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778A - 핑 주기 결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핑 주기 결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778A
KR20140028778A KR1020120095841A KR20120095841A KR20140028778A KR 20140028778 A KR20140028778 A KR 20140028778A KR 1020120095841 A KR1020120095841 A KR 1020120095841A KR 20120095841 A KR20120095841 A KR 20120095841A KR 20140028778 A KR20140028778 A KR 20140028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g
period
ping period
temporary
minim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자
박용석
정한성
최윤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5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8778A/ko
Publication of KR20140028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시(Push)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와 모바일 장치 간의 핑 주기를 단시간 내에 저전력으로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서버 장치와 모바일 장치가 연결될 때, 서버 장치가 모바일 장치에게 주기 결정 정보를 전송하고, 모바일 장치는 주기 결정 정보를 참조하여 최종 핑 주기를 결정한다. 주기 결정 정보는 서버 장치에서 이용하는 핑 주기에 대한 정보로서, 최대 핑 주기, 최소 핑 주기, 평균 핑 주기, 주기 변화값을 포함한다. 주기 결정 정보를 수신한 모바일 장치는 평균 핑 주기부터 점차적으로 주기 변화값만큼 주기를 증감시켜, 최대 핑 주기와 최소 핑 주기 사이에서 모바일 장치의 최종 핑 주기를 결정한다.

Description

핑 주기 결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ING PERIOD}
본 발명은 모바일 장치에서 네트워크 연결 확인에 필요한 데이터 패킷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핑(ping)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핑 주기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장치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특히 무선 음성 통화,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휴대폰은 필수품이 되었다. 모바일 장치 초기에는 단순히 휴대할 수 있고, 무선 통화가 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그 기술이 발달함과 무선 인터넷의 도입에 따라 모바일 장치는 단순한 전화 통화 또는 일정 관리 등의 목적뿐만 아니라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이미지 촬영하거나, 위성 방송의 시청, 게임,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리모컨, 및 사용자의 위치 추적 등의 그 활용범위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모바일 장치 안에 포함된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서버와 비즈니스 모델을 이루어 행해지는 서비스가 급증하고 있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식은 서버에서 내려 주는 데이터를 실시간 수신하는 푸시(Push) 방식이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서버에서 직접 데이터를 가져오는 폴링(Polling) 방식이 있다.
푸시 방식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로부터 실시간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하며, 때문에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통신 채널이 항상 열려 있어야 한다.
그런데 3G/LTE(3 Generation/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Fidelity)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종류에 상관없이 일정시간별로 통신 채널을 닫는 정리 작업이 수행된다. 3G/LTE 일 경우는 사업자 네트워크에서, WIFI 일 경우는 무선 공유기에서 통신 채널에 대한 정리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모바일 장치가 통신 채널이 닫히지 않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
통신 채널 정리는 일정 시간 동안 해당 채널로 데이터 통신 등의 어떤 액션도 취해지지 않았을 때 수행된다. 이에 따라 모바일 장치는 일정 주기로 데이터 패킷을 서버로 전송하며, 이를 핑(ping)이라 한다. 다시 말해, 모바일 장치는 채널이 정리되지 않는 최대의 시간 주기(이하, 핑 주기라고 지칭) 마다 서버로 핑 메시지(Keep alive message라고도 한다)를 보내 채널이 정리되지 않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핑 주기는 모바일 장치 각자가 계산하여 결정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WIFI 네트워크 안에 세 대의 모바일 장치가 있다면, 모바일 장치가 각자가 핑 주기를 계산하여, 적정한 핑 주기를 찾아낸다. 하지만 하나의 네트워크 내에서는 동일한 핑 주기가 사용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국가 코드(Mobile Country Code:MCC)와 이동 네트워크 코드(Mobile Network Code:MNC)가 동일한 네트워크의 경우에도 핑 주기가 동일하다. 하지만, MNC/MCC가 일치하여 유사한 무선 환경에 있는 경우에도 모바일 장치 각각은 개별적으로 핑 주기를 탐색하게 된다. 때문에, 핑 주기를 탐색하기 위해 발생하는 전류소모, 패킷 과금 등의 비용은 단말기 개수에 비례하게 된다.
또한 적정한 핑 주기를 결정하기 위해, 모바일 장치는 무조건 0에 가장 가까운 시간 주기부터 시간 간격을 증가시켜 핑 주기를 찾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핑 주기를 결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단시간 내에 핑 주기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의 연결 상태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모바일 장치의 핑 주기 결정 방법에 있어서, 서버 장치에 연결하는 과정과, 평균 핑 주기를 포함하는 주기 결정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평균 핑 주기를 기준으로 핑 주기 변화값 만큼 주기를 증감하여, 최종 핑 주기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핑 주기 변화값은 상기 주기 결정 정보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최종 핑 주기는 상기 주기 결정 정보에 포함된 최소 핑 주기 이상 값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최종 핑 주기는 상기 주기 결정 정보에 포함된 최대 핑 주기 이하 값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은 핑 주기를 결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고, 단시간 내에 핑 주기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서버의 연결 상태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7 및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 주기 결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푸시(Push)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와 모바일 장치 간의 핑 주기를 단시간 내에 저전력으로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서버 장치와 모바일 장치가 연결될 때, 서버 장치가 모바일 장치에게 주기 결정 정보를 전송하고, 모바일 장치는 주기 결정 정보를 참조하여 최종 핑 주기를 결정한다. 주기 결정 정보는 서버 장치에서 이용하는 핑 주기에 대한 정보로서, 최대 핑 주기, 최소 핑 주기, 평균 핑 주기, 주기 변화값을 포함한다. 주기 결정 정보를 수신한 모바일 장치는 평균 핑 주기부터 점차적으로 주기 변화값만큼 주기를 증감시켜, 최대 핑 주기와 최소 핑 주기 사이에서 모바일 장치의 최종 핑 주기를 결정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서버 장치의 핑 주기는 모바일 장치와 연결된 통신 채널을 통해 그 어떤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하지 않고서도 해당 채널을 유지하는 기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모바일 장치의 핑 주기는 모바일 장치가 서버 장치로 핑 메시지를 송신하는 주기를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푸시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200,300)와,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 장치(100)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에 해당하는 무선 공유기(200)와 모바일 장치(100)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10)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는 서버 장치에 해당하는 이동 통신 기지국(300)과 모바일 장치(100)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20)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일예를 도2에 도시하였고, 모바일 장치(100)의 일예를 도3에 도시하였다.
먼저,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2에서는 무선 공유기(200)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푸시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서버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서버 장치(200)는 핑 관리부(210), 메모리(220), 송수신부(230)를 포함한다.
송수신부(2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핑 관리부(210)의 제어하에, 모바일 장치(100)와 무선 통신 채널을 연결하거나 종료한다. 그리고 통신 채널을 통해 모바일 장치(100)로부터 핑 메시지를 수신하고, 핑 관리부(210)의 제어하에, 핑 응답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100)로 전송한다.
핑 관리부(2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채널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00)와 연결된 통신 채널을 통해 마지막으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간격, 즉, 핑 주기 내에 해당 통신 채널을 이용해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는다면, 핑 관리부(210)는 해당 통신 채널을 종료한다. 핑 주기는 고정적일 수도 있고, 서버 장치(200)가 포함된 무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핑 관리부(210)는 통신 채널 통해 모바일 장치(100)로부터 핑 메시지를 수신하면 핑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230)를 제어한다.
그리고 핑 관리부(2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기 결정 정보를 생성하여 메모리(220)에 저장한다. 주기 결정 정보란 서버 장치(200)에서 지정한 핑 주기에 대한 정보로서, 모바일 장치(100)에서 최종 핑 주기를 결정할 때 기준이 되는 정보이다. 주기 결정 정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최소 핑 주기, 최대 핑 주기, 평균 핑 주기, 핑 주기 변화값을 포함한다. 최소 핑 주기는 모바일 장치(100)의 핑 주기가 가질 수 있는 최소값이고, 최대 핑 주기는 모바일 장치(100)의 핑 주기가 가질 수 있는 최대값이다. 평균 핑 주기는 모바일 장치(100)가 핑 주기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최초에 이용되는 기본 핑 주기 값이다. 핑 주기 변화값은 모바일 장치(100)가 핑 주기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핑 주기를 증감시킬 때 이용하는 값이다. 그리고 핑 관리부(210)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또는 서버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또는 모바일 장치(100)의 종류나 사양에 따라, 최소 핑 주기, 최대 핑 주기, 평균 핑 주기, 핑 주기 변화값을 유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핑 관리부(210)는 모바일 장치(100)의 전력 소모를 고려하여 최소 핑 주기를 결정하거나, 서버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푸시 서비스의 품질을 고려하여 최대 핑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장치(100)의 핑 주기는 서버 장치(200)의 핑 주기에 가장 근접하게 결정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환경에 의해 서버 장치(200)의 핑 주기가 짧은 경우, 모바일 장치(100)의 핑 주기 또한 짧게 결정된다. 이에 따라, 잦은 네트워크 통신으로 인해 모바일 장치(100)의 소모전류가 높아 질 수 있다.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핑 관리부(210)는 모바일 장치(100)의 지나친 전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최소 핑 주기를 적정하게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핑 관리부(210)는 서버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푸시 서비스의 품질을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하기 위해, 모바일 장치(100)의 핑 주기가 특정 기간 보다 길게 설정되지 않도록 최대 핑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바일 장치(100)가 핑 주기를 결정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거나, 보다 서버 장치(200)의 핑 주기에 근접하게 모바일 장치(100)의 핑 주기가 결정되게 하기 위해 핑 관리부(210)는 핑 주기 변화값을 조정할 수 있다.
핑 관리부(210)는 모바일 장치(100)와 채널을 연결할 때 주기 결정 정보를 모바일 장치(100)로 제공한다. 그리고 핑 관리부(2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장치(100)와 채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네트워크 환경이나 또는 다른 요인으로 인해 주기 결정 정보가 변경될 때 마다 주기 결정 정보를 모바일 장치(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3을 참조하면, 장치(100)는 서브통신 모듈(130), 커넥터(165), 및 이어폰 연결잭(167)과 같은 외부 장치 연결부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상기 장치(100)에 탈착되어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이어폰(Earphone), 외부 스피커(External speaker),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충전기, 크래들/도크(Cradle/Dock), DMB 안테나, 모바일 결제 관련 장치, 건강 관리 장치(혈당계 등), 게임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무선으로 상기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와 같은 근거리 통신 장치, 및 WiFi Direct 통신 장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다른 장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데스크탑 PC,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장치(100)는 표시부(19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또한,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부(19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가 각각 터치스크린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어부(110)는 CPU(111),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51) 또는 제2 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 플래시(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상기 장치(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상기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는 인접(예,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의 간격이 1 cm 보다 크고, 8 cm 보다는 작은)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16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터치스크린(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상기 장치(100)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10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거나, 상기 전원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는 이어폰(도시되지 아니함)이 삽입되어 상기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장치(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장치(100)의 동작(예, 장치(100)의 회전, 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도시되지 아니함),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장치(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 검출가능한 간격이 1 mm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에서 검출가능한 간격은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의한 터치 이벤트와, 비접촉 상태로의 입력(예컨대, 호버링(Hovering)) 이벤트를 구분하여 검출 가능하도록, 상기 터치 이벤트와 호버링 이벤트에 의해 검출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이 다르게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 터치스크린(190)은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터치스크린(19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검출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다르게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터치스크린(190)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거리 값을 디지털 신호(예컨대, Z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을 동시에 입력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의 터치나 근접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서로 다른 출력값을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에 제공하고,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에서 입력되는 값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여,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입력이 사용자의 신체에 의한 입력인지,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핑 주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핑 주기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120) 또는 서브 통신 모듈(130)을 제어하여, 핑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한 도2의 예에서는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200)를 무선 공유기(200)로 가정하였기 때문에, 모바일 장치(100)는 서브 통신 모듈(130)을 통해 서버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연결한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서브 통신 모듈(130)을 통해 주기 결정 정보를 수신하고, 서브 통신 모듈(130)을 이용해 핑 주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핑 주기를 서브 통신 모듈(130)을 통한 통신에 적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장치(100)가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푸시 서비스를 제공받는 다면, 이동 통신 모듈(120)을 통해 해당 서버 장치(300)와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이동 통신 모듈(120)을 통해 주기 결정 정보를 수신하고, 이동 통신 모듈(120)을 이용해 핑 주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핑 주기를 이동 통신 모듈(120)을 통한 통신에 적용할 것이다.
하지만, 어떠한 네트워크에 접속하더라도, 주기 결정 정보를 기준으로 핑 주기를 결정하는 과정은 유사하기 때문에,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서버 장치(200)가 무선 공유기(200)인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10)는 서버 장치(200)로부터 주기 결정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저장부(175)에 저장한다. 그리고 주기 결정 정보에 포함된 최대 핑 주기, 최소 핑 주기, 평균 핑 주기, 핑 주기 변화값을 이용하여 핑 주기를 결정한다.
제어부(110)가 핑 주기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바일 장치(100)가 서버 장치(200)로부터 푸시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한 통신 채널을 서버 장치(200)와 연결 연결하게 되면, 제어부(110)는 301단계에서 서버 장치(200)로부터 주기 결정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303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최초 핑 메시지를 서버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버 장치(200)가 핑 메시지를 수신하면, 핑 응답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100)로 전송한다. 모바일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핑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305단계로 진행한다.
305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임시 핑 주기를 주기 결정 정보에 포함된 평균 핑 주기로 설정한다. 이후, 제어부(110)는 307단계에서 평균 핑 주기만큼 시간이 흘러 핑 메시지 전송 시점이 도래했는지 확인하고, 핑 메시지 전송 시점이 되면 309단계에서 핑 메시지를 서버 장치(200)로 전송한다.
서버 장치(200)의 핑 관리부(210)는 모바일 장치(100)와 마지막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서버 장치(200)의 핑 주기 내에 모바일 장치(100)로부터 핑 메시지가 수신되면 핑 응답 메시지를 모바일 장치(100)로 전송한다. 하지만, 서버 장치(200)의 핑 주기 내에 모바일 장치(100)로부터 핑 메시지 또는 다른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으면 모바일 장치(100)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을 종료한다.
이에 따라, 311단계에서 모바일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핑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하여, 수신되면 A단계로 진행하여, 도5의 313단계를 수행한다.
도5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핑 응답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기 때문에, 313단계에서 현재의 임시 핑 주기 값을 유효 핑 주기로서 저장부(175)에 저장한다.
그리고 315단계에서 임시 핑 주기가 주기 결정 정보에 포함된 최대 핑 주기와 동일한지 확인한다. 확인 결과 임시 핑 주기가 최대 핑 주기와 동일하면 329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저장부(175)에 저장된 유효 핑 주기를 최종 핑 주기로 확정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10)는 지금의 핑 주기가 최대 핑 주기인 경우 더 이상의 핑 주기 결정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최대 핑 주기를 최종적인 핑 주기로 설정한다.
한편, 315단계의 확인 결과, 임시 핑 주기가 최대 핑 주기와 동일하지 않으면 317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110)는 임시 핑 주기를 핑 주기 변화값만큼 증가 시킨다. 그리고 319단계에서 임시 핑 주기가 최대 핑 주기보다 큰지 확인한다. 즉, 핑 주기 변화값만큼 증가된 임시 핑 주기가 최대 핑 주기보다 큰지 확인하는 것이다. 확인 결과, 임시 핑 주기가 최대 핑 주기 이하이면 제어부(110)는 323단계로 진행한다. 하지만, 임시 핑 주기가 최대 핑 주기보다 크면 제어부(110)는 321단계로 진행하여 임시 핑 주기를 최대 핑 주기로 설정하고, 323단계로 진행한다. 이는 모바일 장치(100)가 최대 핑 주기보다 큰 핑 주기를 이용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323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서버 장치(200)와 마지막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임시 핑 주기만큼 시간이 흘러 핑 메시지 전송 시점이 도래했는지 확인하여, 핑 메시지 전송 시점이 되었으면, 325단계로 진행하여 핑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327단계에서 서버 장치(200)로부터 핑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하여, 수신되면 상기 313단계로 진행하여, 지금의 임시 핑 주기를 유효 핑 주기로 저장한 뒤 상기한 315단계 내지 327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다시 말해, 핑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었다는 것은 현재의 임시 핑 주기가 서버 장치(200)의 핑 주기보다 짧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좀더 서버 장치(200)의 핑 주기에 근접한 핑 주기를 찾기 위해 상기한 315단계 내지 327단계를 반복수행하는 것이다.
하지만, 핑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제어부(110)는 현재 저장부(175)에 저장된 유효 핑 주기, 즉, 313단계에서 저장한 유효 핑 주기를 최종 핑 주기로 확정한다. 핑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다는 것은 현재의 임시 핑 주기, 즉, 317단계 또는 321단계에서 설정한 임시 핑 주기가 서버 장치(200)의 핑 주기보다 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마지막으로 핑 응답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임시 핑 주기가 서버 장치(200)의 핑 주기에 가장 근접한 값이 될 것이다. 때문에, 제어부(110)는 저장부(175)에 저장된 유효 핑 주기를 최종 핑 주기로 확정하고, 핑 주기 결정 과정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한 311단계에서, 즉, 서버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연결한 후, 평균 핑 주기를 이용하여 송신한 핑 메시지에 대항 핑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B단계로 진행하여, 도6의 401단계를 수행한다.
핑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은, 서버 장치(200)와 연결이 끊어졌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401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서버 장치와 재연결을 시도한다.
서버 장치(200)는 모바일 장치(100)와 재연결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시 주기 결정 정보를 모바일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장치(100)와 연결이 단절된 기간이 특정 값보다 긴 경우에 주기 결정 정보를 모바일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장치(100)는 주기 결정 정보를 재수신하게 되면, 재수신된 주기 결정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동작을 수행하고, 만약, 주기 결정 정보를 재수신하지 않으면, 기존의 주기 결정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311단계에서, 모바일 장치(100)가 핑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했다는 것은, 상기 305단계에서 설정한 임시 핑 주기, 즉, 평균 핑 주기가 서버 장치(200)의 핑 주기보다 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403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임시 핑 주기를 핑 주기 변화값만큼 감소시키고, 감소된 임시 핑 주기만큼 시간이 흘러 핑 메시지 전송 시점이 되는지 405단계에서 확인한다.
핑 메시지 전송 시점이 되면, 제어부(110)는 407단계에서 핑 메시지를 전송하고, 409단계에서 핑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한다. 그리고 핑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417단계로 진행하여 임시 핑 주기가 최소 핑 주기보다 작은지 확인한다. 확인 결과, 임시 핑 주기가 최소 핑 주기 이상이면, 421단계로 진행하여 임시 핑 주기를 최종 핑 주기로 확정한다. 만약, 임시 핑 주기가 최소 핑 주기보다 작으면 419단계로 진행하여, 최소 핑 주기를 임시 핑 주기로 설정한 후 421단계에서 이를 최종 핑 주기로 확정한다.
한편, 핑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411단계에서 현재의 임시 핑 주기가 주기 결정 정보에 포함된 최소 핑 주기와 동일한지 확인하여, 동일하면 421단계로 진행하여, 최소 핑 주기를 최종 핑 주기로 확정한다. 즉, 핑 응답 메시지 수신에 실패하더라도, 제어부(110)는 서버 장치(200)가 지정한 최소 핑 주기보다 작은 핑 주기를 모바일 장치(100)에 설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411단계에서, 임시 핑 주기와 최소 핑 주기가 동일하지 않으면, 413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임시 핑 주기를 핑 주기 변화값만큼 감소시키고, 415단계로 진행한다. 415단계에서 제어부(110)는 감소된 임시 핑 주기가 최소 핑 주기보다 작은지 확인하여, 작으면 419단계로 진행하여 최소 핑 주기를 임시 핑 주기로 설정한 후 상기한 421단계에서 이를 최종 핑 주기로 확정한다.
그러나 415단계에서 제어부(110)는 감소된 임시 핑 주기가 최소 핑 주기보다 크다면, 현재의 임시 핑 주기가 서버 장치(200)의 핑 주기 및 최소 핑 주기보다 길다는 것이고, 이에 따라 상기한 401단계 내지 419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 장치는 핑 주기를 결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핑 주기 탐색을 시작하는 시작점에 대한 신뢰할 만한 정보를 서버 장치로부터 받기 때문에 핑 주기를 보다 더 빨리 찾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장치가 핑 주기를 찾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 예를 들어, 전류소모, 패킷 과금 등에 대한 절감이 가능하다. 그리고 모바일 장치가 핑 주기를 빨리 결정함에 따라, 서버 장치와의 연결 안정화도 빨리 이루어 져서 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가 핑 주기를 결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핑 주기의 최소 값을 서버 장치를 통해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서버 장치의 핑 주기가 짧은 네트워크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 장치의 핑 주기가 짧을 경우 잦은 네트워크 통신으로 인해 모바일 장치의 소모전류가 높아지는데, 서버 장치를 통해 모바일 장치의 핑 주기의 최소값을 제어할 수 있어 무선 단말기의 소모전류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장치가 핑 주기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모바일 장치의 최대 핑 주기를 서버 장치가 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서버 장치의 핑 주기가 긴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푸시 서비스 품질을 위하여 모바일 장치의 핑 주기를 특정 시간 이하로 설정하고 싶을 경우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모바일 장치가 핑 주기를 찾는 과정에서, 핑 주기 변화값을 서버 장치가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서버 장치가 핑 주기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버 장치의 핑 주기가 15분인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평균 핑 주기를 8분으로 하고, 핑 주기 변화값을 4분으로 할 경우, 네 번째 스텝에서 모바일 장치는 최종 핑 주기를 12분으로 결정한다. 하지만, 도7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버 장치의 핑 주기가 15분인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평균 핑 주기를 8분으로 하고, 핑 주기 변화값을 1분으로 할 경우, 10 번째 스텝에서 모바일 장치는 최종 핑 주기를 15분으로 결정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주기 결정 정보가 평균 핑 주기와, 최대 핑 주기와, 최소 핑 주기와, 핑 주기 변화값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주기 결정 정보가 평균 핑 주기만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바일 장치는 핑 주기를 결정하기 위해 평균 핑 주기를 임시 핑 주기로 설정한 후, 모 바일 장치에 저장된 핑 주기 변화값만큼 임시 핑 주기를 변화시켜 최종 핑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최대 핑 주기와, 최소 핑 주기가 지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서버 장치의 핑 주기에 가장 근접한 핑 주기가 탐색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기 결정 정보가 평균 핑 주기와, 핑 주기 변화값만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주기 결정 정보가 평균 핑 주기와, 핑 주기 변화값을 포함하고, 최대 핑 주기와 최소 핑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Claims (20)

  1. 모바일 장치의 핑 주기 결정 방법에 있어서,
    서버 장치에 연결하는 과정과,
    평균 핑 주기를 포함하는 주기 결정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평균 핑 주기를 기준으로 핑 주기 변화값만큼 주기를 증감하여, 최종 핑 주기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핑 주기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 주기 변화값은 상기 주기 결정 정보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핑 주기 결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핑 주기는 상기 주기 결정 정보에 포함된 최소 핑 주기 이상 값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핑 주기 결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핑 주기는 상기 주기 결정 정보에 포함된 최대 핑 주기 이하 값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핑 주기 결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핑 주기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평균 핑 주기를 제1임시 핑 주기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임시 핑 주기에 따른 핑 메시지 전송 시점에 제1핑 메시지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핑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1핑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임시 핑 주기와 상기 최대 핑 주기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제1핑 주기와 상기 최대 핑 주기가 동일하면, 상기 제1임시 핑 주기를 상기 최종 핑 주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핑 주기 결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핑 주기와 상기 최대 핑 주기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제1임시 핑 주기를 상기 핑 주기 변화값만큼 증가시킨 제2임시 핑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임시 핑 주기가 상기 최대 핑 주기보다 크면, 상기 최대 핑 주기를 상기 최종 핑 주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핑 주기 결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임시 핑 주기가 상기 최대 핑 주기보다 작으면, 상기 제2임시 핑 주기에 따라 제2핑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핑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2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핑 주기를 최종 핑 주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핑 주기 결정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핑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 장치와 재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1임시 핑 주기를 상기 핑 주기 변화값만큼 감소시킨 제3임시 핑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3임시 핑 주기에 따라 제3핑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3핑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3응답 메시지가 수신되고, 상기 제3임시 핑 주기가 상기 최소 핑 주기 이상이면, 상기 제3임시 핑 주기를 상기 최종 핑 주기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3응답 메시지가 수신되고, 상기 제3임시 핑 주기가 상기 최소 핑 주기보다 작으면, 상기 최소 핑 주기를 상기 최종 핑 주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핑 주기 결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고, 상기 제3임시 핑 주기가 상기 최소 핑 주기와 동일하면 상기 최소 핑 주기를 상기 최종 핑 주기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핑 주기 결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고, 상기 제3이시 핑 주기가 상기 최소 핑 주기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제3임시 핑 주기를 상기 핑 주기 변화값만큼 감소시킨 제4임시 핑 주기와 상기 최소 핑 주기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제4임시 핑 주기가 상기 최소 핑 주기보다 작으면, 상기 최소 핑 주기를 상기 최종 핑 주기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4임시 핑 주기가 상기 최소 핑 주기 이상이면, 상기 제4임시 핑 주기에 따른 핑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핑 주기 결정 방법.
  11. 모바일 장치에 있어서,
    서버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버 장치에 연결하고, 평균 핑 주기를 포함하는 주기 결정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평균 핑 주기를 기준으로 핑 주기 변화값만큼 주기를 증감하여, 최종 핑 주기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주기 결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핑 주기 변화값은 상기 주기 결정 정보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핑 주기는 상기 주기 결정 정보에 포함된 최소 핑 주기 이상 값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핑 주기는 상기 주기 결정 정보에 포함된 최대 핑 주기 이하 값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종 핑 주기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평균 핑 주기를 제1임시 핑 주기로 설정하고, 상기 제1임시 핑 주기에 따른 핑 메시지 전송 시점에 제1핑 메시지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핑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1핑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임시 핑 주기와 상기 최대 핑 주기를 비교하고, 상기 제1핑 주기와 상기 최대 핑 주기가 동일하면, 상기 제1임시 핑 주기를 상기 최종 핑 주기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핑 주기와 상기 최대 핑 주기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제1임시 핑 주기를 상기 핑 주기 변화값만큼 증가시킨 제2임시 핑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제2임시 핑 주기가 상기 최대 핑 주기보다 크면, 상기 최대 핑 주기를 상기 최종 핑 주기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임시 핑 주기가 상기 최대 핑 주기보다 작으면, 상기 제2임시 핑 주기에 따라 제2핑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2핑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2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핑 주기를 최종 핑 주기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핑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 장치와 재연결하고, 상기 제1임시 핑 주기를 상기 핑 주기 변화값만큼 감소시킨 제3임시 핑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제3임시 핑 주기에 따라 제3핑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3핑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3응답 메시지가 수신되고, 상기 제3임시 핑 주기가 상기 최소 핑 주기 이상이면, 상기 제3임시 핑 주기를 상기 최종 핑 주기로 결정하고, 상기 제3응답 메시지가 수신되고, 상기 제3임시 핑 주기가 상기 최소 핑 주기보다 작으면, 상기 최소 핑 주기를 상기 최종 핑 주기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고, 상기 제3임시 핑 주기가 상기 최소 핑 주기와 동일하면 상기 최소 핑 주기를 상기 최종 핑 주기로 확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고, 상기 제3이시 핑 주기가 상기 최소 핑 주기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제3임시 핑 주기를 상기 핑 주기 변화값만큼 감소시킨 제4임시 핑 주기와 상기 최소 핑 주기를 비교하고, 상기 제4임시 핑 주기가 상기 최소 핑 주기보다 작으면, 상기 최소 핑 주기를 상기 최종 핑 주기로 결정하고, 상기 제4임시 핑 주기가 상기 최소 핑 주기 이상이면, 상기 제4임시 핑 주기에 따른 핑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KR1020120095841A 2012-08-30 2012-08-30 핑 주기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140028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841A KR20140028778A (ko) 2012-08-30 2012-08-30 핑 주기 결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841A KR20140028778A (ko) 2012-08-30 2012-08-30 핑 주기 결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778A true KR20140028778A (ko) 2014-03-10

Family

ID=5064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841A KR20140028778A (ko) 2012-08-30 2012-08-30 핑 주기 결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87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4237B2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cooperation of multiple intelligent devices with social application platform
CN110622123B (zh) 一种显示方法及装置
JP5916261B2 (ja) ファイル送信方法、システム、および制御装置
KR101945779B1 (ko) 웨이크 온 무선랜을 운용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9184016A1 (zh) Sim卡鉴权方法及终端
CN107888765B (zh) 一种切换场景模式的方法、移动终端
CN104618854A (zh) 共享位置信息的方法、终端及服务器
US98265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mobile terminal
US93296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key input
CN108834013B (zh) 一种可穿戴设备电量均衡方法及相关产品
CN108551525B (zh) 一种移动轨迹的状态确定方法和移动终端
CN109495769B (zh) 视频通信方法、终端、智能电视、服务器及存储介质
EP2712243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ett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eriod
JP2018503150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のポイント報告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9015562A1 (zh) 全视觉导航定位方法、智能终端及存储装置
CN110072295B (zh) 双通道通信方法、装置、第一终端及介质
US101463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9867010B2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s
US103728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curity environment
CN108432160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基于声音信号发送和接收数据的设备和方法
KR2015010653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1913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0012146B (zh) 一种通信共享方法及终端
CN108700429B (zh) 运动记录的方法及电子设备
KR20140028778A (ko) 핑 주기 결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