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2685A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network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2685A
KR20140022685A KR1020120089141A KR20120089141A KR20140022685A KR 20140022685 A KR20140022685 A KR 20140022685A KR 1020120089141 A KR1020120089141 A KR 1020120089141A KR 20120089141 A KR20120089141 A KR 20120089141A KR 20140022685 A KR20140022685 A KR 20140022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igna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57952B1 (en
Inventor
류명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9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952B1/en
Publication of KR20140022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6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9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terminal for interworking of heterogeneous networks and an interworking method using the same are disclosed. Provided is a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first network communication unit which blocks a connection to a second network based on a blocking request signal if the blocking request signal on a second network is inputted, and performs a voice communication or a low speed data communication while being connected to a first network; a signal measurement unit which measures a first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network and a second signal strength of the second network to generate a measurement signal if receiv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second network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a signal determination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a connection to the second network is available or not by comparing the measurement signal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a second network communication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network and performs a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 if the signal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connection to the second network is available.

Description

이종네트워크 연동을 위한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Network}Terminal and interworking method for interworking heterogeneous networks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Network}

본 실시예는 이종네트워크 연동을 위한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단말기가 3G 네트워크에서 4G 네트워크로 접속을 변경하는 데 있어서, 3G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3G 네트워크 및 4G 네트워크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접속가능한 네트워크를 확인하여 접속하는 이종네트워크 연동을 위한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terminal for interworking heterogeneous networks and a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n changing the connection from the 3G network to the 4G network, the communication terminal measures the signal strengths of the 3G network and the 4G network without performing a location registration procedure to the 3G network to check and connect to the accessible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for interworking heterogeneous networks and a method using the sam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통상적으로 무선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위치의 제약이 없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이다. 이러한 무선통신 시스템은 초기 단순한 음성 통신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형태에서 고속의 데이터서비스 및 패킷을 이용한 음성 서비스(VoIP)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In general,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a system developed to be able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out restriction of location to a user. Such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from a simple form of providing only a simple voice communication service to providing a high speed data service and a voice service using a packet (VoIP).

또한 무선통신 시스템의 종류로는 기본적인 음성 서비스와 비교적 저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방식의 시스템에서 점차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와 비교적 저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는 2세대(2nd Generation : 이하 "2G"라 함) 네트워크 및 3세대(3rd Generation : 이하 "3G"라 함) 네트워크가 있다. 3G 네트워크는 비교적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도 하지만, 사용자들은 보다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기 때문에 2G 또는 3G 네트워크보다 발전된 네트워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이하 "4G"라 함) 네트워크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developing from a network type system that provides basic voice service and a relatively low data rate service to a system that provides a high speed packet data service. As such, networks providing voice services and relatively low-speed data ser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nclude 2nd gen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2G") networks and 3rd gen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3G") networks. . Although 3G networks can provide relatively high-speed data services, users need to be more advanced than 2G or 3G networks because they want to receive higher-speed data services, so Long Term Evolution (“4G”) is needed. The network is being developed.

한편, 무선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성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다수의 기지국이 관여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2G 또는 3G 네트워크와 4G 네트워크가 혼용되어 사용되게 되는데, 사용자가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2G 또는 3G 네트워크를 이용하다가 4G 네트워크에 접속을 요청한 경우, 2G 또는 3G 네트워크에 PS(Packet Switched) 위치등록을 수행하고, 위치등록이 완료되면 4G 네트워크 영역인지를 판단하여 기지국에 접속함으로써, 4G 데이터통신을 사용하기 위한 소요시간이 과다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eeds to secure user mobility,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re often provided to provide a service. Therefore, 2G or 3G network and 4G network are used interchangeably. When a user requests access to a 4G network using a 2G or 3G network us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 PS (Packet Switched) location registration is performed on the 2G or 3G network. When the location registration is comple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rea is a 4G network and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Thus, the time required for using 4G data communication is excessively consumed.

본 실시예는, 통신단말기가 3G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3G 네트워크 및 4G 네트워크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접속가능한 네트워크를 확인하여 접속하는 이종네트워크 연동을 위한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terminal for heterogeneous network interworking, and a method using the same, in which a communication terminal checks and connects to an accessible network by measuring signal strengths of 3G and 4G networks without performing a location registration procedure on the 3G network. There is a main purpose.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차단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차단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음성통신 또는 저속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제1 네트워크 통신부;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제1 신호세기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제2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측정부; 상기 측정신호를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부; 및 상기 신호 판단부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고속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제2 네트워크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via a first network and a second networ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en a block request signal for the second network is input, the block request signal is based on the block request signal. A first network communication unit which disconnects the second network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or low speed data communication; Whe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with the second network is receiv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a measurement signal is generated by measuring the first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signal strength of the second network. A signal measuring unit; A signal determination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is connectable to the second network by comparing the measurement signal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a second network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nnect to the second network and perform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 when the signal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second network is connectable to the second network.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연동하는 데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차단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차단 요청신호 수신과정; 상기 차단요청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음성통신 또는 저속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제1 네트워크 통신과정;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소정의 시스템 정보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한 제1 신호세기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제2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하는 측정신호 생성과정; 상기 측정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단말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위치등록 과정; 및 상기 위치등록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에 포함된 주변 기지국과 연결되어 고속의 데이터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고속의 데이터통신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네트워크 연동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terworking of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ceiving a block request signal for receiving a block request signal for the second network; A first network communication process of disconnecting the connection with the second network based on the blocking request signal and connecting to the first network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or low speed data communication; When receiv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or the second network, a measurement signal is generated by measuring a first signal strength for the first network and a second signal strength for the second network using a predetermined system information block. Generating a measurement signal; A location registration process of performing location registration by transmitting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network when the second network is accessible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And a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 process connected to a neighboring base station included in the second network based on the location registration to transmit and receive content using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 to provid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단말기가 3G 네트워크에서 4G 네트워크로 접속을 변경하는 데 있어서, 3G 네트워크에 위치등록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3G 네트워크 및 4G 네트워크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4G 네트워크의 접속가능 여부를 확인하여 접속할 수 있으므로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4G 네트워크로 변환 시, 소모되는 배터리를 절감하고, 빠른 접속으로 인해 통화품질의 향상과 고객불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hanges the connection from the 3G network to the 4G network, the 4G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3G network and the 4G network without performing a location registration procedure on the 3G network.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consumed since the network can be accessed by checking whether the network is accessible. In addition, when switching to a 4G network, the battery consumption is reduced, and a fast connec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call quality and reducing customer complaint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단말기가 네트워크를 연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동방법과 일반적인 네트워크 연동방법의 차이를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communication terminal interworkes a networ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test result of a difference between a network interworking method and a general network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은 통신단말기(110), 네트워크(120) 및 컨텐츠 제공장치(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120)는 제1 네트워크(122), 제2 네트워크(124) 및 제n 네트워크(126)를 포함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terminal 110, a network 120, and a content providing device 130. Here, the network 120 includes a first network 122, a second network 124, and an n-th network 126.

통신단말기(110)는 사용자의 키 조작 또는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음성 및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통신단말기(110)는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데이터를 읽고 쓰기 및 저장, 네트워크, 컨텐츠 사용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단말기가 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fers to a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various data via the network 120 according to a user's key operation or command. A tablet PC, a tablet PC, a laptop, a personal computer It may be one of: a personal computer,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y be a cloud computing terminal that supports cloud computing (Cloud Computing) that can use services such as reading and writing and storing data, using a network, and using content through the network 120.

통신단말기(110)는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컨텐츠 제공장치(130) 또는 외부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통신단말기(110)는 복수 개의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네트워크(120) 내에 특정 네트워크(122, 124 및 126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정 네트워크(122, 124 및 126 중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컨텐츠 제공장치(130) 또는 외부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단말은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통신단말기(110)와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or a protocol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30 or an external terminal via the network 120, a microprocessor for executing and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program, and the like. Doing. Such a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to perform voice or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specific network 122, 124, and 126 in the network 120, and may specify a specific network 122, 124. And 126) to communicate with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30 or an external terminal. Here, the external terminal is preferably a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via the network 120.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된 네트워크 선택 메뉴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네트워크(122, 124 및 126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선택 메뉴정보는 예컨대 제1 네트워크(122)만 사용하는 모드 및 제1 네트워크(122)와 제2 네트워크(124)를 혼합사용하는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122)만 사용하는 모드는 CS(Circuit Switched) Only Mode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 네트워크(122)와 제2 네트워크(124)를 혼합사용하는 모드는 CS + PS(Packet Switched) Mode 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mmunicates using a specific network 122, 124, or 126 corresponding to the network selection menu information input through a user's manipulation. Here, the network selection menu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mode, for example, a mode using only the first network 122 and a mode using a mixture of the first network 122 and the second network 124. Here, the mode using only the first network 122 is preferably a CS (Circuit Switched) Only Mode, and the mode using a mixed use of the first network 122 and the second network 124 is CS + PS (Packet Switched). ) Mode is preferr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통신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된 제2 네트워크(124)에 대한 차단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제2 네트워크(124)와의 연결을 차단하고, 제1 네트워크(122)와 연결하여 음성통신을 사용한다. 여기서, 통신단말기(110)는 제1 네트워크(122)와 연결되어 음성통신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네트워크(124)가 제공하는 것보다 저속의 데이터통신도 가능하다. 통신단말기(110)는 제1 네트워크(122)만 연결된 상태에서도 제1 네트워크(122) 및 제2 네트워크(124)에서 발생하는 브로드캐스트 신호(Broadcast Message)인 시스템 정보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을 확인한다.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ceives a block request signal for the second network 124 input through a user's manipula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blocks the connection with the second network 124 and connects with the first network 122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Use He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122 to use only voice communica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data communication at a lower speed than that provided by the second network 124 is also possible. D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a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that is a broadcast message generated in the first network 122 and the second network 124 even when only the first network 122 is connected. Check.

여기서, 시스템 정보블록은 시스템 정보블록 내의 타입에 규정된 최소레벨 수신감도(Qrxlevmin), 최저임계전송값(threshServingLow), 최저 임계치(X)값(ThreshXlow) 및 EUTRA 최소레벨 수신감도(QrxlevminEUTR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시스템 정보블록은 표준(3GPP TS 25.331)에 기재된 정보로서, 최소레벨 수신감도(Qrxlevmin)는 시스템 정보블록 타입(TYPE) 3에 포함되고, 최저임계전송값(threshServingLow), 최저 임계치(X)값(ThreshXlow) 및 EUTRA 최소레벨 수신감도(QrxlevminEUTRA)는 시스템 정보블록 타입(TYPE) 19에 포함되어 기재되어 있다.Here,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minimum level reception sensitivity (Qrxlevmin), the lowest threshold transmission value (threshServingLow), the minimum threshold value (X) value (ThreshXlow), and the EUTRA minimum level reception sensitivity (QrxlevminEUTRA) specified in the type in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Contains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is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standard (3GPP TS 25.331), and the minimum level reception sensitivity (Qrxlevmin) is included in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TYPE) 3, and the minimum threshold transmission value (threshServingLow) and the lowest threshold value (X) ( ThreshXlow) and EUTRA minimum level reception sensitivity (QrxlevminEUTRA) are included in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TYPE) 19.

한편, 통신단말기(110)는 제1 네트워크(122)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된 제2 네트워크(124)에 대한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22)에 대한 제1 신호세기 및 제2 네트워크(124)에 대한 제2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1 신호세기는 3G 네트워크의 RSCP(Received Signal Code Power)이고, 제2 신호세기는 4G 네트워크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ceives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or the second network 124 input through a user's operation while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122,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uses the first network using a predetermined function. The first signal strength for 122 and the second signal strength for the second network 124 are measured to generate a measurement signal. Here, the first signal strength is a Received Signal Code Power (RSCP) of the 3G network, the second signal strength is preferably a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of the 4G network,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통신단말기(110)는 측정신호를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제2 네트워크(124)에 접속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네트워크(124)에 위치등록을 수행하고, 제2 네트워크(124)를 통해 컨텐츠 제공장치(130)와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통신단말기(110)는 측정신호를 소정의 기준값에 비교하여 제2 네트워크(124)에 접속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네트워크(122)에 위치등록을 수행하고, 제1 네트워크(122)의 연결을 유지한다. I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ompares the measurement signal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determines that the second network 124 is accessibl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gisters a location with the second network 124 and performs content registration through the second network 124. Data communic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ent with the providing device 130 is performed.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unable to connect to the second network 124 by comparing the measurement sign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performs location registration on the first network 122, and the first network 122. Stay connected.

네트워크(120)는 제1 네트워크(122), 제2 네트워크(124) 및 제n 네트워크(126)를 포함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로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망을 말한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122)는 3G 네트워크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2 네트워크(124)는 4G 네트워크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n 네트워크(126)는 동기화 네트워크(Synchronous Network), 인터넷 네트워크, 인트라넷 네트워크, 위성 통신 네트워크 등과 같은 네트워크일 수 있다. The network 120 refers to a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data using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including the first network 122, the second network 124, and the n-th network 126. Here, the first network 122 is preferably a 3G network, the second network 124 is preferably a 4G network, and the n-th network 126 is a synchronous network, an internet network, an intranet network, Network, such as a satellite communications network.

네트워크(120)는 컨텐츠 제공장치(130)와 연동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하고,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컴퓨팅 자원을 해당 통신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정보가 인터넷 상의 서버에 영구적으로 저장되고,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스마트폰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는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컴퓨터 환경을 의미하며,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용자의 모든 정보를 인터넷 상의 서버에 저장하고, 이 정보를 각종 IT 기기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환경 접속망을 의미한다. The network 120 may include a cloud computing network capable of interworking with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30 to store computing resources such as hardware and software, and providing computing resources required by the client to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terminal 110. Can be. Here, cloud computing refers to a computer environment in which information is permanently stored on a server on the Internet and temporarily stored in a client terminal such as a desktop, a tablet computer, a notebook, a netbook, or a smart phone. Cloud computing, Refers to a computer environment access network that stores information on a server on the Internet and makes the information available anytime and anywhere through various IT devices.

컨텐츠 제공장치(130)는 통신단말기(110)의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컨텐츠 저장 및 관리를 수행하는 일종의 서버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장치(130)는 통신단말기(110)가 제2 네트워크(124)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요청하면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120) 내의 특정 네트워크(122, 124 및 126 중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수신된 요청신호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통신단말기(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컨텐츠 제공장치(13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서버(Web Server) 또는 네트워크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한다. 컨텐츠 제공장치(130)는 웹서버 또는 네트워크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웹서버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이다.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30 refers to a kind of server that stores and manages content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eferably transmits corresponding data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network 124 and requests data,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pecific network 122, 124, and 126 in the C 1)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via the network 120. Here, the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ext data, image data, and image data.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3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 conventional web server or network server in hardware. In addition, software modules include program modules implemented in any language such as C, C ++, Java, Visual Basic, and Visual C.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eb server or a network server. The web server is generally connected to an unspecified client and / or another server through an open computer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the client or other web. It refers to a computer system that receives a server's task execution request and derives and provides a work result thereof, and a computer software (web server program) installed therefor.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120)는 제1 네트워크(122) 및 제2 네트워크(12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network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network 122 and a second network 124.

제1 네트워크(122)는 제 1 전송기(210), 데이터 처리기(212), 데이터 게이트웨이(214) 및 제1 과금 게이트웨이(216)를 포함한다. The first network 122 includes a first transmitter 210, a data processor 212, a data gateway 214, and a first charging gateway 216.

제1 네트워크(122)와 연동하는 UTRAN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를 말하며, GERAN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Radio Access Network를 말한다. UTRAN, GERAN은 제1 네트워크(122)에 포함된다.UTRAN, which interworks with the first network 122, refers to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and GERAN refers to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EDGE) Radio Access Network. UTRAN and GERAN are included in the first network 122.

통신단말기(110)는 제1 네트워크(122)와 제2 네트워크(124) 모두를 지원하므로, 제1 네트워크(122)에서 통신단말기(110)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UTRAN과 통신하고, Um 인터페이스를 통해 GERAN와 통신한다. UTRAN은 Iu-ps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처리기(212)와 통신하고, Iu-cs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환기(230)와 통신한다. GERAN는 Gb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처리기(212)와 통신하고, A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환기(230)와 통신한다. 통신단말기(110)는 제1 네트워크(122)와 제2 네트워크(124) 모두를 지원하므로 데이터 처리기(212)는 Gn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게이트웨이(214)와 통신하고, Gs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환기(230)와 통신한다.Sinc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supports both the first network 122 and the second network 124, in the first network 122,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ommunicates with the UTRAN through the Uu interface, and through the Um interface. Communicate with GERAN. The UTRAN communicates with the data processor 212 via the Iu-ps interface and with the exchange 230 via the Iu-cs interface. The GERAN communicates with the data processor 212 via the Gb interface and with the exchange 230 via the A interface. Sinc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supports both the first network 122 and the second network 124, the data processor 212 communicates with the data gateway 214 through the Gn interface, and the exchange 230 through the Gs interface. Communicate with

제 1 전송기(210)는 제1 네트워크(122) 내의 전송기를 말하며, 제1 네트워크(122) 내에서 위치 등록, 무선 채널 할당, 핸드오프 등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 등을 수행하고, 제 1 전송기(210)는 신호 채널을 통해 통신단말기(110)로부터 통화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한다. 또한, 제 1 전송기(210)는 신호 채널을 통해 통신단말기(110)로부터 데이터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요청신호를 전송 제어기를 통해 컨텐츠 제공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송기(210)는 노드 B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transmitter 210 refers to a transmitter in the first network 122. The first transmitter 210 performs various functions required for radio call processing, such as location registration, wireless channel allocation, and handoff, in the first network 122, The transmitter 210 receives a call request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rough a signal channel, performs baseband signal processing, wired / wireless conversion,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wireless signal. In addition, the first transmitter 210 may receive a data request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rough a signal channel, and transmit the received data request signal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30 through a transmission controller. Here, the first transmitter 210 is preferably a node B, but is not limited thereto.

데이터 처리기(212)는 이동 중인 통신단말기(110)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며, 통신단말기(110)로 전송된 데이터 패킷에 대한 통화 내역 정보 및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1 과금 게이트웨이(216)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기(212)는 SGSN(Support GPRS Serving Node)로 구현될 수 있다.The data processor 212 transmits a data packe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generates call history information and charging data for the data packet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transmits the data packet to the first charging gateway 216. It performs the function. Here, the data processor 212 may be implemented as a Support GPRS Serving Node (SGSN).

데이터 게이트웨이(214)는 기간망과 외부 패킷 데이터 망 간의 접속 기능을 담당하는 노드로서, 데이터 처리기(212)로부터 수신되는 패킷 데이터를 적당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형식(예컨대, IP, X.25)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며, 착신 패킷 데이터의 PDP(Packet Data Protocol) 주소를 수신자의 전 지구적 이동통신 시스템(GSM) 주소로 변환한다. 또한, 데이터 게이트웨이(214)는 데이터 처리기(212)의 위치 레지스터에 있는 현 사용자의 데이터 처리기의 주소와 사용자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인증과 요금 부과 기능도 수행한다. 이러한, 데이터 게이트웨이(214)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ata gateway 214 is a node in charge of the connection function between the backbone network and the external packet data network. The data gateway 214 converts the packet data received from the data processor 212 into an appropriate packet data protocol (PDP) format (eg, IP, X.25). It converts and transmits the packet data protocol (PDP) address of the incoming packet data to the glob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GSM) address of the receiver. The data gateway 214 also stores the address and user profile of the current user's data processor in the location register of the data processor 212 and performs authentication and charging functions. The data gateway 214 is preferably a 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과금 게이트웨이(216)는 복수 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 처리기(212)로부터 가입자의 통신단말기(110)가 이동 중 수신한 데이터 패킷에 대한 각각의 통화 내역 정보 및 과금 데이터를 수집하며, 통화 내역 정보를 검사하여 동일한 과금 ID(Charing ID)를 갖는 과금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로 통합한 통합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며, 통합 과금 데이터를 과금 센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1 과금 게이트웨이(216)는 동일한 과금 ID를 갖는 모든 과금 데이터의 데이터 패킷량을 취합하여 통합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1 과금 게이트웨이(216)는 통신단말기(110)의 핸드오버(HandOver)에 따라 복수의 데이터 처리기(21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처리기로부터 각각의 통화 내역 정보 및 과금 데이터를 수집한다. 또한, 제1 과금 게이트웨이(216)는 통화 내역 정보의 식별자(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과금 ID를 이용하여 통합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과금 ID는 데이터 처리기(212)에서 통신단말기(110)의 과금 데이터 생성 시 데이터 게이트웨이(214)로부터 할당받는 값을 말한다. 즉, 과금 ID는 동일한 가입자가 동일한 데이터 게이트웨이(214) 내에서 복수 개의 데이터 처리기(212)를 이동한 경우에도 변경되지 않는 값이다.The first billing gateway 216 collects call history information and billing data for each data packet received by the subscriber's communication terminal 110 while moving from a plurality of different data processors 212, and the call history information is collected. It checks and generates integrated billing data by integrating billing data with the same billing ID into one data and transmits the billing data to the billing center. In addition, the first charging gateway 216 collects data packet amounts of all charging data having the same charging ID and generates integrated charging data. In addition, the first billing gateway 216 collects respective call history information and billing data from at least one data processor of the plurality of data processors 212 according to the handov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 addition, the first billing gateway 216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integrated billing data using an identifier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and a billing ID of call history information. Meanwhile, the billing ID refers to a value assigned by the data gateway 214 when the billing data is generat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 the data processor 212. That is, the billing ID is a value that does not change even when the same subscriber moves the plurality of data processors 212 in the same data gateway 214.

제1 과금 게이트웨이(216)는 통신단말기(110)가 컨텐츠 제공장치(13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컨텐츠 사용량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정보를 토대로 통신단말기(110)의 소요 비용을 과금한 결과를 수집한다.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30, the first charging gateway 216 updates the content usage information and charges the required cos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based on the updated information. Collect the results.

이하 제2 네트워크(124)에 대해 설명한다. 제2 네트워크(124)는 제 2 전송기(220), 제어 처리부(222), 트래픽 처리부(224), 패킷 처리부(226) 및 제2 과금 게이트웨이(228)를 포함한다. The second network 124 is described below. The second network 124 includes a second transmitter 220, a control processor 222, a traffic processor 224, a packet processor 226, and a second charging gateway 228.

도 2에 도시된 제2 네트워크(124)와 연결된 E-UTRAN은 Evolved-UTRAN를 말한다. E-UTRAN은 제2 네트워크(124)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단말기(110)는 제1 네트워크(122)와 제2 네트워크(124) 모두를 지원하므로 제2 네트워크(124)에서 통신단말기(110)는 LTE-Uu 인터페이스를 통해 E-UTRAN과 통신하고, E-UTRAN은 S1-U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처리부(222)와 통신한다.The E-UTRAN connected with the second network 124 shown in FIG. 2 refers to the Evolved-UTRAN. The E-UTRAN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network 124. Sinc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supports both the first network 122 and the second network 124,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ommunicates with the E-UTRAN through the LTE-Uu interface in the second network 124, and the E The UTRAN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processor 222 via the S1-U interface.

e노드 B란 LTE(Long Term Evolution)를 지원하는 장비로서, 전송 신호의 RF화, 송수신, 신호세기, 품질측정, 기저대역 신호처리 및 채널 카드(Channel Card)(채널 카드 자원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또한, 제 2 전송기(220)와 EPC(Evolved Packet Core)(즉, 제어 처리부(222), 트래픽 처리부(224) 및 패킷 처리부(226))를 합쳐서 EPS(Evolved Packet System)라고 칭할 수 있다. 즉, 제 2 전송기(220)는 제2 네트워크(124)인 LTE 네트워크 내의 전송기를 말하며, 제2 네트워크(124) 내에서 위치 등록, 무선 채널 할당, 핸드오프 등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 등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 2 전송기(220)는 e노드 B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2 전송기(220)는 제2 네트워크(124) 내에서 신호 채널을 통해 통신단말기(110)로부터 고속 데이터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 2 전송기(220)는 신호 채널을 통해 통신단말기(110)로부터 고속 데이터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고속 데이터 요청신호를 전송 제어기를 통해 컨텐츠 제공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전송기(220)는 전송기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E-UTRAN로 확장 적용될 수 있다.e Node B is a device that supports Long Term Evolution (LTE), and functions as RF transmission,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strength, quality measurement, baseband signal processing, and channel card (channel card resource management) . The second transmitter 220 and the Evolved Packet Core (EPC) (i.e., the control processing unit 222, the traffic processing unit 224, and the packet processing unit 226)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EPS (Evolved Packet System). That is, the second transmitter 220 refers to a transmitter in the LTE network, which is the second network 124. The second transmitter 220 provides various functions required for wireless call processing such as location registration, wireless channel allocation, and handoff in the second network 124. To perform. Here, the second transmitter 220 is preferably an eNode B,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second transmitter 220 receives a high speed data request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rough a signal channel in the second network 124, performs baseband signal processing, wired / wireless conversion,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wireless signal. Device. The second transmitter 220 may receive a high speed data request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rough a signal channel and transmit the received high speed data request signal to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30 through a transmission controller. Here, the second transmitter 220 is preferably a transmit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extended to an E-UTRAN.

제어 처리부(222), 트래픽 처리부(224) 및 패킷 처리부(226)를 포함하여 패킷 코어라 칭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킷 코어는 EPC를 말한다. 제어 처리부(222)는 기본적으로 통신단말기(110)에 대한 위치등록 및 페이징(Paging), 인증 등의 호 제어를 담당하고, 호 제어부에 대한 합법적 감청 기능 및 데이터 호 제어 기능과 같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 처리부(222)는 MME(Mobile Management Entity)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 처리부(222)는 가입자 정보 및 통신단말기(110)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노드로서 세션(Session) 관리, 아이들(Idle) 가입자 관리, 페이징(Paging), 가입자 인증기능 등을 담당한다.A control processor 222, a traffic processor 224, and a packet processor 226, and may be referred to as a packet core. This packet core refers to EPC. The control processing unit 222 basically handles call control such as location registration, paging, and authentication for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manages mobility such as a legal interception function and a data call control function for the call controller. It performs a function that performs management. Here, the control processor 222 is preferably an MME (Mobile Management Entity),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control processor 222 is a node that manages subscriber information and mobility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is responsible for session management, idle subscriber management, paging, and subscriber authentication functions.

트래픽 처리부(224)는 S-GW(Serving Gateway)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트래픽 처리부(224)는 액세스(Access)망에 대한 게이트웨이며 제1 네트워크(122) 내에서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또한, 트래픽 처리부(224)는 호 트래픽에 대한 합법적 감청 등을 처리하며, 트래픽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트래픽 처리부(224)는 설정된 세션에 따라 페이로드 트래픽(Payload Traffic)을 처리하는 세션 컨트롤(Session Control) 및 사용자 플랜(User Plane) 노드로서 제 2 전송기(220)와 연동하며 인터(Inter) 핸드오버를 지원하고 패킷 처리부(226)와 PDP 컨텍스트(Context)를 설정하고 터널링(Tunneling)을 이용하여 PDU(Packet Data Unit)를 전달한다. 한편, 트래픽 처리부(224)와 제어 처리부(222)의 분리 구현을 통해 트래픽 증가 또는 제어 신호 증가에 따른 유연한 확장가능하다.The traffic processing unit 224 is preferably an S-GW (Serving Gatew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traffic processing unit 224 is a gateway to the access network and manages mobility in the first network 122. In addition, the traffic processor 224 processes legitimate eavesdropping on call traffic, and performs a traffic processing function. The traffic processor 224 is a session controller for processing payload traffic according to a set session and a user plane node for interworking with a second transmitter 220 as a user plane node, Supports handover, sets a packet processing unit 226 and a PDP context, and delivers PDU (Packet Data Unit) using tunneling. On the other hand, the traffic processing unit 224 and the control processing unit 222 can be flexibly expand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traffic or the increase of the control signal.

패킷 처리부(226)는 P-GW(PDN Gateway)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킷 처리부(226)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인터넷 등 PDN(Packet Data Network)에 대한 게이트웨이며 Non-3GPP망에 대한 이동성을 관리하며, 정책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며 유해 패킷 차단 등을 담당한다. 또한, 패킷 처리부(226)는 통신단말기(110)의 IP를 할당하고 외부 인터넷망 및 Non-3GPP망과 연동하는 세션 컨트롤 및 사용자 플랜으로서 패킷 서비스를 위해 트래픽 처리부(224) 및 외부망과 라우팅(Routing) 정보를 유지하며 터널링 및 IP 라우팅 기능을 갖는다. 또한, 패킷 처리부(226)는 트래픽 처리부(224) 및 외부망으로 PDU를 전달한다.The packet processing unit 226 is preferably a P-GW (PDN Gatew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acket processing unit 226 is a gateway to a PDS (Packet Data Network) such as an IP Multimedia Subsystem (IMS) and the Internet, manages mobility for a non-3GPP network, performs billing according to policy, . In addition, the packet processor 226 allocates the IP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is a session control and a user plan that interoperates with an external Internet network and a Non-3GPP network, and performs routing with the traffic processor 224 and the external network for packet service. It maintains routing information and has tunneling and IP routing functions. In addition, the packet processing unit 226 delivers the PDU to the traffic processing unit 224 and the external network.

제2 과금 게이트웨이(228)는 컨텐츠 제공장치(130)에서 통신단말기(110)로 전송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사용량 정보 및 그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즉, 제2 과금 게이트웨이(228)는 통신단말기(110)가 컨텐츠 제공장치(13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컨텐츠 사용량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정보를 토대로 통신단말기(110)의 소요 비용을 과금한 결과를 수집한다.The second billing gateway 228 refers to a device for performing content usage information on the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30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charging accordingly. That is,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30, the second charging gateway 228 updates the content usage information and adjusts the required cos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based on the updated information. Collect the billed results.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110)는 입력 수신부(310), 신호 측정부(330), 신호 판단부(340), 위치 등록부(350), 제1 네트워크 통신부(360) 및 제2 네트워크 통신부(370)를 포함한다.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put receiving unit 310, a signal measuring unit 330, a signal determining unit 340, a location registration unit 350, a first network communication unit 360, and a second network communication unit ( 370).

입력 수신부(310)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된 제2 네트워크(124)에 대한 차단 요청신호 및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통신단말기(110)가 제1 네트워크(122)만 사용하는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입력수신부(310)는 제 2 네트워크(124)에 대한 차단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통신단말기(110)가 제1 네트워크(122)와 제2 네트워크(124)를 혼합사용하는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입력수신부(310)는 제 2 네트워크(124)에 대한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122)만 사용하는 모드는 CS(Circuit Switched) Only Mode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 네트워크(122)와 제2 네트워크(124)를 혼합사용하는 모드는 CS + PS mode 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put receiver 310 receives a block request signal and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or the second network 124 input through a user's manipulation. In more detail,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set to a mode using only the first network 122, the input receiving unit 310 receives a block request signal for the second network 124, the communication terminal ( When 110 is set to a mode in which the first network 122 and the second network 124 are mixed, the input receiver 310 receives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or the second network 124. Here, the mode using only the first network 122 is preferably a CS (Circuit Switched) Only Mode, and the mode using a mixed use of the first network 122 and the second network 124 is CS + PS mode. Preferred but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신호 측정부(330)는 입력수신부(310)에서 제2 네트워크(124)에 대한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22)에 대한 제1 신호세기 및 제2 네트워크(124)에 대한 제2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1 신호세기는 3G 네트워크의 RSCP(Received Signal Code Power)이고, 제2 신호세기는 4G 네트워크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signal measuring unit 330 receives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for the second network 124 from the input receiving unit 310, the signal measuring unit 330 uses the first signal strength for the first network 122 and the second network ( The second signal strength of 124 is measured to generate a measurement signal. Here, the first signal strength is a Received Signal Code Power (RSCP) of the 3G network, the second signal strength is preferably a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of the 4G network,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한편, 신호 측정부(330)는 제1 네트워크(122)만 연결된 상태에서도 제1 신호세기 및 제2 신호세기를 측정하기 위해 제1 네트워크(122) 및 제2 네트워크(124)에서 발생하는 브로드케스트 신호인 시스템 정보블록(SIB)을 소정의 주기로 확인한다. 여기서, 시스템 정보블록은 시스템 정보블록 내의 타입에 규정된 최소레벨 수신감도(Qrxlevmin), 최저임계전송값(threshServingLow), 최저 임계치(X)값(ThreshXlow) 및 EUTRA 최소레벨 수신감도(QrxlevminEUTR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시스템 정보블록은 표준특허(TS 25.331)에 기재된 정보로서, 최소레벨 수신감도(Qrxlevmin)는 시스템 정보블록 타입(TYPE) 3에 포함되고, 최저임계전송값(threshServingLow), 최저 임계치(X)값(ThreshXlow) 및 EUTRA 최소레벨 수신감도(QrxlevminEUTRA)는 시스템 정보블록 타입(TYPE) 19에 포함되어 기재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ignal measuring unit 330 is a broadcast generated from the first network 122 and the second network 124 to measure the first signal strength and the second signal strength even when only the first network 122 is connected.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which is a signal, is check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Here,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minimum level reception sensitivity (Qrxlevmin), the lowest threshold transmission value (threshServingLow), the minimum threshold value (X) value (ThreshXlow), and the EUTRA minimum level reception sensitivity (QrxlevminEUTRA) specified in the type in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Contains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is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standard patent (TS 25.331), and the minimum level reception sensitivity (Qrxlevmin) is included in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TYPE) 3, and the lowest threshold transmission value (threshServingLow) and the lowest threshold value (X) value ( ThreshXlow) and EUTRA minimum level reception sensitivity (QrxlevminEUTRA) are included in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TYPE) 19.

이하, 시스템 정보블록을 이용하여 제1 신호세기 및 제2 신호세기를 측정하기 위한 과정을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ocess for measuring the first signal strength and the second signal strength using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is expressed as an equation.

먼저, 시스템 정보블록을 이용하여 측정된 제1 신호세기(RSCP)는 수학식 1과 같다.First, the first signal strength RSCP measured using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is expressed by Equation 1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RSCP: 제1 네트워크에서의 신호세기, Qrxlevmin: 최소레벨 수신감도, threshServingLow: 최저임계전송값)(RSCP: signal strength in first network, Qrxlevmin: minimum level reception sensitivity, threshServingLow: minimum threshold transmission value)

예컨대, 최소레벨 수신감도가 -56 dBm이고, 최저임계전송값이 30 dBm일 경우, 수학식 1에 의해 -116 dBm + 60 dBm이므로 제1 신호세기는 -56 dBm이 된다.For example, when the minimum level reception sensitivity is -56 dBm and the minimum threshold transmission value is 30 dBm, the first signal strength is -56 dBm since -116 dBm + 60 dBm according to Equation 1.

또한, 시스템 정보블록을 이용하여 측정된 제2 신호세기(RSRP)는 수학식 2과 같다.In addition, the second signal strength RSRP measured using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is represented by Equation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RSRP: 제2 네트워크에서의 신호세기, ThreshXlow: 최저 임계치(X)값, QrxlevminEUTRA: EUTRA 최소레벨 수신감도)(RSRP: signal strength in second network, ThreshXlow: lowest threshold (X) value, QrxlevminEUTRA: EUTRA minimum level reception sensitivity)

예를 들어, 최저 임계치(X)값이 0 dBm이고, EUTRA 최소레벨 수신감도가 -53 dBm이면, 수학식 2에 의해 0 dBm + -106 dBm이므로 제2 신호세기는 -106 dBm이 된다.For example, if the lowest threshold value X is 0 dBm and the EUTRA minimum level reception sensitivity is -53 dBm, the second signal strength is -106 dBm since 0 dBm + -106 dBm according to Equation 2.

신호 판단부(340)는 소정의 기준값에 비교하여 제2 네트워크(124)에 접속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소정의 기준값은 제1 신호세기 및 제2 신호세기에 대한 기준값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gnal determiner 340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network 124 can be connected to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Her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s preferably a reference value for the first signal strength and the second signal strength,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신호 판단부(340)는 소정의 기준값에 비교하여 제2 네트워크(124)에 접속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위치 등록부(350)에서 제2 네트워크(124)에 현재 통신단말기(110)가 위치한 셀(Cell)에 대한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위치등록을 수행한다. 한편, 신호 판단부(340)는 소정의 기준값에 비교하여 제2 네트워크(124)에 접속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네트워크(122)에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제1 네트워크(122)의 연결을 유지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determining unit 340 is accessible to the second network 124 in comparison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location registration unit 350 displays a cell in which the current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located in the second network 124. Location registration is performed by sen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determining unit 340 cannot access the second network 124 compared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signal determining unit 340 transmi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network 122 and disconnects the connection of the first network 122. Keep it.

위치 등록부(350)는 신호 판단부(340)에서 제2 네트워크(124)에 접속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네트워크(122)에 위치등록을 수행하지 않고 제2 네트워크(124)에 위치등록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1 네트워크(122)에 위치를 등록하는 절차를 생략함으로써, 제2 네트워크(124)에 접속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If the location determining unit 350 determines that the signal determining unit 340 can access the second network 124, the location registration unit 350 registers the location with the second network 124 without performing location registration with the first network 122. do. By omitting the procedure of registering a location with the first network 122, the time for connecting to the second network 124 can be shortened.

제1 네트워크 통신부(360)는 입력수신부(310)에서 제2 네트워크(124)에 대한 차단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제2 네트워크(124)와의 연결을 차단하고, 제1 네트워크(122)와 연결하여 음성통신을 이용한다. 여기서, 제1 네트워크 통신부(360)는 제1 네트워크(122)와 연결되어 음성통신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네트워크(124)보다 저속의 데이터통신도 가능하다. When the first network communicator 360 receives a block request signal for the second network 124 from the input receiver 310, the first network communicator 360 disconnects the connection with the second network 124, and connects the voice with the first network 122. Use communication Here, the first network communication unit 360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122 to use only voice communica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data communication at a lower speed than the second network 124 is possible.

제2 네트워크 통신부(370)는 위치 등록부(350)에서 제2 네트워크(124)에 현재 통신단말기(110)가 위치한 셀에 대한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위치등록을 수행하면, 위치등록된 주변의 제2 네트워크 기지국과 연결되어 컨텐츠 제공장치(130)와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패킷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데이터 패킷통신은 제1 네트워크의 통신보다 고속으로 패킷을 전달하는 제2 네트워크의 고속 패킷통신을 의미한다. When the second network communication unit 370 performs location registration by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on the cell whe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located in the second network 124 to the second network 124, the second location around the location registered. It is connected to a network base station and performs data packet communic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ent with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30. Here, data packet communication refers to high speed packet communication of a second network that delivers a packet at a higher speed than communication of the first network.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단말기가 네트워크를 연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communication terminal interworkes a networ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통신단말기(110)는 제2 네트워크(124)에 대한 차단 요청신호 수신한다(S410). 여기서, 통신단말기(110)는 제1 네트워크(122)만 사용하는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성 통화를 사용하기 위한 모드일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ceives a block request signal for the second network 124 (S410). He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preferably set to a mode using only the first network 122,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mode for using a voice call.

통신단말기(110)는 차단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제2 네트워크(124)와 연결을 차단하고, 제1 네트워크(122)와 연결한다(S420). 여기서, 통신단말기(110)는 제1 네트워크(122)와 연결되어 음성통신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네트워크(124)보다 저속의 데이터통신도 가능하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blocks the connection with the second network 124 based on the block request signal and connects with the first network 122 (S420). He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122 to use only voice communica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data communication at a lower speed than the second network 124 is also possible.

통신단말기(110)는 제1 네트워크(122)만 연결된 상태에서도 제1 네트워크(122) 및 제2 네트워크(124)에 대한 시스템 정보블록을 소정의 주기로 확인한다(S430). 여기서, 시스템 정보블록은 시스템 정보블록 내의 타입에 규정된 최소레벨 수신감도(Qrxlevmin), 최저임계전송값(threshServingLow), 최저 임계치(X)값(ThreshXlow) 및 EUTRA 최소레벨 수신감도(QrxlevminEUTR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시스템 정보블록은 표준특허(TS 25.331)에 기재된 정보로서, 최소레벨 수신감도(Qrxlevmin)는 시스템 정보블록 타입(TYPE) 3에 포함되고, 최저임계전송값(threshServingLow), 최저 임계치(X)값(ThreshXlow) 및 EUTRA 최소레벨 수신감도(QrxlevminEUTRA)는 시스템 정보블록 타입(TYPE) 19에 포함되어 기재되어 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hecks the system information blocks for the first network 122 and the second network 124 at predetermined intervals even when only the first network 122 is connected (S430). Here,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minimum level reception sensitivity (Qrxlevmin), the lowest threshold transmission value (threshServingLow), the minimum threshold value (X) value (ThreshXlow), and the EUTRA minimum level reception sensitivity (QrxlevminEUTRA) specified in the type in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Contains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is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standard patent (TS 25.331), and the minimum level reception sensitivity (Qrxlevmin) is included in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TYPE) 3, and the lowest threshold transmission value (threshServingLow) and the lowest threshold value (X) value ( ThreshXlow) and EUTRA minimum level reception sensitivity (QrxlevminEUTRA) are included in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TYPE) 19.

통신단말기(110)는 데이터 패킷통신을 사용하기 위해 제2 네트워크(124)에 대한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S440), 접속 요청신호에 따라 시스템 정보블록을 소정의 함수에 대입하여 제1 신호세기 및 제2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한다(S450). 여기서, 제1 신호세기는 3G 네트워크의 RSCP(Received Signal Code Power)이고, 제2 신호세기는 4G 네트워크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통신단말기(110)는 제1 네트워크(122) 및 제2 네트워크(124)에서 발생하는 브로드케스트 신호인 시스템 정보블록을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제1 신호세기를 측정하고, 수학식 2에 적용하여 제2 신호세기를 측정한다.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ceives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or the second network 124 to use data packet communication (S440),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substitutes a system information block into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first signal. The measurement signal is generated by measuring the strength and the second signal strength (S450). Here, the first signal strength is a Received Signal Code Power (RSCP) of the 3G network, the second signal strength is preferably a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of the 4G network,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Meanwhil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easures the first signal strength by applying a system information block, which is a broadcast signal generated from the first network 122 and the second network 124, to Equation 1, Apply to measure the second signal strength.

통신단말기(110)는 측정신호에 근거하여 제2 네트워크(124)에 접속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460).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determines whether it is connectable to the second network 124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S460).

단계 S460에서 확인한 결과, 제2 네트워크(124)에 접속가능한 경우, 통신단말기(110)는 제2 네트워크(124)에 위치등록을 수행하고(S470), 제2 네트워크(124)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장치(130)와 데이터 패킷통신을 수행한다(S490). 여기서, 통신단말기(110)는 제1 네트워크(122)에 위치를 등록하는 절차를 생략함으로써, 제2 네트워크(124)에 접속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S460, when the second network 124 is accessibl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egisters the location with the second network 124 (S470),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using the second network 124. Data packet communication with 130 is performed (S490). He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an shorten the time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network 124 by omitting the procedure of registering the location in the first network (122).

한편, 단계 S460에서 확인한 결과, 제2 네트워크(124)에 접속 불가능한 경우, 제1 네트워크(122)에 위치등록을 수행하고,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네트워크(122)와의 연결을 유지한다(S480).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S460, if it is impossible to connect to the second network 124, the location registration to the first network 122, and the connection with the first network 122 to perform voice or data communication It is maintained (S480).

도 4에서는 단계 S410 내지 단계 S490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4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410 내지 단계 S49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FIG. 4, steps S410 to S490 are described as being sequentially executed. However, this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ose having a variety of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applicable by changing the order described in FIG. 4 or executing one or more steps of steps S410 to S490 in parallel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not limited to the time series order.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동방법과 일반적인 네트워크 연동방법의 차이를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test result of a difference between a network interworking method and a general network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동방법과 일반적인 네트워크 연동방법을 통신단말기(110)에 적용하여 4G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시간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예컨대, "삼* E120S" 및 "삼* E160S"라는 두 모델의 통신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네트워크 연동방법을 적용하여 3G 네트워크에서 4G 네트워크로 변경했을 경우, "삼* E120S"는 49.8초, "삼* E160S"는 56.4초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통신단말기(110)가 4G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이 수행되고, 4G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통신이 가능하다. FIG. 5 illustrates a comparison of time to be connected to a 4G network by applying a network interworking method and a general network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For example, "Three * E120S" and "Three * E160S". In the case of changing from 3G network to 4G network by applying a general network interworking method us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of two models, "3 * E120S" is 49.8 seconds, "3 * E160S" is 56.4 seconds elapsed Afterwards,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performs location registration on the 4G network, and data packet communic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4G network.

한편, "삼* E120S" 및 "삼* E160S"라는 두 모델의 통신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동방법을 적용하여 3G 네트워크에서 4G 네트워크로 변경했을 경우, "삼* E120S"는 1.3초, "삼* E160S"는 1.3초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통신단말기(110)가 4G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이 수행됨으로써, 통신단말기(110)가 4G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4G 네트워크를 접속하여 데이터 패킷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of the two models of "sam * E120S" and "sam * E160S" to change from 3G network to 4G network by applying the network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am * E120S" "1.3 seconds," "3 * E160S" means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performs location registration to the 4G network after the time of 1.3 seconds has elapsed, thereby reducing the time for th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o access the 4G network to reduce the 4G network. Can be connected to perform data packet communication.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은 분야에 적용되어, 4G 네트워크의 접속가능 여부를 확인하여 바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4G 네트워크로 변환할 때 소모되는 배터리를 절감할 수 있고, 빠른 접속으로 인해 통화품질의 향상과 고객불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field, and it is possible to directly connect by checking whether the 4G network is accessible, thereby reducing the time consumed and reducing the battery consumption when converting to the 4G network.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produce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call quality and reduce customer complaints due to the fast connection.

110: 통신단말기 120: 네트워크
122: 제1 네트워크 124: 제2 네트워크
126: 제n 네트워크 130: 컨텐츠 제공장치
210: 제 1 전송기 212: 데이터 처리기
214: 데이터 게이트웨이 216: 제 1 과금게이트
220: 제 2 전송기 222: 제어 처리부
224: 트래픽 제어부 226: 패킷 처리부
228: 제 2 과금 게이트웨이 230: 교환기
110: communication terminal 120: network
122: first network 124: second network
126: control network 130: content providing apparatus
210: first transmitter 212: data processor
214: data gateway 216: first charging gate
220: second transmitter 222: control processing unit
224: traffic control unit 226: packet processing unit
228: second charging gateway 230: exchange

Claims (1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차단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차단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음성통신 또는 저속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제1 네트워크 통신부;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제1 신호세기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제2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측정부;
상기 측정신호를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부; 및
상기 신호 판단부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고속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제2 네트워크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In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via a first network and a second networ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en the blocking request signal for the second network is input, the first network disconnects the connection with the second network based on the blocking request signal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or low speed data communication. Communication unit;
Whe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with the second network is receiv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network, a measurement signal is generated by measuring the first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signal strength of the second network. A signal measuring unit;
A signal determination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is connectable to the second network by comparing the measurement signal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A second network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perform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by connecting to the second network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determination unit is accessible to the second network.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통신부는,
상기 제2 네트워크에 현재 위치의 셀(Cell)에 대한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위치를 등록하는 위치 등록부; 및
상기 위치등록된 주변의 제2 네트워크 기지국과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패킷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network communication unit,
A location register which registers a location by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on a cell of a current location to the second network; And
A dat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second network base station registered around the location to perform the data packet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측정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 측정부에서 상기 제1 신호세기 및 상기 제2 신호세기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시스템 정보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소정의 주기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gnal measuring unit comprises:
The signal measuring unit checks at least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ystem information blocks (SIBs) for measuring the first signal strength and the second signal strength in a predetermined period while only the first network is connected.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시스템 정보블록은,
상기 시스템 정보블록 내의 타입에 규정된 최소레벨 수신감도(Qrxlevmin), 최저임계전송값(threshServingLow), 최저 임계치(X)값(ThreshXlow) 및 EUTRA 최소레벨 수신감도(QrxlevminEUTR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system information blocks,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minimum level reception sensitivity (Qrxlevmin), the minimum threshold transmission value (threshServingLow), the minimum threshold value (ThreshXlow), and the EUTRA minimum level reception sensitivity (QrxlevminEUTRA) defined in the type in the system information block.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측정부는,
상기 제1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데,
Figure pat00003

(RSCP: 제1 네트워크에서의 신호세기, Qrxlevmin: 최소레벨 수신감도, threshServingLow: 최저임계전송값)
의 수학식을 적용하고,
상기 제2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데,
Figure pat00004

(RSRP: 제2 네트워크에서의 신호세기, ThreshXlow: 최저 임계치(X)값, QrxlevminEUTRA: EUTRA 최소레벨 수신감도)
의 수학식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gnal measuring unit comprises:
Measuring the first signal strength,
Figure pat00003

(RSCP: signal strength in first network, Qrxlevmin: minimum level of reception sensitivity, threshServingLow: minimum threshold transmission value)
Apply the equation of,
Measuring the second signal strength,
Figure pat00004

(RSRP: signal strength in second network, ThreshXlow: lowest threshold (X) value, QrxlevminEUTRA: EUTRA minimum level reception sensitivity)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applying the equ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판단부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접속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연결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if it is determined by the signal determination unit that connection to the second network is not possible, performing location registration to the first network and maintaining a connection with the first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요청 신호 및 상기 접속요청 신호는,
상기 제1 네트워크만 사용하는 모드 및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혼합사용하는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locking request signal and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And at least one of a mode using only the first network and a mode using a mixture of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를 연동하는 데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차단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차단 요청신호 수신과정;
상기 차단요청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음성통신 또는 저속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제1 네트워크 통신과정;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소정의 시스템 정보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한 제1 신호세기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제2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하는 측정신호 생성과정;
상기 측정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단말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위치등록 과정; 및
상기 위치등록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에 포함된 주변 기지국과 연결되고, 고속의 데이터통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고속의 데이터통신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네트워크 연동방법.
In interworking a first network and a second networ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blocking request signal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blocking request signal for the second network;
A first network communication process of disconnecting the connection with the second network based on the blocking request signal and connecting to the first network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or low speed data communication;
When receiv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for the second network, a measurement signal is generated by measuring a first signal strength for the first network and a second signal strength for the second network using a predetermined system information block. Generating a measurement signal;
A location registration process of performing location registration by transmitting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network when the second network is accessible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And
A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 process connected to a neighbor base station included in the second network based on the location registration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ents using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
Network interworking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통신과정은,
상기 측정신호 생성과정에서 상기 제1 신호세기 및 상기 제2 신호세기를 측정하기 위한 상기 소정의 시스템 정보블록을 소정의 주기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네트워크 연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network communication process,
And identifying the predetermined system information block for measuring the first signal strength and the second signal strength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measurement signal generation proces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신호 생성과정에서,
상기 측정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위치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연결을 유지하는 제1 네트워크 유지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네트워크 연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measurement signal generation process,
A first network maintenance process of performing a location registration to the first network and maintaining the connection of the first network when it is impossible to access the second network based on the measurement signal;
Network interworking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등록 과정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위치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현재 위치한 셀에 해당하는 상기 단말 위치정보를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상기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네트워크 연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location registration process,
And performing the location registration by transmitting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ell currently located to the second network without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network.
KR1020120089141A 2012-08-14 2012-08-14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Network KR1019579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141A KR101957952B1 (en) 2012-08-14 2012-08-14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141A KR101957952B1 (en) 2012-08-14 2012-08-14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685A true KR20140022685A (en) 2014-02-25
KR101957952B1 KR101957952B1 (en) 2019-03-14

Family

ID=5026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141A KR101957952B1 (en) 2012-08-14 2012-08-14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95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6991A (en) * 2014-09-25 2016-04-20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Work mode optimiz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297A (en) * 2003-11-11 2005-05-1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Handover method from wcdma to cdma in multi-mode mobile phone
KR20060039563A (en) * 2004-11-03 2006-05-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handover of packet data service on portable internet network to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90052183A (en) * 2007-11-20 2009-05-2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System and method for handover and multimode-multiband terminal therefor
KR20110116787A (en) * 2010-04-20 2011-10-26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of terminal including dual band dual mode modem and apparatus for dual band dual mode modem using no batte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297A (en) * 2003-11-11 2005-05-1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Handover method from wcdma to cdma in multi-mode mobile phone
KR20060039563A (en) * 2004-11-03 2006-05-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handover of packet data service on portable internet network to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90052183A (en) * 2007-11-20 2009-05-2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System and method for handover and multimode-multiband terminal therefor
KR20110116787A (en) * 2010-04-20 2011-10-26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of terminal including dual band dual mode modem and apparatus for dual band dual mode modem using no batte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6991A (en) * 2014-09-25 2016-04-20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Work mode optimiz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952B1 (en)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8738B2 (en) Ubiquitous access to femto—connected network
US10567447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ordinating communication operations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subscriber identity cards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single wireless transceiver
US201300053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etup
EP25348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of measurement data
EP3852405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17998500A (en) Communic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ystem
CN114302426A (en) Method, apparatus,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quality of service in heterogeneous network
EP3216198B1 (en) Improving voice call performance testing
WO2022194002A1 (en) Voice service handover method, device, and user equipment
US11917433B2 (en) MRO for 5G networks
CN109495926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and event-triggered measurement reporting method
KR20130002748A (en) Method for measuring posi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Tuysuz et al. Energy-aware network/interface selection and handover application for android-based mobile devices
KR1019937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dicator According to Interwork Network
KR1019579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Network
KR1021126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dicator According to Interwork Network
KR1010174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quality for wireless environment
CN109479225B (en) Method for accessing different-system cell and related equipment
CN11428716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packet detection rule provisioning
RU2817863C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preliminary configuration of measurement gap, communication device and data medium
US20240163968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EP4280750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8848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erminal
CN105900484B (en) Switching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for voice service bearer
WO2023209275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load predi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