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1053A - 간편휴대 파라솔 형태 태양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간편휴대 파라솔 형태 태양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1053A
KR20140021053A KR1020140002650A KR20140002650A KR20140021053A KR 20140021053 A KR20140021053 A KR 20140021053A KR 1020140002650 A KR1020140002650 A KR 1020140002650A KR 20140002650 A KR20140002650 A KR 20140002650A KR 20140021053 A KR20140021053 A KR 20140021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frame
connecting rod
solar cooker
un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동연
Original Assignee
원동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동연 filed Critical 원동연
Priority to KR1020140002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1053A/ko
Publication of KR20140021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18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using renewables, e.g. solar cooking stoves, furnaces or sola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라쿠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우산살과 같은 형태로 접혀지고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프레임에 결합되어 프레임과 함께 접혀지고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접힘막; 접힘막 내측면에 결합되고, 빛을 반사시켜 집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반사체; 프레임의 중앙에 결합되고,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중심체; 및 프레임의 반대쪽에서 중심체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쿠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간편휴대 파라솔 형태 태양열 조리기{Portable Solar Cooker In Parsol Figure}
본 발명은 솔라쿠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우산과 같은 형태로 보관 및 휴대가 편리하고, 분해 및 재조립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사용이 가능한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개인의 건강뿐 아니라 국가 경쟁력과도 직결된 문제이다. 우리나라 온실가스배출량은 2006년 기준 5억9950만 tCO2 로, 선진국 온실가스 의무감축 기준 해인 1990년 배출량(2억 9810만 tCO2 )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솔라판(solar plate)이 부착되어 있어 노트북, MP3, 휴대폰 등을 충전할 수 있는 배낭과 태양광을 이용한 캠핑등과 태양열 조리기구(솔라쿠커, solar cooker) 등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에 걸쳐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지하자원은 점차 고갈되고 있으며, 그 한계에 도달하고 있다. 산업 전반에 걸쳐 주요한 에너지원으로 쓰이고 있는 이러한 자원들 특히, 석유·가스 등은 한번 쓰면 다시 재생이 되지 않으며, 이러한 현실에 따라 대체에너지의 개발은 무엇보다도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 10년간 우리나라의 에너지 소비율은 매년 10%씩 증가하고 있어 세계 최고치의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대체에너지의 조속한 개발이 더욱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선진 각국에서는 대체에너지의 이용을 위한 활발한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고, 실용화 단계에 접어든 대체에너지로는 태양에너지, 풍력에너지 등이 있으며, 바이오매스, 지열, 파력, 조력 등을 이용한 대체에너지 개발에 있어서도 활발히 진행중에 있다. 그 중에서 태양광을 이용한 대체에너지의 개발이 단연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태양광을 이용한 에너지개발은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여 환경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대체에너지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태양광을 이용한 장치 중, 앞서 설명한 솔라쿠커는 태양 오븐(oven)이나 태양열 밥솥 등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는 에너지원으로 태양 광선을 사용하는 장치는 말한다. 즉, 태양열을 수집하여 음식을 가열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장치는 기본적으로 연료의 사용이 필요 없으며, 에너지를 공급받는데 어떠한 비용도 소모되지 않는 장점이 있음은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음식을 조리함에 있어서, 나무 등을 연료로 사용하는 데에서 비롯되는 산림벌채와 사막화를 막는 하나의 방안으로서도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일반적인 우산과 같이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어 보관 및 휴대가 편리하고, 분해 및 재조립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사용이 가능한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우산살과 같은 형태로 접혀지고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프레임에 결합되어 프레임과 함께 접혀지고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접힘막; 접힘막 내측면에 결합되고, 빛을 반사시켜 집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반사체; 프레임의 중앙에 결합되고,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중심체; 및 프레임의 반대쪽에서 중심체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쿠커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프레임과 접힘막이 우산과 같은 형태로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도록 이루어져, 조리장치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우산 또는 양산의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둘째, 작은 크기로 형성된 반사체가 접힘막의 내측면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솔라쿠커를 접거나 펼치는데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다.
셋째, 연결체는 중심체에서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다양한 크기의 연결봉이 수납되도록 함으로써,본 발명을 집광에 사용되는 경우, 연결체와 연결봉등을 분리하여 조리용기를 지지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장비가 필요 없으며 일체화된 장비를 갖출 수 있다.
넷째, 연결체와 연결봉은 결합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황에 맞게 적절한 변형이 가능하고 활용범위가 넓다.
도 1(a) 와 도 1(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쿠커의 접혀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도 1(b)에서 도시된 솔라쿠커의 접혀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도시된 솔라쿠커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도시된 솔라쿠커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솔라쿠커의 일부구성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솔라쿠커의 일부구성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8(a)와 도 8(b)는 도 7에서 도시된 체결부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조리장치의 일부 구성을 포함한 전체 장치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라쿠커의 접혀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솔라쿠커(1)는 우산살과 같은 형태로 접혀지고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10)과 함께 접혀지고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접힘막(20); 상기 접힘막(20) 내측면에 결합되고, 빛을 반사시켜 집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반사체(30); 상기 프레임(10)의 중앙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10)이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중심체(40); 및 상기 프레임(10)의 반대쪽에서 상기 중심체(40)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솔라쿠커(1)는 우산과 같은 형태로 접혀지고 펼쳐지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솔라쿠커의 경우에는, 반사판이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본 발명과 같이 접힐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대부분의 구성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매우 무겁고 운반 및 보관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개인이 휴대하기에는 상당히 곤란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실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이며, 기본적으로 경량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휴대성 및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프레임(10)은 우산살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수의 뼈대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을 이루는 뼈대는, 일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형태가 변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은 통상의 금속성 막대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소섬유 또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frp)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접힘막(20)에 결합되는데, 상기 접힘막(20)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접힘막(20)의 형상에 맞게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10)은 펼쳐지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 휘어지도록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접힘막(20)에 밀착되어 상기 접힘막(20)이 구면과 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또한, 상기 접힘막(20)은 상기 프레임(10)의 양단부에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10)이 휘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접힘막(20)의 단면이 기본적으로 둥근 호형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접힘막(20)은 그 펼쳐진 형상이, 펼쳐진 경우 완전한 원구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국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접힘막(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구면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힘막(20)에 부착되는 상기 반사체(30)에 의하여 태양광의 집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접힘막(20)은 상기 프레임(10)에 결합되며, 상기 반사체(30)를 지지한다. 상기 접힘막(20)은, 본 발명인 솔라쿠커(1)가 통상의 우산 또는 양산과 같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방수·자외선 차단 등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체(30)는 상기 접힘막(20)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집광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반사체(30)는 비교적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며, 지름 3mm∼30mm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체(30)는 박막 형태의 금속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합성수지, 원단 등에 금속 코팅을 하여 반사율을 높인 것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사체(30)는 상기 접힘막(20)의 내측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부착되며, 상기 접힘막(20) 전체에 걸쳐 부착된다. 상기 반사체(30)는 조사되는 태양빛이 일초점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하는데, 상기 프레임(10)에 결합된 상기 접힘막(20) 자체가 구면(球面, spherical surface)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사체(30)는 상기 접힘막(20)의 각 지점에서 상기접힘막(20)과 평행한 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태양빛이 효율적으로 집광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중심체(40)는 상기 프레임(10)의 중앙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10)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중심체(40)와 상기 프레임(10)에는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을 조정하여 상기 프레임(10) 및 접힘막(20)의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체(50)는 우산대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며, 보관 및 휴대시 파지할 수 있으며, 또한 우산 등의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파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연결체(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연결봉(60)이 수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다소 굵게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솔라쿠커(1)는 상기 프레임(10)과 접힘막(20)이 우산과 같은 형태로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도록 이루어져, 솔라쿠커(1)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우산 또는 양산의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교적 작은 크기로 형성된 다수의 반사체(30)가 접힘막(2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솔라쿠커(1)를 접거나 펼치는데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으며,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솔라쿠커(1)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도 1(b)에서 도시된 솔라쿠커의 접혀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서 도시된 솔라쿠커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도시된 솔라쿠커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솔라쿠커(1)에서, 상기 연결체(50)는, 상기 중심체(40)와 분리가능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다수의 연결봉(60)이 수납되며, 일측에 상기 연결체(50) 및 연결봉(6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체결부(7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봉(60)은, 삼각다리로 사용될 수 있는 3개의 제1연결봉(60a)과, 삼각받침대로 사용될 수 있는 3개의 제2연결봉(60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70)는, 상기 제1 연결봉(60a)과 연결체(50)가 결합되는 제1 체결부(70a)와, 상기 제2연결봉(60b)과 연결체(50)가 결합되는 제2체결부(7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체(50)는 상기 중심체(40)에 고정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중심체(40)와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체(50)는 긴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연결봉(60)이 수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체(50)는 일단이 상기 중심체(40)에 결합되며, 타단에는 상기 체결부(70)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체(50)는 상기 중심체(40)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체(50)의 결합에 있어서, 억지끼움 되도록 이루어지거나 걸림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상호 간에 나사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결합이 가능해지며, 반복적인 사용에 있어서도 안정된 결합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연결체(50)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봉(60)이 수납되며, 상기 연결봉(60)은 모두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서로 다른 크기 및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봉(60)은 본 발명인 솔라쿠커(1)에서 분리되어, 상기 접힘막(20)이 안정된 위치로 고정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조리를 위한 조리용기(100)의 받침대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0041] 상기 체결부(70)는 상기 연결체(50)의 단부에 결합되며, 역시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부(70)와 연결체(50)의 결합방식 또한 나사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70)는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체(50)의 단부에서 동일한 형태로, 또는 다단의 형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0042] 상기 체결부(70)에는 상기 연결체(50) 및 연결봉(60)이 끼워지거나 나사결합되는 다수의 끼움홈(71)이 형성된다.
[0043] 상기 연결체(50)와 연결봉(60)은 모두 긴 봉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70)에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연결체(50)와 연결봉(60)은 단부가 상기 끼움홈(71)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 (7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데, 이에 따라 특정한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0044] 본 발명에 따른 솔라쿠커(1)를 사용하여 태양광을 이용한 오븐(oven)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태양광이 집광되는 지점에 조리용기(100)가 놓이도록 하는 구성이 필요하며, 상기 연결체(50), 연결봉(60) 및 체결부(70)를 사용하여 조리용기(100)의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다.
[0045]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봉(60)은 3개의 제1연결봉(60a)과 3개의 제2연결봉(6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0046] 상기 제1연결봉(60a)은 비교적 길게 형성되며, 모두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결봉(60a)은 상기 연결체(50)의 하단에 결합하게 되며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태의 다리를 형성하게 된다.
[0047] 상기 제2연결봉(60b)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며, 역시 모두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연결봉(60b)은 조리용기(100)의 받침대로 사용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체(50)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체(50)는 구조물의 중간 기둥을 형성하고, 상단 및 하단 각각에 상기 체결부(70)가 결합된다.
[0049] 본 발명에 따른 솔라쿠커(1)에 의하여 집광되는 태양광의 정확한 위치에 조리용기(100)가 놓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를 지지하는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체(50) 및 연결봉(60)을 사용하여 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100)를 지탱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 없게 되며, 솔라쿠커(1)를 분해, 조립하여 간단하게 이와 같은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편의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솔라쿠커의 일부구성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솔라쿠커(1)에서, 상기 연결체(50)와 연결봉(60)은 긴 봉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체(50)와 연결봉(60) 중 일부는 지면과 수직방향에서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며 상단부에 상기 체결부(70)가 결합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체결부(70)에 결합되어 지면과 평행하게 놓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체(50) 및 연결봉(60)은, 조리용기(100)를 지지하기 위한 다른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체(50) 또는 연결봉(60) 중 일부는 지면과 수직방향에서 고정되도록 하고, 이렇게 고정된 상기 연결체(50) 또는 연결봉(60) 상단부에 상기체결부(70)가 결합되도록 하며, 다른 연결체(50) 또는 연결봉(60)이 상기체결부(70)에 결합되도록 하여 도 5와 같은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체(50)와 연결봉(60)을 조리용기(100)[0055] 를 지지하기 위한 기둥 및 뼈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체(50)와 연결봉(60) 중 어느 하나를 지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체결부(70)를 매개로 하여 다른 것(상기 연결체(50) 또는 연결봉(60))이 조리용기(100)의 받침대와 같이 사용되도록 하여, 조리용기(100)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솔라쿠커의 일부구성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8(a)와 도 8(b)는 도 7에서 도시된 체결부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솔라쿠커(1)에서, 상기 체결부(70)는, 다수의 상기 연결봉(60)이 일측 지점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체결부(70)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연결봉(60) 각각이 수직으로 끼워지는 수직홀(72)과, 상기 수직홀(72)에서 확장되고 경사지게 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연결봉(60)이 서로 교차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경사홀(7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70)는 상기 연결봉(60)이 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연결봉(60)의 단부가 상기 끼움홈(71)에 끼워져 상기 체결부(70)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봉(60)이 상기 체결부(70)를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체결부(70)의 구체적인 형태를 도 8(a)와 도 8(b)를 바탕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결봉(60)은 3개로 구비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부(70)에는 상기 수직홀(72)과 경사홀(73)이 각각 형성되는데, 도면상으로 도시된 3개의 상기 연결봉(60)이 각각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홀(72)과 경사홀(73) 역시 3개씩 형성된다.
상기 연결봉(60)은 대체로 동일한 길이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70)에 결합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대의 형상을 갖게 된다.
상기 수직홀(72)은 상기 연결봉(60)이 수직 방향으로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구멍이며, 상기 수직홀(72)에 상기 연결봉(60)이 끼워진 경우, 3개의 상기 연결봉(60)이 상기 체결부(70)가 결합된 지점에서 이격이 저지되게 된다.
상기 경사홀(73)은 상기 체결부(7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수직홀(72)의 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경사홀(73)은 상기 수직홀(72)과 별도의 위치에서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직홀(72)과 중심을 같이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홀(73)이 상기 수직홀(72)과 이루는 각도는, 상기 연결봉(60)의 안정된 지지구조를 고려하여 대략 30°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3개의 상기 연결봉(60)이 상기 수직홀(72)에 끼워진 후, 상기 경사홀(73)에 위치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연결봉(60)은 삼각대의 형태와 같은 구조를 이루며, 상측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지지대와 같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삼각 지지대의 형상을 이루는 상기 연결봉(60)의 상단에 조리용기(100)를 올려놓을 수 있으며, 안정된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체(50), 연결봉(60) 및 체결부(70)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개수와 형태가 다양하게 구비되도록 하여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서 도시된 구조물의 중간기둥은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굽은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조리용기(100)가 태양광의 초점 지점에 더욱 용이하게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솔라쿠커(1)에서, 상기 반사체(30)는 스팽글로 이루어진다.
스팽글(spangle)은 금속과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장식용 조각을 말하며, 의상 또는 액세서리 등을 장식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스팽글은 소재가 가볍고 반사율이 높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반사체(30)로도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스팽글을 상기 반사체(30)로 사용하여 상기 접힘막(20)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솔라쿠커(1)를 더욱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장치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성 및 실용성 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1 : 솔라쿠커 10 : 프레임
20 : 접힘막 30 : 반사체
40 : 중심체 50 : 연결체
60 : 연결봉 60a : 제1연결봉
60b : 제2연결봉 70 : 체결부
70a : 제1체결부 70b : 제2체결부
71 : 끼움홈 72 : 수직홀
73 : 경사홀 100 : 조리용기

Claims (6)

  1. 우산살과 같은 형태로 접혀지고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과 함께 접혀지고 펼쳐지도록 형성되는 접힘막;
    상기 접힘막 내측면에 결합되고, 빛을 반사시켜 집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반사체;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중심체; 및
    상기 프레임의 반대쪽에서 상기 중심체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쿠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상기 중심체와 분리가능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다수의 연결봉이 수납되며, 일측에 상기 연결체 및 연결봉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체결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쿠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와 연결봉은 긴 봉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체와 연결봉 중 일부는 지면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며 상단부에 상기 체결부가 결합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어 지면과 평행하게 놓일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쿠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삼각다리로 사용될 수 있는 3개의 제1연결봉과, 삼각받침대로 사용될 수 있는 3개의 제2연결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연결봉과 연결체가 결합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연결봉과 연결체가 결합되는 제2체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쿠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다수의 상기 연결봉이 일측 지점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쿠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연결봉 각각이 수직으로 끼워지는 수직홀과,상기 수직홀에서 확장되고 경사지게 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연결봉이 서로 교차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경사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쿠커.
KR1020140002650A 2014-01-09 2014-01-09 간편휴대 파라솔 형태 태양열 조리기 KR20140021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650A KR20140021053A (ko) 2014-01-09 2014-01-09 간편휴대 파라솔 형태 태양열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650A KR20140021053A (ko) 2014-01-09 2014-01-09 간편휴대 파라솔 형태 태양열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053A true KR20140021053A (ko) 2014-02-19

Family

ID=50267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650A KR20140021053A (ko) 2014-01-09 2014-01-09 간편휴대 파라솔 형태 태양열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10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5994A (zh) * 2017-07-13 2017-11-17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可折叠索网反射面太阳能灶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5994A (zh) * 2017-07-13 2017-11-17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可折叠索网反射面太阳能灶具
CN107355994B (zh) * 2017-07-13 2019-08-06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可折叠索网反射面太阳能灶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1410B2 (en) Portable chair shade
GB2554157A (en) Compact collapsible chair
US7967466B2 (en) Movable light bar assembly
CN207304450U (zh) 太阳能发电板
AR047665A4 (es) Sombrilla con forma estructural invertida
KR20140021053A (ko) 간편휴대 파라솔 형태 태양열 조리기
KR20110013710A (ko) 스팽글미러가 부착된 우산 및 양산 겸용 솔라쿠커
CN103653746A (zh) 折叠式多用途绘图组合桌椅
CN204428722U (zh) 太阳能登山杖
KR101081483B1 (ko) 휴대용 렌즈를 이용한 태양열 취사 장치
CN104101108B (zh) 一种太阳能炊具
CN202311626U (zh) 一种折叠式伸缩伞
CN207071051U (zh) 太阳能烧烤炉
CN207094353U (zh) 伞状辐条灯
CN201924650U (zh) 一种气弹簧快撑帐篷
CN205840494U (zh) 一种可延展的带护栏多功能户外折叠垫板
CN206398608U (zh) 一种太阳能景观灯
CN216436866U (zh) 一种户外太阳能储能装置
CN204128204U (zh) 一种太阳能炊具
CN208955972U (zh) 一种光伏供电装置
CN204103984U (zh) 一种手机外壳支撑片
CN201765419U (zh) 组合式便携反光板
CN204292506U (zh) 便携折叠式翻阅书架
CN203314273U (zh) 一种便携式遮阳伞
CN214415486U (zh) 一种分段式收纳的蹦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