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2786A -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 및 암 치료 용도 - Google Patents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 및 암 치료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2786A
KR20140022786A KR1020137018832A KR20137018832A KR20140022786A KR 20140022786 A KR20140022786 A KR 20140022786A KR 1020137018832 A KR1020137018832 A KR 1020137018832A KR 20137018832 A KR20137018832 A KR 20137018832A KR 20140022786 A KR20140022786 A KR 20140022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compound
dp4cych4mt
compounds
dp4e4m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8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스 알 리처드슨
데이빗 비 러브조이
Original Assignee
데스 알 리처드슨
데이빗 비 러브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0905539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0905539A0/en
Application filed by 데스 알 리처드슨, 데이빗 비 러브조이 filed Critical 데스 알 리처드슨
Publication of KR20140022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44Radicals substituted by doubly-bound oxygen, sulfur, or nitrogen atoms, or by two such atoms singly-bound to the same carbon atom
    • C07D213/53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amri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pancreatic disorders, e.g. pancreatic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bla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Rheumatology (AREA)
  • On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디피리딜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 및 이들 화합물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암을 치료하는데 있어서의 이들 화합물 및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32

Description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 및 암 치료 용도{THIOSEMICARBAZONE COMPOUNDS AND USE IN THE TREATMENT OF CANCER}
[001] 이 출원은 2010년 12월 17일 출원된 오스트레일리아 가특허출원 제2010905539호에 기초한 우선권 주장 출원으로서, 상기 출원의 내용은 그 전체가 본 발명에 참조되었다.
[002] 본 발명은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 및 그의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디피리딜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 이들 화합물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및 이들 화합물과 조성물의 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003] 티오세미카르바존 철 킬레이터는 시험관내 및 생체애 모두에 있어서 여러가지 신생물에 대해 극히 강력하고도 선택적인 것으로 밝혀진 항암제 부류이다. 이 화합물들은 암 세포에 있어서 DNA 합성시 필수 요소인 철을 표적으로 하여 기능한다. 철 킬레이터는 처음 β-지중해빈혈증과 같은 철-과부하량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이 질환을 치료하는 데는 킬레이터인 데스페리옥사민 ( DFO )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신경모세포종에 대해 DFO를 시험과는 임상시험 과정에서 이 약물이 몇몇 환자에서 이 암의 진전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초기 연구는 철 킬레이터의 항암제로서의 잠재능을 최초로 밝힌 것이다. 그 이후로, 암 치료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철 킬레이터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티오세미카르바존 철 킬레이터 3-아미노피리딘-2-카르복스알데히드 티오세미카르바존 ( Triapine
Figure pct00001
) (Vion Pharmaceuticals, New Haven CT, United States of America)은 몇몇 I상 및 II상 임상 시험에 진입한 바 있다.
[004] 티오세미카르바존 철 킬레이터는 철과 구리의 결합 및 레독스-활성 착물을 형성하여, 암세포에 세포독성을 유발하는 반응성 산소종(ROS)을 생성시킴으로써 기능한다. 오늘날까지 개발된 가장 활성적인 화합물들 중 한가지는 철 킬레이터의 티오세미카르바존 부류인 디-2-피리딜케톤 4,4-디메틸-3-티오세미카르바존 (본 명세서에서 Dp44mT 로 약칭함)으로서 이것은 WO 2004/069801에 설명되어 있다. Dp44mT은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몇가지 서로 다른 종양의 성장을 현저히 그리고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입증되어 왔으며, Triapine
Figure pct00002
보다 더 강력하면서도 독성은 덜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높은 비최적 투여량의 Dp44mT를 이용한 연구 결과 이 물질은 누드 마우스에서 심장독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005]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은 전이 억제자인 NDRG1을 표적으로 한다. NDRG1은 생체내에서 췌장암의 성장과 전이는 물론 혈관신생을 모두 억제하여 종양의 진행을 저감시킨다. 뿐만 아니라, NDRG1은 최근췌장암의 증가된 분화와도 연관지어진 바 있으며 췌장암에 대한 그의 유망한 치료 표적으로서의 잠재능에 관한 보고가 이루어진 바 있다 (예컨대, Kovacevic, Z. 및 D. R. Richardson (2006). Carcinogenesis 27: 2355-66; Maruyama, Y., M. Ono, et al. (2006). Cancer Res 66: 6233-42). NDRG1은 종양 억제자 PTEN 및 SMAD4 (이들 두가지 모두 NDRG1에 응답하여 상향조절된다)를 포함하여 췌장암에서 몇몇 핵심 분자 표적을 갖는다. 따라서, NDRG1은 특히 췌장암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유망한 치료 표적이 될 수 있다. NDRG1은 최근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철-킬레이팅 항암제를 이용하여 상향조절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비록 저산소증-유도성 전사인자(HIF-1)-비의존성 경로 역시도 관찰되기는 하였으나, 철 킬레이터는 저산소증-유도성 전사인자(HIF-1)-의존성 메카니즘을 경유하여 NDRG1 발현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철-킬레이팅 항암제는 세포의 철 고갈에 의해 암세포에서 NDRG1 발현을 표적화하는데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
[006] 새롭고도 대안적인 암 치료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세포 증식을 유리하게 억제하고 암 치료에도 유용할 수 있는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의 선택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요
[007] 한 가지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 (I)의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 및 그의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3
식 중, R1은 시클로헥실 또는 에틸이다;
[008]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화합물 디-2-피리딜케톤 4-에틸-4-메틸-3-티오세미카르바존 (본 명세서에서 Dp4e4mT 로 약칭함) 및 그의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009]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화합물 디-2-피리딜케톤 4-시클로헥실-4-메틸-3-티오세미카르바존 (본 명세서에서 Dp4cycH4mT 로 약칭함), 그의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010]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염산염과 같은 산부가염이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 해당한다.
[011]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희석제 또는 아쥬반트와 함께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012]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 또는 그의 의약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있어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포유동물은 인간이다.
[013]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암치료용 의약을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014]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암을 치료하는데 있어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 또는 그의 의약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015]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양한 종류의 암, 예컨대 고형 및 비고형 종양, 예컨대 비제한적인 예로서 흑색종, 피부암, 유방암, 전립선암, 방광암, 간암, 위장관암, 결장직장암, 뇌종양, 두경부암, 골암, 췌장암, 자궁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폐암 및 혈액암(예컨대 백혈병 및 림프종)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암은 췌장암, 폐암 및 뇌종양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암은 췌장암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암은 폐암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암은 뇌종양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고형 종양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고형 종양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고형 종양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016]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세포 증식의 억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1 이상의 세포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세포는 시험관내 또는 생체내의 것일 수 있다. 좋기로는 세포가 포유동물 세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017]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포함하다" 또는 이의 변형 용어인 "포함하는", "포함" 등의 용어는 언급된, 요소, 정수 또는 단계, 요소들, 정수들 또는 단계들의 그룹을 포괄하는 것이며, 이들의 어떤 특정 요소, 정수, 그룹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문맥 상, "포함하다"라 함은 "기본적으로 포함하되 배제하는 것은 아님"을 의미한다.
[018] 본 명세서에 포함된 모든 인용문헌, 작용, 재료, 디바이스, 논문 등은 본 발명의 내용을 제공할 목적으로만 포함된 것이다. 이것이, 이들 사안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본 명세서의 각각의 청구항의 우선일 이전에, 오스트레일리아는 물론 다른 어느 곳에서든 본 발명과 연관된 분야에서 일반적인 공지 기술 사항이었다거나 종래기술의 일부임을 자인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정의
[033] 다음에 본 발명의 설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몇몇 정의를 제시한다. 이들은 일반적인 정의로서 의도된 것이며 이들 용어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할 의도는 없을 뿐 아니라, 다음의 설명을 보다 잘 이해시키기 위하여 제공된 데 불과하다.
[034] 본 발명에서 달리 또는 반대로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인용된 단수의 정수, 단계 또는 요소들은 인용된 정수, 단계 또는 요소들의 단복수형 모두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035] 당업자들은 본 발명에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변형 몇 변화를 포괄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명세서에 제시된 단계, 특성, 조성물 및 화합물을 개별적으로나 집합적으로 모두 포괄하며, 상기 단계, 특성, 조성물 및 화합물 2 이상의 여하한 조합 역시 모두 포괄한다.
[036]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철 (Fe(II) 및 Fe(III))과 같은 전이금속 이온을 킬레이팅할 수 있는 세자리(tridentate) 리간드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본 발명의 화합물은 "리간드", "킬레이터" 또는 "철 킬레이터"라 칭해질 수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킬레이터' 또는 '리간드(들)'에는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화학식 (I)의 화합물, 그의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이 모두 포괄된다.
[037] 본 발명은 부분입체이성질체 (시스/트랜스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라세미체 및 거울상이성질체를 비롯하여, 그의 범위에 본 발명에 개시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의 모든 이성질체 형태를 포괄한다.
[038] 본 발명의 문맥 상, "투여하다" 및 "투여하고", "투여하는" 등의 파생어들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생명체, 포유동물 또는 적절한 수단으 표면에 도포, 전달 또는 제공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039] 본 명세서의 문맥 상, "포유동물"이라 함은 인간 및 사회 경제적 또는 연구적으로 중요한 종의 개체를 포괄하며, 그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양, 소, 말, 돼지, 고양이, 개, 영장류 (인간 및 비인가나 영장류를 포함한다), 설치류, 쥐, 염소, 토끼 및 조류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포유동물은 인간이다.
[040] 본 발명의 문맥 상, "치료하다"라는 용어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질병의 상태나 증상을 치유, 질병 발병을 예방, 또는 질병이나 바람직하지못한 증상의 예방, 방해, 지연 또는 가역적 진행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점의 의심도 회피하기 위해 말해두자면, 본 발명에서 "치료하다"라 함은 치유, 일시적 처방 및 예방적 처치 모두를 포괄하는 것이다.
[041] 본 발명의 문맥 상, 본 명세서에서 "유효량"이라 함은 소망되는 치료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합물이나 조성물의 충분한 그러나 비독성량을 의미한다. 정확한 필요량은 치료되는 대상 종, 대상자의 연령 및 일반적 상태, 치료되는 병태의 위중도, 투여되는 특정 약물, 투여 방식 등과 같은 인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유효량"을 정확하게 명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주어진 경우에서, 적절한 "유효량"은 단지 일상적인 실험을 이용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042] 본 발명은 항증식 특성을 가지며 따라서 암 치료에 유용할 수 있는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의 선택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일반식 (I)의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 및 그의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4
식 중, R1은 시클로헥실 또는 에틸이다.
[043]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디-2-피리딜케톤 4-에틸-4-메틸-3-티오세미카르바존 (Dp4e4mT) 및 디-2-피리딜케톤 4-시클로헥실-4-메틸-3-티오세미카르바존 (Dp4cycH4mT), 및 그의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5
[044]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철 킬레이터이며 Fe(II) 및 Fe(III)를 킬레이트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철 착물 (즉, Fe(II) 및 Fe(III) 착물) 역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045]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은 당업자에게 공지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으로는 예컨대, in Advanced Organic Chemistry, 4th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1992) 및 Vogel 's Textbook of Practical Organic Chemistry, 5th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1989)에 설명된 바와 같이, 케톤을 이용하여 이민을 쉬프 염기 축합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046]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예시적인 일반 합성 반응을 반응식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6
[047] 그 첫번째 단계는 2차 아민(NHRaRb)과 이황화탄소와의 반응으로부터 카르복시메틸 디티오카바메이트르르 형성하는 것이다. 2차 아민의 Ra 및 Rb기들은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선형 또는 시클릭 C1 -6 알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반응식 1에 의하면, Ra는 메틸이고 Rb는 에틸 또는 시클로헥실이다. 적절한 할로아세테이트의 예로는 클로로아세테이트와 브로모아세테이트를 들 수 있다. 적절한 염기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예컨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암모니아, 디에틸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첫번째 단계는 주변 온도 (예컨대, 약 20-25℃)에서 수행된다. 표준의 산 워크-업 (예컨대, 수성 염산, 황산 등)에 의해 카르복시메틸 디티오카바메이트가 수득된다.
[048] 다음 단계는 카르복시메틸 디티오카바메이트와 히드라진 수화물과의 반응에 의하여 티오세미카르바지드 중간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단계는 약 25℃ 내지 약 60℃의 온도 범위에서 약간 가열하면서 물 중에서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몰 과량의 히드라진 수화물이 사용된다.
[049] 이어서, 티오세미카르바지드 화합물을 디-2-피리딜 케톤과 쉬프-염기 축합 반응시켜 화학식 (I)의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을 얻는다. 일반적으로, 이 반응은 에탄올, 프로판올, 테트라히드로퓨란 등과 같은 적절한 극성 용매 중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혼합물을 적절한 기간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약 24 시간), 예컨대 약 2 내지 약 8 시간, 더욱 일반적으로는 약 2 내지 약 4 시간 동안 환류가열시켜 수행한다. 필요에 따라, 축합 반응 중에 생성된 물을, 예컨대 TiCl4 또는 분자체와 같은 건조제를 포함시키거나, 또는 공비 증류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050]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염 형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여 쉽게 만들 수 있다. 예컨대, 산 부가염은 헥산, 디클로로메탄 등과 같은 적절한 비극성 용매에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용해시키고 소망되는 염에 대응하는 수성산과 함께 교반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염산으로부터 염산염, 질산으로부터 질산염, 황산으로부터 황산염 등을 수득할 수 있다.
[051]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표준 기술을 이용하여 정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적절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로부터 결정화시킴으로써 정제할 수 있다. 적절한 용매는 당업자에게 공지이며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아세토니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및 그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생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은 1종 이상의 유기 용매 및 물을 포함하는 용매 혼합물로부터 재결정될 수 있다. 정제 후,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실질적으로 순수할 수 있다. 예컨대,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적어도 약 80%, 85%, 90%, 95%, 98%, 또는 99% 순수한 형태로 분리될 수 있다.
치료법
[052] 본 발명은 또한 일반식 (I)의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 및 그의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의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특히, 화학식 (I)의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은 항증식 특성을 가지므로 암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은 철 킬레이터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양한 암(종양)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암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흑색종, 피부암, 유방암, 전립선암, 방광암, 간암, 위장관암, 결장 및 직장암, 뇌암, 두경부암, 골암, 췌장암, 자궁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폐암 및 혈액 종양(예컨대, 백혈병 및 림프종)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암의 구체예는 췌장암이다. 다른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암은 폐암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암은 뇌암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고형 종양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ㅎ바물은 비고형 종양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053] 췌장암은 진단 후 최초 5년 이내에 98-100%가 사망하게 되는 치명적 질환으로서, 이 질환의 생존률은 오늘날에도 20년 전이나 마찬가지이다. 현재 이용가능한 췌장암의 가장 좋은 치료법은 항암제인 젬시타빈인데, 이 약물은 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인, 데옥시시티딘이다. 젬시타빈은 세포 내에서 활성 대사산물인 디플루오로데옥시시티딘 디- 및 트리포스페이트(dFdCDP, dFdCTP)로 전환되는 전구약물이다. 췌장암 치료에서의 젬시타빈의 성공은 그러나 제한적이었다. 실상, 이 약물은 이용한 임상시험 결과 이 약물은 평균적으로 환자의 수명을 겨우 약 3개월 정도만 연장시켰을 뿐이다. 젬시타빈은 5-플루오로우라실 (5-FU)과 같은 다른 항암제와 조합 사용되어 그 활성이 다소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췌장암 환자의 예후는 여전히 비관적이다.
[054] 놀랍게도, 본 발명의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 또는 그의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은 공지의 항암제와 비교할 때 적어도 이들과 동등하거나 좋기로는 더 우수한 항증식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은 젬시타빈과 5-플루오로우라실에 비해 암 세포 (예컨대 췌장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데 더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다른 항암제와 조합되거나, 또는 항암치료의 일부로서 사용됨)은 따라서 기존의 항암제들에 비해 1 이상의 유리한 치료 특성을 보유하는 대안적인 항암제이다.
[055] 본 발명의 또 다른 놀랍고도 바람직한 특성은, 본 발명의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 또는 그의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이, 특히나 공격적인 암 형태인 것으로 널리 알려진 췌장 종양 성장을 실질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따라서 췌장암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단독으로 다른 항암제와 병용되거나 또는 항암 치료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은 Dp4e4mT 또는 그의 염 또는 수화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티오세미카르바존은 Dp4cycH4mT 또는 그의 염 또는 수화물이다.
[056] 본 발명의 또 다른 놀랍고도 예기치 않은 특성은 본 발명의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이 강력한 항증식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인 디-2-피리딜케톤 4,4-디메틸-3-티오세미카르바존 (Dp44mT)보다 더 효과적이면서 독성은 더 약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 예컨대, Dp4cycH4mT 또는 Dp4e4mT는 Dp44mT보다 실질적으로 심장독성이 더 낮다.
[057] 단백질 미오글로빈(Mb)은 산소 저장 및 근육으로의 공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으르 하며 헤모글로빈에 대한 모노머 카운터파트이다. Triapine
Figure pct00007
에 대한 암 임상 연구에서, 메테모글로빈혈증 및 저산소증이 투여량을 제한하는 부작용으로서 인지된 바 있다 (Attia S, Kolesar J, et al., (2008). Invest New Drugs 26: 369-379 ; Ma B, Goh BC, et al. (2008). Invest New Drugs 26: 169-73). 암에 대해 화학치료법을 받는 환자들에 있어서, 이 합병증은 이들 환자로 하여금 종종 호흡능을 저하시키도록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metHb의 과도한 생성은 Triapine
Figure pct00008
의 임상적 유용성을 저감시킨다. 본 발명의 화합물, 특히 화합물Dp4cycH4mT는 다른 항암제에 비해 추가의 장점을 갖는데, 이는 이들이 메테모글로빈( metHb ) 및/또는 메트미오글로빈 ( metMb ) 형성을 유도하지 않거나, 또는 이드르 화합물이 Dp44mT 및 Triapine
Figure pct00009
과 같은 다른 항암제에 비해 metHb 및/또는 metMb 형성을 유의적으로 훨씬 더 낮은 정도로만 유도하기 때문이다.
포뮬레이션
[058] 본 발명에 따라, 감염,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9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약물과 병용되어 또는 치료의 일부로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적어도 1종 포함하는 의약 또는 수의용 포뮬레이션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화합물(들)은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비롯하여 적절한 염으로서 존재할 수 도 있다.
[059]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전달하는데 적합한 의약 조성물과 이들의 제조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조성물과 이들의 제조방법은 예컨대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ition (Mack Publishing Company, 1995)에 설명되어 있다.
[060]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1종 이상의 다른 치료제와 조합되어 조성될 수 있다.
[061]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외과수술에 따른 치료방법과 병용되고 및/또는 기타 공지의 치료제, 예컨대 다른 항암제, 특히 화학치료제, 방사능 치료제, 및/또는 아쥬반트 또는 예방을 위한 약물과 병용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적절한 물질의 예들은 Merck Index, An Encyclopaedia of Chemicals , Drugs and Biologicals, 12th Ed.,1996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이문헌의 내용 전체가 본 발명에 참조된다.
[062] 예컨대, 고형 종양 치료에 사용될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아드리아마이신, 탁솔, 도세탁셀, 플루오로우라실, 멜팔란, 시스플라틴, 알파 인터페론, COMP (시클로포스파미드, 빈크리스틴, 메토트렉세이트 및 프레드니손), 에토포시드, mBACOD (메토트렉세이트, 블레오마이신, 독소루비신, 시클로포스파미드, 빈크리스틴 및 덱사메타손), PROMACE/MOPP (프레드니손, 메토트렉세이트 (w/류코빈 레스큐), 독소루비신, 시클로포스파미드, 탁솔, 에토포시드/메클로레타민, 빈크리스틴, 프레드니손 및 프로카바진),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안지오인히빈, TNP-470, 펜토산 폴리설페이트, 혈소판 인자 4, 안지오스타틴, LM-609, SU-101, CM-101, 테크갈란, 탈리도마이드, SP-PG 등과 같은 1종 이상의 화학치료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063] 항암제의 또 다른 예로는 알킬화제 예컨대 질소 머스타드 (예컨대, 메클로레타민, 멜팔란, 클로람부실, 시클로포스파미드, (L-사르코리신), 및 이포스파미드), 에틸렌이민 및 메틸멜라민 (예컨대, 헥사메틸멜라민, 티오테파), 알킬설포네이트 (예컨대, 부술판), 니트로소우레아 (예컨대, 카르보스틴, 로무스틴, 세무스틴, 스트렙토조신), 트리아젠 (예컨대, 다카르바진 (디메틸트리아제노-이미다졸카르복사미드), 테모졸로마이드), 엽산 유사체 (예컨대, 메토트렉세이트), 피리미딘 유사체 (예컨대, 5-플루오로우리실, 플록스우리딘, 시타라빈, 젬시타빈), 퓨린 유사체 (예컨대, 6-머캅토퓨린, 6-티오구아닌, 펜토스타틴 (2'-데옥시코포마이신) 클라드리빈, 플루다라빈), 빈카 알칼로이드 (예컨대,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탁산 9예컨대, 파클리탁세라, 도세탁셀), 에피포도필로톡신 (예컨대, 에토포시드, 테니포시드), 캄토테신 (토포테칸, 이리노테칸), 항생제 (예컨대, 아드리아마이신 D, 다우노루비신 (다우노마이신, 루비도마이신), 독소루비신, 블레오마이신, 미토마이신 C, 메트라마이신), 효소 (예컨대, L-아스파라기나제), 인터페론-알파, 인터류킨-2, 시스플라틴, 카르보플라틴, 미토잔트론, 히드록시우레아, 프로카르바진, 미토테인, 아미노글루테티미드, 이마티닙, 아드레토코르티코스테로이드 (예컨대 프레드니손), 프로제스틴 (예컨대 히드록시프로제스테론 카프로에이트, 메드록시프로제스테론 아세테이트,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외스트로겐 (예컨대, 디에틸스틸베스트롤, 에티닐 에스트라디올), 항에스트로겐 (예컨대, 타목시펜, 아나스트로졸), 안드로겐 (예컨대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 플루옥심스테론), 항안드로겐 (예컨대, 플루타미드), 및 고나도트로핀-방출 호르몬 유사체 (예컨대, 류프롤리드)를 들 수 있다.
[064]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1 이상의 화합물을 젬시타빈 또는 5-플루오로우라실과 병용하거나 또는 젬시타빈 및 5-플루오로우라실과 병용할 수 있다.
[065] 이러한 병용 치료법은 필요에 따라 각각의 경우 활성 약물들을 함께, 순차로 또는 공간적으로 이격시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비롯한 활성 물질들은 조합은 상승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0066]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라 함은 건강한 의료 담당자의 판단 범위내에서,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등을 일으킴이 없이 인간 및 인간보다 하등한 동물들의 조적과 접촉시켜 사용하는데 적합한 것으로서, 합리적인 장점/위험 비율을 갖는 것들이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들은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예컨대 염산염과 같은 산부가염이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이다.
[0067]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절한 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무기산과 유기산을 포함한다)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 (무기염기와 유기염기를 포함한다)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절한 염은 따라서 산부가염과 염기 염이다.
[068]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절한 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세트산, 벤젠술폰산, 벤조산, 캄포술폰산, 시트르산, 에텐술폰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히드로브롬산, 염산, 이세티온산, 젖산, 말레산, 말산, 말론산, 만델산, 메탄술폰산, 뮤신산, 질산, 파모산, 판토텐산, 인산, 옥살산, 숙신산, 황산, 타르타르산, p-톨루엔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현재 바람직한 산부가염은 염산염, 히드로브롬산염, 인산, 황산염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염산염이다.
[069] 적절한 염기 염은 비독성 염을 형성하는 염기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알루미늄, 아르기닌, 벤자틴, 칼슘, 콜린, 디에틸아민, 디올라민, 글리신, 리신, 마그네슘, 메글루민, 올라민, 칼륨, 나트륨, 트로메타민 및 아연염을 들 수 있다.
[070] 산 및 염기의 반염(헤미염) 역시 형성될 있으며, 그 예는 헤미술페이트 및 헤미칼슘염이다.
[071] S. M. Berge 등은 J. Pharmaceutical Sciences , 1977, 66:1-19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대하여 상술하고 있으며, 적절한 염에 관한 리뷰가 Handbook of Pharmaceutical Salts : Properties , Selection , 및 Use by Stahl 및 Wermuth (Wiley-VCH, Weinheim, Germany, 2002)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 2 문헌 모두 본 발명에 그 내용 점체가 참조되었다.
[072] 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최종 분리 및 정제 단계 동안 현장에서(in situ) 제조되거나 또는 적절한 유기산과 유리염기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별도로 제조될 수도 있다. 대표적인 산부가염으로는 아세테이트, 아디페이트, 알지네이트, 아스코르베이트, 아스파레이트, 벤젠술포네이트, 벤조에이트, 바이술페이트, 보레이트, 부티레이트, 캄포레이트, 캄포술포네이트, 시트레이트, 디글루코네이트, 시클로펜탄프로피오네이트, 도데실술페이트, 에탄술포네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코헵토네이트, 글리세로포스페이트, 헤미술페이트, 헵토네이트, 헥사노에이트, 히드로브로마이드, 염산염, 히드로요오다이드, 2-히드록시-에탄술포네이트, 락토비오네이트, 락테이트, 라우레이트, 라우릴 술페이트, 말레이트, 말리에이트, 말로네이트, 메탄술포네이트, 2-나프탈렌술포네이트, 니코티네이트, 니트레이트, 올리에이트, 옥살레이트, 팔미테이트, 파모에이트, 펙티네이트, 퍼술페이트, 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포스페이트, 피크레이트, 피발레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스테아레이트, 숙시네이트, 술페이트, 타르트레이트, 티오시아네이트, 톨루엔술포네이트, 운데카노에이트, 발레레이트 염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으로는 소듐, 리튬, 포타슘, 칼슘, 마그네슘 등과 비독성 암모늄, 4급 암모늄 및 아민 양이온 예컨대 비제한적인 예로서 암모늄, 테트라메틸암모늄, 테트라에틸암모늄,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에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073] 본 발명의 화합물의 간편한 투여 모드로는 비경구 (예컨대 피하, 정맥내, 근육내, 피내, 복강내, 경막내, 안내, 비내, 심실내 주사 또는 인퓨젼 기술), 복강내, 경구 투여, 흡입, 경피 적용, 국소용 크림 또는 겔 또는 분말, 또는 직장 투여를 들 수 있다. 투여 경로에 따라, 포뮬레이션 및/또는 화합물은, 화합물의 치료 활성을 불활성화시킬 수도 있는 효소, 산 및 기타 자연 조건의 작용으로부터 이들 화합물을 보호하기 위한 물질로 피복될 수도 있다.
[074]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분산제 역시도 글리세롤, 액상 폴리에틸렌 글리콜, 이들의 혼합물 및 오일 중에서 제조될 수 있다. 통상적인 보간 및 사용 조건 하에서, 약물 제제는 미생물 성장을 방지하기 위한 보존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075] 주사용으로 적합한 의약 조성물은 멸균 수용액 (적절히 수용성인 활성 물질) 또는 분산액 및 멸균 주사용액 또는 분산액의 즉석 제조를 위한 멸균 분말을 포함한다. 이상적으로는, 이 조성물은 제조 및 보관 조건 하에서 안정한 것이 좋고 세균이나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의 오염 작용으로부터 조성물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보존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076]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경구로, 예컨대 불활성 희석제 또는 자화가능한 식용 담체와 더불어 투여될 수 있다. 화합물(들) 및 기타 성분들은 또한 경질 또는 연질 쉘 젤라틴 캡슐 내로 봉입, 압착되어 정제로 만들어져, 개체의 소화기관으로 직접 투여될 수 있다. 경구 치료 투여를 위해, 화합물(들)을 부형제와 혼합하여 섭취가능한 정제, 버컬 정제, 트로키제, 캡슐제, 엘렉시르제, 현탁제, 시럽제, 웨이퍼 등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이러한 조성물과 제제들은 활성 화합물을 적어도 1 중량% 함유할 수 있다. 의약 조성물 중의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백분율은 물론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이 양은 투여 단위 중량의 약 2% 내지 약 90%, 약 5% 내지 약 80%, 약 10% 내지 약 75%, 약 15% 내지 약 65%; 약 20% 내지 약 60%, 약 25% 내지 약 50%, 약 30% 내지 약 45%, 또는 약 35% 내지 약 45%일 수 있다. 치료적으로 유용한 조성물 중의 화합물의 양은 적절한 투여량이 얻어지도록 하는 양이다. 적절한 투여량은 일회 또는 다회 투여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077]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라는 용어에는 용매, 분산매질, 코팅, 항균제 및 항진균제, 등장화제 및 흡수지연제 등이 포함된다. 약학적 활성 물질을 위한 이러한 매질 및 제제의 사용은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혼용가능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 통상적인 매질 또는 물질을 치료 조성물 및 치료 방법 및 예방법에 사용할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보조 활성 화합물 역시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비경구용 조성물을 용이한 투여 및 균일한 투여량을 위해 투여 단위 형태로 조성시키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078] 본 발명에서 "단위 투여 형태(dosage unit form)"라 함은 치료하고자 하는 개체의 단위 투여량으로서 적합한 물리적으로 불연속적인 단위를 가리키며; 각각의 단위는 요구되는 약학적 담체와 연계하여 소망되는 치료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계산된 소정량의 화합물을 함유한다. 화합물(들)은 허용가능한 투여 단위 중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합한 담체와 함께 간편하고도 효과적인 투여량을 위해 유효량으로 조성될 수 있다. 보조 활성 성분들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경우, 투여량은 통상적인 투여량과 상기 성분들의 투여 방식을 참조로 결정된다.
[079] 일 구체예에서, 담체는 경구 투여가능한 담체일 수 있다.
[080] 의약 조성물의 또 다른 형태는 경구 투여에 적합한, 장용 피복된 과립, 정제 또는 캡슐로서 조성된 투여 형태이다.
[081] 또한 지연형 또는 장기 방출형 포뮬레이션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괄된다.
[082]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주사가능한 용액의 경우, 담체는 예컨대 물 (예컨대 주사용수), 염수, 5% 글루코스 용액, 에탄올, 폴리올(예컨대,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상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적절한 혼합물, 및 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용매 또는 분산 매질일 수 있다. 예컨대 레시틴과 같은 코팅의 이용에 의해, 분산액의 경우 필요한 입자 크기를 유지함으로써, 그리고 계면활성제 (예컨대 폴리소르베이트 80)를 사용함으로써 적절한 유동성을 유지할 수 있다. 미생물의 작용을 예방하는 것은 다양한 항균제 및/또는 항진균제를 포함시켜 달성할 수 있다. 적절한 물질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이의 예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벤질 알코올, 아스코르브산, 티메로살 등을 들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등장화제, 예컨대 설탕, 폴리알코올 예컨대 만니톨, 소르비톨, 염화나트륨을 조성물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조성물 중에 흡수를 지연시키는 물질, 예컨대 알루미늄 모노스테테아레이트 및 젤라틴을 포함시킴으로써, 주사가능한 조성물을 장기간 흡수시킬 수 있다.
[083] 필요하다면, 적절한 용매 중에서 유사체를 전술한 바와 같은 성분 1종과 함께 혼입시킨 다음 여과 멸균시켜 멸균 주사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산액은 기초 분산 매질 및 전술한 바와 같은 그 밖의 필요한 성분들을 함유하는 멸균 비히클에 유사체를 혼입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084] 정제, 트로키제, 알약, 캡슐제 등은 다음을 함유할 수도 있다; 검 트라가칸트, 아카시아, 옥수수전분 또는 젤라틴과 같은 바인더; 디칼슘 포스페이트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알긴산 등과 같은 붕괴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및 수크로스, 락토스 또는 사카린과 같은 감미료 또는 페퍼민트, 윈터그린 오일 또는 체리향과 같은 풍미제. 투여 단위 형태가 캡슐일 경우, 이것은 전술한 유형의 물질에 더해서, 액상 담체를 더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물질들이 코팅으로서 존재하거나 또는 투여 단위의 물리적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정제, 알약 또는 캡슐은 쉘락, 설탕 또는 두가지 모두로 코팅될 수 있다. 시럽 또는 엘릭실르제는 유사체, 감미료로서 수크로스, 보존제로서 메틸 및 프로필파라벤 , 염료 및 풍미제 에컨대 체리향 또는 오렌지향을 함유할 수 있다. 물론, 투여 단위 형태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물질들은 약학적으로 순수하고 실제로 비독성인 양으로 사용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에 더해, 유사체는 지속방출형 제제 및 포뮬레이션에 포함될 수 있다.
[085] 좋기로는, 의약 조성물은 산 가수분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절한 완충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완충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포스페이트, 시트레이트,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086]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조성물을 일회 또는 다회 투여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통상적인 실험에 의해 본 발명의 화합물 및/또는 조성물의 유효하고도 비독성인 투여량 수준을 결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성물을 적용하고자 하는 질병 및/또는 감염증을 치료하는데 적절한 투여 형태 역시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087] 또한, 당업자들은 정의된 일수 동안 하루에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몇회 투여하는지 등과 같은 최적 치료 경과를, 통상적인 치료 결정 테스트를 통하여 검정할 수 있을 것이다.
[088] 일반적으로, 24시간 당 유효 투여량은 약 0.0001 mg 내지 약 1000 mg/kg 체중; 적절하게는, 약 0.001 mg 내지 약 750 mg/kg 체중; 약 0.01 mg 내지 약 500 mg/kg 체중; 약 0.1 mg 내지 약 500 mg/kg 체중; 약 0.1 mg 내지 약 250 mg/kg 체중; 또는 약 1.0 mg 내지 약 250 mg/kg 체중의 범위이다. 더욱 적절하게는, 24시간 당 유효 투여량은 약 1.0 mg 내지 약 200 mg/kg 체중; 약 1.0 mg 내지 약 100 mg/kg 체중; 약 1.0 mg 내지 약 50 mg/kg 체중; 약 1.0 mg 내지 약 25 mg/kg 체중; 약 5.0 mg 내지 약 50 mg/kg 체중; 약 5.0 mg 내지 약 20 mg/kg 체중; 또는 약 5.0 mg 내지 약 15 mg/kg 체중의 범위이다.
[089] 별법으로, 유효 투여량은 치료되는 환자의 체표면적(Body Surface Area: BSA )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환자의 BSA는 당업자에게 공지인 방법에 의해 쉽게 산출될 수 있다. 적절한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약 500 mg/m2 이하이다. 예컨대, 일반적을, 유효 투여량은 약 10 내지 약 500 mg/m2, 약 25 내지 약 350 mg/m2, 약 25 내지 약 300 mg/m2, 약 25 내지 약 250 mg/m2, 약 50 내지 약 250 mg/m2, 및 약 75 내지 약 150 mg/m2의 범위가 될 것이다.
[019] 도 1. A 화합물 Dp4e4mT 및 Dp4cycH4mT의 구조식. B Dp4cycH4mT의 일반 합성반응도.
[020] 도 2. SK-N-MC 신경상피종에 대한 Dp4e4mT 및 Dp4cycH4mT의 항증식 활성.
[021] 도 3. 췌장암 세포주에 대한 Dp4cycH4mT의 항증식 활성.
[022] 도 4. SK-N-MC 신경상피종 세포에 있어서의 철 유출 (A) 및 철 흡수 (B) 연구.
[023] 도 5. 누드 마우스에 있어서 DMS-53 폐 암종의 성장. Dp4e4mT 정맥 투여 연구.
[024] 도 6. 누드 마우스에 있어서 DMS-53 폐 암종의 성장. Dp4e4mT 정맥 투여 연구: 심장 섬유화 평가.
[025] 도 7. 누드 마우스에 있어서 DMS-53 폐 암종의 성장. Dp4e4mT 경구 투여 연구: A. 종양 크기 v 치료일수. B. 종양 중량
[026] 도 8. 누드 마우스에 있어서 DMS-53 폐 암종. Dp4e4mT 경구 투여 연구: 심장, 비장, 간의 조직학 분석.
[027] 도 9. 누드 마우스에 있어서 PANC 1 췌장 암종의 성장. Dp4cycH4mT 정맥 투여 연구: A. 종양 크기 v 치료일수. B. 종양 중량. C. 대표적인 종양의 사진.
[028] 도 10. 누드 마우스에 있어서 PANC 1 췌장 암종의 성장. Dp4cycH4mT 정맥 투여 연구: 심장, 비장, 간의 조직학 분석.
[029] 도 11. 누드 마우스에 있어서 PANC 1 췌장 암종의 성장. Dp4cycH4mT 정맥 투여 연구: NDRG-1, TfR 및 세포 사이클 분자에 미치는 Dp4cycH4mT의 효과.
[030] 도 12. 시험관내에서 metHb-형성에 미치는 DFO 및 티오세미카르바존 킬레이터의 효과. 전체 RBC를 1-25μM 킬레이터와 함께 37℃에서 3 시간 인큐베이션시켰다. 세포들을 초순수한 H2O를 이용하여 용해(lysed)시키고 metHb 수준을 분광학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회의 실험 결과를 평균±SD로 나타내었다.
[031] 도 13. 생체내에서 metHb-형성에 미치는 티오세미카르바존 킬레이터의 효과. 꼬리 정맥을 통해 6 mg/kg의 투여량으로 Dp44mT, Triapine또는 Dp4cycH4mT 처리 후 MetHb. 대조군의 마우스들은 비히클만으로 처리하였다. 투여 30분 후, metHb 수준 측정을 위해 전혈을 수집하였다.
[032] 도 14. 생체내에서 metMb-생성에 미치는 티오세미카르바존 킬레이터의 효과. 꼬리 정맥을 통해 6 mg/kg의 투여량으로 Dp44mT Triapine
Figure pct00011
또는 Dp4cycH4mT 처리 후 MetMb 수준. 대조군의 마우스들은 비히클만으로 처리하였다. 투여 30분 후, metMb 수준 측정을 위해 심장 전체를 수확하였다.
실시예
실시예 1 - Dp4cych4mT , Dp4e4mT 및 대응하는 염산염의 합성
방법론:
[091] 수립된 방법들 (Scovill, J P (1990). Phosphorous , Sulphur 및 Silicon 60: 15-19; Richardson, D.R.et al (2006). J Med Chem. 49: 6510-6521)을 조합함으로써, 킬레이터 디-2-피리딜케톤 4-에틸-4-메틸-3-티오세미카르바존 ( Dp4e4mT ) 및 디-2-피리딜케톤 4-시클로헥실-4-메틸-3-티오세미카르바존 ( Dp4cycH4mT )을 합성하였다. 간략히 설명하면, NaOH 용액 (250 mL, 0.8 M) 중의 N-메틸시클로헥실아민 또는 N-에틸메틸아민 (0.2 mol)에 이황화탄소 (0.2 mol)를 적가하고 유기층이 거의 사라질 때까지 반응시켰다. 이어서, 소듐 클로로아세테이트 (0.2 mol)를 수성 추출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진한 HCl (25 mL)을 첨가하여 고체상 카르복시메틸 티오카바메이트 중간체를 얻었다. 대략 0.08 mol의 카르복시메틸 티오카바메이트 중간체를 20 mL 히드라진 수화물 플러스 10 mL의 물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5회 사이클로 온화하게 가열과 (퓨밍 전까지) 냉각을 반복하였다. 이어서, 형성된 티오세미카르바지드 중간체의 미세한 백색 결정이 형성될 때까지 용액을 정치시켰다. 물 (15 mL) 중의 티오세미카르바지드 중간체 (10 mmol)를 EtOH (15 mL)에 용해된 디-2-피리딜 케톤 (10 mmol)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빙초산 5 방울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 환류시킨 다음 5℃로 냉각시켜 황색의 Dp4cycH4mT 또는 Dp4e4mT 침전물을 각각 수득하였다. 마지막으로, Dp4cycH4mT 또는 Dp4e4mT를 최소 부피의 차가운 헥산에 용해시키고 동 몰량의 HCl을 첨가하여 대응하는 HCl 염을 얻었다. 이 합성 반응식을 도 1B에 나타내었다.
결과:
[092] Dp4cycH4mT: 수율 64% (CS2로부터). C19H23N5S 계산치: C, 64.56; H, 6.56; N, 19.81%. 실측치: C, 64.51; H, 6.47; N, 20.04%.
[093] Dp4cycH4mT . HCl .5 H 2 O 수율 87% (Dp4cycH4mT로부터). C19H23N5S.HCl 5.5H2O 계산치: C, 47.54; H, 7.14; N, 14.59%. 실측치: C, 47.06; H, 6.65; N, 14.95%. 1H-NMR (DMSO-d 6): δ 8.82 (d, 1H), 8.61 (d, 1H), 8.04-7.90 (m, 3H), 7.62-7.56 (t, 2H), 7.50-7.46 (t, 1H), 3.18 (s, 3H), 1.83-1.49 (m, 7H), 1.40-1.10 (m, 3H). MS m/z (%) 376.3 (M + H, 5), 376 (M + Na, 34).
[094] Dp4e4mT: 수율 44% (CS2로부터). C15H16N4S 계산치: C, 63.4; H, 5.7; N, 19.7%. 실측치: C, 62.8; H, 5.9; N, 19.5%.
[095] Dp4e4mT . HCl .5.5 H 2 O 수율 91% (Dp4e4mT로부터). C15H17N5S.HCl 5.5H2O 계산치: C, 41.42; H, 6.72; N, 16.10%. 실측치: C, 41.31; H, 6.45; N, 15.95%. 1H-NMR (DMSO-d 6): δ 8.84 (d, 1H), 8.66 (d, 1H), 8.13-8.09 (t, 1H), 8.04-7.97 (dt, 2H), 7.67-7.59 (dt, 3H), 3.32 (s, 3H), 1.20 (s, 3H). MS m/z (%) 322.0 (M + Na, 46), 620.87 (M; dimer, + Na, 100).
실시예 2 - Dp4e4mT Dp4cycH4mT 항증식 활성
방법론:
[096] SK-N-MC 인간 신경상피종 세포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Rockville, MD, USA)로부터 구득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배양하였다 (Richardson, D R et al (1995). Blood 86: 4295-306). 세포들을 10% 소태아 혈청 (FCS; JRH Biosciences, Kansas, USA), 1% 비필수 아미노산 (Gibco, Victoria, Australia),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글루타민 (Gibco, VIC, Australia) 및 펑기존(fungizone : 0.28 ng/mL; Squibb Pharmaceuticals, Montreal, Canada)을 함유하는 최소 필수 배지 (MEM; Invitrogen, CA, USA) 에서 유지시켰다.
[097] MIAPaCa-2, PANC 1, CAPAN-2 및 CFPAC-1을 포함하는 췌장암 세포주들을 고맙게도 Andrew Biankin 교수 (Garvan Institute, NSW, Australia)로부터 증여받았다. MIAPaCa-2, PANC 1 및 CFPAC-1 세포주를 DMEM 배지 (Invitrogen)에서 생장시키고 CAPAN-2 세포는 McCoy's 배지 (Invitrogen)에서 성장시켰다. 모든 배지에 10% (v/v) 소태아 혈청(Invitrogen), 1% (v/v) 비필수 아미노산(Invitrogen), 1% (v/v) 소듐 피루베이트 (Invitrogen), 2 mM L-글루타민 (Invitrogen), 100 ㎍/mL의 스트렙토마이신 (Invitrogen), 100 U/mL 페니실린 (Invitrogen), 및 0.28 ㎍/mL의 펑기존을 보강하였다.
결과:
[098] 세포 증식으ㅡㄹ 억제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먼저 MTT 분석법에 의해 SK-N-MC 세포에서 평가하였다. Dp4e4mT 및 Dp4cycH4mT 두 가지 모두 SK-N-MC 세포 (도 2; 표 1)에서 DFO (p < 0.05) 및 철 킬레이터 2-히드록시-1-나프틸알데히드 이소니코티닐 히드라존 ( 311 ) (p<0.05) 보다 항증식 활성이 유의적으로 더 높았으며 IC50 값은 각각 0.0041 및 0.013 μM였다.
[009] 표 1. SK -N- MC 신경상피종에 대한 Dp4e4mT Dp4cycH4mT 항증식 활성. MTT 분석에 의해 측정된 SK-N-MC 신경상피종 세포주에서의 Dp4e4mT 및 Dp4cycH4mT의 IC50 (μM) 값. 세포들을 접종하여 24 시간 동안 웰에 부착시킨 다음 대조군 배지 또는 킬레이터와 함께 37℃에서 72 시간 인큐베이션시켰다. 결과를 평균 ± SD (3회 실험)이다.
Figure pct00012
[0100] 킬레이터 Dp4e4mT 및 Dp4cycH4mT는 알킬 관능기에 의한 말단 질소(N4)에서 수소 원자의 치환을 통해, 화합물 디-2-피리딜케톤 4-메틸-3-티오세미카르바존 (Dp4mT)에 구조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Dp4e4mT의 형성은 Dp4mT의 N4에서 수소원자가 에틸기로 치환되는 것과 연관되어 있는 반면, Dp4cycH4mT는 시클로헥실 치환기와 관련이 있다. 이들 구조적 변형은 IC50 값이 0.34 μM인 Dp4mT에 비해 상기 두 가지 유사체 모두의 항증식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킨 것으로 밝혀졌다 (p < 0.001) (도 2, 표 1).
[0101] 항증식 활성의 스펙트럼을 추가 조사하기 위해, Dp4cycH4mT를 췌장암에 대해 시험관내 검사하고, PANC 1, MIAPaCa-2, CFPAC-1 및 CAPAN-2 췌장암 세포에 대해 MTT 증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비교를 위해, 젬시타빈과 5-플루오로우라실을 비롯한 췌장암 치료에 현행 사용되는 치료법 역시도 테스트하였다. 철 킬레이터, DFO를 양성 대조군으로서 포함시켰다.
[0102] MIAPaCa-2, PANC 1 및 CAPAN-2 세포들 중, 가장 높은 항증식 활성이 Dp4cycH4mT (도 3A, B 및 C)의 경우 관찰되었으며 그 IC50 값은 젬시타빈 및 5-플루오로우라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p < 0.01) (표 2A). 실상, Dp4cycH4mT의 IC50 값은 젬시타빈 및 5-플루오로우라실과 비교할 경우, 4개 유형의 세포들 중 2개에서 각각 적어도 100배 및 1000배 더 낮았다. (표 2A). 양성 대조군인 DFO는 비교적 낮은 항증식 활성을 가졌다.
[0103] 표 2A. 췌장 세포주에 대한 Dp4cycH4mT 항증식 활성
MTT 분석법을 이용한 다양한 췌장 세포주에 있어서의 Dp4cycH4mT의 성장 및 항증식 활성 IC50 (μM) 값 및 DFO, 및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약물들인 젬시타빈 및 5-플루오로우라실과의 비교 시험 결과. 세포들을 접종하고 24 시간 동안 웰에 부착시킨 다음 대조군 배지 또는 킬레이터와 함께 37℃에서 72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결과는 평균 ± SD이다 (3회 실험).
Figure pct00013
[0104] 티오세미카르바존이 가장 높은 항증식 활성을 보인 다른 세포 종류와 대조적으로, CFPAC-1 세포들은 젬시타빈에 대하여 가장 민감하였다. 실상, 젬시타빈의 IC50 값은 Dp4cycH4mT의 값보다 유의적으로 (p < 0.05) 낮았다 (도 3D 및 표 2A). Dp4cycH4mT는 CFPAC-1 세포에서 젬시타빈에 비해 IC90 값이 더 낮았다 (도 3D, 표 2B). 따라서, 이들 데이터는, 젬시타빈의 항증식 활성은 보다 제한적인 반면 티오세미카르바존이 보다 높은 투여량으로 사용될 경우 시험관내에서 이 세포 종의 증식을 거의 완벽하게 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도 3D) 이는 서로 다른 세포 종류들 간에는 반응이 달라짐을 입증하는 것이다.
[0105] 표 2B. 췌장 세포주에 대한 Dp4cycH4mT 항증식 활성.
MTT 분석법을 이용한 다양한 췌장 세포주에 있어서의 Dp4cycH4mT의 IC50 (μM) 값 및 DFO, 및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약물들인 젬시타빈 및 5-플루오로우라실과의 비교 시험 결과. 세포들을 접종하고 24 시간 동안 웰에 부착시킨 다음 대조군 배지 또는 킬레이터와 함께 37℃에서 72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결과는 평균 ± SD이다 (3회 실험).
Figure pct00014
실시예 3 - 세포의 Fe 유출 및 Dp4e4mT Dp4cycH4mT 에 의한 트랜스페린으로부터의 Fe 흡수 억제
방법론:
철 유출 분석( Iton Efflux Assay )
[0106] 수립된 방법 (예컨대, Baker, E et al (1992). Hepatology 15: 492-501)을 이용하여, 미리 표지시킨 SK-N-MCs 신경상피종 세포로부터의 59Fe의 방출에 미치는 철 킬레이터 Dp4e4mT 및 Dp4cycH4mT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SK-N-MC 세포들을 먼저 35 mm 배양 디쉬 위에 도말하고 이들이 대략 80% 컨플루언시에 도달할 때까지 5% CO2/95% 공기 보습된 인큐베이터에서 37℃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그 후, 세포들을 0.06 mg/mL 59Fe-Tf을 함유하는 적절한 배지(Baker, E et al (1992). Hepatology 15: 492-501에 개략된 바와 같이 제조함)로 37℃에서 3 시간 인큐베이션시켜 예비-표지시켰다. 이어서 배양 디쉬를 얼음 위에 놓고, 과량의 59Fe-Tf를 함유하는 상등액을 흡입한 다음 세포들을 빙냉 PBS로 4회 세척하였다. 이어서 세포들을 다시 25 μM 킬레이터를 함유하는 배지 또는 배지 단독 (대조군)과 함께 37℃에서 3시간 더 인큐베이션시켰다. 3시간 후 배양 디쉬를 다시 얼음에 놓고, 배지를 카운팅 튜브에 수집한 다음, 방출된 59Fe의 측정값을 이로부터 구하였다. 빙냉 PBS (1 mL)를 세포를 함유하는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세포들을 테플론 주걱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표면으로부터 긁어내어 카운팅 튜브 안에 모았다. 이 튜브들은 세포내(intracellular) 59Fe 함량을 나타낸다. 결과를 총 59Fe 함량의 백분율로서 방출된 총 59Fe로서 표시하였다. 방사능 활성을 Wallac Wizard 3'' Gamma Counter (PerkinElmer, M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철 흡수 분석
[0107] SK-N-MCs이 배지로부터 59Fe를 수득하는 능력에 미치는 철 킬레이터 Dp4e4mT 및 Dp4cycH4mT의 효과를 수립된 방법 (예컨대, Baker, E et al (1992). Hepatology 15: 492-501)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세포들을 이온 유출 실험과 동일한 방식으로 배양하였다. 일단 세포들이 80% 컨플루언시에 도달할 정도로 성장하면 이들을 25μM 킬레이터를 함유하는 배지 또는 배지 단독 (대조군)과 함께 37℃에서 3 시간 인큐베이션시켰다. 59Fe-Tf (0.06 mg/mL)를 배지에 첨가하였다. 인큐베이션 말기에 배양 디쉬를 얼음 위에 높고, 배지를 흡입한 다음 세포를 빙냉 PBS로 4회 세척하였다. 프로테아제 (1 mL; 1 mg/mL; Sigma-Aldrich, NSW, Australia) 용액을 각각의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얼음 위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시켰다. 이것은 막 결합 59Fe-Tf의 제거를 용이하게 해주었다. 이어서 세포들을 테플론 주걱을 이용하여 ㅍf라스틱 표면으로부터 긁어서 에펜도르프 튜브에 모았다. 이것을 4℃에서 3분간 10000 rpm으로 원심분리시켰다. 이어서 상등액을 카운팅 튜브로 옮기고 세포 펠렛을 다른 카운팅 튜브 세트로 옮기기 전에 PBS에 재현탁시켰다. Wallac Wizard 3" Gamma Counter (PerkinElmer, MA, USA)를 이용하여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대조군 값의 백분율로서 세포 분획의 평균 59Fe 함량으로서 표시하였다.
실시예 3a - Dp4e4mT Dp4cycH4mT 에 의해 매개된 세포의 Fe 유출
[0108] 모든 디피리딜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들은 대조군 세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된 철 유출 활성을 나타내었다 (p < 0.001) (도 4A). 대조군 세포들은 신선한 배지와 3시간 재-인큐베이션시킨 후 총 세포59Fe의 7%를 방출하였다 (도 4A). 화합물 Dp4e4mT는 세포의 59Fe의 38%를 이동시킬 수 있었으며 (도 4A), 이것은 42% 세포 Fe를 이동시킨 Dp4mT 화합물에 필적한 것이었다. 화합물 Dp4cycH4mT는 세포 59Fe의 22%만을 이동시켰는데, 이것은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킬레이터인 DFO가 세포의 Fe의 16%를 이동시킨 것과 유사한 것이었으며, 구조적으로 관계된 유사체 Dp4mT의 경우보다는 낮은 것이었다 (도 4A). DFO 및 Dp4mT에 비해 Dp4cycH4mT가 현저히 높은 항증식 활성을 갖는 것을 감안할 때, 이는 Dp4cycH4mT가 Fe 킬레이션 이외에 다른 작용 메카니즘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표 1). 화합물 311의 철 유출 프로파일 역시 내부 표준으로서 시험하였으며 이는 전술한 조사 결과와 일치하였다.
실시예 3b - Dp4e4mT Dp4cycH4mT 에 의한 59 Fe 트랜스페린으로부터의 세포 59 Fe 흡수 억제
[0109] Fe 킬레이트화 효율을 더욱 특징화하기 위해, 59Fe-Tf로부터의 59Fe의 흡수를 억제하는 Tf Dp4e4mT 및 Dp4cycH4mT의 능력을 구조적으로 관련된 화합물인 Dp4mT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Dp4e4mT는 세포의 59Fe 흡수를 대조군의 12%로 제한하였는데, 이는 세포의 59Fe 흡수를 대조군의 6%로 제한한 Dp4mT의 경우에 필적하는 것이었다 (도 4B). Dp4cycH4mT는 Dp4e4mT 또는 Dp4mT보다 덜 효과적이었으며, 59Fe 흡수를 21%로 제한하였다 (도 4B). 그러나, 모든 화합물들은 DFO보다 훨씬 높은 활성을 나타냈는데 (p < 0.001), DFO는 59Fe 흡수를 미처리 세포에서 관찰되는 값의 단지 84%까지만 제한할 뿐이었다 (도 4B). 철 유출 연구와 마찬가지로, 화합물 311을 내부 표준으로서 시험하자 세포의 59Fe 흡수가 5%까지 제한되었는데, 이는 이전의 연구 결과 (예컨대, Richardson, D R et al. (1995). Blood 86: 4295-306)와 일치하는 것이었다.
실시예 4 - Dp4e4mT Dp4cych4mT 에 의한 종양 성장의 생체내 억제
방법론:
[0110] 8주령의 암컷 누드 마우스 (BALBc nu/nu)들을 생체내 연구에 이용하였다. 모든 연구는 동물윤리위원회(University of Sydney)의 승인을 받았다. 표준 기술(Whitnall, M, J. Howard, et al. (2006). Proc Natl Acad Sci USA 103: 14901-6.)로 종양 이종이식편을 수립하였다. DMS-53 폐 암종의 성장을 조사하는 연구에서, 대수성장기의 세포들을 수확하고, 1 x 107 세포/100 μL를 이용하여 세포함유 배지와 Matrigel
Figure pct00015
(BD Biosciences, MA, USA)의 1:1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이 세포/매트리겔 혼합물을 메톡시플루란-마취된 마우스의 오른쪽 옆구리에 피하 주사하였다. PANC 1 췌장암 세포의 성장을 연구하는 분석시험에서, 각각의 마우스에게, Matrigel (BD Biosciences, San Jose, CA, USA) 중에 현탁된 2 x 106 PANC 1 세포를 피하 주사하였다. 종양 크기를 Vernier 캘리퍼로 측정하고 종양 크기를 앞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계산하였다 (Balsari, A., M. Tortoreto, et al. (2004). Eur J Cancer 40: 1275-81.). 종양의 크기가 평균 90 mm3에 달하면, 치료를 시작하였다 (제0일; 도 5).
[0111] Dp44mT 및 Dp4cycH4mT.HCl을 0.9% 염수 중 30% 프로필렌 글리콜에 용해시키고 (꼬리 정맥을 통해), 각각의 연구에서 특정된 투여량으로 정맥내로 5일/1주일 주사하거나 또는 경구 영양법으로 5일/1주일 투여하였다.
[0112] PANC 1 연구에서, 젬시타빈을 0.9% 염수 중 15% 프로필렌 글리콜에 용해시키고 3일마다 복강주사하였으며 각 그룹 (n = 8)에게 젬시타빈(5 mg/kg), Dp44mT (0.4 mg/kg), Dp4cycH4mT.HCl (5 mg/kg) 또는 비히클 대조군을 투여하였다. PANC 1 연구에 있어서, 비히클 대조군을 2개의 그룹 (n = 4)으로 나누어 1개의 그룹에는 0.9 염수 중 30% 프로필렌 글리콜을 5일/1주일간 정맥주사하여, 이를 철 킬레이터 처리군의 대조군으로 삼았다. 다른 그룹에는 0.9% 염수 중 15% 프로필렌 ㄱ글리콜을 3일마다 복강 주사하여 이를 젬시타빈 처리용의 적절한 대조군으로 ㅎ하하였다. 일단 대조군 종양이 1,000 mm3에 달하면, 윤리요강에 따라 동물들을 안락사시켰다.
혈액학, 생화학 및 조직학:
[0113] 생체내 실험 완료 후, 심장 천공에 의해 채혈한 다음 표준법 (Dunn, L.L, et al (2006) Carcinogenesis 27: 2157-69)을 이용하여 혈액학 지표들을 분석하였다. 장기 및 종양을 포함하는 조직을 파라핀 블록에 매립하여 섹션화시켰다. 3가지 염색법, 즉,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 & E), 펄(Pearl's) 또는 고모리-트리크롬(Gomori-Trichrome)으로 염색하였다. PANC 1 종양 이종이식편 연구에서, 독립적인 수의 병리학자에 의해 조직 분석 및 병리학적 특성의 정량화를 수행하였다. (Dr Terrence Rothwell, Rothwell Consulting, Avalon Beach, NSW, Australia).
통계학적 분석:
[0114] Student's t-테스트에 의해 데이터를 비교하였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결과를 평균 ± SEM으로서 표시하였다. p < 0.05이면 데이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고려하였다.
실시예 4a - DMS -53 인간 폐 암종의 생체내 억제에 미치는 정맥 투여에 의한 Dp4e4mT.HCl의 효과
[0115] 누드 마우스의 DMS-53 이종이식편에서 Dp4e4mT.HCl에 대한 강력한 응답이 관찰되었다 (도 5). 25일 후, 대조군 비히클-처리된 마우스에서 평균적인 순수한 종양 크기는 초기 종양 크기의 780%인 반면, 4 또는 6 mg/kg Dp4e4mT로 처리된 마우스에 있어서는 순수한 종양 크기가 초기 크기의 120-122%에 불과하였다. 이것은 초기 종양 크기의 122%로 종양 성장을 억제한 0.75 mg/kg Dp44mT의 종양 억제도에 필적할만한 것이다 (도 5).
실시예 4a(i) - 정맥 Dp4e4mT 처리 후의 생물학적 평가: DMS -53 인간 폐 종이 있는 마우스에 있어서의 체중 손실 및 혈액학적 분석
[0116] DMS-53 폐 암종 연구에 있어서, 0.75 mg/kg Dp44mT으로 정맥내 처리된 마우스들은 초기 체중의 9%를 잃었다 (표 3). 이와 대조적으로, 4 또는 6 mg/kg의 양의 Dp4e4mT.HCl로 처리된 마우스들은 25일간의 치료 후 각각 초기 체중의 0.6% 및 7%만이 감량되었다 (표 3). 이 실험에서 대조군 마우스는 초기 체중의 6%를 잃었다 (표 3).
Figure pct00016
[0118] 혈액학 관점에서, Dp44mT를 0.75 mg/kg의 양으로 또는 Dp4e4mT.HCl을 1.5, 4 또는 6 mg/kg의 양으로 2주일간 처리한 후, 적혈구 세포 계수, 헤모글로빈 또는 백혈구 세포 계수에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표 4). 이것은 Dp4e4mT.HCl에 사용된 투여량 및 투여 스케쥴이 잘 관용되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Figure pct00017
실시예 4a( ii ) - DMS -53 인간 폐 암종을 갖는 마우스에 있어서 정맥내 Dp4e4mT 처리 후 조직의 조직학에 미치는 Dp4e4mT 의 효과
[0120] 정맥내 DMS-53 인간 폐 암종 실험으로부터 조직에 미치는 조직학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비히클, Dp44mT (0.75 mg/kg으로 2주일간) 또는 Dp4e4mT.HCl (4 mg/kg 및 6 mg/kg으로 2nw일간)으로 처리한 DMS-53 이종이식편 마우스로부터의 조직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H & E) 염색된 섹션에서, 대조군 및 킬레이터로 처리된 마우스로부터의 간, 비장, 신장, 뇌 또는 종양의 조직학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0121] 그러나, Dp44mT (0.75mg/kg; 도 6)로 처리된 마우스에서는 심근 병변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병변은 괴사의 잘 분회되지 않은 촛점들로 이루어졌으며, 고모리-트리크롬 염색을 이용한 경우 명백한 미성숙 섬유 조직으로 대체되었으며 (화살표: 도 6) 이것은 Dp44mT에 대한 이전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Whitnall, M., J. Howard, et al. (2006). Proc Natl Acad Sci USA 103: 14901-6). 그러나, Dp4e4mT.HCl은 2주일간의 정맥 투여 후 4 mg/kg 또는 6 mg/kg에서 심근 병변을 유도하지 않았다 (도 6).
실시예 4b - DMS -53 인간 폐 암종의 생체내 억제에 미치는 경구 투여에 의한 Dp4e4mT.HCl의 효과
[0122] Dp4e4mT.HCl을 정맥 투여한 경우 관찰된 것과 마찬가지로 (도 5), DMS-53 이종이식편이 있는 누드 마우스에서 경구 영양에 의해 Dp4e4mT.HCl에 대한 강력한 반응이 관찰되었다 (도 7A). 21일 후, 대조군 비히클-처리된 마우스에 있어서의 평균 순 종양 크기는 초기 종양 크기의 1124%인 반면, 7.5 또는 10 mg/kg Dp4e4mT로 처리된 마우스에 있어서는 순 종양 크기가 초기 종양 크기의 각각 404% 및 284%였다 (도 7A). 이보다 낮은 투여량의 Dp4e4mT.HCl (2.5 및 5 mg/kg) 역시도 종양 크기를 초기 크기의 각각 645% 및 733%로 제한하였다 (도 7A).
[0123] 종양 중량을 고려할 때, 21일의 처리 기간 말기에, 미처리 대조군 마우스는 평균 1.8 g의 종양을 가졌다 (도 7B). 경구 영양급식에 의해 10 mg/kg으로 Dp4e4mT.HCl으로 처리된 마우스들은 평균 종양 중량이 0.46 g으로 감소되었는데 이는 강력하고도 유의적인 (p < 0.0002) 결과였다 (도 7B). 경구 영양 급식에 의한 이보다 낮은 투여량의 Dp4e4mT.HCl 역시도 종양 중량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도 7B). 예컨대, 투여된 최소 투여량인, 2.5 mg/kg은 평균 종양 중량을 0.63 g으로 유의적으로 (p < 0.002) 감소시켰다 (도 7B).
실시예 4b(i) - 경구 Dp4e4mT 처리에 이은 생물학적 평가: DMS -53 인간 폐 암종이 있는 마우스에 있어서 체중 손실 및 혈액학 분석
[0124] DMS-53 폐 암종 연구에서, Dp4e4mT.HCl로 경구 처리된 마우스들은 어떠한 처리군도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체중 손실을 나타내지 않았다 (표 5). 예컨대, 대조군 마우스들은 그들의 초기 체중의 96%를 유지한 반면, 최고 투여량의Dp4e4mT.HCl (10 mg/kg)로 처리된 처리군은 그들의 초기 체중의 94%를 유지하였는데, 이는 이 투여량의 처리가 잘 관용되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표 5).
Figure pct00018
[0126] 혈액학 관점에서, Dp4e4mT.HCl을 2.5, 5, 7.5 또는 10 mg/kg의 양으로 21일간 처리하자, 적혈구 계수, 헤마토크리트 또는 백혈구 계수에 유의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표 6). 미처리 동물과 비교할 때 비록 5 mg/kg 투여량에서, Dp4e4mT.HCl은 백혈구를 유의적으로 (p < 0.05)감소시키고, 10 mg/kg의 양에서 헤모글로빈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나 (p < 0.05), 이들 변화의 임상적 유의성은 명확치 않다. 전체적으로, 혈액학 분석 결과 Dp4e4mT.HCl에 사용된 투여량 및 투여 스케쥴은 잘 관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0127] 혈청 생화학 분석 결과, 5 mg/kg 양의 Dp4e4mT.HCl 처리는 대조군(각각 53.1 ± 1.2 내지 60.7 ± 2 μmol/L; 표 6)에 비해 '총 철 결합능: total iron binding capacity' (TIBC)을 유의적으로 (p < 0.05) 감소시켰다. 그러나, 이보다 높은 투여량 처리군은 TIBC의 억제를 나타내지 않았다 (표 6). 이에 더해, "불포화 철 결합능: unsaturated iron binding capacity (UIBC)"은 미처리 대조군에 비해 5 및 7.5 mg/kg Dp4e4mT.HCl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p < 0.01) 증가하였으나, 10 mg/kg 처리군은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표 6).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역시도 미처리 대조군 (각각 89.5 ± 4.5 내지 68.7 ±12.8; 표 6)에 비해 10 mg/kg Dp4e4mT/HCl에서 유의적으로 상승(p < 0.01)하였으며, 마찬가지로 2.5 및 7.5 mg/kg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표 6).
Figure pct00019
실시예 4b( ii ) - DMS -53 인간 폐 암종이 있는 마우스에 있어서 경구 Dp4e4mT 처리 후 조직 조직학에 미치는 Dp4e4mT 의 효과
[0128] 경구 DMS-53 인간 폐암종 실험으로부터 조직에 대한 조직학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히클, Dp44mT (0.75 mg/kg으로 2주일) 또는 Dp4e4mT.HCl (2.5, 5, 7.5 및 10 mg/kg로 3주일)로 처리된 DMS-53 이종이식된 마우스로부터의 조직들을 비교하여 결과를 논의하였다.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H & E) 염색된 섹션에서, 대조군 및 티오세미카르바존 처리된 마우스들로부터의 간, 비장, 신장, 뇌 또는 종양의 조직학은 서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도 8).
[0129] 그러나, Dp44mT (0.75mg/kg; 도 8)로 처리된 마우스에 있어서는 심근 병변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병변은 괴사의 잘 분화되지 않은 촛점들로 이루어졌으며, 고모리-트리크롬 염색을 이용하여 명백하게 드러난 바와 같이 미성숙 섬유 조직으로 대체되었다 (화살표; 도 8). 그러나, Dp4e4mT.HCl은 2.5, 5, 7.5 및 10 mg/kg의 경구 투여량으로 3주일 처리한 후 심근 병변을 유도하지 않았다 (도 8).
실시예 4c - PANC 1 인간 췌장 암종의 생체내 억제에 미치는 정맥 투여된 of Dp4cycH4mT.HCl의 효과
[0130] 시험관내 분석 결과 티오세미카르바존 Dp44mT 및 Dp4cycH4mT.HCl은 젬시타빈과 비교할 때 일련의 췌장암 세포주의 증식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상당히 더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도 3A-C, 표 2A 및 B). 췌장암에 대한 티오세미카르바존의 효능을 더욱 특징화하기 위해 생체내 연구를 수행하였다.
[0131] PANC 1 이종이식편을 이용하여, 6주일의 처리 후, 비히클 대조군 마우스들은 평균 종양 크기가 초기 종양 크기의 대략 640%에 달하게 되었고, 젬시타빈, Dp44mT 및 Dp4cycH4mT.HCl로 처리된 그룹에서는 평균적으로 종양 크기가 초기 종양 크기의 319%, 305% 및 112%에 각각 달하였다 (도 9A). 젬시타빈 (p < 0.01), Dp44mT (p < 0.05) 및 Dp4cycH4mT.HCl (p < 0.001) 모두 처리 43일 후 대조군에 ㅂ비해 종양 크기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0132] 뿐만 아니라, 43일의 처리 후 최종 종양 무게는 대조군 종양의 경우 평균 292 ± 65 mg인 반면, 젬시타빈, Dp44mT 및 Dp4cycH4mT.HCl로 처리된 종양은 각각 평균 67 ± 25 mg, 122 ± 33 mg 및 40 ± 12 mg이었다 (도 9B). 이러한 결과는 각각의 처리가 종양 이종이식편의 성장과 진행을 생체내에서 유의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0133] Dp4cycH4mT.HCl 및 젬시타빈 종양 크기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p > 0.05), 수득된 데이터는 제32일 후, 젬시타빈 및 Dp44mT 처리 양자 모두 Dp4cycH4mT.HCl과 비교할 때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약간 덜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도 9A). 비히클 대조군의 종양 크기가 이 실험 기간에서 제한 인자였기 때문에, 윤리규정의 제한으로 인해 43일 후에는 처리를 더 이상 계속할 수 없었다.
실시예 4c(i) - Dp4cycH4mT . HCl 정맥 처리 후 생물학적 평가: PANC 1 인간 췌장 암종이 있는 마우스에 있어서 체중 손실 및 혈액학 분석
[0134] 생체내 연구에 사용된 여러가지 제제들이 독성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안락사 후에 혈액학적 지표 뿐만 아니라 체중 및 장기 무게도 분석하였다
Figure pct00020
[0136] 처리 6주일 후 동물들의 체중은 Dp4쵸ㅊH4mT.HCl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군의 처리전 체중의 100%에 근접하게 남아있었다 (표 7A). 이 동물들은 이들의 전처리 체중과 비교하면 유의적인 (p < 0.001) 12%의 체중 손실을 나타내었다 (표 7A). 서로다른 처리 군 간의 장기의 무게들 간에는 이렇다할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표 7A), Dp4cycH4mT.HCl 그룹 역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p < 0.001) 더 작은 비장을 가지게 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표 7A). 비장의 조직학 분석 결과 모든 군에 있어서 비장의 적색 수질은 정상적인 조혈세포 집단을 함유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비장 독성에 대한 증거는 찾아볼 수 없었다 (도 10).
Figure pct00021
[0138]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이 철 킬레이터이기 때문에, 혈액학 지표, 특히 빈혈 징후는 조사하여야 할 중요한 변수였다. 대조군과 여러가지 처리군 간에는 적혈구 세포 (RBC), 백혈구 세포 (WBC) 또는 혈소판-계수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표 7B). 그러나, Dp44mT 및 Dp4cycH4mT.HCl 그룹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유의적으로 (p < 0.01) 더 낮은 헤모글로빈 (Hb) 수치를 가졌으며 유의적으로 (p < 0.05) 더 높은 망상적혈구 수준을 가졌다 (표 7B). 이것은 이들 동물들에 있어서 약한 빈혈을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 4c( ii ) - PANC 1 인간 췌장 암종이 있는 마우스에 있어서 경구 Dp4cycH4mT.HCl 치료 후의 조직 조직학에 미치는 효과
[0139] 장기에 미치는 여러가지 처리의 잠재적인 독성 효과를 추가 조사하기 위해, 비장, 신장, 간, 심장, 폐, 뇌 및 골수의 조직학 분석을 H&E (일반 병리학의 경우), Pearls' (철의 존재에 대해) 및 고모리-트리크롬 (섬유화의 경우) 염색에 의해 수행하였다. 수의 병리학에 의해 조직학적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 8에 제시하였다.
Figure pct00022
[0140] Dp44mT-처리된 마우스들 중 두마리가 간에서 조혈세포의 어떤 증거를 함유하였다. 이에 더해, 10마리의 대조군-처리 마우스들 중 5마리와 모든Dp44mT- 및 Dp4cycH4mT.HCl-처리 동물의 신장에서 철 침착물이 관찰되었는데 (표 8), 이것은 각각 식이 중의 철 및, 뇨 중의 티오세미카르바존 킬레이터에 의해 형성된 철 착물의 분비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젬시타빈-처리군은 신장에서 철 침착물의 증거를 나타내지 않았다 (표 8). Dp44mT 처리군의 각각의 마우스의 심근은 심근 섬유화 퇴화 및 섬유 조직에 의해 대체된 괴사를 특징으로 한 심근 병변을 나타내었다 (도 10; 표 8). 관찰된 병리학적 변화는 우심실벽에서 가장 극명하였으며 좌심실의 심장내막 하부의 심근에서도 관찰되었다 (도 10). 이것은 Dp44mT-처리된 누드 마우스에서 심장-섬유화가 검출된 바 있는 초기 연구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이다. Dp4cycH4mT.HCl-처리군의 심장에서는 섬유화 병변의 유의적인 증거가 없었는데, 이는 이 화합물이 더 높은 투여량에서 생체내에서 Dp44mT보다 더 강력하고 독성은 훨씬 낮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0141] 시험된 다른 장기 어디에서도, 유의적인 병리학적 증거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표 8), 이는 Dp4cycH4mT.HCl이건 젬시타빈이건 미처리 대조군과 비교할 때 이렇다할 조직 손상을 유발하지 않았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시예 4d: 전이 억제 단백질 NDRG -1, 트랜스페린 수용체 및 세포-사이클 절 분자의 발현에 미치는 Dp4cycH4mT 의 효과.
방법론:
웨스턴 블롯 분석
[0142]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Dunn, L.L., et al (2006) Carcinogenesis 27: 2157-69] 단백질 분리를 수행하였다.
[0143] 수립된 프로토콜 (Gao, J. 및 D. R. Richardson (2001). Blood 98: 842-50)을 통해 웨스턴 분석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일차 항체는 NDRG1 (Abcam; UK), p21, 사이클린 D1, 트랜스페린 수용체 1 (TfR1; Santa Cruz, CA, USA) 및 β-액틴 (Sigma-Aldrich)에 대한 것이었고, 2차 HRP-컨쥬게이트된 염소 및 마우스 ㅎ항체 (Sigma-Aldrich)도 사용하였다.
결과:
[0144] Dp4cycH4mT를 이것이 NDRG-1 발현을 상향 조절하는지에 대하여 ㅅ시pr험하였다. 세포 사이클 진행과 연관된 다른 주요 분자에 미치는 킬레이터 Dp4cycH4mT의 효과를 추가로 평가하기 위하여, 사이클린-의존성 키나아제 억제제, p21, 및 MIAPaCa-2 세포에서의 사이클린 D1의 발현 역시도 시험하였다. 철 킬레이터 처리에 대한 양성 대조군으로서, 트랜스페린 수용체 1 (TfR1) 역시도 시험하였는데, 이는 이 단백질이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에 의해 상향조절될 것으로 이전부터 밝혀졌었기 때문이다..
[0145] Dp44mT 및 Dp4cycH4mT 두가지 모두 유의적으로 (p < 0.01) MIAPaCa-2 세포에서 NDRG1 발현을 상향 조절한 반면, 젬시타빈은 이렇다할 표과를 내지 못하였다 (도 11). 이에 더해, Dp44mT 및 Dp4cycH4mT는 또한 유의적으로 (p < 0.05) 사이클린 D1 수준을 감소시키는 한편, 이들 세포에서 p21 발현을 현저하게 (p < 0.05) 증가시켰다 (도 11). 뿐만 아니라,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을 이용한 처리 후 MIAPaCa-2 세포에서 TfR1 수준 역시 유의적으로 (p < 0.05) 상향조절되었는데, 이는 이 물질들이 세포로부터 철을 효과적으로 고갈시킴을 시사하는 것이다 (도 11). 다른 한편, 젬시타빈 처리는 MIAPaCa-2 세포에서 사이클린 D1, p21 또는 TfR1 수준을 조절하지 못하였는데 (도 11), 이는 그의 작용 메카니즘이 티오세미카르바존과는 다르다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0146] 집합적으로, 이들 결과는 NDRG1이 Dp4cycH4mT에 의해 현저하게 상향조절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Dp4cycH4mT이 암세포에서 NDRG1 발현을 표적화함으로써 암에 대한 이로운 치료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시예 5 : 철 킬레이터에 의한 메트헤모글로빈 ( metHb ) 및 메트미오글로빈( metMb ) 수준의 시험관내 생체내 조절
방법론
화학물질
[0147] 간행된 방법 (Liu MC, Lin TC, et al (1992). J Med Chem 35: 3672-3677)에 따라 Triapine
Figure pct00023
을 합성 및 특징화하였다. Dp44mT, Bp4eT, DpC, 디-2-피리딜케톤-4-에틸-4-메틸-3-티오세미카르바존 (Dp4e4mT), 디-2-피리딜케톤-4-페닐-3-티오세미카르바존 (Dp4pT) 및 디-2-피리딜케톤-2-메틸-3-티오세미카르바존 (Dp2mT) 역시도 간행된 절차를 이용하여 합성 및 특징화하였다. Richardson DR, Sharpe PC, et al (2006). J Med Chem 49: 6510-6521; Kalinowski DS, Yu Y, et al, (2007). J Med Chem 50: 3716-3729). 다른 모든 화합물들은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로부터 구득하였다. 후술하는 분석법에 사용하기 위하여, 화합물들을 DMSO 중에서 갓 제조하여 희석하였다 (최종 [DMSO]<0.05%).
적혈구 세포 분리
[0148] 전혈 샘플을 건강한 사람 공여자 또는 마우스로부터 모아서 EDTA를 함유하는 적절한 혈액 수집 튜브에 넣고 즉시 사용하였다. 적혈구 세포(RBCs)를 원심분리 (480 xg/5분/4℃)한다음 Hank's 밸런스 염 용액 (HBSS)으로 세척하였다. RBCs를 HBSS로 1:1 재현탁시키고 전체 RBC 분석을 37℃에서 수행하였다.
미오글로빈 제조
[0149] 마우스의 심장 조직에 빙냉 HBSS를 철저히 살포하여 혈액을 제거하고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을 함유하는 빙냉 HBSS(Roche, Basel, Switzerland)에서 균질화시켰다. 심장 균질물을 원심분리하고 (16,000 xg/45분/4℃) 상등액 ([oxyMb]=50μM)을 즉시 사용하였다.
UV -가시광선 분광학에 의한 metHb metMb 의 측정
[0150] RBC 세포 용해물 중의 metHb 및 metMb의 수준을, 간행된 방법 (Winterbourn CC 및 Carrell RW (1977). Biochem J 165: 141-148)에 따라, 577 nm 및 630 nm에서 metHb 및 metMb에 대하여 Shimadzu UV-Vis 분광측정기 (UV-1800; Shimadzu Corporation, Kyot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우스에 있어서 MetHb - 및 metMb -형성
[0151] C57BL/6 마우스들 (7-8 주령)을 시드니대학 동물윤리위원회(University of Sydney Animal Ethics Committee)에서 승인된 프로토콜에 따라 이용하였다. Dp44mT, Triapine
Figure pct00024
또는 Dp4cycH4mT (모두 6 mg/kg로 사용)를 30% 프로필렌 글리콜/염수에 용해시키고 꼬리 정맥을 통해 투여하였다. 이어서, 투여 30분 후, 마우스들을 이소플루란으로 마취시키고 심장 천공에 의해 혈액 샘플을 채취하였다. metHb 평가를 위해, 혈액 샘플을 2.5배 부피의 초순수한 물로 용해시켰다(lysed). 마우스들을 이소플루란을 이용하여 희생시키고, 심장에 HBSS를 철저히 살포하여 Mb를 분리하였다.
통계학
[0152] Student's t-테스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비교하였다. 결과는 p<0.05인 경우 유의적으로 간주하였다. 결과는 평균 ± SD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5a - 인간 RBCs 에 있어서 MetHb -형성을 유도하는 철 킬레이터의 능력
[0153] 온전한 RBCs를 이용하여 metHb-생성에 미치는 킬레이터 농도 (1 - 25μM)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도 12). 3 h/37℃ 후 Triapine
Figure pct00025
또는 Dp44mT으로 처리된 온전한 RBCs에서, 대조군과 비교할 때 metHb의 유의적인 (p<0.001) 투여량-의존 증가가 모든 리간드 농도에서 검출되었는데, 이것은 metHb 형성을 유발하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입증된 유일한 킬레이터였다. 25 μM에서, 이들 킬레이터들은 metHb 형성을 총 Hb의 19.95 ± 1.0 및 19.9 ± 3.0%로 각각 증가시켰다 (도 12). 설계에 의한, 음성 대조군 킬레이터 Dp2mT는 착물 형성을 방해하는 메틸기 특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이 킬레이터는 metHb 형성을 일으키는 철과의 레독스-상호반응에 참여하지 못하였다 (도 12). 이에 더해, 현재 철 과부하 질병 치료에 사용되는 비-레독스 활성 킬레이터인 DFO 역시도 metHb 형성을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0154] 유의적으로, Dp4cycH4mT는 시험관내에서 metHb 형성을 가능하게 하지 못하였다 (도 12). 이것은 Triapine
Figure pct00026
에 비해 DpcycH4mT 치료법을 상대적으로 ㅁ명백히 유리하게 만드는 것이다.
실시예 5b - 생체내에서 metHb 형성을 유도하는 철 킬레이터 트리아핀 , Dp44mT 및 Dp4cycH4mT 의 능력
[0155] Dp4cycH4mT가 metHb 형성을 가능하게 하지 않음을 보여준 실시예 5a의 시험관내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마우스 모델에서 metHb 형성을 시험하였다.
[0156] C57BL/6 마우스들에게 Dp44mT (6 mg/kg), Triapine
Figure pct00027
(6 mg/kg) 또는 Dp4cycH4mT (6 mg/kg)을 정맥 투여하고 30분 후 채혈하여 metHb를 분석하였다 (도 13). 앞서 관찰된 바와 같이, Dp44mT는 비히클에 비해 유의적으로 (p<0.001) metHb 수준을 유도한 반면 (각각 총 Hb %의 6.3 ± 0.8 및 이와 비교된 1.3 ± 0.9% metHb), Dp4cycH4mT에 의해 유도된 metHb 수준은 대조군과 필적할만 하였다 (도 13).
[0157] Dp4cycH4mT에 대해 얻어진 이 결과는 실시예 5a의 시험관내 연구 결과를 확인해주는 것으로서, Dp4cycH4mT가 Dp44mT에 비해, metHb를 유도하지 않는다는 특징적인 장점을 갖는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시예 5c - 생체내에서 메트미오글로빈 ( metMb ) 형성을 유도하는 철 킬레이 트리아핀 , Dp44mT Dp4cycH4mT 의 능력
[0158] 단백질 미오글로빈 (Mb)은 산소 저장 및 근육으로의 공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헤모글로빈에 대한 모노머 카운터파트이다. 따라서, 생체내에서 metJb 형성에 미치는 강력한 항암 활성 킬레이터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C57BL/6 마우스들에게 Dp44mT (6 mg/kg), Triapine
Figure pct00028
(6 mg/kg) 또는 Dp4cycH4mT (6 mg/kg)를 정맥 투여하고 30분 후 채혈하여 metMb를 분석하였다 (도 14).
[0159] 킬레이터 Dp44mT는 Triapine
Figure pct00029
(75.2 ± 4.2 %)과 유사한 metMb (82.3 ± 2.6 %) 수준을 유의적으로 (p<0.001) 유도한 반면, Dp4cycH4mT는 유의적으로 (p<0.001) 더 낮은 수준의 metMb (31.7 ± 3.2%; 도 14)를 발생시켰다.
[0160] 그러나, metMb의 Dp4cycH4mT-매개 수준은 대조군(12.6 ± 2.4%; 도 14)보다 유의적으로 (p<0.001) 더 높았다.
[0161] 집합적으로, Dp4cycH4mT의 특성은 metHb- 및 metMb-형성을 유도하는 관점에서 유의적으로 덜 효과적인 반면, 항종양 활성을 유지하였으므로 (Kovacevic Z, Chikhani S, et al., (2011). Mol Pharm 80: 598-609), 이는 Dp4cycH4mT가 Triapine
Figure pct00030
및 Dp44mT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큰 장점을 갖는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Claims (17)

  1. 다음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
    Figure pct00031

    식 중 R1은 시클로헥실 또는 에틸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디-2-피리딜케톤 4-에틸-4-메틸-3-티오세미카르바존, 및 그의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인 것인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디-2-피리딜케톤 4-시클로헥실-4-메틸-3-티오세미카르바존, 및 그의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인 것인 화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인 것인 화합물.
  5. 제2항에 있어서, 디-2-피리딜케톤 4-에틸-4-메틸-3-티오세미카르바존 염산염인 것인 화합물.
  6. 제3항에 있어서, 디-2-피리딜케톤 4-시클로헥실-4-메틸-3-티오세미카르바존 염산염인 것인 화합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희석제 또는 아쥬반트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제7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의 유효량을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있어서, 암의 치료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암은 흑색종, 피부암, 유방암, 전립선암, 방광암, 간암, 위장관암, 결장 및 직장암, 뇌암, 두경부암, 골암, 췌장암, 자궁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폐암 및 혈액 종양 (예컨대, 백혈병 및 림프종)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암은 췌장암, 폐암 및 뇌암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암은 고형 종양인 것인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은 인간인 것인 방법.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암 치료용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
  14. 제13항에 있어서, 암은 흑색종, 피부암, 유방암, 전립선암, 방광암, 간암, 위장관암, 결장 및 직장암, 뇌암, 두경부암, 골암, 췌장암, 자궁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폐암 및 혈액 종양 (예컨대, 백혈병 및 림프종)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용도.
  15. 제14항에 있어서, 암은 췌장암, 폐암 및 뇌암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용도.
  16. 제14항에 있어서, 암은 고형 종양인 것인 용도.
  17. 암 치료에 사용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
KR1020137018832A 2010-12-17 2011-12-16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 및 암 치료 용도 KR201400227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0905539A AU2010905539A0 (en) 2010-12-17 Dipyridyl Thiosemicarbazone compounds and use in therapy
AU2010905539 2010-12-17
PCT/AU2011/001631 WO2012079128A1 (en) 2010-12-17 2011-12-16 Thiosemicarbazone compounds and use in the treatment of canc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786A true KR20140022786A (ko) 2014-02-25

Family

ID=46243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8832A KR20140022786A (ko) 2010-12-17 2011-12-16 티오세미카르바존 화합물 및 암 치료 용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927580B2 (ko)
EP (2) EP2651894B1 (ko)
JP (1) JP5883457B2 (ko)
KR (1) KR20140022786A (ko)
CN (1) CN103370308B (ko)
AU (1) AU2011342378B2 (ko)
BR (1) BR112013015174A2 (ko)
CA (1) CA2821984A1 (ko)
NZ (1) NZ613085A (ko)
WO (1) WO20120791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613085A (en) 2010-12-17 2015-05-29 Des R Richardson Thiosemicarbazone compounds and use in the treatment of cancer
EP2945629A4 (en) * 2012-11-22 2016-09-28 Oncochel Therapeutics LLC CHEMOTHERAPY FOR THERAPY-RESISTANT CANCER CELLS
CN104177288B (zh) * 2013-05-23 2020-05-01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毒物药物研究所 缩氨基硒脲衍生物及其药物组合物和用途
US11504346B2 (en) 2013-11-03 2022-11-22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Redox-activated pro-chelators
EP3125920B1 (en) 2014-04-04 2020-12-23 Del Mar Pharmaceuticals Dianhydrogalactitol, diacetyldianhydrogalactitol or dibromodulcitol to treat non-small-cell carcinoma of the lung and ovarian cancer
WO2017058748A1 (en) * 2015-09-29 2017-04-06 Oncochel Therapeutics, Llc Thiosemicarbazones
CN109052605A (zh) * 2018-07-26 2018-12-21 雷晓琳 一种重金属捕集剂及其制备方法
CN110698511B (zh) * 2019-11-15 2021-09-14 广西师范大学 以2-吡啶甲醛缩氨基硫脲为配体的锡配合物及其合成方法
KR102555030B1 (ko) * 2020-10-19 2023-07-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티오세미카바존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7400A1 (de) * 1992-03-09 1993-09-16 Bayer Ag Hydrazone
CA2515027A1 (en) 2003-02-05 2004-08-19 Unisearch Limited Metal ion chelators and therapeutic use thereof
AU2003900495A0 (en) * 2003-02-05 2003-02-20 Unisearch Limited Aroylhydrazone derivative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CN1891701A (zh) * 2005-07-07 2007-01-10 桑迪亚医药技术(上海)有限责任公司 杂芳环缩氨基硫脲类化合物及其衍生物和它们在制备抗肿瘤药物中的应用
WO2010000008A1 (en) * 2008-06-30 2010-01-07 Desi Raymond Richardson Thiosemicarbazone compounds and use thereof
NZ613085A (en) 2010-12-17 2015-05-29 Des R Richardson Thiosemicarbazone compounds and use in the treatment of can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51894B1 (en) 2017-08-23
JP2014502599A (ja) 2014-02-03
EP2651894A1 (en) 2013-10-23
JP5883457B2 (ja) 2016-03-15
AU2011342378B2 (en) 2016-09-01
NZ613085A (en) 2015-05-29
BR112013015174A2 (pt) 2020-08-11
US8927580B2 (en) 2015-01-06
US20140206725A1 (en) 2014-07-24
WO2012079128A1 (en) 2012-06-21
EP3287442A1 (en) 2018-02-28
CN103370308A (zh) 2013-10-23
EP2651894A4 (en) 2014-07-09
CA2821984A1 (en) 2012-06-21
CN103370308B (zh) 2015-06-17
AU2011342378A1 (en) 201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3457B2 (ja) チオセミカルバゾン化合物および癌の治療における使用
US20160287564A1 (en) Methods of administering glutaminase inhibitors
US20190134056A1 (en) K-ras mutations and antagonists
KR102375288B1 (ko) 대사항암제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US9833431B2 (en) Pharmaceutical combination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US9867807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rug-sensitization or inhibition of a cancer cell
US20210221805A1 (en) Sigma-2 receptor ligand drug conjugates as antitumor compounds, methods of synthesis and uses thereof
CN116077631A (zh) 涉及粘液素的疾病治疗
CA3010445A1 (en) Benzothiazole amphiphiles
WO2010000008A1 (en) Thiosemicarbazone compounds and use thereof
TWI753178B (zh) Mcl-1抑制劑與血液癌症標準療法之組合,其用途及醫藥組合物
JP2019510084A (ja) 小分子型の活性酸素種誘導剤及びミトコンドリア活性阻害剤
WO2017058748A1 (en) Thiosemicarbazones
US20210101879A1 (en) AMYLOID PROTEIN-SELECTIVE BACE INHIBITORS (ASBIs) FOR ALZHEIMER?S DISEASE
US11684610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ing 1,2-naphthoquinone derivative compound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solid cancers or blood cancers
US20170022215A1 (en) Compounds for Eradicating or Inhibiting Proliferation of Cancer Stem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