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785A -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그 단말장치 및 전자펜 - Google Patents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그 단말장치 및 전자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785A
KR20140023785A KR1020120090254A KR20120090254A KR20140023785A KR 20140023785 A KR20140023785 A KR 20140023785A KR 1020120090254 A KR1020120090254 A KR 1020120090254A KR 20120090254 A KR20120090254 A KR 20120090254A KR 20140023785 A KR20140023785 A KR 20140023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en
command
implementing
terminal device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용
서종철
주효민
조유숙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20090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3785A/ko
Publication of KR20140023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6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for light p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그 단말장치 및 전자펜이 제공된다. 여기서,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전자펜과 통신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단계; 상기 전자펜에 의해 생성된 필기 데이터를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필기 데이터를 해석한 결과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그 단말장치 및 전자펜{METHOD AND TERMINAL UNIT FOR CONTROL OF THE TERMINAL UNIT USING DIGITAL PEN AND THE DIGITAL PEN}
본 발명은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그 단말장치 및 전자펜에 관한 내용으로서, 구체적으로 종이에 쓴 내용을 디지털 이미지 파일 형태로 변환하는 전자펜을 이용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통신 기술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기들은 점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과 더불어 디자인의 수려함을 강조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강조되는 것은 키보드 혹은 키패드로 대표되던 입력 장치의 다변화이다.
이러한 다변화 추세에 따라 휴대 단말의 입력 장치는 단순히 키패드 혹은 키보드에 국한되지 않고, 터치 스크린, 광 조이스틱 등 다양한 수단이 채택되고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에 마련된 키 패드, 터치스크린, 조이스틱, 스크롤 휠 등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조작하거나 단말기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
하지만, 사용자는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하여 제시된 입력 수단 이외에도 다양한 수단에 의해 단말기를 작동하고자 하는 욕구가 생기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그 단말장치 및 전자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은,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전자펜의 움직임을 추적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단계; 상기 전자펜에 의해 생성된 필기 데이터를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필기 데이터를 해석한 결과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전자펜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수신기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필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데이터를 해석하여 기 정의된 명령어 패턴을 포함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정의된 명령어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명령어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지 또는 단말 대기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명령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명령어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데이터를 해석하여 문자 또는 도형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또는 도형 이미지가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을 만족하는 제1 폐쇄도형, 연결 기호 및 제2 폐쇄도형을 포함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제1 폐쇄도형 및 상기 제2 폐쇄도형에 기재된 명령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폐쇄도형 및 상기 제2 폐쇄도형에 기재된 명령어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기능이 선택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특정 기능이 선택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폐쇄도형 및 상기 제2 폐쇄도형에 포함된 명령어 및 선택된 기능을 결합한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이 기능이 선택된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폐쇄도형 및 상기 제2 폐쇄도형에 포함된 명령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데이터를 해석하여 문자 또는 도형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또는 도형 이미지가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을 만족하는 제1 폐쇄도형 및 연결 기호를 포함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제1 폐쇄도형에 기재된 명령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폐쇄도형에 기재된 명령어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기능이 선택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특정 기능이 선택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폐쇄도형에 포함된 명령어 및 선택된 기능을 결합한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이 기능이 선택된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폐쇄도형에 포함된 명령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데이터 및 전용 노트에 표시된 복수의 특정 아이콘 중에서 상기 전자펜이 접촉하여 인식한 특정 아이콘에 매칭된 명령어를 수신하고,
상기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데이터를 해석하는 단계; 및 상기 필기 데이터의 해석 결과를 적용하여 상기 매칭된 명령어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단말장치는, 전자펜과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상기 전자펜이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상기 전자펜에 의해 생성된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전자펜 인터페이스부가 전달하는 필기 데이터를 해석하고, 상기 필기 데이터를 해석한 결과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전자펜 입력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자펜 입력 처리부는,
상기 필기 데이터를 해석하여 문자 또는 도형 이미지를 인식하고, 상기 문자 또는 도형 이미지가 기 정의된 명령어 패턴을 이루는지 판단하며, 상기 기 정의된 명령어 패턴을 이루는 경우, 상기 문자 또는 도형 이미지에 의한 명령어를 적용한 단말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펜 입력 처리부는,
상기 전자펜이 전송한 필기 데이터 및 명령어를 해석하여 상기 필기 데이터 및 명령어를 적용한 단말 동작을 구현하고,
상기 명령어는,
전용 노트에 상기 전자펜이 인식 가능하도록 표시된 복수의 특정 아이콘 중에서 상기 전자펜이 접촉한 아이콘에 매칭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전자펜은, 노트에 직접 접촉하여 문자 또는 도형 이미지를 표기하기 위한 펜부; 상기 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노트에 접촉되는 상기 펜부의 위치 정보, 상기 펜부에 가해지는 압력 및 운동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한 정보를 디지털 타입의 필기 데이터로 생성하는 전자펜 제어부; 및 상기 전자펜 제어부가 생성한 상기 필기 데이터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기 데이터는 상기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상기 전자펜 제어부는,
전용 노트에 상기 전자펜이 인식 가능하게 표시된 복수의 특정 아이콘 중에서 하나의 아이콘과 접촉하여 상기 하나의 아이콘에 매칭된 명령어를 인식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명령어 및 상기 필기 데이터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명령어 및 상기 필기 데이터는, 상기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특정 아이콘이 표시된 지점의 패턴 또는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 또는 위치 정보에 매칭 저장된 명령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특정 아이콘은,
상기 전자펜으로 기재된 내용을 검색하기를 요청하는 명령어와 매칭된 검색 아이콘; 상기 전자펜으로 기재된 내용을 저장하기를 요청하는 명령어와 매칭된 저장 아이콘; 상기 전자펜으로 기재된 내용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하기를 요청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이콘; 및 상기 전자펜으로 기재된 내용을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실행하기를 요청하는 실행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폰과 같은 사용자의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를 디지털펜을 이용하여 종이에 필기하는 동작만으로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Electronic Pen)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 및 수신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명령어 패턴을 이용한 단말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패턴을 이용한 단말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용 노트의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용 노트를 이용한 단말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그 단말장치 및 전자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Electronic Pen)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전자펜(100)으로 노트(200)에 기재하여 전자펜(100)이 인식한 필기 데이터는 전용 수신기(30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장치(400)로 전송된다. 이러한 필기 데이터는 단말장치(40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전용 수신기(300)와 단말장치(400)는 연결 수단(50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 수단(500)은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 단자 및 휴대폰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유선 케이블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 수단(500)은 블루투스(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가 채택될 수 있다.
전자펜(100)은 사용자가 전자펜(100)으로 노트(200)에 필기한 내용을 압력감지 센서에 의해 인식하고 필기된 위치를 판독하여 디지털 타입의 필기 데이터로 생성하여 기록한다. 즉 전자펜(100)은 전용 수신기(300)의 가용 범위 내에서 신호 발생기(미도시)를 구비한 펜으로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면, 펜 끝의 위치 정보가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생성되어 전용 수신기(300)로 전송된다.
여기서, 전자펜(100)이 필기한 내용을 인식하고 위치를 판독하는 기술은 압력을 감지하는 기술이 채택되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기술들이 이용될 수 있다.
노트(200)는 A4 용지, 공책 등 필기 가능한 어떠한 문서라도 가능하다.
전용 수신기(300)는 전자펜(100)이 생성한 필기 데이터를 전자펜(100)으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전자펜(100)과 전용 수신기(300)의 무선 송수신 방식은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중에서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이때, 전자펜(100)과 전용 수신기(300)는 개별 장치로 도시하였지만, 전용 수신기(300)는 전자펜(100)에 내장될 수도 있다.
이상 기술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펜(100)을 이용하여 노트(200) 위에 필기를 하면, 필기 데이터가 전용 수신기(300)로 전달된다. 그리고 전용 수신기(300)에 연결된 연결 수단(400)을 통해 단말장치(400)로 전달된다. 그러면, 단말장치(400)는 필기 데이터를 해석하고, 해석 결과에 따라 단말장치(4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 및 수신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만을 간략히 도시하였으며, 상기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펜(100)은 펜부(101), 전자펜 제어부(103) 및 송신부(105)를 포함한다.
펜부(101)는 노트(도 1의 500)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문자나 도형 이미지를 노트(도 1의 500)에 표기하기 위한 수단이다. 펜부(101)는 펜촉(미도시) 및 펜촉(미도시)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탱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펜 제어부(103)는 펜부(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펜부(101)의 위치정보, 펜부(101)에 가해지는 압력 및 운동방향을 감지하고, 감지한 정보를 디지털 타입의 필기 데이터로 생성한다.
송신부(105)는 전자펜 제어부(103)가 생성한 필기 데이터를 전용 수신기(300)로 전송한다.
또한, 전용 수신기(300)는 수신부(301), 처리부(303), 메모리(305), 연결부(307) 및 입력부(309)를 포함한다.
수신부(301)는 전자펜(100)의 송신부(105)가 전송하는 필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처리부(303)는 수신부(301)가 수신한 필기 데이터를 연결부(305)를 통해 단말장치(400)로 전송한다. 이때, 처리부(303)는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하여 수시한 필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307)는 노트(200)의 레이어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입력부(307)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노트(200)의 레이어를 변경하고자 요청하면, 처리부(303)는 요청한 시점부터 수신되는 필기 데이터는 다른 레이어의 필기 데이터로 인식한다. 즉, 요청한 시점 이전의 필기 데이터는 현재 레이어에 매칭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만을 간략히 도시하였으며, 상기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장치(400)는 연결부(401), 전자펜 인터페이스부(403), 전자펜 입력 처리부(405) 및 표시부(407)를 포함한다.
연결부(401)는 전용 수신기(300)와 연결되어 전용 수신기(300)로부터 필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러한 연결부(401)는 전용 수신기(300)가 일측에 접속된 유선 케이블의 타측과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선 케이블은 전용 수신기(300)와 접속되는 USB 접속 단자 및 연결부(401)와 접속되는 휴대폰 접속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401)는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에 따라 전용 수신기(300)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펜 인터페이스부(403)는 연결부(401)가 전용 수신기(300)와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전용 수신기(300)로부터 수신되는 필기 데이터를 전자펜 입력 처리부(405)로 전달한다.
전자펜 입력 처리부(405)는 전자펜 인터페이스부(403)가 전용 수신기(300)와 연결을 감지한 경우, 전용 수신기(300)로부터 수신되는 필기 데이터를 해석하고, 필기 데이터 해석 결과에 따른 단말장치(4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단말장치(400)의 동작은 도 4~ 도 10을 참고하여 실시예별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부(407)는 단말장치(400)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한다.
이제, 전술한 내용을 토대로 전자펜(100)을 이용한 단말장치(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400)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때, 도 3의 구성과 연계하여 설명하며, 도 3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펜 인터페이스부(403)는 연결부(401)가 전용 수신기(300)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1).
다음, 전자펜 인터페이스부(403)는 연결부(401)가 수신기(400)와 연결된 경우로 판단되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405)는 전용 수신기(300)가 전송한 필기 데이터를 전자펜 인터페이스부(403)로부터 전달받는다(S103).
다음, 전자펜 입력 처리부(405)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지를 판단한다(S105). 즉, 단말이 대기모드 상태인지 혹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경우, 전자펜 입력 처리부(405)는 S103 단계에서 수신한 필기 데이터를 해석한다(S107). 여기서, 필기 데이터 해석 기술은 필기 데이터의 포맷에 따른 다양한 기술들이 채택될 수 있다. 예컨대, 전용 수신기(300)로부터 파일 형태의 필기 데이터가 수신된다면, 데이터 분석 기술을 통해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문자, 도형 이미지들을 판별할 수 있다.
다음, 전자펜 입력 처리부(405)는 S107 단계에서 필기 데이터를 해석한 결과, 기 정의된 명령어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09). 여기서, 명령어 패턴은 도형 이미지와 문자의 조합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자펜 입력 처리부(405)는 기 정의된 명령어 패턴이 포함된 경우로 판단되면, 명령어에 따른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구현한다(S111).
한편, 전자펜 입력 처리부(405)는 S105 단계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경우로 판단되면, S103 단계에서 수신한 필기 데이터를 해석한다(S113).
다음, 전자펜 입력 처리부(405)는 S107 단계에서 필기 데이터를 해석한 결과, 기 정의된 명령어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15).
이때, 전자펜 입력 처리부(405)는 기 정의된 명령어 패턴이 포함된 경우로 판단되면, 명령어에 따른 단말장치(400)의 동작을 구현한다(S117).
이제, 기 정의된 명령어 패턴 및 그에 따른 단말장치(400)의 동작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전용 수신기(300)가 장착된 노트(200) 위에 전자펜(100)에 의해 작성된 명령어 패턴(600)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명령어 패턴(600)은 제1 폐쇄도형(601), 연결 기호(603) 및 제2 폐쇄도형(605)을 포함한다. 제1 폐쇄도형(601), 연결 기호(603) 및 제2 폐쇄도형(605)은 서로 이어져 있고, 시간의 연속선 상에서 전자펜(100)에 의해 작성된다.
이때, 제1 폐쇄도형(601) 및 제2 폐쇄도형(605)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단말장치(400)의 동작 내용을 지시하는 명령어가 포함된다.
도 6은 도 5의 명령어 패턴을 이용한 단말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다.
이때, 도 6은 도 4의 S105 단계~ S117 단계를 도 5의 명령어 패턴을 적용하여 세부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S209 단계에서 특정 기능이 선택된 경우의 실시예이다. 그리고 도 9, 도 10, 도 11은 도 6의 S201 단계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이 아닌 경우의 실시예이다.
여기서, 도 3의 구성과 연계하여 설명하며, 도 3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도 6을 참고하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지 판단(S201)한 후, 필기 데이터를 해석한다(S203).
다음,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필기 데이터의 명령어 패턴(600)이 도 5와 같은 제1 폐쇄도형(601), 연결 기호(603) 및 제2 폐쇄도형(605)으로 구성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5).
이때, 제1 폐쇄도형(601), 연결 기호(603) 및 제2 폐쇄도형(605)으로 구성되었다면,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207).
즉, 제1 폐쇄도형(601), 연결 기호(603) 및 제2 폐쇄도형(605)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시간적 연속선상에서 그려져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시간적 연속선상에서 그려져 있다 함은 임의의 시점에 수신된 필기 데이터에 제1 폐쇄도형(601), 연결 기호(603) 및 제2 폐쇄도형(605)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고 정의한다. 부연 설명하면, 사용자가 제1 폐쇄도형(601), 연결 기호(603) 및 제2 폐쇄도형(605)을 임의의 시점에 한꺼번에 필기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폐쇄도형(601)과 연결 기호(603)만 그렸다가 한참 후에 제2 폐쇄도형(605)을 그린 경우는 해당되지 않는다.
다음, S207 단계에서 구성 조건을 만족한 경우,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특정 기능이 선택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209).
즉 도 7의 (a)를 참고하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e-book'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특정 문장 또는 문단(P1)이 선택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의 (a)를 참고하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동영상이 재생된 상태에서 캡션(caption) 삽입이 선택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정지 버튼을 누른 상태일 수 있다.
이때, 특정 기능이 선택된 상태라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제1 폐쇄도형(601) 및 제2 폐쇄도형(603)에 포함된 명령어와 S209 단계에서 선택된 특정 기능을 결합한 단말 동작을 실행한다(S211).
즉, 도 7의 (b) 및 도 7의 (c)를 참고하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제1 폐쇄도형(601) 내부에 기재된 필기 내용을 선택된 문장 또는 문단(P1)에 노트로 삽입한다.
또한, 도 8의 (b) 및 도 8의 (c)를 참고하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제1 폐쇄도형(601) 내부에 기재된 필기 내용을 정지된 시점의 동영상 캡션 내용으로 추가한다.
반면, S209 단계에서 특정 기능이 선택되지 않은 상태라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제1 폐쇄도형(601) 및 제2 폐쇄도형(603)에 포함된 명령어에 따른 단말 동작을 실행한다(S213). 예를들어, 제2 폐쇄도형(603)에 '검색'이 기재되어 있다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현재 실행된 'e-book' 어플리케이션에서 제1 폐쇄도형(601)에 기재된 필기 내용을 검색할 수 있다.
한편, S201 단계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이지 않은 경우, 즉 단말 대기 모드 상태로 판단된 경우라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필기 데이터를 해석(S215)하여 도 4와 같은 제1 폐쇄도형(601), 연결 기호(603) 및 제2 폐쇄도형(605)으로 구성되었는지와(S217),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219).
이때,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을 만족하면서 제1 폐쇄도형(601), 연결 기호(603) 및 제2 폐쇄도형(605)을 포함한다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제1 폐쇄도형(601) 및 제2 폐쇄도형(605)에 포함된 명령어에 따른 단말 동작을 실행한다(S221).
즉, 도 9의 (a)를 참조하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제2 폐쇄도형(605)에 '구글 검색'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도 9의 (b)와 같이, 구글로 접속하여 제1 폐쇄도형(601)의 내부에 기재된 필기 내용에 대한 구글 검색을 실행한다.
또한,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제2 폐쇄도형(605)에 '연락처'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도 10의 (b)와 같이, 제1 폐쇄도형(601)의 내부에 기재된 전화번호 및 이름을 주소록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한다.
또한,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제1 폐쇄도형(601)의 내부에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기재되어 있고, 제2 폐쇄도형(605)에 '연결'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도 11의 (b)와 같이, 제1 폐쇄도형(601)의 내부에 기재된 URL로 접속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패턴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패턴을 이용한 단말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 3의 구성과 연계하여 설명하며, 도 3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도 12를 참고하면, 전용 수신기(300)가 장착된 노트(200) 위에 전자펜(100)에 의해 작성된 명령어 패턴(700)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명령어 패턴(700)은 제1 폐쇄도형(701) 및 연결 기호(703)를 포함한다. 제1 폐쇄도형(701) 및 연결 기호(703)는 서로 이어져 있고, 시간의 연속선 상에서 전자펜(100)에 의해 작성된다.
이때, 제1 폐쇄도형(701)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단말장치(400)의 동작 내용을 지시하는 명령어가 포함된다.
다음, 도 13을 참고하여 도 12의 명령어 패턴(700)을 이용한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지 판단(S301)한 후, 필기 데이터를 해석한다(S303).
다음,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필기 데이터의 명령어 패턴(700)이 도 12와 같은 제1 폐쇄도형(701) 및 연결 기호(703)로 구성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05).
이때, 제1 폐쇄도형(701) 및 연결 기호(703)로 구성되었다면,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307). 즉, 제1 폐쇄도형(701) 및 연결 기호(703)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시간적 연속선상에서 그려져 있는지를 판단한다.
다음, S307 단계에서 구성 조건을 만족한 경우,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제1 폐쇄도형(701)에 포함된 명령어를 적용한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한다(S309).
즉, 도 14의 (a) 및 (b)를 참고하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현재 실행된 'e-book' 어플리케이션에서 제1 폐쇄도형(701)의 내부에 기재된 "초인종"을 검색한 후, 검색 화면(P5)을 팝업한다.
한편, S301 단계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이지 않은 경우, 즉 단말 대기 모드 상태로 판단된 경우라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필기 데이터를 해석(S311)하여 도 12와 같은 제1 폐쇄도형(701) 및 연결 기호(703)로 구성되었는지와(S313),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315).
이때,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을 만족하면서 제1 폐쇄도형(701) 및 연결 기호(703)를 포함한다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제1 폐쇄도형(701)에 포함된 명령어에 따른 단말 동작을 실행한다(S317).
즉, 도 15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제1 폐쇄도형(701)에 기재된 필기 내용의 해석에 따라 주소가 기재되어 있으므로,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기재된 주소를 검색하여 출력(P7)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용 노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용 노트의 구성도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전용 노트(600)는 일측에 전용 수신기(300)가 부착된다. 그리고 전용 노트(600)의 타측에는 특정 명령어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601)이 표시된다. 이러한 복수의 아이콘(601)은 '검색' 아이콘, '노트' 아이콘, '저장' 아이콘, '페이스북' 아이콘, '트위터' 아이콘 및 '실행' 아이콘을 포함한다.
여기서, '검색' 아이콘은 전자펜(100)으로 기재한 내용을 단말장치(도 1의 400)가 검색하도록 요청하는 명령어가 매칭된 아이콘이다.
'노트' 아이콘은 전자펜(100)으로 기재한 내용을 단말장치(400)가 'e-book'어플리케이션이나 메모장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에 삽입 또는 추가하도록 요청하는 명령어가 매칭된 아이콘이다.
'저장' 아이콘은 전자펜(100)으로 기재한 내용을 단말장치(400)가 주소록이나 일정에 저장하도록 요청하는 명령어가 매칭된 아이콘이다.
'페이스북' 아이콘은 전자펜(100)으로 기재한 내용을 단말장치(400)가 페이스북에 접속하여 저장하도록 요청하는 명령어가 매칭된 아이콘이다.
'트위터' 아이콘은 전자펜(100)으로 기재한 내용을 단말장치(400)가 트위터에 접속하여 저장하도록 요청하는 명령어가 매칭된 아이콘이다.
'실행' 아이콘은 전자펜(100)으로 기재한 내용을 단말장치(400)가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실행시키도록 요청하는 명령어가 매칭된 아이콘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펜(도 1의 100)으로 전용 노트(600)에 필기한 후, 화살표를 복수의 아이콘(601)의 하나의 아이콘과 연결하면, 연결된 아이콘에 매칭된 명령어를 전자펜(100)이 판독한다. 그리고 판독한 아이콘 및 필기된 내용을 전용 수신기(300)를 통해 단말장치(400)로 전송한다.
이때, 복수의 아이콘(601)은 전자펜(100)에 의해 도트 패턴(Dot Pattern) 인식 가능하도록 전용 노트(600)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전자펜(100)은 전용 노트(600) 상에서 복수의 아이콘(601)이 표시된 각 지점의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펜(100)이 인식 가능한 다양한 기술들을 채택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용 노트를 이용한 단말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전자펜(100)은 전용 노트(600)에 필기한 후 복수의 아이콘(601) 중 하나의 아이콘을 연결한다(S401).
다음, 전자펜(100)은 S401 단계에서 연결된 아이콘에 매칭된 아이콘에 매칭된 명령어를 인식한다(S403). 예를 들어, 연결된 아이콘의 도트 패턴을 인식하여 기 저장된 도트 패턴에 매칭된 명령어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연결된 아이콘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여 기 저장된 위치 정보에 매칭된 명령어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 전자펜(100)은 S401 단계에서 필기된 필기 데이터 및 S403 단계에서 인식한 명령어를 전용 수신기(300)로 전송한다(S405).
다음, 전용 수신기(300)는 단말장치(400)로 필기 데이터 및 명령어를 전송한다(S407).
다음, 단말장치(400)의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S407 단계에서 수신된 필기 데이터를 해석한다(S409).
다음, 단말장치(400)의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S407 단계에서 수신된 명령어에 따르고 S409 단계에서 해석한 필기 데이터를 적용한 단말 동작을 실행한다(S411).
즉, 도 18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전용 노트(600)에 전화번호(010-3434-3543)를 기재한 후, 실행 아이콘(601)에 화살표를 연결시킨다. 그러면, 도 18의 (b)와 같이, 단말장치(400)의 전자펜 입력 처리부(305)는 전화번호(010-3434-3543)로 전화를 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전자펜의 움직임을 추적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단계;
    상기 전자펜에 의해 생성된 필기 데이터를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필기 데이터를 해석한 결과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전자펜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수신기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데이터를 해석하여 기 정의된 명령어 패턴을 포함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정의된 명령어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명령어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지 또는 단말 대기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명령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명령어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데이터를 해석하여 문자 또는 도형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또는 도형 이미지가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을 만족하는 제1 폐쇄도형, 연결 기호 및 제2 폐쇄도형을 포함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제1 폐쇄도형 및 상기 제2 폐쇄도형에 기재된 명령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폐쇄도형 및 상기 제2 폐쇄도형에 기재된 명령어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기능이 선택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특정 기능이 선택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폐쇄도형 및 상기 제2 폐쇄도형에 포함된 명령어 및 선택된 기능을 결합한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이 기능이 선택된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폐쇄도형 및 상기 제2 폐쇄도형에 포함된 명령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데이터를 해석하여 문자 또는 도형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또는 도형 이미지가 기 정의된 구성 조건을 만족하는 제1 폐쇄도형 및 연결 기호를 포함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제1 폐쇄도형에 기재된 명령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폐쇄도형에 기재된 명령어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기능이 선택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특정 기능이 선택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폐쇄도형에 포함된 명령어 및 선택된 기능을 결합한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이 기능이 선택된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폐쇄도형에 포함된 명령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데이터 및 전용 노트에 표시된 복수의 특정 아이콘 중에서 상기 전자펜이 접촉하여 인식한 특정 아이콘에 매칭된 명령어를 수신하고,
    상기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데이터를 해석하는 단계; 및
    상기 필기 데이터의 해석 결과를 적용하여 상기 매칭된 명령어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10. 전자펜과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상기 전자펜이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상기 전자펜에 의해 생성된 필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전자펜 인터페이스부가 전달하는 필기 데이터를 해석하고, 상기 필기 데이터를 해석한 결과에 따른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전자펜 입력 처리부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 입력 처리부는,
    상기 필기 데이터를 해석하여 문자 또는 도형 이미지를 인식하고, 상기 문자 또는 도형 이미지가 기 정의된 명령어 패턴을 이루는지 판단하며, 상기 기 정의된 명령어 패턴을 이루는 경우, 상기 문자 또는 도형 이미지에 의한 명령어를 적용한 단말 동작을 구현하는 단말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 입력 처리부는,
    상기 전자펜이 전송한 필기 데이터 및 명령어를 해석하여 상기 필기 데이터 및 명령어를 적용한 단말 동작을 구현하고,
    상기 명령어는,
    전용 노트에 상기 전자펜이 인식 가능하도록 표시된 복수의 특정 아이콘 중에서 상기 전자펜이 접촉한 아이콘에 매칭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13. 노트에 직접 접촉하여 문자 또는 도형 이미지를 표기하기 위한 펜부;
    상기 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노트에 접촉되는 상기 펜부의 위치 정보, 상기 펜부에 가해지는 압력 및 운동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한 정보를 디지털 타입의 필기 데이터로 생성하는 전자펜 제어부; 및
    상기 전자펜 제어부가 생성한 상기 필기 데이터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기 데이터는 상기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전자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 제어부는,
    전용 노트에 상기 전자펜이 인식 가능하게 표시된 복수의 특정 아이콘 중에서 하나의 아이콘과 접촉하여 상기 하나의 아이콘에 매칭된 명령어를 인식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명령어 및 상기 필기 데이터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명령어 및 상기 필기 데이터는, 상기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전자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특정 아이콘이 표시된 지점의 패턴 또는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 또는 위치 정보에 매칭 저장된 명령어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펜의 동작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특정 아이콘은,
    상기 전자펜으로 기재된 내용을 검색하기를 요청하는 명령어와 매칭된 검색 아이콘;
    상기 전자펜으로 기재된 내용을 저장하기를 요청하는 명령어와 매칭된 저장 아이콘;
    상기 전자펜으로 기재된 내용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하기를 요청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이콘; 및
    상기 전자펜으로 기재된 내용을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실행하기를 요청하는 실행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펜.
KR1020120090254A 2012-08-17 2012-08-17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그 단말장치 및 전자펜 KR20140023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254A KR20140023785A (ko) 2012-08-17 2012-08-17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그 단말장치 및 전자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254A KR20140023785A (ko) 2012-08-17 2012-08-17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그 단말장치 및 전자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309A Division KR101520953B1 (ko) 2014-05-26 2014-05-26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785A true KR20140023785A (ko) 2014-02-27

Family

ID=50269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254A KR20140023785A (ko) 2012-08-17 2012-08-17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그 단말장치 및 전자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37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162B1 (ko) * 2014-03-12 2015-04-24 이명환 전자펜을 이용하는 정보 제공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US10990199B2 (en) 2018-07-30 2021-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gital pen
CN112860089A (zh) * 2021-02-08 2021-05-28 深圳市鹰硕教育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笔的控制方法和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162B1 (ko) * 2014-03-12 2015-04-24 이명환 전자펜을 이용하는 정보 제공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WO2015137715A1 (ko) * 2014-03-12 2015-09-17 이명환 전자펜을 이용하는 정보 제공 장치 및 그의 정보 제공 방법
US10990199B2 (en) 2018-07-30 2021-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gital pen
CN112860089A (zh) * 2021-02-08 2021-05-28 深圳市鹰硕教育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笔的控制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138368B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144794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US92982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object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US20150077362A1 (en) Terminal with fingerprint reader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through fingerprint reader
KR20100012088A (ko) 터치 스크린 기기들용 스크롤링 메커니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WO2011140061A1 (en) Directional pad on touchscreen
KR20160028823A (ko)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EP3405869B1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multitasking view
KR20140134018A (ko) 화면상에서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125671A (ko)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248757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creen data management
CN111338558B (zh) 电子书手写笔记显示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KR101520953B1 (ko)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장치
KR20140027838A (ko) 멀티 터치를 이용한 핸드 라이팅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40023785A (ko) 전자펜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그 단말장치 및 전자펜
EP27044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user input
KR102221223B1 (ko) 필기 컨텐츠를 작성하는 사용자 기기 및 방법
CN111273827B (zh) 一种文本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8013313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7032485A (zh) 基于触控笔的使用方法和装置
JP6449459B2 (ja) トグルインターフェース用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20062467A1 (en) Electronic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apparatus,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orlling thereof
KR20140092459A (ko) 메모 레이어와 어플리케이션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KR20140069461A (ko) 디지털 메모 기능을 갖는 터치 펜
KR20150100332A (ko) 스케치 검색 시스템,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