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146A - Touch screen panel - Google Patents

Touch screen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9146A
KR20140019146A KR1020120085697A KR20120085697A KR20140019146A KR 20140019146 A KR20140019146 A KR 20140019146A KR 1020120085697 A KR1020120085697 A KR 1020120085697A KR 20120085697 A KR20120085697 A KR 20120085697A KR 20140019146 A KR20140019146 A KR 20140019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static induction
ground line
touch screen
screen panel
sensing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6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철
박정목
김영식
김창범
조재형
유영석
김화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5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9146A/en
Publication of KR20140019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14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creen panel comprising: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for detection of a touch location; a plurality of trace lines connected to the sensing electrodes; a ground line positioned in an outer region of the trace line and the sensing electrode; and an electrostatic induction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protruding from the ground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the electrostatic induction unit having a lightning rod shap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block static electricity induced from the outside.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A touch screen panel {Touch Screen Panel}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에 의해 발생되는 피해를 방지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creen pan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 screen panel that prevents damage caused by static electricity flowing from the outside.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 등의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이다. The touch screen panel is an input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input a command by selecting an instruction displayed on a screen of a video display device or the like as a human hand or an object.

이를 위해,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의 전면(front face)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접촉위치에서 선택된 지시 내용이 입력신호로 받아들여진다. To this end, the touch screen panel is provided on the front fa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converts the contact position,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a human hand or an object, into an electrical signal. Thus, the instruction content selected at the contact position is accepted as the input signal.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Such a touch screen panel can be replaced with a separate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keyboard and a mouse, and the use range thereof is gradually expanding.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저항막 방식, 광감지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As a method of implementing a touch screen panel, a resistive film type, a light sensing type, and a capacitive type are known.

이 중, 최근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의 접촉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화되는 지점을 검출하여 접촉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Among these, the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which is widely used in recent years, detects a contact point by detecting a point where the capacitance changes according to the contact of a human hand or an object.

이를 위해,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다수의 감지전극과 배선을 구비한다.To this end, the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includes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and wires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그러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에 의하여 감지전극과 배선이 단선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터치 위치의 검출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sensing electrode and the wire are often disconnected due to static electricity flowing from the outsid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tection of the touch position is impossibl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뢰침 형상의 정전기 유도부를 구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touch screen panel that effectively blocks the static electricity flowing from the outside by having a lightning rod-shaped electrostatic induction por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터치 위치의 검출을 위한 복수의 감지전극, 상기 감지전극과 연결되는 복수의 트레이스 라인, 상기 감지전극 및 상기 트레이스 라인의 외곽 영역에 위치하는 그라운드 라인 및 상기 그라운드 라인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정전기 유도 패턴을 포함하는 정전기 유도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for the detection of a touch position, a plurality of trace lines connected to the sensing electrodes, the outer edge of the sensing electrode and the trace line And an electrostatic induction part including a ground line positioned in an area and a plurality of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protruding from the ground line.

또한, 상기 정전기 유도 패턴은, 상기 그라운드 라인으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toward the outer direction from the ground line.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정전기 유도 패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neven portion is formed.

또한, 인접한 두 개의 정전기 유도 패턴에는, 상호간 마주보는 다수의 돌출 패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djacent two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 i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 patterns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또한, 상기 정전기 유도부는, 상기 그라운드 라인의 모서리 영역에서 보다 조밀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more densely in the corner region of the ground line.

또한, 상기 그라운드 라인은, 접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round lin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ground power source.

또한, 상기 감지전극은, 서로 교차되는 제1 감지전극과 제2 감지전극을 포함한다.The sensing electrode may include a first sensing electrode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that cross each other.

또한, 상기 정전기 유도부는, 상기 그라운드 라인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ground line.

또한, 상기 그라운드 라인과 상기 정전기 유도부는, 상기 트레이스 라인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round line and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rt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race line.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피뢰침 형상의 정전기 유도부를 구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lightning rod-shaped electrostatic induction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ouch screen panel that effectively blocks the static electricity flowing from the outsid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전기 유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전기 유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llustrates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lectrostatic indu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lectrostatic induction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But also includes a case in which other elemen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middle thereof.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and like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rawings for describ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1 illustrates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1)은 복수의 감지전극(10, 20), 복수의 트레이스 라인(30, 40), 그라운드 라인(50), 정전기 유도부(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touch screen panel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10 and 20, a plurality of trace lines 30 and 40, a ground line 50, and an electrostatic induction part 60. ).

감지전극(10, 20)은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감지전극(10, 20)이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nsing electrodes 10 and 20 are for detecting a touch position through a change in capacitance, and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10 and 20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감지전극(10, 20)는 상호간 교차되는 제1 감지전극(10)과 제2 감지전극(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sensing electrodes 10 and 2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ensing electrode 10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20 that cross each other.

예를 들어, 제1 감지전극(10)은 제1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10 may be elongated in a first direction (for example, the X-axis direction) and may be arranged along a second direction (for example, the Y-axis direction) that crosses the first direction. Can be arranged.

또한, 제2 감지전극(20)은 제1 감지전극(10)과 교차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감지전극(20)은 제2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1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0 may be positioned to intersect the first sensing electrode 10. For example,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20 may be elongat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20 may be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감지전극(10, 20)의 개수는 터치 스크린 패널(1)의 크기, 터치 감도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The number of sensing electrodes 10 and 20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touch sensitivity, and the like of the touch screen panel 1.

감지전극(10, 20)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불투명 금속 등과 같은 여타 도전성 물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The sensing electrodes 10 and 20 are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but may also be formed of other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an opaque metal.

일례로, 감지전극(10, 20)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그래핀(Graphene),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AgNWs(Silver Nanowir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ing electrodes 10 and 20 may be formed of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graphene, carbon nanotubes, silver nanowires, or the like. .

또한, 감지전극(10, 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electrodes 10 and 20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as shown in FIG. 1.

다만, 감지전극(10, 20)의 형상은 바(bar)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shape of the sensing electrodes 10 and 20 is not limited to the bar shape,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이 때, 기판(100)은 일례로 유리, 플라스틱,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bstrate 100 may be made of, for example,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glass, plastic, silicon, or synthetic resin, and may be formed of other metals.

또한, 기판(100)은 휘거나 접힘이 가능하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strat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film having flexibility to be bent or folded.

제1 감지전극(10)과 제2 감지전극(20)은 서로 다른 층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구동전극들(Tx)과 감지전극들(Rx) 사이에 전면적으로 형성된 절연막(미도시)이 존재할 수 있다. The first sensing electrode 10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0 may be located on different layers, respectively. To this end, an insulating film (not shown)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may be present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s Tx and the sensing electrodes Rx.

또한, 제1 감지전극(10)과 제2 감지전극(20)이 교차하는 영역에만 부분적으로 절연막이 존재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insulating layer may exist only in a region where the first sensing electrode 10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0 cross each other.

트레이스 라인(30, 40)은 감지전극(10, 20)과 외부의 터치 컨트롤러(미도시)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trace lines 30 and 40 serve to connect the sensing electrodes 10 and 20 and an external touch controller (not shown).

이 때, 트레이스 라인(30, 40)은 기판(100)의 일측에 위치하는 패드부(110)를 통해 터치 컨트롤러와 감지전극(10, 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race lines 30 and 4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touch controller and the sensing electrodes 10 and 20 through the pad unit 110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100.

트레이스 라인(30, 40)은 제1 감지전극(10)과 패드부(110) 사이에 연결되는 제1 트레이스 라인(30) 및 제2 감지전극(20)과 패드부(110) 사이에 연결되는 제2 트레이스 라인(40)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trace lines 30 and 40 ar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race line 30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20 and the pad unit 110, which ar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10 and the pad unit 110. It may be divided into a second trace line 40.

트레이스 라인(30, 40)은 감지전극(10, 20)의 형성에 이용되는 투명 도전성 물질 외에도 몰리브덴(Mo), 은(Ag),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Al),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Mo/Al/Mo) 등의 저저항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trace lines 30 and 40 are molybdenum (Mo), silver (Ag), titanium (Ti), copper (Cu), aluminum (Al), and molybdenum, in addition to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s used to form the sensing electrodes 10 and 20. It may be formed of a low resistance material such as / aluminum / molybdenum (Mo / Al / Mo).

그라운드 라인(50)은 감지전극(10, 20)과 트레이스 라인(30, 40)의 외곽 영역에 위치한다. The ground line 50 is located in the outer region of the sensing electrodes 10 and 20 and the trace lines 30 and 40.

이 때, 그라운드 라인(50)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접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ground line 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ground power source to remove static electricity flowing from the outside.

이를 위하여, 그라운드 라인(50)은 패드부(110)를 통해 접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ground line 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power supply through the pad unit 110.

그라운드 라인(50)은 감지전극(10, 20)과 트레이스 라인(30, 40)를 감싸듯이 기판(10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ground line 50 may b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ubstrate 100 as if it surrounds the sensing electrodes 10 and 20 and the trace lines 30 and 40.

이에 따라, 그라운드 라인(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진 모서리 영역(R1)과 그렇지 않은 비모서리 영역(R2)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ground line 50 may have a shape including an angled corner region R1 and a non-edge region R2 that are not as shown in FIG. 1.

예를 들어, 그라운드 라인(50)은 대략적으로 사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ground line 50 may have a shape that is approximately square.

이러한 그라운드 라인(50)은 상기 트레이스 라인(30, 40)과 동일한 재질로 동일 공정에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Since the ground line 50 may be manufactured in the same process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trace lines 30 and 40, the manufacturing process may be simplified.

정전기는 터치 스크린 패널(1)의 각진 모서리 부분으로 많이 유입되므로,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그라운드 라인(50)의 모서리 영역(R1)에는 비모서리 영역(R2) 보다 많은 수의 정전기 유도부(6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static electricity flows into the corners of the touch screen panel 1 in a large amount, in order to effectively cope with this, a larger number of static induction parts 60 are disposed in the corner region R1 of the ground line 50 than the non-edge region R2. It is preferable to form.

즉, 정전기 유도부(60)는 그라운드 라인(50)의 비모서리 영역(R2) 보다 모서리 영역(R1)에서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rt 60 may be denser in the corner region R1 than in the non-edge region R2 of the ground line 50.

이에 따라, 그라운드 라인(50)의 모서리 영역(R1)에 위치하는 정전기 유도부(60) 간의 거리가 비모서리 영역(R2)에 위치하는 정전기 유도부(60) 간의 거리보다 짧게 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rts 60 located in the corner region R1 of the ground line 50 may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rts 60 located in the non-edge region R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전기 유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2에서는 도 1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간략하게 도시된 정전기 유도부(60)를 자세히 도시하였다. 2 is a view showing an electrostatic indu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2 illustrates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rt 60 brief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정전기 유도부(60)는 다수의 정전기 유도 패턴(71, 72, 73, 74, 75)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rt 60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71, 72, 73, 74, and 75.

이 때, 정전기 유도 패턴(71, 72, 73, 74, 75)은 그라운드 라인(50)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를 유도하기 위하여 그라운드 라인(50)으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static induction patterns 71, 72, 73, 74, and 75 may protrude from the ground line 50, and extend outwardly from the ground line 50 to induce static electricity flowing from the outside. It is preferably formed.

정전기 유도 패턴(71, 72, 73, 74, 75)은 외부의 정전기를 유도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피뢰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71, 72, 73, 74, and 75 may be formed in a lightning rod shape as shown in FIG. 2 to induce external static electricity.

또한, 정전기 유도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전기 유도 패턴(71, 72, 73, 74, 7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요철부(77)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uneven portion 77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71, 72, 73, 74, and 75 to enhance the electrostatic induction effect.

도 2를 참조하면, 일례로 정전기 유도 패턴(71, 75)에는 요철 형상의 요철부(77)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for example, an uneven portion 77 having an uneven shape may be formed in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71 and 75.

이 때, 도 2에서는 다섯 개의 정전기 유도 패턴(71, 72, 73, 74, 75)을 도시하였으나, 그 개수는 변화될 수 있다. In this case, although five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71, 72, 73, 74, and 75 are illustrated in FIG. 2, the number may vary.

또한, 정전기 유도 패턴(71, 72, 73, 74, 75)의 길이는 상호간 상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ngths of the static induction patterns 71, 72, 73, 74, and 75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정전기 유도 패턴(71, 72, 73, 74, 75)은 그라운드 라인(5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71, 72, 73, 74, and 75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ground line 50.

또한, 정전기 유도 패턴(71, 72, 73, 74, 75) 역시 트레이스 라인(30, 40)과 동일한 재질로 동일 공정에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tatic induction patterns 71, 72, 73, 74, and 75 may also be manufactured in the same process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trace lines 30 and 40, the manufacturing process may be simplified.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1)은 그라운드 라인(50)에 피뢰침 형상의 정전기 유도부(60)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의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유도 및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지전극(10, 20)과 트레이스 라인(30, 40) 등과 같은 정전기에 취약한 구성 요소들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touch screen panel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ightning protection-shaped electrostatic induction part 60 on the ground line 50, thereby effectively inducing and blocking external static electricity, and thus, the sensing electrode ( Damage to static-sensitive components such as 10 and 20 and trace lines 30 and 40 can be prevented.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전기 유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n electrostatic induction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위주로 설명하고, 그 외 중복되는 설명에 대하여는 생략하도록 하겠다. Here, the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other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전기 유도부(60)는 정전기 유도 패턴(81, 82, 83, 84, 8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 패턴(87, 88)을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rt 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the protruding patterns 87 and 88 in at least one of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81, 82, 83, 84, and 85. have.

특히, 정전기 유도 패턴(81, 82, 83, 84, 85) 사이로 정전기를 유도하기 위하여,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정전기 유도 패턴(81과 82, 84와 85)에는 상호간 마주보는 다수의 돌출 패턴(87, 8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in order to induce static electricity between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81, 82, 83, 84, and 85, two adjacent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81, 82, 84, and 85 are adjacent to each other. 88) is preferably formed.

즉, 도 3에 도시된 정전기 유도 패턴(81, 82, 83, 84, 85) 중 하측 두 개의 정전기 유도 패턴(84, 85)을 예로 들면, 정전기 유도 패턴(84)으로부터 하측으로 다수의 돌출 패턴(87)이 형성되고, 정전기 유도 패턴(85)으로부터 상측으로 다수의 돌출 패턴(88)이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aking two lower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84 and 85 among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81, 82, 83, 84 and 85 shown in FIG. 3, for example, a plurality of protruding patterns downward from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 84. An 87 may be formed,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patterns 88 may be formed upward from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 85.

또한, 정전기 유도 패턴(84)의 돌출 패턴(87)과 정전기 유도 패턴(85)의 돌출 패턴(88)은 상호간 마주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pattern 87 of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 84 and the protruding pattern 88 of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 85 face each other.

돌출 패턴(87, 88)의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그 외 돌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protrusion patterns 87 and 88 may have a sawtooth shape as illustrated in FIG. 3, but may have other protrusion shape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 터치 스크린 패널 10, 20: 감지전극
30, 40: 트레이스 라인 50: 그라운드 라인
60: 정전기 유도부
71, 72, 73, 74, 75, 81, 82, 83, 84, 85: 정전기 유도 패턴
1: touch screen panel 10, 20: sensing electrode
30, 40: trace line 50: ground line
60: electrostatic induction part
71, 72, 73, 74, 75, 81, 82, 83, 84, 85: Static induction pattern

Claims (9)

터치 위치의 검출을 위한 복수의 감지전극;
상기 감지전극과 연결되는 복수의 트레이스 라인;
상기 감지전극 및 상기 트레이스 라인의 외곽 영역에 위치하는 그라운드 라인; 및
상기 그라운드 라인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정전기 유도 패턴을 포함하는 정전기 유도부; 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for detecting a touch position;
A plurality of trace lines connected to the sensing electrodes;
A ground line positioned at an outer region of the sensing electrode and the trace line; And
An electrostatic induction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protruding from the ground line; And a touch screen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유도 패턴은, 상기 그라운드 라인으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 the touch screen panel,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toward the outer direction from the ground line.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정전기 유도 패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 the uneven portion is formed, the touch screen panel.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한 두 개의 정전기 유도 패턴에는, 상호간 마주보는 다수의 돌출 패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And two protruding patterns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on two adjacent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유도부는, 상기 그라운드 라인의 모서리 영역에서 보다 조밀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rt is located more densely in the corner region of the ground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라인은, 접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The ground line is a touch screen panel, characterized in that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ground power sou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극은, 서로 교차되는 제1 감지전극과 제2 감지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ing electrode may include a first sensing electrode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which cross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유도부는, 상기 그라운드 라인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static induction unit, the touch screen pane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with the ground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라인과 상기 정전기 유도부는, 상기 트레이스 라인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ground line and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rt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race line.
KR1020120085697A 2012-08-06 2012-08-06 Touch screen panel KR2014001914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697A KR20140019146A (en) 2012-08-06 2012-08-06 Touch screen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697A KR20140019146A (en) 2012-08-06 2012-08-06 Touch screen pa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146A true KR20140019146A (en) 2014-02-14

Family

ID=50266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697A KR20140019146A (en) 2012-08-06 2012-08-06 Touch screen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9146A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52090B2 (en) 2014-02-05 2017-01-24 Lg Innotek Co., Ltd. Touch panel and display with the same
KR101703447B1 (en) * 2015-10-19 2017-02-06 주식회사 베이스원 코퍼레이션 TOUCH SCREEN PANEL HAVING DUMMY Line AND GROUND Line
US9720449B2 (en) 2013-12-02 2017-08-01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US9746880B2 (en) 2014-04-01 2017-08-29 Lg Innotek Co., Ltd. Touch panel and touch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7219952A (en) * 2017-05-26 2017-09-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A kind of touch-screen and mobile terminal
US10282003B2 (en) 2015-04-09 2019-05-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touch sensor
US10503324B2 (en) 2015-01-20 2019-12-10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having wiring including extension
KR20220167677A (en) * 2021-06-14 2022-12-21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Sensor seat for protection electrostatic discharge and touch input device having the same
US11588002B2 (en) 2018-12-21 2023-02-21 Samsung Diso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common power supply line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1122B2 (en) 2013-12-02 2020-06-02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US11599153B2 (en) 2013-12-02 2023-03-07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US9720449B2 (en) 2013-12-02 2017-08-01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US11372450B2 (en) 2013-12-02 2022-06-2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US9552090B2 (en) 2014-02-05 2017-01-24 Lg Innotek Co., Ltd. Touch panel and display with the same
US9746880B2 (en) 2014-04-01 2017-08-29 Lg Innotek Co., Ltd. Touch panel and touch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503324B2 (en) 2015-01-20 2019-12-10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having wiring including extension
US11768566B2 (en) 2015-01-20 2023-09-26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having wiring including extension
US10282003B2 (en) 2015-04-09 2019-05-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touch sensor
US11226693B2 (en) 2015-04-09 2022-01-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touch sensor
KR101703447B1 (en) * 2015-10-19 2017-02-06 주식회사 베이스원 코퍼레이션 TOUCH SCREEN PANEL HAVING DUMMY Line AND GROUND Line
CN107219952A (en) * 2017-05-26 2017-09-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A kind of touch-screen and mobile terminal
US11588002B2 (en) 2018-12-21 2023-02-21 Samsung Diso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common power supply line
KR20220167677A (en) * 2021-06-14 2022-12-21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Sensor seat for protection electrostatic discharge and touch input device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9146A (en) Touch screen panel
TWI529573B (en) Touch screen panel protected against failure due to static electricity
KR101282469B1 (en) Touch Screen Panel
US9354756B2 (en)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8749518B2 (en) Capacitive touch sensor and capacitive touch apparatus
US9195348B2 (en) 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panel
US8988383B2 (en) 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panel
KR102303214B1 (en) Touch screen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092526A (en) Touch window
KR102232774B1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mcluding the same
JP6418910B2 (en) Touch scre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1444118B1 (en) Improved one layer capacitive touch panel
JP6345029B2 (en) Touch screen,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WI662444B (en) Touch sensor
KR20150057031A (en) Touch panel
JP6490372B2 (en) Touch screen,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150022215A (en) Touch panel and mtthod of manufacturing of the same
JP2015204094A (en) touch panel
JP2015210554A (en) Touch screen,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4102375A (en) Touch control panel
KR102237964B1 (en) Electrod members, touch window with the same and display with the same
KR20150026576A (en) Touch sensing electrode and touch screen panel
KR20150057019A (en) Touch panel
KR101520724B1 (en) Touch detecting apparatuse for improving accuracy of touch detecting
KR20140016630A (en) Touch screen panel having sesing pattern of mesh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