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557A - Discharge electrode f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scharge electrode f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9557A
KR20140019557A KR1020120085763A KR20120085763A KR20140019557A KR 20140019557 A KR20140019557 A KR 20140019557A KR 1020120085763 A KR1020120085763 A KR 1020120085763A KR 20120085763 A KR20120085763 A KR 20120085763A KR 20140019557 A KR20140019557 A KR 20140019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frame
dust collecting
discharge electrode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7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99451B1 (en
Inventor
정상현
심성훈
윤병복
김태형
김인선
문성호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85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451B1/en
Publication of KR20140019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5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4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10Ionising electrode has multiple serrated ends or part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harge electrode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The electric dust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ollowing: a body unit installed inside the electric dust collector for collecting dust particles by including a dust collecting plate and a discharging rod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device, and surrounding at least part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ing rod; an extension frame extended from the body unit while facing the dust collecting plate; and a bent unit extended from the extension frame and bent toward the dust collecting pl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harge electrode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and the electric dust collector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a discharge electrode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which can improve dust collecting efficiency with a simple structure.

Description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DISCHARGE ELECTRODE F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harge electrode for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the discharge electrode.

본 발명은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집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harge electrode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and an electric dust collector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charge electrode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capable of improving dust collection efficiency and an electric dust collector using the same.

유해가스의 오염입자를 집진하는 장치로서 높은 집진효율을 가지고 다량의 가스를 처리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가 여러 산업현장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apable of treating a large amount of gas with high dust collecting efficiency is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as an apparatus for collecting polluted particles of harmful gas.

도 1은 종래의 전기집진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1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lectric dust collector.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전기집진장치(10)는 방전봉(12)에 고압의 전원을 인가하면, 방전극(discharge electrode)(13)에 주위에 국부적인 절연파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코로나(corona) 방전이 발생함으로써 배출가스의 오염입자가 음극으로 대전되어 집진판(11)에 부착되는 방식을 통하여 유해가스를 처리한다.Referring to FIG. 1, in general, when a high voltage power is applied to the discharge electrode 12, the electric dust collector 10 generates local insulation breakdown around the discharge electrode 13, the corona discharge is generated, so that the polluted particles of the exhaust gas are charged to the cathode and attached to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to treat the harmful gas.

도 2는 도 1의 전기집진장치의 방전극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2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the discharge electrod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of FIG.

한편, 방전극(13)과 집진판(11) 사이의 거리가 집진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봉(13)을 중심으로 양쪽 집진판(11)과의 거리(L)의 대칭성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어느 한 측으로의 코로나 방전이 집중되어 전체적인 집진효율이 저하된다.The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13 and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affects the dust collecting performance. As shown in FIG. 2, the distance L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13 and the dust collecting plates 11, The corona discharge to one side is concentrated and the overall dust collecting efficiency is lowered.

특히, 종래의 전기집진장치(10)에 설치되는 방전극(13)은 용접 등의 방식으로 방전봉(12)에 영구적으로 장착됨으로써, 구조 변경을 위해서는 설치된 방전극(13)의 용접부위를 해제하고 재용접하는 등의 방식을 통하여야 하므로 시간적, 비용적으로 비경제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다.Particularly, the discharge electrode 13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 is permanently attached to the discharge rod 12 by welding or the like, thereby releasing the welded portion of the discharge electrode 13,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n-economic in terms of time and cos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일 공정을 통하여 제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charge electrode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capable of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by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manufactured through a single process.

또한, 방전극이 고정된 위치의 조절이 비교적 용이하므로 집진율이 향상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apable of improving the collection rate can be provided because the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electrode is fixed can be relatively easily adjuste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집진판 및 외부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방전봉을 포함하여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방전봉의 외주면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체결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집진판과 대향되는 연장 프레임; 상기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집진판 측으로 휘어지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st collecting apparatus comprising: a body installed in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collecting dust particles including a discharge rod to which power is supplied from a dust collecting plate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An extension frame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and opposed to the dust collection plate; It is achieved by the discharge electrode for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cluding; a bend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extension portion and bent toward the dust collecting plate side.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방전봉 외주면의 반을 둘러싸되, 상기 방전봉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may surround a half of the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rod, and a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for fastening the discharge rod.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방전봉 외주면의 반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방전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집진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체결부재가 삽입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art extending from the body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rod and having a fastening hole for inserting the fastening memb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ust collecting plate, .

또한, 상기 바디부의 상기 연장 프레임이 형성되는 반대쪽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frame may further include a protruding frame extending outwardly from an opposite end of the body portion where the extended frame is formed.

또한, 상기 돌출프레임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면과 상기 연장프레임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면은 상기 연장프레임의 두께만큼 이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inary plane extending from the side face of the projecting frame and the imaginary plane extending from the side face of the elongate frame may be separated by the thickness of the elongate frame.

또한, 상기 돌출프레임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면과 상기 연장프레임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면은 상기 연장프레임의 두께만큼 이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inary plane extending from the side face of the projecting frame and the imaginary plane extending from the side face of the elongate frame may be separated by the thickness of the elongate frame.

또한, 상기 절곡부는 첨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nt portion may form a tip portion.

또한, 상기 절곡부는 서로 반대방향 측으로 휘어지며 상하로 분할될 수 있다.Also, the bent portions may be bent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and may b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또한, 상기 외부전원장치로부터 인가받는 전원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기장이 안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 프레임에는 보조극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upport pole may be formed on the extended frame to stabilize an electric field generated by a power source a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device.

또한, 상기 보조극은 첨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electrode may form a tip portion.

또한, 상기 보조극은 상기 연장 프레임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부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pole may be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extended frame.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을 이용하며, 유해가스의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집진판; 상기 유동로 내에서 상기 유해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방전봉; 상기 방전봉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장치; 상기 방전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방전봉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방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방전극은 한 쌍이 바디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방전봉에 설치되며, 연장 프레임은 상기 집진판과 대향되되 상기 집진판의 이격 간격을 반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st collecting apparatus comprising: a pair of dust collecting plates each using a discharge electrode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and disposed so as to face each other so as to form a flow path of a noxious gas; A plurality of discharge rods disposed in the flow path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noxious gas; A power applying unit for applying power to the discharge rod;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electrodes mounted on the discharge ro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rod, wherein the discharge electrodes are installed in the discharge rods such that a pair of body parts face each other, and the extension frame faces the discharge plate, And the interval is divided in half.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단순한 방식으로 제조하여 방전봉에 설치함으로써, 우수한 경제성을 가지는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charge electrode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having excellent economy is provided by being manufactured in a relatively simple manner and provided in a discharge bar.

또한, 방전봉 상에서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므로 집진판과의 간격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쉽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rod on the discharge rod can be easily adjusted, the gap between the discharge rod and the dust collecting plate can be easily controlled.

또한, 보조극을 형성하여, 전체적인 전기장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by forming the auxiliary pole, the overall electric field can be stabilized and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의 전기집진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전기집진장치의 방전극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을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방전극의 체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3의 방전극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3의 방전극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전기집진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의 다양한 변형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을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의 체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도 15의 방전극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lectric dust collector,
2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the discharge electrod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of FIG. 1,
3 schematically shows an electric dust collector using a discharge electrode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chematically shows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discharge electrode of Fig. 3,
Fig. 5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the discharge electrode of Fig. 3,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discharge electrode of FIG. 3,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of Fig. 3,
8 to 13 show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ischarge electrode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an electric dust collector using a discharge electrode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schematically shows a fastening structure of a discharge electrode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the discharge electrode of Fig.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embodiments,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100)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를 장착하는 전기집진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lectric dust collector for mounting a discharge electrode 100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을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3 schematically shows an electric dust collector using a discharge electrode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100)을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는 한 쌍의 집진판(11)과 복수개의 방전봉(120)과 본 실시예의 방전극(100)과 전원인가장치(14)를 포함한다.3,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discharge electrod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dust collector plate 11, a plurality of discharge rods 120 and the discharge electrode of the present embodiment ( 100 and a power applying device 14.

상기 한 쌍의 집진판(11)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판형태의 금속부재로서, 상호 이격된다.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집진판(11)의 공간은 유해가스 내부의 오염입자가 집진되기 위한 공간으로서 유입된 유해가스의 유동로(11a)를 형성한다. 각각의 집진판(11)은 접지 상태를 유지한다.The pair of dust collecting plates 11 are plate-shaped metal member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pace of the pair of dust collecting plates 11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ms a flow path 11a of the noxious gas introduced as a space for collecting the polluted particles in the noxious gas. Each of the dust collecting plates 11 maintains a grounded state.

상기 방전봉(12)은 집진판(11) 사이의 공간, 즉, 유동로(11a) 상에 복수개가 설치되며 후술하는 전원인가장치(14)로부터 고압의 전원을 인가받는 봉형태의 금속부재이다. The discharge rod 12 is a rod-like metal member which is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dust collecting plates 11, that is, on the flow path 11a, and receives a high voltage power from a power applying device 14 described later.

한편, 다수개의 방전봉(12)은 유해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방전봉(12)은 유동로(11a)의 폭을 정확하게 반으로 분할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discharge rods 12 are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noxious gas. The discharge rods 12 are preferably arranged so as to divide the width of the flow rods 11a exactly in half Do.

도 4는 도 3의 방전극의 체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3의 방전극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4 is a schematic view of a fastening structure of the discharge electrode of FIG. 3, and FIG. 5 is a schematic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discharge electrode of FI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방전극(100)은 방전봉(12)으로부터 전달되는 고전압의 전원을 통하여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부재로서, 방전봉(12)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체결되는 바디부(110)와 연장 프레임(120)과 절곡부(130)과 돌출프레임(180)을 포함한다.3 and 4, the discharge electrode 100 is a member for generating a corona discharge through a high voltage power transmitted from the discharge rod 12, and includes a body portion An extension frame 120, a bent portion 130, and a protruding frame 180.

상기 바디부(110)는 방전봉(12)의 외주면과 접촉하며 감싸도록 종단면의 형상이 반원 형태로 마련되는 부재로서, 볼트와 같은 소정의 바디부재에 의하여 방전봉(12)과 체결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140)이 형성된다.The body 110 has a semicircular shape in longitudinal sec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rod 12 and has at least a semicylindrical shape in order to be fastened to the discharge rod 12 by a predetermined body member such as a bolt. One fastening hole 140 is formed.

상기 연장 프레임(120)은 지면에 수직하며 바디부(110)로부터 유해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패널 형태의 부재이다. 즉, 연장 프레임은 한 쌍의 집진판(11)과 평행을 이루며 나란히 설치되어 집진판(11) 사이의 공간인 유동로(11a)를 정확히 반으로 분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xtension frame 120 is a panel-shaped member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nd extending long from the body 110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noxious gas.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elongated frame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pair of dust collecting plates 11 so as to divide the flow path 11a,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dust collecting plates 11, exactly in half.

한편, 각 방전극(100)의 바디부(110) 또는 연장 프레임(120)에는 결합공(150)이 형성되어 반대편에 배치되는 방전극(100)의 돌출 프레임(180)과 서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A coupling hole 150 is formed in the body 110 or the extension frame 120 of each discharge electrode 100 so that the discharge electrode 100 can be tightly coupled with the projection frame 180 of the discharge electrode 100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do.

상기 절곡부(130)는 연장 프레임(120)으로부터 연장되어 집진판(11)과의 사이에서 전기장 필드를 형성하고, 코로나 방전을 유발하는 부재이다.The bent portion 130 is a member extending from the elongated frame 120 to form an electric field field with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and induce a corona discharge.

한편, 절곡부(130)는 연장 프레임(120)으로부터 연장되되 상부와 하부가 절개된 상태에서 분할되며, 분할된 상부와 하부의 절곡부(130)는 각각 서로 다른 집진판(11)을 향하여 휘어진다. The bent portion 130 extends from the elongated frame 120 and is divided into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in an incised state and the divided upper and lower bent portions 130 are bent toward different dust collecting plates 11 .

또한, 대향하는 각 집진판(11)과의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쉽게 발생하도록 각각의 절곡부(130)는 첨단부를 형성한다. 이때, 절곡부(130)의 첨단부는 연결 프레임(120)과 9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bent portion 130 forms a tip end portion so that corona discharge can easily occur between the facing and opposite dust collecting plates 1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ip portion of the bent portion 130 forms 90 ° with the connecting frame 120.

즉, 상술한 방전극(100)의 구조에 의하면, 방전극(100)의 절곡부(130)는 상하로 분할되며, 분할되는 절곡부(130)는 각기 서로 다른 집진판을 향하여 휘어지되, 절곡부(130)의 단부로부터 집진판(11) 간의 간격은 일정하다.That i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discharge electrode 100 described above, the bent portion 130 of the discharge electrode 100 is vertically divided, and the divided bent portions 130 are bent toward different dust collecting plates, The interval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dust collecting plates 11 is constant.

상기 돌출 프레임(180)은 연장 프레임(120)이 형성되는 반대쪽 단부의 바디부(11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반대편에 배치되는 방전극(100)의 연장 프레임(120)과 견고히 체결되도록 한다.The protruding frame 180 extends outward from the body 110 at the opposite end where the elongated frame 120 is formed and is tightly fastened to the elongated frame 120 of the discharge electrode 100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한편, 바디부(110)는 방전봉(12)의 외주면 절반을 둘러싸며 장착되는 것으로서, 방전극(100)이 설치되는 방전봉(12)의 반대편의 위치에는 또 다른 방전극(100)이 설치되며, 각 방전극(100)의 연장 프레임(110)은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The body 110 is mount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rod 12 and another discharge electrode 100 is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discharge electrode 12 on which the discharge electrode 100 is installed, The elongated frame 110 of each of the discharge electrodes 100 extends along different directions.

이때, 바디부(110)는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방전봉(12)과 체결되고, 연결 프레임(120)은 돌출 프레임(180)과 서로 체결됨으로써, 방전봉(12) 상에서 한 쌍의 방전극(100)이 상호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body 110 is fastened to the discharge rod 12 by a predetermined fastening member, the connection frame 120 is fastened to each other with the protruding frame 180, a pair of discharge electrodes on the discharge rod 12 ( 100) has a structure that is mutually symmetrical.

또한, 도 6은 도 3의 방전극의 단면도이며, 도 6을 참조하면, 방전극(100)의 두께(t)는 일정한 것으로서, 돌출 프레임(18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면과 연장 프레임(12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면의 사이는 방전극(100)의 두께(t)만큼 이격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프레임(120)의 두께를 반으로 분할하는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면과 돌출 프레임(180)의 하면은 방전극(100) 두께(t)의 절반(t/2) 만큼 이격된다.6, the thickness t of the discharge electrode 100 is constant and is defined by a virtual surface exten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protruding frame 180 and an imaginary surface extending from the protruding frame 120 ) Is spaced apart by the thickness (t) of the discharge electrode (100). 6, the imaginary plane extending from the plane dividing the thickness of the elongate frame 120 by half and the bottom face of the elongated frame 180 are set to half of the thickness t of the discharge electrode 100 (t / 2).

이러한 형상에 의하여, 한 쌍의 방전극(100) 각각은 방전봉(12)을 절반씩 둘러싸며, 연결 프레임(120)과 돌출 프레임(180)이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정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합구조에 의하면, 서로 결합되는 방전극(100)의 연결 프레임(120)의 중심선이 서로 일치됨으로써, 방전봉을 중심으로 양측 방전극(100)이 대칭구조를 가진다.By such a shape, each of the pair of discharge electrodes 100 surrounds the discharge rod 12 by half, and can be precisely coupled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on frame 120 and the protruding frame 18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upling structure, the center line of the connecting frame 120 of the discharge electrode 100 coupled to each other coincide with each other, so that both discharge electrodes 100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around the discharge rod.

또한, 각 방전봉(12)의 각각의 높이에는 한 쌍의 방전극(100)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장착되며, 절곡부(130)의 분할로 인하여 방전극(100)의 첨단부는 각각 대응되는 집진판(11)을 향하여 휘어진다.A pair of discharge electrodes 100 are attached to the respective heights of the respective discharge rods 12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tip portions of the discharge electrode 100 ar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llecting plates 11).

또한, 방전극(100)이 위치한 중력방향을 따라서 전기집진이 발생하도록 상술한 한 쌍으로 형성되는 방전극(100)의 구조는 복수개가 방전봉(12)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Also, a plurality of discharge electrodes 100, which are formed in pairs as described above so as to generate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in which the discharge electrode 100 is located, are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electrode 12.

따라서, 상술한 방전극(100)의 구조 및 설치에 의하면,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매우 경제적인 가격으로 다량의 방전극(100)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특히, 제작되는 방전극(100)을 나사와 같은 소정의 체결부재를 통하여 별도의 용접공정 없이 방전봉(12)에 설치함으로써 제작원가 절감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방전극(100)의 체결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방전극(100)과 집진판(11)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installation of the discharge electrode 100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apidly and easily manufacture a large number of discharge electrodes 100 at a very low cost through press working. Particularly,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reduction because it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rod 12 without a separate welding process through the same predetermined fastening member. In addition, the gap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100 and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can be easily adjus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electrode 100 is fastened.

상기 전원인가장치(14)는 각 방전봉(12)과 연결되어 방전봉(12)에 고전압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부재이다.The power applying unit 14 is connected to each of the discharge rods 12 to apply a high voltage power to the discharge rods 12.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절곡부(130)가 첨단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절곡부(130)가 폭이 일정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절곡부(130)는 집진판(11) 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감소하되, 양단부가 곡률을 갖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절곡부(130)의 측부가 선형(linear) 형상이 아니라 곡선의 형태를 가지고, 집진판(11) 측으로 갈수록 폭의 감소율이 점점 증가하도록 하여 더욱 날카로운 단부를 형성함으로써 코로나 방전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the bending portion 130 is described as forming the tip portion in this embodiment, the bending portion 130 may be provided with a constant width.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bent portion 130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but both ends may have a curvature. That is, the side portion of the bent portion 130 has a shape of a curved line rather than a linear shape, and the decreasing rate of the width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thereby forming a more sharp edge,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corona discharge efficiency .

또한, 절곡부(130)와 연결 프레임(120) 간의 각도가 90˚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angle between the bent portion 130 and the connection frame 120 has been described as forming 9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즉, 절곡부(130)의 형상 및 각도 등은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않고, 집진판(11)의 면적, 방전봉(12)의 길이 두께, 인가되는 전압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shape and the angle of the bent portion 130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are preferab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area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the thickness of the discharge rod 12, Do.

지금부터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100)을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using the discharge electrode 100 for the electric dust coll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7은 도 3의 전기집진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of Fig.

먼저, 한 쌍의 집진판(11)의 이격공간, 즉, 유동로(11a) 내로 유해가스가 유입됨과 동시에, 전원인가장치(14)를 통하여 고전압의 전원을 각 방전봉(12)에 인가한다.First, a noxious gas flows into the spacing space of the pair of dust collecting plates 11, that is, into the flow path 11a, and a high voltage power source is applied to each discharge rod 12 through the power applying unit 14. [

먼저, 한 쌍의 집진판(11)의 이격공간, 즉, 유동로(11a) 내로 유해가스가 유입됨과 동시에, 전원인가장치(14)를 통하여 고전압의 전원을 각 방전봉(12)에 인가한다.First, a noxious gas flows into the spacing space of the pair of dust collecting plates 11, that is, into the flow path 11a, and a high voltage power source is applied to each discharge rod 12 through the power applying unit 14. [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방전극(100)이 설치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집진판(11)과 방전극(100) 사이의 거리(L) 조절이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든 방전극(100)과 집진판(11) 사이의 거리(L)가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코로나 방전을 통한 집진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7, it is easy to control the distance L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100 and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where the corona discharge is genera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electrode 100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7 . 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L between all the discharge electrodes 100 and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is maintained to be uniform,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through the corona discharge can be improv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200)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를 장착하는 전기집진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mounting the discharge electrode 200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200)을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는 한 쌍의 집진판(11)과 복수개의 방전봉(12)과 본 실시예의 방전극(200)과 전원인가장치(14)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집진판(11)과 방전봉(12)과 전원인가장치(14)는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The electric dust collector using the discharge electrode 200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dust collecting plates 11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rods 12, (14). However, since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the discharge rod 12, and the power applying unit 14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8 내지 도 13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의 다양한 변형례를 도시한 것이다.8 to 13 show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ischarge electrode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전극(200)은 방전봉(12)과 집진판(11)과의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부재로서, 방전봉(12)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체결되는 바디부(210)와 연장 프레임(220)과 절곡부(230)와 돌출 프레임(280)를 포함한다.8 to 13, the discharge electrode 200 is a member for generating a corona discharge between the discharge rod 12 and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an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discharge rod 12, And includes a body 210, an elongated frame 220, a bent portion 230, and a protruding frame 280.

상기 바디부(210) 및 상기 돌출프레임(280)은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body 210 and the protruding frame 28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연장 프레임은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부와 하부에는 보조극(260)이 형성된다. The extension frame extends from the body portion, and the auxiliary pole 260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한편, 보조극(260)은 집진판(11)과의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방전극(200)에서 형성되는 전체 전기장 필드를 안정화시키는 동시에, 절곡부(230)와 집진판(11) 사이 영역에서의 전기집진 외에 추가적인 오염입자의 집진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집진면적을 늘리기 위한 부재이다. 이하, 각 보조극(260)의 변형례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auxiliary electrode 260 generates a corona discharge with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so as to stabilize the entire electric field formed in the discharge electrode 200 and to prevent the area between the bending portion 230 and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In addition to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in the dust collecting area. Hereinafter, a modification of each auxiliary pole 260 will be described.

상기 연장 프레임(220)은 바디부(210)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부와 하부에는 보조극(260)이 형성된다. The extension frame 220 extends from the body 210, and the auxiliary pole 260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한편, 보조극(260)은 집진판(11)과의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방전봉(12) 부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정상적인 코로나 방전을 억제하여 방전극(200)에서 형성되는 전체 전기장 필드를 안정화하는 동시에, 절곡부(230)와 집진판(11) 사이 영역에서 하전되지 않는 분진들을 2차적으로 하전시켜 집진면적 및 집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이하, 각 보조극(260)의 변형례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auxiliary pole 260 generates a corona discharge with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to suppress abnormal corona discharge that may occur in the vicinity of the discharge rod 12 to stabilize the entire electric field formed in the discharge pole 200 And secondarily charges dust that is not charged in the region between the bent portion 230 and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to improve the dust collecting area and the dust collecting performance. Hereinafter, a modification of each auxiliary pole 260 will be described.

변형례Modifications 1 On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변형례 1에서의 보조극(260)은 바디부(210)와 절곡부(230) 사이의 연장 프레임(220)의 상측 및 하측에 서로 다른 집진판(11) 측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보조극(260) 길이가 절곡부(230)의 길이보다 짧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8 and 9, the auxiliary pole 260 in the first modifica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extension frame 220 between the body part 210 and the bent part 230 on the side of the different dust collecting plates 11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auxiliary electrode 260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bent portion 230.

이때, 보조극(260)의 형상은 균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첨단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auxiliary electrode 260 may be formed to have a uniform width, or a tip portion may be formed.

변형례Modifications 2 2

도 10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변형례 2에서의 보조극(260)은 연장 프레임(2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로 구성된다. 또한, 보조극(260)은 연장 프레임(220)에 관통구(270)가 형성되고, 관통구(270)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S. 10 to 13, the auxiliary pole 260 in the modified example 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nsion frame 220. The auxiliary pole 2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through hole 270. The through hole 270 may be formed in the extended frame 220.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200)을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using the discharge electrode 200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을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an electric dust collector using a discharge electrode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전원인가장치(14)로부터 방전봉(12)에 인가되는 고전압의 전원에 의하여 절곡부(230)와 집진판(11)의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고, 유입되는 유해가스 내에 포함되는 오염입자의 집진이 발생한다.A corona discharge is generated between the bent portion 230 and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by a high voltage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applying device 14 to the discharge rod 12 and the contaminated particles contained in the introduced noxious gas Dust collecting occurs.

이때, 제1실시예에 기재된 방전극(100)에 의하면, 가공 중에 형성되는 바디부(110) 또는 연장 프레임(120)의 표면 상의 미세한 돌기 등에 의하여 의도하지 않은 전기장이 형성됨으로써 인가되는 전압이 절곡부(130)에 집중되지 못하게 되어 전체적인 집진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 According to the discharge electrode 10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an unintentional electric field is formed by the minute protrusion on the surface of the body 110 or the extension frame 120 formed during processing,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is lowered.

즉, 인가되는 에너지 중 일부가 의도하지 않은 위치에서 오염입자의 집진이 일어나기 위한 임계값 이하의 전기장을 발생시키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를 낭비하고 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some of the applied energy generates an electric field below a threshold value for collecting the contaminated particles at an unintended position, unnecessary energy is wasted and the efficiency may be lowered.

다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극(260)이 인가되는 전압 중 일부를 집중시켜 집진이 발생할 수 있을 정도의 전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집진이 발생하는 면적(A)을 확대하는 동시에, 불필요한 위치에서 전기장 발생의 방지를 유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발생되는 전기장을 안정화하여 효율적인 집진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4,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forming an electric field enough to cause dust collection by concentrating a part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auxiliary electrode 260, an area A And at the same time, by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an electric field at an unnecessary position,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as a whole can be stabilized and efficient dust collection is possible.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집진판(11)과 절곡부(230) 사이의 공간뿐 아니라 집진판(11)과 보조극(260) 사이의 공간에서도 유해가스 내 오염입자의 집진이 발생하므로 집진 면적이 확대되고, 불필요한 전압소모를 최소화하고 전기장을 안정화함으로써 집진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not only the space between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and the bent portion 230 but also the space between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and the auxiliary pole 260 collects contaminant particles in the noxious gas,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unnecessary voltage consumption and stabilizing the electric fiel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300)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를 장착하는 전기집진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mounting the discharge electrode 300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300)을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는 한 쌍의 집진판(11)과 복수개의 방전봉(12)과 본 실시예의 방전극(300)과 전원인가장치(14)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집진판(11)과 방전봉(12)과 전원인가장치(14)는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An electric dust collector using a discharge electrode 300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dust collecting plates 11, a plurality of discharge rods 12, a discharge electrode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14). However, since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the discharge rod 12, and the power applying unit 14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의 체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도 15의 방전극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15 is a schematic view of a fastening structure of a discharge electrode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schematic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discharge electrode of FIG.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방전극(300)은 방전봉(12)으로부터 전달되는 고전압의 전원을 통하여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부재로서, 방전봉(12)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체결되는 바디부(310)와 연장 프레임(320)과 절곡부(330)과 돌출프레임(380)과 체결부(390)를 포함한다.15 and 16, the discharge electrode 300 is a member for generating a corona discharge through a high voltage power transmitted from the discharge electrode 12, and includes a body portion An elongated frame 320, a bent portion 330, a protruding frame 380, and a fastening portion 390.

다만, 상기 연장 프레임(320)과 절곡부(330)와 돌출프레임(380)은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However, since the extension frame 320, the bent portion 330, and the protruding frame 380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uplic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바디부(310)는 제1실시예의 바디부(110)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나, 별도의 체결공이 형성되지 않는다.The body part 310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body part 110 of the first embodiment, but a separate fastening hole is not formed.

상기 체결부(390)는 바디부(310)와 방전봉(12)과의 체결을 위한 부재로서, 바디부(31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다. 체결부(390)는 방전봉(12)과 밀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을 형성하되, 유해가스의 유동방향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The coupling part 390 is a member for fastening the body part 310 and the discharge rod 12 and extends upward from the body part 310. The coupling part 39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charge rod 12, and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noxious gas.

이때, 체결부(390)에는 체결공(391)이 형성되며, 소정의 체결부재가 유해가스의 유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삽입된다.At this time, a fastening hole 391 is formed in the fastening part 390, and a predetermined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noxious gas.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방전봉(12)이 체결부(390)와 상호 체결되며, 바디부(310)로부터 집진판(11)측으로 체결부재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전계가 형성되어 집진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charge rod 12 is interlocked with the coupling portion 390, and the coupling member is prevented from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310 toward the dust collecting plate 11, so that an unintended electric field is formed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전극
110 : 바디부 120 : 연결 프레임
130 : 절곡부 180 : 돌출 프레임
100: A discharge electr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body portion 120: connection frame
130: bent portion 180: protruding frame

Claims (12)

집진판 및 외부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방전봉을 포함하여, 유입되는 유해가스 내에 포함되는 오염입자를 집진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방전봉의 외주면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체결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집진판과 대향되는 연장 프레임;
상기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집진판 측으로 휘어지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
A dust collecting plate, and a discharge rod to which power is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is installed in an electric dust collector for collecting contaminant particles contained in an incoming noxious gas,
A body surrounding and surrounding at least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rod;
An extension frame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and opposed to the dust collection plate;
Electrode dust collecting device comprising a; extending from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bent toward the dust collecting plate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방전봉 외주면의 반을 둘러싸되, 상기 방전봉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ody part surrounds a half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rod and has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o the discharge r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방전봉 외주면의 반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방전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집진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체결부재가 삽입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ortion is configured to surround a half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rod,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part extending from the body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rod and having a fastening hole for inserting the fastening memb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ust collecting plat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기 연장 프레임이 형성되는 반대쪽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Further comprising a protruding frame extending outwardly from an opposite end of the body portion where the elongated frame is form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프레임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면과 상기 연장프레임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면은 상기 연장프레임의 두께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 imaginary plane extending from a side face of the protruding frame and a virtual plane extending from a side face of the elongate frame are spaced apart by a thickness of the elongate fram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프레임의 하면은 상기 연장프레임의 두께를 반으로 분할하는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면으로부터 상기 연장프레임 두께의 반 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jecting frame is spaced apart from the imaginary plane extending from the plane dividing the thickness of the extending frame by half the thickness of the extending fra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첨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bent portion forms a tip end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서로 반대방향 측으로 휘어지며 상하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rein the bent portions ar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a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원장치로부터 인가받는 전원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기장이 안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 프레임에는 보조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n auxiliary pole is formed on the extended frame to stabilize an electric field generated by a power source a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극은 첨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auxiliary electrode forms a tip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극은 상기 연장 프레임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auxiliary electrode is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extension frame.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을 이용하며,
유해가스의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집진판;
상기 유동로 내에서 상기 유해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방전봉;
상기 방전봉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장치;
상기 방전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방전봉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방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방전극은 한 쌍이 바디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방전봉에 설치되며, 연장 프레임은 상기 집진판과 대향되되 상기 집진판의 이격 간격을 반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A discharge electrode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1,
A pair of dust collecting plate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to form a flow path of the noxious gas;
A plurality of discharge rods disposed in the flow path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noxious gas;
A power applying unit for applying power to the discharge rod;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electrodes mounted on the discharge ro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rods,
Wherein the pair of discharge electrodes are installed in the discharge bar so that the pair of bodies face each other, and the elongated frame is opposed to the dust collecting plate,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dust collecting plates is divided by half.
KR1020120085763A 2012-08-06 2012-08-06 Discharge electrode f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the same KR1013994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763A KR101399451B1 (en) 2012-08-06 2012-08-06 Discharge electrode f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763A KR101399451B1 (en) 2012-08-06 2012-08-06 Discharge electrode f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557A true KR20140019557A (en) 2014-02-17
KR101399451B1 KR101399451B1 (en) 2014-06-02

Family

ID=50266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763A KR101399451B1 (en) 2012-08-06 2012-08-06 Discharge electrode f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451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0849U (en) * 1981-02-28 1982-09-03
JP2000197833A (en) 1999-01-08 2000-07-18 Sumitomo Heavy Ind Ltd Electric dust collector for tunnel
JP2001025683A (en) 1999-07-15 2001-01-30 Sumitomo Heavy Ind Ltd Electric precipit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451B1 (en) 201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212B1 (en) Wire electrode type ionizer
KR101332908B1 (en) Binding-type electrode f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the same
RU2552566C2 (en) Electric screening device for structures near high-voltage parts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s
PL349962A1 (en) Charged droplet gas scrubber apparatus and method
CN107051730B (en) A kind of ultra-clean purification electrical tar precipitator
KR20140017621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20140093067A (en)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carbon fibers equipped with edge-coated collection plates
KR101065361B1 (en) Plasma generating device
US20180178222A1 (en) Method and arrangement
JP2001121033A (en) Electric precipitator
KR101399451B1 (en) Discharge electrode f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the same
JP2016049466A (en)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1399457B1 (en) Discharge electrode f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the same
CN103706477B (en) Honeycomb type panel lampblack purifier
CN208407339U (en) A kind of industry lampblack cleaning equipment
JP2014107202A (en) Ion generator, and electric apparatus
US20210283621A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N206064633U (en) A kind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its cathod system
CN205761786U (en) Electrostatic oil and smoke cleaner electric field cathode pin fixing device
JP5060887B2 (en) Electrode of discharge electrode part, discharge electrode part using the electrode, and apparatus using the discharge electrode part
CN105944838A (en) Titanium electrode ionization tube for wet electric dust collector
KR101474878B1 (en) Collection Electrode Spacer which is possible assembly for horizontal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2012152686A (en) Electric dust collector,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method for assembling dust collecting electrode
KR102533511B1 (en) Comb tooth type ionizer for electric dust collector
CN204208676U (en) The installation column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ode and the mounting structure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