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136A - Method of providing knowledge contents over network - Google Patents

Method of providing knowledge contents over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9136A
KR20140019136A KR1020120085602A KR20120085602A KR20140019136A KR 20140019136 A KR20140019136 A KR 20140019136A KR 1020120085602 A KR1020120085602 A KR 1020120085602A KR 20120085602 A KR20120085602 A KR 20120085602A KR 20140019136 A KR20140019136 A KR 20140019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knowledge content
server
knowledge
represent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6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대
Original Assignee
(주) 소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소프 filed Critical (주) 소프
Priority to KR1020120085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9136A/en
Publication of KR20140019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1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A method for providing knowledge content via networks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umbnail is generated from a learning resource at a specific point of time, and knowledge content is generated and extended by generating chats among a plurality of terminal users regarding the generated thumbnail. Furthermore, a terminal of a user who wants to read multiple accumulated knowledge content divides sections at which each knowledge content is displayed, arranges each knowledge content in real time according to importance or relevance, and displays each knowledge content with a representative chat,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identify a large amount of knowledge content at a glance, select a desired one of the knowledge content, and participate in the chat.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 End; (S110) Allow a server to generate and store the thumbnail of a learning resource at the point of time when a knowledge content generation function is selected, according to a knowledge content generation request of a terminal, if a terminal user selects the knowledge content generation function, and to additionally store location information for access to the reproduction location of the learning resource at the point of time when the knowledge content generation function is selected to create knowledge content; (S120) Allow the server to store input chats if the chats for the created knowledge content are input from the terminal; (S130) Allow the server to select a representative chat for each of a plurality of knowledge content among the stored chats using a representative chat selection algorithm; (S140) Allow the server to provide the terminal with an initial screen on which the thumbnail of the knowledge content and the selected representative chat are displayed as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a network; (S150) Allow the server to provide the terminal with additional thumbnails of the knowledge content and representative chats therefor to be displayed on the scrolled terminal screen as the terminal user scrolls the initial screen in a specific direction; (S160) Allow the server to draw location information for access to the reproduction location of the learning resource stored in the thumbnail and provide the terminal with the drawn location information as the terminal user selects any one of the thumbnails displayed on the screen; (S170) Allow the server to store a newly input chat with the existing chats if the new chat is input from the terminal in addition to the existing chats; (S180) Allow the server to update the representative chat using the representative chat selection algorithm

Description

네트워크를 경유한 지식컨텐츠의 제공방법{METHOD OF PROVIDING KNOWLEDGE CONTENTS OVER NETWORK}How to provide knowledge content via a network {METHOD OF PROVIDING KNOWLEDGE CONTENTS OVER NETWORK}

본 발명은 학습컨텐츠, 지식컨텐츠의 유통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stributing and providing learning content and knowledge content.

일반적으로 지식이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일방향적으로 전달된다.In general, knowledge is unidirectionally transferred from high to low.

웹 기반의 이러닝(E-learning)이 그러했고, 이북(E-book)이 그러했다.So was web-based e-learning, and e-books.

그리고, 더 고전적 형태의 서적이나 온, 오프라인 강의 또한 마찬가지였다.The same was true of more classical books and online and offline lectures.

한편, 웹 2.0의 유행 이후 사용자들의 직접 참여와 이를 통한 컨텐츠의 생산은 인터넷 기술분야에서 화두가 되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popularity of Web 2.0, the direct participation of users and the production of contents through them have become a hot topic in the Internet technology field.

사용자들의 직접참여 결과로 양질의 컨텐츠들이 대량으로 생산됨은 물론, 생산과 소비의 전 과정에 사용자들이 직접 참여함으로써 바야흐로 사용자가 전 과정의 주체가 되는 긍정적인 결과가 도래하였다.As a result of the direct participation of the users, not only the high-quality contents are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but also the positive results that the users become the subjects of the whole process have come as the users directly participate in the whole proces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이러한 관점에서 지식을 전달하는 과정, 학습 과정에 대해서도 종전과 같은 일방적인 지식전달에서 벗어나 학습자들의 참여에 의한 학습컨텐츠의 생산과 유통을 위한 채널의 마련이 필요하다.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channel for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learning contents by the participation of learners from the unilateral knowledge transfer as before.

이는 학습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학습 컨텐츠의 생산과 소비의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This means that learn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nd consuming learning contents.

[문헌 1] 특허공개 제10-2012-0011265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계한 양방향 교육 장치 및 그 방법"[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2-0011265 "Interactive teaching apparatus and method related to social network service" [문헌 2] 특허공개 제10-2012-0010868호 "이동 단말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소셜 네트워크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Patent Literature 2]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10868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Online Education Service Utiliz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학습자들이 직접 지식컨텐츠의 생산과 소비에 참여하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it is intended to present a model in which learners directly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knowledge content.

더 구체적으로는 학습자들의 참여에 의해 다수의 지식컨텐츠를 생산하되, 학습자들로 하여금 생산된 다수의 지식컨텐츠를 한눈에 돌려보면서 확인하되, 대표대화를 통해 무엇에 관한 지식인지를 한눈에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a large number of knowledge contents are produced by the participation of learners, but the learners can check the produced multiple knowledge contents at a glance, but can identify at a glance what is knowledge about the representative conversation.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user interfac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를 경유한 지식컨텐츠의 제공방법은 어느 하나의 단말기가 학습리소스를 재생하던 도중 상기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지식 컨텐츠 생성기능이 선택되면, 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지식 컨텐츠 생성 요청에 따라, 상기 지식 컨텐츠 생성기능이 선택된 시점에서의 상기 학습리소스의 썸네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되, 상기 지식 컨텐츠 생성기능이 선택된 시점에서의 상기 학습리소스의 재생위치로 접근하기 위한 위치정보를 더 저장함으로써 지식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 110 단계;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providing knowledge content via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a terminal user selects a knowledge content generation function while playing a learning resource, the server sends a message from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knowledge content generation request, a thumbnail of the learning resource is generated and stored at the time when the knowledge content generation function is select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playback position of the learning resource at the time when the knowledge content generation function is selected. Step 110 of generating knowledge content by further storing;

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성된 지식컨텐츠에 대한 대화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입력받은 대화들을 저장하는 제 120 단계;Step 120 of storing the received conversations when there is an input of a conversation about the generated knowledge content from a terminal;

서버가 보유한 다수의 지식컨텐츠 각각에 대하여 대표대화 선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대화 가운데 대표대화를 선정하는 제 130 단계;Step 130, selecting a representative conversation from among pre-stored conversations using a representative conversation selection algorithm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knowledge contents held by the server;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가 접속해옴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 지식컨텐츠의 썸네일과 대표대화가 표시되는 초기화면을 제공하는 제 140 단계;Step 140, a terminal displaying a thumbnail and a representative dialog of the knowledge contents as the terminal accesses through the network;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초기화면을 특정 방향으로 스크롤함에 따라, 서버가 상기 스크롤 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될 지식컨텐츠의 썸네일과 대표대화를 더 제공하는 제 150 단계Step 150, as the terminal user scrolls the initial screen in a specific direction, the server further provides a thumbnail and representative dialog of the knowledge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scrolled terminal screen;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썸네일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서버가 상기 썸네일에 저장된 상기 학습리소스의 재생위치로 접근하기 위한 위치정보를 인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 160 단계;Step 160, when the terminal user selects any one of the thumbnail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server retrieves and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playback location of the learning resource stored in the thumbnail to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로부터 기존 대화에 더하여 새로운 대화가 더 입력되면, 기존 대화와 상기 입력받은 대화를 함께 저장하는 제 170 단계; 및If a new conversation is further input from the terminal in addition to the existing conversation, step 170 of storing the existing conversation and the received conversation together; And

상기 대표대화 선정 알고리즘에 의하여 대표대화를 갱신하는 제 18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tep 180 of updating the representative dialogue by the representative dialogue selection algorithm.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단말기 사용자들은 다수의 지식컨텐츠를 한눈에 돌려보면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중요도와 연관성에 따라 구획지어지고 배치된 썸네일들과 대표대화를 통해 무엇에 관한 지식인지를 한눈에 식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users can check a plurality of knowledge contents at a glance.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dentify at a glance what knowledge is known through thumbnails and representative dialogues that are partitioned and arranged according to importance and relevance.

더 나아가,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해당 지식컨텐츠가 유래된 원본 학습리소스로 직접 분기하거나 또는 해당 지식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대화내용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through such a user interface, it is possible to branch directly to the original learning resource from which the corresponding knowledge content is derived or to easily check the contents of the user's conversation about the knowledge content.

도 1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다수의 단말기가 연결되는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를 경유한 지식컨텐츠의 제공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지식컨텐츠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며,
도 3은 다수의 지식컨텐츠의 목록이 단말기 화면상에 도시되는 모습을 예시하는 화면예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식컨텐츠 목록 가운데 어느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단말기 화면상에 선택된 지식컨텐츠의 세부내용이 표시되는 모습을 예시하는 화면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를 경유한 지식컨텐츠의 제공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 다수의 지식컨텐츠를 구획을 나누어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server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through a network;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knowledge content provided by a method for providing knowledge content via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screen diagram illustrating how a list of a plurality of knowledge contents is shown on a terminal screen.
FIG. 4 is an exemplary screen diagram illustrating how the details of the selected knowledge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terminal screen as one of the knowledge contents list shown in FIG. 3 is selected.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knowledge content via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viding a plurality of pieces of knowledge content on a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관련없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s which are not rela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한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mprising" another element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r in the claims, it is not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only that element,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Also,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r the claims, the components named as "means", "parts", "modules", "blocks" refer to units that proces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Each of which may be implemented by software or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1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로 학습리소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connected through a social network service and a server providing a learning resource and a social network service to the terminal.

서버(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단말기(20)들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 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한다. 즉, 다수의 단말기(20) 사용자들로 하여금 서로 인맥으로 연결하고, 인맥으로 연결된 사용자들간 단말기(20)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주고 받는 등의 방식으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rver 10 provides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to a plurality of terminals 20 connected through a network. That is, a plurality of terminals 2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and user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using a terminal 20 by exchanging messages.

한편, 서버(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단말기(20)로 학습리소스를 제공한다.Meanwhile, the server 10 provides the learning resource to the terminal 20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이때, 학습리소스란 학습을 위해 사용되는 컨텐츠로서 웹 도큐먼트 형태로 제작된 것일 수도 있으며, 강의 동영상이나 이북, 이미지 등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arning resource may be a content used for learning, a web document, a lecture video, a book, an image, and the like.

즉, 이러한 측면에서의 서버(10)는 종래기술에 의한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에 대응된다고 하겠다.That is, the server 10 in this aspect corresponds to the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단말기(20)를 통해 인증절차를 거쳐 접속한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학습커리큘럼에 따라서 회차단위로 학습리소스를 스트리밍 방식에 의해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학습자의 학습결과나 진행현황, 성취도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user who accesses the terminal 20 through the authentication process through the terminal 20 provides the learning resource in real time by the streaming method in units of units according to the learning curriculum of the user and collects information such as the learning result, progress status, and achievement of the learner can do.

한편, 단말기(20)는 이와 같이 서버(10)로 접속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수단이다. 또한, 단말기(20)는 동시에 학습리소스를 제공받아 재생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을 진행하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20 is a means by which the server 10 can access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 addition, the terminal 20 is also a means for progressing the learning of the user by simultaneously receiving and reproducing learning resources.

이러한 단말기(20)는 종래기술에 의한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타블렛(Tablet) 등의 형태일 수 있을 것이다.Such a terminal 20 may be in the form of a smart phone or a table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를 경유한 지식컨텐츠의 제공방법은 상기와 같은 서버(10)에서 실행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knowledge content via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ecuted in the server 10 as described abov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를 경유한 지식컨텐츠의 제공방법에 의하여 제공되는 지식컨텐츠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knowledge content provided by a method for providing knowledge content via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를 경유한 지식컨텐츠의 제공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이 전제로 하고 있는 지식컨텐츠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Before describing a method of providing knowledge content via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pt of knowledge content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지식컨텐츠는 다수의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 썸네일 이미지는 다수의 대화와 연결된다.2, the knowledge content includes a plurality of thumbnail images. Each thumbnail image is then associated with a number of conversations.

서버(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말기(20)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썸네일 이미지와 관련한 위치정보 기타의 메타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단말기(20) 사용자들의 대화를 각각 별도로 저장하되, 저장된 대화를 각 썸네일 이미지와 연결짓는다.The server 10 generates a thumbnail image at the request of the user of the terminal 20 as described later, and stores the metadata of the position information or the like related to the generated thumbnail image. Then, the conversations of the users of the terminal 20 are separately stored, and the stored conversations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thumbnail images.

따라서, 지식컨텐츠는 썸네일과 메타 데이터의 층위와 그 아래의 대화의 층위로 이분화되는 구조를 갖는다. 썸네일은 생성되어 지식컨텐츠에 추가됨으로써 고정되나, 대화는 이와는 무관하게 확장되거나 변경된다. 다만, 대화들의 썸네일에 대한 인용관계, 연결관계만이 유지되는 것이다.Thus, knowledge content has a structure that is differentiated over layers of thumbnails and metadata and layers of conversations below. Thumbnails are created and fixed by being added to knowledge content, but conversations are expanded or changed independently. However, only citations and connections to thumbnails of conversations are maintained.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를 경유한 지식컨텐츠의 제공방법에 의할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단말기(20)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지식컨텐츠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knowledge content providing method via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wledge content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provided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20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를 경유한 지식컨텐츠의 제공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knowledge content via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서버(10)는 단말기(2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학습리소스의 썸네일을 생성하여 저장(S110)하고, 상기 썸네일에 연결되는 대화를 저장함으로써 지식컨텐츠를 생성하고 확장한다(S120).As shown in FIG. 5, the server 10 generates and stores a thumbnail of a learning resource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terminal 20 (S110), and generates a knowledge content by storing a conversation connected to the thumbnail. And expand (S120).

그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우선 단말기(20) 사용자는 학습리소스를 제공받아 재생함으로써 학습을 하다가, 다른 단말기(20) 사용자들과 의견을 교환하기를 원하는 경우 단말기(20)를 조작하여 지식컨텐츠의 생성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Looking at the process in detail, first, the user of the terminal 20 learns by receiving and playing the learning resource, and if the user wants to exchange opinions with other terminal 20 users, the user generates the knowledge content by operating the terminal 20. The function can be selected.

이때, 단말기(20) 사용자는 생성된 지식컨텐츠에 연결될 자신의 대화를 입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of the terminal 20 can input his conversation to be connected to the generated knowledge content.

"대화"는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각 지식컨텐츠의 썸네일에 연결되는 단말기(20) 사용자들간의 커뮤니케이션 내용에 해당한다.As described above, "conversation" corresponds to contents of communication between users of the terminal 20 connected to thumbnails of respective knowledge contents.

지식컨텐츠의 생성시 최초로 연결되는 대화는 어떤 내용에 대해 의견교환을 할 것인지를 정하기 때문에 중요하다.The first dialogue that is created when creating knowledge content is important because it decides what content to exchange.

한편, 이에 따라 단말기(20)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서버(10)로 지식컨텐츠의 생성을 요청한다. 이때, 단말기(20) 사용자가 입력한 대화 내용을 서버(10)로 더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20 requests the server 10 to generate the knowledge content via the network. At this time, the content of the conversation input by the user of the terminal 20 is further transferred to the server 10.

서버(10)는 단말기(20)로부터 지식컨텐츠의 생성요청이 있으면, 지식컨텐츠 생성기능이 선택된 시점에서 상기 단말기(20)가 재생중이던 학습리소스로부터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고, 각종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함으로써 기존 지식컨텐츠에 추가한다.When the server 10 requests a generation of knowledge content from the terminal 20, the server 10 generates a thumbnail image from a learning resource that is being played by the terminal 20 when the knowledge content generation function is selected, and generates and stores various metadata. By adding it to existing knowledge content.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썸네일 이미지 층위에 새롭게 썸네일이 추가되는 것이다.That is, a thumbnail is newly added on the thumbnail image layer as shown in FIG.

이때, 서버(10)는 지식컨텐츠의 생성기능이 선택된 시점에서의 상기 학습리소스의 재생위치로 접근하기 위한 위치정보를 썸네일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rver 10 may store location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reproduction position of the learning resource at the time when the generation function of the knowledge content is selected, together with the thumbnail.

위치정보란 두 가지의 중의적 의미를 갖는다.Location information has two meanings.

첫 번째는 상기 학습리소스의 네트워크상 주소를 의미한다. 즉, 상기 학습리소스의 형태가 동영상이거나, 웹 도큐먼트이거나, 이미지이거나 또는 서버(10)에 저장된 별도의 파일이라는 등 그 형태에 상관없이 다수의 단말기(2)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주소를 의미한다.The first means the network address of the learning resource. That is, if the type of the learning resource is a video, a web document, an image, or a separate file stored in the server 10, regardless of the form of the learning resource, Address.

예컨대, url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it may be expressed in the form of url.

두 번째는 해당 학습리소스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정도 분량이 아닌 다소 긴 분량을 가진 경우, 전체 학습리소스 가운데 지식컨텐츠 생성기능이 선택된 시점에 단말기(20) 화면상에서 표시되던 위치를 의미한다.The second refers to a positi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20 at a time when the knowledge content generation function among the entire learning resources is selected when the learning resource has a rather long amount rather than an amount that can be confirmed at a glance.

예컨대, 상기 학습리소스가 동영상인 경우 전체 동영상의 런타임 가운데 몇 분 몇 초에 해당하는지, 이북인 경우 몇 페이지에 해당하는지, 웹 도큐먼트인 경우 전체 웹 도큐먼트의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지 등이 그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learning resource is a moving image, a few minutes and a few seconds of the runtime of the entire moving image, a few pages when the learning resource corresponds to the north, and a position of the entire web document when the web document is the web.

즉, 서버(10)는 학습리소스의 썸네일 생성시에, 상기 학습리소스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학습리소스의 재생위치로 접근하기 위한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저장하는 것이다.That is, the server 10 extracts position information for approaching the reproduction position of the learning resourc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learning resource, and stores it when the thumbnail of the learning resource is generated.

즉, 상기 학습리소스가 동영상인 경우 서버(10)는 지식컨텐츠 생성 요청시점의 해당 동영상의 스크린샷을 썸네일 이미지로 저장하고, 해당 동영상의 url 및 재생시점을 위치정보로 저장한다.That is, when the learning resource is a moving image, the server 10 stores a screen shot of the corresponding moving image at the time of requesting the knowledge content creation as a thumbnail image, and stores the URL and playback time of the moving image as position information.

한편, 상기 학습리소스가 이북인 경우 서버(10)는 상기 이북 표지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으로 저장하고, 상기 이북의 url과 지식컨텐츠 생성 요청시점에 상기 단말기에서 표시되었던 상기 이북의 페이지를 위치정보로 저장한다.When the learning resource is the north, the server 10 stores the book cover image as a thumbnail image, and stores the page of the north book displayed in the terminal at the point of time of requesting the knowledge content creation, do.

이북의 해당 페이지의 스크린샷을 썸네일 이미지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나, 한눈에 식별할 수 있도록 대표성이 있는 표지를 썸네일 이미지로 사용할 수도 있다.Though the screen shot of this page can be used as a thumbnail imag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representative cover such as a thumbnail image at a glance.

만약 상기 학습리소스가 웹 도큐먼트인 경우에는 서버(10)는 상기 웹 도큐먼트의 화면을 이미지로 변환함으로써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웹 도큐먼트의 url 및 지식컨텐츠 생성 요청시점에 상기 단말기에서 표시되었던 해당 웹 도큐먼트 내의 위치를 위치정보로 저장한다.If the learning resource is a web document, the server 10 generates a thumbnail image by converting the screen of the web document into an image, and displays the URL of the web document and the corresponding web Store the location in the document as location information.

한편, 상기 학습리소스가 이미지인 경우 서버(10)는 상기 이미지 그 자체를 썸네일 이미지로 저장하고, 상기 이미지의 url을 위치정보로 저장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earning resource is an image, the server 10 stores the image itself as a thumbnail image and stores the url of the image as location information.

이외에도 단말기(20) 사용자는 학습리소스와 관련하여 생성된 썸네일의 위에 메모를 하는 등의 방식으로 썸네일을 변형할 수 있으며, 서버(10)는 단말기(20)로부터 변형된 썸네일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를 저장한다.In addition, the user of the terminal 20 can modify the thumbnail by, for example, making a note on the thumbnail generated in association with the learning resource. When the server 10 receives the data of the thumbnail changed from the terminal 20 .

예컨대, 단말기(20) 사용자가 단말기(20)의 터치스크린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썸네일의 위에 스타일러스 펜이나 손가락으로 직접 메모를 할 수 있을 것이며, 서버(10)는 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For example, a user of the terminal 20 may directly write a note on the thumbnail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screen of the terminal 20 with a stylus pen or a finger, and the server 10 receives and stores the memo.

한편, 썸네일과 함께 저장되는 상기 학습리소스의 위치정보는 태그 등의 메타데이터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earning resource stored together with the thumbnail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metadata such as a tag.

이때, 서버는 상기와 같은 학습리소스의 위치정보에 더하여, 학습리소스와 관련하여 기 보유하고 있던 학습리소스의 주제, 과목, 난이도, 진도 가운데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인출하여 이를 상기 썸네일의 메타 데이터로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earning resource, the server fetches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among the subject, subject, difficulty, and progress of the learning resource previously held in association with the learning resource and stores it together with the metadata of the thumbnail It is possible.

이와 같이 저장된 메타 데이터는 지식컨텐츠의 추천이나 검색시에 활용될 수 있다.The metadata thus stored can be utilized in the recommendation or retrieval of knowledge contents.

한편, 이와 같이 썸네일의 생성 및 저장이 이루어지면 서버(10)는 단말기(20) 사용자가 입력한 대화내용을 별도로 저장하여 상기 썸네일에 연결한다. 즉, 대화는 자신이 연결된 썸네일에 대한 일종의 포인터를 갖는다.Meanwhile, when generation and storage of the thumbnails are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erver 10 separately stores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input by the user of the terminal 20 and connects them to the thumbnails. That is, the conversation has a kind of pointer to the thumbnail to which it is connected.

따라서, 대화가 확장되거나 변경되어도 썸네일은 이와 무관하게 존재하게 된다.Thus, even if the conversation expands or changes, the thumbnails will be irrelevant.

이와 같이 학습리소스의 특정 위치, 내용과 관련한 썸네일이 생성됨으로써 지식컨텐츠가 생성되고, 이에 대한 단말기(20) 사용자의 대화내용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층위를 이루며 연결된다.As described above, thumbnails related to a specific location and content of the learning resource are generated to generate knowledge content, and the conversation contents of the user of the terminal 20 are connected to form a layer as shown in FIG. 2.

이후, 서버(10)는 S110 내지 S120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축적된 다수의 지식컨텐츠 각각에 대하여 대표대화를 선정한다(S130).Thereafter, the server 10 selects a representative convers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ccumulated knowledge contents by repeating steps S110 to S120 (S130).

예컨대, 어느 하나의 학습리소스의 썸네일에 연결된 다수의 대화들 가운데 가장 많은 인용을 받은 대화를 대표대화로 한다거나, 또는 전체 대화들 가운데 학습리소스의 메타 데이터와 일치하는 키워드가 가장 빈번하게 등장한 대화를 대표대화로 하는 등, 다양한 대표대화 선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대화 가운데 대표대화를 선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versation that has received the most citation among a plurality of conversations connected to a thumbnail of one learning resource is represented, or the keyword that matches the metadata of the learning resource most frequently among the conversations most frequently represents a conversation. Representative conversations can be selected from pre-stored conversations using various representative conversation selection algorithms.

이와 같이 각 지식컨텐츠의 썸네일별로 대표대화가 선정된 후, 서버(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20)가 접속해옴에 따라 상기 단말기(20)로 지식컨텐츠의 썸네일과 대표대화가 표시되는 초기화면을 제공한다(S140).After the representative dialog is selected for each thumbnail of the knowledge content as described above, the server 10 displays an initial screen of the thumbnail and the representative dialog of the knowledge content as the terminal 20 is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Provides (S140).

본 발명은 다수의 썸네일과 각 썸네일별 대표대화를 한눈에 보면서 지식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에 특징이 있으며, 도 3과 도 4는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념적으로 예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knowledge contents at a glance while viewing a plurality of thumbnails and representative dialogs for each thumbnail, and FIGS. 3 and 4 conceptually illustrate such a user interface.

도 3은 다수의 지식컨텐츠의 목록이 단말기 화면상에 도시되는 모습을 예시하는 화면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screen diagram illustrating how a list of a plurality of knowledge contents is shown on a terminal screen.

서버(1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구획으로 나뉘어진 공간에 각 지식컨텐츠의 썸네일과 대표대화를 표시하여 단말기(20)로 제공한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server 10 displays a thumbnail and a representative conversation of each knowledge content in a spac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terminal 20.

그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process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6 as follows.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 다수의 지식컨텐츠를 구획을 나누어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viding a plurality of pieces of knowledge content on a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우선 서버(10)는 화면에 표시될 다수의 지식컨텐츠를 선정한다(S141).First, the server 10 selects a plurality of knowledge content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S141).

그리고, 선정된 각 지식컨텐츠의 썸네일과 대표대화가 표시될 공간을 구획짓는다(S142).Then, the space in which thumbnails and representative dialogs of the selected knowledge contents are displayed is partitioned (S142).

이와 같이 공간이 구획지어지면, 서버(10)는 구획지어진 공간에 각각 지식컨텐츠의 썸네일과 대표대화를 표시한다(S143).When the space is partitioned in this manner, the server 10 displays thumbnails and representative dialogs of the knowledge contents in the partitioned space, respectively (S143).

도 3의 예에서는 모든 지식컨텐츠의 썸네일이 동일한 크기로 구획된 영역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지식컨텐츠의 중요도나 단말기(20) 사용자와의 연관성에 비추어 썸네일과 대표대화가 표시될 영역의 크기와 위치를 상이하게 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FIG. 3, the thumbnails of all the knowledge contents are displayed in the divided areas with the same size. However, in view of the importance of the knowledge contents and the association with the user of the terminal 20, the size of the region where the thumbnails and the representative dialog are displayed and The location can be different.

즉, 단말기(20)가 접속하면 단말기(20) 계정의 정보를 인출하여 사용자 정보를 얻고, 각 지식컨텐츠의 메타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와의 연관성이 높은 지식컨텐츠가 눈에 잘 띄는 중앙, 또는 크기가 큰 영역에 배치되도록 실시간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terminal 20 accesses, the user information is obtained by retrieving th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 account, and compared with the metadata of each knowledge content, the central or size of the knowledge content that is highly related to the user is prominent. Can be reconfigured in real time to be placed in a large area.

또는, 각 지식컨텐츠에 대한 단말기(20) 사용자들의 참여도(대화의 수, 접근빈도수 등)를 이용하여 지식컨텐츠의 중요도를 산출하고, 중요도가 높은 지식컨텐츠가 눈에 잘 띄는 영역이나 크기가 큰 영역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importance of the knowledge content is calculated using the degree of participation (number of conversations, access frequency, etc.) of the users of the terminal 20 with respect to each knowledge content, and the area or size where knowledge content with high importance is prominent is large. It can be displayed in the area.

이러한 과정에 의해 단말기(20)의 화면에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초기화면에 표시된다.By this process, the screen of the terminal 20 is displayed on the initial screen as illustrated in FIG. 3.

즉, 단말기(20) 사용자는 한눈에 다수의 지식컨텐츠의 썸네일과 대표대화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user of the terminal 20 can check thumbnails and representative conversations of the plurality of knowledge contents at a glance.

한편, 단말기(20)의 화면 한 페이지에 모든 지식컨텐츠가 표시되기 어려운 정도로 지식컨텐츠의 양이 많다면, 서버(10)는 이를 단말기(20)의 화면을 일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또는 스크롤하여 볼 수 있도록 단말기(20)의 요청시에 실시간으로 다수의 지식컨텐츠의 썸네일과 대표대화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amount of knowledge content is so large that it is difficult for all knowledge content to be displayed on one page of the screen of the terminal 20, the server 10 may slide or scroll the screen of the terminal 2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view it. At the request of the terminal 20, thumbnails and representative dialogs of a plurality of knowledge contents are provided in real time.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또는 스크롤이 이루어진 이후의 화면에 표시될 지식컨텐츠들을 선정하고, 썸네일이 표시될 공간을 미리 구획을 지어 두었다가, 중요도나 단말기(20) 사용자와의 연관성에 따라서 표시될 위치를 실시간으로 선정하여 이를 단말기(20)로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similarly, the knowledge content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fter the slide or scroll is selected, and the space in which the thumbnails are displayed are arranged in advance, and the position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r the association with the user of the terminal 20 is displayed in real time. By selecting it to provide it to the terminal 20.

한편, 단말기(20) 사용자는 이같이 화면에 표시된 다수의 썸네일과 대표대화를 보다가 어느 하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보기를 원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of the terminal 20 may look at a plurality of thumbnails and representative conversation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is way, and may want to see in more detail about any one.

이 경우 단말기(20) 사용자가 소정의 입력(예컨대, 터치스크린 제스쳐 입력)을 하면, 단말기(20)는 선택된 썸네일을 줌인하여 화면상에 확대해서 보여줄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는 대표대화의 전체 내용이 다 표시되기 어려운 경우라고 하여도, 줌인하여 처리함에 따라 대표대화의 전체 내용이 모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of the terminal 20 makes a predetermined input (eg, a touch screen gesture input), the terminal 20 may zoom in and display the selected thumbnail on the screen. In the screen as illustrated in FIG. 3, even if the entire contents of the representative conversation are difficult to be displayed, the entire contents of the representative conversation may be displayed as the zoom-in process is performed.

한편, 단말기(20) 사용자는 더 나아가 어느 하나의 썸네일을 선택하여, 해당 지식컨텐츠의 내용(학습리소스에 접근하기 위한 위치정보와 전체 대화)에 접근하기를 원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of the terminal 20 may further select one of the thumbnails, and may want to access the contents of the knowledge content (location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learning resources and the entire conversation).

이 경우, 단말기(20)는 서버(10)로 해당 지식컨텐츠의 세부내용을 요청하며, 서버(10)는 단말기(20)로 상기 썸네일에 저장된 상기 학습리소스의 재생위치로 접근하기 위한 위치정보 또는 상기 지식컨텐츠에 저장된 전체 대화들을 상기 단말기를 제공한다(S160).In this case, the terminal 20 requests the server 10 for the details of the corresponding knowledge content, and the server 10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playback position of the learning resource stored in the thumbnail to the terminal 20 or The terminal provides the entire conversations stored in the knowledge content (S160).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식컨텐츠 목록 가운데 어느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단말기 화면상에 선택된 지식컨텐츠의 세부내용이 표시되는 모습을 예시하는 화면예시도이다.FIG. 4 is an exemplary screen diagram illustrating how the details of the selected knowledge content are displayed on the terminal screen as one of the knowledge content list shown in FIG. 3 is selected.

즉, 단말기(20)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썸네일을 선택함에 따라, 단말기(20)는 서버(10)로부터 해당 지식컨텐츠의 세부 내용을 제공받아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That is, as the user of the terminal 20 selects one of the thumbnails, the terminal 20 receives the details of the corresponding knowledge content from the server 10 and displays the same as illustrated in FIG. 4.

이때, 서버(10)가 제공하는 학습리소스의 위치정보는 서버(10)가 직접 호스팅하는 학습리소스의 url이거나, 또는 서버(10) 외부에 존재하는 학습리소스의 url을 포함하며, 학습리소스의 형태에 따라서 다음 사항을 더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earning resource provided by the server 10 may be a url of a learning resource directly hosted by the server 10, or may include a url of a learning resource existing outside the server 10. In accordance with this, the following items are additionally included.

즉, 상기 학습리소스가 동영상인 경우 상기 위치정보는 해당 동영상의 재생시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learning resource is a video,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 playback time point of the video.

또는, 상기 학습리소스가 이북인 경우 상기 위치정보는 지식컨텐츠 생성 요청시점에 상기 단말기에서 표시되었던 상기 이북의 페이지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학습리소스가 웹 도큐먼트인 경우 상기 위치정보는 지식컨텐츠 생성 요청시점에 상기 단말기에서 표시되었던 해당 웹 도큐먼트 내의 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learning resource is e-book, the location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page information of the e-book displayed at the terminal at the time of the request for knowledge content generation, and when the learning resource is a web document, the location information is a knowledge content generation request. The location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in the web document that was displayed on the terminal at the time point.

이와 같이 학습리소스의 위치정보가 제공됨에 따라 단말기(20) 사용자는 해당 위치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썸네일의 원본에 해당하는 학습리소스, 그것도 전체 학습리소스 가운데 썸네일이 생성된 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에 직접 접근할 수 있게 된다.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earning resource is provided in this way, the user of the terminal 20 selects the location information, thereby directly accessing the learning resource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of the thumbnail, and also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point where the thumbnail is generated among all the learning resources. You can do it.

한편,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식컨텐츠의 전체 대화를 보면서 단말기(20) 사용자는 지식의 확장을 위해 대화에 참여할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4, while viewing the entire conversation of knowledge contents, the user of the terminal 20 may participate in the conversation for expansion of knowledge.

이를 위하여 단말기(20) 사용자가 기존 대화에 더 하여 새로운 대화를 입력하면, 서버(10)는 기존 대화와 상기 입력받은 대화를 함께 저장한다(S170).To this end, when the user of the terminal 20 inputs a new conversation in addition to the existing conversation, the server 10 stores the existing conversation and the received conversation together (S170).

한편, 새로운 대화가 입력되어 지식컨텐츠가 갱신되면, 서버(10)는 상기 살펴본 바와 동일한 대표대화 선정 알고리즘에 의하여 대표대화를 재차 선정함으로써 해당 지식컨텐츠의 대표대화를 갱신한다(S180).On the other hand, when a new conversation is input and the knowledge content is updated, the server 10 updates the representative conversation of the corresponding knowledge content by reselecting the representative conversation by the same representative conversation selection algorithm as described above (S180).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를 경유한 지식컨텐츠의 제공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수록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for providing knowledge content via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 and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을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DVD-ROM, CD-ROM, 하드 디스크, USB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ny type of medium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medium include a DVD-ROM, a CD-ROM, a hard disk, a USB memory, a flash memory And the like.

한편, 기록매체에 수록된다는 표현은 대량으로 기록매체에 수록되어 패키지 형태로 유통되는 경우는 물론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어 기록매체에 수록되는 경우를 모두 포괄한다.On the other hand, the expression to be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encompasses not only a case where a large amount is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a case where it is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package, a case where it is provided on a recording medium through a network in the form of a data packet.

상기에서는 "서버"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는 기능이나 부하를 다수의 서버로 분할하여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서버"는 반드시 단일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지칭하지 아니하며,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서버군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expression "server" is used. However,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it is common to divide a function or a load into a plurality of servers for processing. Therefore, a "server" does not necessarily refer to a single hardware component, And < / RTI >

한편, 상기에서는 네트워크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이때 네트워크는 거리와 규모에 따라서는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접속경로의 특징에 따라서는 인트라넷, VPN(Virtual Private Network), 접속방식에 따라서는 와이브로, WiFi 등과 같이 지칭되는 공지의 유무선 통신방식을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network is referred to as a local area network (W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an intranet, a virtual private network (VPN) Therefore, it should be construed as a broad concept coverin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known as WiBro, WiFi, and the like.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및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오직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며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본 발명은 인터넷 컨텐츠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Internet content technology.

10 : 서버
20 : 단말기
10: Server
20:

Claims (9)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와 연결되는 서버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보유한 다수의 지식컨텐츠 각각에 대하여 대표대화 선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대화 가운데 대표대화를 선정하는 제 130 단계; 및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가 접속해옴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 지식컨텐츠의 썸네일과 대표대화가 표시되는 초기화면을 제공하는 제 14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경유한 지식컨텐츠의 제공방법.
In the method running o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via a network,
Step 130, selecting a representative conversation from among pre-stored conversations using a representative conversation selection algorithm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knowledge contents held by the server; And
And a step (140) of providing an initial screen on which the thumbnail and representative dialog of the knowledge contents are displayed to the terminal as the terminal accesses through the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0 단계 이전에, 어느 하나의 단말기가 학습리소스를 재생하던 도중 상기 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지식 컨텐츠 생성기능이 선택되면, 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지식 컨텐츠 생성 요청에 따라, 상기 지식 컨텐츠 생성기능이 선택된 시점에서의 상기 학습리소스의 썸네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되, 상기 지식 컨텐츠 생성기능이 선택된 시점에서의 상기 학습리소스의 재생위치로 접근하기 위한 위치정보를 더 저장함으로써 지식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 110 단계; 및
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성된 지식컨텐츠에 대한 대화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입력받은 대화들을 저장하는 제 120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경유한 지식컨텐츠의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Before the 130th step, if a knowledge content generation function is selected by the terminal user while one terminal is playing a learning resource, the knowledge content generation function is activated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the generation of the knowledge content from the terminal. Generating and storing a thumbnail of the learning resource at a selected time point, and generating knowledge content by further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for accessing a playback position of the learning resource at the time point at which the knowledge content generating function is selected; And
And 120, if there is an input of a conversation about the generated knowledge content from a terminal, storing the received conversa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40 단계는 화면에 표시될 다수의 지식컨텐츠를 선정하는 제 141 단계;
선정된 각 지식컨텐츠의 썸네일과 대표대화가 표시될 공간을 구획짓는 제 142 단계; 및
구획지어진 공간에 각각 지식컨텐츠의 썸네일과 대표대화를 표시하는 제 14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경유한 지식컨텐츠의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tep 140 is a step 141 of selecting a plurality of knowledge content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 step 142 of dividing a space in which thumbnails and representative dialogs of selected knowledge contents are displayed; And
And step 143, which displays thumbnails and representative conversations of the knowledge contents in the partitioned spaces, respectivel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43 단계에서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획득된 각 지식컨텐츠의 중요도 또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와의 적합도에 따라 각 지식컨텐츠가 배치될 구획의 크기 또는 위치를 동적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경유한 지식컨텐츠의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Via the network, the size or location of the partition in which the respective knowledge content is to be arranged is dynamic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each knowledge content acquired by a predetermined algorithm in step 143 or the suitability with the terminal user. How to provide knowledge cont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40 단계 이후,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초기화면을 특정 방향으로 스크롤함에 따라, 서버가 상기 스크롤 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될 지식컨텐츠의 썸네일과 대표대화를 더 제공하는 제 150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경유한 지식컨텐츠의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140, as the terminal user scrolls the initial screen in a specific direction, the server further provides a thumbnail and representative dialog of the knowledge contents to be displayed on the scrolled terminal screen. Method of providing knowledge content via a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40 단계 이후,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썸네일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서버가 상기 썸네일에 저장된 상기 학습리소스의 재생위치로 접근하기 위한 위치정보를 인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 160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경유한 지식컨텐츠의 제공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fter the step 140, when the terminal user selects any one of the thumbnail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server fetches location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playback position of the learning resource stored in the thumbnail and provides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The method of providing knowledge content via a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6 항에 있어서,
서버가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위치정보는 서버가 호스팅하는 학습리소스의 url이거나, 또는 서버 외부에 존재하는 학습리소스의 url을 포함하며,
상기 학습리소스가 동영상인 경우 상기 위치정보는 해당 동영상의 재생시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학습리소스가 이북인 경우 상기 위치정보는 지식컨텐츠 생성 요청시점에 상기 단말기에서 표시되었던 상기 이북의 페이지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학습리소스가 웹 도큐먼트인 경우 상기 위치정보는 지식컨텐츠 생성 요청시점에 상기 단말기에서 표시되었던 해당 웹 도큐먼트 내의 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경유한 지식컨텐츠의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rver to the terminal includes the url of the learning resource hosted by the server or the url of the learning resource existing outside the server.
When the learning resource is a video, the location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 playback point of the video.
When the learning resource is e-book, the location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page information of the e-book displayed on the terminal at the time of requesting the creation of knowledge content.
And when the learning resource is a web document, the location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 location in a corresponding web document displayed at the terminal at the time of requesting the creation of the knowledge conten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60 단계에서, 상기 지식컨텐츠에 저장된 전체 대화들을 상기 단말기로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경유한 지식컨텐츠의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step 160, the method of providing knowledge content via a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ing the entire conversation stored in the knowledge content to the termina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60 단계 이후, 상기 단말기로부터 기존 대화에 더하여 새로운 대화가 더 입력되면, 기존 대화와 상기 입력받은 대화를 함께 저장하는 제 170 단계; 및
상기 대표대화 선정 알고리즘에 의하여 대표대화를 갱신하는 제 180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경유한 지식컨텐츠의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8,
After the step 160, if a new conversation is further input from the terminal in addition to the existing conversation, step 170 of storing the existing conversation and the received conversation; And
And a step 180 of updating the representative dialogue by the representative dialogue selection algorithm.
KR1020120085602A 2012-08-06 2012-08-06 Method of providing knowledge contents over network KR201400191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602A KR20140019136A (en) 2012-08-06 2012-08-06 Method of providing knowledge contents over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602A KR20140019136A (en) 2012-08-06 2012-08-06 Method of providing knowledge contents over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136A true KR20140019136A (en) 2014-02-14

Family

ID=50266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602A KR20140019136A (en) 2012-08-06 2012-08-06 Method of providing knowledge contents over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9136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817A (en) * 2014-02-28 2015-09-08 주식회사 촉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educational contents map
CN109313649A (en) * 2017-03-24 2019-02-05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Voice-based knowledge sharing application for chat robots
KR102114703B1 (en) * 2020-02-07 2020-05-25 주식회사 위힐드 Broadcasting management server and broadcasting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817A (en) * 2014-02-28 2015-09-08 주식회사 촉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educational contents map
CN109313649A (en) * 2017-03-24 2019-02-05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Voice-based knowledge sharing application for chat robots
US11341174B2 (en) 2017-03-24 2022-05-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oice-based knowledge sharing application for chatbots
KR102114703B1 (en) * 2020-02-07 2020-05-25 주식회사 위힐드 Broadcasting management server and broadcasting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WO2021157956A1 (en) * 2020-02-07 2021-08-12 주식회사 위힐드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broadcast management method u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5687B2 (en) Creating and utilizing map channels
Morrell 21st‐century literacies, critical media pedagogies, and language arts
JP6231472B2 (en) Method for searching on the web, comput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jeldskov et al. A longitudinal review of Mobile HCI research methods
US9442626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content consumption and sharing through geographic and incentive based virtual networks
JP2019054510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omment included in moving image
JP6487427B2 (en) Flexible image layout
KR20170012357A (en) User interactions using digital content
CN111179105A (en) Generating offline content
CN103891245A (en) Location-aware content detection
Renz et al. MOOC to Go.
KR101445922B1 (en) Reproduction method of knowledge through social network
Frizzera Mobile media as new forms of spatialization
KR20140019136A (en) Method of providing knowledge contents over network
JP2014503928A (en) E-book with changeable path
Grosser How the technological design of Facebook homogenizes identity and limits personal representation
US20210109645A1 (en) Method for dynamically displaying digital content,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system thereof
Crawford et al. Beyond generations and new media
McBean Remediating affect:“Luclyn” and lesbian intimacy on YouTube
JP2013084271A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with mass culture content relating to travel place, system,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rtini The Catholic Church and the Media: A Text Mining Analysis of Vatican Documents from 1967 to 2020
Millan et al. An initial approach to the integration of Web 2.0 technologies in the research environment
Meyer The expert and the machine: Competition or convergence?
Purcell The Internet
Pachler et al. A social semiotic analysis of mobile devices: Interrelations of technology and social habi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