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383A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383A
KR20140028383A KR1020120094502A KR20120094502A KR20140028383A KR 20140028383 A KR20140028383 A KR 20140028383A KR 1020120094502 A KR1020120094502 A KR 1020120094502A KR 20120094502 A KR20120094502 A KR 20120094502A KR 20140028383 A KR20140028383 A KR 20140028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application window
window
user
titl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5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강태
김은영
김철주
선광원
김덕현
이재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4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8383A/en
Priority to PCT/KR2013/007695 priority patent/WO2014035123A1/en
Publication of KR20140028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3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user terminal apparatus is disclosed. The user terminal apparatus comprises: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n application window on a screen; a user interface unit which receives an input of a user command;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o ensure that a title area is displayed on one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when a first user command for displaying the title area on the application window is inputted and that the title area automatically disappears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Reference numerals] (110) Display unit; (120) User interface unit; (133) Main CPU; (134) Graphics processing unit; (135-1) First interface; (135-n) n^th interface; (140) Storage unit; (150) Application driving unit; (160) Feedback providing unit; (171) Wi-fi chip; (172) Bluetooth chip; (173) Wireless communications chip; (180) Audio processing unit; (185) Video processing unit; (190) Speaker; (191) Button; (192) USB port; (193) Camera; (194) Microphone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OL METHOD THEREOF }[0001]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기반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termina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based user termina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TV, 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일반 가정으로까지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are being developed due to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In particular, display devices such as a TV, a PC,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nd the like are widely used in most homes.

최근에는 더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기 위하여, 태블릿 PC, 휴대폰과 같은 휴대 단말에서도 PC 등과 같이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하는 멀티 태스킹 환경을 지원하고 있다. Recently,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users who want newer and more diverse functions, portable terminals such as tablet PCs and mobile phones support a multitasking environment that simultaneously executes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uch as PCs.

이러한 멀티 태스킹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사용자의 니즈에 부합하도록 적절하게 제공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In such a multitasking environment,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properly providing an application window to meet a user's needs.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태스킹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사용자의 니즈에 부합하도록 자동으로 조정하여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need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termina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nd providing an application window to meet a user's needs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화면 상에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 상에 타이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타이틀 영역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일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타이틀 영역이 자동으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ser terminal devic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application window on the screen,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and a title area on the application window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the title area on one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when a first user command for display is input and to automatically disappear the title area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타이틀 영역의 디스플레이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event may be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display time point of the title area.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가 상기 화면의 전체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타이틀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display the title area when the first user command is input while the application window is displayed on the entire area of the screen.

이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기설정된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조작이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user command may be a user operation of touch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일 영역은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인접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Here, one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may be an area adjacent to the predetermined area.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에 상기 타이틀 영역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타이틀 영역을 조작하는 제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멀티 윈도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enter a multi-window mode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windows on the screen when a second user command for manipulating the title area is input while the title area is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window.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기설정된 크기로 축소하고, 상기 축소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일 영역 상에 타이틀 영역이 고정적으로 포함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reduce the application window to a predetermined size in the multi-window mode and display the title area on a fixed area of the reduced application window.

이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명령은, 상기 타이틀 영역에 대한 터치 조작이 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user command may be a touch operation on the title area.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더블 탭 조작 또는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앤 플릭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멀티 윈도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double tap operation on a preset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or a touch and flick operation on the preset area is input,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enter a multi window mode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windows on the screen. have.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터치 기반의 이동 단말이 될 수 있다. Here, the user terminal device may be a touch-based mobile terminal.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화면 상에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 상에 타이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사용자 명령을 입력되면, 상기 타이틀 영역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일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타이틀 영역이 자동으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step of displaying an application window on the screen, a first user command for displaying a title area on the application window, the title area; Displaying on one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and controlling the title area to automatically disappear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타이틀 영역의 디스플레이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Here, the predetermined event may be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display time point of the title area.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가 상기 화면의 전체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타이틀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displaying may include displaying the title area when the first user command is input while the application window is displayed on the entire area of the screen.

이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기설정된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조작이 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user command may be a user operation of touch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일 영역은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인접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Here, one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may be an area adjacent to the predetermined area.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에 상기 타이틀 영역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타이틀 영역을 조작하는 제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멀티 윈도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trolling to enter a multi-window mode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windows on the screen when a second user command for operating the title area is input while the title area is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window.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기설정된 크기로 축소하고, 상기 축소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일 영역 상에 타이틀 영역이 고정적으로 포함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ducing the application window to a predetermined size in the multi-window mode, and displaying the title area on a region of the reduced application window to be fixed.

여기서, 상기 제2 사용자 명령은, 상기 타이틀 영역에 대한 터치 조작이 될 수 있다. Here, the second user command may be a touch operation on the title area.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더블 탭 조작 또는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앤 플릭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멀티 윈도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trolling to enter a multi-window mode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windows on the screen when a double tap operation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or a touch and flick operation on the predetermined area is input. It may further include.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터치 기반의 이동 단말이 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device may be a touch-based mobile terminal.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 태스킹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age the display space of the application window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저장부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멀티 윈도우 모드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멀티 윈도우 모드 및 일반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 디스플레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에서 타이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illustrated in FIG. 1.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oftware configur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displaying an application supporting a multi-window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window display form when an application is executed in a multi-window mode and a normal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moving an application window in a multi-window mod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FIG.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adjusting an application window size in a multi-window mod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8 to 10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method of displaying a title area in an application window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1 (a)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태블릿 PC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 PMP, PDA,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터치스크린을 내장하고 있어, 손가락 또는 펜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A,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ablet P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portable and have a display function, such as a mobile phone such as a smartphone, a PMP, a PDA, and a navigation device.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devices. In addition, sinc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has a built-in touch scre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to execute a program using a finger or a pen.

특히, 본 발명의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일 구현 예인 태블릿 PC는 PDA의 휴대성과 노트북의 기능을 합쳐놓은 장치로, 데스크톱(desktop)의 기능을 가지면서도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 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이지만 기존 키보드나 마우스를 연결해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태블릿 PC는 사용자가 쓴 필체를 그대로 인식해 데이터로 저장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tablet PC,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combines the portability of a PDA and the function of a notebook computer, and can use a wireless Internet while having a function of a desktop. The device is a touch screen, but you can also connect it to an existing keyboard or mouse. In addition, the tablet PC may have a function of recognizing a handwriting written by a user as it is and storing it as data.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멀티 태스킹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멀티 태스킹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Meanwhil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provide a multitasking environment in which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executed simultaneously to perform a task. 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n application window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1 (b)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1 (b),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10, a user interface unit 120, and a control unit 130.

디스플레이부(110)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a screen. Here, the screen may include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including various objects such as an image, a moving picture, a text, etc.,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screen, and the like.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즉,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동시에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표시 모드를 이하에서는 멀티 윈도우 모드라 명명하도록 한다. In particular, the display 110 may simultaneously display a plurality of application execution screens, that is, a plurality of application windows on the screen. This screen display mode will be referred to as multi-window mode below.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는 위치 이동, 크기 조정, 핀업 기능 등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는 해당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타이틀 영역(또는 타이틀 바)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이틀 영역에는 최대화 버튼, 종료 버튼, 핀업(pin-up) 버튼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버튼에 대한 조작을 통해 윈도우 최대화 명령, 윈도우 종료 명령, 윈도우 핀업 명령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는 위치 이동 및 크기 조정이 용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의 전체 화면 영역 중 일부 영역을 차지하는 작은 크기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 해당 윈도우 모드를 미니 모드라 명명하도록 한다. The application window provided in the multi-window mode may be provided in a form capable of moving a position, resizing, and pinup. To this end, the application window may include a title area (or title bar) including a menu item for providing a corresponding function. In detail, the title area may include a maximize button, an end button, a pin-up button, and the like. Accordingly, a window maximization command, a window termination command, a window pin up command, and the like can be input through operation of each button. 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window provided in the multi-window mode may be implemented to have a small size that occupies a portion of the entire screen area of the display 110 to facilitate position movement and resizing. Name it.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화면 전체 영역에 최대화된 크기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표시 모드를 이하에서는 일반 모드라 명명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일반 모드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는 사용자에게 가능한 넓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타이틀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일반 모드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전체 화면 영역을 차지하는 최대화된 크기를 갖는다는 점에서, 이하에서 최대화 모드라 명명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display 110 may display one application window in a maximized size on the entire screen area. This screen display mode will be described below as a general mode. The application window provided in the normal mode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does not include a title area in order to provide a wid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to the user. 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window provided in the normal mode has a maximized size occupying the entire screen area of the display 110, it will be referred to as a maximized mode in the following.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은 출력 장치 이외에 후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110 may be implemented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11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having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a touch pa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10 can be used as the user interface unit 120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Here, the touch screen can be configured to detect the touch input pressure as well as the touch input position and area.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The user interface unit 120 receives various user commands.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어플리케이션 윈도우 상에 타이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user interface 120 may receive a user command for displaying a title area on an application window.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어플리케이션 윈도우가 화면 전체 영역을 차지하는 최대화 모드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 상에 타이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기설정된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조작, 특히 원 탭(one-tap) 조작, 플릭(filck) 조작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영역은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최상단 영역에 마련된 정보 표시 영역(또는 메뉴 표시 영역)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detail, the user interface 120 may receive a user command for displaying a title area on the application window while the application window is displayed in a maximized mode occupying the entire screen area. The user command may be a user operation of touch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in particular, a one-tap operation, a flick operation, or the like. The preset area may be, for example, an information display area (or a menu display area) provided in an uppermost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어플리케이션 윈도우가 최대화된 상태에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타이틀 영역에는 윈도우를 미니 모드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 버튼, 및 윈도우를 종료하기 위한 종료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이틀 영역 중 버튼이 마련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한 터치 조작 뿐 아니라, 타이틀 영역에 마련된 복원 버튼에 대한 터치 조작을 통해 최대화 모드를 미니 모드로 복원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Meanwhile, a restoration button for restoring the window to the mini mode and an end button for terminating the window may be provided in the title area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while the application window is maximized. That is, as described above, a user command for restoring the maximized mode to the mini mode may be input not only through the touch operation on the area except the button area of the title area but also by the touch operation on the restore button provided in the title area. have.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에 타이틀 영역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크기를 기설정된 크기로 축소된 미니 모드로 복원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타이틀 영역 중 버튼이 마련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한 터치 조작, 타이틀 영역에 마련된 윈도우 복귀 버튼에 대한 터치 조작 등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120 may receive a user command for restoring the size of the application window to a mini mode reduced to a preset size while the title area is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window. Here, the user command may be a touch operation on an area excluding a button area among the title areas, a touch operation on a window return button provided on the title area, and the like.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어플리케이션 윈도우가 최대화된 상태이며, 타이틀 영역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상태에서 윈도우를 미니 모드로 복원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정보 표시 영역에 대한 투 탭(two-tap) 조작, 플릭 다운(filck-down) 조작 등이 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120 may receive an input of a user command for restoring the window to the mini mode while the application window is maximized and the title area is not displayed. Here, the user command may be a two-tap operation, a flick-down operation, or the like for the information display area.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핀업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핍업 명령은 핍업 버튼에 대한 탭 조작을 통한 핀 업 ON/OFF로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핀업 ON 시에는 어플리케이션 윈도우가 고정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되고, 핀업 OFF 시에는 위치 이동 및 크기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120 may receive a user command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application window in the multi-window mode, a user command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application window, a user command for pinup the application window, and the like. Here, the pip up command may be implemented to operate as pin up ON / OFF through a tap operation on the pip up button. That is, when the pinup is ON, the application window is displayed in a fixed state, and when the pinup is OFF, the application window may be moved and resized.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특히,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윈도우 상에 타이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타이틀 영역을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일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타이틀 영역이 자동으로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o display the title area on one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when the user command for displaying the title area is input on the application window and to automatically disappear the title area when a preset event occurs. can do. Here, the predetermined event may be an event for which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서,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윈도우가 최대화 모드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최대화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타이틀 영역에는 미니 모드와 달리 미니 모드로 복귀하기 위한 복귀 버튼 및 윈도우를 종료하기 위한 종료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controller 130 may receive a corresponding user command while the application window is displayed in the maximized mode. In this case, unlike the mini mode, the title area displayed in the maximized mode may be provided with a return button for returning to the mini mode and an end button for terminating the window.

한편, 타이틀 영역은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최상단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최상단 영역에 마련된 정보 표시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정보 표시 영역의 인접한 상부 영역에 타이틀 영역이 표시되고,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 해당 타이틀 영역이 자동으로 사라질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은 예를 들어 3초 이내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eanwhile, the title area may be displayed in the uppermost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For example, when a user operation of touching an information display area provided in the uppermost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is input, the title area is displayed in an adjacent upper area of the information display area, and the title area may automatically disappear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have. Here, the preset time may be, for example, within 3 second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에 타이틀 영역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타이틀 영역을 조작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화면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멀티 윈도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타이틀 영역을 플릭 특히, 플릭 다운하는 조작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탭( one - tap ) 조작, 드래그( drag ) 조작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a user command for manipulating the title area is input while the title area is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window,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o enter a multi-window mode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windows on the screen. It is also possible to be implemented with - (one tap) operation, the drag (drag) operation, where a user command for Title area flick in particular, but may be an operation for flicking down, not limited to this tab.

또한, 제어부(130)는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가 기설정된 크기로 축소된 미니 모드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니 윈도우의 일 영역 상에 타이틀 영역이 고정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윈도우가 전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최대화 모드에서는 기본적으로 타이틀 영역이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타이틀 영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지만,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는 기본적으로 타이틀 영역이 고정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application window to be displayed in the mini mode in which the application window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size in the multi-window mode. In this case, the title area may be fixedly displayed on one area of the mini window. That is, in the maximized mode in which the application window is displayed on the full screen, the title area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a user command without displaying the title area by default, but in the multi-window mode, the title area is fixed and displayed by default. Can be.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윈도우가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 즉 최대화 모드에서 사용자 명령에 따라 타이틀 영역이 디스플레이되고, 자동으로 사라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구현 방법에 따라 미니 윈도우 형태에서도 해당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itle area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in the state where the application window is displayed on the full screen, that is, in the maximize mode, and disappears automatical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the corresponding technology may be applied in the form of a mini window.

또한, 제어부(130)는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위치 이동 및 크기 조정을 가이드하이 위한 가이드 G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가이드 GUI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에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o display a guide GUI for guiding the movement and resizing of the application window according to a user command in the multi-window mod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o provide haptic feedback to the area where the guide GUI is displayed.

또한, 제어부(130)는 멀티 윈도우 모드 및 일반 모드 실행을 위한 다양한 메뉴 아이템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provide various menu items for executing the multi window mode and the normal mod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50), 피드백 제공부(160), 통신부(170), 오디오 처리부(180), 비디오 처리부(185), 스피커(190), 버튼(191), USB 포트(192), 카메라(193), 마이크(194)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user terminal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2, 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10, a user interface unit 120, a controller 130, a storage unit 140, an application driver 150, a feedback unit 160, An audio processing unit 180, a video processing unit 185, a speaker 190, a button 191, a USB port 192, a camera 193, and a microphone 194. Details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that overlap with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will be omitted.

상술한 제어부(130)의 동작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40)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입력되거나 설정되는 각종 데이터, 컨텐츠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4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은 그 특성에 따라 멀티 윈도우 모드 지원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과 지원이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30 may be performed by a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various data such as an operating system (O / S) software module for driving the user terminal 100, various applications, various data to be input or set during application execution, contents, and the like. In particular,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storage 140 may be classified into an applicat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multi-window mode and an application that cannot be supported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또한, 저장부(140)는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화면 상에 배치하기 위한 레이아웃을 기정의한 다양한 형태의 템플릿을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140 may store various types of templates defining a layout for dispos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windows on the screen in the multi-window mode.

그 밖에,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도 3을 참고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In addition, various software modules stored in the storage 14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5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제공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 및 실행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이란 스스로 실행가능한 응용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라는 용어는 텍스트, 오디오, 정지 영상, 애니메이션, 비디오, 및 인터랙티브(Interactivity) 컨텐츠,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로부터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컨텐츠, 사용자들로부터 수신된 전자 메시지, 현재 이벤트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application driving unit 150 functions to drive and execute an application that can be provid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Here, the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by itself, and can include various multimedia contents. Here, the term 'multimedia contents' includes text, audio, still images, animation, video, and interactive content,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content from a content provider, ,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event,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피드백 제공부(16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기능에 따라 따라 다양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The feedback providing unit 160 functions to provide various feedbacks according to a function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

특히, 피드백 제공부(160)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GUI에 대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이라 함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진동이나 힘, 충격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촉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기술로서, 컴퓨터 촉각 기술이라고도 한다.In particular, the feedback providing unit 160 may provide haptic feedback to the GUI displayed on the screen. Here, the haptic feedback is referred to as a computer haptic technique, which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the user to feel the touch of the user by generating vibration, force, or shock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구체적으로, 피드백 제공부(160)는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위치 이동 및 크기 조정을 가이드하이 위한 가이드 GUI가 디스플레이되면, 해당 가이드 GUI에 대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eedback provider 160 may provide haptic feedback for the guide GUI when the guide GUI for guiding the movement and size adjustment of the application window is displayed according to a user command in the multi-window mode.

이 경우, 피드백 제공부(16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진동 조건(예를 들어, 진동 주파수, 진동 길이, 진동 강도, 진동 파형 , 진동 위치 등)을 상이하게 적용하여 다양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진동 방식을 상이하게 적용하여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생성하는 방법은 종래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case, the feedback providing unit 160 applies different vibration conditions (for example, vibration frequency, vibration length, vibration intensity, vibration waveform, vibration position, etc.)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to provide various feedback can do. In this case, the method of generating various haptic feedback by applying the vibration scheme differently is a conventional technique,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피드백 제공부(160)가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피에조 센서(piezo sensor)를 이용하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eedback unit 160 provides haptic feedback using a vibration senso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a haptic feedback is provided using a piezo sensor It is possible.

통신부(17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70)는 와이파이칩(171), 블루투스 칩(172), 무선 통신 칩(173) 등 다양한 통신칩을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70 is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ethods. The communication unit 170 includes various communication chips such as a Wi-Fi chip 171, a Bluetooth chip 172,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173.

와이파이 칩(171) 및 블루투스 칩(17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칩(17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그 밖에 통신부(170)는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NFC 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i-Fi chip 171 and the Bluetooth chip 17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the WiFi method and the Bluetooth method, respective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173 refers to a chip that performs communication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IEEE, ZigBee, 3G (3rd Generation), 3GPP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Long Term Evolution)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further include an NFC chip operating in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ode using the 13.56 MHz band among various RF-ID frequency bands such as 135 kHz, 13.56 MHz, 433 MHz, 860 to 960 MHz, .

오디오 처리부(18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7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The audio processing unit 180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processing on audio data. In the audio processing unit 170, various processes such as decoding and amplification of audio data, noise filtering, and the like may be performed.

비디오 처리부(185)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85)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The video processing unit 185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processing on video data. The video processing unit 185 can perform various image processing such as decoding, scaling, noise filtering, frame rate conversion, resolution conversion, and the like on the video data.

스피커(190)는 오디오 처리부(18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The speaker 190 is a component for outputting various kinds of audio data processed by the audio processing unit 180, as well as various kinds of notification sounds and voice messages.

버튼(191)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원을 ON/OFF 하기 위한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The buttons 191 may be various types of buttons such as a mechanical button, a touch pad, a wheel, and the like formed in an arbitrary area such as a front or a side portion of a body exterio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For example, a button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be provided.

USB 포트(192)는 USB 케이블을 통해서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충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The USB port 192 can communicate with various external devices via a USB cable, or perform charging and the like.

카메라(193)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93)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The camera 193 is a structure for capturing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The camera 193 may be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cameras such as a front camera and a rear camera.

마이크(194)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30)는 마이크(19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call) 과정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The microphone 194 is a configuration for receiving a user voice or other sound and converting it into audio data. The control unit 130 may use the user's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94 during a call or convert the user's voice into audio data and store the audio data in the storage unit 140.

카메라(193) 및 마이크(194)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30)는 마이크(19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카메라(193)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카메라(193)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When the camera 193 and the microphone 194 are provided, the control unit 130 may perform a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voice inputted through the microphone 194 or the user's motion recognized by the camera 193. [ That is,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can operate in a motion control mode or a voice control mode. When operating in the motion control mode, the control unit 130 activates the camera 193 to pick up a user, tracks the motion change of the user,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control operation. When operating in the voice control mode, the control unit 130 may operate in a voice recognition mode for analyzing a user voice input through a microphone and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the analyzed user voice.

그 밖에,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various external input ports for connecting with various external terminals such as a headset, a mouse, a LAN, and the like may be further included.

한편,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using various 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as a whole.

가령,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그 실행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컨텐츠를 재생하여 줄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통신부(160)를 통해서 외부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execute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to configure and display the execution screen, or may play back various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Also, the controller 130 may communicate with external device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0. [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버스(136)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includes a RAM 131, a ROM 132, a main CPU 133, a graphics processing unit 134, first through n interfaces 135-1 through 135-n, .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RAM 131, the ROM 132, the main CPU 133, the graphics processing unit 134, the first to n interfaces 135-1 to 135-n, etc.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bus 136. [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내지 13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The first to n-th interfaces 135-1 to 135-n are connected to the various components described above. One of the interfaces may be a network interfac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via a network.

메인 CPU(133)는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The main CPU 133 accesses the storage unit 140 and performs booting using the O / 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 In addition, various operations are performed using various programs, contents, data, etc. stored in the storage 140.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The ROM 132 stores a command set for booting the system and the like. When the turn-on command is input and power is supplied, the main CPU 133 copies the O / 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to the RAM 131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stored in the ROM 132, executes O / S Boot the system. When the booting is completed, the main CPU 133 copies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to the RAM 131, executes the application program copied to the RAM 131, and performs various operations.

그래픽 처리부(13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입력 장치(134)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The graphic processing unit 134 generates a screen including various objects such as an icon, an image, and a text using an operation unit (not shown) and a rendering unit (not shown). The arithmetic unit uses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134 to calculate an attribute value such as a coordinate value, a shape, a size, and a color to be displayed for each object according to the layout of the screen. The rendering unit generates screens of various layouts including the objects based on the attribute values calculated by the operation unit. The screen generated by the rendering unit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110.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include a detector (not shown).

감지부(미도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대한 터치, 회전, 기울기, 압력, 접근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not shown) may sense various operations such as touch, rotation, tilt, pressure, and access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특히, 감지부(미도시)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상과 같이 터치 센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 밖에 감지부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지자기 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가속도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sensing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touch sensor that senses a touch. The touch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capacitive or pressure sensitive. The electrostatic type is a method of calculating the touch coordinates by sensing the minute electricity that is excited by the user's body when a part of the user's body is touched to th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10 by using a dielectric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10. [ The depressurization type includes two electrode plates,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screen, the top and bottom plates of the touched point contact with each other to sense current flow, and the touch coordinates are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sensor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geomagnetic sensor for sensing a rotation state and a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 acceleration sensor for sensing a tilt degree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like.

한편, 도 2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포함된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든 것으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GPS 수신부(미도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수신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2 shows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n some embodiments,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may be omitted or changed, More may be added. For example, a GPS receiver (not shown) and 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ignal for receiving the GPS signal from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atellite and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re received and processed A DMB receiving unit (not shown), and the like.

도 3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oftware configur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As shown in FIG.

도 3에 따르면, 저장부(140)에는 베이스 모듈(141), 센싱 모듈(142), 통신 모듈(143), 프리젠테이션 모듈(144), 웹 브라우저 모듈(145), 서비스 모듈(146)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3, the storage unit 140 includes a base module 141, a sensing module 142, a communication module 143, a presentation module 144, a web browser module 145, and a service module 146 Can be stored.

베이스 모듈(141)이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141)은 스토리지 모듈(141-1), 보안 모듈(141-2) 및 네트워크 모듈(141-3)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14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메인 CPU(133)는 스토리지 모듈(141-1)을 이용하여 저장부(14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각종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보안 모듈(141-2)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141-3)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The base module 141 refers to a base module that processes a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hardwar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ransfers the processed signal to an upper layer module. The base module 141 includes a storage module 141-1, a security module 141-2, and a network module 141-3. The storage module 141-1 is a program module for managing a database (DB) or a registry. The main CPU 133 accesses the database in the storage unit 140 using the storage module 141-1 and can read various data. The security module 141-2 is a program module that supports certification for hardware, permission permission, and secure storage. The network module 141-3 is a module for supporting network connection Module, DNET module, and UPnP module.

센싱 모듈(142)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센싱 모듈(142)은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sensing module 142 is a module for collecting information from various sensors and analyzing and manag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The sensing module 142 may include a face recognition module, a voice recognition module, a motion recognition module, an NFC recognition module, and the like.

통신 모듈(14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143)은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143-1),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화 모듈(143-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43 is a modul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e communication module 143 includes a messaging module 143-1 such as a messenger program,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nd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program, an e-mail program, a program module for a Call Info Aggregator, And a telephone module 143-2 including the telephone module 143-2.

프리젠테이션 모듈(144)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44)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44-1),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144-2)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144-1)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렌더링 모듈(144-2)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ation module 144 is a module for constituting a display screen. The presentation module 144 includes a multimedia module 144-1 for reproducing and outputting multimedia contents, a UI, and a UI rendering module 144-2 for performing graphics processing. The multimedia module 144-1 may include a player module, a camcorder module, a sound processing module, and the like. Accordingly, various multimedia contents are reproduced, and a screen and sound are generated and reproduced. The UI rendering module 144-2 includes an image compositor module for combining images, a coordinate combination module for generating coordinates by combining coordinates on a screen for displaying an image, an X11 module for receiving various events from hardware, A 2D / 3D UI toolkit that provides a tool for constructing a UI of the form, and the like.

웹 브라우저 모듈(145)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145)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eb browser module 145 is a module for accessing a web server by performing web browsing. The web browser module 145 may include various modules such as a web view module for configuring a web page, a download agent module for downloading, a bookmark module, a Webkit module, and the like.

서비스 모듈(146)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모듈(146)은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게임 프로그램, 전자 책 프로그램, 달력 프로그램, 알람 관리 프로그램, 기타 위젯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rvice module 146 is a module including various applications for providing various services. Specifically, the service module 146 may include various program modules such as a navigation program, a content playback program, a game program, an e-book program, a calendar program, an alarm management program,

도 3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도시하였으나, 도시된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GPS 칩과 같은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위치 기반 모듈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Although various program modules are shown in FIG. 3, some of the illustrated program modules may be omitted, modified or added depending on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For example, a location-based module supporting location-based services in cooperation with hardware such as a GPS chip.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다양한 화면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various screen configuration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멀티 윈도우 모드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displaying an application supporting a multi-window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기 화면 상에 다양한 메뉴 아이템이 아이콘 인터페이스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A, various menu items may be displayed on an initial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the form of an icon interface.

구체적으로, 화면의 하단 중앙 영역에 제1 메뉴 아이템(10)이 디스플레이되고, 화면의 상단 우측 영역에 제2 메뉴 아이템(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In detail, the first menu item 10 may be displayed in the lower center area of the screen, and the second menu item 20 may be displayed in the upper right area of the screen.

제1 메뉴 아이템(10)은 멀티 윈도우 모드 지원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화면의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한다. The first menu item 10 functions to display an applicat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multi-window mode on a specific area of the screen.

제2 메뉴 아이템(20)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제공가능한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화면의 전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한다. The second menu item 20 functions to display all application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n the entire area of the screen.

도 4(a)에 도시된 도면에서 제1 메뉴 아이템(10)이 선택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윈도우 모드 지원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하에서, 어플리케이션으로 통칭함)들이 화면 하단에 일렬로 디스플레이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해당 영역을 "미니 트레이(mini tray)"이라고 명명하도록 한다. 또한, 제1 메뉴 아이템(10)의 좌측 및 우측에는 제3 메뉴 아이템(30) 및 제4 메뉴 아이템(4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메뉴 아이템(30)은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화면 상에 배치하기 위한 레이아웃을 기정의한 다양한 형태의 템플릿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제4 메뉴 아이템(40)은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When the first menu item 10 is selected in the diagram illustrated in FIG. 4A, application icons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pplications) capable of supporting the multi-window mode as shown in FIG. 4B are displayed. It is displayed in line at the bottom.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rresponding area is referred to as a "mini tray". In addition, the third menu item 30 and the fourth menu item 40 may be display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menu item 10. Here, the third menu item 30 functions to provide various types of templates that define a layout for dispos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windows on the screen in the multi-window mode. The fourth menu item 40 serves to provide a list of applications currently running in the multi-window mode.

이어서, 미니 트레이(420) 영역을 터치한 후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도 4(c)에 해당 드래그 방향으로 어플리케이션들이 이동한다. 이어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해제되면,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해제된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유지된 채로 어플리케이션 이동이 멈추게 된다. 예를 들어, 미니 트레이(420) 상에 제1 내지 제7 어플리케이션(421 내지 427)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425)를 터치한 후,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드래그한 거리 만큼 어플리케이션(425)이 이동하고 미니 트레이(420) 상의 다른 아이콘들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미니 트레이(420) 상에 제3 내지 제9 아이콘(423 내지 429)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해제되면 디스플레이 상태 그대로 미니 트레이(420) 상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이동이 멈추게 된다. Subsequently, when a user manipulation of touching the area of the mini tray 420 and dragging in a specific direction is input, applications are moved in the corresponding drag direction in FIG. 4C. Subsequently, when the user's touch operation is released, the movement of the application is stopped while the display state in the state where the user's touch operation is released is maintained, as shown in 4 (d).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a specific application 425 while the first to seventh applications 421 to 427 are displayed on the mini tray 420, and drags it to the left direction, the application is moved as much as the dragged distance. 425 moves and other icons on the mini tray 420 move in the same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user's touch manipulation is released while the third to ninth icons 423 to 429 are displayed on the mini tray 420, the application movement on the mini tray 420 is stopped as it is.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멀티 윈도우 모드 및 일반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 디스플레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window display form when an application is executed in a multi-window mode and a normal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뉴 아이템(10)이 선택되면, 멀티 윈도우 모드 지원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화면 하단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어서, 특정 어플리케이션(501)이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윈도우(510)가 미니 모드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150)에는 타이틀 영역(51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타이틀 영역(511)에는 멀티 윈도우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메뉴 아이템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화 버튼(511-1), 종료 버튼(511-2) 및 핀업 버튼(511-3)이 될 수 있다. 이들의 기능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5A, when the first menu item 10 is selected, an applicat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multi-window mode may be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Subsequently, when a specific application 501 is selected,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window 510 may be displayed in a mini mode. In this case, the title area 511 may be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window 150. In the title area 511, various menu items for supporting the multi-window mode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isplay device may be a maximize button 511-1, an end button 511-2, and a pinup button 511-3. Since these functions have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메뉴 아이템(20)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제공 가능한 모든 어플리케이션이 화면 전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어서, 특정 어플리케이션(501)이 선택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윈도우(520)가 최대화 모드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520)에는 타이틀 영역이 디스플레이되지 않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menu item 20 is selected as shown in FIG. 5B, all application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be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area. Subsequently, when a specific application 501 is selected, the application window 520 may be displayed in a maximized mode. In this case, the title area is not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window 520.

즉,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라도 사용자의 실행 의도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윈도우가 다른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즉, 사용자가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에는 윈도우 위치 이동, 크기 조정, 핀업 기능 등이 가능한 미니 모드로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일반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에는 최대화 모드로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사용자 의도가 반영된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게 된다. That is, even in the same application, the application window is displayed in a different form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o execute. In other words, if the user runs the application in multi-window mode, the window is displayed in mini mode, which enables window position shifting, resizing, and pinup.If the user runs the application in normal mode, the window is maximized. By displaying the user's convenience, the display reflects the user's int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moving an application window in a multi-window mod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미니 모드로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610)의 타이틀 영역(611)을 기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하면, 어플리케이션 윈도우(610)의 테두리 부분에 윈도우 이동 및 크기 조정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GUI(612)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GUI(612)는 어플리케이션 윈도우(610)의 테두리와 구별될 수 있도록 하이라이트되거나, 식별 가능한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6A, when the title area 611 of the application window 610 displayed in the mini mode in the multi-window mode is touch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application window 610 may be touched. Guide GUI 612 may be displayed at the edge portion to guide window movement and resizing. In this case, the guide GUI 612 may be highlighted or displayed in an identifiable color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an edge of the application window 610.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 GUI(612)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에 대해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some cases, it is also possible for the guide GUI 612 to provide haptic feedback for the displayed area.

이어서, 타이틀 영역(611)을 터치한 채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가이드 GUI(612)가 해당 방향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610)는 원래 디스플레이된 영역에서 이동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a user operation of touching the title area 611 and dragging in a specific direction is input, the guide GUI 612 may be moved and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window 610 may be displayed without being moved in the originally displayed area.

이 후,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해제되면, 터치 조작이 해제된 시점에서 가이드 GUI(612)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 윈도우(610)가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touch manipulation of the user is released, the application window 610 may be moved and displayed in the area where the guide GUI 612 is displayed when the touch manipulation is released.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미니 모드로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610)의 타이틀 영역(611)을 터치하여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 윈도우(610) 자체가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 6B, a user manipulation of touching and dragging the title area 611 of the application window 610 displayed in the mini mode in the multi-window mode in a specific direction is input. If so, the application window 610 itself may be displayed by being moved in the drag direc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adjusting an application window size in a multi-window mod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미니 모드로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710)의 타이틀 영역(711)을 기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윈도우(710)의 테두리 부분에 윈도우 이동 및 크기 조정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GUI(712)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A, when the title area 711 of the application window 710 displayed in the mini mode in the multi-window mode is touch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application window as shown in FIG. 7B. Guide GUI 712 for guiding window movement and resizing may be displayed at the edge of 710.

이어서, 도 7(c) 및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GUI(712)의 특정 영역을 터치하여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하거나, GUI 가이드 안쪽의 내부 영역을 터치하여 드래그하면, 드래그 방향을 따라 가이드 GUI(712)가 확장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조작이 있는 부분의 가이드 GUI(712) 만이 확장 이동되고, 사용자 조작이 없는 부분의 가이드 GUI(712)은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테두리 영역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S. 7C and 7D, a specific area of the guide GUI 712 may be touched and dragged in a specific direction, or an internal area inside the GUI guide may be touched and dragged to change the drag direction. Accordingly, the guide GUI 712 may be extended and displayed. In this case, as illustrated, only the guide GUI 712 of the portion where the user operation is located may be extended and moved, and the guide GUI 712 of the portion without the user operation may be fixed to the edge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이 후,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GUI(712)에 대한 터치가 해제되면, 확장된 가이드 GUI(712)에 대응되는 크기 만큼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크기가 확장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the touch on the guide GUI 712 is released, as shown in FIG.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확장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축소시키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in which the application window is expanded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same method may be applied to the case in which the application window is reduced.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6(b)에 도시된 실시 예와 유사하게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에 따라 가이드 GUI가 드래그 방향으로 확장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 윈도우 자체가 드래그 방향 확장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similarly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b), the guide GUI is not expanded in the drag dir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drag operation, and the application window itself is expanded and displayed in the drag direction. It is possible.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에서 타이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 to 10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method of displaying a title area in an application window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윈도우(810)가 최대화 모드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810)의 최상단에 마련된 정보 표시 영역(813)에 대한 제1 사용자 조작이 있는 경우, 정보 표시 영역(813)에 인접한 상부 영역에 타이틀 영역(81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 조작은 정보 표시 영역(813)에 대한 터치 조작, 예를 들어, 탭 조작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릭 다운(flick down), 플릭 업(flick up), 드래그 다운(drag-down), 드래그 업(drag-up) 조작 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타이틀 영역에는 복귀 버튼(811-4) 및 종료 버튼(811-5)이 포함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when there is a first user operation on the information display area 813 provided at the top of the application window 810 while the application window 810 is displayed in the maximized mode, the information display area 813 The title area 811 may be displayed in the upper area adjacent to the. Here, the first user manipulation may be a touch manipulation with respect to the information display area 813, for example, a tap manipul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Flick down, flick up, and dragging may be performed. It may be a drag-down, a drag-up operation,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title area may include a return button 811-4 and an end button 811-5.

이어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된 타이틀 영역(811)이 어플리케이션 윈도우(810)에서 사라질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a preset event occurs, the displayed title area 811 may disappear from the application window 810. Here, the predetermined event may be an event for which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즉, 타이틀 영역(811) 표시 후, 표시된 타이틀 영역(811)에 대한 외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타이틀 영역(811)을 동적으로 사라지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가능한 넓은 크기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fter displaying the title area 811, if an external event for the displayed title area 811 does not occur, the title area 811 may be dynamically disappeared to provide an application window in the widest possible size to the user. .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윈도우(910)가 최대화 모드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정보 표시 영역(913)에 대한 제2 사용자 조작이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910)가 미니 모드로 변경되면서 타이틀 영역(91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when there is a second user operation on the information display area 913 while the application window 910 is displayed in the maximized mode, the application window 910 is changed to the mini mode and the title area 911 is displayed. ) Can be displayed.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니 모드로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910)의 타이틀 영역(911)에 마련된 최대화 버튼(911-1)에 대한 사용자 터치 조작이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 윈도우(910)가 최대화 모드로 디스플레이된다. As shown in FIG. 9A, when a user touch operation on the maximize button 911-1 provided in the title area 911 of the application window 910 displayed in the mini mode is input, the application window 910 is maximized. Is displayed in mode.

이어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910)의 정보 표시 영역(913)을 더블 탭(double tap)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 윈도우(910)가 미니 모드로 복원되면서 타이틀 영역(91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a user operation of double tapping the information display area 913 of the application window 910 is input, the title area 911 may be displayed while the application window 910 is restored to the mini mode.

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윈도우(910)가 최대화 모드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910)의 정보 표시 영역(913)을 플릭 다운 또는 드래그 다운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 윈도우(910)가 미니 모드로 복원되면서 타이틀 영역(91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플릭 다운 조작 및 드래그 다운 조작은 정보 표시 영역(913)을 터치한 후 아래쪽으로 플릭 또는 드래그하는 조작이 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a user operation of flicking down or dragging down the information display area 913 of the application window 910 is input while the application window 910 is displayed in the maximized mode as illustrated in FIG. 9B. The title area 911 may be displayed while the application window 910 is restored to the mini mode. Here, the flick down operation and the drag down operation may be an operation of flicking or dragging downward after touching the information display area 913.

한편,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화 모드로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1010)에 타이틀 영역(1011)이 표시된 상태에서 타이틀 영역(1011)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1010)가 최대화 모드에서 미니 모드로 복귀되면서 멀티 윈도우 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 조작은 타이틀 영역(1011)에 대한 플릭 다운(flick down) 조작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탭(tap), 플릭 업(flick up), 드래그 다운(drag-down), 드래그 업(drag-up) 조작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user operation on the title area 1011 while the title area 1011 is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window 1010 displayed in the maximized mode, as shown in FIG. 10A, the application window 1010. Enters the multi-window mode by returning from the maximum mode to the mini mode. Here, the user manipulation may be a flick down manipulation of the title region 10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Tap, flick up, drag-down, and dragging may be performed. It can also be implemented as a drag-up operation.

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화 모드로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1010)에 타이틀 영역(1011)이 표시된 상태에서 타이틀 영역(1011) 상에 마련된 복귀 버튼(1011-1)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가 미니 모드로 복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조작은 복귀 버튼(1011-1)에 대한 탭 조작이 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user of the return button 1011-1 provided on the title area 1011 while the title area 1011 is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window 1010 displayed in the maximize mode as shown in FIG. 10 (b). If there is an operation, the application window may be returned to the mini mode and displayed. Here, the user operation may be a tap operation on the return button 1011-1.

한편,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1010)에는 타이틀 영역(1011)이 동적으로 사라지지 않고 고정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위치 이동 및 크기 조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구현 예에 따라서는 멀티 윈도우 모드 즉, 어플리케이션 윈도우(1010)가 미니 모드인 경우에도 상술한 실시 예가 적용될 수도 있다. 즉, 미니 모드에서도 타이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사용자 조작이 있는 경우에만 기설정된 시간 동안 타이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동적으로 타이틀 영역이 사라지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in the multi-window mode, the title area 1011 may be fixedly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window 1010 without dynamically disappearing. This is to facilitate location movement and resizing of an application window in a multi-window mode in which a plurality of application windows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applied even when the multi-window mode, that is, the application window 1010 is a mini mode. That is, even in the mini mode, the title area may be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only when there is a user operation without displaying the title area, and the title area may be dynamically disappeared.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화면 상에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을 디스플레이한다(S1110).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user terminal device illustrated in FIG. 11, an application window is displayed on the screen (S1110).

이어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 상에 타이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다(S1120).Subsequently, a first user command for displaying a title area on an application window is received (S1120).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일 영역 상에 타이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기설정된 이벤트 발생시 타이틀 영역이 자동으로 사라지도록 제어한다(S1130).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타이틀 영역의 디스플레이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When the user command is received, the title area is displayed on one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and when the predetermined event occurs, the title area is automatically disappeared (S1130). Here, the preset event may be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display time point of the title area, but is not limited thereto.

특히, 디스플레이하는 단계(1110)는, 어플리케이션 윈도우가 화면의 전체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태 즉, 최대화 모드에서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타이틀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윈도우가 미니 모드인 경우에는 타이틀 영역이 어플리케이션 윈도우 상에 고정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displaying 1110 may display the title area when the application window is displayed on the entire area of the screen, that is, when the first user command is input in the maximize mode. That is, when the application window is in the mini mode, the title area may be fixedly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window.

여기서, 제1 사용자 명령은,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기설정된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조작이 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조작은 탭 조작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 the first user command may be a user operation of touch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Here, the touch operation may be a tap oper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타이틀 영역이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일 영역은 제1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기설정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in which the title area is displayed may be an area adjacent to a preset area that receives a first user command.

또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에 타이틀 영역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타이틀 영역을 조작하는 제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화면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멀티 윈도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 명령은, 타이틀 영역에 대한 터치 조작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when a second user command for manipulating the title area is input while the title area is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window, it may be controlled to enter a multi-window mode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windows on the screen. Here, the second user command may be a touch operation on the title area,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기설정된 크기의 미니 모드로 디스플레이하고, 미니 모드로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일 영역 상에 타이틀 영역이 고정적으로 포함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multi-window mode, the application window may be displayed in a mini mod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may be displayed so that a title area is fixedly included on one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displayed in the mini mode.

또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더블 탭 조작 또는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앤 플릭 조작이 입력되면, 화면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멀티 윈도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구현 예에 따라서는 반드시 타이틀 영역이 디스플레이된 상태가 아니더라도 기설정된 한번의 사용자 조작으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가 최대화 모드에서 바로 미니 모드로 변경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a double tap operation on a preset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or a touch and flick operation on the preset area is input,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enter a multi window mode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windows on the screen. That i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even if the title area is not necessarily displayed, the application window may be changed directly from the maximize mode to the mini mode in one preset user operation.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by a program and provided to a user terminal.

일 예로, 화면 상에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어플리케이션 윈도우 상에 타이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사용자 명령을 입력되면, 타이틀 영역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일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타이틀 영역이 자동으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displaying an application window on a screen, when a first user command for displaying a title area on an application window is input, displaying a title area on one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and a preset event When generated,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be provided in which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title area to disappear automatically may be stored.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is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but semi-permanently stores data and is readable by the apparatus. In particular, the various applications or programs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on non-volatile readable media such as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디스플레이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제어부 140: 저장부
150: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160: 피드백 제공부
170: 통신부 180: 오디오 처리부
185: 비디오 처리부 190: 스피커
191: 버튼 192: USB 포트
193: 카메라 194: 마이크
110: display unit 120: user interface unit
130: control unit 140:
150: application driver 160: feedback providing unit
170: communication unit 180: audio processing unit
185: video processing unit 190: speaker
191: button 192: USB port
193: camera 194: microphone

Claims (20)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화면 상에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 상에 타이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타이틀 영역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일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타이틀 영역이 자동으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In a user terminal,
A display unit displaying an application window on a screen;
A user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And
A control unit which displays the title area on one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when a first user command for displaying a title area is input on the application window, and controls the title area to automatically disappear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User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타이틀 영역의 디스플레이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et event may include:
And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display time point of the title are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가 상기 화면의 전체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타이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trol unit,
And displaying the title area when the first user command is input while the application window is displayed on the entire area of the scree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기설정된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user command,
And a user operation of touch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일 영역은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인접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n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is an area adjacent to the preset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에 상기 타이틀 영역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타이틀 영역을 조작하는 제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멀티 윈도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nd when a second user command for manipulating the title area is input while the title area is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window, controlling to enter a multi-window mode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windows on the screen. User terminal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기설정된 크기로 축소하고, 상기 축소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일 영역 상에 타이틀 영역이 고정적으로 포함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And reduce the application window to a predetermined size in the multi-window mode, and display the title area on a region of the reduced application window to be fix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명령은,
상기 타이틀 영역에 대한 터치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user command,
And a touch operation on the title are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더블 탭 조작 또는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앤 플릭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멀티 윈도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n a double tap operation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or a touch and flick operation on the predetermined area is input, the controller enters a multi-window mode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windows on the screen. User termi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터치 기반의 이동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apparatus comprises:
The user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based mobile terminal.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화면 상에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 상에 타이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사용자 명령을 입력되면, 상기 타이틀 영역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일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타이틀 영역이 자동으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terminal device,
Displaying an application window on a screen;
If a first user command for displaying a title area on the application window is input, displaying the title area on one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And
And controlling the title area to automatically disappear when a preset event occur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타이틀 영역의 디스플레이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eset event may include:
And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display time point of the title area.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가 상기 화면의 전체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타이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Wherein the displaying comprises:
And when the first user command is input while the application window is displayed on the entire area of the screen, displaying the title area.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기설정된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The first user command,
And a user operation of touch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일 영역은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인접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n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is an area adjacent to the preset are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에 상기 타이틀 영역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타이틀 영역을 조작하는 제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멀티 윈도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Controlling to enter a multi-window mode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windows on the screen when a second user command to manipulate the title area is input while the title area is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window;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윈도우 모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기설정된 크기로 축소하고, 상기 축소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일 영역 상에 타이틀 영역이 고정적으로 포함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reducing the application window to a predetermined size in the multi-window mode, and displaying the title area on a region of the reduced application window to be fixedly include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명령은,
상기 타이틀 영역에 대한 터치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second user command,
And a touch operation on the title area.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더블 탭 조작 또는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대한 터치 앤 플릭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멀티 윈도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Controlling to enter a multi-window mode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windows on the screen when a double tap operation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application window or a touch and flick operation on the predetermined area is input; The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터치 기반의 이동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user terminal apparatus comprises: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based mobile terminal.
KR1020120094502A 2012-08-28 2012-08-28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ol method thereof KR20140028383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502A KR20140028383A (en) 2012-08-28 2012-08-28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ol method thereof
PCT/KR2013/007695 WO2014035123A1 (en) 2012-08-28 2013-08-28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502A KR20140028383A (en) 2012-08-28 2012-08-28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383A true KR20140028383A (en) 2014-03-10

Family

ID=50183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502A KR20140028383A (en) 2012-08-28 2012-08-28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28383A (en)
WO (1) WO2014035123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882B1 (en) * 2014-05-02 2015-06-04 에스코어 주식회사 Method of providing multi display which computer-executable,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1651A (en) * 2016-10-31 2017-02-15 安徽汇顿电子科技有限公司 Smart home debugging system based on network communication
CN107179840A (en) * 2017-05-25 2017-09-19 上海传英信息技术有限公司 Controller and its control method
CN107277416A (en) * 2017-07-20 2017-10-20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televis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WO2019015681A1 (en) 2017-07-20 2019-01-24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3745A (en) * 1994-12-14 1995-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posing and hiding a title bar behind its window using a visual cue
US5910802A (en) * 1997-06-11 1999-06-08 Microsoft Corporation Operating system for handheld computing device having taskbar auto hide
US20050183017A1 (en) * 2001-01-31 2005-08-18 Microsoft Corporation Seekbar in taskbar player visualization mode
US7219308B2 (en) * 2002-06-21 2007-05-15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media player program
EP2346220B1 (en) * 2010-01-15 2014-08-13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imag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882B1 (en) * 2014-05-02 2015-06-04 에스코어 주식회사 Method of providing multi display which computer-executable,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5123A1 (en)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860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ol method thereof
KR102230708B1 (en) User termincal device for supporting user interaxion and methods thereof
US10635379B2 (en) Method for sharing screen between devices and device using the same
KR102085225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ol method thereof
KR102427833B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 thereof
CN110543212B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10067648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US10416883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30179816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168648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227166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006766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76357A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ode conversion method and sound system for controlling volume of speaker thereof
KR20140128207A (en) user terminal device with a p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592099B2 (e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evice
US11243687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40081220A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ol method thereof
KR20140028383A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ol method thereof
EP3287886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269075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70009688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