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4196A - 풍속 조절이 용이한 학습용 풍동 - Google Patents

풍속 조절이 용이한 학습용 풍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4196A
KR20140024196A KR1020120090971A KR20120090971A KR20140024196A KR 20140024196 A KR20140024196 A KR 20140024196A KR 1020120090971 A KR1020120090971 A KR 1020120090971A KR 20120090971 A KR20120090971 A KR 20120090971A KR 20140024196 A KR20140024196 A KR 20140024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wind speed
wind tunnel
unit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8378B1 (ko
Inventor
김범준
Original Assignee
김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준 filed Critical 김범준
Priority to KR1020120090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378B1/ko
Publication of KR20140024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0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statics or dynamics
    • G09B23/12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statics or dynamics of liquids or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00Ae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wind tunnels
    • G01M9/02Wind tun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69Engineering, e.g. mechanical, electrical desig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풍속조절이 용이한 학습용 풍동은 관찰부를 구비하며, 제 1 흡입구와 제 1 배출구를 구비한 사각형 통체(筒體)의 실험부와; 제 2 흡입구와 제 2 배출구를 구비하며, 제 2 배출구가 선풍기의 뒷면과 연결되는 사각형 통체의 팬 설치부와; 상기 팬 설치부의 제 2 흡입구와 상기 실험부의 제 1 배출구가 연통되게 연결된 비닐튜브와; 상기 제 2 배출구에 연결되는 선풍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풍속 조절이 용이한 학습용 풍동{Wind Tunnel For Education}
본 발명은 학습용 풍동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용으로 간단하게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손쉽게 풍속을 조절할 수 있는 학습용 풍동에 관한 것이다.
비행기 또는 비행기 날개 등의 양력을 측정하거나, 교량 또는 건물 등의 건축물 뿐만 아니라 자동차 등에 있어 바람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풍동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통상 산업용으로 제작된 풍동은 그 크기가 거대하며, 비행기나 자동차 제작사 등에 의해 건설되어 사용되므로, 실제로 초중고 학생들이 풍동에 의한 실험을 해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07610호에 개시된 도 1과 같은 학습용 풍동의 경우, 배기관(10)에 내설된 팬(20)이 배터리(30)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어서 실험에 적합한 풍속을 얻기 힘들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090632호에 개시된 도 2와 같은 학습용 풍동은 대형 선풍기를 사용하여 강한 풍속을 얻을 수는 있으나 풍속의 조절이 선풍기(40)의 풍속 조절단계에 따라 결정될 뿐이어서 풍속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107610 B, 2012.1.25., 도면 2 KR 10-2006-00090632 A, 2006.8.14., 도면 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 풍속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학습용 풍동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풍속조절이 용이한 학습용 풍동은
관찰부를 구비하며, 제 1 흡입구와 제 1 배출구를 구비한 사각형 통체(筒體)의 실험부와;
제 2 흡입구와 제 2 배출구를 구비하며, 제 2 배출구가 선풍기의 뒷면과 연결되는 사각형 통체의 팬 설치부와;
상기 팬 설치부의 제 2 흡입구와 상기 실험부의 제 1 배출구가 연통되게 연결된 비닐튜브와;
상기 제 2 배출구에 연결되는 선풍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험부 내부에는 프로펠러가 장착된 직류모터를 설치하고, 상기 직류모터와 연결된 전압측정기를 실험부 외부에 설치하여, 풍속에 의해 프로펠러가 회전하여 발생하는 전압을 실험부 외부의 전압측정기에 의해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학습용 풍동의 제작이 용이하며, 간편하게 풍속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학습용 풍동을 나타낸 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 풍동의 구조 및 작동관계를 나타낸 도.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 학습용 풍동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 학습용 풍동은 실험부(100), 팬 설치부(200), 상기 실험부(100)와 팬 설치부(200)를 연결하는 비닐튜브(300)로 대별된다.
실험부(100)는 제 1 흡입구(110)와 제 1 배출구(120)를 구비한 사각형 통체(筒體)로 제작되는데, 일반 골판지 상자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실험부(100)의 측면과 상면에는 실험부(10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통공을 가공하고, 통공을 투명 필름으로 막은 관찰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실험부는 골판지 이외에도 투명한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관찰부는 실험부 벽체가 되는 것이다.
팬 설치부(200) 역시 제 2 흡입구(210)와 제 2 배출구(220)를 구비하며 사각형 통체로 제작되며, 일반 골판지 상자로 제작할 수 있다. 제 2 배출구(220)는 선풍기(400)의 뒷면과 연결되게 되며, 선풍기(400)의 뒷면과 제 2 배출구(220) 사이에는 팬 설치부(200) 내부의 공기 이외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테이프 등으로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 설치부(200)의 제 2 흡입구(210)와 상기 실험부(100)의 제 1 배출구(120)는 비닐튜브(300)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실험부(100) 내부에는 프로펠러(510)가 장착된 직류모터(520)를 설치하고, 상기 직류모터(520)와 연결된 전압측정기(530)를 실험부(100) 외부에 설치하게 된다. 선풍기(40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실험부(100)의 제 1 유입구(110)로 공기가 유입된 후 선풍기(400)의 전면으로 공기가 유출되게 되는데, 이때 실험부(100) 내부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프로펠러(510)가 회전하게 되며, 프로펠러(510)가 회전함에 따라 직류모터(520)는 발전기로 작동하여 전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렇게 발생한 전압은 실험부(100) 외부에 설치된 전압측정기(530)에 의해 측정되며, 전압과 풍속은 비례관계를 가지게 된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가진 본 발명 일 실시예 학습용 풍동의 풍속 조절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비닐튜브(300)가 최대로 펴진 상태에서 실험부(100) 내에 실험할 날개(600)를 거치하게 된다. 이후, 선풍기(400)를 가동시키고, 통상 3단계로 조절가능한 선풍기의 풍속조절스위치(410)를 저속에서 고속으로 증가시켜 본다. 이러한 풍속 조절의 단계 중 어느 한 단계에서 날개(600)는 양력을 받아 상승하게 되는데, 실제 어느 정도의 풍속에서 상승이 이루어지는지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중속에 풍속조절 스위치(410)를 위치시켰을 때 날개(600)가 상승하게 되면, 날개(600)를 상승시킬 풍속은 중속과 저속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때 선풍기(400)와 연결된 팬 설치부(200)를 실험부(100)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비닐튜브(300)는 도 4와 같이 그 중간 부분이 수축하게 되어, 실험부(100) 내부를 흐르는 풍속은 서서히 약해지게 되며, 날개(600)는 하강하게 된다. 다시 선풍기(400)와 연결된 팬 설치부(200)를 실험부(100)와 멀어지도록 서서히 이동시키면 날개(600)가 상승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지정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프로펠러(510)가 장착된 직류모터(520)에 의해 발생한 전압을 전압측정기(530)에 의해 측정하여 풍속을 결정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전압을 기록하여 다른 형상의 날개 등을 실험할 때 동일한 풍속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풍동에서 공기의 흐름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실험부의 제 1 유입구 측에 연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향 등을 피우게 되면 날개의 상하면을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관찰할 수도 있다.
100 : 실험부 110 : 제 1 흡입구 120 : 제 1 배출구 130 : 관찰부
200 : 팬 설치부 210 : 제 2 흡입구 220 : 제 2 배출구
300 : 비닐튜브 400 : 선풍기 510 : 프로펠러 520 : 직류모터
530 : 전압측정기 600 : 날개

Claims (2)

  1. 관찰부를 구비하며, 제 1 흡입구와 제 1 배출구를 구비한 사각형 통체(筒體)의 실험부와;
    제 2 흡입구와 제 2 배출구를 구비하며, 제 2 배출구가 선풍기의 뒷면과 연결되는 사각형 통체의 팬 설치부와;
    상기 팬 설치부의 제 2 흡입구와 상기 실험부의 제 1 배출구가 연통되게 연결된 비닐튜브와;
    상기 제 2 배출구에 연결되는 선풍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조절이 용이한 학습용 풍동.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험부 내부에는 프로펠러가 장착된 직류모터를 설치하고, 상기 직류모터와 연결된 전압측정기를 실험부 외부에 설치하여, 풍속에 의해 프로펠러가 회전하여 발생하는 전압을 실험부 외부의 전압측정기에 의해 측정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조절이 용이한 학습용 풍동.
KR1020120090971A 2012-08-20 2012-08-20 풍속 조절이 용이한 학습용 풍동 KR101378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971A KR101378378B1 (ko) 2012-08-20 2012-08-20 풍속 조절이 용이한 학습용 풍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971A KR101378378B1 (ko) 2012-08-20 2012-08-20 풍속 조절이 용이한 학습용 풍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196A true KR20140024196A (ko) 2014-02-28
KR101378378B1 KR101378378B1 (ko) 2014-03-31

Family

ID=5026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971A KR101378378B1 (ko) 2012-08-20 2012-08-20 풍속 조절이 용이한 학습용 풍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3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8212A (zh) * 2018-04-17 2018-07-24 成都工匠之星科技有限公司 一种教学演示风洞的实验段
KR20190044464A (ko) 2017-10-20 2019-04-30 곽준구 아두이노 기반의 학습용 풍동
CN112556970A (zh) * 2020-12-21 2021-03-26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高速空气动力研究所 一种变截面形状高速风洞试验段的过渡型面解算方法
EP4269977A3 (en) * 2022-04-07 2024-01-2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ircraft engin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80069B (zh) * 2014-09-26 2017-05-31 博罗县仁凯工控器材有限公司 一种风压风量测试装置及测试方法
KR101523666B1 (ko) * 2015-01-30 2015-06-03 최상환 양력 측정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0632A (ko) * 2006-06-27 2006-08-14 최준섭 초-중등학교 수업에 적용 가능한 학습용 풍동 장치
KR101107610B1 (ko) 2009-09-21 2012-01-25 황북기 풍동의 가시화가 가능한 학생 지도용 학습교재
KR200456891Y1 (ko) * 2009-10-29 2011-11-24 권순모 모형 비행기 날개 기류 흐름 관찰 장치
KR101038508B1 (ko) 2010-12-01 2011-06-0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비행체 모델 풍동 시험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464A (ko) 2017-10-20 2019-04-30 곽준구 아두이노 기반의 학습용 풍동
CN108318212A (zh) * 2018-04-17 2018-07-24 成都工匠之星科技有限公司 一种教学演示风洞的实验段
CN112556970A (zh) * 2020-12-21 2021-03-26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高速空气动力研究所 一种变截面形状高速风洞试验段的过渡型面解算方法
CN112556970B (zh) * 2020-12-21 2021-08-10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高速空气动力研究所 一种变截面形状高速风洞试验段的过渡型面解算方法
EP4269977A3 (en) * 2022-04-07 2024-01-2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ircraft eng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378B1 (ko) 201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378B1 (ko) 풍속 조절이 용이한 학습용 풍동
US10962441B2 (en) Wind generation means and wind test facility comprising the same
AU2012101869A4 (en) A convenient connection system for pressure measuring of the control surface
CN205080040U (zh) 一种用于快速检测大气环境金属腐蚀行为的试验装置
JP3772212B2 (ja) 遷音速フラッタ停止装置
Azzawi et al. Design,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ow speed open-jet wind tunnel
Holst et al. Experimental analysis of a NACA 0021 airfoil under dynamic angle of attack variation and low Reynolds numbers
Celik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unsteady surface pressure fluctuation patterns over an airfoil
Feingesicht et al. A bilinear input-output model with state-dependent delay for separated flow control
McGowan et al. Pulsed-DC plasma actuation for stall control in an axial fan
KR102325901B1 (ko) 모듈형 풍동 실험 장치
CN204177545U (zh) 多相流航行体机动尾部滑行力测试装置
Ansell Unsteady modes in the flowfield about an airfoil with a leading-edge horn-ice shape
CN109974962A (zh) 一种迷宫密封有效受力面积的标定方法
Yakhina et al. An integrated study of laminar separation bubble effect on tonal noise generation in transitional airfoils
Taecharoenwiriyakun et al. Wind Tunnel Model for Natural Wind Velocity
Kakate et al. Study of measurement and control aspects of wind tunnel
Dalal Designing and Construction of Low Speed Wind Tunnel WiWu To Investigate The Robustness of Small Model Aircrafts and Launcher Controllers
KR20190044464A (ko) 아두이노 기반의 학습용 풍동
Hubová et al. Pressure coefficients on the model of SILSOE cube determined by tests in BLWT tunnels
Li Impact of Freestream Turbulence Intensity on Aerodynamics of Square Flat Plates
Hussain et al. Testing and Commissioning of a Low-Speed Wind Tunnel (LSWT) Test Section
CN208588055U (zh) 新风设备上粉尘传感器的安装结构
Metzinger Flatback Airfoils: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Aerodynamic Performance and Vortex Shedding Behavior
Van Buren et al. Control of a Transitioning Boundary Layer using Surface-Mounted Electro Active Poly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