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691A - 방송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691A
KR20140023691A KR1020120089953A KR20120089953A KR20140023691A KR 20140023691 A KR20140023691 A KR 20140023691A KR 1020120089953 A KR1020120089953 A KR 1020120089953A KR 20120089953 A KR20120089953 A KR 20120089953A KR 20140023691 A KR20140023691 A KR 20140023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terest
broadcast
tag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1020120089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3691A/ko
Priority to EP13180454.4A priority patent/EP2699010A1/en
Publication of KR20140023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1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2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방송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관심 정보를 수집하는 관심 정보 수집부; 및 상기 관심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 태그 및 상기 관심 태그의 순위(관심 순위)를 결정하는 태그 결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심 태그 및 상기 관심 순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는 프로그램 가이드를 위해 스크린 상의 XYZ 좌표계상에서 XY, YZ, ZX 평면 중 어느 하나의 평면에 상기 결정된 관심 태그를 표시하고, 나머지 평면에 일반적 방송 정보를 표시하는 방송 정보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방송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V program information}
본 발명은 방송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그 플로우 방식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방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TV나 STB/PVR 내에서 방송 수신 혹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공되는 방송 정보 혹은 전자프로그램가이드(EPG)는 다양한 형태로 방송 프로그램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EPG는 현재 100개에서 10,000개가 넘는 다채널 시대에서 방대한 테이블 형태의 EPG는 시간별 방송 정보 화면을 바탕으로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시청한다는 것이 매우 불편하고 어려운 일이다. EPG의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채널별/시간대별 테이블 형태의 이차원적으로 제공되거나, 현재 방송되는 채널 정보만을 1차원적 나열 형태로 보여 주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EPG 정보를 편집해서 선호 채널 EPG 형태로 보여주기도 한다. 이는 모두 채널을 기준으로 정해진 채널을 정해진 순서대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 순서를 개인의 선호도에 따라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기존에는 TV 채널을 조정하기 위하여 리모컨 등으로 채널번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4방향키를 입력하여 채널 리스트를 브라우징(EPG/Mini EPG)하는 방식으로 제한되어 있었다. 이는 사용자가 방송 시스템에 맞추어 불필요하게 채널번호를 외워야 하거나 백 여개의 채널 리스트를 브라우징 하고자 4방향키 입력, Flicking(터치기반 RCU) 또는 Pointing(포인팅기반 RCU) 방식으로 원하는 채널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방송관련 정보를 직관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달하면서도 개인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에 대하여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방송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관심 정보를 수집하는 관심 정보 수집부; 및 상기 관심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 태그 및 상기 관심 태그의 순위(관심 순위)를 결정하는 태그 결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심 태그 및 상기 관심 순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는 프로그램 가이드를 위해 스크린 상의 XYZ 좌표계상에서 XY, YZ, ZX 평면 중 어느 하나의 평면에 상기 결정된 관심 태그를 표시하고, 나머지 평면에 일반적 방송 정보를 표시하는 방송 정보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관심 정보는 각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시청 관련 정보, 검색 정보 및 SNS 노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일반적 방송 정보는 채널 정보, 채널 별 현재 방영중인 프로그램 정보, 시간별 프로그램 방영정보, 각 프로그램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각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관심 태그가 표시되는 평면을 XY평면이라 가정할 때, 상기 일반적 방송 정보는 ZX평면에 평행한 제1 평면, ZX평면 및 YZ평면에 접하고 Z축에 평행한 제2 평면, YZ 평면에 평행한 제3 평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평면에는 채널 정보, 시간별 프로그램 방영정보 및 방영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 태그 정보 중 어느 하나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일반 태그 정보는 해당 프로그램에 포함된 등장 인물, 상품, 지역, 제작진, 장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3 평면에 상기 시간별 프로그램 방영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가정하면, 상기 제3 평면에는 y축 방향으로 시간 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평면에 상기 시간별 프로그램 방영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가정하면, 상기 제1 평면에는 x축 방향으로 시간 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z축 방향으로 채널별 정보가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관심 태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관심 태그에 대응하는 채널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관심 태그는 상기 관심 태그가 표시되는 해당 평면 상에서 플로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태그 결정부는 일정 시간을 주기로 관심 태그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에서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서비스 서버로부터 일반적 방송 정보 및 관심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스크린 상의 XYZ 좌표계상에서 XY, YZ, ZX 평면 중 어느 하나의 평면에 상기 결정된 관심 태그를 표시하고, 나머지 평면에 상기 일반적 방송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방송 정보를 직관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달받는 동시에 현재 방영 중인 프로그램들 중 시청률이 높거나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프로그램의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접근할 수 있다.
또한 관심 프로그램(My Favorite 프로그램)의 설정이 가능하며, 관심 프로그램의 Live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접근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102)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상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정보를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엔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헤드엔드(Head-end, 100) 및 헤드엔드(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방송 수신 장치(102)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엔드(100)는 미리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라이브 프로그램 또는 주문형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헤드엔드(100)는 다양한 방송 채널에 대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AV 신호)를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방송 신호를 방송 수신 장치(102)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102)는 헤드엔드(100)로부터 수신한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102)는 통상의 TV, 셋탑박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방송 신호의 수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방송 수신 장치(102)가 스크린인 TV와 연결된 셋탑박스인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엔드(100)는 복수의 방송 수신 장치(102)로부터 시청 관련 정보(시청 채널 정보, 시청 주문형 프로그램 정보 또는 선호 채널 정보)를 수집하며, 또한 소정의 검색 서버 또는 SNS 서버와 연결되어 검색어 및 각 검색어의 검색 순위를 포함하는 검색 정보 및 SNS 노출 정보와 같은 관심 정보를 수집한다. 헤드엔드(100)는 수집된 관심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 태그를 결정하며, 이를 방송 수신 장치(102)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헤드엔드(100)가 상기와 같이 방송 수신 장치(102)와 연결되어 관심 태그를 제공하는 장치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할 것이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별도의 서비스 서버가 방송 수신 장치(102)와 연결되어 동적 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 헤드엔드(100)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헤드엔드(100)는 별도의 서비스 서버와 접속되어, 별도의 서비스 서버로부터 관심 태그를 수신하고, 수신한 관심 태그를 방송 수신 장치(102)로 제공할 수도 있다.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102)는 일반적 방송 정보 및 관심 태그를 헤드엔드(100)로부터 수신하여 도 2 내지 도 4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프로그램 가이드)를 출력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화면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에서 표시되는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102)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상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정보를 표시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적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먼저 공간좌표계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공간 좌표계는 XYZ의 3축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좌표계 상에서 다양한 방송 정보를 종류 별로 표시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평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평면은 ZX평면에 평행하거나 ZX평면상에 위치한다. 제3 평면은 YZ평면에 평행하거나 YZ평면 상에 위치한다. 제2 평면은 Z축에 평행하며, 제1 평면과 제3 평면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제4 평면은 XY평면에 평행하거나 XY평면상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는 위와 같이 정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제4 평면을 저면으로 한 상태에서 나머지 평면들이 각각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는 한 z축에 평행한 다수의 평면으로 더 분할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평면, 제2 평면, 제3평면 및 제4평면이 스크린(screen)상에 표시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가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의 시점은 XY평면의 상부에서 원점을 향하여 내려다보는 방식이 된다.
이러한 유저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방송 정보는 일반적 방송 정보와, 관심 정보에 따른 관심 태그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 방송 정보라 함은 채널정보, 채널 별 현재 방영중인 프로그램 정보, 시간별 프로그램 방영정보, 각 프로그램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각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 태그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각 프로그램에 대한 이미지, 동영상, 멀티미디어 클립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일반 태그 정보에는 각 프로그램에 포함된 등장 인물, 상품, 지역, 제작진, 장르 등의 주요 키워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방송 정보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먼저, 제1 평면, 제2 평면 및 제3 평면에는 일반적인 방송 정보들이 표시되며, 제4 평면 상에는 관심 태그가 표시될 수 있다.
제2 평면에는 채널 번호 등을 포함하는 채널 식별 정보가 표시된다. 이 때 Z축을 따라 채널이 구분되도록 표시된다. 한편, 각 채널 식별 정보에는 앞서 설명한 각 프로그램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로는 구체적으로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예고 동영상, 포스터 이미지, 대표 이미지, 플래쉬 무비와 같은 멀티미디어 클립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제2 평면에는 Z축 방향으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각 영역별로 채널번호와 함께 해당 채널에서 현재 방영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멀티미디어 클립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평면은 Z축 방향으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즉, 제1 평면은 제2 평면과 동일한 방식으로 또한 제2 평면의 각 구분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을 구비하도록 구분된다. 제1 평면상에 구비된 각 영역에는 이에 대응하는 제2 평면 상의 채널 또는 제2 평면 상의 채널에서 방영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 태그들을 표시한다. 즉, 제1 평면의 각 영역에는 각 영역에 대응하는 제2 평면상의 채널 또는 현재 방영중인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등장인물, 상품 또는 지역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평면상의 일 구분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가 채널 10과 방영중인 A 프로그램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인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제1 평면상의 구분 영역에는 " A 프로그램의 등장인물인 B가 착용하고 있는 상품 C"와 같은 일반적인 태그가 표시될 수 있다.
제3 평면 또한 제1 평면과 동일한 방식으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3 평면은 제2 평면에 구분된 영역과 대응하도록 구분될 수 있다. 제3 평면은 시간 별 프로그램 방영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Y축 방향을 따라 시간 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Y축을 시간축으로 설정하여 각 프로그램의 방영시간에 따라 Y축상의 위치를 달리하여 각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표시되는 각 프로그램 정보에는 프로그램의 제목과 방영시간이 포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주요 등장인물 등의 정보나 스포츠 프로그램의 경우 경기 종목, 경기 팀 정보 등 프로그램의 주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4 평면에는 관심 태그가 표시될 수 있다.
헤드엔드(100)는 프로그램 인기도, 프로그램의 인터넷 검색 순위, SNS 노출 순위, 사용자가 선정한 선호 채널과 같은 관심 정보를 반영하여 관심 태그를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관심 태그는 병렬적 방식 또는 계층적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관심 태그가 병렬적 방식인 경우에는 단순히 프로그램의 인기도, 프로그램 자체 또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컨텐츠가 인터넷 상에서 노출된 빈도 또는 검색된 빈도수, SNS 노출 순위 또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선호 채널을 반영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태그일 수 있으며, 관심 태그가 계층적 방식인 경우에는 상위 태그 및 이에 종속되는 하위 태그가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의 인기도, 프로그램 자체 또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컨텐츠가 인터넷 네트워크 상에서 노출된 빈도 또는 검색된 빈도수, SNS 노출 순위 또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선호 채널에 따른 프로그램명이 상위 태그일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과 관련된 컨텐츠는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인물, 상품 및 지역 등과 같은 특정 대상이 있는 경우뿐 아니라, 프로그램으로부터 유래된 하이라이트, 재편집 영상, 사진, 이미지, BGM 등 다양한 문화적 컨텐츠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심 태그는 제4 평면 상에 플로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4 평면상의 공간상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수의 관심 태그가 제4 평면을 흘러 지나가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관심 태그는 최신의 관심 정보를 반영하도록 일정한 시간을 주기로 갱신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엔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엔드(100)는 관심 정보 수집부(500) 및 관심 태그 결정부(502)를 포함할 수 있다.
관심 정보 수집부(500)는 복수의 방송 수신 장치(102)로부터 시청 관련 정보(시청 채널 정보 및 시청 주문형 프로그램 정보)를 수집하며, 또한 소정의 검색 서버 또는 SNS 서버와 연결되어 검색 정보 및 SNS 노출 정보와 같은 관심 정보를 수집한다.
태그 결정부(502)는 상기와 같이 수집된 관심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 태그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태그 결정부(502)는 상기한 관심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프로그램 인기도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그램 인기도는 라이브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시청률 및 주문형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전체 요청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태그 결정부(502)는 프로그램 인기도, 검색 순위 및 SNS 노출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관심 태그를 결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태그 결정부(502)는 병렬적 또는 계층적 방식으로 관심 태그 및/또는 그에 대응하는 하위 태그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태그 결정부(502)는 프로그램 인기도, 프로그램의 인터넷 검색 순위, SNS 노출 순위, , 각 TV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인물명, 사물명, 관련 검색어 및 관련 멀티미디어 컨텐츠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반영하여 관심 태그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병렬적 방식으로 태그를 결정하는 경우 태그 결정부(502)는 TV 프로그램들을 인기도에 따라 정해진 개수만큼 선정하거나, TV 프로그램에 포함된 인물, 상품, 지역명 등을 병렬적으로 관심 태그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태그 결정부(502)는 최신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을 주기로 관심 태그를 소정 주기로 갱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 방송 정보 및 관심 태그는 방송 수신 장치(102)로 전송되며, 방송 수신 장치(102)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도 2 내지 도 4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상기에서는 헤드엔드(100)가 관심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 태그를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헤드엔드(100)가 관심 정보를 방송 수신 장치(102)로 전송하고, 방송 수신 장치(102)가 이를 이용하여 관심 태그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102)는 수신부(600), 표시 제어부(602) 및 채널 조정부(60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600)는 헤드엔드(100)로부터 일반적 방송 정보 및 관심 태그를 수신한다.
표시제어부(602)는 일반적 방송 정보와 관심 태그를 스크린(606)상에 표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제어부(602)는 공간 좌표계 상에서 어느 한 평면에 대하여 관심 태그를 표시하며, 나머지 평면에 대하여는 일반적으로 헤드엔드(100)로부터 수신된 방송 정보를 종류별로 구분하여 표시하게 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602)는 사용자가 기 설정한 설정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표시된 관심 태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 클릭, 터치 등의 방법으로 자신의 선택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해당 관심 태그와 관련된 하위 태그들을 관심 태그가 표시된 영역에 대체적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위 태그들의 표시 방식도 관심 태그들의 표시방식과 같이 플로우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채널 조정부(604)는 사용자에 의하여 기 설정된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어느 한 평면에 표시된 관심 태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관심 태그에 대응하는 채널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하위 태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기 설정된 상태에 따라 선택된 하위 태그에 대응하는 채널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태그 플로우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방송 정보 제공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4)

  1.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방송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관심 정보를 수집하는 관심 정보 수집부; 및
    상기 관심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 태그 및 상기 관심 태그의 순위(관심 순위)를 결정하는 태그 결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심 태그 및 상기 관심 순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방송 수신 장치는 프로그램 가이드를 위해 스크린 상의 XYZ 좌표계상에서 XY, YZ, ZX 평면 중 어느 하나의 평면에 상기 결정된 관심 태그를 표시하고, 나머지 평면에 일반적 방송 정보를 표시하는 방송 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정보는 각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시청 관련 정보, 검색 정보 및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노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정보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적 방송 정보는 채널 정보, 채널 별 현재 방영중인 프로그램 정보, 시간별 프로그램 방영정보, 각 프로그램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각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정보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태그가 표시되는 평면을 XY평면이라 가정할 때, 상기 일반적 방송 정보는 ZX평면에 평행한 제1 평면, ZX평면 및 YZ평면에 접하고 Z축에 평행한 제2 평면, YZ 평면에 평행한 제3 평면에 표시되는 방송 정보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평면에는 채널 정보, 시간별 프로그램 방영정보 및 방영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 태그 정보 중 어느 하나가 각각 표시되는 방송 정보 제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태그 정보는 해당 프로그램에 포함된 등장 인물, 상품, 지역, 제작진, 장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정보 제공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평면에 상기 시간별 프로그램 방영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가정하면, 상기 제3 평면에는 y축 방향으로 시간 별 정보가 표시되는 방송 정보 제공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에 상기 시간별 프로그램 방영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가정하면, 상기 제1 평면에는 x축 방향으로 시간 별 정보가 표시되는 방송 정보 제공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z축 방향으로 채널별 정보가 구분되어 표시되는 방송 정보 제공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관심 태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관심 태그에 대응하는 채널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방송 정보 제공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태그는 상기 관심 태그가 표시되는 해당 평면 상에서 플로우 방식으로 표시되는 방송 정보 제공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결정부는 일정 시간을 주기로 관심 태그를 갱신하는 방송 정보 제공 장치.
  13. 방송 수신 장치에서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서비스 서버로부터 일반적 방송 정보 및 관심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스크린 상의 XYZ 좌표계상에서 XY, YZ, ZX 평면 중 어느 하나의 평면에 상기 결정된 관심 태그를 표시하고, 나머지 평면에 상기 일반적 방송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정보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태그는 상기 관심 정보는 각 방송 수신 장치에서의 시청 관련 정보, 검색 정보 및 SNS 노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되며,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관심 태그를 상기 관심 태그가 표시되는 해당 평면 상에서 플로우 방식으로 표시하는 방송 정보 제공 방법.
KR1020120089953A 2012-08-17 2012-08-17 방송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23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953A KR20140023691A (ko) 2012-08-17 2012-08-17 방송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EP13180454.4A EP2699010A1 (en) 2012-08-17 2013-08-14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953A KR20140023691A (ko) 2012-08-17 2012-08-17 방송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691A true KR20140023691A (ko) 2014-02-27

Family

ID=4895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953A KR20140023691A (ko) 2012-08-17 2012-08-17 방송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699010A1 (ko)
KR (1) KR20140023691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3018B2 (en) * 2006-02-17 2013-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US10373079B2 (en) * 2008-12-18 2019-08-06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ecommendations from descriptive information
KR20100132375A (ko) * 2009-06-09 2010-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Epg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99010A1 (en)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57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content
US10015540B2 (en)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display device thereof
CA2823532C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through content in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US201402234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pdating a search request
KR101268133B1 (ko) 프로그램 정보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US201301799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through related content based on a profile associated with a user
US1162215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mmending media assets based on the geographic location at which the media assets are frequently consumed
US201400894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objects displayed in a media asset
US201302577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content on a user equipment having a multi-region touch sensitive display
KR20220121911A (ko) 증강 현실에서 보충 콘텐츠를 제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3034703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er-induced content insertion
US89665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multiple assets in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WO20150894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bining media recommendations from multiple recommendation engines
WO20120405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uch-based media guidance
US201301742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three-dimensional objects in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US201802884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custom media presentations
US2014024535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media listings
JP6212404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US2016017979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ng identifiers for media content
KR20140023691A (ko) 방송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400899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shortcuts in free spaces of a program guide
Jovanov et al. One solution of visualizing Internet based EPG data combined with additional Internet content on an Android based set-top box
EP2888887A1 (en) Television receiver
KR20140022138A (ko) 동적 태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2016019201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media ass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