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665A - Karaoke system using synthesized image - Google Patents

Karaoke system using synthesized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665A
KR20140023665A KR1020120089878A KR20120089878A KR20140023665A KR 20140023665 A KR20140023665 A KR 20140023665A KR 1020120089878 A KR1020120089878 A KR 1020120089878A KR 20120089878 A KR20120089878 A KR 20120089878A KR 20140023665 A KR20140023665 A KR 20140023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mage
voice
karaoke system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8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77208B1 (en
Inventor
노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자인피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자인피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자인피버
Priority to KR1020120089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208B1/en
Publication of KR20140023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6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2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8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displaying animated or moving pictures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r audio pa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araoke system using a composite video. A karaoke system for providing the accompaniment of a song selected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oice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voice of the user;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accompaniment and the voice of the user; a mo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motion of the user to create a motion video; a video processing unit for creating a composite video in which special effects applied to the motion video in real time are synthesized, based on a predetermined video profile; and a video output unit for projecting the composite video onto a screen, wherein the special effects are changed in real time, based on at least one among the motion of the user, the accompaniment, or the voice of the user. Thus, when the user sings a song, a video in which special effects applied to the motion of the user in real time are synthesized is provided for the user,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be more interested in the singing. [Reference numerals] (104) Voice input unit; (106) Voice output unit; (108) motion recognition unit; (110) Image processing unit; (112) Image output unit; (114) control terminal

Description

합성 영상을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KARAOKE SYSTEM USING SYNTHESIZED IMAGE}Karaoke system using composite video {KARAOKE SYSTEM USING SYNTHESIZED IMAGE}

본 발명은 합성 영상을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araoke system using a composite image.

노래방은 일반인들이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가사를 보면서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해주는 장소를 말한다. 이러한 노래방은 여러 나라에서 수 십년간 성행하면서 하나의 오락 문화로서 정착되어 왔다.Karaoke is a place where ordinary people can sing while watching the lyrics displayed on the monitor. This karaoke has been established as an entertainment culture for decades in many countries.

종래의 노래방에서는 수많은 노래의 반주와 가사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있는 반주기에 원하는 노래의 코드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노래의 반주와 함께 가사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기본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즐길 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노래 배틀 기능, 댄스 따라하기 기능, 동영상 업로드 기능 등이 추가로 서비스된다. In the conventional karaoke, if you enter the code number of the desired song in the accompaniment that stores the database of accompaniment and lyrics of a number of songs, the lyrics are displayed along with the accompaniment of the song. In addition to these basic functions, in order to provide a variety of entertainment, song battle, dance follow-up function, and video upload function are additionally provided.

그런데 종래의 노래방 시스템에서는 모니터 화면에 가사와 함께 뮤직 비디오 와 같이 미리 저장된 영상만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러한 종래의 노래방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재생하는 것도 불가능하며,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기도 어렵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karaoke system, only the pre-stored image such as a music video is displayed on the monitor screen together with the lyrics. In such a conventional karaoke system, it is impossible to reproduce a video desired by the user, and it is difficult to induce interest of the user.

본 발명은 사용자가 노래를 부를 때, 사용자의 동작에 실시간으로 적용되는 특수 효과가 합성된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흥미를 느끼게 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araoke system that can make the user feel more interesting by providing a composite image of a special effect applied to the user's motion in real time when the user sings.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의 반주를 제공하는 노래방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상기 반주 및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동작 영상을 생성하는 동작 인식부, 미리 설정된 영상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동작 영상에 실시간으로 적용되는 특수 효과가 합성된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합성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특수 효과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 상기 반주 또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araoke system that provides accompaniment of a song selected by a user. A motion recognition unit for generating a motion image by recognizing the image, and an image processor for generating a synthesized image obtained by synthesizing a special effect applied to the motion image in real time according to a preset image profile; And an image output unit for projecting the composite image onto the screen, wherein the special effect is changed in real tim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user's motion, the accompaniment, or the user's voic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노래를 부를 때, 사용자의 동작에 실시간으로 적용되는 특수 효과가 합성된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흥미를 느끼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sing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feel more interesting by providing an image synthesized with a special effect applied to the user's motion in real ti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노래방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노래방 시스템에서 특수 효과가 합성된 합성 영상의 예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노래방 시스템에서 특수 효과가 합성된 합성 영상의 예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노래방 시스템에서 영상이 스크린 상에 투사되는 예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노래방 시스템에서 영상이 스크린 상에 투사되는 예시.
1 is a block diagram of a karao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karaoke configur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a composite image synthesized with a special effect in the karao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illustration of a composite image synthesized with a special effect in the karao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in which the image is projected on the screen in the karao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ample in which the image is projected on the screen in the karao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ich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노래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karao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노래방 시스템(102)은 음성 입력부(104), 음성 출력부(106), 동작 인식부(108), 영상 처리부(110), 영상 출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karaoke system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ice input unit 104, a voice output unit 106, a motion recognition unit 108, an image processing unit 110, and an image output unit 112. can do.

음성 입력부(104)는 예컨대 마이크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다. 또한 음성 출력부(106)는 예컨대 스피커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이나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의 반주를 출력한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노래방 시스템(102)은 사용자의 음성을 변조하는 음성 변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oice input unit 104 receives a user's voice, such as a microphone. In addition, the audio output unit 106 outputs the user's voice or accompaniment of the song selected by the user, such as a speaker.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karaoke system 102 may further include a voice modulator for modulating a user's voice.

동작 인식부(102)는 노래방 시스템 내의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고, 동작 영상을 생성한다. 예컨대 동작 인식부(102)는 적외선 카메라, 깊이 이미지(depth image) 촬영용 CMOS 카메라, 컬러 이미지(color image) 촬영용 CMOS 카메라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촬영하고, 촬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동작 영상을 생성한다.The motion recognition unit 102 recognizes a user's motion in the karaoke system and generates a motion image. For example, the motion recognition unit 102 includes an infrared camera, a CMOS camera for photographing a depth image, and a CMOS camera for photographing a color image to capture a user's motion, and based on the photographed data, the user's motion image. Create

영상 처리부(110)는 동작 인식부(102)에서 생성된 동작 영상에 실시간으로 적용되는 특수 효과가 합성된 합성 영상을 생성한다. 예컨대 영상 처리부(110)는 동작 인식부(102)에서 생성된 동작 영상에 색상 변화, 채도 변화, 명도 변화, 화면 왜곡, 회전 등 다양한 특수 효과를 실시간으로 적용시켜 합성 영상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특수 효과의 종류 및 적용에 대한 정보는 미리 설정된 영상 프로파일에 저장될 수 있으며, 영상 처리부(110)는 이러한 영상 프로파일에 따라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or 110 generates a synthesized image obtained by synthesizing a special effect applied to the motion image generated by the motion recognition unit 102 in real time.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or 110 generates a composite image by applying various special effects such as color change, saturation change, brightness change, screen distortion, and rotation in real time to the motion image generated by the motion recognition unit 102. Information about the type and application of the special effects may be stored in a preset image profile, and the image processor 110 may generate a composite image according to the image profile.

한편, 이러한 특수 효과는 사용자의 동작, 반주 또는 사용자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속의 사용자가 움직일 때 마다 영상의 색상이나 왜곡의 정도가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출력부(106)를 통해 출력되는 반주나 사용자의 음성의 볼륨에 따라 해당 영상의 특수 효과가 달라질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special effect may change in real tim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user's motion, accompaniment or the user's voice. For example, whenever the user moves in the image, the color or the degree of distortion of the image may change. In addition, the special effects of the corresponding video may vary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accompaniment or the user's voice output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106.

영상 출력부(112)는 영상 처리부(110)에 의해 생성된 합성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한다. 영상 출력부(112)는 이 밖에도 노래 가사, 사용자 지정 텍스트, 사용자 지정 영상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미디어 파사드(Media Facade) 또는 디지털 그라피티(Digital Graffiti)와 같은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기술을 활용하여 스크린 상에 합성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노래방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The image output unit 112 projects the composite image generated by the image processor 110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image output unit 112 may output song lyrics, user specified text, user specified images,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composite image on the screen by using a digital signage technology such as a media facade or digital graffiti, so that karaoke users can feel more interesting. do.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시스템은 노래 목록 데이터, 반주 및 가사 데이터, 영상 데이터, 영상 프로파일 데이터, 특수 효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노래 목록 데이터, 반주 및 가사 데이터, 영상 데이터, 영상 프로파일 데이터, 특수 효과 데이터는 외부 서버로부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the karao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not shown) for storing at least one of song list data, accompaniment and lyrics data, image data, image profile data, and special effect data. Such song list data, accompaniment and lyrics data, video data, video profile data, and special effect data may be provided from an external server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시스템은 제어 단말(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단말(114)은 일반 노래방에서 사용되는 리모컨 형태의 단말일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이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karao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terminal 114. The control terminal 114 may be a terminal in the form of a remote control used in a general karaok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display such as a touch screen, may be a terminal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mobile phone, smart phone, tablet PC.

이러한 제어 단말(114)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질 수 있다.Such a control terminal 114 may have the following functions.

- 노래 검색 기능, 노래 예약 기능, 영상 프로파일 선택 기능, 유무선 통신 기능-Song search function, song reservation function, video profile selection function,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 특수 효과(색상 변화, 채도 변화, 명도 변화, 화면 왜곡, 회전) 선택 또는 조절 기능-Select or adjust special effects (color change, saturation change, brightness change, picture distortion, rotation)

- 사용자 지정 텍스트 또는 사용자 지정 영상 입력 또는 선택 기능-Custom text or custom video input or selection

- 사진, 동영상 촬영 및 공유 기능-Take photos and share videos

- 기타 유무선 통신 기능을 활용한 SNS, 이메일 기능
-SNS, email function using other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방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karaoke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스크린으로 활용되는 벽면(202)을 갖는 노래방 내부에는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204), 음성 및 반주를 출력하는 스피커(206),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동작 영상을 생성하는 동작 인식 모듈(208) 등이 구비된다. 또한 영상 처리부, 음성 변조부, 저장부, 통신부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 제어 모듈(208)도 구비된다. 또한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와 각종 기능 제어를 위한 제어 단말도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2, a projector 204 for outputting an image, a speaker 206 for outputting voice and accompaniment, and a user's motion are generated in a karaoke having a wall 202 used as a screen. Motion recognition module 208 and the like. In addition, a system control module 208 including an image processor, a voice modulator, a storage unit, a communication unit, and the like is also provided. Also, although not shown in FIG. 2,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user's voice and a control terminal for controlling various functions are also provided.

도 2와 같은 본 발명의 노래방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제어 단말을 통해 자신이 부르고 싶은 노래를 선곡한다. 즉, 사용자는 제어 단말을 통해 시스템 제어 모듈(208)의 저장부 또는 외부 서버에 저장된 곡을 검색하고, 선택하고, 예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206)에서는 반주가 출력되며, 동시에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도 출력된다. 제어 단말을 통한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은 변조되어 출력될 수 있다.In the karaok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user selects a song that he wants to sing through the control terminal. That is, the user may search for, select, and reserve a song stored in a storage unit or an external server of the system control module 208 through the control terminal. Accordingly, the accompaniment is output from the speaker 206, and the voice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is also outpu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user through the control terminal, the user's voice may be modulated and output.

한편, 사용자의 동작은 동작 인식 모듈(108)에 의해 인식되어 동작 영상이 생성된다. 그러면 시스템 제어 모듈(208)은 미리 설정된 영상 프로파일에 따라 생성된 동작 영상에 실시간으로 특수 효과를 적용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한다. 도 3 및 도 4는 이렇게 생성된 합성 영상의 예시(302, 402)를 나타낸다. 이러한 합성 영상(302, 402)에 적용되는 특수 효과(색상 변화, 채도 변화, 명도 변화, 화면 왜곡, 회전)는 제어 단말 상에 구현되는 제어 패널(304, 404)을 통해 조절 가능하다.Meanwhile, the motion of the user is recognized by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108 to generate a motion image. Then, the system control module 208 generates a composite image by applying a special effect in real time to the operation image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set image profile. 3 and 4 show examples 302 and 402 of the composite image thus generated. The special effects (color change, saturation change, brightness change, screen distortion, rotation) applied to the synthesized images 302 and 402 may be adjusted through the control panels 304 and 404 implemented on the control terminal.

이렇게 생성된 합성 영상은 프로젝터(204)를 통해 스크린, 즉 노래방의 벽면에 투사된다.The generated composite image is projected on the screen, that is, the wall of the karaoke room, through the projector 204.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합성 영상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미리 지정되어 있는 어떠한 종류의 영상도 스크린 상에 출력 가능하다. 예컨대 도 5와 같이 노래 분위기에 따라 미리 지정된 영상, 이미지 등이 노래방의 벽면 상에 출력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제어 단말에 저장해 놓았거나 현장에서 직접 찍은 사진 등을 벽면 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사용자가 현장에서 직접 입력한 텍스트를 그대로 벽면 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동작 인식 모듈(208)을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할 수 있다.
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synthesized image but also any kind of image selected or predefined by the user may be output on the scree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a predetermined image, an image, or the like may be output on a wall of a karaoke room, or a picture stored in a control terminal or directly taken by a user may be output on a wall.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text directly input by the user in the field may be output on the wall as it is. Such an image may change in real time according to a user's motion recognized through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208.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Claims (7)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의 반주를 제공하는 노래방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상기 반주 및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동작 영상을 생성하는 동작 인식부;
미리 설정된 영상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동작 영상에 실시간으로 적용되는 특수 효과가 합성된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합성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특수 효과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 상기 반주 또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노래방 시스템.
In the karaoke system that provides the accompaniment of the song selected by the user,
A voice input unit for receiving a voice of a user;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accompaniment and the user's voice;
A motion recognition unit for generating a motion image by recognizing a motion of a user;
An image processor configured to generate a synthesized image obtained by synthesizing a special effect applied to the operation image in real time according to a preset image profile; And
An image output unit for projecting the composite image on the screen,
The special effect
Changing in real tim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user's motion, the accompaniment or the user's voice
Karaok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효과는
제어 단말에 의해 선택 또는 조절되는
노래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pecial effect
Selected or controlled by the control terminal
Karaoke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은
노래 검색 기능, 노래 예약 기능, 영상 프로파일 선택 기능, 유무선 통신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노래방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terminal
Having at least one of a song search function, a song reservation function, a video profile selection function, and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Karaok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변조하는 음성 변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변조부는
제어 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노래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voice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user's voice,
The voice modulator
Controlled by the control terminal
Karaok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부는
노래 가사, 사용자 지정 텍스트, 사용자 지정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스크린에 투사하고,
상기 사용자 지정 텍스트 또는 사용자 지정 영상은
제어 단말에 의해 입력 또는 선택되는
노래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mage output unit
Project at least one of song lyrics, custom text, and custom images onto the screen,
The custom text or custom video
Input or selected by the control terminal
Karaok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노래 목록 데이터, 반주 및 가사 데이터, 영상 데이터, 영상 프로파일 데이터, 특수 효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노래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which stores at least one of song list data, accompaniment and lyrics data, image data, image profile data, and special effect data.
Karaoke system.
제6항에 있어서,
노래 목록 데이터, 반주 및 가사 데이터, 영상 데이터, 영상 프로파일 데이터, 특수 효과 데이터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노래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Song list data, accompaniment and lyrics data, image data, image profile data, and special effect data
From an external serv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Karaoke system.
KR1020120089878A 2012-08-17 2012-08-17 Karaoke system using synthesized image KR1013772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878A KR101377208B1 (en) 2012-08-17 2012-08-17 Karaoke system using synthesized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878A KR101377208B1 (en) 2012-08-17 2012-08-17 Karaoke system using synthesized i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665A true KR20140023665A (en) 2014-02-27
KR101377208B1 KR101377208B1 (en) 2014-03-21

Family

ID=5026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878A KR101377208B1 (en) 2012-08-17 2012-08-17 Karaoke system using synthesized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20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0492A1 (en) * 2017-08-21 2019-02-28 Smule, Inc. Audio-visual effects system for augmentation of captured performance based on content thereof
US11488569B2 (en) 2015-06-03 2022-11-01 Smule, Inc. Audio-visual effects system for augmentation of captured performance based on content thereof
CN115484466A (en) * 2021-05-31 2022-12-16 海信集团控股股份有限公司 Display method and server for on-line singing video
KR102636480B1 (en) * 2023-11-28 2024-02-13 윤주희 Artificial Intelligence Image Cre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667B1 (en) * 2014-11-03 2015-07-22 (주)나라소프트 Karaoke system using projector
KR102391963B1 (en) 2020-07-28 2022-04-27 부두완 Ser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collections based on user experience data
KR102620198B1 (en) 2023-08-31 2024-01-02 주식회사 와이드테크 Television board equipped with wireless input module and television devic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6300A (en) * 2004-10-26 2006-05-18 Yamaha Corp Karaoke machine
KR100681698B1 (en) * 2005-04-06 2007-02-15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Digital wireless microphone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of voice/operating signal in karaoke device and Karaoke system using the digital wireless micropho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8569B2 (en) 2015-06-03 2022-11-01 Smule, Inc. Audio-visual effects system for augmentation of captured performance based on content thereof
WO2019040492A1 (en) * 2017-08-21 2019-02-28 Smule, Inc. Audio-visual effects system for augmentation of captured performance based on content thereof
CN115484466A (en) * 2021-05-31 2022-12-16 海信集团控股股份有限公司 Display method and server for on-line singing video
KR102636480B1 (en) * 2023-11-28 2024-02-13 윤주희 Artificial Intelligence Image Cre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7208B1 (en) 201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208B1 (en) Karaoke system using synthesized image
CN107172497B (en) Live broadcast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WO2020042827A1 (en) Network work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erver and storage medium
US20150080072A1 (en) Karaoke and dance game
US201301279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for mobile terminal
CN112533037B (en) Method for generating Lian-Mai chorus works and display equipment
CN113542624A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commodity object explanation video
CN113302945A (en) Augmented reality filter for captured audiovisual performances
CN105094523A (en) 3D anima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JP2019004243A (en)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system
CN112073770A (en) Display device and video communication data processing method
CN113115083A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101414217B1 (en) Real time image synthesis apparatus and image synthesis method
CN112783316A (en) Augmented reality-base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200028830A (en) Real-time computer graphics video broadcasting service system
US20200349976A1 (en) Movies with user defined alternate endings
JP5310682B2 (en) Karaoke equipment
KR101221540B1 (en) Interactive media mapp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2911354B (en) Display apparatus and sound control method
JP7442979B2 (en) karaoke system
KR101116538B1 (en) Choreography production system and choreography production method
CN112533023A (en) Method for generating Lian-Mai chorus works and display equipment
CN112073777A (en) Voice interac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KR101640410B1 (en) Multiple digital interacting method and system
Muench An Evening at the Ballroom: Whatever Happened to Televanil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