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975A - Tv 신호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Tv 신호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975A
KR20140029975A KR1020120096716A KR20120096716A KR20140029975A KR 20140029975 A KR20140029975 A KR 20140029975A KR 1020120096716 A KR1020120096716 A KR 1020120096716A KR 20120096716 A KR20120096716 A KR 20120096716A KR 20140029975 A KR20140029975 A KR 20140029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ain body
unit
dvb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큐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큐브
Priority to KR1020120096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9975A/ko
Priority to EP12199443.8A priority patent/EP2704428A2/en
Publication of KR20140029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9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04N7/106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for domestic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TV 신호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TV 신호 수신 장치는 본체의 외부에 전원 콘센트에 삽입되어 외부 전원을 입력받는 전기플러그, 본체의 외부에 안테나가 연결되는 안테나 커넥터, 본체의 내부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을 수행하는 통신부, 본체의 내부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안테나를 통해 소정 채널의 TV 신호를 수신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동영상 데이터를 요청한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TV 수신부 및 본체의 내부에 전기플러그를 통해 외부 전원이 입력되면 장치의 각 부에 그 외부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통신부를 제어하여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도록 하며, 접속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외부 단말로부터 채널의 TV수신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TV수신부를 제어하여 요청한 외부 단말에 TV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플러그가 장치의 본체 외부에 형성되어 가정 등의 실내에서 전기 콘센트에 거치가 가능하고, 공청 안테나 등의 외부 안테나를 통해 고감도의 TV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다양한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TV 신호 수신 장치{TV SIGNAL RECEIVING APPARATUS}
TV 신호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 장치에 전기 플러그가 형성되어 가정 내의 전원 콘센트에 거치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이 등장하면서 사람들이 모바일 단말을 통해 DMB TV를 시청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610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DMB 수신기가 내장되지 않은 모바일 단말에서 TV를 시청할 수 있도록 DMB 신호를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에 전송해주는 기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용 TV 수신기들은 배터리를 충전해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이용 시간에 제약이 있고, 건물내에서 사용하는 경우 수신되는 TV 신호의 감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 PC 등에서 TV 시청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가정 등의 실내에서 전기 콘센트에 거치할 수 있도록 전기 플러그가 형성되고, 공청 안테나 등의 외부 안테나를 통해 고감도의 TV 신호를 수신하여 유무선 통신을 통해 다양한 단말에 전송하는 TV 신호 수신 장치가 제시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외부 단말에서 TV를 시청할 수 있도록 TV 신호를 수신하여 그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TV 신호 수신 장치에 있어서, 그 TV 신호 수신 장치는 본체의 외부에 전원 콘센트에 삽입되어 외부 전원을 입력받는 전기플러그, 본체의 외부에 안테나가 연결되는 안테나 커넥터, 본체의 내부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을 수행하는 통신부, 본체의 내부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안테나를 통해 소정 채널의 TV 신호를 수신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동영상 데이터를 요청한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TV 수신부 및 본체의 내부에 전기플러그를 통해 외부 전원이 입력되면 장치의 각 부에 그 외부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통신부를 제어하여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도록 하며, 접속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외부 단말로부터 채널의 TV수신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TV수신부를 제어하여 요청한 외부 단말에 TV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TV 신호 수신 장치는 본체의 외부에 온오프 선택에 따라 전기플러그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전원을 장치에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전원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TV 신호 수신 장치는 본체의 내부에 전원스위치가 온되어 외부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 전원을 장치의 각 부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TV 신호 수신 장치는 본체의 외부에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TV 신호의 수신 감도를 표시하는 수신감도표시부 및 통신부를 통해 접속된 유무선 통신망의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통신상태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TV 신호 수신 장치는 본체 내부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TV 신호의 수신 감도를 체크하여 수신감도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수신감도체크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의 통신 상태를 통신상태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통신상태체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TV수신부는 본체의 내부에 적어도 둘 이상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둘 이상의 외부 단말로부터 서로 다른 채널의 TV수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둘 이상의 TV수신부를 통해 각각 서로 다른 채널의 TV신호를 수신하여 외부 단말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무선랜(WiFi), 블루투스 및 NFC 통신 모듈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부 및 외부 단말과의 USB를 통해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USB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TV 신호는 ATSC-MH 신호, ATSC 신호, DMB-T 신호, DMB 신호, DAB 신호, T-DMB 신호, ISDB-T 신호, ISDB-T 신호, DVB-T 신호, DVB-T2 신호, DVB-C 신호, DVB-C2 신호, DVB-S 신호, DVB-S2 신호, DVB-H 신호, DVB-H2 신호, DVB-SH 신호, SBTVD 신호, DTMB 신호, CMMB 신호, OpenCable 신호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의 본체의 외부에 전기 플러그가 형성되어 가정 등의 실내에서 전기 콘센트에 거치가 가능하고, 공청 안테나 등의 외부 안테나를 통해 고감도의 TV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의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TV 수신 기능이 탑재되지 않은 단말에서도 언제든지 TV를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TV 신호 수신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TV 신호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TV 신호 수신 장치의 적용예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TV 신호 수신 장치와 연결 가능한 외부 단말의 블록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TV 신호 수신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TV 신호 수신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TV 신호 수신 장치(100)는 TV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요청하는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장치이다. 이때, TV 신호는 ATSC-MH 신호, ATSC 신호, DMB-T 신호, DMB 신호, DAB 신호, T-DMB 신호, ISDB-T 신호, ISDB-T 신호, DVB-T 신호, DVB-T2 신호, DVB-C 신호, DVB-C2 신호, DVB-S 신호, DVB-S2 신호, DVB-H 신호, DVB-H2 신호, DVB-SH 신호, SBTVD 신호, DTMB 신호, CMMB 신호, OpenCable 신호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예시한 TV 신호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신호 수신 장치(100)는 본체(110)와 그 본체(110)의 외부 일면에 실내의 전원 콘센트에 삽입하여 TV 신호 수신 장치(100)의 각 부에 외부 전원을 인가하는 전기플러그(111)가 구비된다. 전기플러그(111)를 실내의 벽면에 설치된 전원 콘센트에 삽입하면 TV 신호 수신 장치(100)를 벽면에 거치하여 고정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외부 전원에 항상 연결되어 있어 TV 신호 수신 장치(100)에 별도의 배터리를 장착할 필요가 없어, TV 신호 수신 장치(100)를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TV 신호 수신 장치(100)는 그 본체(110)에 외부 안테나(예: 아파트 등의 공청 안테나, 가정용 실내 안테나 등)가 연결되는 안테나 커넥터(113)가 구비된다. 이때, 안테나 커넥터(113)는 IEC 커넥터일 수 있으며, 루프 탑(Roof Top)안테나가 그 안테나 커넥터(113)에 연결될 수 있어 지상파 TV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실내에서 TV 신호 수신 감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TV 신호 수신 장치(100)는 본체(110)의 외부에 전기플러그(111)를 통해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원을 온오프하여 장치(100)의 각 부에 전원의 인가 또는 차단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112)를 더 구비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TV 신호 수신 장치(100)는 본체(110)의 일면(예: 전면)에 TV 수신 감도를 표시하는 수신감도표시부(114)와 외부 단말과의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통신상태표시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수신감도표시부(114)와 통신상태표시부(115)는 일 예에 따르면 다양한 컬러를 표현할 수 있는 LED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감도표시부(114)는 수신감도가 양호할 때는 녹색(Green), 수신감도가 떨어질때는 적색(Red)의 두 가지의 컬러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신상태표시부(115)는 녹색(Green)의 한 가지 컬러로 통신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녹색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그 통신 상태를 표시하거나, 또는 녹색 신호의 밝기 정도(예: 밝을수록 통신 상태 양호)를 구분하거나, 통신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 그 녹색 신호를 점멸하도록 하여 통신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TV 신호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외부 단말(200)에서 TV를 시청할 수 있도록 TV 신호를 수신하여 그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TV 신호 수신 장치(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외부 단말(20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탑재된 단말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컴퓨터 등을 포함하며, 일 양상에 따르면 외부 단말(200)은 별도의 TV 수신 장치를 내장하고 있지 않은 단말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신호 수신 장치(100)는 본체(110)의 내부에 TV수신부(121)를 포함한다. TV수신부(121)는 안테나 커넥터(113)에 연결된 외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TV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TV수신부(121)는 전송되는 다양한 형식의 TV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다양한 TV 신호 처리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 신호 처리 칩은 ATSC-MH 신호 처리 칩, ATSC 신호 처리 칩, DMB-T 신호 처리 칩, DMB 신호 처리 칩, DAB 신호 처리 칩, T-DMB 신호 처리 칩, ISDB-T 신호 처리 칩, ISDB-T 신호 처리 칩, DVB-T 신호 처리 칩, DVB-T2 신호 처리 칩, DVB-C 신호 처리 칩, DVB-C2 신호 처리 칩, DVB-S 신호 처리 칩, DVB-S2 신호 처리 칩, DVB-H 신호 처리 칩, DVB-H2 신호 처리 칩, DVB-SH 신호 처리 칩, SBTVD 신호 처리 칩, DTMB 신호 처리 칩, CMMB 신호 처리 칩 및 OpenCable 신호 처리 칩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될 수 있다.
TV 신호 수신 장치(100)는 본체(110)의 내부에 전원스위치(112)가 온되어 전기플러그(111)를 통해 외부의 교류 전원이 인가되면 장치(100)의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원공급부(122)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ier, SMPS)일 수 있으며, SMPS란 교류전원를 입력으로 이용하여 직류 전원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원하는 전원을 다양하게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전원공급부(122)는 TV 신호 수신 장치(100)의 각 부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사용자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고려할 필요없이 연결된 각종 외부 단말(200)을 이용하여 실내의 어느 곳에서든 자유롭게 TV 시청을 즐길 수 있다.
또한, TV 신호 수신 장치(100)는 본체(110)의 내부에 장치(100)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23), 수신감도체크부(124), 통신상태체크부(125) 및 통신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3)는 수신감도체크부(124)를 제어하여 TV 수신 감도를 수신감도표시부(114)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수신감도체크부(124)는 제어부(123)의 제어에 따라 안테나 커넥터(113)에 연결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TV 수신 감도를 체크하고, 수신감도표시부(114)에 해당하는 컬러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수신감도체크부(124)는 TV 수신감도가 양호한 것으로 체크되면 수신감도표시부(114)에 녹색(Green)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TV 수신 상태가 양호함을 알려줄 수 있다. 반대로, TV 수신 감도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적색(Red)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TV 수신 상태가 양호하지 않음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3)는 통신상태체크부(125)를 제어하여 현재 연결된 통신 상태를 통신상태표시부(115)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통신상태체크부(125)는 현재 연결된 무선 통신망의 통신 상태를 체크하여 통신상태표시부(115)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상태의 양호한 정도에 따라 여러 개의 막대에 단계적으로 녹색(Green)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녹색의 밝기(예: 통신 상태가 양호할수록 녹색의 LED가 밝도록 표시) 또는 녹색 LED의 점멸(예: 통신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 녹색의 LED가 점멸되도록 함)을 통해 그 통신 상태의 양호한 정도를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3)는 통신부(126)를 제어하여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126)는 제어부(123)의 제어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을 수행한다. 한편, 통신부(126)는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로서 무선랜(WiFi), 블루투스(Bluetooth) 및 NFC 통신 모듈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통신부(127)와 USB를 통해 외부 단말(200)의 신호 처리부와 통신하는 USB 단자(128)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그 밖의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 유선 통신 모듈이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무선통신부(127)는 제어부(123)의 제어에 따라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검색하고, 검색된 AP를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을 수행한다. 또한, 그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주변의 외부 단말(200)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USB 단자(128)는 본체의 저면에 홀이 형성되고 그 홀을 통해 USB 케이블이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USB를 통해 연결된 외부 단말과의 TV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3)는 외부 단말(200)로부터 무선통신부(127) 또는 USB 단자(128)를 통해 특정 채널의 TV 수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TV수신부(121)를 제어하여 그 채널의 TV 신호를 수신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동영상 데이터를 외부 단말(200)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TV수신부(121)는 제어부(123)의 제어에 따라 안테나 커넥터(113)에 연결된 안테나를 통해 요청된 채널의 TV 신호를 수신하여 그 TV 신호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동영상 데이터를 무선통신부(127) 또는 USB 단자(128)를 통해 외부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단말(200)은 연결된 무선통신망 또는 USB 통신을 통해 TV 신호 수신 장치(100)에 HTTP 요청(Request)을 보내면, TV 신호 수신 장치(100)는 변환된 동영상 데이터를 HTTP 응답(Response)을 외부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TV수신부(121)는 TV 신호 수신 장치(100)에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23)는 둘 이상의 외부 단말(200)로부터 서로 다른 채널의 TV 수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복수의 TV수신부(121)를 각각 제어하여 요청된 각 채널의 TV신호를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TV수신부(121)는 제어부(123)의 제어에 따라 각각 해당하는 채널의 TV 신호를 수신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동영상 데이터를 외부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TV 신호 수신 장치(100)는 사용자들이 복수의 모바일 단말을 통해 다채널 TV 신호를 동시에 시청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TV 신호 수신 장치(100)는 본체(110)에 내장안테나(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내장안테나(미도시)는 본체(100)의 일측에 슬라이드 수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장안테나(미도시)는 건물에 안테나 커넥터(113)에 연결할 외부 안테나가 없는 경우 TV신호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거주하는 환경에 따라 공청 안테나와 같은 외부 안테나가 없는 경우가 있다. 이때, 사용자는 TV 신호 수신 장치(100)에 내장된 내장안테나(미도시)를 이용하여 TV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V수신부(121)는 내장안테나를 통해 TV 신호가 수신되면 그 TV 신호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요청하는 외부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TV 신호 수신 장치(100)의 적용예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TV 신호 수신 장치(100)는 건물 내의 전기 콘센트에 꽂은 상태로 거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TV 신호 수신 장치(100)는 아파트 등의 건물 지붕에 설치된 공청 안테나, 실내에 설치된 안테나 등을 통해 DVB-T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V 신호 수신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TV수신모듈을 포함하여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탑 PC 등의 다수의 외부 단말(200)에 무선랜(WiFi)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 복수의 채널의 TV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의 외부 단말(200)을 이용하여 다채널 동시 시청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TV 신호 수신 장치와 연결 가능한 외부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TV 신호 수신 장치(100)와 연결 가능한 외부 단말(200)은 TV수신요청부(201), 동영상수신부(202), 동영상재생부(203), 제어부(204), USB 단자(205), 무선통신부(206), 유저인터페이스부(208)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단말(200)의 각 부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제작되어 외부 단말(200)에 설치될 수 있다.
TV수신요청부(201)는 제어부(204)의 제어에 따라 TV수신 요청 신호를 무선통신부(206) 또는 USB 단자(205)를 통해 연결된 TV신호 수신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06)는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로서 무선랜(WiFi), 블루투스(Bluetooth) 및 NFC 통신 모듈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그 밖의 다양한 무선 통신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207)는 제어부(204)의 제어에 따라 TV 신호 수신 장치(100)와의 무선 연결을 수행한다.
동영상수신부(202)는 TV 신호 수신 장치(100)로부터 TV 신호가 변환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동영상재생부(203)는 동영상수신부(202)에 의해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를 제어부(204)의 제어에 따라 디코딩하여 재생한다.
제어부(204)는 동영상 재생 처리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204)는 유저인터페이스부(208)을 통해 사용자가 TV 시청 요청, 채널 설정, 볼륨 조절 등의 각종 UI 조작에 대응하여 각 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UI를 조작하여 TV 시청을 요청하고, 시청할 채널을 설정하면 그 정보를 기초로 TV수신요청부(201)로 하여금TV 신호 수신 장치(100)에 TV수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고, 동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동영상재생부(203)로 하여금 동영상을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유저인터페이스부(208)는 사용자에게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각종 UI 조작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TV 신호 수신 장치 110: 본체
111: 전기플러그 112: 전원스위치
113: 안테나커넥터 114: 수신감도표시부
115: 통신상태표시부 121: TV수신부
122: 전원공급부 123: 제어부
124: 수신감도체크부 125: 통신상태체크부
126: 통신부 127: 무선통신부
128: USB단자 200: 외부 단말
201: TV수신요청부 202: 동영상수신부
203: 동영상재생부 204: 제어부
205: USB단자 206: 무선통신부
208: 유저인터페이스부

Claims (8)

  1. 외부 단말에서 TV를 시청할 수 있도록 TV 신호를 수신하여 그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TV 신호 수신 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외부에 전원 콘센트에 삽입되어 외부 전원을 입력받는 전기플러그;
    상기 본체의 외부에 안테나가 연결되는 안테나 커넥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소정 채널의 TV 신호를 수신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동영상 데이터를 요청한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TV 수신부; 및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전기플러그를 통해 외부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장치의 각 부에 그 외부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통신부를 제어하여 유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도록 하며, 접속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 채널의 TV수신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TV수신부를 제어하여 요청한 외부 단말에 TV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TV 신호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부에 온오프 선택에 따라 상기 전기플러그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전원을 장치에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전원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TV 신호 수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전원스위치가 온되어 외부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외부 전원을 장치의 각 부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TV 신호 수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부에,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TV 신호의 수신 감도를 표시하는 수신감도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접속된 유무선 통신망의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통신상태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TV 신호 수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TV 신호의 수신 감도를 체크하여 상기 수신감도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수신감도체크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유무선 통신망의 통신 상태를 상기 통신상태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통신상태체크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TV 신호 수신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TV수신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적어도 둘 이상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둘 이상의 외부 단말로부터 서로 다른 채널의 TV수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둘 이상의 TV수신부를 통해 각각 서로 다른 채널의 TV신호를 수신하여 외부 단말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TV 신호 수신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무선랜(WiFi), 블루투스 및 NFC 통신 모듈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부; 및
    외부 단말과의 USB를 통해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USB 단자;를 포함하는 디지털 TV 신호 수신 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TV 신호는,
    ATSC-MH 신호, ATSC 신호, DMB-T 신호, DMB 신호, DAB 신호, T-DMB 신호, ISDB-T 신호, ISDB-T 신호, DVB-T 신호, DVB-T2 신호, DVB-C 신호, DVB-C2 신호, DVB-S 신호, DVB-S2 신호, DVB-H 신호, DVB-H2 신호, DVB-SH 신호, SBTVD 신호, DTMB 신호, CMMB 신호, OpenCable 신호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지털 TV 신호 수신 장치.





KR1020120096716A 2012-08-31 2012-08-31 Tv 신호 수신 장치 KR201400299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716A KR20140029975A (ko) 2012-08-31 2012-08-31 Tv 신호 수신 장치
EP12199443.8A EP2704428A2 (en) 2012-08-31 2012-12-27 Digital TV signal receiv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716A KR20140029975A (ko) 2012-08-31 2012-08-31 Tv 신호 수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975A true KR20140029975A (ko) 2014-03-11

Family

ID=4770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716A KR20140029975A (ko) 2012-08-31 2012-08-31 Tv 신호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704428A2 (ko)
KR (1) KR201400299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6895B2 (en) 2015-03-06 2018-10-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ignal display outpu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071B1 (ko) 2010-02-09 2012-08-03 주식회사 싸이들 휴대형 모바일 tv 서비스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04428A2 (en)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1906B2 (en) Wireless audio player and speaker system
US9143861B2 (en) Wireless audio player and speaker system
US9491392B2 (en) Display device,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3708288U (zh) 可分享视讯画面的无线热点装置
US10491851B2 (en) Media stick for controlling wireless speakers
US10096237B2 (en) Electronic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to external apparatus
US9247177B2 (en) Display device,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CN104154439A (zh) 智能led照明装置及基于该装置的远程视频聊天系统
CN103905857A (zh) 一种电视机系统
US20130315416A1 (en) Device connecting multiple audio sources over wireless connections to amplifiers and speakers
US20190200081A1 (en) Set-Top Box with Enhanced Controls
US20140093248A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power supply connector remote control device
US8872972B2 (en) Smart television with a built-in router module
CN106303677A (zh) 无线显示控制系统及无线显示控制方法
KR20140029975A (ko) Tv 신호 수신 장치
CN205490969U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多媒体播放系统
US20160219324A1 (en) Smartphone television
WO2014075493A1 (zh) 机顶盒以及基于机顶盒的使用方法
US20130120661A1 (en) Portable video-audio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portable video-audio signal receiving apparatus
CN104536672A (zh) 一种智能终端多媒体辅助装置及其辅助输入输出的方法
KR20150067607A (ko) 전자기기 제어용 다기능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
CN202696818U (zh) 可外接多媒体终端的电视装置及电视系统
CN104065991A (zh) 一种可传输数据的遥控器
US20130318563A1 (en) Television apparatus connected to multimedia terminal apparatus and television system for the same
KR20130028833A (ko) Ata 기능이 포함된 영상 및 음향 송수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