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869A -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 다중 접속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 다중 접속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869A
KR20140029869A KR1020120095925A KR20120095925A KR20140029869A KR 20140029869 A KR20140029869 A KR 20140029869A KR 1020120095925 A KR1020120095925 A KR 1020120095925A KR 20120095925 A KR20120095925 A KR 20120095925A KR 20140029869 A KR20140029869 A KR 20140029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ultiple access
terminals
access apparatus
channel g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3037B1 (ko
Inventor
최완
홍준표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95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037B1/ko
Publication of KR20140029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2Estimation of channel variability, e.g. coherence bandwidth, coherence time, fading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04Channel estimation of multipl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343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중 접속 장치와 접속한 통신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다중 접속 장치간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채널 이득값을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된 채널 이득값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다중 접속 장치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접속 장치는 상기 다중 접속 장치에게 전송되는 복수의 데이터간 물리적 간섭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복원한다.

Description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 다중 접속 장치 및 방법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ULTIPLE ACCESS APPARATUS FOR TRANSCEIVING DATA, AND METHOD THEREOF}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 다중 접속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접속 장치와 접속한 복수의 통신 장치간 간섭을 고려하여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 다중 접속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다중 이용자 접속 방법은 충돌 채널 모델(collision channel model)을 기반으로 모델링 되었다. 예를 들어 MACAW, Aloha, CSMA등과 같은 기법들이 있다. 충돌 채널 모델에서는 동시에 두 명 이상의 이용자가 신호를 전송하게 되는 경우, 서로의 신호에 간섭을 미쳐 통신을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random access contention과 같은 분산 스케쥴링 방법을 이용하여 한 이용자씩 데이터를 전송하게 함으로써 전송 신호간 충돌로 인해 생기는 통신 불능 상황을 처리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충돌 회피 방법은 주로 random backoff time 또는 random access probability를 이용하는데, 이용자 수가 많아 질수록 random backoff time이 길어지거나 random access probability가 줄어들기 때문에 이용자의 통신 지연을 초래했다. 즉, 이용자의 수가 많은 네트워크의 경우, 충돌 채널 모델을 바탕으로 한 통신 기법은 큰 통신 지연을 유발 할 뿐만 아니라 주파수 이용 효율의 저하를 초래했다.
충돌 채널 모델을 바탕으로 한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여러 이용자의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기법이 S. Ghez, S. Verd'u, and S. Schwartz, "Stability properties of slotted ALOHA with multipacket reception capability," IEEE Trans . Autom에서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는 단순화된 MAC layer 채널 모델에서 제안된 기법들로서 물리적 간섭이 고려된 보다 구체적인 채널 모델에서의 작동 및 원리에 대해 다루지 않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중 접속 장치와 접속한 복수의 통신 장치간 간섭을 고려하여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장치 또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다중 접속 장치와 접속한 통신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다중 접속 장치간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채널 이득값을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된 채널 이득값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다중 접속 장치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접속 장치는 상기 다중 접속 장치에게 전송되는 복수의 데이터간 물리적 간섭을 고려하여 상기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복수의 단말과 접속한 다중 접속 장치는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일부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한 복수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복수의 데이터간 물리적 간섭을 고려하여 상기 데이터를 복원하는 데이터 복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는 각각의 데이터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다중 접속 장치와 접속한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과 상기 다중 접속 장치간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채널 이득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채널 이득값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다중 접속 장치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접속 장치는 상기 다중 접속 장치에게 전송되는 복수의 데이터간 물리적 간섭을 고려하여 상기 데이터를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른 복수의 단말과 접속한 다중 접속 장치가 데이터를 복원하는 방법은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일부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복수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 접속 장치에게 전송되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간 물리적 간섭을 고려하여 상기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는 각각의 데이터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5 측면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이 채널 이득값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은 상기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상 복수의 채널의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채널 이득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채널 이득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단말 중 데이터를 보유한 일부 단말의 데이터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다중 접속 장치가 상기 일부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복수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 접속 장치가 상기 다중 접속 장치에게 전송되는 복수의 데이터간 물리적 간섭을 고려하여 상기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통신 장치는 임계값과 채널 이득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바,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다중 접속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접속 장치가 데이터를 복원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100), 다중 접속 장치(200) 및 네트워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단말(100)은 단말 1(101) 내지 단말 3(103)을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300)를 통해 다중 접속 장치(200)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전송되는 데이터는 무선 통신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말(100) 각각은 단말(100)과 다중 접속 장치(200)간 채널 이득값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는 복수의 단말(100) 각각의 식별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1(101)은 다중 접속 장치(200)에게 전송하는 데이터가 단말 1(101)이 전송하는 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해, 다중 접속 장치(200)에게 전송할 데이터에 단말 1(101)에 대응하는 식별 인자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신호는 다양한 형태의 무선 통신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신호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LTE(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및 ZigBee 기술 등이 이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100)은 다양한 형태의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TV 장치,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TV 장치의 일 예에는 스마트 TV, IPTV 셋톱박스 등이 포함되고, 컴퓨터의 일 예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이 포함되고, 휴대용 단말의 일 예에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중 접속 장치(200)는 복수의 단말(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물리적 간섭을 고려하여 수신된 복수의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접속 장치(200)는 임계값을 연산하여 복수의 단말(100)에게 연산된 임계값을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의 단말(100)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연산부(110), 제어부(120), 데이터 전송부(130) 및 데이터베이스(1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단말(100)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면,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관리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관리자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자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으나,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
연산부(110)는 단말(100)과 다중 접속 장치(200)간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단말(100)의 채널 이득값을 연산할 수 있다. 이 때, 채널 이득값은 다중 접속 장치(200)에서 연산되어 전송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산부(110)는 임계값을 연산할 수 있다. 이 때, 임계값은 다중 접속 장치(200)와 접속한 복수의 단말(100)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단말의 수가 변경된 경우, 다중 접속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변경된 단말의 수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또한, 임계값은 다중 접속 장치(200)에서 연산되어 전송 받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임계값
Figure pat00001
는 수식 1 과 같다.
[수식 1]
Figure pat00002
이 때,
Figure pat00003
는 복수의 단말(100) 각각이 전송할 데이터를 갖고 있을 확율이고,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는 기설정된 값이고,
Figure pat00006
는 다중 접속 장치(200)와 접속한 복수의 단말(100)의 수이다.
제어부(120)는 연산부(110)에서 연산된 채널 이득값에 기초하여 다중 접속 장치(200)에게 전송할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다중 접속 장치(200)에 접속된 복수의 단말(100) 중 일부 단말에 한하여 다중 접속 장치(200)에게 전송할 데이터를 갖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연산부(110)에서 연산된 채널 이득값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데이터 전송부(130)를 통하여 다중 접속 장치(200)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부(130)는 제어부(120)의 결정에 기초하여 다중 접속 장치(200)에게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는 복수의 단말(100) 각각의 식별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9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는 단말(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단말(100)과 단말(1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90)는 연산부(120)에서 연산되어 제어부(130)로 전달되는 채널 이득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90)의 일 예에는 단말(1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도 1의 다중 접속 장치(200)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다중 접속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중 접속 장치(200)는 데이터 수신부(210), 데이터 분석부(220), 데이터 복원부(230), 임계값 관리부(240) 및 데이터베이스(2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단말(100)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면,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다중 접속 장치(200)는 관리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관리자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자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으나,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
데이터 수신부(210)는 다중 접속 장치(200)와 접속된 복수의 단말(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수신부(210)는 복수의 단말(100) 중 임계값 보다 큰 채널 이득을 갖고 있는 일부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부(210)에서 수신하는 데이터는 단말들 각각이 전송하는 데이터들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결합된 데이터는 데이터를 전송한 일부 단말 각각의 식별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220)는 데이터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복수의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데이터는 각각에 대응하는 결합된 데이터일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220)는 결합된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전송한 단말(100) 각각의 식별 인자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구별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분석부(220)는 복수의 데이터를 복수의 식별 인자 각각과 각각의 식별 인자에 대응하는 각각의 데이터로 구별할 수 있다.
데이터 복원부(230)는 데이터 수신부(210)에서 수신하는 복수의 데이터간 물리적 간섭을 고려하여 복수의 데이터 각각을 복원할 수 있다. 물리적 간섭은 무선 통신시 자연 발생하는 노이즈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복원부(230)는 Lasso 방식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복원부(230)는 Lasso 방식에 기초하여 어떤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였는지 알아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Lasso 방식은 수식 2와 같다.
[수식 2]
Figure pat00007
이 때,
Figure pat00008
은 다중 접속 장치(200)가 수신한 결합된 데이터 중 식별 인자 부분이고,
Figure pat00009
는 다중 접속 장치(200)와 접속한 복수의 단말(100)의 수이고,
Figure pat00010
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100) 각각이 전송하는 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 인자들의 집합이고,
Figure pat00011
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100) 각각의 유효 채널 크기의 집합이고,
Figure pat00012
는 regularization 파라미터이다.
임계값 관리부(240)는 임계값을 연산하고, 연산된 임계값을 다중 접속 장치(200)와 접속된 복수의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임계값 관리부(240)는 다중 접속 장치(200)와 접속된 복수의 단말 중 다중 접속 장치(200)에게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일부의 단말에게 연산된 임계값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임계값은 다중 접속 장치(200)와 접속한 복수의 단말(100)의 수에 기초하여 연산될 수 있다. 또한, 임계값은 복수의 단말(100) 각각의 데이터 보유율에 기초하여 연산될 수 있다.
또한, 임계값 관리부(240)는 복수의 단말(100)에게 다중 접속 장치(200)와 접속한 복수의 단말(100)의 수의 변동이 있는 경우, 변동된 값을 복수의 단말(100) 각각에게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9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는 다중 접속 장치(2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다중 접속 장치(200)와 다중 접속 장치(2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290)는 데이터 분석부(220)에서 분석되어 데이터 복원부(230)로 전달되는 식별 인자 부분이 구별된 각각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290)의 일 예에는 다중 접속 장치(2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X1 내지 Xk 는 다중 접속 장치(200)와 접속된 복수의 단말(100) 1 내지 k 각각이 다중 접속 장치(200)에게 전송할 데이터를 나타내고 이 중 점선으로 표기된 X3 는 단말 3이 다중 접속 장치(200)와 접속되어 있지만,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를 나타낸다.
다중 접속 장치(200)에게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단말은 각각이 보유한 전송할 데이터에 식별 인자를 결합하고, a1, a2, ak 는 식별 인자를 나타낸다.
다중 접속 장치(200)에게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각각의 단말은 자신의 채널 이득값과 임계값을 비교하여, 채널 이득값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때, 식별 인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데이터는 각각의 채널을 통해 다중 접속 장치(200)에게 전송되고, 그 과정에서 노이즈 Z가 포함된다.
다중 접속 장치(200)에게 전송된 복수의 데이터는 결합된 데이터로서, 식별 인자 부분인 Y(1) 및 고유 데이터 부분인 Y(2)로 구별될 수 있다. Y(1) 및 Y(2) 는 각각 수식 3 및 수식 4로 표현될 수 있다.
[수식 3]
Figure pat00013
[수식 4]
Figure pat00014
이 때, S는 복수의 단말(100) 중 다중 접속 장치(200)에게 데이터를 전송한 단말의 일련 번호의 집합을 의미한다.
다중 접속 장치(200)는 Lasso 방식에 기초하여 Y(1)을 분석하고, 각각의 식별 인자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의 단말(1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501에서 단말(100)은 단말(100)과 다중 접속 장치(200)간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단말(100)의 채널 이득값을 연산할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단말(100)은 단계 S501에서 연산된 채널 이득값에 기초하여 다중 접속 장치(200)에게 전송할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임계값보다 단계 S501에서 연산된 채널 이득값이 더 큰 경우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임계값은 단말(100)에서 연산되거나, 다중 접속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05에서 단말(100)은 단계 S503에서의 결정에 기초하여 다중 접속 장치(200)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접속 장치가 데이터를 복원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복원하는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접속 장치(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3의 다중 접속 장치(2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복원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601에서 다중 접속 장치(200)는 다중 접속 장치(200)에 접속된 복수의 단말 중 일부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03에서 다중 접속 장치(200)는 단계 S601에서 수신한 복수의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단계 S605에서 다중 접속 장치(200)는 단계 S601에서 수신하는 복수의 데이터간 물리적 간섭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701에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상 복수의 채널의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채널 이득값을 연산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단계 S701에서 연산된 채널 이득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단말(100) 중 데이터를 보유한 일부 단말의 데이터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705에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단계 S703에서의 결정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07에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다중 접속 장치(200)는 일부 단말로부터 단계 S705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709에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단계 S707에서 수신한 복수의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단계 S711에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다중 접속 장치(200)는 다중 접속 장치(200)에게 전송되는 복수의 데이터간 물리적 간섭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복수의 단말
200: 다중 접속 장치
300: 네크워크

Claims (16)

  1. 다중 접속 장치와 접속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다중 접속 장치간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의 채널 이득값을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된 채널 이득값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다중 접속 장치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접속 장치는 상기 다중 접속 장치에게 전송되는 복수의 데이터간 물리적 간섭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복원하는,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 이득값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통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통신 장치의 식별 인자를 포함하는 것인, 통신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다중 접속 장치로부터 전송 받거나, 상기 연산부에서 직접 연산되는 것인, 통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다중 접속 장치와 접속한 복수의 통신 장치의 수에 기초하여 연산되는 것인, 통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 가능한 모바일 단말, 태블릿 PC, 데스크탑, 노트북 및 IPTV를 포함하는 것인. 통신 장치.
  7. 복수의 단말과 접속한 다중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일부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한 복수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복수의 데이터간 물리적 간섭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데이터 각각을 복원하는 데이터 복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는 각각의 데이터가 결합된 것인, 다중 접속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된 데이터는 상기 일부 단말 각각의 식별 인자를 포함하는 것인, 다중 접속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복수의 식별 인자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일부 단말에 대응하는 각각의 데이터로 구별하는, 다중 접속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복원부는 Lasso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일부 단말에 대응하는 각각의 데이터로 복원하는 것인, 다중 접속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임계값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임계값을 상기 복수의 단말에게 전송하는 임계값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다중 접속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다중 접속 장치와 접속한 복수의 단말의 수에 기초하여 연산되는 것인, 다중 접속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의 데이터 보유율에 더 기초하여 연산되는 것인, 다중 접속 장치.
  14. 다중 접속 장치와 접속한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상기 다중 접속 장치간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채널 이득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채널 이득값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다중 접속 장치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접속 장치는 상기 다중 접속 장치에게 전송되는 복수의 데이터간 물리적 간섭을 고려하여 상기 데이터를 복원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5. 복수의 단말과 접속한 다중 접속 장치가 데이터를 복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일부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복수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 접속 장치에게 전송되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간 물리적 간섭을 고려하여 상기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는 각각의 데이터가 결합된 것인, 데이터 복원 방법,
  16.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이 채널 이득값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상 복수의 채널의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채널 이득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채널 이득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단말 중 데이터를 보유한 일부 단말의 데이터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다중 접속 장치에서 상기 일부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복수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 접속 장치에서 상기 다중 접속 장치에게 전송되는 복수의 데이터간 물리적 간섭을 고려하여 상기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20120095925A 2012-08-30 2012-08-30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 다중 접속 장치 및 방법 KR101403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925A KR101403037B1 (ko) 2012-08-30 2012-08-30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 다중 접속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925A KR101403037B1 (ko) 2012-08-30 2012-08-30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 다중 접속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869A true KR20140029869A (ko) 2014-03-11
KR101403037B1 KR101403037B1 (ko) 2014-06-05

Family

ID=50642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925A KR101403037B1 (ko) 2012-08-30 2012-08-30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 다중 접속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619A (ko) * 2017-07-04 2019-01-1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랜덤 접속 환경에서의 기회적 랜덤 접속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6324B2 (en) * 2004-07-19 2010-04-27 Qualcomm Incorporated On-demand reverse-link pilot transmission
US20110199946A1 (en) * 2010-02-17 2011-08-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daptive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rate in multi-user communication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619A (ko) * 2017-07-04 2019-01-1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랜덤 접속 환경에서의 기회적 랜덤 접속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037B1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55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packet scheduling for a hybrid communication network
CN106797572A (zh) 免授权频段中用于蜂窝的子帧对准的先听后说
US20200067616A1 (en) Carrier frequency offset modeling for 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KR102091138B1 (ko)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데이터 전송 장치
Sanada et al. End-to-end delay analysis for IEEE 802.11 string-topology multi-hop networks
EP2785094A1 (en) Channel selection in a wireless network
WO2022117087A1 (zh) 副链路sl上的定位方法、装置及终端
CN105009489B (zh) 用来更新无线通信信道估计的技术
Dutta IEEE 802.15. 4 as the MAC protocol for internet of things (IoT) applications for achieving QoS and energy efficiency
KR101403037B1 (ko)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 다중 접속 장치 및 방법
WO2013008167A1 (en) Packet scheduling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for the purpose of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KR102557530B1 (ko) 서버 및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제어 방법
CN103957585A (zh) 一种无线局域网接入点设备的功率控制方法及装置
Reus-Muns et al. Senseoran: O-RAN based radar detection in the cbrs band
Choi et al. Optimal sensing interval considering per-primary transmission protection in cognitive radio networks
KR101500922B1 (ko) 적응필터를 이용한 분산 추정방법 및 장치
WO2024007335A1 (zh) 无线通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488610B1 (ko) 인지 무선 기반 2차 네트워크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24050707A1 (en) Communication timing for identifiers
WO2023015479A1 (en) Uplink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with different antenna groups
US20230412292A1 (en) Interference report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based on mixture distributions
WO2023184312A1 (en) Distributed machine learning model configurations
WO2024032607A1 (zh) 帧结构确定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20230247458A1 (en) Reference signal periodicities for multiple sets of beams
US11611403B2 (en) Average environmental channel esti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