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273A - Radi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adi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9273A
KR20140019273A KR1020130161263A KR20130161263A KR20140019273A KR 20140019273 A KR20140019273 A KR 20140019273A KR 1020130161263 A KR1020130161263 A KR 1020130161263A KR 20130161263 A KR20130161263 A KR 20130161263A KR 20140019273 A KR20140019273 A KR 20140019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
photographing
torque
driving
dri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2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62692B1 (en
Inventor
양수상
한우섭
황현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1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692B1/en
Publication of KR20140019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2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6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8Auxiliary means for directing the radiation beam to a particular spot, e.g. using light be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6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or the detector unit being mounted to cei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7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tracking of position of the device or parts of the device

Abstract

Disclosed is a radiographic apparatus moved by a weak force. The radiographic apparatus includes a photographing device arranged to be moved; a measurement device for measuring at least one of an external force and a torque applied to the photographing device; and a driving device for straightly moving and rotating the photograph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at least one direction of the torque and the forc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device. [Reference numerals] (110) Driving device; (120) Measurement device; (130) Control device; (70) Photographing device

Description

엑스레이촬영시스템 및 그 이동 방법 {RADI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THE SAME}X-ray imaging system and its moving method {RADI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은 힘으로 이동 가능한 엑스레이촬영시스템과 그 이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x-ray imag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x-ray imaging system and a method for moving the x-ray imaging system.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은 엑스레이(X-RAY)를 이용하여 인체 내부의 영상을 얻는 기기이다.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은 외관으로 확인할 수 없는 인체 내부의 상해 또는 질병 등의 검사에 이용된다.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은 인체의 두부, 흉부 등의 촬영 부위에 엑스레이를 조사하고 투과되는 엑스레이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인체 내부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An x-ray imaging system is an apparatus that acquires an image of the inside of a human body using an X-ray. The X-ray imaging system is used for inspections of injuries or illnesses inside the human body which can not be confirmed by appearance. The X-ray imaging system is capable of obtaining images of the inside of the human body by irradiating X-rays to the areas of the human head, chest, etc. and detecting transmitted X-rays.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은 촬영 부위에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엑스레이튜브(X-RAY TUBE)를 구비한다. 엑스레이튜브는 다양한 인체의 부위를 검사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The X-ray imaging system is equipped with an X-ray tube that irradiates the X-rays at the imaging site. The x-ray tube is movable to allow inspection of various parts of the human body.

일반적으로 천장형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은 검사실의 천장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포스트프레임을 구비한다. 그리고, 엑스레이튜브는 포스트프레임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Generally, a ceiling-mounted x-ray imaging system has one or more guide rails mounted on the ceiling of a laboratory and a post frame foldably connected to the guide rails. The X-ray tube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post frame.

최근에는 천장형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의 이동축에 액추에이터(actuator)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입력하면, 엑스레이튜브가 입력된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는 자동 이동모드가 구현되어 있다.In recent years, when an actuator is installed on a moving axis of a ceiling-mounted x-ray imaging system and a desired position is input, an automatic moving mode in which an x-ray tube is automatically moved to an input position is implemented.

또한,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엑스레이튜브를 이동시킬 수 있는 수동 이동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수동 이동모드를 위하여 수동조작스위치가 엑스레이튜브 주위에 마련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수동조작스위치를 이용하여 자동 이동모드에서 수동 이동모드로 전환한 후 엑스레이튜브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x-ray imaging system can support a manual movement mode in which the user can manually move the x-ray tube. For the manual movement mode, a manual operation switch can be provided around the x-ray tube, and the user can manually move the x-ray tube after switching from the automatic movement mode to the manual movement mode using the manual operation switch.

엑스레이튜브의 무게 및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의 각 구동축에서의 마찰저항 등으로 인하여 수동 이동모드에서 엑스레이튜브를 이동시키려면 사용자는 큰 힘 또는 토크를 엑스레이튜브에 가하여야 한다. 따라서, 반복적으로 엑스레이튜브를 이동시킬 때 사용자는 육체적인 피로를 느낄 수 있다.Due to the weight of the X-ray tube and the frictional resistance of each drive shaft of the X-ray imaging system, the user must apply a large force or torque to the X-ray tube to move it in the manual movement mode. Therefore, when the X-ray tube is repeatedly moved, the user may feel physical fatigu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작은 힘으로 이동 가능한 엑스레이촬영시스템과 그 이동 방법을 개시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x-ray imaging system capable of moving with a small force and a method of moving the sam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촬영장치;와 상기 촬영장치에 작용하는 외부의 힘과 토크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측정장치;와 상기 측정장치에 의하여 측정되는 힘과 토크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 및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촬영장치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X-ra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device arranged to be movable, a measuring device provided to measure at least one of an external force and a torque acting on the photographing device, And a driving device for moving the photograph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at least one direction and magnitude of a force and a torque.

천장에 고정되어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촬영장치에 작용하는 외부의 힘을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제1포스센서(first force sensor)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촬영장치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first guide rail fixed to the ceiling and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being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first guide rail, And a first force sensor arranged to measure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device, the driving device including a first driving device arranged to move the photographing device in the first direction .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촬영장치에 작용하는 외부의 힘을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제2포스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촬영장치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구동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econd guide rail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guide rail, where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ves along the second guide rail in the second direction Wherein the measur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second force sensor provided to measure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photographing devic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driving device moves the photographing device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driving device may be provided.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직교하는 제3방향으로 그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배치되는 포스트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포스트프레임의 길이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상기 제3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제3방향으로 상기 촬영장치에 작용하는 외부의 힘을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제3포스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촬영장치를 상기 제3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제3구동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post frame disposed so as to increase or decrease its length in a first direction and a thir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measur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third force sensor arranged to measure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photographing device in the third direction, and the driving device moves the photographing device in the third direction And a third driving device arranged to move the first driving device to the second driving device.

상기 제3포스센서는 상기 제3구동장치의 출력부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force sensor may be disposed around an output portion of the third driving device.

상기 제3방향과 평행한 축의 회전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4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회전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장치는 제1회전조인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4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제4방향으로 상기 촬영장치에 작용하는 토크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제1토크센서(first torque sensor)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촬영장치를 상기 제4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4구동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first rotary joint rotatable in a fourth direction defined by a rotation direction of an axis parallel to the third direction, where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first rotary joint and is rotatable in the fourth direction , The measur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first torque sensor arranged to measure a torque acting o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n the fourth direction, and the driving apparatus rotates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n the fourth direction And a fourth drive device for driving the second drive motor.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한 축의 회전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5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회전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장치는 제2회전조인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5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제5방향으로 상기 촬영장치에 작용하는 외부의 토크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제2토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촬영장치를 상기 제5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5구동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econd rotation joint rotatable in a fifth direction defined by a rotation direction of an axi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rotatable in the fifth direction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joint , The measur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second torque sensor provided to measure an external torque acting o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n the fifth direction, and the driving apparatus includes a fifth torque sensor for rotat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n the fifth direc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device.

상기 측정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에 각각 연결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driving device, respectively.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측정장치에서 측정되는 값에 상응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력의 크기 및 구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may control a magnitude and a driving direction of a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device in correspondence with a value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상기 측정장치는 서로 직교하는 세 개의 축에 각각 작용하는 힘과 상기 세 개의 축 중 적어도 두 개의 축에 각각 작용하는 토크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포스/토크센서(force/torque sensor)일 수 있다.The measuring device may be a force / torque sensor arranged to measure a force acting on three axes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a torque acting on each of at least two axes of the three axes.

상기 촬영장치에 힘 또는 토크를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촬영장치의 측면에 고정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스/토크센서는 상기 손잡이와 상기 촬영장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handle fixed to a side surfac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so as to apply a force or a torque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wherein the force / torque sensor can be disposed between the handle and the photographing apparatus.

상기 촬영장치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촬영장치에 연결되는 회전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스/토크센서는 상기 촬영장치와 상기 회전조인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nd a rotation joint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device such that the photographing device is rotatable, and the force / torque sensor can be disposed between the photographing device and the rotary joint.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의 이동 방법은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촬영장치와, 상기 촬영장치에 가하여지는 힘과 토크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측정장치와, 상기 촬영장치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촬영장치에 연결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이고, 상기 촬영장치를 직선 또는 회전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촬영장치에 힘과 토크 중 적어도 하나가 가하여지고; 상기 측정장치가 상기 촬영장치에 가하여진 힘과 토크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상기 구동장치가 측정되는 힘과 토크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 및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촬영장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oving an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a photographing device for irradiating an X-ray, a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at least one of a force and a torque applied to the photographing device, Wherein at least one of a force and a torque is applied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n order to linearly or rotationally mov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The measuring device measures at least one of a force and a torque applied to the photographing device; Mov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at least one direction and magnitude of a force and a torque to be measured by the driving apparatus; And the like.

상기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은 상기 측정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에 각각 연결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되는 힘과 토크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 및 크기에 상응하는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 방향 및 구동력의 크기를 결정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X-ray imag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driving device, respectively, wherein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driving device and the driving devic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direction and magnitude of force and torque measured from the measuring device Determining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direction and the driving forc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device.

상기 제어장치가 주기적으로 상기 측정장치에서 측정되는 힘 및 토크의 방향 및 크기를 감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may further comprise periodically monitoring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force and torque measured at the measuring device.

상기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촬영장치에 고정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파지할 때에만 상기 측정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가 동작할 수 있다.The X-ray photographing system includes a handle fixed to the photographing device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X-ray photographing system, and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driving device can operate only when the user grasps the hand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사상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의 이동 방법은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촬영장치와, 상기 촬영장치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촬영장치에 연결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장치에 외부의 힘 및 토크가 작용하지 않을 때에 상기 구동장치의 제1전류값을 측정하고; 상기 촬영장치에 외부의 힘과 토크 중 적어도 하나가 작용할 때 상기 구동장치의 제2전류값을 측정하고; 상기 제1전류값과 상기 제2전류값이 차이를 통하여 상기 촬영장치에 가하여지는 외부의 힘과 토크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 및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토크의 방향 및 크기에 상응하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촬영장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oving an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a photographing device for irradiating an X-ray and a driving device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device for moving the photographing device, Measuring a first current value of the drive device when no torque is applied; Measuring a second current value of the driving device when at least one of an external force and a torque acts on the photographing device; Determining at least one direction and magnitude of an external force and a torque applied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urrent value and the second current value; Mov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by operating the driving apparatus so as to correspond to the determined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torque; .

촬영장치에 임의의 방향으로 힘 또는 토크를 가하면 구동장치가 그에 상응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촬영장치를 원하는 위치로 쉽게 직선 또는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촬영장치의 이동 초기에 사용자가 촬영장치를 직접 이동시키지 않아도 구동장치가 동작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촬영장치에 가하여야하는 힘 또는 토크가 최소화 될 수 있다.When a force or a torque is applied to the photographing device in an arbitrary direction, the driving device operates correspondingl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linearly or rotationally move the photographing device to a desired position. Since the driving device can be operated without moving the photographing device directly at the beginning of the photographing device, the force or torque that the user has to apply to the photographing device can be minimized.

또한, 측정장치에서 측정되는 힘 또는 토크에 상응하여 구동장치가 동작되기 때문에 촬영장치의 이동 알고리즘을 단순화하여 촬영장치의 직선 또는 회전 이동을 정교하게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riving device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force or torque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the moving algorithm of the photographing device can be simplified to precisely implement the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of the photograph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서 이동손잡이 주위를 도시한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서 포스/토크센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의 이동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의 이동 방법을 도시한 도면.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n X-ra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X-ra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X-ra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moving handle in an X-ra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X-ra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ce / torque sensor in an X-ra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llustrates a method of moving an X-ra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llustrates a moving method of an X-ra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서 이동손잡이 주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n X-ra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X-ra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X-ra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moving handle in an X-ra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장치(70)는 측정장치(120) 및 구동장치(110)에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제어장치(130)는 측정장치(120) 및 구동장치(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1,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is physically coupled to the measuring apparatus 120 and the driving apparatus 110, and the controlling apparatus 130 electrically connects the measuring apparatus 120 and the driving apparatus 110 to each other Lt; / RTI >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configuration will be given later.

도 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레이촬영시스템(1)은 가이드레일(30)과, 이동캐리지(40)와, 포스트프레임(50)과, 촬영장치(70)와, 구동장치(1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엑스레이촬영시스템(1)은 각각 엑스레이수신부(11, 21)를 구비하는 촬영스탠드(10) 및 촬영테이블(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2 to 4, the X-ray imaging system 1 includes a guide rail 30, a movable carriage 40, a post frame 50, a photographing apparatus 70, a driving apparatus 110 . The X-ray imaging system 1 may further include a photographing stand 10 and a photographing table 20 having X-ray receiving units 11 and 21, respectively.

가이드레일(30), 이동캐리지(40), 포스트프레임(50) 등은 촬영장치(70)를 피촬영체를 향하여 이동하기 위하여 마련된다.The guide rail 30, the movable carriage 40, the post frame 50, and the like are provided for mov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toward the photographed body.

가이드레일(30)은 서로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31)과 제2가이드레일(32)을 포함한다. 제1가이드레일(31)과 제2가이드레일(32)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rail 30 includes a first guide rail 31 and a second guide rail 32 installed at predetermined angles relative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guide rail 31 and the second guide rail 32 extend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제1가이드레일(31)은 엑스레이촬영시스템(1)이 배치되는 검사실의 천장에 설치된다. 제2가이드레일(32)은 제1가이드레일(31)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1가이드레일(3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가이드레일(31)에는 제1가이드레일(31)을 따라 이동 가능한 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레일(32)은 이 롤러(미도시)에 연결되어 제1가이드레일(3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guide rail 31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examination room where the X-ray imaging system 1 is disposed. The second guide rail 32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guide rail 31 and is slidably mounted on the first guide rail 31. The first guide rail 31 may be provided with rollers (not shown) movable along the first guide rails 31. The second guide rail 32 is connected to the roller (not shown) and can move along the first guide rail 31.

제1가이드레일(31)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1방향(D1)이 정의되고, 제2가이드레일(3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2방향(D2)이 정의된다. 따라서, 제1방향(D1)과 제2방향(D2)은 서로 직교하고 검사실의 천장과 평행할 수 있다.A first direction D1 is def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guide rail 31 extends and a second direction D2 is def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uide rail 32 extends. Therefore,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parallel to the ceiling of the examination room.

이동캐리지(40)는 제2가이드레일(3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2가이드레일(32)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동캐리지(40)에는 제2가이드레일(32)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캐리지(40)는 제2가이드레일(32)과 함께 제1방향(D1)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2가이드레일(32)을 따라 제2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하다.The movable carriage 40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guide rail 32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32. The moving carriage 40 may be provided with a roller (not shown) provided to mov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32. The movable carriage 40 is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D1 along with the second guide rail 32 and is movable in the second direction D2 along the second guide rail 32. [

포스트프레임(50)은 이동캐리지(40)에 고정되어 이동캐리지(40)의 하측에 위치된다. 포스트프레임(50)은 복수 개의 포스트(51, 52, 53, 54, 55)를 구비할 수 있다.The post frame 50 is fixed to the movable carriage 40 and positioned below the movable carriage 40. The post frame 50 may have a plurality of posts 51, 52, 53, 54, 55.

복수 개의 포스트(51, 52, 53, 54, 55))는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포스트프레임(50)은 이동캐리지(40)에 고정된 채로 검사실의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포스트프레임(50)의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제3방향(D3)이 정의된다. 따라서, 제3방향(D3)은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과 서로 직교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osts 51, 52, 53, 54 and 55 are foldab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length of the post frame 50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examination chamber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while being fixed to the moving carriage 40 . A third direction D3 is def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ength of the post frame 50 increases or decreases. Therefore, the third direction D3 can be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촬영장치(70)는 피촬영체에 엑스레이(X-RAY)를 조사하는 장치이다. 촬영장치(70)는 일반적인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이 구비하는 엑스레이튜브일 수 있다. 엑스레이튜브는 엑스레이를 발생시키는 엑스레이발생원(71)과, 발생되는 엑스레이를 피촬영체를 향하여 안내하는 콜리메이터(collimator)(72)를 구비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is an apparatus for irradiating an object to be photographed with X-rays.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may be an X-ray tube provided in a general X-ray photographing system. The x-ray tube may include an x-ray source 71 for generating an x-ray and a collimator 72 for guiding the generated x-ray toward the imaged object.

촬영장치(70)와 포스트프레임(50) 사이에는 회전조인트(60)가 배치된다. 회전조인트(60)는 촬영장치(70)를 포스트프레임(50)에 결합시키고 촬영장치(70)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한다.A rotation joint 60 is disposed betwee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and the post frame 50. The rotary joint 60 couples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to the post frame 50 and supports a load acting o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

회전조인트(60)는 포스트프레임(50)의 하단 포스트와 연결되는 제1회전조인트(61)와, 촬영장치(70)와 연결되는 제2회전조인트(62)를 구비할 수 있다.The rotary joint 60 may include a first rotary joint 61 connected to the lower end post of the post frame 50 and a second rotary joint 62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제1회전조인트(61)는 검사실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포스트프레임(5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제1회전조인트(61)는 제3방향(D3)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제1회전조인트(61)의 회전 방향을 새롭게 정의할 수 있는데, 새롭게 정의되는 제4방향(D4)은 제3방향(D3)과 평행한 축의 회전 방향이다.The first rotary joint 61 is rotatable about the center axis of the post frame 5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examination room. Therefore, the first rotary joint 61 can rotate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third direction D3. At this tim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rotary joint 61 can be newly defined, and the newly defined fourth direction D4 i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axis parallel to the third direction D3.

제2회전조인트(62)는 검사실의 천장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제2회전조인트(62)는 제1방향(D1) 또는 제2방향(D2)과 평행한 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제2회전조인트(62)의 회전 방향을 새롭게 정의할 수 있는데, 새롭게 정의되는 제5방향(D5)은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의 회전 방향이다.The second rotary joint 62 is rotatable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ceiling of the examination room. Therefore, the second rotary joint 62 can rotate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axi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D1 or the second direction D2. At this tim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rotary joint 62 can be newly defined, and the newly defined fifth direction D5 i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axi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촬영장치(70)는 회전조인트(60)에 연결되어 제4방향(D4) 및 제5방향(D5)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촬영장치(70)는 회전조인트(60)에 의하여 포스트프레임(50)에 연결되어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 및 제3방향(D3)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may be connected to the rotary joint 60 and rotated in the fourth direction D4 and the fifth direction D5.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may be connected to the post frame 50 by the rotary joint 60 and may linearl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D1, the second direction D2 and the third direction D3.

촬영장치(70)를 제1방향(D1) 내지 제5방향(D5)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구동장치(110)가 마련된다. 구동장치(110)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모터일 수 있다. 구동장치(110)는 각각의 방향에 대응하여 제1,2,3,4,5구동장치(111, 112, 113, 114, 115)를 구비할 수 있다.A driving device 110 is provided to mov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in the first direction D1 to the fifth direction D5. The driving device 110 may be an electrically driven motor. The driving device 110 may include first,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driving devices 111, 112, 113, 114, and 115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directions.

각각의 구동장치(111, 112, 113, 114, 115)는 설계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가이드레일(32)을 제1방향(D1)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장치(111)는 제1가이드레일(31) 주위에 배치되고, 이동캐리지(40)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장치(112)는 제2가이드레일(32) 주위에 배치되고, 포스트프레임(50)의 길이를 제3방향(D3)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제3구동장치(113)는 이동캐리지(4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촬영장치(70)를 제4방향(D4)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제4구동장치(114)는 제1회전조인트(61) 주위에 배치되고, 촬영장치(70)를 제5방향(D5)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제5구동장치(115)는 제2회전조인트(62)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Each of the driving devices 111, 112, 113, 114, and 115 may be disposed at various positions in consideration of design convenience. For example, the first driving device 111 for moving the second guide rail 32 in the first direction D1 is disposed around the first guide rail 31, and moves the movable carriage 40 in the second direction The third driving device 113 for moving the post frame 50 in the third direction D3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guide rail 32 and the third driving device 113 for moving the post frame 50 in the third direction D3 And may be disposed within the movable carriage 40. [ The fourth driving device 114 that rotates the photographing device 70 in the fourth direction D4 is disposed around the first rotating joint 61 and rotates the photographing device 70 in the fifth direction D5, The fifth driving device 115 may be disposed around the second rotary joint 62. [

각각의 구동장치(110)는 촬영장치(70)를 제1방향(D1) 내지 제5방향(D5)으로 직선 또는 회전 이동시키도록 동력전달수단(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벨트와 풀리, 체인과 스프라킷, 샤프트 등 일 수 있다.Each driving device 110 may be connected to power transmission means (not shown) so as to linearly or rotationally move the photographing device 70 in the first direction D1 to the fifth direction D5.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not shown) may be a commonly used belt and pulley, chain and sprocket, shaft or the like.

촬영장치(70)의 주위에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이동손잡이(8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동손잡이(80)는 촬영장치(70)에 고정되고, 사용자는 이동손잡이(80)를 파지하여 힘 또는 토크를 가함으로써 촬영장치(7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촬영장치(70)의 이동에 관하여는 후술한다.A moving handle 80 may be provided around the photographing device 70 so that the user can grasp it. The shift knob 80 is fixed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and the user can mov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by holding the shift knob 80 and applying a force or a torque. The movement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will be described later.

엑스레이 촬영에 관한 각종 정보를 입력하고 각각의 장치들을 조작하도록 조작패널(90)이 마련될 수 있다. 조작패널(90)은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데, 촬영장치(70)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An operation panel 90 may be provided to input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X-ray imaging and to operate each of the devices. The operation panel 90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 can easily operate, and can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각각의 구동장치(110)와 조작패널(90) 등을 포함하여 엑스레이촬영시스템(1)에 구비되는 장치들에 연결되어 이들을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장치(130)가 마련된다.A control device 130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devices provided in the X-ray imaging system 1 including the respective driving devices 110 and the operation panel 90 and to control them respectively.

제어장치(130)는 각각의 구동장치(110)와 연결되어 촬영장치(7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패널(90)에 원하는 촬영 위치를 입력하면 제어장치(130)는 현재 위치와 입력된 촬영 위치를 판단하여 구동이 필요한 구동장치(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동장치(110)의 동작에 따라 촬영장치(70)는 사용자가 원하는 촬영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자동 이동모드라고 한다.The control device 130 may be connected to each driving device 110 to move the photographing device 70 to a desired posi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a desired photographing position on the operation panel 90,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inputted photographing positi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device 110 that requires driv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can be moved to a desired photographing position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apparatus 110. [ This is called automatic movement mode.

또한, 사용자가 직접 힘 또는 토크를 가하여 촬영장치(7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수동 이동모드라고 한다. 자동 이동모드에서 수동 이동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모드전환부(81)가 마련될 수 있다. 모드전환부(81)는 스위치이거나, 조작패널(90)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모드전환부(81)는 스위치의 형태로 이동손잡이(8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모드전환부(81)는 이동손잡이(80)와 일체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이동손잡이(80)를 파지하면 수동 이동모드로 전환되고 이동손잡이(80)를 놓으면 자동 이동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directly apply the force or torque to mov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This is called manual movement mode. A mode switching unit 81 may be provided to switch from the automatic moving mode to the manual moving mode. The mode switching unit 81 may be a switch or integrated with the operation panel 90. [ The mode switching unit 81 may be mounted on the shift knob 80 in the form of a switch. The mode switching unit 81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shift knob 80 so that when the user grasps the shift knob 80, the mode switching unit 81 is switched to the manual shift mode and the shift knob 80 is shifted to the automatic shift mode.

수동 이동모드에서, 사용자가 촬영장치(70)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하여는 각 구동장치(110)의 주위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극복해야 하기 때문에 큰 힘 또는 토크가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촬영장치(70)에 힘 또는 토크를 가할 때 사용자의 이동 의도를 파악하여 구동장치(110)를 그에 상응하여 동작시키면 보다 작은 힘 또는 토크로도 촬영장치(70)를 이동시킬 수 있다.In the manual moving mode, in order to move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by the user, a large force or torque is required because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around each driving apparatus 110 must be overcome. Accordingly, when the user grasps the user's intention to move when the user applies force or torque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and operates the driving apparatus 110 correspondingly,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can be moved with a smaller force or torque have.

따라서, 엑스레이촬영시스템(1)은 사용자의 이동 의도를 파악하도록 사용자가 가하는 힘 또는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120)를 구비한다.Accordingly, the x-ray imaging system 1 has a measuring device 120 for measuring the force or torque applied by the user to grasp the user's intention to move.

제어장치(130)가 측정장치(120)에서 측정되는 힘 또는 크기에 상응하여 구동장치(110)를 동작시키도록 측정장치(120)는 제어장치(130)와 연결된다.The measuring device 12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130 so that the control device 130 operates the driving device 110 in accordance with the force or the size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120. [

측정장치(120)는 제1,2,3방향(D1, D2, D3)의 힘을 측정하기 위한 제1,2,3포스센서(force sensor)(121, 122, 123)와, 제4,5방향(D4, D5)의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제1,2토크센서(torque sensor)(124, 125)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ing device 120 includes first, second and third force sensors 121, 122 and 123 for measuring the force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rections D1, D2 and D3, And first and second torque sensors 124 and 125 for measuring the torque in five directions D4 and D5.

제1포스센서(121)는 제1방향(D1)의 힘의 방향 및 크기를 측정하도록 마련된다. 제1포스센서(121)는 제1방향(D1)의 힘을 전달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포스센서(121)는 제1구동장치(111)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방향(D1)으로 가하는 힘은 제1구동장치(111)의 출력단에 전달되기 때문에 제1포스센서(121)를 제1구동장치(111)의 출력단에 연결하면 힘의 방향과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The first force sensor 121 is provided to measure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force in the first direction D1. The first force sensor 121 is disposed at a position capable of transmitting the force in the first direction D1. As shown in FIG. 2, the first force sensor 121 may be disposed around the first driving device 111. Since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in the first direction D1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driving device 111, when the first force sensor 12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driving device 111, Can be measured.

제1포스센서(121)는 제1구동장치(111)의 주위에 위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1방향(D1)의 힘을 측정할 수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포스센서(121)는 촬영장치(70)와 회전조인트(60) 사이, 회전조인트(60)와 포스트프레임(50)의 하단 포스트 사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포스센서(121)가 촬영장치(70)와 회전조인트(60) 사이에 배치될 때, 제1포스센서(121)는 촬영장치(70)를 거치지 않고 직접 포스트프레임(50)에 가하여지는 제1방향(D1)의 힘을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 사용자는 촬영장치(70)를 제1방향(D1)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이동손잡이(80) 또는 촬영장치(70)에 제1방향(D1)의 힘을 가하여야 한다.The first force sensor 121 is not limited to being located around the first driving device 111 but may be positioned anywhere that the force in the first direction D1 can be measured. For example, the first force sensor 12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and the rotary joint 60, between the rotary joint 60 and the lower end posts of the post frame 50, and the like. When the first force sensor 121 is disposed betwee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and the rotary joint 60, the first force sensor 121 is directly attached to the post frame 5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 It is not possible to measure the force in the first direction D1 applied. Therefore, in this case, the user must apply the force in the first direction D1 to the moving knob 80 or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in order to mov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in the first direction D1.

마찬가지로, 제2포스센서(122)와 제3포스센서(123)도 각각 제2방향(D2)과 제3방향(D3)의 힘을 측정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포스센서(122)는 제2구동장치(112)의 출력단 주위에 배치되고, 제3포스센서(123)는 제3구동장치(113)의 출력단 주위에 배치된다.Similarly, the second force sensor 122 and the third force sensor 123 may be disposed at any positions capable of measuring the force in the second direction D2 and the third direction D3, respectively. 2, the second force sensor 122 is disposed around the output end of the second driving device 112, and the third force sensor 123 is disposed around the output end of the third driving device 113 do.

제1토크센서(124)는 제4방향(D4)의 토크의 방향 및 크기를 측정하도록 마련된다. 사용자가 촬영장치(70)를 제4방향(D4)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4방향(D4)의 토크를 가하면 제1토크센서(124)는 그 토크의 방향 및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토크센서(124)는 제4방향(D4)의 토크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토크센서(124)는 포스트프레임(50)의 하단 포스트와 제1회전조인트(61) 배치된다. 제1토크센서(124)는 포스트프레임(50)의 하단 포스트와 제1회전조인트(61)와 각각 연결된다.The first torque sensor 124 is provided to measure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torque in the fourth direction D4. When the user applies a torque in the fourth direction D4 to rotat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in the fourth direction D4, the first torque sensor 124 can measure the direction and the magnitude of the torque. Therefore, the first torque sensor 124 is disposed at a position capable of measuring the torque in the fourth direction D4. 2, the first torque sensor 124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post frame 50 and at the first rotational joint 61. The first torque sensor 124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ost frame 50 and the first rotary joint 61, respectively.

제2토크센서(125)는 제5방향(D5)의 힘을 측정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토크센서(125)는 제2회전조인트(62)와 촬영장치(70) 사이에 배치된다.The second torque sensor 125 may be disposed at any position capable of measuring the force in the fifth direction D5.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torque sensor 125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rotary joint 62 and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Fig.

이상에서는 각각의 방향의 힘 또는 토크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제1,2,3포스센서(121, 122, 123)와 제1,2토크센서(124, 125)를 설명하였으나, 두 개 이상의 센서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2,3포스센서(121, 122, 123)는 서로 직교하는 세 방향의 힘을 측정할 수 있는 포스센서로 대체될 수 있고, 제1,2토크센서(124, 125)는 두 방향의 토크를 측정할 수 있는 토크센서로 대체될 수 있다. 이 외에도 포스센서와 토크센서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조합으로 측정장치(120)를 구성할 수 있다.Alth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force sensors 121, 122, 123 and the first and second torque sensors 124, 125 are provided to measure force or torque in each direction,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For example, the first, second and third force sensors 121, 122, and 123 may be replaced by force sensors capable of measuring forces in three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torque sensors 124 and 125 ) Can be replaced by a torqu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orque in two directions. In addition, the measuring apparatus 120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combina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ce sensor and the torque sensor.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서 포스/토크센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5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X-ra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rce / torque sensor in an X-ra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장치(120)는 포스/토크센서(force torque sensor)(126)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A-5B, the measuring device 120 may include a force torque sensor 126.

포스/토크센서(126)는 서로 직교하는 세 방향의 힘과, 세 방향의 각각에 대한 회전 방향의 토크를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포스/토크센서(126)는 모두 여섯 개의 축의 힘 또는 토크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1방향(D1) 내지 제3방향(D3)에서 전달되는 세 방향의 힘과 제4방향(D4) 내지 제5방향(D5)에서 전달되는 두 방향의 토크를 측정할 수 있다.The force / torque sensor 126 may be provided to measure forces in three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torqu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f the three directions. Since the force / torque sensor 126 can measure the forces or torques of all six axes, the force in three directions transmitted in the first direction D1 to the third direction D3 and the forces in the fourth direction D4, The torque in the two directions transmitted in the fifth direction D5 can be measured.

포스/토크센서(126)에서 측정되는 힘 또는 토크의 방향 및 크기가 제어장치(130)에 전달되도록 포스/토크센서(126)는 제어장치(130)에 연결된다.The force / torque sensor 126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30 so that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force or torque measured at the force / torque sensor 126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30.

포스/토크센서(126)는 촬영장치(70)에 전달되는 힘 또는 토크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이동 의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촬영장치(70) 주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포스/토크센서(126)는 이동손잡이(80)와 촬영장치(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수동 이동모드에서 사용자는 이동손잡이(80)를 파지하고 이동손잡이(80)에 힘 또는 토크를 가하기 때문에 이동손잡이(80)에 포스/토크센서(126)를 연결하면 손잡이에 가하여지는 정확한 힘 또는 토크를 측정할 수 있다.The force / torque sensor 126 is preferably disposed around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so as to measure a force or torque transmitted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to grasp the user's will to move. Accordingly, the force / torque sensor 126 can be disposed between the shift knob 80 and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 When the force / torque sensor 126 is connected to the shift knob 80 because the user grasps the shift knob 80 and applies the force or torque to the shift knob 80 in the manual shift mode, the correct force or torque Can be measured.

또한, 포스/토크센서(126)는 촬영장치(70)와 회전조인트(60) 사이에 배치되어 촬영장치(70)와 회전조인트(6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손잡이(80) 대신 촬영장치(70)에 직접 힘 또는 토크를 가할 때 포스/토크센서(126)가 상기와 같은 위치에 배치되면 힘 또는 토크를 측정할 수 있다.The force / torque sensor 126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and the rotary joint 60 and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and the rotary joint 60, respectively. The force or torque can be measured when the force / torque sensor 126 is placed in the above-mentioned position when the user directly applies force or torque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instead of the shift knob 80.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의 이동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illustrating a moving method of an X-ra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는 자동 이동모드에서 수동 이동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210).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모드전환부(81)를 조작함으로써 수동 이동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드전환부(81)가 도 2에 도시된 이동손잡이(80)와 일체로 마련되면 사용자가 이동손잡이(80)를 파지할 때 수동 이동모드가 시작된다.The user may switch 210 from the automatic movement mode to the manual movement mode. The user can start the manual movement mode by operating the mode switching unit 81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de switching unit 81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shift knob 80 shown in FIG. 2, the manual shift mode is started when the user grips the shift knob 80.

도 2에 도시된 측정장치(120)는 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 가하여지는 힘 또는 토크를 측정한다(220). 측정장치(120)는 이 측정치를 도 2에 도시된 제어장치(130)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제어장치(130)는 측정장치(120)와 주기적으로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힘 또는 토크의 측정치를 감시할 수도 있다.The measurement apparatus 120 shown in FIG. 2 measures the force or torque applied to the X-ray imaging system (220). The measuring device 120 may transmit the measured value to the control device 130 shown in Fig. Alternatively, the control device 130 may periodically measure and measure a force or a torque while exchanging electrical signals periodically with the measuring device 120.

제어장치(130)는 측정되는 힘 또는 토크에 상응하여 구동장치(110)의 구동력의 방향 및 크기를 결정한다(230). 측정되는 힘 또는 토크의 방향은 구동장치(110)의 구동력의 방향과 일치하고, 측정되는 힘 또는 토크의 크기는 구동장치(110)의 구동력의 크기와 비례할 수 있다. 힘 또는 토크의 크기와 구동장치(110)의 구동력의 크기 간의 비례 관계는 제어장치(130)에 미리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130 determines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device 110 in accordance with the force or torque to be measured (230). The direction of the force or the torque to be measured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device 110 and the magnitude of the force or torque to be measured may be proportional to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device 110. [ The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gnitude of the force or the torque and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device 110 may be input in advance to the control device 130. [

제어장치(130)는 결정된 구동장치(110)의 구동력의 방향 및 크기에 따라 구동장치(110)를 동작시킨다(240). 따라서, 구동장치(110)와 연결되는 도 2에 도시된 촬영장치(70)는 직선 또는 회전 이동할 수 있다(250).The control device 130 operates the driving device 11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device 110 (240). Accordingly, the photographing apparatus 70 shown in FIG. 2 connected to the driving apparatus 110 can be moved linearly or rotationally (250).

수동 이동모드가 종료되었는지 확인한다(260). 모드전환부(81)가 이동손잡이(80)와 일체로 마련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손잡이(80)를 놓으면 수동 이동모드가 종료된다(270). 수동 이동모드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다시 엑스레이촬영시스템(1)에 힘 또는 토크가 가하여지는지를 확인한다(220).And confirms whether the manual movement mode is terminated (260). When the mode switching unit 81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shift knob 80, when the user releases the shift knob 80, the manual shift mode ends (270). If the manual movement mode has not been terminated, it is checked whether force or torque is applied to the X-ray imaging system 1 again (22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의 이동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illustrating a moving method of an X-ra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구동장치(110)는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모터이다.The driving device 110 shown in Fig. 2 is an electrically operated motor.

수동 이동모드가 시작되면(310), 구동장치(110)를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확인한다(320). 구동장치(110)가 정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 힘 또는 토크를 가하면 그 힘 또는 토크가 구동장치(110)에 전달되어 구동장치(110)에 흐르는 전류에 변화가 발생한다. 따라서, 구동장치(110)에 흐르는 전류의 측정치에 변화가 발생하면 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 힘 또는 토크가 가하여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때, 구동장치(110)는 도 2에 도시된 측정장치(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When the manual movement mode is started (310), a change i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riving device 110 is confirmed (320). When the user applies a force or a torque to the X-ray imaging system in a state where the driving apparatus 110 is stopped, the force or torque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apparatus 110 to cause a change in the current flowing in the driving apparatus 110. Therefore, when a change in the measured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riving device 110 occurs, it can be seen that force or torque is applied to the X-ray imaging system. At this time, the driving apparatus 110 may be regarded as including the measuring apparatus 120 shown in FIG.

도 2에 도시된 제어장치(130)는 전류의 측정치 변화에 상응하여 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 가하여지는 힘 또는 토크의 방향 및 크기를 판단한다(330). 구동장치(110)에서 측정되는 전류 변화의 크기는 구동장치(110)에 전달되는 힘 또는 토크의 크기에 비례하고, 전류의 변화의 부호(플러스 또는 마이너스)는 전달되는 힘 또는 토크의 방향에 상응한다. 따라서, 구동장치(110)에 힘 또는 토크가 전달되지 않을 때의 전류 측정치를 알고 있으면, 구동장치(110)의 전류 측정치의 변화를 이용하여 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 가하여지는 힘 또는 토크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shown in FIG. 2 determines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force or torque applied to the X-ray imag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current (330).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change measured at the drive device 110 is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force or torque transmitted to the drive device 110 and the sign of the change in current (plus or minus)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of the transmitted force or torque do. Therefore, if the current measurement value when the force or the torque is not transmitted to the driving apparatus 110 is known, a change in the current measurement value of the driving apparatus 110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force or torque applied to the X-ray imaging system .

제어장치(130)는 앞서 판단된 엑스레이촬영시스템에 가하여지는 힘 또는 토크에 상응하여 구동장치(110)의 구동력의 방향 및 크기를 결정한다(340).The control device 130 determines the direction and size of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device 110 in accordance with the force or the torque applied to the x-ray imaging system determined in operation 340.

제어장치(130)는 결정된 구동력의 방향 및 크기에 따라 구동장치(110)를 동작시키고(350), 구동장치(110)와 연결되는 도 2에 도시된 촬영장치(70)는 직선 또는 회전 이동한다(360).The control device 130 operates the driving device 11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driving force and the photographing device 70 shown in Fig. 2 connected to the driving device 110 moves linearly or rotationally (360).

수동 이동모드가 종료되었는지 확인하고(370), 수동 이동모드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다시 구동장치(110)의 전류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한다.Check whether the manual movement mode is terminated (370), and if the manual movement mode is not terminated, check whether the current change of the driving apparatus 110 occurs again.

10 : 촬영스텐드 20 : 촬영테이블
30 : 가이드레일 40 : 이동캐리지
50 : 포스트프레임 60 : 회전조인트
70 : 촬영장치 80 : 손잡이
90 : 조작패널 110 : 구동장치
120 : 측정장치 130 : 제어장치
10: Shooting stand 20: Shooting table
30: guide rail 40: moving carriage
50: post frame 60: rotary joint
70: photographing apparatus 80: handle
90: Operation panel 110: Driving device
120: Measuring device 130: Control device

Claims (17)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촬영장치;
상기 촬영장치에 작용하는 외부의 힘과 토크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측정장치;
상기 측정장치에 의하여 측정되는 힘과 토크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 및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촬영장치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시스템.
A photographing device arranged to be movable;
A measuring device provided to measure at least one of external force and torque acting on the photographing device;
A driving device provided to move the photograph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at least one of the force and torque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Ray imag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천장에 고정되어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촬영장치에 작용하는 외부의 힘을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제1포스센서(first force sensor)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촬영장치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guide rail fixed to the ceiling and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Where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first guide rail,
Wherein the measuring device includes a first force sensor arranged to measure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photographing device in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driving device includes a first driving device configured to move the imaging device in the first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촬영장치에 작용하는 외부의 힘을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제2포스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촬영장치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econd guide rail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slidably coupled with the first guide rail,
Where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movable in the second direction along the second guide rail,
Wherein the measur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second force sensor provided to measure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n the second direction,
Wherein the driv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second driving device arranged to move the photographing device in the second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직교하는 제3방향으로 그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배치되는 포스트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포스트프레임의 길이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상기 제3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제3방향으로 상기 촬영장치에 작용하는 외부의 힘을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제3포스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촬영장치를 상기 제3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제3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post frame disposed such that its length increases or decreases in a thir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Wherein the photographing device is movable in the third direction as the length of the post frame increases or decreases,
Wherein the measur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third force sensor provided to measure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photographing device in the third direction,
Wherein the driv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third driving device arranged to move the photographing device in the third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포스센서는 상기 제3구동장치의 출력부 주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third force sensor is disposed around an output portion of the third driv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방향과 평행한 축의 회전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4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회전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장치는 제1회전조인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4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제4방향으로 상기 촬영장치에 작용하는 토크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제1토크센서(first torque sensor)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촬영장치를 상기 제4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4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first rotation joint rotatable in a fourth direction defined by a rotation direction of an axis parallel to the third direction,
Where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rotatable in the fourth direction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rotary joint,
Wherein the measur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first torque sensor arranged to measure a torque acting on the photographing device in the fourth direction,
Wherein the driv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fourth driving device for rotating the photographing device in the fourth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한 축의 회전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5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회전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장치는 제2회전조인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5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제5방향으로 상기 촬영장치에 작용하는 외부의 토크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제2토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촬영장치를 상기 제5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5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second rotary joint rotatable in a fifth direction defined by a rotation direction of an axi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rotatable in the fifth direction in connection with the second rotary joint,
Wherein the measur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second torque sensor arranged to measure an external torque acting on the photographing device in the fifth direction,
Wherein the driv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fifth driving device for rotating the photographing device in the fifth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에 각각 연결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ntrol device each connected to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driv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측정장치에서 측정되는 값에 상응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력의 크기 및 구동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magnitude and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device in correspondence with the value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는 서로 직교하는 세 개의 축에 각각 작용하는 힘과 상기 세 개의 축 중 적어도 두 개의 축에 각각 작용하는 토크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포스/토크센서(force/torque sens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asuring device is a force / torque sensor configured to measure a force acting on each of three axes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a torque acting on each of at least two axes of the three axes, X-ray imaging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에 힘과 토크 중 적어도 하나를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촬영장치의 측면에 고정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스/토크센서는 상기 손잡이와 상기 촬영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fixed to the sid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to apply at least one of a force and a torque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the force / torque sensor is disposed between the handle and the photographing apparatu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촬영장치에 연결되는 회전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스/토크센서는 상기 촬영장치와 상기 회전조인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rotation joint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such that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rotatable,
Wherein the force / torque sensor is disposed between the imaging device and the rotational joint.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촬영장치와, 상기 촬영장치에 가하여지는 힘과 토크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측정장치와, 상기 촬영장치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촬영장치에 연결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의 이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를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촬영장치에 힘과 토크 중 적어도 하나가 가하여지고;
상기 측정장치가 상기 촬영장치에 가하여진 힘과 토크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상기 구동장치가 측정되는 힘과 토크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 및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촬영장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의 이동 방법.
An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an imaging device for irradiating x-rays, a measurement device provided to measure at least one of a force and a torque applied to the imaging device, and a driving device connected to the imaging device to move the imaging device In the method of moving,
At least one of a force and a torque is applied to the imaging device to move the imaging device;
The measuring device measures at least one of a force and a torque applied to the imaging device;
Moving the imaging device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at least one of the force and torque measured by the drive device; Thing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 RTI ID = 0.0 > of: < / RTI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은 상기 측정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에 각각 연결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되는 힘과 토크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 및 크기에 상응하는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 방향 및 구동력의 크기를 결정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의 이동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x-ray imaging system further includes a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driving device, respectively.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apparatus by determining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direction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at least one of the force and torque measured by the measuring apparatus. To move the x-ray imaging system.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가 주기적으로 상기 측정장치에서 측정되는 힘과 토크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 및 크기를 감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의 이동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the control device periodically monitors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at least one of the force and torque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촬영장치에 고정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파지할 때에만 상기 측정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의 이동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x-ray photographing system includes a handle fixed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so that the user can grip,
And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driving device operate only when a user grips the handle.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촬영장치와, 상기 촬영장치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촬영장치에 연결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의 이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에 외부의 힘 및 토크가 작용하지 않을 때에 상기 구동장치의 제1전류값을 측정하고;
상기 촬영장치에 외부의 힘과 토크 중 적어도 하나가 작용할 때 상기 구동장치의 제2전류값을 측정하고;
상기 제1전류값과 상기 제2전류값이 차이를 통하여 상기 촬영장치에 가하여지는 외부의 힘과 토크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 및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토크의 방향 및 크기에 상응하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촬영장치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촬영시스템의 이동 방법.
A moving method of an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a photographing device for irradiating an X-ray and a driving device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device for moving the photographing device,
Measuring a first current value of the driving device when external force and torque are not applied to the photographing device;
Measuring a second current value of the driving device when at least one of an external force and a torque acts on the photographing device;
Determining at least one direction and magnitude of an external force and a torque applied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urrent value and the second current value;
Moving the photographing device by operating the drive device to correspond to the determined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torque;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KR1020130161263A 2013-12-23 2013-12-23 Radi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the same KR1016626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263A KR101662692B1 (en) 2013-12-23 2013-12-23 Radi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263A KR101662692B1 (en) 2013-12-23 2013-12-23 Radi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304A Division KR101417780B1 (en) 2010-10-06 2010-10-06 Radi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273A true KR20140019273A (en) 2014-02-14
KR101662692B1 KR101662692B1 (en) 2016-10-05

Family

ID=5026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263A KR101662692B1 (en) 2013-12-23 2013-12-23 Radi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69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370A (en) 2021-06-08 2022-12-15 주식회사 리스템 Scaning position modificating structure of X-ray scaning apparatus for medical treat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8336A (en) * 1995-05-18 1998-06-16 Continental X-Ray Corporation Universal radiographic/fluoroscopic digital room
JPH11324A (en) * 1997-06-12 1999-01-06 Hitachi Medical Corp Medical x-ray device
US20100243924A1 (en) * 2009-03-27 2010-09-30 Fujifilm Corporation Radiation imaging apparatus
US20120155616A1 (en) * 2009-09-08 2012-06-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idirectional movement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8336A (en) * 1995-05-18 1998-06-16 Continental X-Ray Corporation Universal radiographic/fluoroscopic digital room
JPH11324A (en) * 1997-06-12 1999-01-06 Hitachi Medical Corp Medical x-ray device
US20100243924A1 (en) * 2009-03-27 2010-09-30 Fujifilm Corporation Radiation imaging apparatus
US20120155616A1 (en) * 2009-09-08 2012-06-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idirectional movemen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692B1 (en)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7780B1 (en) Radi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the same
JP6030110B2 (en) Motor-assisted and manually controlled motion assembly, x-ray apparatus having the same, method and use
JP5820376B2 (en) Bi-directional motion device
US10111641B2 (en)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7136201A (en) Method and instrument for x-ray diagnosis of object to be examined
JP2019146959A (en) Portable medical imaging system with beam scanning collimator
US10849582B2 (en) Holding mechanism for X-ray imaging apparatus and X-ray imaging apparatus
KR101662692B1 (en) Radi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the same
EP3136969B1 (en) Radiographic system
US20140163734A1 (en) Motorized Assistance in the Movement of a Medical Apparatus
JP2004313739A (en) X-ray imaging apparatus
JP2010194152A (en) Radiographic apparatus
US11064962B2 (en) X-ray imaging apparatus
JP2020116187A (en) X-ray imaging apparatus
KR101431334B1 (en) Exercise equipment capable of rotational motion which preventing twist of cable
KR20140045471A (en) Radiographic apparatus
JP2007330440A (en) X-ray radiographing apparatus
KR101460535B1 (en) X-ray image apparatus
US11116460B2 (en) X-ray imaging apparatus
KR101862924B1 (en) An apparatus for guiding a needle and a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KR20210069283A (en) device rotating support apparatus
WO2019220762A1 (en) Radiography device
JP2013017569A (en) X-ray equipment
KR20150126280A (en) Radiograph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1083957A (en) X-ray imag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