저장된 초기 PIN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PIN 정보로 업데이트를 수행한다(S207). 그리고, 사용자 단말(120)은 수신한 금융 거래용 정보 및 NFC 태그 정보를 저장한다(S209). 즉, 금융기관 직원은 방문한 사용자에게 NFC 태그를 발급할 수 있으며, NFC 태그 정보는 사용자에게 발급한 NFC 태그의 UIC(Unique ID)가 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40)은 금융 거래를 개시하기 위하여 NFC 모듈을 P2P 모드로 설정한다(S211).
그리고, 금융기관으로부터 발급 받은 NFC 태그가 사용자 단말(120)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NFC 접촉), 사용자 단말(120)은 금융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킨다(S213).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로부터 PIN 정보를 입력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출력하여 이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로부터 PIN 정보를 입력 받고,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PIN 정보와 S207 단계에서 업데이트한 사용자 PIN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PIN 인증을 수행한다(S215).
PIN 인증에 성공한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S209에서 저장한 NFC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NFC 접촉한 NFC 태그를 인증한다(S217). 즉, 사용자 단말(120)은 저장한 NFC 태그의 UID와 NFC 접촉한 NFC 태그의 UID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NFC 태그를 인증함으로써, 사용자가 금융 기관으로부터 발급 받은 NFC 태그임을 확인한다.
NFC 태그 인증에 성공한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S209 단계에서 저장한 금융 거래용 정보를 이용하여 금융 거래를 수행한다(S219).
한편, S213 단계에서 NFC 접촉을 통해 자동으로 실행시킨 금융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앞서 설명한 S215 단계 내지 S219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단말은 앞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120)이 될 수 있다.
단말은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입력부(330), 출력부(340), 저장부(350) 및 인터페이스부(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단말은 그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가지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단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310)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 또는 단말이 위치한 네트워크의 타 단말과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 송수신부(310)는 근거리 통신 모듈(31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311)은 타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인접 자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 NFC 모듈의 보안 요소(SE: Secure Element) 영역은 식별 모듈에 임베딩(embedding)될 수 있고, 저장부(350)에 독립적으로 임베딩 될 수도 있다.
입력부(330)는 사용자가 단말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입력부(330)는 다양한 방식의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3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음성 입력 수단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340)는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서 단말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340)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3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출력부(34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터치 스크린), 출력부(34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출력부(34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출력부(34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제어부(320)로 전송된다. 이로써, 제어부(320)는 출력부(34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저장부(350)는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기본적으로 단말에 의해 실행될 운영 프로그램 및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 저장부(350)는 NFC 태그를 인증하고, 금융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350)는 다양한 저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3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50)는 제어부(32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제어부(32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60)는 단말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3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360)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인터페이스부(360)와 연결되는 식별 모듈은 단말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IM: User Identify Module), 가입자 인증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송수신부(310), 입력부(330), 출력부(340), 저장부(350) 및 인터페이스부(36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도 1 내지 도 2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단말은 앞서 설명한 금융기관 단말(110)이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송수신부(410), 제어부(420) 및 저장부(4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서버는 그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가지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410)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 또는 단말이 위치한 네트워크의 타 단말과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 송수신부(410)는 근거리 통신 모듈(41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411)은 타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인접 자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 NFC 모듈의 보안 요소(SE: Secure Element) 영역은 식별 모듈에 임베딩(embedding)될 수 있고, 저장부(430)에 독립적으로 임베딩 될 수도 있다.
저장부(430)는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기본적으로 단말에 의해 실행될 운영 프로그램 및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4300)는 다양한 저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43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30)는 제어부(42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제어부(420)와 연결될 수 있다.
입력부(440)는 사용자가 단말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입력부(440)는 다양한 방식의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44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음성 입력 수단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송수신부(410), 저장부(430) 및 입력부(44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도 1 내지 도 2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다양한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금융 거래 서비스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10: 금융기관 단말 120: 사용자 단말
130: NFC 태그 310: 송수신부
311: 근거리 통신 모듈 320: 제어부
330: 입력부 340: 출력부
350: 저장부 360: 인터페이스부
410: 송수신부 411: 근거리 통신 모듈
420: 제어부 430: 저장부
440: 입력부

Claims (10)

  1. 사용자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정보를 입력 받고, 금융 거래용 정보를 생성하며, 초기 PIN 정보, 상기 사용자 PIN 정보, 상기 금융 거래용 정보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정보를 전송하는 제1 단말; 및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초기 PIN 정보, 상기 사용자 PIN 정보, 상기 금융 거래용 정보 및 상기 NFC 태그 정보를 수신하고, 기 저장된 초기 PIN 정보와 상기 수신한 초기 PIN 정보의 일치함을 확인하면 상기 기 저장된 초기 PIN 정보를 상기 수신한 사용자 PIN 정보로 업데이트하며, 상기 금융 거래용 정보 및 상기 NFC 태그 정보를 저장하고, PIN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 받은 PIN 정보와 상기 사용자 PIN 정보의 일치 및 상기 NFC 태그로부터 획득한 상기 NFC 태그의 식별 정보와 상기 NFC 태그 정보의 일치함을 확인하면,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제2 단말을 포함하는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타 단말로부터 초기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정보, 사용자 PIN 정보, 금융 거래용 정보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기 저장된 초기 PIN 정보와 상기 수신한 초기 PIN 정보의 일치함을 확인하면 상기 기 저장된 초기 PIN 정보를 상기 수신한 사용자 PIN 정보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금융 거래용 정보 및 상기 NFC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PIN 정보를 입력 받으며, NFC 태그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받은 PIN 정보와 상기 사용자 PIN 정보의 일치 및 상기 획득한 NFC 태그의 식별 정보와 상기 NFC 태그 정보의 일치함을 확인하면,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타 단말에 일정 거리 이상 접근하면, RF(Radio Frequency) 통신을 통해 상기 초기 PIN 정보, 상기 사용자 PIN 정보, 상기 금융 거래용 정보 및 상기 NFC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NFC 태그에 일정 거리 이상 접근하면, NFC 통신을 통해 상기 NFC 태그로부터 상기 NFC 태그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5.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단말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식별 모듈; 및
    타 단말로부터 초기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정보, 사용자 PIN 정보, 금융 거래용 정보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 모듈에 기 저장된 초기 PIN 정보와 상기 수신한 초기 PIN 정보의 일치함을 확인하면 상기 기 저장된 초기 PIN 정보를 상기 수신한 사용자 PIN 정보로 업데이트하며, 상기 금융 거래용 정보 및 상기 NFC 태그 정보를 상기 식별 모듈에 저장하고, PIN 정보를 입력 받으며 NFC 태그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입력 받은 PIN 정보와 상기 사용자 PIN 정보의 일치 및 상기 획득한 NFC 태그의 식별 정보와 상기 NFC 태그 정보의 일치함을 확인하면,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상기 타 단말에 일정 거리 이상 접근하면, RF(Radio Frequency) 통신을 통해 상기 초기 PIN 정보, 상기 사용자 PIN 정보, 상기 금융 거래용 정보 및 상기 NFC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상기 NFC 태그에 일정 거리 이상 접근하면, NFC 통신을 통해 상기 NFC 태그로부터 상기 NFC 태그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모듈은 사용자 인증 모듈(UIM: User Identify Module), 가입자 인증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중 어느 하나인, 단말.
  9. 제5항에 있어서,
    금융 거래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상기 NFC 태그에 일정 거리 이상 접근하면, 상기 금융 거래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단말.
  10. 타 단말로부터 초기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정보, 사용자 PIN 정보, 금융 거래용 정보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기 저장된 초기 PIN 정보와 상기 수신한 초기 PIN 정보의 일치함을 확인하면 상기 기 저장된 초기 PIN 정보를 상기 수신한 사용자 PIN 정보로 업데이트하는 수단;
    상기 금융 거래용 정보 및 상기 NFC 태그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
    PIN 정보를 입력 받으며, NFC 태그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 및
    상기 입력 받은 PIN 정보와 상기 사용자 PIN 정보의 일치 및 상기 획득한 NFC 태그의 식별 정보와 상기 NFC 태그 정보의 일치함을 확인하면,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97013A 2012-09-03 2012-09-03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40030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013A KR20140030619A (ko) 2012-09-03 2012-09-03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013A KR20140030619A (ko) 2012-09-03 2012-09-03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619A true KR20140030619A (ko) 2014-03-12

Family

ID=5064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013A KR20140030619A (ko) 2012-09-03 2012-09-03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06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2275A1 (ko) * 2015-09-23 2017-03-30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휴대단말을 이용한 자동입출금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6991767A (zh) * 2016-01-21 2017-07-28 廖思军 一种atm控制方法和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2275A1 (ko) * 2015-09-23 2017-03-30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휴대단말을 이용한 자동입출금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0957166B2 (en) 2015-09-23 2021-03-23 Harex Infotech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ed teller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CN106991767A (zh) * 2016-01-21 2017-07-28 廖思军 一种atm控制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0772B2 (en) Security token for mobile near field communication transactions
US9038894B2 (en) Payment or other transaction through mobile device using NFC to access a contactless transaction card
US95844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 NFC application via a secure channel including a proxy and computing device
US20190066090A1 (en) Transaction Application Selection Method and Terminal
AU2017267375A1 (en) Authentication with smartwatch
KR102366744B1 (ko) 사용자 위치 기반의 푸시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5706127A (zh) 在电子设备上提供并认证凭据
CN105452987A (zh) 管理使用电子设备的低功率模式的近场通信
CN105074745A (zh) 用于控制支付装置以选择支付手段的方法
US10467445B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actless card alignment with a foldable mobile device
US10482458B2 (en) User equipment, service providing device,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20160364719A1 (en) User equipment for reverse nfc payment, nfc payment terminal, reverse nfc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20180055209A (ko) 대리 장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20150095222A1 (en) Dynamic identity representation in mobile devices
KR101445137B1 (ko) 근거리 통신 기반 스마트 카드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EP2874111B1 (en) Wireless power supply to enable payment transaction
KR20160083830A (ko) 스마트멀티카드의 결제 및 적립 서비스 방법 및 스마트멀티카드용 어플리케이션
KR20140030619A (ko)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453450B1 (ko) 카드 발급 시스템 및 방법, 그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220089871A (ko) 디지털 아이디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43345A (ko) 통합 결제 단말기 및 방법
KR20140118251A (ko) 카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8359A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KR102431366B1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30141131A (ko) 분실 예방 가능한 보안 디지털 시스템, 상기 보안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