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201A - 습식집진기 - Google Patents

습식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9201A
KR20140019201A KR1020120085978A KR20120085978A KR20140019201A KR 20140019201 A KR20140019201 A KR 20140019201A KR 1020120085978 A KR1020120085978 A KR 1020120085978A KR 20120085978 A KR20120085978 A KR 20120085978A KR 20140019201 A KR20140019201 A KR 20140019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nozzle
supply pipe
distribution memb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1149B1 (ko
Inventor
김현섭
김종복
Original Assignee
한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5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149B1/ko
Publication of KR20140019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10Inorganic absorbents
    • B01D2252/103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와 물이 분출되는 분사노즐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분사노즐의 노즐유로 단면적이 조절 가능한 습식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습식집진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케이스(100) 내부에서 유체의 유동이 일어나도록 흡입력을 생성하는 흡입팬(110)과; 상기 흡입팬(110)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공급관(120)과; 상기 공급관(120)의 일단에 구비되며, 혼합물의 분출이 일어나도록 하는 분사노즐(130)과;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130)을 통해 분사되는 혼합물이 충돌하여 와류를 형성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편(14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분사노즐(130)은,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전(全)방향으로 혼합물이 분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오염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및 분진의 여과 능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습식집진기{Wet scrubber}
본 발명은 습식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와 물이 분출되는 분사노즐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분사노즐의 노즐유로 단면적이 조절 가능한 습식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기(集塵器)는 미세 분진과 같은 다양한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정화시켜 청정한 공기를 배출하는 기구로써, 공기 정화는 물론 각종 냄새 및 진드기나 꽃가루, 애완동물 털과 같은 미세 입자의 제거 등을 통해 쾌적하고 건강한 환경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집진기는 크게 건식과 습식 두 종류로 구분되며, 건식은 다시 전기 집진식과 필터 여과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습식 집진기는 흡입된 공기를 물 등의 습식 정화제에 접촉시킴으로써, 이 과정에서 먼지나 가스 등의 오염 물질을 침전 또는 용해시켜 정화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습식 집진기는, 필터를 교환할 필요가 없고 소음이 적다는 등의 장점이 있어, 근래 들어 점차 그 사용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종래의 습식 집진기로써 개선된 형태가 한국 특허등록 제10-0627886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습식 집진기는 외부의 케이스 형태가 사각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물과 공기가 홉합된 혼합물의 분출 영역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일정한 공간에 설치되는 습식 집진기로써는 정화능력을 확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062788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사노즐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전(全)방향에서 혼합물의 분출이 일어나는 습식 집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곡률을 가지는 분배부재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분사노즐의 노즐유로 크기가 변화되는 습식 집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습식집진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케이스 내부에서 유체의 유동이 일어나도록 흡입력을 생성하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일단에 구비되며, 혼합물의 분출이 일어나도록 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혼합물이 충돌하여 와류를 형성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편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분사노즐은,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전(全)방향으로 혼합물이 분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공급관의 일단에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노즐가이드와; 상기 노즐가이드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관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방향이 전(全)방향으로 변화되도록 하는 분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배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분배부재의 설치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노즐가이드와 분배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노즐유로의 크기를 제어하는 조절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배부재는, 상기 조절수단의 일단에 연결되며, 일측으로 돌출된 돔(dome)형상을 가지는 메인판과; 상기 메인판의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혼합물의 분출을 안내하는 다수의 확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분배부재와 일단이 연결되는 조절축과; 상기 조절축을 지지하며, 상기 조절축과 나사결합되는 고정단과; 상기 조절축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조절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습식집진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형으로 이루어져 전(全)방향으로 분사 가능한 노즐부에 의해 오염공기가 수중으로 분사되어, 미세한 공기방울에 와류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에서도 오염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및 분진의 여과 능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분배부재가 조절수단에 의해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노즐부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와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습식집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분배부재의 상세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분배부재의 확장판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습식집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습식집진기의 일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습식집진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유체의 유동이 일어나도록 흡입력을 생성하는 흡입팬(110)과, 상기 흡입팬(110)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공급관(120)과, 상기 공급관(120)의 일단에 구비되어 혼합물의 분출이 일어나도록 하는 분사노즐(130)과, 상기 분사노즐(130)을 통해 분사되는 혼합물이 충돌하여 와류를 형성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편(1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0)의 하단은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소정 부분까지 물이 채워진다. 물론, 물 대신에 다른 유체나 습식 정화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하측에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침전된 물(이하 '혼합물'이라 한다.)이 배출되는 배출관(102)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배출관(102)을 통해 배출되는 혼합물은, 농축과 탈수 및 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 물속에 침전된 내용물이 재활용되거나 폐기처분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상방으로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관(104)이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기관(104)에는, 상기 흡입팬(110)이 설치된다.
상기 흡입팬(11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흡입팬(110)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기압차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급관(120)을 통해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공급관(120)은, 상기 케이스(100)의 중앙부에 상하로 설치되며, 상단은 우측으로 벤딩되어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관통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상으로 설치되며,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파이프(pipe)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사노즐(130)은, 상기 공급관(120)의 하단에 구비되어, 혼합물의 분출이 일어나도록 하는 노즐이다.
상기 분사노즐(130)은,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전(全)방향으로 혼합물이 분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분사노즐(130)은, 원통 형상을 가지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서 케이스(100)의 내부 형상과 대응되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100)의 중앙부로부터 전후좌우의 전(全)방향으로 공기와 혼합물이 분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분사노즐(130)은, 상기 공급관(120)의 하단에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노즐가이드(132)와, 상기 공급관(120)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방향이 전(全)방향으로 변화되도록 하는 분배부재(13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가이드(132)는, 상기 공급관(120)의 하단에 형성되며, 원통 형상의 공급관(120) 하단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다.
상기 노즐가이드(1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함몰된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노즐가이드(132)의 외측단은 상방으로 향하게 되므로, 상기 분배부재(134)에 충돌한 혼합물이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분배부재(134)는, 상기 노즐가이드(132)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관(120)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방향이 전(全)방향으로 변화되도록 한다. 즉, 상기 분배부재(134)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돔(dome)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분배부재(134)는 상기 노즐가이드(132)의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분배부재(134)와 노즐가이드(132) 사이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노즐유로(136)가 형성된다.
상기 노즐유로(13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관(120)을 통해 하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공급관(120) 하측의 물을 밀쳐내어, 빠른 속도로 공기가 물과 함께 상방으로 솟구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배부재(134)의 상측에는, 상기 분배부재(134)의 설치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노즐가이드(132)와 분배부재(134) 사이에 형성되는 노즐유로(136)의 크기를 제어하는 조절수단(15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조절수단(150)은, 상기 공급관(120)을 상하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분배부재(134)의 중앙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분배부재(134)는, 상기 조절수단(150)에 의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조절수단(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부재(134)와 하단이 연결되는 조절축(152)과, 상기 조절축(152)과 나사 결합되는 고정단(154)과, 상기 조절축(152)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축(152)의 회전을 제어하는 조절레버(15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축(1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는 환봉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설치되며, 상기 공급관(120)의 중앙부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조절축(152)의 상단은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축(152)이 관통하는 상기 케이스(100)와 공급관(120)에는 틈새를 통한 공기의 누설을 차단하기 위한 탄성재질의 밀봉부재(16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고정단(154)은, 상기 조절축(152)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공급관(120)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단(154)은, 상기 공급관(120)의 내부 중앙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조절축(152)과 나사 체결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조절축(152)의 중앙부근에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154)에는 상기 조절축(152)의 수나사와 대응되는 탭(암나사)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단(154)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절축(15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조절축(152)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절레버(156)는, 상기 조절축(152)의 상단에 구비되는 레버이다. 즉, 상기 조절축(152)의 상단은 상기 케이스(100)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이러한 조절축(152)의 상단에 상기 조절레버(156)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케이스(100)의 외측에서 상기 조절레버(156)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는, 상기 분사노즐(130)을 통해 분사되는 혼합물(공기 포함)이 충돌하여 와류를 형성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편(14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안내편(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내면으로부터 중앙부로 연장 형성되며,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케이스(100)의 내면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안내편(140)은, 원통 형상의 상기 케이스(100) 내측에 설치되며, 상방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원통(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상기 안내편(140)의 상단과 공급관(120)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틈새가 형성되며, 이 틈새는 공기와 물(침전물 포함)이 유동하는 상방유로(140')가 된다. 즉, 상기 공급관(12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서 분배부재(134) 상측의 물과 함께 공기가 상기 노즐유로(136)를 통해 상방으로 분출되어, 상기 안내편(140)에 부딪히게 되고, 그런 다음 하측으로 낙하하다가 다시 상승기류에 의해 상기 상방유로(140')를 통해 공기와 물방울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안내편(140)의 하단부에는 물의 유동을 위한 이동홀(14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이동홀(140")은, 상기 상방유로(140')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한 물이 다시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안내편(140)의 상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편(145)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안내편(140)의 상측에는 외측이 하측으로 벤딩(bending)된 원판 형상의 차단편(145)이 더 형성된다.
상기 차단편(145)은, 상기 공급관(120)의 외측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안내편(140)의 상방유로(140')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이동하는 물과 공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상방유로(140')를 통해 상기 안내편(140)의 상측으로 분출되는 공기와 물방울은 상기 차단편(145)에 부딪혀 다시 낙하하게 되고, 공기는 다시 상기 차단편(145)의 외측 테두리와 케이스(10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차단편(145)의 상측에는, 전환편(17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전환편(170)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되는 테이퍼진 원통(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상방유로(140')를 통해 상기 차단편(145) 외측으로 유동한 공기는 다시 상측으로 안내되면서 상기 전환편(17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전환편(170)과 공급관(12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방으로 유동한 다음, 상기 배기관(10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전환편(170)의 상측에는, 공기의 유로를 변경하기 위한 유도편(172)이 더 구비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에는 급수관(106)과 드레인관(19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급수관(10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상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물이 부족한 경우에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100)의 좌측부에는 드레인홀(192)이 관통 형성되고, 이러한 드레인홀(192)에는 드레인관(190)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드레인홀(192)은, 물이 기준수면을 유지하지 못하고 과다하게 많은 경우에 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물(유체)이 기준수면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버플로우(over flow)되도록 함으로써, 적정량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드레인관(190)의 하측에는 밀폐기구(2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밀폐기구(200)는, 상기 드레인관(19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는 한편 케이스(100) 내측의 물은 외부로 넘쳐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내부에 물이 소정 높이로 충진된 씰포트(seal pot)이다.
상기 밀폐기구(20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물은, 펌프(미도시) 등으로 인하여 다시 상기 급수관(106)으로 재유입되기도 한다.
도 2 및 도 3에는 상기 분배부재(134)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에는 상기 분배부재(134)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분배부재(134)를 구성하는 확장판(134")의 형상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부재(134)는, 하측으로 돌출된 돔(dome)형상을 가지는 메인판(134')과, 상기 메인판(134')의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혼합물의 분출을 안내하는 다수의 확장판(13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판(1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메인판(134')의 중앙부에는 상기 조절축(152)의 하단이 삽입 장착되는 체결공(H)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확장판(134")은, 상기 메인판(134')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메인판(134')의 길이를 더 늘려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결합수단(18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확장판(1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한쌍의 결합수단(180)에 의해 메인판(134')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수단(180)은, 상기 메인판(134')과 확장판(134")을 동시에 관통하는 결합볼트(182)와, 상기 결합볼트(182)의 끝단에 나사 체결되는 결합너트(184)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판(134")의 내측은, 상기 메인판(134')의 테두리와 일정 부분이 겹쳐지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확장판(134")의 외측으로 더 이동하여 길이가 연장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판(134")은 부채꼴 형상과 같이, 외측으로 갈수록 좌우의 폭이 더 넓어지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확장판(134")에는 상기 결합볼트(182)가 관통하는 너트공(186)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데, 상기 너트공(18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너트공(186)은 상기 결합볼트(182)이 직경보다 더 큰 'L'크기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볼트(182)가 상기 너트공(186)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확장판(134")을 'L' 길이 만큼 움질일 수 있으므로, 상기 확장판(134")을 조절축(152)의 중심으로부터 'L' 길이 만큼 외측으로 확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습식집진기의 작용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는 물이나 습식 정화제가 소정 부분 담겨진 상태이다. 즉, 적어도 상기 분사노즐(130)의 높이 이상으로는 물이나 습식 정화제 등의 유체가 담겨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흡입팬(110)이 회전됨에 따라, 기압차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외부의 분진과 이물질이 혼합된 오염된 공기가 상기 공급관(120)을 통해 상기 케이스(100)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공급관(120)을 통해 유입된 오염 공기는 공급관(120)을 따라 하측으로 유인되어 상기 분사노즐(130)을 통해 분사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분배부재(134) 상측에 물이 충진되어 있으므로, 오염공기는 물과 혼합된 상태로 상기 노즐유로(136)를 통과하여 전(全)방향으로 외측으로 분출된다.
이처럼 상기 공급관(120)을 통해 유입된 오염공기는, 상기 공급관(120) 하측에서 물과 혼합됨으로 인하여, 공기 중의 분진이나 이물질이 물에 침전된다.
한편, 상기 노즐유로(136)를 통해 상방으로 분출되는 공기와 혼합물은 상기 안내편(140)에 부딪혀 다시 낙하하게 되고 다시 상측의 상방유로(140')를 통과하여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와류가 생성되고 공기 중의 이물질은 여과가 일어나게 된다.
상기 상방유로(140')를 통과하여 상승한 공기와 물방울은 다시 상기 차단편(145)에 부딪혀 낙하하게 되고, 공기는 다시 상기 차단편(145)의 외측 테두리와 케이스(10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차단편(145) 외측으로 유동한 공기는 다시 상측으로 안내되면서 상기 전환편(17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전환편(170)과 공급관(12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방으로 유동한 다음, 상기 배기관(10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물(유체)이 기준수면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버플로우(over flow)되어 상기 드레인홀(192)과 드레인관(190)을 통해 외부로 흘러 넘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물(유체)이 부족한 경우에는 상기 급수관(106)을 통해 외부로부터 물이 보충된다.
한편,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조절레버(156)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노즐유로(136)의 폭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조절레버(156)를 시계방향(상방에서 볼 경우)회전시켜면, 상기 고정단(154)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조절축(152)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축(152)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는 분배부재(134)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분배부재(134)와 노즐가이드(132) 사이의 틈새가 커지게 되므로 노즐유로(136)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조절레버(156)를 반시계방향(상방에서 볼 경우)회전시켜면, 상기 고정단(154)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조절축(152)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축(152)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는 분배부재(134)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분배부재(134)와 노즐가이드(132) 사이의 틈새가 작아지게 되므로 노즐유로(136)의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이처럼 노즐유로(136)의 폭이 감소되면, 분사노즐(130)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와 물의 양은 줄어드는 반면, 속도는 증가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결합수단(180)의 결합볼트(182)와 결합너트(184)를 풀어, 상기 확장판(134")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너트공(186)이 'L'크기이 길이를 가지므로, 이러한 너트공(186)의 길이만큼 상기 확장판(134")을 이동시켜 상기 분사노즐(130)을 통해 분사되는 물과 공기의 분출 방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내편(140)과 전환편(170) 등을 테이퍼진 파이프(pipe)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안내편(140)과 전환편(170) 등을 공기와 물의 와류 및 방향전환이 더 용이하도록 곡률을 가지도록 하거나 끝단부가 꺽이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내편(140)이 케이스(100)에 고정되고, 상기 차단편(145)은 공급관(120)의 외측에 연결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안내편(140)을 공급관(120)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기 차단편(145)이 케이스(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케이스 102. 배출관
110. 흡입팬 120. 공급관
130. 분사노즐 134. 분배부재
134'. 메인판 134". 확장판
136. 노즐유로 140. 안내편
140'. 상방유로 145. 차단편
150. 조절수단 160. 밀봉부재
170. 전환편 180. 결합수단
190. 드레인관 200. 밀폐기구

Claims (5)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케이스(100) 내부에서 유체의 유동이 일어나도록 흡입력을 생성하는 흡입팬(110)과;
    상기 흡입팬(110)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공급관(120)과;
    상기 공급관(120)의 일단에 구비되며, 혼합물의 분출이 일어나도록 하는 분사노즐(130)과;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130)을 통해 분사되는 혼합물이 충돌하여 와류를 형성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편(14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분사노즐(130)은,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전(全)방향으로 혼합물이 분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집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130)은,
    상기 공급관(120)의 일단에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노즐가이드(132)와;
    상기 노즐가이드(132)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관(120)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방향이 전(全)방향으로 변화되도록 하는 분배부재(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집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재(134)의 일측에는,
    상기 분배부재(134)의 설치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노즐가이드(132)와 분배부재(134) 사이에 형성되는 노즐유로(136)의 크기를 제어하는 조절수단(15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집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재(134)는,
    상기 조절수단(150)의 일단에 연결되며, 일측으로 돌출된 돔(dome)형상을 가지는 메인판(134')과;
    상기 메인판(134')의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혼합물의 분출을 안내하는 다수의 확장판(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집진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150)은,
    상기 분배부재(134)와 일단이 연결되는 조절축(152)과;
    상기 조절축(152)을 지지하며, 상기 조절축(152)과 나사결합되는 고정단(154)과;
    상기 조절축(152)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조절축(152)의 회전을 제어하는 조절레버(1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집진기.
KR1020120085978A 2012-08-06 2012-08-06 습식집진기 KR101391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978A KR101391149B1 (ko) 2012-08-06 2012-08-06 습식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978A KR101391149B1 (ko) 2012-08-06 2012-08-06 습식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201A true KR20140019201A (ko) 2014-02-14
KR101391149B1 KR101391149B1 (ko) 2014-05-27

Family

ID=50266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978A KR101391149B1 (ko) 2012-08-06 2012-08-06 습식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14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4247A (zh) * 2015-04-30 2015-09-02 武汉薪火智能切割机器有限公司 水浴除尘器
KR20180047303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설비
KR101878711B1 (ko) * 2017-11-29 2018-07-16 강신기 집진효율이 향상된 습식집진장치
KR102277299B1 (ko) * 2021-04-13 2021-07-13 권용진 물 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2562214B1 (ko) * 2023-01-11 2023-08-01 주식회사 페페 반려동물용 집진기의 유로구조
KR102562130B1 (ko) 2023-03-30 2023-08-01 아쿠아셀 주식회사 분진 제거 습식 스크러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319B1 (ko) 2020-10-30 2022-05-06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씨 습식 집진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475Y1 (ko) * 1988-10-28 1991-01-25 임은택 세정 집진기
JPH08338398A (ja) * 1995-06-13 1996-12-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可変流量エゼクタ
JP2002045640A (ja) * 2000-08-04 2002-02-12 Suzuki Shoji:Kk ブルースモッグ排除方法及び装置
KR100745810B1 (ko) * 2007-03-15 2007-08-02 홍은표 세정집진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4247A (zh) * 2015-04-30 2015-09-02 武汉薪火智能切割机器有限公司 水浴除尘器
KR20180047303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설비
KR101878711B1 (ko) * 2017-11-29 2018-07-16 강신기 집진효율이 향상된 습식집진장치
KR102277299B1 (ko) * 2021-04-13 2021-07-13 권용진 물 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2562214B1 (ko) * 2023-01-11 2023-08-01 주식회사 페페 반려동물용 집진기의 유로구조
KR102562130B1 (ko) 2023-03-30 2023-08-01 아쿠아셀 주식회사 분진 제거 습식 스크러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1149B1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149B1 (ko) 습식집진기
KR100640727B1 (ko) 습식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1959980B1 (ko) 필터 없는 미세먼지 제거기
KR101959628B1 (ko) 공기 청정을 위한 샤워필터
KR101878711B1 (ko) 집진효율이 향상된 습식집진장치
KR101602657B1 (ko) 살균정화 샤워기
KR20050015466A (ko) 자체 세척기능을 가진 건습식 복합 공기청정기
JPH01270960A (ja) 遠心分離型塗料ミスト含有気体浄化装置
CN101574602B (zh) 一种滤尘空气处理器及空气滤尘处理方法
KR20130119336A (ko) 공기정화장치
KR102072734B1 (ko) 습식 집진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습식 집진 장치
KR100589791B1 (ko) 습식 공기정청기용 정화장치
KR20120051887A (ko) 공기청정기
RU2666403C1 (ru) Конический форсуночный скруббер
KR102033871B1 (ko) 습식 공기청정기
TW201736779A (zh) 空氣淨化裝置
RU2550387C1 (ru) Конический форсуночный скруббер
KR101592433B1 (ko) 공기청정기
KR20220125593A (ko) 공기청정기
RU2656454C1 (ru) Скруббер с подвижной насадкой
RU2345819C1 (ru) Акустический газопромыватель
KR100643888B1 (ko) 습식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JP2007050405A (ja) 汚染物質捕集器、汚染物質捕集方法、空気管理システム並びに除去器
KR20200124890A (ko) 스크류타입 습식접촉형 공기청정기
RU2656455C1 (ru) Конический форсуночный скрубб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