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2510A - Tattoo equipment for livestock - Google Patents

Tattoo equipment for livest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2510A
KR20140022510A KR1020120088395A KR20120088395A KR20140022510A KR 20140022510 A KR20140022510 A KR 20140022510A KR 1020120088395 A KR1020120088395 A KR 1020120088395A KR 20120088395 A KR20120088395 A KR 20120088395A KR 20140022510 A KR20140022510 A KR 20140022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tattoo
ink
identific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3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95905B1 (en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강 지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강 지엘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강 지엘씨
Priority to KR1020120088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905B1/en
Publication of KR20140022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5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9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5Branding or tattooing device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5/00Accessories for use during or after slaughtering
    • A22B5/0064Accessories for use during or after slaughtering for classifying or grading carcasses; for measuring back f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08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with a flat stamping surface and changeable charac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vestock identification tattooing device for slaught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livestock identification tattooing device for slaughter A livestock product processing process which slaughters livestock and separates the bodies of the slaughtered livestock in a slaughter house where livestock such as cows and pigs are slaughtered includes a step of cutting and separating a head and the body of livestock and a step of minutely separating the separated body. As a label for indicating an origin place or a farm is attached on an ear of the head, the identification of the separated body is impossible after the body and the head are separated.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ly tattoos on the body of the livestock to identify the livestock to prevent a problem of the history management of the livestock, thereby facilitating the history management of livestock.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ip unit; a hitting panel connected to the grip unit; and a plurality of tattooing needles which is formed on a hitting surface of the hitting panel and which forms an identification sign. An ink absorption unit is formed on the tattooing needle.

Description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TATTOO EQUIPMENT FOR LIVESTOCK}{TATTOO EQUIPMENT FOR LIVESTOCK} Identification of livestock for slaughtering

본 발명은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ttoo machine for identification of livestock for slaughter,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소, 돼지 등의 가축을 도축하는 도축장에서 가축을 도축하여 해체할 때, 첫 단계로써 머리와 몸체를 절단하여 분리한 후 몸체에 대한 세부 해체 작업을 통해 축산물의 가공공정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가축의 원산지나 농장을 식별하기 위한 라벨(이표)이 가축 머리의 귀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머리와 몸체가 분리된 후에는 몸체에 대한 식별이 불가능하여 가축의 이력관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에 대한 정확한 원산지나 농장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몸체에 별도로 가축의 식별을 위한 문신을 남김으로써 가축의 이력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에 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when slaughtering livestock at slaughterhouses where slaughtering livestock such as cattle and pigs is carried out, the first step is to cut and separate the head and the body, At this time, since the label (check) to identify the origin of the livestock or the farm is attached to the ear of the livestock head, it is impossible to identify the body after the head and the body are separa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ttoo machine for identifying a slaughter animal for facilitating the history management of a domestic animal by leaving a tattoo for identification of a livestock separately in the body so as to identify the correct origin or farm of the body.

소나 돼지 등의 가축의 원산지나 사육 농장 등을 표시하여 도축되는 가축의 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 특2002-0084764호(공개일자 2002년11월11일)가 있는데, 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managing the history of slaughtered livestock such as cattle, pigs, etc., by displaying the origin of the livestock and the breeding farms, there is a publicly known patent document 2002-0084764 (published on November 11, 2002)

상기 발명은 가축의 이표(耳標)에 내장된 무선 트랜스폰더를 이용하여 상기 가축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정보 및 상기 가축의 가공, 유통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게 상기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information on the livestock using a wireless transponder built in an ear tag of a livestock, converts the recorded information and processing and distribution information of the livestock into a database, And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uch information.

다른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 특2003-0051461호(공개일자 2004년06월25일)가 있는데,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0051461 (published on June 25, 2004)

상기 발명은 가축의 개체인식을 위한 식별정보(ID)가 부여되어 있고 RF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자칩(전자 태그(tag), 전자이표(耳標))을 가축의 생산단계, 도축단계 및 가공단계 별로 적합하게 부착하고, 개체인식이 가능한 라벨(label) 또는 스티커 인쇄물을 가공 단계를 거친 축산품(가공품)에 붙여 유통 단계 및 소비 단계에서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축산 현장에서 사육되는 모든 가축에 대한 개체정보를 생산에서부터 도축, 가공, 유통 및 소비에 이르는 전단계를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가축개체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chip (an electronic tag, an electronic tag, etc.) to whi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for livestock identification is given and which can perform RF wireless communication is stored in a production stage of a livestock, (Label) or sticky printed matter can be attached to the processed livestock product (processed product) to be used in the distribution step and the consumption step, so that the individual information about all the livestock kept in the livestock fiel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a livestock individual recognition system capable of systematically and integrally managing all stages from production to slaughter, processing,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등록실용 제20-0321280호(등록일자 2003년07월24일)가 있는데,Another prior art is Registration No. 20-0321280 (registered on July 24, 2003)

상기 고안은 가축의 개체인식을 위한 식별정보(ID)가 부여되어 있고 RF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자칩(전자 태그(tag), 전자 이표(耳標))을 가축의 생산단계, 도축단계 및 가공단계 별로 적합하게 부착하고, 개체인식이 가능한 라벨(label) 또는 스티커 인쇄물을 가공 단계를 거친 축산품(가공품)에 붙여 유통 단계 및 소비 단계에서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축산 현장에서 사육되는 모든 가축에 대한 개체정보를 생산에서부터 도축, 가공, 유통 및 소비에 이르는 전단계를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가축개체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가축의 생산단계에서 이용된 개체정보를 도축단계에 전달하고, 도축단계에서 이용된 개체정보를 가공단계에 전달하고, 가공단계에서 이용된 개체정보를 유통단계 및 소비단계에 전달함으로써 가축의 개체정보를 생산에서부터 최종 소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으로 통합 추적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가축개체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른 한편, 본 고안은 RF무선통신 및/또는 유무선 이동통신,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등을 이용하여 가축의 생산에서부터 도축, 가공, 유통 및 소비에 이르는 전단계를 추적, 관리하여 해당 정보를 소비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축의 도축 가공에 의한 가공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가축개체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design includes an electronic chip (an electronic tag, an electronic tag) to whi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for identifying a livestock is given and which is capable of RF wireless communication is transmitted to a livestock production stage, a slaughter stage, (Label) or sticky printed matter can be attached to the processed livestock product (processed product) to be used in the distribution step and the consumption step, so that the individual information about all the livestock kept in the livestock field To a system for collectively managing all stages from production to slaughtering, processing,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individual information used in the production stage of the livestock to the slaughter stage, transmits the individual information used in the slaughter stage to the processing stage, and transmits the used information in the processing stage to the distribution stage and the consumption stage Thereby enabling to organically track and manage the individual information of the livestock from production to final consumption.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RF wireless communication and / or wired /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to track and manage all stages from production of livestock to slaughtering, processing,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So a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cessed product by the slaughter process of the livestock.

그 밖의 종래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40150호(등록일자 2008년05월21일)가 있는데,Another prior art is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440150 (registered on May 21, 2008)

상기 고안은 도축육 정보인식 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축장에서 가축의 도축육이 이동할 때 외부에 코드라벨지가 부착되고 도축육의 개체정보가 저장된 전자칩이 내부에 설치된 정보인식 고리를 도축육에 관통하여 체결함으로써 도축육을 절개하지 않으면 도축육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 도축육 정보인식 고리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aughterhouse information recognition loop, in which a code label is attached to the outside when slaughtered animals move on a slaughterhouse, and an information recognition ring in which an electronic chip storing slaughtered meat information is stored is slaughter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aughtering meat information recognition ring that is fastened through a meat so that it can not be separated from slaughtered meat unless slaughtered meat is cut.

그러나 상기 발명 및 고안은 가축의 식별을 위한 전자 정보를 위한 이표를 가축의 귀 등의 머리부에 장착하여 식별하기 때문에 도축 시 머리와 몸체를 해체하면 몸체에 대한 정확한 식별이 어려울 뿐더러, 머리와 몸체에 각각 식별을 위한 전자적 장비(RFID 등)를 이표에 도입함으로써, 제작에 어려움이 많고 제작에 따른 높은 생산 단가로 인하여 사육농장에서 상기 발명 및 고안에 따른 식별 장치를 부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and its design are based on the fact that the table for identifying the livestock is attached to the head of the ear or the like of the livestock to identify the livestock. Therefore, when the head and the body are disassembled when slaughtering, (RFID, etc.) for identification in the tabl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manufacturing and it is difficult to attach the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the design in the breeding farm due to the high production cost according to the production.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종래 기술로는 원산지나 사육농장 식별을 위한 정보를 양각이나 음각으로 표시한 도장을 만들어 잉크를 묻혀 가축의 몸체에 찍거나, 식별정보를 다수의 침으로 표시한 문신기에 잉크를 묻혀 가축의 몸체 중 엉덩이나 어깨 등의 부위에 남기는 방법이 사용되어져 왔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conventional technique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is to make a mark showing embossed or engraved information for identification of a country of origin or a breeding farm, to make ink on the body of a livestock, It has been used to put ink on the marked tattoo machine and leave it on the hips or shoulders of the livestock body.

그러나 상술한 전통적인 종래 기술로서는 식별 정보를 찍을 때마다 도장이나 문신기에 일일이 잉크를 묻혀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고, 도축 과정 중 세척 등에 의하여 몸체에 찍힌 식별 정보가 지워지거나 문신이 제대로 되지 않아 알아볼 수 없게 되어 축산물의 이력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art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every tim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aken, ink must be buried in the paint or the tattoo machin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amped on the body is erased by the cleaning during the slaughtering proces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istory of livestock products can not be properly manag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도축 과정 중 세척 등에 의하여 가축에 찍히거나 남겨진 고유 식별 정보가 지워지거나 알아볼 수 없게 훼손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축의 몸체에 농장 고유의 식별 번호가 가축의 피부에 정확히 문신으로 남겨질 수 있도록 잉크흡수부가 구비된 문신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livestock is removed by the cleaning during the slaughtering process, the identification number unique to the farm is stored on the skin of the livestock as tattoo And to provide a tattoo machine for identification of a slaughter cattle including a tattoo needle provided with an accessory.

또한 본 발명은 농장 등에서 식별 정보를 가축의 어깨나 엉덩이 등의 부위에 문신을 남기는 과정에서 문신을 할 때마다 일일이 문신기에 잉크를 묻혀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하여, 문신침에 잉크 공급을 위한 별도의 잉크공급수단을 문신기에 구비하고, 잉크공급수단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that the ink should be buried in the tattoo machine every time the tattoo is performed in the course of leaving the tattoo on the shoulders or hips of the livestock, To provide a tattoo machine for identification of a livestock for slaughter having an ink supply means of a tattoo machine and having a departure prevention means for preventing the ink supply means from depart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attoo machine for identification of livestock for slaugh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파지부;A grip section;

상기 파지부와 연결되는 타격패널; 및A striking panel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And

상기 타격패널의 타격면에 구비되어 식별기호를 이루는 복수의 문신침;A plurality of tattoo needles provided on a striking surface of the striking panel to form an identification symbol;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상기 문신침에는 잉크흡수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haracterized in that the tattoo needle is provided with an ink absorb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에서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문심침의 잉크흡수부는 문신침의 외주면에 첨단부까지 형성된 요홈이거나, 문신침의 첨단부까지 형성된 슬릿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k absorption portion of the door core needle is a groove formed up to the tip por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attoo needle or a slit formed up to the tip portion of the tattoo needl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에서Further, in a door for identification of a livestock for slaugh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문신침의 잉크흡수부는 첨단부 반대편에 구비된 잉크공급수단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ink absorbing portion of the tattoo needle is connected to the ink supply mean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ip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는 The tattoo machine for livestock identification for slaugh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문신침에 요홈이나 슬릿으로 형성되는 잉크흡수부를 도입하여, 가축의 피부 안까지 잉크가 침투하여 가축의 식별 정보를 표시한 문신이 도축 과정 중에 지워지거나 알아볼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가축 축산물의 이력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가축의 도축 전 사육 및 거래 정보를 기록, 관리해 전염병 등의 문제 발생 시 이를 역추적하여 신속한 조치를 가능하게 하고, 판매 시 이력정보를 제공해 소비자를 안심시킬 수 있다.
An ink absorbing portion formed of a groove or slit in the tattoo needle is introduce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tattoo that ink penetrates into the skin of the livestock and display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livestock can not be erased or recognized during the slaughtering process, To record and manage the breeding and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livestock before slaughtering, so that when a problem such as an infectious disease occurs, it can be traced back to enable rapid measures, and it is possible to reassure consumers by providing history information on sal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는Further, the tattoo machine for identification of livestock for slaugh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문신침에 잉크 공급을 하기 위한 잉크공급수단을 이탈방지부재를 통하여 문신기에 결합시킴으로써, 농장 등에서 문신기를 이용하여 가축의 엉덩이 등에 문신을 남길 때 번거로움을 줄여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The ink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ink to the tattoo needle is coupled to the tattoo machine through the escape prevention member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when the tattoo is left on the buttocks of the livestock using a tattoo machine on a farm or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호판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및 문신침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의 잉크공급수단 및 이를 위한 이탈방지수단의 각각의 변형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의 잉크저장공간을 나타낸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sealer for identification of livestock for slaugh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door device for identifying a livestock for slaugh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door device for identification of a livestock for slaught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tattoo need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dentifying an animal for slaught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each of the ink supply means and the departure prevention means for the door shutter for identification of the animal for slaugh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k storage space of a door shutter for identification of livestock for slaugh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thus embodiment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aggerated in size (or thickness), in size (or thickness), in size (or thickness), or in a simplified form or simplified in view of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소나 돼지 같은 가축이 도축장에서 도축되기 전 원산지나 사육농장 등의 식별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가축 머리의 귀에 가축의 이력정보를 표시판 라벨(이표)를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가축의 도축 첫 단계에서 가축의 머리와 몸체를 절단하여 분리 후 몸체를 세부 해체하여 도축하므로 머리의 귀에 부착된 라벨(이표)을 확인 할 수가 없어, 머리 절단 후의 가축 이력관리에 문제 발생의 요지가 크다.Before cattle are slaughtered at the slaughterhouse, a label label (mark) is usually attached to the head of the head of the animal to identify the origin or breeding farm. However, in the first stage of livestock slaughtering, the head and the body of the livestock are cut off, and then the body is dismantled and slaughtered, so that the label attached to the ear of the head can not be confirmed. .

그리고 최근 광우병, 구제역과 같은 가축들에게 발생하는 병들로 인하여 육류를 선호하는 사람들에게 축산물에 대한 우려의 눈길이 커질 뿐만 아니라, 위와 같은 전염병들로 인하여 전염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축을 대량 도살함으로써, 육류의 공급이 줄어들어 가격이 급등하여 소비자 물가가 상승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도축을 위해 가축의 머리를 절단 후 몸체를 해체하여 축산 가공물을 유통시키는데, 상술한 문제 발생으로 인하여 정확한 가축(축산물 가공품, 육류 등)의 이력관리가 어려워 소비자들의 신뢰가 많이 떨어져있다. 그래서 상술한 가축의 전염병 등이 발생하였을 시 신속한 대책을 강구하고, 육류를 소비하는 소비자에게 육류 구매 시 신뢰를 갖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소 및 쇠고기 이력관리에 관한 법률'을 통해 소의 사육단계서부터 전 유통 과정에 걸쳐 소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In addition to the recent illnesses in cattle such as mad cow disease and foot-and-mouth disease, the concern for livestock products is growing not only for those who prefer meat, but also for mass slaughtering of livestock to prevent the spread of epidemics,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the increase in consumer prices due to the sharp increase in prices due to the decrease in meat supply.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ead of the livestock is cut for slaughtering, the body is disassembled to distribute the livestock products. Due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t is difficult to manage the history of accurate livestock (processed livestock products and meat) Away. Therefore, in order to take prompt measures when the infectious diseases such as livestock described above occur, and to make the consumers who consume meat have confidence in the purchase of meat,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the "Livestock Breeding Law" It manages the cow's history information throughout the entire distribution process.

나아가 '소 및 쇠고기 이력관리에 관한 법률'개정을 통해 돼지의 이력정보도 관리하기 위하여 2013년 하반기 본격 시행을 목표로 돼지이력제를 준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12년 10월부터 모든 양돈장에 농장식별번호가 부여되고, 돼지열병 방역실시 요령에 근거해 농장식별번호가 없는 돼지는 이동과 도축이 금지된다. In addition, the 'Pork and Beef History Management Act' amendments to manage the information on the history of pigs in the second half of 2013 is scheduled for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pig registration system is preparing. As a result, all pig farms will be given farm identification numbers from October 2012, and pigs without farm identification numbers will be prohibited from moving and slaughtering based on the pig farm fever prevention guidelines.

이와 같은 돼지이력제 실시에 따라 돼지의 사육농장은 부여받은 농장식별번호를 문신기로 돼지 오른쪽 엉덩이에 표시해 출하하여야한다. 그런데 종래의 가축식별을 위한 문신기는 식별번호가 제대로 문신으로 남지 않거나 지워지고,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고기이력제 및 돼지이력제 실시에 따라 각 농장에서 돼지의 몸체에 식별정보를 문신으로 남기는 작업 중에 번거로움을 줄이고, 문신 후 식별정보가 지워지거나 훼손되어 알아볼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pig registration system, pig farms must be shipped with the registered farm identification number on the right side of the pig with a tattoo machine. However, the conventional tattoo machine for identification of livestock has a problem that the identification number is not properly left as a tattoo, is erased, or is damaged.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during the operation of lea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attoo on the pig's body in each farm, and to prev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being erased or damaged after tattoo In the following, a tattoo machine for identifying a livestock for slaugh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를 설명함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축의 엉덩이를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나 돼지 등을 포함한 축산물로서 육류를 제공하는 모든 가축의 몸체 모든 부위에 이용될 수 있다.
In the description of a tattoo machine for identification of livestock for slaugh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cks of a livestock are exemplarily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used on all parts of the body of a livestock.

우선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를 나타낸 외부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는 파지부(10); 상기 파지부(10)와 연결되는 타격패널(20); 및 상기 타격패널(20)의 타격면에 구비되어 식별기호를 이루는 복수의 문신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ttoo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 tattoo machine for identification of livestock for slaugh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ipper 10; A striking panel 20 connected to the grasp portion 10; And a plurality of tattoo needles (40) provided on the striking surface of the striking panel (20) to form an identification symbol.

상기 파지부(10)는 문신 작업 시 작업자가 가축의 엉덩이에 식별정보가 표시된 문신기를 타격하여 가축의 엉덩이에 문신을 손쉽게 남길 수 있도록 미끄럼 방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gripper 10 further includes a non-skid member for allowing the operator to easily hit the tattoo on whi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buttock of the livestock during the tattooing work so as to easily leave the tattoo on the buttock of the livestock.

또한 상기 타격패널(20)은 가축의 엉덩이를 타격 시 문신침(40)이 가축 엉덩이의 피부를 뚫고 문신이 남겨져야 하므로 경질의 재질을 갖으며, 사용자의 타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소정의 중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riking panel 20 has a hard material because the tattoo needle 40 penetrates the skin of the livestock hips and tattoo is left when hitting the buttock of the livestock. In order to facilitate the striking work of the us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weight.

그리고 상기 문신침(40)은 가축의 피부 가죽을 뚫어 피부 안쪽에 잉크가 흡수되도록 하여 식별정보를 문신으로 남겨야 하므로, 경질의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납 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축 후 식용을 위한 축산 가공물의 특성을 고려하면 납으로 상기 문신침(40)이 형성될 경우 인체에 유해할 수 있기 때문에 스레인레스 등의 무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스테일레스 등의 재질로 상기 문신침(40)이 형성될 경우 스테인레스의 높은 가격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다른 문신기의 제작 단가가 상승하여 농장 등에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으므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보다 저가인 경질의 PVC 재질로 상기 문신침(40)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tattoo needles 40 are preferably made of a hard material (for example, stainless steel, lead, or the like) since the skin of the livestock must be pierced and the ink is absorbed into the skin to leav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 tattoo. Furthe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vestock product for food after slaugh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tattoo needles 40 are formed of lead,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therefore, it is preferably made of a harmless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However, when the tattoo needles 40 are formed of stainless steel or the like, it is difficult to use them in a farm or the like due to an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high price of stainless steel. More preferably, the tattoo needles 40 are formed of a hard PVC material of low cost.

또한 상기 문신침(40)은 가축의 식별정보를 식별기호를 통해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문자, 숫자, 기호 등을 모두 포함하여 표시하도록 다수의 문신침(40)이 배열될 수 있다.
Further, the tattoo needle 40 may be arranged to disp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ttle through an identification symbol, such that a plurality of tattoo needles 40 are displayed to include characters, numbers, symbols, and the lik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격패널(20)에 연결되고, 식별기호를 이루는 문자 또는 숫자 또는 기호를 각각 하나씩 나타내도록 배열된 문신침(40)을 갖는 기호판(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외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Furthermore, the tattoo machine for identifying slaughter live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triking panel 20,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attoos arranged to represent each one of the letters, numbers or symbols forming an identification symbol The sign board 30 which has the needle 40 may be further provided. FIG.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door lo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loc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는 문신침(40)을 구비한 기호판(30)을 더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도 1과 같이 하나의 타격패널(20)에 식별번호를 구성하는 식별기호 모두가 문신침(40)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 문신침(40)이 휘거나 이탈하는 등의 고장 발생 시 문신기 전체 또는 타격패널(20) 전체를 교체 또는 수리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이에 따른 교체, 수리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가축의 식별정보를 구성하는 식별기호 각각을 하나의 기호판(30)에 형성되게 하여 기호판(30)의 조합으로 개별 농장의 고유 식별번호를 문신으로 남길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문신 작업 중 고장 발생 시 각각의 기호판(30)을 따로 교체 및 수리하게 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and 3, the tattoo machine for identification of livestock for slaugh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ignature plate 30 having a tattoo needle 40, 20, when all of the identification symbols constitut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are formed by the tattoo needles 40, when the tattoo needles 40 are bent or deviated, the entire tattoo machine or the striking panel 20 is replaced Or repair, which is cumbersome and troublesome to replace and repair. Therefore, each of the identification symbols constitu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livestock can be formed in one sign board 30 so that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individual farm can be left as a tattoo by the combination of the sign boards 30, It is desirable to separately replace and repair each of the sign boards 30 to prevent the above-described problems.

그리고 각각의 식별번호가 형성되는 기호판(30)을 타격패널(2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격패널(20)은 결합홈(21)을 갖고, 상기 기호판(30)은 상기 결합홈(21)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1)를 구비할 수 있다. 2 and 3, the striking panel 20 has an engaging groove 21 for engaging the sign plate 30 hav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formed therein and the striking panel 20, The sign board 30 may have a coupling protrusion 31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1.

상기 기호판(30)의 결합돌기(31)가 상기 타격패널(20)의 결합홈(21)에 결합 후 상기 기호판(3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타격패널(20)은 결합홈(21)과 수직방향으로 통공되어 형성된 고정홈(22)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홈(22)에 결합되는 별도의 고정부재(2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홈(21)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22)을 통해 고정부재(23)가 결합하여 상기 결합돌기(31)를 구속시킴으로써 상기 기호판(30)이 타격패널(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The striking panel 20 is formed with the engaging recess 21 so that the sign plate 30 can be fixed after the engaging projection 31 of the sign plate 30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21 of the striking panel 20. [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ixing groove 22 formed to be vertically penetrated and a separate fixing member 23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22. The fixing member 23 is engaged through the fixing groove 22 formed in the coupling groove 2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upling groove 21 so that the identification plate 30 is fixedly coupled to the striking panel 20 .

이때 상기 고정부재(23)는 단순 결합 기능을 갖을 뿐만 아니라 봉인 또는 잠금 장치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축의 몸체에 문신을 남기는 작업은 가축의 사육농장에 고유의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가축의 이력을 관리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방지하고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상기 고정부재(23)를 통해 고정된 기호판(30)의 해제가 용이하면 이를 악용하는 일부 사용자는 각 농장에 부여된 농장식별번호를 임의로 변경하여 둔갑판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member 23 not only has a simple coupling function but also has a function as a sealing or lock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task of leaving a tattoo on the body of a livestock is aimed at preventing and re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assigning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to the livestock breeding farm and managing the history of the livestock. ), It is possible for some users who abuse it to arbitrarily change the farm identification numbers assigned to the farms and sell them.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23)는 체결을 통하여 상기 기호판(30)을 구속하고 고정시킬 수 있되, 해제가 용이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고정부재(23)는 나사산을 갖고 상기 고정홈(22)의 내측면에는 상기 나사산과 대응되지 않도록 평평하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재(23)를 볼트형식으로 억지끼움 시켜 체결, 고정 후 해제가 용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member 23 can be fixed and fixed to the sign 30 through fastening, but is not easily released. To this end, the fixing member 23 has a thread and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22 so as not to correspond to the thread, so that the fixing member 23 is tightened in a bolt- It is more preferable to prevent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상술한 바와 같이, 억지끼움된 고정부재(23)로 인하여 상기 기호판(30)은 고정 결합되고, 해제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일반 양돈장 등의 사육농장에서는 고정부재(23)의 해제를 할 수 없으나 문신침(40)이 휘거나 이탈되는 등의 고장이 발생하여 수리를 요할 때는 가축의 이력을 관리하는 담당부처를 통해서만 전문적인 수리점에서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sign board 30 is fixedly coupled due to the interference member 23, and it is not easy to release it. Therefore, the fixing member 23 can not be released from the breeding farm such as a general pig farm, It is preferable to allow replacement and repair at a professional repair shop only through a responsible department that manages the history of the livestock when repair such as bending or dropping of the livestock 40 is required.

상기 결합홈(21)과 고정홈(22)의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의 일례로서 상기 기호판(30)의 구속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기호판(30)의 고정 기능과 봉인 또는 잠금 장치로서의 기능을 갖는 어떠한 형태로도 변형 가능하다.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groove 21 and the fixing groove 22 is an example of a door for identifying a slaughter live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restraining the preference plate 30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can be deformed into any form having a function of a locking function and a function of a sealing or locking devic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도축용 가축 식별 문신기는 도 4 A 내지 도4 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격패널(20) 또는 기호판(30)에 구비된 문신침(40)에 잉크흡수부(41)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의 제1실시예로서 기호판(30)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4 A 내지 도4 C는 상기 기호판(30)에 구비된 문신침(40)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문신침(40)은 기호판(30) 또는 타격패널(20)에 모두 결합될 수 있다. 4A to 4C, the animal identification tattoo machine for slaugh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k absorber 41 attached to a tattoo needle 40 provided on the stamper panel 20 or the signature board 30, As shown in Fig. 4A to 4C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of the tattoo needles 40 provided on the sign board 30 and FIGS. 4A to 4C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of the tattoo needles 4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described above, the tattoo needles 40 may be combined with both the signature board 30 and the striking panel 2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를 사용하여 가축의 엉덩이에 식별번호를 문신으로 남기기 위해서는 문신침(40)에 잉크를 묻히고 타격함으로써 식별번호를 가축에 남길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use the tattoo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leave the identification number tattooed on the buttocks of the livestock, the tattoo needle 40 may be inked and struck to leave the identification number on the livestock.

이때 상기 문신침(40)이 평평한 외주면을 갖도록 형성되면 문신을 위한 가축 타격 시 문신침(40)의 외주면에 묻은 잉크가 피부 내부까지 침투하여 흡수되지 못할 수 있다. 즉, 문신침(40)은 타격에 의하여 피부를 뚫고 내부로 진입하나 문신침(40)의 외주면에 묻어있는 잉크는 피부와 문신침(40)의 접촉면에 막혀 피부 내부로 침투하여 제대로 흡수되지 못하고 가축의 피부 외면에만 식별번호를 남길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tattoo needle 40 is formed to have a fla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k adher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ttoo needle 40 may penetrate into the inside of the skin during tattoo attack. That is, the tattoo needle 40 penetrates the skin through the skin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tattoo needle 40, but the ink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attoo needle 40 is blocked by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kin and the tattoo needle 40, Only the outer surface of the livestock can leave an identification number.

따라서 가축의 피부 내부로 침투, 흡수되지 않은 잉크는 도축 과정 중의 세척 단계에서 지워지거나 알아볼 수 없게 훼손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 실현을 방해할 수 있다. Therefore, the ink that has not penetrated into the skin of the livestock and is not absorbed may be erased or unrecognized in the washing step during the slaughtering process, which may hinder realization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용성(油性)의 잉크 등을 사용하여 가축 세척 시 식별번호가 지워지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나, 도축되는 가축의 식용 목적을 감안하면 유성의 잉크는 인체에 유해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To prevent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dentification number from being erased or damaged when cleaning livestock by using useful ink, etc., but considering the edible purpose of slaughtered livestock, oily ink may be harmful to human body. Not.

따라서 인체에 무해한 수성 성질을 갖는 잉크 등을 사용하면서도 식별번호가 정확하게 문신으로 남을 수 있게 하고, 가축 피부에 제대로 잉크가 흡수되지 않고 피부 외면에 잉크가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문신침(40)에는 잉크흡수부(4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잉크흡수부(41)의 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가축의 피부에 잉크를 침투시켜 흡수되어 문신으로 남아 사용자 등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ink from remain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kin and to prevent the ink from being properly absorbed on the livestock skin, the tattoo needles 40 And an ink absorbing portion 41 is provide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number of the ink absorbing portions 41. It is preferable that the ink absorbing portions 41 are absorbed by the skin of the livestock and absorbed by the skin,

그리고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신침(40)의 잉크흡수부(41)는 문신침(40)의 외주면에 첨단부까지 형성된 요홈(41A)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요홈(41A)으로 형성된 잉크흡수부(41)는 문신기의 문신침(40)에 잉크를 묻혔을 때 요홈(41A)에 잉크가 묻어 문신기를 가축의 엉덩이에 타격 시 상기 문신침(40)과 함께 가축의 피부 내부로 침투되어 흡수가 가능하므로 가축의 엉덩이에 식별번호가 정확히 문신으로 남게 되어 이후 세척 등의 과정을 거치더라도 지워지거나 훼손되지 않을 수 있다. 4A, the ink absorbing portion 41 of the tattoo needle 40 is formed as a groove 41A formed up to the tip por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ttoo needle 40. As shown in FIG. The ink absorbing portion 41 formed of the groove 41A is formed in the ink absorbing portion 41 of the tattoo needle 40 when the ink is buried in the groove 41A when the ink is buried in the tattoo needle 40 of the mouth- Since it can be absorbed into the skin of livestock, it can be absorbed, so that the identification number is left in tattoo exactly on the livestock hips and it may not be erased or damaged even after washing process.

또한 상기 요홈(41A)으로 형성되는 잉크흡수부(41)는 상기 문신침(40)의 첨단부에서부터 형성되는 요홈일 뿐만 아니라 문신침(40)의 중간부에서부터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첨단부에서부터 상기 잉크흡수부(41)로서 요홈(41A)이 형성될 경우 피부를 뚫기 위해 첨예하게 형성되는 문신침(40)의 특성상 첨단부에 요홈의 형성이 쉽지 않을 뿐더러, 타격 시 피부에 쓸려 잉크가 가축의 피부 내부로 침투할 수 없을 경우도 있기 때문에, 문신침(40)의 중간부부터 요홈(41A)을 형성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잉크가 가축의 피부 내부로 침투하여 흡수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요홈(41A)으로 형성되는 잉크흡수부(41)는 문신침(40)의 첨단부에 인접한 부분에서부터 기호판(30) 또는 타격패널(20)을 향할수록 협폭부와 광폭부를 갖도록 형성되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요홈(41A)은 상기 문신침(41)에 형성되는데 요홈(41A)의 말단은 가축의 피부 내부에 도달할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 충분하다.
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ink absorbing portion 41 formed by the groove 41A is formed from the middle portion of the tattoo needle 40 as well as the yaw groove formed from the tip portion of the tattoo needle 40. [ When the groove 41A is formed as the ink absorbing portion 41 from the tip portion, the formation of the groove on the tip portion is not easy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tattoo needle 40 which is sharply formed to penetrate the skin, and is swept away by the skin during the blow. Since the ink may not penetrate into the skin of the livestock, the above-described problem can be prevented by forming the groove 41A from the middle of the tattoo needle 40. The ink absorbing portion 41 formed of the groove 41A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ink absorbing portion 41 is formed from the portion adjacent to the tip of the tattoo needle 40 to the face of the symbol plate 30 or It is more preferable to form the narrow portion and the wide portion toward the striking panel 20. That is, it is sufficient that the groove 41A is formed in the tattoo needle 41, and the end of the groove 41A has a length enough to reach the inside of the skin of the livestock.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잉크흡수부(41)는 요홈의 형태를 가지되,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선형요홈(41B)으로 형성되는 잉크흡수부(41)의 기능은 상술한 요홈(41A)으로 형성되는 잉크흡수부(41)의 기능과 같기 때문에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한다.
Also, as shown in FIG. 4B, the ink absorbing portion 41 has a groove shape and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The function of the ink absorbing portion 41 formed of the helical groove 41B is the same as the function of the ink absorbing portion 41 formed of the groove 41A described above and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잉크흡수부(41)는 문신침(40)의 첨단부까지 형성된 슬릿(41C)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릿(41C)과 같이 형성된 잉크흡수부(41)는 문신침(40)의 첨단부에서 문신침(40)의 중간부 또는 기호판(30)과의 결합부까지 문신침(40)의 길이방향으로 가운데가 통공된 틈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슬릿(41C)으로 형성되는 상기 문신침(40)의 잉크흡수부(4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축의 피부 내부까지 잉크를 침투시켜 흡수되게 함으로써 가축의 엉덩이에 식별번호가 지워지거나 훼손됨이 없이 정확히 문신으로 남길 수 있게 된다. 4C, the ink absorbing portion 41 may be formed as a slit 41C formed up to the tip portion of the tattoo needle 4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ink absorbing portion 41 formed like the slit 41C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tattoo needle 40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tattoo needle 40 or to the engaging portion of the tattoo needle 40 And may be formed to have a gap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k absorbing portion 41 of the tattoo needle 40 formed by the slit 41C penetrates the skin into the inside of the skin of the livestock so as to be absorbed, so that the identification number is not erased or damaged in the buttock of the livestock You can leave it with a tattoo exact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잉크흡수부는 문신침의 외주면에 '첨단부까지' 형성된 요홈" 및 "잉크흡수부는 문신침의 외주면에 '첨단부까지' 형성된 슬릿" 이라는 표현은 잉크흡수부가 첨단부의 '말단까지'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첨단부 '부근'까지 형성되어, 타격에 의하여 가축에 식별기호를 문신함에 있어, 타격과정에서 잉크흡수부에 위치한 잉크가 가축의 피부와 접촉하면서 밀려 피부 표면에만 묻게 되어 침투에 실패하여 문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가축의 피부 내부에 잉크를 흡수시킬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한도의 것을 의미하는 임의의 형성 한계를 의미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the expression "ink absorbing portion " refers to a groove formed to " tip portion "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tattoo needle and" The absorbing portion is not limited to the end portion of the leading edge portion but is formed to the vicinity of the leading edge portion so that the ink located in the ink absorbing portion in the striking process contacts the skin of the livestock Which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tattoo is not carried out due to failure of infiltration due to being pushed into the surface of the skin only and to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ink can be absorbed into the skin of the livestock do.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문신기를 이용하여 가축의 엉덩이에 식별번호를 남기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문신기를 타격할 때마다 문신을 위한 잉크를 묻혀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없애 사용자의 작업성을 높이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는 문신침(40)에 형성된 잉크흡수부(41)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신침(40)의 첨단부 반대편에 구비된 잉크공급수단(24)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A, B, C는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의 잉크공급수단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여러 변형례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leave an identification number on the buttock of a livestock using a tattoo machi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has to fill in the ink for tattoo every time the tattoo is struck. In order to eliminate the hassle and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user, the tattoo machine for identification of the animal for slaugh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o that the ink absorbing portion 41 formed on the tattoo needle 40, 40 may be connected to the ink supply means 24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ip of the ink supply means. Figs. 5A, 5B and 5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ink supplying means of the door shu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잉크공급수단(24)은 잉크를 흡수할 수 있는 다공성 흡수체(예를 들어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성 흡수체는 가압 등에 의하여 변형이 가능하나 가압을 해제하였을 경우 원래의 형태로 복귀되는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k supply means 24 is preferably made of a porous absorber (e.g., a sponge) capable of absorbing ink. The porous absorber may be deformed by pressurization or the like,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ous absorber has a property of returning to its original form when pressure is released.

그리고 상기 다공성 흡수체로 이루어진 잉크공급수단(24)에 흡수되는 잉크는 졸화된 잉크로 구성될 수 있다. 졸화된 잉크를 흡수한 다공성 흡수체로 이루어진 잉크공급수단(24)은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의 기호판(30) 또는 타격패널(20)에 구비되고, 이 잉크공급수단(24)과 상기 문신침(40)의 잉크흡수부(41)의 첨단부 반대편(즉 문신침(40)과 기호판(30) 또는 타격패널(20)과의 결합부)에 연결되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를 사용 시 문신기를 사용할 때마다 별도의 잉크통 등에 담긴 잉크를 묻히지 않아도 사용 후 상기 잉크공급수단(24)에서 상기 문신침(40)의 잉크흡수부(41)로 잉크를 계속 공급하므로 잉크를 묻히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사용자는 문신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nd the ink absorbed by the ink supply means 24 made of the porous absorber may be constituted of the ink which has become napping. The ink supply means 24 made of a porous absorber that absorbs the napped ink is provided in the signboard 30 or the striking panel 20 of the mouth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k supply means 24 and the tattoo needle 40 and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striking panel 20) of the ink-absorbing portion 41 of the ink-absorbing portion 4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k is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ink supplying means 24 to the ink absorbing portion 41 of the tattoo needle 40 after use without reducing the amount of ink contained in the ink container, The user can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tattoo work.

나아가 상기 잉크공급수단(24)은 무한 사용될 수 없으므로 교체가 가능하되, 타격 시 문신기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공급수단(24) 이탈 방지를 위한 이탈방지부재(2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5의 A에는 잉크공급수단(24) 이탈방지부재(26)로서 상기 기호판(30) 또는 타격패널(20)과 문신침(40)의 결합면에 잉크공급수단(24) 삽입부(25)가 형성되고, 이 삽입부(25) 둘레의 측벽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이탈방지턱(26A)이 형성되어 있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ink supply means 24 is replaceable because it can not be used infinitely, but is combined with the ink supply means 24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door shutter upon impact. Accordingly, the tattoo machine for identifying the animal for slaugh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preventing member 26 for preventing the ink supply means 24 from being detached as shown in FIG. 5A shows the ink supply means 24 as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6. The ink supply means 24 insertion portion 25 is provided on the mating surface of the sign board 30 or the striking needle 20 and the tattoo needle 40, And a separation preventing edge 26A formed by bending inward is formed on the side wall around the inserting portion 25. [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잉크공급수단(24)는 다공성 흡수체(예를 들어 스펀지)로서 변형 후 원형으로 복귀가 되는 성질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잉크공급수단(24)을 가압하여 상기 기호판(30) 또는 타격패널(20)의 삽입부(25)에 문신침(40)을 관통하여 억지끼움하면, 잉크공급수단(24)은 상기 이탈방지턱(26A) 내측으로 강제 삽입되고, 이후에는 이탈방지턱(26A)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잉크공급수단(24)이 흡수하고 있는 잉크를 다 사용하여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는 칼 등의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거나 억지빼기하면 잉크공급수단(24)은 다공성 흡수체의 연질의 성질에 의하여 이탈이 용이하므로 사용자는 잉크공급수단(24)의 교체를 손쉽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k supply means 24 is a porous absorber (for example, a sponge) and has a property of returning to a circular shape after deformation. Therefore, as shown in FIG. 5A, when the tattoo needle 40 is forced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25 of the sign plate 30 or the striking panel 20 by pressing the ink supply means 24 , The ink supply means 24 is forcibly inserted into the departure prevention tuck 26A and is not released by the escape preventing tuck 26A thereafter. If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ink absorbed by the ink supply means 24 and use a separate tool such as a knife or the like to remove the ink, the ink supply means 24 may be detached by the soft nature of the porous absorb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place the ink supply means 24.

또한 도 5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의 잉크공급수단(24) 이탈방지부재(26)의 변형례로써, 문신기의 기호판(30) 또는 타격패널(20)의 타격면(문신침(40)과의 결합부가 형성된 면)에는 복수개의 이탈방지돌기(26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돌기(26B)는 상기 문신기의 기호판(30) 또는 타격패널(20)의 타격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말단이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복수개의 이탈방지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탈방지돌기(26B) 역시 다공성 흡수체로 이루어진 잉크공급수단(24)을 억지끼움하고 사용 후 억지빼기하여 교체할 수 있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5B is a modification of the ink supply means 24 of the door lo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modification example of the release plate 26 of the sign board 30 or the striking surface 40) may have a plurality of escape preventing protrusions 26B protruding therefrom. The release preventing protrusion 26B includes a plurality of release preventing pins which protrude from the striking surface of the striking panel 20 or the striking panel 20 and are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26B can also be replaced by forcibly inserting the ink supply means 24 made of a porous absorber and detaching it after use.

그리고 도 5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의 잉크공급수단(24) 이탈방지부재(26)로써, 문신침(40)의 외주면 일부에는 이탈방지미늘(26C)이 형성될 수 있다. 역린(逆鱗)의 모양으로 형성된 이탈방지미늘(26C)의 기능은 상술한 잉크공급수단(24) 이탈방지부재(26)와 같으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한다.
5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scape preventing barb 26C is formed on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ttoo needle 40 as the escape preventing member 26 of the ink supply means 2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of the departure prevention barbs 26C formed in the shape of a reverse scale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release supply member 24 of the ink supply means 24, and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그리고 상술한 도 5의 잉크공급수단(24) 이탈방지부재(26)는 모두 문신기의 기호판(30) 또는 타격패널(20)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가축의 엉덩이에 타격하여 식별번호를 문신으로 남길 때 문신침(40)과 함께 가축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문신 작업 후 간단 한 세척이나, 도축 전에 이루어지는 세척 단계를 통하여 가축의 피부표면에 남은 잉크는 손쉽게 제거 가능하므로, 세척 후에는 가축의 피부에 문신으로 남겨진 식별번호만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다.
And the above-mentioned ink supply means 24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26 of FIG. 5 are all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ign board 30 or the hitting panel 20 of the tattoo machine hitting the butt of the livestock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as a tattoo When left, it may be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livestock with the tattoo needle (40).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k remaining on the skin surface of the livestock can be easily removed through the simple cleaning after the tattooing operation or the cleaning step performed before the slaughtering, only the identification number left as tattoo on the skin of the livestock can be accurately recognized .

나아가 상술한 잉크공급수단(24)과 가축의 피부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잉크공급수단(24)의 노출면에는 차단막이 더 구비될 수 있다(도면 미도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잉크공급수단(24)은 상기 문신침(40)을 관통하여 억지끼움되므로 차단막을 구비한 잉크공급수단(24)을 억지끼움하면 문신침(40)과의 접촉면을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문신침(40)의 잉크흡수부(41)에 잉크 공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나머지 잉크공급수단(24)의 노출면은 차단막으로 보호되어 가축의 피부와 접촉하여도 잉크가 가축의 피부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more, a barrier film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ink supply means 24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ink supply means 24 and the skin of the livestock (not shown). The ink supply means 24 penetrates through the tattoo needles 40 and is forced into the ink supply means 24. Therefore, when the ink supply means 24 having the blocking film is forcedly inserted, the ink supply means 24 penetrates through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tattoo needles 40, Not only the ink can be supplied to the ink absorbing portion 41 of the tattoo needle 40 but also the exposed surface of the remaining ink supplying means 24 is protected by the blocking film so that the ink adheres to the skin of the livestock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호판(30) 또는 타격패널(20) 내부에 별도의 잉크저장공간(24A)을 구비하여 잉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잉크저장공간(24A)은 상기 문신침(40)과 통공된 배출구(24B)를 갖고 잉크 충전을 위한 덮개를 갖는 잉크투입구(도면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tattoo machine for identification of livestock for slaugh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parate ink storage space 24A in the signboard 30 or the striking panel 20 so as to fill the ink. . The ink storage space 24A may further include an ink inlet (not shown) having the tattoo needle 40 and the vent hole 24B and having a cover for filling the ink.

상술한 잉크공급수단이 아닌 잉크 자체를 잉크저장공간(24A)에 내장할 경우 문신침(40)의 잉크흡수부(41)를 통하여 잉크가 다량 배출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문신침(40)의 잉크흡수부(41)와, 기호판(30) 또는 타격패널(20)의 사이에는 잉크 배출 억제부재(도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ink itself, rather than the ink supply means described above, is contained in the ink storage space 24A, the ink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ink absorbing portion 41 of the tattoo needle 40 in a large amount. An ink discharge restraining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k absorbing portion 41 of the ink cartridge 1 and the sign board 30 or the striking panel 20. [

상기 잉크 배출 억제부재는 일종의 서방성(徐放性) 수단으로서 잉크를 배출하여 상기 문신침(40)의 잉크흡수부(41)에 잉크를 공급하되 서방(徐放), 즉 잉크의 배출이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다공성 흡수체로 이루어진 잉크공급수단(24, 도 5 참조) 또한 상기한 잉크 배출 억제부재로서 서방성(徐放性) 수단의 일종이며, 잉크저장공간(24A)에 내장된 잉크를 사용할 경우 상기 잉크 배출 억제부재는 잉크저장공간(24A)과 문신침 결합부(28)(즉, 도 4의 요홈(41A), 나선형요홈(41B), 슬릿(41C)과 잉크저장공간의 배출구(24B)와 연결된)를 이루는 구멍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다공성 흡수체(예를 들어 스펀지)로 밀폐하여 액체 상태의 잉크 배출을 조절할 수 있다.
The ink discharge suppressing member discharges ink as a kind of sustained releasing means to supply ink to the ink absorbing portion 41 of the tattoo needle 40 and to discharge the ink slowly . The ink supply means 24 (see FIG. 5) made up of the above-described porous absorber is also a kind of sustained releasing means as the above-described ink discharge suppressing member. When the ink contained in the ink storage space 24A is used, The ink discharge suppress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ink storing space 24A and the tattoo needle engaging part 28 (i.e., the groove 41A, the spiral groove 41B, the slit 41C and the discharge port 24B of the ink storage space of Fig. Connected) or can be sealed with a porous absorber (e.g., a sponge) to control the ejection of liquid ink.

본 명세서에서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신기의 문신침(40)과 기호판(30)만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 내지 도 6의 기호판(30)은 상기 타격패널(20)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명세서의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4 to 6, only the tattoo needles 40 and the face plat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and described. However, as described above, 30 may be replaced by the striking panel 20, which is easily de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소나 돼지의 이력제 실시에 따른 가축 문신을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축한 가축의 각 부위의 구별이나 등급 등을 표시하기 위한 문신 또는 도장 등 당업자가 쉽게 도출하여 변형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작업에도 본 발명에 따른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cattle tattoo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history system of the cattle or pig is exemplifi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tattoo or painting such as tattoo or painting, The tattoo machine for identifying the animal for slaugh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used for all operations that can be easily modified and used.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lterations, and substitu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Changes and substitutions are t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 : 문신기
10 : 파지부
20 : 타격패널 21 : 결합홈
22 : 고정홈 23 : 고정부재
24 : 잉크공급수단 24A : 잉크저장공간
24B : 잉크저장공간 배출구 25 : 삽입부
26 : 이탈방지부재 26A : 이탈방지턱
26B : 이탈방지돌기 26C : 이탈방지미늘
28 : 문신침과 기호판 또는 타격패널의 결합부
30 : 기호판 31 : 결합돌기
40 : 문신침 41 : 잉크흡수부
41A : 요홈 41B : 나선형요홈
41C : 슬릿
T: Doorman
10:
20: striking panel 21: engaging groove
22: fixing groove 23: fixing member
24: ink supply means 24A: ink storage space
24B: Ink storage space outlet 25:
26: release preventing member 26A:
26B: Departing-prevention protrusion 26C:
28: Combination of tattoo stick and sign board or striking panel
30: sign board 31: engaging projection
40: tattoo needle 41: ink absorption part
41A: Groove 41B: Spiral groove
41C: slit

Claims (4)

파지부;
상기 파지부와 연결되는 타격패널; 및
상기 타격패널의 타격면에 구비되어 식별기호를 이루는 복수의 문신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문신침에는 잉크흡수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
Gripping portion;
A striking panel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And
A plurality of tattoo needles provided on the striking surface of the striking panel to form an identification symbol;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attoo machine for the identification of slaughter livest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tattoo needle is provided with an ink absorb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심침의 잉크흡수부는 문신침의 외주면에 첨단부까지 형성된 요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
The method of claim 1,
Tattooing device for slaughter livestock for identif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k absorbing portion of the door needle is a groov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attoo nee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심침의 잉크흡수부는 문신침의 첨단부까지 형성된 슬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
The method of claim 1,
Tattooing device for slaughter livestock for identif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k absorbing portion of the door needle slit formed to the tip of the tattoo needl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신침의 잉크흡수부는 첨단부 반대편에 구비된 잉크공급수단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축용 가축 식별을 위한 문신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attoo machine for identifying the slaughter livest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ink absorbing portion of the tattoo needle is connected to the ink supply mean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ip.
KR1020120088395A 2012-08-13 2012-08-13 Tattoo equipment for livestock KR1013959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395A KR101395905B1 (en) 2012-08-13 2012-08-13 Tattoo equipment for livest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395A KR101395905B1 (en) 2012-08-13 2012-08-13 Tattoo equipment for livest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510A true KR20140022510A (en) 2014-02-25
KR101395905B1 KR101395905B1 (en) 2014-05-19

Family

ID=5026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395A KR101395905B1 (en) 2012-08-13 2012-08-13 Tattoo equipment for livest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90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625A (en) * 2019-09-26 2021-04-05 나재훈 Smart farm livestock management system using code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4490A (en) * 1978-06-12 1980-07-29 Chizek Franklin J Method and means for placing an identification mark on a hog
NL7906689A (en) 1979-09-06 1981-03-10 Dawsonville Corp Nv TATTOO.
FR2688652B1 (en) * 1992-03-19 1995-06-23 Chevillot Sa DEVICE FOR MARKING ANIMALS BY TATTO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625A (en) * 2019-09-26 2021-04-05 나재훈 Smart farm livestock management system using code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5905B1 (en) 201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301204B2 (en) Ear tag for the identification of an animal, comprising a deformable element for accommodating a pin
US201202850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nimal Ear Tags
CN103703491A (en) Dispenser use monitor
EP2401006A4 (en) Drug deliver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4214490A (en) Method and means for placing an identification mark on a hog
WO2007117542A3 (en) Methods and systems for administering a drug program related to livestock
CN101317594A (en) Method for signing on surface of domestic animals
WO2004010773A1 (en) Sampling device
WO2006055737A3 (en) Radio frequency animal tracking system
DK199900089A (en) Interchangeable labeling element for tattoo labeling of animals and tattoo hammer with the element
CA2798118A1 (en) Tactile identification of drug filled cartridge
US201900534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ttach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n animal
CN105069640A (en) Agricultural product trac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random artificial mark and feature photo
KR101395905B1 (en) Tattoo equipment for livestock
US20180027766A1 (en) Animal identification through ultraviolet light-reactive tattoo
SI24136A (en) Method for controlling sterility of a sterilized medical device and sterilization modul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EP2698745B1 (en) Device for the sale of food
JP6805650B2 (en) Identification tag
KR101482493B1 (en) Prevention of forgery for domestic animal tag
EP1690451A1 (en) A method of provisionally joining livestock tag parts together, a livestock tag part and strip of livestock tags
CN101226707A (en) Disposal false proof buckle for fish products
CN109430091B (en) Card punching device suitable for livestock management and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process thereof
DE60005063T2 (en) LABEL CARRIER TAPE WITH LOCKING LOCK AND UNINTERRUPTABILITY
US3379176A (en) Livestock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07252356A (en) Identification tag for anim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