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547A -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및 대여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및 대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547A
KR20140023547A KR1020120089530A KR20120089530A KR20140023547A KR 20140023547 A KR20140023547 A KR 20140023547A KR 1020120089530 A KR1020120089530 A KR 1020120089530A KR 20120089530 A KR20120089530 A KR 20120089530A KR 20140023547 A KR20140023547 A KR 20140023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terminal
information
public
r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9806B1 (ko
Inventor
최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엔
Priority to KR1020120089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806B1/ko
Publication of KR20140023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2003/005Supports or hold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bike ren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Abstract

자전거 스테이션에 설치되며 공공자전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와, 거치대와 선택적으로 잠금 및 해제되는 거치대 잠금유닛을 가지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자전거 대여승인정보를 수신시 거치대 잠금유닛을 잠금 해제하며 공공자전거에 설치되는 자전거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된 공공자전거 대여승인 요청정보 또는 공공자전거 반납승인 요청정보를 전달받아 저장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기로 공공자전거 대여승인정보 또는 반납승인정보를 송신하는 관리센터를 포함하며, 공공자전거 대여승인 요청정보 및 공공자전거 반납승인 요청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회원정보와 대여하거나 반납할 공공자전거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며, 공공자전거의 식별정보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공자전거에 구비된 광학코드를 인식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및 대여방법{A SYSTEM AND METHOD FOR LENTAL USING A SAM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스마트폰) 간의 통신을 통해 자전거의 대여 과정이 이루어질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도심지에서는 건강을 위해서는 물론, 대중 교통 수단을 대체하는 교통 수단으로서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자전거는 일반적인 이동수단과 달리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오염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자전거를 이동수단으로서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고 있다.
또한, 자전거는 운동을 겸한 레저의 한 수단으로서 인식되면서 자전거를 이용하여 운동을 즐기는 사용자 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운동을 위해 시간을 내기 어려운 직장인들 가운데는 운동을 겸해 출퇴근시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의 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자전거는 근거리 통학 및 출퇴근 수단으로써 경비절감과 건강증진이라는 여러 가지 이점을 얻을 수 있어 그 활용성이 급격하게 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자전거의 이용을 증대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각 지자체나 정부에서는 역이나, 공원 등에서 자전거를 대여해주는 공공서비스를 확대 시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일반인에게 대여할 공공자전거를 보관 관리하는데 따른 관리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공공자전거의 대여 및 반납업무를 처리하는데 따른 관리비용이 증가하고, 이용자들은 복잡한 대여 및 반납절차로 인한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자전거 이용자는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대여하고 반납하기를 원하지만, 자전거 대여소에서는 24시간 대여 및 반납업무를 처리하는데 따른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공공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한계가 있으며, 공공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공공자전거의 대여 및 반납절차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공공자전거의 회수 및 재배치 절차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한 자전거 회수 및 재배치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은, 자전거 스테이션에 설치되며, 공공자전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와 선택적으로 잠금 및 해제되는 거치대 잠금유닛을 가지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자전거 대여승인정보를 수신시 상기 거치대 잠금유닛을 잠금 해제하며, 상기 공공자전거에 설치되는 자전거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된 공공자전거 대여승인 요청정보 또는 공공자전거 반납승인 요청정보를 전달받아 저장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공공자전거 대여승인정보 또는 반납승인정보를 송신하는 관리센터;를 포함하며, 상기 공공자전거 대여승인 요청정보 및 상기 공공자전거 반납승인 요청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회원정보와, 대여하거나 반납할 공공자전거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공공자전거의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공자전거에 구비된 광학코드를 인식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전거 단말기는, 상기 공공자전거에 설치되며, 상기 거치대 잠금유닛을 지지하는 단말기본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공공자전거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개시하도록 활성화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자전거 대여승인정보를 근거로 상기 거치대 잠금유닛을 제어하여 잠금 해제시키는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단말기본체에 설치되며, 버튼동작시 상기 단말기 제어부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달하는 웨이크업 버튼; 및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는 도킹부와 상기 거치대 잠금유닛 간의 도킹결합시 스위칭되며, 스위칭신호를 상기 단말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도킹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도킹스위치는, 상기 거치대 잠금유닛에 도킹결합되는 상기 거치대의 도킹부에 간섭되어 순차적으로 스위칭되도록 복수가 상기 거치대 잠금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도킹스위치 중에서 1/2 이상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질 경우에 전원이 공급되어 활성화되고 상기 거치대 잠금유닛이 잠긴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관리센터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회원정보와, 회원별 공공자전거 대여 및 반납정보와, 반납된 공공자전거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DB서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공공자전거 대여승인 요청정보 및 반납승인 요청정보를 상기 DB서버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대여승인 및 반납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DB서버에 저장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공공자전거 대여를 위한 앱을 구동시켜 디스플레이부에 공공자전거 대여메뉴 및 반납메뉴를 제공하며, 상기 대여메뉴의 선택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공공자전거의 광학코드를 인식하여 자전거 식별정보를 요청하는 광학코드 확인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광학코드 확인메뉴의 실행을 통해 획득된 공공자전거 식별정보를 회원정보 및 위치정보와 매칭시켜 공공자전거 대여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대여승인요청정보를 상기 관리센터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센터로부터 수신된 대여승인정보를 상기 자전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반납모드 선택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광학코드 확인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확인메뉴의 실행을 획득된 공공자전거 식별정보와 회원정보 및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공공자전거 반납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반납승인 요청정보를 상기 관리센터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센터로부터 수신된 반납승인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공공자전거를 상기 거치대에 대해 잠금 및 해제하기 위한 거치대 잠금유닛과; 상기 공공자전거의 이동을 자체적으로 제한하기 위해 자전거 바퀴를 선택적으로 잠그는 자가 잠금유닛; 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잠금유닛은, 서로 이웃한 공공자전거들을 연결하여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자전거 단말기에 설치되는 연결 잠금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반납메뉴는, 상기 공공자전거를 상기 거치대 잠금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거치대에 반납하는 거치대 반납메뉴; 및 상기 공공자전거를 상기 연결 잠금유닛을 이용하여 공공자전거를 서로 연결하여 반납하는 연결 반납메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공공자전거 대여를 위한 앱을 구동시켜 디스플레이부에 공공자전거 자가 잠금메뉴 및 자가잠금 해제메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자가 잠금메뉴 선택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공공자전거의 광학코드 확인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광학코드 확인메뉴의 실행을 통해 획득된 공공자전거 식별정보를 회원정보 및 위치정보와 매칭시켜 공공자전거 자가잠금 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센터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센터로부터 수신된 자가잠금 승인정보를 상기 자전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자가잠금 해제메뉴 선택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광학코드 확인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광학코드 확인메뉴를 통해 획득된 공공자전거 식별정보를 회원정보 및 위치정보와 매칭시켜 공공자전거 자가잠금해제 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센터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센터로부터 수신된 자가잠금 해제 승인정보를 상기 자전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관리센터로부터 상기 자전거 스테이션에 거치된 공공자전거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공공자전거 회수 및 재배치를 위한 앱을 구동시켜 디스플레이부에 공공자전거 회수메뉴 및 재배치메뉴를 제공하며, 상기 회수메뉴의 선택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회수할 공공자전거 광학코드를 확인하기 위한 광학코드 확인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광학코드 확인메뉴의 실행을 통해 획득된 입력된 공공자전거 식별정보를 관리자정보 및 위치정보와 매칭시켜 공공자전거 회수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회수승인요청정보를 상기 관리센터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센터로부터 수신된 회수승인정보를 상기 자전거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재배치메뉴의 선택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재배치할 공공자전거의 광학코드를 확인하기 위한 광학코드 확인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광학코드 확인메뉴의 실행을 통해 획득된 재배치된 공공자전거 식별정보를 위치정보 및 관리자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공자전거를 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여한 공공자전거를 반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여하는 단계는, 상기 공공자전거에 설치되는 자전거 단말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자전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공공자전거 대여를 위한 앱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앱을 통해 공공자전거 대여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원격의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센터에서 공공자전거 대여승인 요청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공공자전거 대여승인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센터로부터 수신한 대여승인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전거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된 대여승인정보를 근거로 거치대 잠금유닛을 해제시켜 상기 공공자전거를 상기 거치대에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여승인요청정보는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된 광학코드 확인메뉴의 실행을 통해 획득된 공공자전거 식별정보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회원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전거 단말기 활성화단계는, 상기 자전거 단말기에 설치되는 웨이크업 버튼을 동작시켜 상기 자전거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여승인 요청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앱의 구동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대여할 공공자전거 광학코드 확인메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광학코드 확인메뉴를 실행하여 공공자전거에 표시된 광학코드를 통해 자전거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광학코드를 통해 획득된 공공자전거 식별번호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회원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 위치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대여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대여승인 요청정보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자전거 식별정보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광학코드 확인메뉴 선택시, 공공자전거에 표시된 광학코드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을 제어하여 촬영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상기 공공자전거에 표시된 광학코드를 촬상하는 단계와; 상기 광학코드를 촬상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공공자전거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반납하는 단계는, 상기 자전거 단말기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공공자전거 대여를 위한 앱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앱을 통해 공공자전거 반납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센터에서 공공자전거 반납승인 요청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시간, 요금정보를 포함하는 반납승인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반납승인 요청정보는, 공공자전거 대여시 수신받은 대여승인정보와, 반납할 공공자전거의 식별정보, 회원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자전거 단말기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자전거 단말기에 구비되는 거치대 잠금유닛에 상기 자전거 거치대에 설치되는 도킹부를 도킹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도킹결합에 의해 상기 거치대 잠금유닛에 구비된 도킹스위치가 스위칭되어 상기 자전거 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여 웨이크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대여 단계는, 상기 자전거 단말기의 활성화시 상기 자전거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상기 자전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식별정보와 상기 광학코드를 확인하여 획득한 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에 상기 대여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회수 및 재배치방법은,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공자전거를 회수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회수한 공공자전거를 재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회수하는 단계는, 상기 공공자전거에 설치되는 자전거 단말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자전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관리자 단말기에 설치된 공공자전거 회수를 위한 앱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앱을 통해 공공자전거 회수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원격의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센터에서 공공자전거 회수승인 요청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공공자전거 회수승인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센터로부터 수신한 회수승인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전거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된 회수승인정보를 근거로 거치대 잠금유닛을 해제시켜 상기 공공자전거를 상기 거치대에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회수승인요청정보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공공자전거에 표시된 광학코드를 인식하여 획득한 공공자전거 식별정보와, 관리자 단말기에 저장된 관리자정보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자전거 단말기 활성화단계는, 상기 자전거 단말기에 설치되는 웨이크업 버튼을 동작시켜 상기 자전거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활성화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회수승인 요청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앱의 구동에 의해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공공자전거의 광학코드 확인메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광학코드 확인메뉴를 실행하여 회수할 공공자전거에 표시된 광학코드를 인식하여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광학코드를 통해 획득한 공공자전거 식별번호와 관리자 단말기에 저장된 관리자정보 및 관리자 단말기 위치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회수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회수승인 요청정보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재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자전거 단말기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서 공공자전거 대여를 위한 앱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앱을 통해 공공자전거 재배치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센터에서 공공자전거 재배치승인 요청정보를 저장된 정보와 비교 확인하고, 재배치승인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자전거 단말기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자전거 단말기에 구비되는 거치대 잠금유닛에 상기 자전거 거치대에 설치되는 도킹부를 도킹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도킹결합에 의해 상기 거치대 잠금유닛에 구비된 도킹스위치가 스위칭되어 상기 자전거 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여 웨이크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광학코드는 큐알코드(Quick Response Code), 칼라코드(Color Code), 스마트테그(Smart tags) 및 바코드(Bar Co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공공자전거를 용이하게 대여 및 반납할 수 있다. 따라서 공공자전거 대여 및 반납관리를 위한 별도의 관리소 및 관리원이 필요 없게 되어, 관리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사용자는 별도의 관리소에서 대여 및 반납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자신의 휴대단말기의 앱을 이용하여 대여 및 반납이 가능하므로, 대여 및 반납시간에 구애를 받지 않고, 대여 및 반납에 따르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한 자전거 회수 및 재배치방법에 따르면, 공공자전거의 회수 및 재배치를 하는 관리자도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회수 및 재배치과정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 비용을 절약하고, 신속한 회수 및 재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공공자전거에 구비된 광학코드 즉, 큐알코드(Quick Response Code), 칼라코드(Color Code), 스마트테그(Smart tags) 및 바코드(Bar Co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관리자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촬영하여 공공자전거 식별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되어, 자전거의 대여 및 회수, 재배치 동작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거치대에 설치되는 공공자전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전거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자전거 단말기의 거치대 잠금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d 및 도 4e는 도 3에 도시된 자전거 단말기의 자가 잠금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자전거 단말기의 연결 잠금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전거를 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전거를 거치대에 반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전거를 연결 반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전거를 자가 잠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전거를 자가 잠금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전거를 회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전거를 배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및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은, 자전거 스테이션(10)에 설치되는 자전거 거치대(100)와, 자전거 단말기(200), 관리센터(300), 사용자 단말기(400) 및 관리자 단말기(5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 및 관리자 단말기(500)는 네트워크 유선 및 무선통신망을 통해 통신사 및 관리센터(300)와 통신 가능한 단말기를 지칭한다. 현재, PC, 스마트 탭, 휴대폰, PDA, 스마트폰, 노트북, 및 기타 이동하면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것이라면,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휴대단말기로 표현하여 설명한다.
상기 자전거 스테이션(10)은 대여를 위한 공공자전거(20)를 거치하기 위한 자전거 거치대(100)가 설치되는 곳으로서, 공원, 역사, 공공기관 등에 마련될 수 있으며, 공공자전거를 관리하는 관리기관에서 운영하게 된다. 자전거 스테이션(10)마다 자전거 수용능력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따라서 자전거 스테이션(10)의 자전거 거치대(100) 대수 및 위치정보는 상기 관리센터(300)에서 저장되어 관리된다.
상기 자전거 거치대(100)는 공공자전거(20)를 거치하도록 설치되며, 일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 본체(110)와, 거치대 본체(110)에 구비되는 자전거 거치부(120)와, 자전거 거치부(120)에 거치된 공공자전거(20)의 자전거 단말기(200)의 거치대 잠금유닛(220)에 도킹되어 결합되는 도킹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도킹부(130)는 자전거 거치대(100)에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도킹부(130)는 자전거 거치부(120)에 공공자전거(20)를 거치시에 자전거 단말기(20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위치될 수 있으며, 자전거 단말기(200)에 구비된 거치대 잠금유닛(220)에 도킹결합된다. 일 예로서, 도킹부(130)는 거치대 잠금유닛(220)의 결합부(221)에 삽입되어 도킹결합되는 바형상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로킹홀(131)을 가진다. 상기 로킹홀(131)에 후술한 거치대 잠금유닛(220)의 잠금부재(223)가 끼워져 잠금 상태가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자전거 거치대(100)는 복수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거나, 일정 개수 단위로 유닛화 된 상태로 자전거 스테이션(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자전거 거치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이외에 다양한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도킹부(130)의 구성 또한 거치대 잠금유닛(200)의 구성에 따라서 다양한 예가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공공자전거(20)에는 자전거 단말기(200)가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공공자전거(20)라 함은 지자체나 정부 등에서 일반인에게 대여해주기 위해서 자전거 스테이션(10)에 배치한 대여용 자전거로서, 관리의 편리성을 위해서 사이즈, 모양, 색상 등이 규격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은 고유의 식별정보(식별번호 = 광학코드, 자전거 단말기 ID 등)가 부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공자전거(20)를 규격화함으로써, 자전거 거치대(100)를 규격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공공자전거(20)는 물론 자전거 거치대(100)의 유지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학코드는 스마트폰 즉, 사용자 단말기(400) 및 관리자 단말기(500)로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코드에 저장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큐알코드(Quick Response Code), 칼라코드(Color Code), 스마트테그(Smart tags) 및 바코드(Bar Code)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광학코드가 큐알코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공공자전거(20)에 설치되는 자전거 단말기(200)는 거치대 잠금유닛(220)을 일체로 구비하며, 사용자 단말기(400) 및 관리자 단말기(500)와 상호 무선통신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자전거 단말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210)와, 거치대 잠금유닛(220)과, 자가 잠금유닛(230)과, 무선통신모듈(240), 저장부(250), 전원공급부(260), 스위칭부(280), 스피커(291), 조도센서(293) 및, 단말기 제어부(295)를 구비한다.
상기 단말기 본체(210)는 공공자전거(20)의 프레임(21)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단말기 본체(210)에 거치대 잠금유닛(200)이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자가 잠금유닛(230)은 단말기 본체(210)와 일체로 설치되거나 또는 별도로 자전거 프레임(2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거치대 잠금유닛(220)은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21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221)와, 상기 결합부(221)로 삽입된 도킹부(130)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잠금부재(223)와, 잠금부재(223)를 왕복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225)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킹부(130)에는 로킹홀(131)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도킹부(130)가 결합부(221)에 소정 길이 이상 삽입되어 결합 될 경우에 잠금부재(223)와 체결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잠긴다. 잠금부재(223)는 도 4b 및 도 4c와 같이 도킹부(130)의 로킹홀(131)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잠금부재(223)는 구동부(225)에 의해 로킹홀(131)에 끼워지거나 분리되도록 구동된다. 상기와 같은 구동부(225)는 구동시 잠금부재(223)를 왕복 구동시킬 수 있는 솔레노이드일 수 있으며, 잠금부재(223)는 금속재질로서 구동부(225)의 구동 여부에 따라서 도킹부(130)에서 분리되거나 결합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거치대 잠금유닛(220)은 일 예로서, 다양한 잠금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구성을 가지는 거치대 잠금유닛(220)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결합부(221)는 복수 구비될 수 있으며, 결합부(221)마다 후술할 도킹스위치(28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가 잠금유닛(230)은 단말기 본체(2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4d 및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바퀴(22)를 측면에서 가로질러서 회전을 방해하도록 단말기 본체(210)의 측면으로 출몰되는 자가 잠금부재(231) 및 자가 잠금부재(23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233)를 구비하다. 상기 구동부(233)도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며, 구동신호에 따라 왕복이동되면서 상기 자가 잠금부재(231)가 자전거 바퀴(22)의 바퀴살을 간섭하는 위치로 이동되거나,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233)는 상기 단말기 제어부(295)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상기 자가 잠금유닛(230)의 자가 잠금부재(231)의 잠금 및 해제동작은 수동조작에 의해서, 즉,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수동동작의 가능 여부를 단말기 제어부(295)에서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240)은 사용자 단말기(400) 및 관리자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무선통신모듈(240)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osi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50)는 자전거 단말기(200)의 식별번호와, 대여정보(대여승인정보, 반납승인정보) 등이 저장된다.
상기 전원공급부(260)는 단말기 본체(210)에 설치되는 배터리(261)와, 배터리(261)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263)를 구비한다. 상기 배터리(261)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며, 자전거 발전기(23)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가 충전회로(263)에 의해 충전된다. 그리고 배터리(261)의 잔량정보는 상기 단말기 제어부(295)로 전달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280)는 웨이크업버튼(281)과, 도킹스위치(283)를 구비한다. 상기 웨이크업버튼(281)은 단말기 본체(2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버튼 동작시 단말기 제어부(295)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한다. 단말기 제어부(295)는 웨이크업 신호를 전달받으면, 활성화되어 배터리(261)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전송하여 자전거 단말기(200)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도킹스위치(283)는 자전거 거치대(10)의 도킹부(130) 또는 후술할 연결 잠금유닛(226)의 연결 잠금뭉치(226a)가 거치대 잠금유닛(220)에 도킹결합시 스위칭되며, 스위칭신호를 단말기 제어부(295)로 전달한다. 이러한 도킹스위치(283)는 도킹부(130) 또는 연결 잠금뭉치(226a)가 거치대 잠금유닛(220)의 결합부(221)로 삽입시 순차적으로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복수가 도킹부(130)의 진행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도킹스위치(283)는 도킹부(130) 또는 연결 잠금뭉치(226a)에 의해 접촉되어 스위칭되는 접촉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기 제어부(295)는 복수의 도킹스위치(283) 각각에서 전달되는 스위칭신호를 근거로 하여 자전거 단말기(200)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한다. 즉, 도킹스위치(283)가 5개 설치된 경우 절반 이상(3개 이상)에서 스위칭신호가 전달될 경우에만 단말기 제어부(295)는 거치대 잠금유닛(220)과 도킹부(130)또는 연결 잠금뭉치(226a)가 완전히 잠금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자전거 단말기(200)를 활성화시킨다.
상기 스피커(291)는 자전거 단말기(200)에 설치되며, 자전거 단말기(200)의 상태정보 즉, 잠금, 해제 등의 상태전환정보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대 잠금유닛(220)이 잠금상태로 전환될 경우, '자전거가 잠겼습니다.'라는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고, 해제시에는 '자전거 잠금이 해제되었습니다.'라는 오디오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조도센서(293)는 조도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단말기 제어부(295)로 전달하고, 단말기 제어부(295)는 조도센서(293)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조명(296)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단말기 제어부(295)는 스위칭부(280)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자전거 단말기(200)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시킨다. 그리고 단말기 제어부(295)는 무선통신모듈(24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대여승인정보를 수신하거나 관리자 단말기(500)로부터 회수승인정보를 수신할 경우에는 거치대 잠금유닛(220) 또는 후술할 연결 잠금유닛(226)을 잠금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295)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자가잠금 해제승인정보를 수신시에는 자가 잠금유닛(230)를 제어하여 잠금 해제시킨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295)는 자전거 단말기(200)의 활성화시 사용자 단말기(400)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500)로 자전거 식별정보와, 위치정보 등을 무선통신모듈(240)을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자전거 단말기(200)는 공공자전거(20)들 간에 서로 연결시켜 잠그기 위한 연결 잠금유닛(226)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자전거 스테이션(10)에 자전거 거치대(100)의 개수보다 공공자전거(20)의 수가 더 많을 경우, 공공자전거들(20)을 서로 연결하여 반납할 수 있도록 연결 잠금유닛(226)이 자전거 단말기(200)에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도 4d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연결 잠금유닛(226)은 단말기 본체(210)에 설치되는 상기 결합부(221)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단말기 본체(210)의 외측에 설치되는 연결 잠금뭉치(226a)를 구비한다. 이때 결합부(221)는 복수 구비됨으로써, 하나는 상기 거치대(100)의 도킹부(130)에 결합되고, 나머지는 연결 잠금뭉치(226a)와 도킹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부(221)에 진입된 연결 잠금뭉치(226a)는 상술한 잠금부재(223) 및 잠금부재(223)를 동작시키는 구동부(225)의 동작에 의해 결합부(221)에서 빠지지 않고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잠금뭉치(226a)에는 로킹홀(h1)이 형성되며, 상기 로킹홀(h1)에 잠금부재(223)가 도 5b와 같이 삽입되어 로킹결합됨으로써, 연결 잠금뭉치(226)가 결합부(221에서 빠지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연결 잠금뭉치(226a)는 연결고리(227)에 의해 자전거 단말기(200)의 외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21)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도킹스위치(283)도 연결 잠금뭉치(226a)가 결합부(221)로 진입시 접촉되어 스위칭 되어 스위칭신호를 단말기 제어부(295)로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295)는 복수의 도킹스위치(283) 중에서 절반 이상에서 스위칭신호가 발생되면, 연결 잠금뭉치(226a)가 결합부(221) 내부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구동부(225)를 제어하여 잠금부재(223)가 도 5b와 같이 이동하여 연결 잠금뭉치(226a)의 로킹홀(h1)에 결합되어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결합부(221)를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연결 잠금뭉치(226a) 및 거치대의 도킹부(130)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리센터(300)는 통신부(310)와, DB 서버(320)와, 관리서버(330) 및 웹서버(340)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부(310)는 통신망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기(400) 및 관리자 단말기(500)와 통신한다.
상기 DB 서버(320)에는 회원정보, 회원별 공공자전거 대여 및 반납정보, 반납된 공공자전거 위치정보, 자전거 스테이션에 대한 정보(스테이션 위치정보, 스테이션별 자전거 거치대 수 정보 등), 관리자 정보 등이 저장되어 관리된다. 또한, DB 서버(320)에는 회원별 자전거 대여 이력과, 대여료 결제 이력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30)에서는 통신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된 공공자전거 대여승인 요청정보, 반납승인 요청정보, 자가잠금승인 요청정보, 자가잠금 해제승인 요청정보 등을 DB 서버(320)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승인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승인정보를 통신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하고, 승인정보를 DB 서버(320)에 저장 관리한다.
또한, 관리서버(330)는 관리자 단말기(500)로 통신부(310)를 통해 각 자전거 스테이션(10)별 공공자전거 배치대수와, 회수하여 재배치할 공공자전거에 대한 정보(회수위치, 재배치위치, 재배치할 자전거 수 등)를 전송한다. 그리고 관리서버(330)는 관리자 단말기(500)에서 자전거 회수승인 요청정보 및 재배치승인 요청정보를 DB 서버(320)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회수승인 및 재배치승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회수승인 및 재배치승인 정보를 통신부(310)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500)로 전송하고, 회수승인정보 및 재배치승인정보 등을 DB 서버(320)에 저장 관리한다.
이러한 관리 서버(330)는 컴퓨터장치, 모니터, 입력장치(키보드 포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센터의 관리자가 관리 운영할 수 있다. 상기 웹서버(340)는 온라인을 통해 회원등록 및 관리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웹사이트를 제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는 공공자전거 대여를 위한 앱을 구동시켜 디스플레이부(441)에 공공자전거 대여모드, 반납모드를 기본적으로 제공하며, 더 나아가서는 연결반납모드, 자가잠금모드, 자가잠금 해제모드 등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기(400)는 무선통신부(410), A/V(Audio/Video) 입력부(420), 사용자 입력부(430), 출력부(440), 메모리(450), 인터페이스부(460), 제어부(470), 전원공급부(480) 및 이미지 분석부(4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410)는 안테나(401)를 통해 기지국과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DMB와 같은 방송수신 기능, 블루투스 기능, 및 무선 인터넷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410)는 구체적으로 방송수신 모듈(411), 이동통신 모듈(413), 무선 인터넷 모듈(415), 근거리 통신 모듈(417), 및 GPS 모듈(419)을 구비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4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413)은, 이동 통신망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신호는 음성 통화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인터넷 모듈(4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400)에 내장되거나 외장 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4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 모듈(419)은 복수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4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해 마이크(423)가 이용되고,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해 카메라(421)가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4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44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출력부(440)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443), 및 디스플레이부(441)로 구성된다. 스피커(443)는 벨소리를 재생하거나, 음성을 재생하거나, 또는 오디오 파일에 대한 재생음을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441)는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메모리(450)는 제어부(470)의 프로그램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구동중에 발생하는 임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0)에는 단말기 사용자의 정보와, 공공자전거 대여를 위한 앱(이하 '대여앱'이라 함)을 구동시 생성되는 정보 및 자전거 단말기(200)와 송수신한 정보, 관리센터(300)와 송수신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4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460)는 사용자 단말기(4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470)는 무선통신부(410), A/V입력부(420), 사용자 입력부(430), 출력부(440), 메모리(450), 인터페이스부(46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음성통화, 데이터 통신, 및 카메라에서 촬상된 화상을 처리한다. 또한, 제어부(470)는 대여 앱을 구동하며, 구동된 대여앱이 요구하는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400)의 터치스크린(405)에 표시되는 대여앱(A1)의 구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정보(터치신호)를 입력시, 대여앱(A1)을 구동하며, 대여앱(A1)의 구동시 제공되는 각종 모드 중에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앱이 요구하는 작업을 처리한다.
제어부(470)에 의해 구동되는 대여앱은 아래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 아래 -
1) 자전거 단말기(200)의 웨이크업시 전송되는 단말기 식별정보를 무선통신모듈(240)로부터 전달받아 인식할 수 있다.
2) 터치스크린(405)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대여 메뉴, 자전거 반납(거치대 반납) 메뉴, 연결 반납 메뉴, 자가 잠금 메뉴, 잠금 해제 메뉴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자전거 대여 메뉴는 사용자가 스테이션에서 공공자전거 대여를 위한 절차를 진행하기 위한 자전거 대여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전거 대여 모드를 선택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여할 공공자전거의 큐알코드(Q;Quick Response Code)를 촬영하여 획득하도록 하는 촬영모드와, 도 8(d)와 같이, 촬영된 큐알코드(Q)의 인식결과를 확인해주는 메뉴와, 전송메뉴, 재시도 메뉴 등을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3) 도 8의 (b) 내지 도 8(d)와 같이 공공자전거 큐알코드(Q)를 인식하고 전송메뉴를 선택시, 대여앱은 큐알코드(Q)로부터 획득된 공공자전거 식별정보와, 회원정보(사용자 단말기정보로 대체 가능)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공공자전거 대여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부(470)에 요청하고, 생성된 공공자전거 대여승인 요청정보를 무선통신부(410)를 이용하여 관리센터(300)로 전송하도록 제어부(470)에 요청하다.
4) 대여앱은 무선통신부(410)를 통해 관리센터(300)로부터 공공자전거 대여승인정보가 수신될 경우, 도 8 (e)와 같이 대여를 신청할 수 있는 대여 메뉴와 취소 메뉴를 제공하고, 대여 메뉴를 선택시 무선통신부(410)를 통해 자전거 단말기(200)로 대여승인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부(470)에 요청함으로써 거치대 잠금유닛(220)이 잠금 해제되어 공공자전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5) 또한 대여앱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405)에 제공하는 복수 메뉴(자전거 반납, 연결 반납, 자가 잠금, 잠금 해제) 중에서 선택된 메뉴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여앱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전송메뉴, 대여메뉴, 반납메뉴, 등)의 실행을 위해서, 제어부(470)를 통해 무선통신부(410) 및 A/V 입력부(420) 및 이미지 분석부(490)의 사용을 요청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자전거 단말기(200) 및 관리센터(300)와 정보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전거 반납(도 9 참조), 연결 반납(도 10 참조), 자가 잠금(도 11 참조), 잠금 해제(도 12 참조) 각각의 메뉴를 대여앱이 실행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관리자 단말기(500)는 공공자전거(20)의 회수 및 재배치를 수행하는 관리자가 휴대하는 단말기로서, 앞서 도 6을 통해 설명한 사용자 단말기(4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다만 관리자 단말기(500)에는 공공자전거 회수 및 재배치를 위한 앱(이하 '회수앱'이라 함)을 포함하여, 관리자가 상기 회수앱을 이용하여 공공자전거의 회수 및 재배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관리자 단말기(500)에 설치된 회수앱의 기능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회수메뉴 및 자전거 배치 메뉴를 터치스크린(505) 상에 제공하고, 관리자가 선택한 메뉴를 실행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기(500)의 제어부(470)로 요청하게 된다. 상기 회수앱을 통한 공공자전거의 회수 및 재배치 수행동작에 대해서는 후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자 단말기(500)의 구성은 설치된 회수앱 이외에는 사용자 단말기(4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사용자 단말기(400)에 대한 설명을 통해 대신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공자전거 대여시스템을 이용한 공공자전거 대여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공자전거 대여방법 >
사용자는 자전거 스테이션(10)으로 이동하여 자신이 대여할 공공자전거(20)를 선택한 후,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400)의 터치스크린(405)에 표시된 대여앱(A1)을 선택한다. 그러면 대여앱(A1)이 실행되어 도 7(b)와 같이, 자전거 대여, 자전거 반납, 연결 반납, 자가 잠금, 잠금 해제 메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405) 상에 자전거 단말기(200)의 웨이크업 버튼(281)을 온(on) 동작시키는 동작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대여할 공공자전거(20)에 설치된 자전거 단말기(200)의 웨이크업 버튼(281)을 눌러서 자전거 단말기(200)를 활성화시키도록 안내한다.
이때, 자전거 단말기(200)가 활성화되면, 자전거 단말기(200)는 무선통신모듈(240)을 통해 근거리의 사용자 단말기(400)로 단말기 식별정보(단말기 ID)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웨이크업 버튼(281)의 조작에 의해 자전거 단말기(200)가 활성화되는 동시에 근거리의 사용자 단말기(400)로 단말기 식별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활성화 상태만을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자전거 단말기(200)의 웨이크업 상태가 되면, 단말기 식별정보와 함께 배터리(261)의 잔량정보(배터리 부족시 대여 불가능 정보 포함)도 근거리의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8 (a)와 같이 자전거 대여 메뉴를 선택하면, 도 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여할 공공자전거의 식별정보 즉, 큐알코드(Q)를 확인하도록 요청하는 메뉴가 제공되며, 상기 큐알코드 확인 메뉴를 선택하며, 대여앱(A1)은 도 8 (c)와 같이, 공공자전거에 마련된 큐알코드(Q)를 촬영할 수 있도록 촬영모드를 제공한다. 도 8 (c)와 같은 촬영모드를 통해 큐알코드(Q)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며, 대여앱(A1)은 이미지 분석부(490)를 통해 큐알코드(Q)를 분석하여 공공자전거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그 결과를 도 8 (d)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에 제공한다. 물론 대여앱(A1)은 이미지 분석부(490)에서 큐알코드(Q)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에는 인식하지 못하였다는 정보가 제공되어 재시도 즉, 재촬영할 수 있도록 도 8 (c)의 촬영모드가 다시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도 8 (c)와 같이 큐알코드(Q)를 인식한 것이 확인된 상태에서, 전송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대여앱(A1)은 큐알코드(Q)를 분석하여 획득한 공공자전거 식별정보와, GPS 모듈(419)로부터 얻은 위치정보 및 사용자 회원정보를 매칭시켜 공공자전거 대여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무선통신부(410)를 통해 원격의 관리센터(3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공공자전거 대여승인 요청정보에는 대여하고자 할 공공자전거(20)의 자전거 단말기(200)에서 전달받은 배터리(261) 잔량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관리센터(300)의 관리서버(330)는 수신된 공공자전거 대여승인 요청정보를 DB 서버(320)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비교하고, 일치할 경우 즉, 등록된 회원이고, 대여를 요청한 공공자전거(20)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가 DB 서버(320)에 저장되어 관리되고 있는 대여 가능한 공공자전거(20)인 것이 확인될 경우에는 대여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한편, 관리서버(330)는 수신된 공공자전거 대여승인 요청정보에 배터리 잔량정보가 포함될 경우 배터리의 잔량이 대여 가능한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기준값 미만으로 배터리 잔량이 남은 경우, 공공자전거 대여가 불가능 한 것으로 판단하고,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만 대여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대여불가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관리센터(300)로부터 대여승인정보 또는 대여불가정보를 수신한다. 대여승인정보를 수신시에는 대여앱(A1)은 도 8 (e)와 같이, 자전거 대여 및 취소 선택메뉴를 터치스크린(405)에 제공하고, 대여 및 취소에 따른 안내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대여 메뉴를 선택하면, 대여앱(A1)은 자전거 단말기(200)로 수신된 대여승인정보를 전송한다.
자전거 단말기(200)의 단말기 제어부(295)는 수신된 대여승인정보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정보를 확인한 후, 일치할 경우에 거치대 잠금유닛(220)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거치대 잠금유닛(220)이 해제되면 사용자는 거치대(100)에서 공공자전거(20)를 분리함으로써 대여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도 8(e)에서 사용자가 대여 메뉴를 선택하면, 그 시점부터 자전거 대여가 개시되므로, 대여앱(A1)은 대여 메뉴 선택정보 및 개시정보를 무선통신부(410)를 통해 관리센터(30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여앱(A1)에서 관리센터(300)로 대여 메뉴 선택정보 및 개시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관리센터(300)에서는 공공자전거의 대여에 대한 회원별 이력 및 요금관리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대여불가정보를 수신시에는 대여앱(A1)은 터치스크린(405)에 예를 들어 "선택하신 공공자전거는 대여 불가능한 상태입니다."라는 메시지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다른 공공자전거를 선택하여 대여승인절차를 수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공자전거 거치대 반납방법 >
사용자가 대여하여 사용하던 공공자전거(20)를 거치대(100)에 반납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는 공공자전거(20)를 거치대(100)에 장착하여 자전거 단말기(200)의 거치대 잠금유닛(220)과 거치대(100)의 도킹부(130)를 결합하여 결합시킨다. 도킹부(130)가 도 4b와 같이 거치대 단말기(200)의 결합부(221)에 삽입되면, 도킹스위치(283)의 스위칭신호를 전달받은 단말기 제어부(295)가 거치대 잠금유닛(220)을 제어하여 도킹부(130)와 잠금부재(223)가 결합되어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도킹부(130)가 결합부(221)로 진입시 도킹스위치(283)에서 발생되는 스위칭신호에 의해서 자전거 단말기(200)가 활성화되어 사용자 단말기(400)와의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거치대 잠금유닛(220)이 잠금 상태가 되면, 자전거 단말기(200)가 웨이크업 상태가 되어 활성화되면서, 단말기 식별정보(단말기 ID)를 근거리의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물론, 자전거 단말기(200)는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만 될 수도 있다.
또한, 자전거 단말기(200)가 거치대(100)에 도킹결합되어 잠금 상태가 되면, 단말기 제어부(295)는 저장되어 있던 대여정보를 자동으로 삭제처리 할 수 있다. 즉,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대여중인 상태에서, 다시 잠금 상태가 되어 활성화되면, 반납처리된 것으로 판단하여 저장하고 있던 대여정보를 삭제하고, 초기화할 수도 있다.
자전거 단말기(20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대여앱(A1)을 선택하여 실행시켜서 도 9 (a)와 같이 복수의 초기 메뉴가 제공되도록 한다. 그리고 자전거 반납 메뉴를 선택하면, 대여앱(A1)은 도 9 (b)와 같이 반납할 공공자전거의 큐알코드(Q)의 확인을 요구하는 메뉴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큐알코드(Q) 확인메뉴를 터치하여 선택하면, 대여앱(A1)은 도 9 (c)와 같이, 큐알코드(Q)를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 촬영모드를 실행하여 제공한다. 촬영모드에서 사용자가 반납할 공공자전거에 설치된 큐알코드(Q)를 촬영하면, 대여앱(A1)은 이미지 분석부(490)를 통해 촬영된 큐알코드(Q)를 분석하여 공공자전거 식별정보를 획득한다. 그러면, 대여앱(A1)은 도 9 (d)와 같이, 큐알코드(Q)의 인식여부에 대한 정보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공하며, 전송 메뉴와 재시도 메뉴 등을 터치스크린 상에 함께 제공한다. 큐알코드(Q)를 인식하였다는 정보가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송메뉴를 선택하면, 대여앱(A1)은 큐알코드(Q)를 인식하여 획득한 공공자전거 식별정보와 위치정보 및 사용자 회원정보를 매칭시켜 공공자전거 반납 요청정보를 관리센터(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자전거 단말기(200)에서 전송한 단말기 식별정보(단말기 ID)를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수신하게 되면, 대여앱(A1)을 자동으로 실행시키도록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부(470)가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대여한 공공자전거(20)를 거치대(100)에 장착하여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하면, 자전거 단말기(20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400)에 설치된 대여앱(A1)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전거 반납 절차를 바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관리센터(300)의 관리서버(330)는 전달받은 공공자전거 반납 요청정보를 DB 서버(320)에 저장된 대여정보와 비교하여, 반납 요청정보와 대여정보가 일치할 경우, 반납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또한, 관리센터(300)에서는 반납 승인정보와 함께 공공자전거 대여정보(대여시간, 대여요금, 과금요금 등)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330)는 사용자 정보, GPS 위치정보(반납위치정보), 사용시간, 과금정보 등을 매칭시켜서 DB 서버(320)에 저장한다.
사용자 단말기(400)에서는 반납 승인정보를 수신하면, 대여앱(A1)이 도 9 (e)와 같이, 반납 메뉴와 취소 메뉴를 제공하고, 제공된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반납 메뉴를 선택하면, 대여앱(A1)은 반납처리가 완료된 것으로 처리하고, 반납 메뉴의 실행을 종료한다.
<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공자전거 연결 반납방법 >
사용자가 대여한 공공자전거(20)를 자전거 스테이션(10)에 반납하고자 할 때, 해당 자전거 스테이션(10)에 비어있는 거치대(100)가 없을 경우에, 사용자는 공공자전거들(20)을 서로 연결하여 반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반납할 공공자전거(20)를 자전거 스테이션(10)에 배치된 공공자전거 옆으로 이동시킨 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잠금유닛(226)를 이용하여 다른 공공자전거의 자전거 단말기(200)의 결합부(221)에 도킹결합하여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러면, 도킹 스위치(285)가 스위칭동작되어 스위칭신호를 단말기 제어부(295)로 전달하고, 단말기 제어부(295)는 자전거 단말기(200)를 활성화시킨다.
단말기 자전거(200)의 활성화시 단말기 식별정보(단말기 ID)가 사용자 단말기(400)로 송신된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대여앱(A1)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도 10 (a)와 같이, 터치스크린(405)에 복수의 메뉴를 제공하게 된다. 사용자가 연결 반납 메뉴를 선택하면, 대여앱(A1)은 도 10 (b)와 같이 공공자전거의 큐알코드(Q)의 확인을 요청하는 메뉴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큐알코드(Q) 확인메뉴를 선택하면, 대여앱(A1)은 도 10 (c)와 같이, 큐알코드(Q) 촬영을 위한 촬영모드를 실행한다. 촬영모드에서 사용자가 공공자전거에 마련된 큐알코드(Q)를 촬영하면, 대여앱(A1)은 촬영된 큐알코드(Q) 촬영이미지를 분석하여 공공자전거 식별정보를 인식여부에 대한 결과를 도 10 (d)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터치스크린에는 큐알코드(Q)의 인식여부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전송메뉴와 재시도 메뉴가 제공된다. 사용자가 전송메뉴를 선택하면, 대여앱(A1)은 큐알코드(Q)의 인식을 통해 획득한 공공자전거 식별정보와 위치정보 및 회원정보를 포함하는 공공자전거 반납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센터(300)로 전송한다.
그러면, 관리센터(300)에서는 앞서 거치대 반납메뉴를 통해 반납한 절차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반납승인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하고, 반납완료 처리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400)는 반납승인 정보를 수신시, 도 10 (e)에 도시된 바와 터치스크린(405)에 반납 완료를 확인하기 위한 반납 메뉴와 취소 메뉴를 포함하여,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여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반납 메뉴가 선택되면 연결 반납처리가 된 것으로 확인하고 연결 반납 메뉴 실행을 종료한다.
<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공자전거 자가 잠금방법 1 >
사용자가 대여한 공공자전거(20)를 이용하다가 잠시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고 소정 장소에 놓아둘 경우, 분실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자가 잠금유닛(230)을 잠금상태로 변경하여 공공자전거(20)의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자가 잠금유닛(230)을 동작시켜 잠금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먼저 웨이크업 버튼(281)을 동작시켜서 자전거 단말기(200)를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400)의 대여앱(A1)을 선택하면, 대여앱(A1)이 실행되어 도 11 (a)와 같이 다수의 초기 메뉴가 제공된다. 제공된 초기 메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가 잠금 메뉴가 선택되면, 대여앱(A1)은 도 11 (b)와 같이, 큐알코드(Q)의 확인을 요청하는 메뉴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큐알코드(Q) 확인메뉴를 선택하면, 대여앱(A1)은 도 11 (c)와 같이, 촬영모드를 실행하여 사용자가 공공자전거에 표시된 큐알코드(Q)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모드를 통해 사용자가 큐알코드(Q)를 촬영하면, 대여앱(A1)은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큐알코드(Q)를 인식함으로써, 공공자전거 식별정보를 획득한다. 그러면, 도 11 (d)와 같이, 대여앱(A1)은 큐알코드(Q) 인식결과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전송 메뉴 및 재시도 메뉴를 터치스크린 상에 제공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송 메뉴를 선택하면, 대여앱(A1)은 큐알코드(Q)를 통해 획득한 자전거 식별정보와, 위치정보 및 회원등록정보를 매칭하여 자가잠금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무선통신부(410)를 통해 관리센터(300)로 전송한다. 관리센터(300)에서는 수신한 자가잠금승인 요청정보를 저장된 정보와 비교 확인 후, 자가잠금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자가잠금승인정보를 수신하면, 대여앱(A1)은 자가잠금승인정보를 자전거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자전거 단말기(200)의 단말기 제어부(295)는 자가 잠금유닛(230)을 제어하여 잠금상태로 전환시킨다. 이때, 자가 잠금유닛(230)이 수동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구성인 경우에는, 단말기 제어부(295)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잠금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자가 잠금 상태 완료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함으로써 자가 잠금동작이 완료된다.
<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공자전거 자가 잠금 해제방법 1 >
위와 같이 자가 잠금유닛(230)을 잠금 상태에서, 다시 해제하기 위해서는 자전거 단말기(200)의 웨이크업 버튼(281)을 조작하여 자전거 단말기(200)를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400)의 대여앱(A1)을 활성화시켜서 도 12 (a)와 같이 터치스크린(405)에 초기 메뉴들을 제공한다. 사용자에 의해 잠금 해제 메뉴가 선택되면, 대여앱(A1)은 도 12 (b)와 같이, 큐알코드(Q)의 확인을 요청하는 메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도 12 (c)와 같이 큐알코드(Q)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모드르 전환되도록 한다. 촬영모드에서 사용자가 큐알코드(Q)를 찾아서 촬영하면, 대여앱(A1)은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큐알코드(Q)를 인식함으로써 공공자전거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큐알코드(Q)의 인식이 완료되면, 대여앱(A1)은 도 12 (d)와 같이, 큐알코드(Q) 인식결과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전송 메뉴 및 재시도 메뉴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전송 메뉴를 선택하면, 대여앱(A1)은 획득한 자전거 식별정보와, 위치정보 및 회원등록정보를 매칭하여 자가잠금해제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무선통신부(410)를 통해 관리센터(300)로 전송한다. 관리센터(300)에서는 수신한 자가잠금해제승인 요청정보를 저장된 정보와 비교 확인 후, 자가잠금해제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자가잠금해제 승인정보를 수신하면, 대여앱(A1)은 자가잠금해제 승인정보를 자전거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자전거 단말기(200)의 단말기 제어부(295)는 자가 잠금유닛(230)을 제어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상태로 전환시킨다. 이때, 자가 잠금유닛(230)이 수동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구성인 경우에는, 단말기 제어부(295)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잠금해제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자가잠금해제상태 완료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함으로써 자가잠금 해제동작이 완료된다.
<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공자전거 자가 잠금방법 2 >
또한, 사용자가 대여한 공공자전거(20)의 자가 잠금유닛(230)을 동작시켜 잠금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다른 방법에 의하면, 먼저 웨이크업 버튼(281)을 동작시켜서 자전거 단말기(200)를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400)의 대여앱(A1)을 선택하면, 대여앱(A1)이 실행되어 도 11(a)와 같이 다수의 초기 메뉴가 제공된다. 제공된 초기 메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가 잠금 메뉴가 선택되면, 대여앱(A1)은 자전거 단말기(200)로 자가 잠금유닛(230)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자전거 단말기(200)는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전달받은 자가 잠금유닛(230) 제어정보를 근거로 하여 자가 잠금유닛(230)을 잠금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자전거 단말기(200)는 자가 잠금유닛(230)의 잠금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함으로써 자가 잠금 동작이 완료된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곧바로 자전거 단말기(200)로 자가 잠금유닛(230)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최초 공공자전거(20)에 대한 대여승인요청을 할 때, 자가 잠금제어신호까지 함께 요청하여 수신받아서 반납하기 전까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대여앱(A1)이 공공자전거 대여시 대여승인정보와 자가 잠금 승인 요청정보를 비교하여, 자전거 식별정보와, 회원정보가 일치할 경우 관리센터(300)에 별도의 승인절차를 생략하고 자전거 단말기(200)로 자가 잠금유닛(230) 제어정보를 전송하여 자가 잠금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공자전거 자가 잠금해제방법 2 >
또한, 공공자전거 자가 잠금해제방법의 다른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가 잠금유닛(230)을 잠금 상태에서 다시 해제하기 위해서는 자전거 단말기(200)의 웨이크업 버튼(281)을 조작하여 자전거 단말기(200)를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400)의 대여앱(A1)을 활성화시켜서 도 12 (a)와 같이 터치스크린(405)에 초기 메뉴들을 제공한다. 사용자에 의해 잠금 해제 메뉴가 선택되면, 대여앱(A1)은 도 12 (b)와 같이, 큐알코드(Q)의 확인을 요청하는 메뉴를 제공하고, 도 12 (c) 및 (d)와 같은 절차를 거쳐서 큐알코드(Q)를 촬영하여 큐알코드(Q)를 인식함으로써 자전거 식별정보를 획득한다.
대여앱(A1)은 큐알코드(Q)를 통해 획득한 자전거 식별정보와, 회원정보가 대여승인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일치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400)로 자가잠금해제 제어정보를 전송한다. 자전거 단말기(200)는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전송된 자가잠금해제 제어정보를 근거로 자가 잠금유닛(230)을 제어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상태로 전환시킨다. 이때, 자가 잠금유닛(230)이 수동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구성인 경우에는, 단말기 제어부(295)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잠금해제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자가잠금해제상태 완료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함으로써 자가잠금 해제동작이 완료된다. 이 경우에도, 최초 공공자전거(20) 대여승인요청시에 자가잠금 제어정보는 물론 자가잠금 해제정보까지 승인요청함으로써, 자가잠금 해제동작시에는 추가로 관리센터(300)에 자가잠금 해제승인 요청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가잠금 방법 1 및 해제방법 1 각각의 실시예는 관리자의 편의성을 위한 것으로서, 공공자전거의 관리를 효율적이고, 확실하게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자가잠금 방법 2 및 해제방법 2 각각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한 것으로서, 시간을 절약하고 통신비용 등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공자전거 회수방법 >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공공자전거(20)를 대여하여 사용하다가 반납할 경우에는 최초 대여한 자전거 스테이션(10) 이외의 다른 스테이션에 반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의 이용 상황, 교통상황 등에 따라서 특정 장소에 많은 수의 공공자전거가 반납될 수 있고, 이 경우 다른 곳의 스테이션에는 공공자전거가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여러 곳으로 불균일하게 분산된 공공자전거를 회수하여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재배치해야 하며, 이를 위해 관리센터(300)에서는 관리자 단말기(500)로 자전거 스테이션(10)마다 공공자전거(10)의 배치상황 및 반납된 공공자전거(20)에 대한 정보(반납위치, 반납위치별 반납대수 등)를 전송하여 제공한다.
관리자는 전달받은 공공자전거 배치상황 및 반납정보를 근거로 하여 관리지역에 위치한 자전거 스테이션(10)으로 이동하여 자전거를 회수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관리자는 회수할 공공자전거(20)의 자전거 단말기(200)의 웨이크업 버튼(281)을 조작하여 자전거 단말기(200)를 활성화시킨다. 그러면, 자전거 단말기(200)에서 자전거 식별정보(단말기 ID)를 관리자 단말기(500)로 전송한다.
관리자 단말기(500)는 자전거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설치되어 있던 자전거 회수를 위한 앱(회수앱)을 실행하여 도 13 (a)와 같이 자전거 회수 메뉴 및 자전거 배치 메뉴를 포함하는 초기 메뉴를 터치스크린(505)에 제공한다. 물론, 이와 같은 방법 이외에, 관리자가 직접 관리자 단말기(500)에 설치된 회수앱을 동작시켜 실행시킬 수도 있다.
관리자는 도 13 (a)의 화면에서 자전거 회수 메뉴를 선택하고, 회수앱은 자전거 회수 메뉴 선택에 따라서 도 13 (b)와 같이 큐알코드(Q)의 확인을 요청하는 메뉴를 제공한다. 관리자가 큐알코드(Q) 확인 메뉴를 선택하면, 회수앱은 큐알코드(Q)를 촬영할 수 있도록 도 13 (c)와 같이 촬영모드를 실행한다. 촬영모드에서 큐알코드(Q)를 촬영하면, 회수앱은 촬영된 영상 즉, 큐알코드(Q) 이미지를 분석하여 인식함으로써 공공자전거 식별정보를 획득한다. 이와 같이 큐알코드(Q)를 인식하게 되면, 회수앱은 그 인식결과와 함께 전송 메뉴 및 재시도 메뉴를 도 13 (d)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에 제공한다.
이 상태에서 관리자가 전송 메뉴를 선택하면, 회수앱은 큐알코드(Q)를 통해 회득한 자전거 식별정보, 위치정보, 관리자 등록정보를 매칭하여 공공자전거 회수승인 요청정보를 관리센터(300)로 전송한다.
관리센터(300)에서는 수신받은 공공자전거 회수승인 요청정보와 DB 서버(320)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확인 후, 공공자전거 회수승인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500)로 전송하고, 수신 및 전송한 정보를 DB 서버(320)에 저장한다.
관리자 단말기(500)에서 관리센터(300)로부터 전송된 공공자전거 회수승인정보를 수신하면, 회수앱은 도 13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 선택 메뉴, 취소 메뉴 등을 제공하여 선택하도록 하고, 관리자가 회수 메뉴를 선택시에는 자전거 단말기(200)로 거치대 잠금유닛(220) 또는 연결 잠금유닛(230)을 잠금 해제 하도록 하는 제어정보(공공자전거 회수승인정보 포함)를 전송하다.
그러면, 자전거 단말기(200)는 관리자 단말기(500)에서 전달된 제어정보를 근거로 하여 거치대 잠금유닛(220) 또는 연결 잠금유닛(230)을 잠금해제 시킨다.
이와 같이 잠금 해제된 공공자전거(20)를 관리자는 별도의 자전거 운반차량을 이용하여 재배치할 곳으로 이동하게 된다.
<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공자전거 배치방법 >
상기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500)를 이용하여 공공자전거(20)를 회수한 뒤, 배치할 장소로 이동한다. 그리고 배치할 공공자전거(20)를 거치대(100)의 도킹부(130)와 거치대 잠금유닛(220)을 도킹결합하여 거치한다.
그러면, 도킹스위치(283)의 스위칭동작에 의해 자전거 단말기(200)가 활성화되고, 주변의 관리자 단말기(500)로 자전거 식별정보(단말기 ID)를 전송한다.
관리자 단말기(500)는 자전거 단말기(200)로부터 자전거 식별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대여앱을 활성화시켜 도 14 (a)와 같이 초기 메뉴를 터치스크린(505)에 제공한다.
이 상태에서 관리자가 자전거 배치 메뉴를 선택하면, 회수앱은 도 14 (b)와 같이 큐알코드(Q)의 확인을 요청하는 메뉴를 제공한다.
관리자가 큐알코드(Q) 확인 메뉴를 선택하면, 회수앱은 큐알코드(Q)를 촬영할 수 있도록 도 14 (c)와 같이 촬영모드를 실행한다. 촬영모드에서 큐알코드(Q)를 촬영하면, 회수앱은 촬영된 영상 즉, 큐알코드(Q) 이미지를 분석하여 인식함으로써 공공자전거 식별정보를 획득한다. 이와 같이 큐알코드(Q)를 인식하게 되면, 회수앱은 그 인식결과와 함께 전송 메뉴 및 재시도 메뉴를 도 14 (d)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에 제공한다.
관리자가 전송 메뉴를 선택하면, 큐알코드(Q)를 통해 획득한 자전거 식별정보, 위치정보, 관리자 정보를 매칭시켜 재배치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센터(300)로 전송한다.
관리센터(300)에서는 전달된 재배치승인 요청정보를 저장된 정보와 매칭되는지 비교한 뒤, 일치할 경우 재배치 승인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500)로 전송한다. 그러면, 관리자 단말기(500)는 도 14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 메뉴 및 취소 메뉴를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최종적으로 공공자전거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자가 배치 메뉴를 선택하면, 회수앱은 공공자전거 배치동작이 완료된 것으로 처리하고 배치작업을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및 대여방법에 따르면, 공공자전거를 휴대단말기 즉,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대여 및 반납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공자전거 대여 및 반납업무를 위한 별도의 관리자 및 관리소가 불필요하게 되어 그만큼 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복잡한 대여 및 반납절차를 거치지 않고, 자신의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이용하여 공공자전거의 대여 및 반납 등의 절차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대여한 공공자전거의 자가 잠금 기능 또한 휴대단말기의 앱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전거의 잠금장치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함은 물론, 도난 및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반납된 자전거를 회수하고, 회수한 자전거를 재배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공자전거의 관리는 물론, 회수 및 재배치 과정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공공자전거 스테이션 20..공공자전거
100..거치대 200..자전거 단말기
300..관리센터 400..사용자 단말기
500..관리자 단말기

Claims (29)

  1. 자전거 스테이션에 설치되며, 공공자전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와 선택적으로 잠금 및 해제되는 거치대 잠금유닛을 가지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자전거 대여승인정보를 수신시 상기 거치대 잠금유닛을 잠금 해제하며, 상기 공공자전거에 설치되는 자전거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된 공공자전거 대여승인 요청정보 또는 공공자전거 반납승인 요청정보를 전달받아 저장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공공자전거 대여승인정보 또는 반납승인정보를 송신하는 관리센터;를 포함하며,
    상기 공공자전거 대여승인 요청정보 및 상기 공공자전거 반납승인 요청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회원정보와, 대여하거나 반납할 공공자전거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공공자전거의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공자전거에 구비된 광학코드를 촬영하여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 단말기는,
    상기 공공자전거에 설치되며, 상기 거치대 잠금유닛을 지지하는 단말기본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공공자전거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개시하도록 활성화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자전거 대여승인정보를 근거로 상기 거치대 잠금유닛을 제어하여 잠금 해제시키는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단말기본체에 설치되며, 버튼동작시 상기 단말기 제어부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달하는 웨이크업 버튼; 및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는 도킹부와 상기 거치대 잠금유닛 간의 도킹결합시 스위칭되며, 스위칭신호를 상기 단말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도킹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스위치는,
    상기 거치대 잠금유닛에 도킹결합되는 상기 거치대의 도킹부에 간섭되어 순차적으로 스위칭되도록 복수가 상기 거치대 잠금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도킹스위치 중에서 1/2 이상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질 경우에 전원이 공급되어 활성화되고 상기 거치대 잠금유닛이 잠긴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센터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회원정보와, 회원별 공공자전거 대여 및 반납정보와, 반납된 공공자전거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DB서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공공자전거 대여승인 요청정보 및 반납승인 요청정보를 상기 DB서버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대여승인 및 반납승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DB서버에 저장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공공자전거 대여를 위한 앱을 구동시켜 디스플레이부에 공공자전거 대여메뉴 및 반납메뉴를 제공하며,
    상기 대여메뉴의 선택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공공자전거의 광학코드를 인식하여 자전거 식별정보를 요청하는 광학코드 확인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광학코드 확인메뉴의 실행을 통해 획득된 공공자전거 식별정보를 회원정보 및 위치정보와 매칭시켜 공공자전거 대여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대여승인요청정보를 상기 관리센터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센터로부터 수신된 대여승인정보를 상기 자전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반납모드 선택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광학코드 확인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확인메뉴의 실행을 획득된 공공자전거 식별정보와 회원정보 및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공공자전거 반납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반납승인 요청정보를 상기 관리센터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센터로부터 수신된 반납승인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공공자전거를 상기 거치대에 대해 잠금 및 해제하기 위한 거치대 잠금유닛과;
    상기 공공자전거의 이동을 자체적으로 제한하기 위해 자전거 바퀴를 선택적으로 잠그는 자가 잠금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서로 이웃한 공공자전거들을 연결하여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자전거 단말기에 설치되는 연결 잠금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납메뉴는,
    상기 공공자전거를 상기 거치대 잠금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거치대에 반납하는 거치대 반납메뉴; 및
    상기 공공자전거를 상기 연결 잠금유닛을 이용하여 공공자전거를 서로 연결하여 반납하는 연결 반납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공공자전거 대여를 위한 앱을 구동시켜 디스플레이부에 공공자전거 자가 잠금메뉴 및 자가잠금 해제메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자가 잠금메뉴 선택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공공자전거의 광학코드 확인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광학코드 확인메뉴의 실행을 통해 획득된 공공자전거 식별정보를 회원정보 및 위치정보와 매칭시켜 공공자전거 자가잠금 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센터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센터로부터 수신된 자가잠금 승인정보를 상기 자전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자가잠금 해제메뉴 선택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광학코드 확인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광학코드 확인메뉴를 통해 획득된 공공자전거 식별정보를 회원정보 및 위치정보와 매칭시켜 공공자전거 자가잠금해제 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센터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센터로부터 수신된 자가잠금 해제 승인정보를 상기 자전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센터로부터 상기 자전거 스테이션에 거치된 공공자전거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공공자전거 회수 및 재배치를 위한 앱을 구동시켜 디스플레이부에 공공자전거 회수메뉴 및 재배치메뉴를 제공하며,
    상기 회수메뉴의 선택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회수할 공공자전거 광학코드를 확인하기 위한 광학코드 확인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광학코드 확인메뉴의 실행을 통해 획득된 입력된 공공자전거 식별정보를 관리자정보 및 위치정보와 매칭시켜 공공자전거 회수승인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회수승인요청정보를 상기 관리센터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센터로부터 수신된 회수승인정보를 상기 자전거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재배치메뉴의 선택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재배치할 공공자전거의 광학코드를 확인하기 위한 광학코드 확인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광학코드 확인메뉴의 실행을 통해 획득된 재배치된 공공자전거 식별정보를 위치정보 및 관리자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코드는 큐알코드(Quick Response Code), 칼라코드(Color Code), 스마트테그(Smart tags) 및 바코드(Bar Co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16.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공자전거를 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여한 공공자전거를 반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여하는 단계는,
    상기 공공자전거에 설치되는 자전거 단말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자전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공공자전거 대여를 위한 앱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앱을 통해 공공자전거 대여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원격의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센터에서 공공자전거 대여승인 요청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공공자전거 대여승인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센터로부터 수신한 대여승인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전거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된 대여승인정보를 근거로 거치대 잠금유닛을 해제시켜 상기 공공자전거를 상기 거치대에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여승인요청정보는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된 광학코드 확인메뉴의 실행을 통해 획득된 공공자전거 식별정보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회원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 단말기 활성화단계는,
    상기 자전거 단말기에 설치되는 웨이크업 버튼을 동작시켜 상기 자전거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승인 요청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앱의 구동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공공자전거 광학코드 확인메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광학코드 확인메뉴를 실행하여 대여할 공공자전거에 표시된 광학코드를 통해 자전거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광학코드를 통해 획득된 공공자전거 식별번호와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회원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 위치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대여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대여승인 요청정보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 식별정보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광학코드 확인메뉴 선택시, 공공자전거에 표시된 광학코드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을 제어하여 촬영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상기 공공자전거에 표시된 광학코드를 촬상하는 단계와;
    상기 광학코드를 촬상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공공자전거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반납하는 단계는,
    상기 자전거 단말기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공공자전거 대여를 위한 앱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앱을 통해 공공자전거 반납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센터에서 공공자전거 반납승인 요청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시간, 요금정보를 포함하는 반납승인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반납승인 요청정보는,
    공공자전거 대여시 수신받은 대여승인정보와, 반납할 공공자전거의 식별정보, 회원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 단말기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자전거 단말기에 구비되는 거치대 잠금유닛에 상기 자전거 거치대에 설치되는 도킹부를 도킹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도킹결합에 의해 상기 거치대 잠금유닛에 구비된 도킹스위치가 스위칭되어 상기 자전거 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여 웨이크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 단계는,
    상기 자전거 단말기의 활성화시 상기 자전거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상기 자전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식별정보와 상기 광학코드를 확인하여 획득한 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에 상기 대여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방법.
  23.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코드는 큐알코드(Quick Response Code), 칼라코드(Color Code), 스마트테그(Smart tags) 및 바코드(Bar Co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방법.
  24.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공자전거를 회수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회수한 공공자전거를 재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회수하는 단계는,
    상기 공공자전거에 설치되는 자전거 단말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자전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관리자 단말기에 설치된 공공자전거 회수를 위한 앱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앱을 통해 공공자전거 회수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원격의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센터에서 공공자전거 회수승인 요청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공공자전거 회수승인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센터로부터 수신한 회수승인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전거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된 회수승인정보를 근거로 거치대 잠금유닛을 해제시켜 상기 공공자전거를 상기 거치대에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회수승인요청정보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공공자전거에 표시된 광학코드를 인식하여 획득한 공공자전거 식별정보와, 관리자 단말기에 저장된 관리자정보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한 자전거 회수 및 재배치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 단말기 활성화단계는,
    상기 자전거 단말기에 설치되는 웨이크업 버튼을 동작시켜 상기 자전거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한 자전거 회수 및 재배치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승인 요청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앱의 구동에 의해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공공자전거의 광학코드 확인메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광학코드 확인메뉴를 실행하여 회수할 공공자전거에 표시된 광학코드를 인식하여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광학코드를 통해 획득한 공공자전거 식별번호와 관리자 단말기에 저장된 관리자정보 및 관리자 단말기 위치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회수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회수승인 요청정보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한 자전거 회수 및 재배치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자전거 단말기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서 공공자전거 대여를 위한 앱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앱을 통해 공공자전거 재배치승인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센터에서 공공자전거 재배치승인 요청정보를 저장된 정보와 비교 확인하고, 재배치승인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한 자전거 회수 및 재배치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 단말기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자전거 단말기에 구비되는 거치대 잠금유닛에 상기 자전거 거치대에 설치되는 도킹부를 도킹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도킹결합에 의해 상기 거치대 잠금유닛에 구비된 도킹스위치가 스위칭되어 상기 자전거 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여 웨이크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한 자전거 회수 및 재배치방법.
  29. 제24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코드는 큐알코드(Quick Response Code), 칼라코드(Color Code), 스마트테그(Smart tags) 및 바코드(Bar Co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한 자전거 회수 및 재배치방법.
KR1020120089530A 2012-08-16 2012-08-16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및 대여방법 KR101379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530A KR101379806B1 (ko) 2012-08-16 2012-08-16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및 대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530A KR101379806B1 (ko) 2012-08-16 2012-08-16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및 대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547A true KR20140023547A (ko) 2014-02-27
KR101379806B1 KR101379806B1 (ko) 2014-04-01

Family

ID=5026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530A KR101379806B1 (ko) 2012-08-16 2012-08-16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및 대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8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63970A1 (fr) * 2017-03-20 2018-09-21 Jcdecaux Sa Systeme automatique de mise a disposition de cycles
US20190071143A1 (en) * 2017-09-07 2019-03-07 Microprogram Information Co., Ltd. Smart handlebar of rental bicy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725B1 (ko) 2015-01-19 2016-02-25 (주)포스트미디어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114B1 (ko) 2010-04-16 2011-05-11 주식회사 빅텍 자전거 대여시스템
KR20120109891A (ko) * 2011-03-28 2012-10-09 주식회사 빅텍 자전거 식별코드를 이용한 자전거 대여 방법
KR20120041705A (ko) * 2012-01-27 2012-05-02 김정호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공공 자전거 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63970A1 (fr) * 2017-03-20 2018-09-21 Jcdecaux Sa Systeme automatique de mise a disposition de cycles
WO2018172674A1 (fr) * 2017-03-20 2018-09-27 Jcdecaux Sa Système automatique de mise a disposition de cycles
US20190071143A1 (en) * 2017-09-07 2019-03-07 Microprogram Information Co., Ltd. Smart handlebar of rental bicy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9806B1 (ko) 201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176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및 대여방법
KR20140031492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및 대여방법
US20150074004A1 (en) Bicycle rental system and method
CN103559641B (zh) 基于智能终端的电动汽车自助租赁系统及其租赁方法
KR20140093792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및 대여방법
KR20150030133A (ko) 자전거 대여시스템 및 그 대여방법
JP6158655B2 (ja) 自転車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
CN107128194B (zh) 一种智能充电系统
CN110370977B (zh) 车辆充电系统、车辆及车辆充电系统的认证方法
US20190037034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912919B2 (en) Wearable camera system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KR101395227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CN104471826B (zh) 充电支援方法、充电支援管理装置及充电支援系统
JP2017068449A (ja)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車両貸出返却方法
JP2018190463A (ja)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車両貸出返却方法
JP2008255702A (ja) 携帯通信機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通信システム
KR101578462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자전거 대여 시스템
CN106356060A (zh) 语音通信方法及装置
KR20130142872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회수 및 재배치방법
KR20120041705A (ko)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공공 자전거 관리 시스템
JP2019109783A (ja) 駐車代行サービス管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210394714A1 (en) Method of bicycle parking management and a system of bicycle parking management
CN110543178A (zh) 一种机器人回充方法及其系统、机器人及充电站
KR101395228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KR101379806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대여시스템 및 대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