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8766A -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isplay data for digital light device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display data management program for digital light device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isplay data for digital light device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display data management program for digital light device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8766A
KR20140018766A KR1020120085484A KR20120085484A KR20140018766A KR 20140018766 A KR20140018766 A KR 20140018766A KR 1020120085484 A KR1020120085484 A KR 1020120085484A KR 20120085484 A KR20120085484 A KR 20120085484A KR 20140018766 A KR20140018766 A KR 20140018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content
color
lighting device
terminal
digital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4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구민
강동병
곽인애
여종윤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85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8766A/en
Publication of KR20140018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76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which manufactures a color content for a digital lighting device and provides management being able to be used according to necessity. Especi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managing a color content of a digital lighting device, by manufacturing the color content of the digital lighting device through every kind of smart terminal like a smart phone (for example: i-phone) or a smart pad (for example: i-pad) and exchanging the color content with each other through a digital lighting control application operating in the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 content to control a color and effect of the digital lighting device is manufactured through the digital lighting control application of the smart terminal and can be exchanged among users according to necessity. Through the same, the digital lighting device can perform emotional expression by displaying various types of lighting if only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smart terminal. [Reference numerals] (10A) Color content manufacturing terminal; (10B)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20)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30) Digital lighting device; (S700) Upload request/color content transmission; (S702) Receive/store content; (S704) Report result; (S706) Request color content; (S708) Inquire color content; (S710) Provide color content; (S712) Store/reconfigure color content; (S714) Request to transmit/display color content

Description

디지털 조명장치의 색상컨텐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디지털 조명장치 색상컨텐츠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ISPLAY DATA FOR DIGITAL LIGHT DEVICE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DISPLAY DATA MANAGEMENT PROGRAM FOR DIGITAL LIGHT DEVICES USING THE SAME}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ISPLAY DATA FOR DIGITAL LIGHT DEVICE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DISPLAY DATA MANAGEMENT PROGRAM FOR DIGITAL LIGHT DEVIC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조명장치를 위한 색상컨텐츠를 제작하고 필요에 따라 활용할 수 있도록 관리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스마트폰(예: 아이폰)이나 스마트패드(예: 아이패드)와 같은 각종 스마트 단말을 통해 디지털 조명장치의 색상컨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스마트 단말에서 동작하는 디지털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조명장치의 색상컨텐츠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producing color content for a digital lighting device and providing management so that it can be utilized as needed.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the color content of the digital lighting device through a variety of smart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 (for example iPhone) or smart pad (for example iPad) and to each other through a digital light control application that operates on the smart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managing color content of a digital lighting device by enabling exchange.

종래 조명장치는 사용자의 전원 스위치 조작에 따라 미리 정해진 색상의 조명 개체를 구동해서 주위 환경을 밝게 한다. 조명장치에 구비된 전원 스위치는 사용자의 온/오프 조작에 따라 스위칭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조명 개체에 공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단일 색상의 조명 개체를 구동하는데 사용된다.Conventional lighting devices drive a lighting object of a predetermined color according to a user's power switch operation to brighte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power switch provided in the lighting apparatus is switched according to an on / off operation of the user to determine whether to supply power input from the outside to the lighting object. Such lighting devices are used to drive lighting objects of a single color.

또한 현재 기술이 발전하면서 디지털 조명장치의 보급이 점차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조명장치는 전력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는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조명 개체의 구동 순서를 제어하는 형태로 디지털 조명장치를 동작시키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방식에 따른 조명장치는 미리 정해진 구동 순서에 따라 조명 개체를 반복 구동하므로 사용자의 기분이나 분위기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조명효과를 내는 것이 곤란하다.Also, with the development of current technology, the spread of digital lighting devices is gradually expanding. Such a digital lighting device is not only high power efficiency, but also has an advantage of expressing various colors. Currently, digital lighting devices are operated in a form of controlling the driving order of lighting object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gram. However, since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repeatedly drives the lighting object in a predetermined driving order, it is difficult to produce the lighting effect in the shape desired by the user at a point in time desired by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mood or mood of the user.

그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디지털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처럼 디지털 조명장치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조명장치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디지털 조명을 생성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technology for providing digital lighting in a form desired by a user. As such, in order to provide lighting according to a user's demand in the digital lighting device, a technology for generating digital lighting of a desired shape and effectively utilizing the digital lighting device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조명장치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조명효과를 낼 수 있도록 색상컨텐츠를 제작하고 필요에 따라 활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for manufacturing color content so as to produce a lighting effect desired by a user in a digital lighting device and managing the same so as to utilize it as necessary.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예: 아이폰)이나 스마트패드(예: 아이패드)와 같은 각종 스마트 단말을 통해 디지털 조명장치의 색상컨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디지털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조명장치의 색상컨텐츠를 관리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the color content of the digital lighting device through a variety of smart terminals, such as a smart phone (for example, iPhone) or a smart pad (for example, iPad) and digital lighting control that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smart terminal The application provides technology to manage the color content of digital lighting devices by allowing them to exchange with each other through applications.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조명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색상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색상컨텐츠 제작단말이 색상컨텐츠 관리서버로 색상컨텐츠의 업로드를 요구하고, 색상컨텐츠를 색상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색상컨텐츠 관리서버가 색상컨텐츠 제작단말로부터 색상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색상컨텐츠 관리서버가 색상컨텐츠 수신단말로부터 색상컨텐츠 검사 요구를 수신할 시 전송이 필요한 색상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색상컨텐츠 관리서버가 색상컨텐츠 수신단말로부터 색상컨텐츠의 전송 요구가 존재할 시 색상컨텐츠를 색상컨텐츠 수신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s a method for managing the color conten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digital lighting device,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requests the upload of the color content to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the color content Transmitting to a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Receiving, by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the color content from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When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receives a color content inspection request from a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providing color content information that needs to be transmitted;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may provide the color content to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when there is a request to transmit the color content from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색상컨텐츠 제작단말이 색상컨텐츠 관리서버로 색상컨텐츠의 업로드를 요구하고, 색상컨텐츠를 색상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색상컨텐츠 관리서버가 색상컨텐츠 제작단말로부터 색상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색상컨텐츠 관리서버가 색상컨텐츠 수신단말로부터 색상컨텐츠가 요구되면, 제공할 수 있는 색상컨텐츠들을 검사하여 제공할 수 있는 색상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색상컨텐츠 수신단말로부터 특정 색상컨텐츠의 전송 요구 시 전송 요구 조건이 충족되면 위 요구된 색상컨텐츠를 색상컨텐츠 수신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requesting the upload of color content to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color content to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Receiving, by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the color content from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If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requests color content from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providing a list of color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by checking color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When the transmission requirement is satisfied when the transmission request of a specific color content from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providing the requested color content to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조명장치의 색상컨텐츠 관리 방법은, 색상컨텐츠 수신단말이 주기적으로 색상컨텐츠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에게 수신된 색상컨텐츠가 존재하는가를 문의하여 자신에게 수신된 색상컨텐츠가 존재할 시 수신된 색상컨텐츠가 존재함을 표시하는 단계; 색상컨텐츠 수신단말이 색상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자신에게 수신된 색상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이를 재구성하여 디지털 조명장치로 디스플레이 요청과 함께 그 재구성된 색상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Color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the digital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is periodically received when the color content received by the user by connecting to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and inquires whether the received color content exists Indicating that color content exists;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may receive and store color content received from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from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and reconfigure the color content to provide the reconstructed color content with a display request to the digital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에서 색상컨텐츠는 XML 파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색상컨텐츠 수신단말은 색상컨텐츠를 패킷 포맷으로 재구성하되, 패킷 포맷은 패킷의 시작을 알리는 헤더, 조명의 번호 필드, 디지털 조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시간 필드, 디지털 조명장치에서 색상 및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효과 필드, 스펙트럼 상태 필드, 패킷 1의 종료 필드, 패킷 2의 시작 필드, 적색/녹색/파란색의 조명 각각에 대하여 식별자 필드와 색상정보 필드, 패킷2의 종료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 content may be composed of an XML file.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reconstructs the color content into a packet format, but the packet format includes a header indicating a start of a packet, a number field of lighting, a time field for controlling a digital lighting device, a color and a digital lighting device. It includes an effect field for adjusting brightness, an spectral status field, an end field of packet 1, an start field of packet 2, an identifier field, a color information field, and an end field of packet 2 for each of red / green / blue illumination. Can be.

한편, 본 발명은 디지털 조명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색상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디지털 조명장치의 색상컨텐츠를 제작하여 색상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색상컨텐츠 제작단말(10A); 색상컨텐츠를 수신하여 분류하여 저장하고, 특정 단말로부터 색상컨텐츠의 수신이 요청될 시 미리 결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저장된 색상컨텐츠를 제공하는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 색상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색상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디지털 조명장치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로 재구성하여 디지털 조명장치로 제공하는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미리 결정된 조건의 충족 여부는 해당 단말로 전송이 요청된 색상컨텐츠인지에 대한 제 1 검사, 해당 단말의 등급에서 수신 가능한 색상컨텐츠인지에 대한 제 2 검사, 해당 단말의 과금 처리가 완료되었는지에 대한 제 3 검사를 통해 충족 여부를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managing the color conten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digital lighting device, a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A) for producing the color content of the digital lighting device to transmit to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A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which receives, classifies and stores color contents, and provides stored color contents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reception of color contents is requested from a specific terminal;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for receiving color content from a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and reconstructing it into data that can be processed by a digital lighting device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digital lighting device. At this time, whether or not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is determined by whether the first check whether the color content is requested to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the second check whether the color content can be received in the class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nd whether the charging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is completed. A third inspection is made to determine whether it meet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상과 같은 디지털 조명장치의 색상컨텐츠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디지털 조명장치 색상컨텐츠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the digital lighting device color management program for executing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the digital ligh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의 디지털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지털 조명장치의 색상 및 효과를 제어하기 위한 색상컨텐츠를 제작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들 간에 서로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 단말에 어플리케이션만 설치하면 디지털 조명장치에서 다양한 형태의 조명을 디스플레이하여 감성적 표현을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oduce color content for controlling the color and effect of the digital lighting device through the digital light control application of the smart terminal, and to exchange between users as necessary. Through this, if only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on the smart terminal, the digital lighting device can display various types of lights to express the emotion.

[도 1]은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색상컨텐츠 제작단말과 색상컨텐츠 수신단말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단말이 색상컨텐츠 제작 모드로 동작할 때의 제어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색상컨텐츠 제작 모드에서 제공하는 저작도구 화면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 영역의 터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산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팔레트에서 터치궤적을 이용한 이산시간 궤적의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조명장치로 전송되는 색상컨텐츠의 패킷 형태를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색상컨텐츠 관리서버의 기능 블록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색상컨텐츠를 제작 및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색상컨텐츠가 전송되는 경우의 신호 순서도,
[도 10]은 디지털 조명제어를 위한 색상컨텐츠를 전송할 때 송신단말의 화면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에 따라 색상컨텐츠 수신단말에서 자신에게 색상컨텐츠가 수신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
[도 12]는 색상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색상컨텐츠의 텍스트 목록을 수신하여 표시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3]은 색상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색상컨텐츠의 이미지 목록을 수신하여 표시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
1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an entire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and a color content recep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trol flowchart when the smart terminal operates in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of an authoring tool screen provided by a digital light control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lor content production mode;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iscretizing using touch information of a palette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generation of a discrete time trajectory using a touch trajectory in a palet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cket form of color content transmitted to a digital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gnal flow diagram when color content is transmitted in a system for producing and transmitting color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configuration of a transmitting terminal when transmitting color content for digital lighting control;
11A to 11D are views illustrating a case where color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receiving and displaying a text list of color contents that can be received from a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receiving and displaying an image list of color contents that can be received from a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 첨부된 본 발명의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도면에 예시된 형태 또는 배치 등에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에 대한 부가적인 실시예에 대한 균등 또는 확장은 도면을 참조한 설명을 통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hereto ar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r the arrangement exemplified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enti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는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모든 형태들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디지털 조명을 조정하기 위해 디지털 조명의 온/오프 및 디지털 조명의 색상 변화와 밝기 등에 관한 제어정보 등을 총칭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조명제어 컨텐츠 또는 색상컨텐츠라 부르기로 한다.In FIG. 1, all form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will be described first. First of all, in order to adjust digital lighting, control information related to on / off of digital lighting and color change and brightness of digital lighting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herein as lighting control content or color cont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은 색상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색상컨텐츠 제작단말(10A), 색상컨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 그리고 색상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지털 조명장치(30)로 제공하기 위한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면 각각의 노드들과 네트워크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entire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receives a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A for generating color content, a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for managing color content, and color content. It comprises a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for providing to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Let's take a look at each node and network configuration.

이때, 색상컨텐츠 제작단말(10A)은 사용자나 컨텐츠 제작자가 디지털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형태의 단말장치라면 족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컴퓨터, 개인용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제작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색상컨텐츠 제작단말(10A)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는 후술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살피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A is sufficient as a terminal device in which a user or a content producer can produce digital content.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f data production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smart pads, notebook computers, personal computers, and the lik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A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또는 디지털 조명장치(30)의 제조회사 등에서 디지털 조명장치의 색상 변화 및 밝기 등을 조정하기 위해 제작된 색상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특정 단말로부터 다른 단말로 전송요구 또는 특정 수신단말에서 색상컨텐츠의 수신 요구가 존재하는 경우에 이에 대응하여 해당 단말로 색상컨텐츠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may store color contents manufactured for adjusting color change and brightness of a digital lighting device by an unspecified user or a manufacturer of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and the other terminal from a specific terminal. When there is a transmission request or a reception request of color content in a specific receiving terminal, the color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 response thereto.

따라서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와 색상컨텐츠 제작단말(10A)간은 인터넷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색상컨텐츠 제작단말(10A)이 무선통신 단말인 경우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네트워크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기로 한다. 또한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는 인터넷 상의 서버와 유사한 개념이며, 단지 디지털 조명장치(3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보유하고 디지털 조명장치(30)의 제어 동작을 미리 살펴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정도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refore,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and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A may be connected through an internet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Preferably, when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A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referable to us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type of the network. In addition,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is generally a concept similar to a server on the Internet that manages data, and only holds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and looks at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in advance. It may have a degree of configuration to provide.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은 색상컨텐츠 제작단말(10A)과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로부터 제작된 색상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색상컨텐츠를 디지털 조명장치(30)로 제공하여 색상컨텐츠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방식에 따라 디지털 조명장치(30)가 구동되도록 한다.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이 무선통신 단말인 경우 디지털 조명장치(30)와의 네트워크 연결은 블루투스와 같은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WPAN)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과 디지털 조명장치(30)의 네트워크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may have the same form as the color content producing terminal 10A, and may receive the produced color content from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In addition,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provides the color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wired / wireless network to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so that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is driven according to a method set by the user through the color content. When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network connection with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preferably uses a personal local area network (WPAN) such as Bluetooth. However, the network type of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and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디지털 조명장치(30)는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조명장치로서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로부터 전송된 색상컨텐츠를 해석하고 그 해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시간에 따라 조명의 색상 및 밝기를 제어한다. 따라서 디지털 조명장치(30)는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기 위한 조명은 물론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과 통신을 위한 모듈과 수신된 색상컨텐츠를 해석하여 조명을 구동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포함한다.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is a lighting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types of col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interprets the color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and based on the interpreted information, Control color and brightness. Accordingly,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includes not only lighting for expressing various colors but also a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and a technical configuration for driving the lighting by interpreting the received color content.

이상에서 설명된 [도 1]에서는 색상컨텐츠 제작단말(10A)에서 제작된 색상컨텐츠가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에서 관리되며,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에서 사용자가 소망하는 형태의 색상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지털 조명장치(30)를 제어하는 방식의 구현을 설명하였다.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색상컨텐츠 제작단말(10A)과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기에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에서 직접 색상컨텐츠를 제작하여 디지털 조명장치(30)로 제작된 색상컨텐츠를 전송하여 제어를 달성하도록 사용할 수도 있다.In FIG. 1 described above, the color content produced by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A is managed by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and the color content of the user desired form is received from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The implementation of a method of receiving and controlling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has been described. Since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color content producing terminal 10A as described above, the color content is produced by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by directly producing the color content in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It can also be used to transfer content to achieve control.

이하의 설명에서는 색상컨텐츠 제작단말(10A)에서 제작된 색상컨텐츠를 디지털 조명장치(30)로 전송하여 디지털 조명장치(30)의 색상 및 밝기를 시간에 따라 동작시키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색상컨텐츠 제작단말(10A)은 스마트폰인 경우를 가정하는데, 본 발명에서 색상컨텐츠 제작단말(10A)이 반드시 스마트폰일 필요는 없다. 후술될 [도 2]의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이면 충분하며, 개인용컴퓨터나 노트북컴퓨터 등의 경우 입력 방식이 마우스나 키보드 등이 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color content produced by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A is transmitted to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to operate the color and brightness of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according to time.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A is a smartphon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A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a smartphone. It is sufficient that the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FIG. 2 to be described below is sufficient, and in the case of a personal computer or a notebook computer, the input method may be a mouse or a keyboard.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색상컨텐츠 제작단말(10A) 및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color content producing terminal 10A and a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은 무선통신부(101), 단말모뎀부(103), 단말제어부(105), 단말메모리부(107), 화면표시부(109), 터치입력부(111)를 포함하며, 다른 구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2, th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1, a terminal modem unit 103, a terminal control unit 105, a terminal memory unit 107, a screen display unit 109, a touch It includes an input unit 111, it may further comprise another configuration.

무선통신부(101)는 디지털 조명장치(30)나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와 무선통신을 통해 색상컨텐츠를 송수신하기 위해 데이터의 대역 상승 변환과 대역 하강 변환을 수행한다. 즉, 무선통신부(101)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기저대역의 데이터를 대역 상승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해당하는 네트워크로 송신하고, 데이터 수신을 위해 안테나(ANT)를 통해 해당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색상컨텐츠를 수신하여 대역 하강 변환하여 기저대역 신호를 출력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1 performs band-up conversion and band-down conversion of data to transmit and receive color conten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or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That 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1 bands up the baseband data to transmit data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through the antenna ANT and transmits the color content through the corresponding network through the antenna ANT to receive the data. Receives the band down conversion, and outputs the baseband signal.

단말모뎀부(103)는 색상컨텐츠의 변조, 복조, 부호화, 복호화와 같은 일련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도 2]는 일반적인 스마트 단말인 경우를 가정하였으므로 단말모뎀부(103)는 음성신호의 변복조와 부호화/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보코더를 포함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서는 무선통신부(101)와 단말모뎀부(103)를 포함하여 통신부라 부를 수도 있다.The terminal modem unit 103 performs a series of data processing such as color content modulation, demodulation, encoding, and decoding. 2 is a typical smart terminal, so the terminal modem unit 103 includes a vocoder for performing demodulation and encoding / decoding of a voice signal, and receives an electrical voice signal from a microphone MIC. You can output via (SPK).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it may be called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1 and the terminal modem unit 103.

단말제어부(105)는 일반적인 스마트 단말기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색상컨텐츠를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로 전송하는 한편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제어와 디지털 조명장치(30)로 색상컨텐츠를 송신하기 위한 제어 및 색상컨텐츠 제작에 관련된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색상컨텐츠 제작에 관련된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inal controller 105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of a general smart terminal, and in particular, controls for receiving the color content p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and receiving from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The control for transmitting the color content to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and the control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the color content is performed. Control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such color cont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단말메모리부(107)는 스마트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의 저장 영역을 제공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색상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각종 제어 데이터 및 그 제작된 색상컨텐츠 데이터 또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색상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한다.The terminal memory unit 107 provides a storage area for various data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smart terminal, and in particular, various control data for producing color content and color received through the produced color content data or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n area for storing content.

화면표시부(109)는 LCD 또는 LED 등의 형태로 구성되며, 단말제어부(105)의 제어에 의해 스마트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과정 및 대기 상태에서 스마트 단말의 상태를 표시한다. 특히 화면표시부(109)는 본 발명에 따라 색상컨텐츠의 제작 과정에 따른 일련의 동작을 표시하고, 색상컨텐츠의 송수신 시 동작 과정을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screen display unit 109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LCD, LED, etc., and displays the state of the smart terminal in a proces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smart terminal and the standby state by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105. In particular, the screen display unit 109 may display a series of operations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lor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provide an operation process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color content to the display screen.

터치입력부(111)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여 이를 사용자 입력 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단말제어부(105)로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터치'란 사람의 손가락으로 직접 터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펜 등의 도구를 통해 터치하는 것도 포함되고,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통해 가상으로 이동궤적을 형성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touch input unit 111 detects a user's touch operation, converts it into a user input signal, and provides it to the terminal controller 105.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ouch' is not limited to directly touching with a human finger, but also includes touching through a tool such as a pen,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 virtually forming movement trajectory through a mouse or a keyboard. do.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단말이 색상컨텐츠 제작 모드로 동작할 때의 제어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색상컨텐츠 제작 모드에서 제공하는 저작도구 화면의 예시도이다.3 is a control flowchart when the smart terminal operates in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of an authoring tool screen provided by the digital light control application in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illustration.

컨텐츠 제작 모드로 진입하면, (S200)단계에서 단말제어부(105)는 단말메모리부(107)로부터 저작도구 화면에 대한 정보를 읽어와 화면표시부(109)에 표시하기 위한 정보로 변환한 후 이를 화면표시부(109)에 저작도구 화면을 표시한다. 이러한 화면 표시의 일 예를 [도 4]에 도시하였다.When entering the content production mode, in step (S200), the terminal controller 105 reads information about the authoring tool screen from the terminal memory unit 107 and converts it into information for display on the screen display unit 109 and then displays the screen. The authoring tool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9. An example of such a screen display is shown in FIG.

[도 4]에서 참조부호 (300)의 영역은 핸드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이며, 참조부호 (302) 내지 (308)까지가 본 발명에 따른 색상컨텐츠 제작 모드에 필요한 영역이다. 그러면 각 영역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In FIG. 4, an area of the reference numeral 300 is an area for displaying state information of a mobile phone, and reference numerals 302 to 308 are areas necessary for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et's look at each area.

먼저 참조부호 (302)는 색상컨텐츠의 제작 시간 및 반복 횟수를 설정하고 이를 알리기 위한 영역이다. 반복 횟수는 시간을 나타낸 길이 옆에 표시된 'X1'의 표시로 반복 횟수를 나타내는데, [도 4]의 예시에서는 1회 반복으로 설정되었으므로 반복없이 단한번 표현되는 경우이다. 만일 시간 또는 반복 횟수를 변경하고자 한다면 해당 영역을 터치하면, 시간 조정과 반복 횟수의 조정을 위한 화면이 표시될 때 사용자가 소망하는 시간과 반복 횟수 값을 예컨대 터치를 통해 입력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는 도면이나 제어 순서도에서 별도로 설명하지 않았음에 유의해야 한다.First, the reference numeral 302 is an area for setting and informing the production time and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color content. The number of repetitions indicates the number of repetitions by the display of 'X1' displayed next to the length representing the time. In the example of FIG. 4, the repetition number is represented only once without repetition. If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time or the number of repetitions, the user touches the corresponding area, and when the screen for adjusting the time and the number of repetitions is displayed, the user can input a desired time and the number of repetition times, for example, by touching. Note that this example is not described separately in the drawings or the control flowchart.

다음으로 참조부호 (304)는 첫 번째 조명인 LED 1의 색상 변화 과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즉, 디지털 조명장치(30)에서 둘 이상의 LED 조명을 가질 수 있으므로 [도 4]의 실시예에에서는 LED 1의 색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아래의 팔레트 영역(306)을 통해 설정되는 색상변화 시퀀스가 영역(304)에 시간대별 색상변화가 표시됨으로써 직관적으로 드러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색상의 변화를 LED들을 이용하여 색상과 밝기를 조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모든 색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빛의 3원색인 적색(R), 녹색(G), 파란색(B)의 LED들이 하나의 쌍으로 필요하다.Next, reference numeral 304 is a diagram showing the color change process of the first light, LED 1. That is, since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may have two or more LED lights, the embodiment of FIG. 4 shows the color change of the LED 1. The color change sequence set through the palette area 306 below is intuitively displayed by displaying the color change for each time zone in the area 304.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change in color is adjusted using the LEDs to adjust the color and brightness. Therefore, in order to display all colors, LEDs of red (R), green (G), and blue (B), which are three primary colors of light, are needed as a pair.

참조부호 (306)은 색상표 또는 팔레트 영역이다. 예를 들어 팔레트 영역(306)을 사용자가 터치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이동(드래그)함으로써 해당하는 조명(LED1)의 색상 변화를 지시한다. 이처럼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이동한 결과가 참조부호 (304)의 영역에 표시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도면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Reference numeral 306 is a palette or palette area. For example, by moving (drag) the palette area 306 while keeping the user's touched state, the color change of the corresponding illumination LED1 is instructed. The result of the movement while maintaining the touch state is displayed in the region of the reference numeral 304.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조부호 (308)은 본 발명에 따른 색상컨텐츠를 저장하거나 또는 미리보기 또는 선택취소 또는 다른 사용자와 공유 또는 디지털 조명장치(30)로 전송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선택 영역이다. 기능선택 영역에서 몇가지 아이콘만 살펴본다. 먼저, 컨텐츠 보기 아이콘을 사용자가 터치하면 현재까지 제작된 색상컨텐츠를 미리 보기 형식으로 화면표시부(109)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선택취소 아이콘을 터치하면 현재 팔레트 영역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부분을 취소하도록 제어하고, 공유 아이콘을 터치하면 지금까지 제작한 색상컨텐츠를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로 전송하여 공유(sharing)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저장 아이콘을 터치하면 현재까지 제작된 색상컨텐츠를 단말메모리부(107)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아이콘이다.Reference numeral 308 is a function selection area for storing or previewing, deselecting or sharing with other users or transmitting to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according to the invention. Look at some of the icons in the function selection area. First, when the user touches the content view icon, the color content produced so far is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unit 109 in a preview format. In addition, if you touch the deselect icon, the user controls the selected part in the current palette area, and if you touch the share icon, the color content produced so far is transmitted to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so that sharing is performed. To control. In addition, when the storage icon is touched, it is an icon for controlling to store the color content produced so far in the terminal memory unit 107.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제어부(105)는 (S200)단계에서 첨부된 [도 4]와 같은 형태의 화면을 표시한 후 (S202)단계에서 팔레트 영역(306)의 터치데이터를 수신한다. 팔레트 영역(306) 이외의 영역에 대한 터치가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다른 영역의 경우는 앞선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여기서는 더 살피지 않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팔레트 영역의 터치데이터는 색상컨텐츠 제작 시간으로 미리 결정된 시간 값만큼 팔레트 영역에 터치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로 가정한다.Referring to FIG. 3 again, the terminal controller 105 displays the screen of the form as shown in FIG. 4 attached at step S200 and receives touch data of the palette area 306 at step S202. do. A touch may be made to an area other than the palette area 306, but other areas may be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and will not be further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touch data of the palette area is the case where the touch data exists in the palette area by a predetermined time value as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time.

단말제어부(105)는 (S202)단계에서 팔레트 영역(306)을 통해 입력된 터치데이터를 수신하면 (S204)단계로 진행하여 이산화를 통한 모델링을 수행한 후 당해 모델링에 대한 색상변화 시퀀스(색상변화 수열)을 생성한다. 그러면 (S202)단계에서 팔레트 영역(306)의 터치데이터를 이용하여 (S204)단계에서 이산화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When the terminal controller 105 receives the touch data input through the palette area 306 in step S202, the terminal controller 105 proceeds to step S204 to perform modeling through discretization, and then a color change sequence (color change) for the modeling. Series). Next, a process of discretizing in step S204 using the touch data of the palette area 306 in step S20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팔레트 영역(306)의 터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산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iscretizing using touch information of the palette area 30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도면의 왼쪽에 도시한 그래프는 팔레트 영역(306)에서 사용자의 터치궤적(400)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면의 오른쪽은 팔레트 영역(306)에 형성된 사용자의 터치궤적(400)을 미리 결정된 시간(Ts) 단위로 샘플링하여 생성한 이산궤적(402)이다. 즉, 시간 구간 [0, T]에서 사용자의 터치궤적(400)을 시작 순간 S(0)로부터 마지막 시점 S(T)까지의 궤적은 시간 함수인 S(t)로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graph shown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represents the user's touch trace 400 in the palette area 306.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is a discrete trace 402 generated by sampling the user's touch trace 400 formed in the palette area 306 in units of a predetermined time Ts. That is, the trajectory of the user's touch trace 400 in the time interval [0, T] from the start instant S (0) to the last time S (T) may be represented as a time function S (t).

그러면 이산궤적(402)은 S(t)의 함수를 Ts로 샘플링하여 이산시간 궤적 Sd(k)를 획득할 수 있다. 이산시간 궤적 Sd(k)는 시작 시점은 Sd(0)가 되고, 마지막 시점은 0 시점부터 N+1 개의 샘플링 개수에 따라 Sd(N)이 되는 함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때 이산궤적의 함수들은 팔레트 영역(306)에서 해당하는 샘플링 지점에서 값은 P(x,y)가 되며, 이 값들은 적색(R), 녹색(G), 파란색(B)의 값인 (R, G, B) 값으로 표현된다.The discrete trajectory 402 can then obtain a discrete time trajectory S d (k) by sampling the function of S (t) as Ts. The discrete time trajectory S d (k) may be a function at which the start time becomes S d (0) and the last time becomes S d (N) according to the number of N + 1 samplings from the 0 time point. Therefore, the functions of the discrete trajectories are P (x, y) at the corresponding sampling point in the palette area 306, and these values are red (R), green (G), and blue (B) values (R). , G, B) value.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S202)단계와 (S204)단계는 [도 5]에서와 같이 터치궤적(400)을 이산화한 궤적(302)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즉, 각 샘플링 시간마다의 점의 궤적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된다. 이를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Referring back to FIG. 3, steps S202 and S204 are changed to a track 302 in which the touch trace 400 is discretized as shown in FIG. 5. That is, a process of converting the locus of the point for each sampling time is performe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팔레트 영역(306)에서 터치궤적을 이용한 이산시간 궤적의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generation of discrete time trajectories using touch trajectories in the palette area 30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단에 팔레트 영역(306)이 도시되어 있으며, 하단에 팔레트 영역(306)에서 터치된 정보에 따라 디지털 조명장치(30)에서 조명이 변화하는 색상을 색상변화 영역(500)을 도시하고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팔레트 영역(306)에서 참조부호 (510)과 같이 터치가 이루어진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시간 구간 [0, T]까지 터치궤적 S(t)는 참조부호 (510)이 된다. 이때, 터치궤적 S(t)을 따라 샘플링 회수에 맞춰 Sd(k)의 이산시간 궤적이 생성되어 하단의 색상변화 영역(500)과 같은 형태로 변화된다.Referring to FIG. 6, the palette area 306 is shown at the top, and the color of the color changing area is changed in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touched at the palette area 306. 500). More specifically, assume that a touch is made in the palette area 306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510. Then, the touch trace S (t) becomes the reference sign 510 until the time interval [0, T]. At this time, the discrete time trajectory of S d (k)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ampling along the touch trace S (t), and is changed to the same shape as the color change area 500 at the bottom.

만일 터치궤적 S(t)에서 S(t1)의 시간에서 속도를 느리게 한다면, 즉, 샘플링이 2회 이상 이루어지도록 궤적의 시간 변화를 주게 되면, 하단의 이산시간 궤적Sd(k)(500)에서 노란색 영역이 넓게 반영되게 된다. 반대로 만일 터치궤적 S(t)에서 다른 부분에서는 느리게 이동하여 샘플링이 2회 이상 이루어지도록 하고, S(t1)의 시간에서 속도를 빠르게 한다면, 하단의 이산시간 궤적Sd(k)(500)에서 노란색 영역이 좁게 반영되게 된다. 단말제어부(105)는 이처럼 생성된 이산시간 궤적 Sd(k)을 샘플링 주기마다 색상 정보를 포함한 수열을 생성한다.If you slow down the time from the touch trace S (t) to the time of S (t 1 ), that is, if you change the time of the trajectory so that sampling occurs more than once, the discrete time trajectory S d (k) (500) ), The yellow area is widely reflected. On the contrary, if the touch trajectory S (t) moves slowly in another part and the sampling is performed twice or more, and the speed is increased at the time of S (t 1 ), the discrete time trajectory S d (k) (500) The yellow area will be narrowly reflected in. The terminal controller 105 generates a sequence including the color information for each of the sampling periods of the discrete time trajectory S d (k) generated in this manner.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제어부(105)는 (S206)단계로 진행하여 앞선 (S204)단계에서 생성된 색상변화 수열 값에 대해 전송 요구가 있는가를 검사한다. 만일 전송 요구가 있는 경우 단말제어부(105)는 (S20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S202)단계로 진행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전송에 대해서만 도시하였다. 즉, [도 4]에서 예시된 다른 기능에 대해서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고 (S208)단계에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3 again, the terminal control unit 105 proceeds to step S206 to check whether there is 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color change sequence value generated in the previous step S204. If there is a transmission request, the terminal controller 105 proceeds to step S208. Otherwise, the terminal controller 105 proceeds to step S202. In the embodiment of Fig. 3, only data transmission is shown. That is, other functions illustrated in FIG. 4 will be briefly described in operation S208 without being illustrated in the drawing.

단말제어부(105)는 (S208)단계로 진행하면, (S204)단계에서 생성된 수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인 색상컨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모뎀부(103)와 무선통신부(101)를 제어하여 전송한다. 이때 전송하는 대상은 디지털 조명장치(30)가 될 수도 있고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해당하는 경우에 맞춰 네트워크를 선택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When the terminal controller 105 proceeds to step S208, the terminal controller 105 generates color content, which is data for transmitting the sequenc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step S204, and controls the terminal modem unit 103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1. To transmit. In this case, the object to be transmitted may be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or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Therefore, the network should be selected according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case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또한 이때 색상수열 궤적을 전송하기 위한 콘텐츠 포맷으로 변환하여 생성되는 색상컨텐츠 파일은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는데, 예컨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로 색상컨텐츠 파일을 제작할 수 있다. 이처럼 XML 형태로 색상컨텐츠 파일을 제작하는 경우 이산시간 궤적 수열의 시간 정보와 색상 정보를 XML 파일에 그대로 넣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생성된 XML 데이터를 예시하면 하기 <표 1>과 같이 예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lor content file generated by converting the content sequence to transmit the color sequence trajectory may be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color content file may be produced in the form of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producing the color content file in the XML format,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color information of the discrete time trajectory sequence can be directly put in the XML file. If the generated XML data is illustrated as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그러면 이처럼 XML 파일을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로 전송하는 경우 <표 1>과 같은 정보를 그대로 전송하거나 압축 전송할 수 있다. 또다른 방법으로 색상수열 정보를 패킷화하여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단말간 전송인 경우 즉, [도 1]에서 색상컨텐츠 제작단말(10A)과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간 직접 또는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를 통해 전송하는 경우 XML 파일을 그대로 전송하거나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다.Then, when transmitting the XML file to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the information as shown in Table 1 may be transmitted as it is or compressed. Another method is to packetize and transmit color sequence information. For example, in case of transmission between terminals, that is, when transmitting directly between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A and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or through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in FIG. 1, the XML file is transmitted as it is. Or compressed to send.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 또는 색상컨텐츠 제작단말(10A)에서 디지털 조명장치(30)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XML 데이터를 그대로 또는 압축하여 전송할 수도 있으며, 패킷 데이터의 스트리밍 형태로 전송할 수도 있다. 만일 XML 데이터를 그대로 전송하는 경우라면, 디지털 조명장치(30)에서 이를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어야 한다. 패킷 데이터 스트리밍 형태로 전송되는 경우라면,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어야 한다.
When transmitting from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or the color content producing terminal 10A to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the XML data may be transmitted as it is or compressed, or may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streaming of packet data. If the XML data is transmitted as it is, it should be produced in a form that can process it in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If it is transmitted in the form of packet data streaming, it should be manufactured in a form capable of processing the transmitted packet data.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조명장치(30)로 전송되는 색상컨텐츠의 패킷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cket form of color content transmitted to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전송패킷은 16바이트 크기이며 3바이트의 패킷1 시작(Start Packet1) 헤더로 시작된다. 그리고 조명 즉, LED 번호(LED Number) 필드, 디지털 조명장치(30)를 제어하기 위한 시간(Time Number) 필드, 디지털 조명장치(30)에서 색상과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효과(Effect) 필드, 스펙트럼 상태(Spectrum State) 필드, 패킷1 종료(End Packet1) 필드를 갖는다. 이어서, 패킷2 시작(Start Packet2) 필드를 구비하고, 패킷2 시작 필드 이후로 적색/녹색/파란색의 3가지 색상을 위한 LED들의 식별자(Color Identifier) 필드, 색상 정보(Color Value) 필드를 포함하며, 전송패킷의 가장 마지막에는 패킷2 종료(End Packet2) 필드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a transmission packet is 16 bytes in size and starts with a 3 byte Start Packet1 header. In addition, illumination, that is, an LED number field, a time number field for controlling the digital illuminator 30, an effect field for adjusting color and brightness in the digital illuminator 30, and a spectrum It has a Spectrum State field and an End Packet1 field. And includes a Start Packet2 field, and includes a Color Identifier field and a Color Value field of LEDs for three colors of red / green / blue after the Start Packet2 field. At the end of the transport packet, the packet contains an End Packet2 field.

따라서 [도 7]의 형태를 다시 표로 설명하면, 하기 <표 2>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form of FIG. 7 is described again as a table, it can be shown as following <Table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도 7]과 [표 2]의 형태는 하나의 예시일 뿐 다른 형태가 될 수도 있으나, 기본적으로 위와 같은 정보들을 포함한다.7 and Table 2 are just examples and may be other forms, but basically include the above information.

한편, 디지털 조명장치(30)가 [도 4]의 팔레트 영역(306)과 같은 색상표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는 색상 정보를 전달하지 않고 샘플링된 좌표의 데이터만 전송할 수 있다. 즉, 샘플링 시점에서의 좌표인 (x(t), y(t))의 데이터들만 전송하면 된다. 하지만, 모든 색상컨텐츠 제작단말의 팔레트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색상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색상 정보를 경우에는 샘플링 시간에 대응한 빨간색과, 녹색과 파란색으로 표현되는 (R(t), G(t), B(t))의 정보가 전송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previously stores a color table such as the palette area 306 of FIG. 4, only the data of the sampled coordinates may be transmitted without transmitting color information. That is, only data of (x (t), y (t)), which are coordinates at the sampling time point, need to be transmitted. However, it is common to transmit color information because the palettes of all color content producing terminals may not be the same.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olor inform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R (t), G (t), B (t)) represented by red and green and blue corresponding to the sampling time is transmitted.

이상에서 설명된 바를 [도 1]을 참조하여 다시 살펴보면, 색상수열 컨텐츠는 색상컨텐츠 제작단말(10A)에서 [도 3]의 설명에서와 같이 제작되며, 그 제작된 색상컨텐츠 파일은 XML 형태의 파일로 색상컨텐츠 제작단말(10A)에 저장된다. 컨텐츠 제작자가 파일로 색상컨텐츠 제작단말(10A)을 조작하여 전송을 요청하면, XML 파일은 셀룰라 네트워크 또는 WLAN 네트워크를 통해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로 제공된다.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는 그 수신된 색상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고, 동시에 또는 필요에 따라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로 제공한다.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로부터 색상컨텐츠를 수신한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은 XML 파일을 그대로 또는 패킷으로 재구성하여 디지털 조명장치(30)로 제공한다. 이때,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에서는 그 수신한 색상컨텐츠를 미리 디스플레이 해볼 수도 있다.
Looking at the bar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again, the color sequence content is produced as described in [Fig. 3] in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A), the produced color content file is an XML file It is stored in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A. When the content producer requests the transmission by manipulating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A as a file, the XML file is provided to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through the cellular network or the WLAN network.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stores the received color content in the database DB and provides it to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at the same time or as necessary.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receiving the color content from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provides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by reconstructing the XML file as it is or into a packet. In this case,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may display the received color content in advanc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8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서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와 연결되는 유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참조부호는 (40)을 사용한다.In FIG. 8, reference numeral 40 denotes a wired or wireless network connected to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01)는 유무선 네트워크(40)에 대응되는 프로토콜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01)에서 수신된 데이터는 서버모뎀부(603)로 제공되며, 서버모뎀부(603)로부터 전송이 요청된 데이터를 유무선 네트워크(120)으로 전달한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601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 protocol standard corresponding to the wired / wireless network 40. The data received from the network interface unit 601 is provided to the server modem unit 603, and transfers data requested for transmission from the server modem unit 603 to the wired / wireless network 120.

서버모뎀부(603)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0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여 서버제어부(605)로 제공하고, 반대로 서버제어부(605)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변조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01)로 전달한다. 서버모뎀부(603)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01)와 함께 일종의 통신경로를 구성한다.The server modem unit 603 demodulates the data received from the network interface unit 601 and provides the demodulated data to the server control unit 605. On the contrary, the server modem unit 603 modulates the data provided from the server control unit 605 and delivers the data to the network interface unit 601. . The server modem unit 603 forms a kind of communication path together with the network interface unit 601.

서버제어부(605)는 서버모뎀부(603)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디지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색상컨텐츠인 경우에는 이를 분석하여 서버메모리부(607)에 저장한다. 또한 이때 송신자 및 수신자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컨텐츠 제작자가 B라는 사용자에게 전송한 디지털 조명을 제어 컨텐츠인 경우 해당하는 사용자만 수신할 수 있도록 관리하며, A라는 컨텐츠 제작자가 어느 누구라도 원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 경우 수신자를 모두로 설정할 수도 있다. When the data received from the server modem unit 603 is color content for controlling the digital lighting, the server controller 605 analyzes the data and stores the data in the server memory unit 607. In addition, information about the sender and the receiver may be stored together. For example, if a content creator named A controls digital lighting transmitted to a user named B, the content is managed so that only the corresponding user can receive it, and the content creator A is designed to provide it to any user. If so, the receiver can be set to all.

또한, 서버제어부(605)는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 등급, 예컨대 정회원 등급의 사용자만 수신 가능 또는 정회원과 준회원 사용자들이 수신 가능 등으로 허용가능한 사용자 등급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하는 등급의 수신자들만 당해 색상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유료로 판매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과금서버(미도시)가 별도로 존재하거나 이에 대한 과금처리를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에서 수행해야 한다.In addition, the server controller 605 may set a user class that can be received only by a user class, for example, a user of a regular member level, or can be received by a regular member and a semi-member user. In this case, only the receivers of the corresponding class may receive the color content. 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sell for a fee, in this case, a billing server (not shown) exists separately or the billing process for this should be performed in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또한 서버제어부(605)는 특정 사용자에게 전달이 요구된 경우 자동으로 색상컨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고, 해당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만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control unit 605 may automatically transmit the color content when the delivery is requested to a specific user, or may be transmitted only when the request of the corresponding user.

서버메모리부(607)는 각 사용자들이 위와 같이 등급이 설정된 즉, 수신자를 설정하여 등록되는 색상컨텐츠들을 저장하는 영역 또는 데이터베이스(DB)를 구비한다. 뿐만 아니라 메모리(607)는 서버제어부(605)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영역과 제어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한다.
The server memory unit 607 has an area or database (DB) for storing color contents in which users are registered as described above, that is, a receiver is set. In addition, the memory 607 includes an area for storing various data and program codes necessary for the control of the server controller 605 and an area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the control process.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색상컨텐츠를 제작 및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색상컨텐츠가 전송되는 경우의 신호 순서도이다.9 is a signal flow diagram when color content is transmitted in a system for producing and transmitting color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색상컨텐츠 제작단말(10A)에서 색상컨텐츠를 제작한 후 색상컨텐츠 제작단말(10A)은 (S700)단계에서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로 업로드를 요구하는 신호(Upload Query)를 생성하여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로 제공한 후 제작된 색상컨텐츠를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로 전송한다.First, after producing the color content in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A),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A) generates a signal (Upload Query) requesting the upload to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in step (S700) color content After providing to the management server 20 transmits the produced color content to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그러면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는 (S702)단계에서 이를 복조 및 복호하고, 그 수신된 색상컨텐츠를 해당하는 등급에 맞춰 메모리(607)에 저장한다. 이후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는 (S704)단계에서 그 색상컨텐츠의 저장 결과를 색상컨텐츠 제작단말(10A)로 알려준다.Then,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demodulates and decodes it in step S702 and stores the received color content in the memory 607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grade. Thereafter,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informs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A of the result of storing the color content in step S704.

색상컨텐츠가 특정한 수신단말을 대상으로 전송되는 컨텐츠의 경우 송신되는 메시지의 예를 [도 10]에 예시하였다.An example of a message transmitted in the case of a content transmitted to a specific receiving terminal with color content is illustrated in FIG. 10.

[도 10]은 디지털 조명제어를 위한 색상컨텐츠를 전송할 때 송신단말(10A)의 화면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configuration of a transmitting terminal 10A when transmitting color content for digital lighting control.

[도 10]에서는 (a)와 (b)를 통해 전송 이전과 전송 완료 시점에서 송신단말(10A)의 UI 화면에 나타나는 표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801)은 스마트폰의 현재 상태를 알리는 기능표시 영역이다. 그리고 참조부호 (802)는 수신자 및 송신할 색상컨텐츠와 그에 대한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이 표시되어 있다.FIG. 10 illustrates a display form appearing on the UI scree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A before and during the transmission through (a) and (b). Referring to FIG. 10, reference numeral 801 denotes a function display area for notifying the current state of the smartphone. Reference numeral 802 denotes a receiver, a color content to be transmitted, and an area for inputting a message thereof.

참조부호 (802)의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수신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단말의 전화번호 등이 기재될 수도 있고, 다수의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경우 그룹 명칭 또는 특정 그룹에서 등급 명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신자 설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 10]에서는 한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경우를 예시한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Recipient' displayed in the area of the reference numeral 802 may include a telephone number of a specific terminal, etc., as shown in FIG. 10, or a group name or a rating in a specific group when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users. It can also contain a name. Such a receiver setting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nd it should be noted that FIG. 10 illustrates a case of transmitting to one user.

또한 참조부호 (802)의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는 당해 전송하려는 색상컨텐츠 파일의 이름이며, 컨텐츠 제작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의 예시에서는 색상컨텐츠 파일이 XML 파일로 제작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또한 참조부호 (802)의 영역에 '메시지' 영역은 컨텐츠 제작자가 필요에 따라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메시지에 필요에 따라서는 제작의도 또는 목적 등이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음이 편안해 지는 조명' 또는 '명상에 적합한 조명' 또는 '기분이 좋아지는 조명' 또는 '내마음ㅋㅋ' 등과 같은 형태로 입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area of the reference numeral 802 is the name of the color content file to be transmitted, and can be arbitrarily set by the content creator. In the example of FIG. 10, a color content file is produced as an XML file. In addition, the 'message' area in the area of the reference numeral 802 is configured to allow a content producer to input a message to be delivered as needed. In this message, a production intention or purpose may be inputted as necessary. For example, you can type in the form of 'lights that make you feel comfortable' or 'lights that are suitable for meditation' or 'lights that feel good' or 'my heart'.

이와 같이 선택이 완료되면, 업로드 아이콘을 선택하여 업로드를 요구할 수도 있고, 취소를 선택하여 다른 컨텐츠를 선택할 수도 있다. 참조부호 (803)은 전송이 완료된 경우 전송된 색상컨텐츠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예로 도시한 윈도우이다.When the selection is completed in this way, the upload icon may be selected to request upload, or the cancel may be selected to select another content. Reference numeral 803 is a window showing an example for displaying the contents of the transmitted color content to the user when the transmission is completed.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이처럼 색상컨텐츠가 저장된 이후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로부터 (S706)단계와 같이 색상컨텐츠 요구 신호(Polling Query)가 수신되면, (S708)단계와 같이 해당하는 단말로 전송할 색상컨텐츠가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는 제공할 색상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로 가정한다. 제공할 색상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는 (S710)단계에서 제공할 색상컨텐츠를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로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9 again, when the color content is stored as described above, if a color content request signal (Polling Query) is received from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as shown in step S706, the corresponding terminal as shown in step S708. Check whether there is color content to send. It is assumed here that there is color content to provide. If there is color content to be provided,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transmits the color content to be provided in step S710 to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이때,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로부터 (S706)단계와 같이 색상컨텐츠 요구 신호(Polling Query)는 주기적으로 스마트폰의 기능을 이용하여 확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이 안드로이드 체제를 사용하는 경우 안도로이드의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여 백그라운드에서 주기적으로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로 자신에게 전송된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color content request signal (Polling Query) can be configured to periodically check using the function of the smart phone from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S706). That is, when the smartphone uses the Android system, it may be configured to check whether there is a message transmitted to itself to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periodically in the background by using the service function of Andorroid.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여 색상컨텐츠 요구 신호에 대응하여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에서 색상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11A to 11D, a case in which color content is received by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in response to a color content request signal will be described.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에 따라 색상컨텐츠 수신단말에서 자신에게 색상컨텐츠가 수신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11A to 11D are views illustrating a case where color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의 참조부호 (901)은 스마트폰의 상태 창에서 LED 조명 제어를 위한 색상컨텐츠가 수신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처럼 색상컨텐츠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메시지 수신 상태 확인 창을 열어 참조부호 (902)와 같이 수신된 색상컨텐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Reference numeral 901 of FIG. 11A illustrates a case where color content for LED lighting control is received in a status window of a smartphone. As such, when the color content is received, the user may check the received color content information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902 by opening the message receiving status confirmation window of the smart phone.

사용자가 해당하는 색상컨텐츠의 수신을 요구하면, [도 11b]와 같이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면서 해당하는 색상컨텐츠를 수신한다. 이후 [도 11c]와 같이 수신된 색상컨텐츠의 파일 이름과 색상컨텐츠가 저장된 경로와 송신자의 전화번호 및 송신자가 송신한 메시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user requests the reception of the corresponding color content,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executed as shown in FIG. 11B and the corresponding color content is received. Thereafter, as shown in FIG. 11C, the file name of the received color content, the path in which the color content is stored,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nder, and the message transmitted by the sender may be displayed together.

이후 [도 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색상컨텐츠의 상황을 볼 수 있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1D, the situation of color content for controlling digital lighting can be seen.

다음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다른 방법으로 특정한 등급 또는 과금에 따라 색상컨텐츠가 제공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특정한 등급 또는 과금에 따라 색상컨텐츠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색상컨텐츠의 제공 방법이 [도 10] 및 [도 11]에서의 설명한 방법과 다르게 된다.Next, a case in which color content is provided according to a specific grade or billing in a manner different from that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hen the color content is provided according to a specific grade or charging, the method of providing the color content is different from that described in FIGS. 10 and 11.

만약 등급별로 색상컨텐츠가 제공되는 경우에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는 해당하는 등급에서 다운로드 가능한 정보들을 미리 전송한 후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로부터 선택된 색상컨텐츠만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과금이 필요한 경우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는 색상컨텐츠 목록을 미리 제공하고, 제공된 색상컨텐츠에 대한 결재가 이루어진 경우 해당하는 색상컨텐츠를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로 제공할 수도 있다.
If the color content is provided for each grade,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only the color content selected from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after transmitting information downloadable in the corresponding grade in advance. In addition, when charging is required,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may provide a color content list in advance, and provide a corresponding color content to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when payment is made for the provided color content.

[도 12]는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색상컨텐츠의 텍스트 목록을 수신하여 표시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receiving and displaying a text list of color content that can be received from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로부터 해당하는 단말에서 수신할 수 있는 색상컨텐츠의 텍스트 목록만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에 부가하여 색상컨텐츠를 송신한 송신자가 입력한 설명 또는 메시지 내용이 [도 12]에 도시한 색상컨텐츠 파일 이름과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에서는 이처럼 표시된 색상컨텐츠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하는 색상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2, only a text list of color contents that can be received by a corresponding terminal from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may be received and displayed. In addition, the description or message content input by the sender who sent the color content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color content file name shown in FIG.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may select one of the displayed color contents and receive the corresponding color content.

다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방법 외에도 특정한 단말로 자동 전송이 요구된 경우라면,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는 (S706)단계 내지 (S708)단계의 과정 없이 (S710)단계로 진행할 수도 있다. 이처럼 바로 전송되는 경우는 SMS 메시지 또는 MMS 메시지와 같은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This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 9. In addition to this method, if automatic transmission to a specific terminal is required,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may proceed to step S710 without the process of steps S706 to S708. In this case, the message may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n SMS message or an MMS message.

이상에서 설명한 색상컨텐츠의 전송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XML 형태의 데이터로 전송될 수 있으며,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서 전송이 용이한 XML 형태의 데이터로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lor content may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XML data or may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packet data. In the following,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a smartphone transmits data in XML format that can be easily transmitted.

이처럼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에서 XML 데이터 형태로 제공된 색상컨텐츠를 수신하면, (S712)단계에서 수신된 색상컨텐츠를 단말메모리부(107)에 저장하고, 디지털 조명장치(30)로 제공 가능한 형태로 재구성한다. 예를 들어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로부터 XML 형태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지털 조명장치(30)로의 전송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킷 데이터 형식이어야 하는 경우,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은 XML 형식의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 형식으로 재구성한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color content provided in the form of XML data is received by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as described above, the color content received in step S712 may be stored in the terminal memory unit 107 and provided to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Reconstruct with For example, when receiving the data in the form of XML from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and the transmission to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should be a packet data format as described above,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is of the XML format Reconstruct the data into a packet data format. The opposite can also be done.

이처럼 재구성이 완료되면,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은 (S714)단계에서 재구성된 색상컨텐츠를 디지털 조명장치(30)로 제공하고, 이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요구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조명장치(30)는 수신된 디지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색상컨텐츠에 의거하여 디지털 조명을 온/오프 및 색상과 밝기 등을 제어한다.
When the reconstruction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provides the reconstructed color content to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in step S714 and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display thereof. Accordingly,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controls the digital lighting on / off and color and brightness based on the color content for controlling the received digital lighting.

[도 13]은 색상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색상컨텐츠의 이미지 목록을 수신하여 표시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조명장치(30)에서 수신된 색상컨텐츠에 따라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된 색상컨텐츠에 따라 디지털 조명장치(30)의 색상 및 밝기 등을 조정하여 감각적인 조명을 생성할 수 있다.
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list of color contents that can be received from a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is displayed and displayed. Preferably, the color content received by the digital lighting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change according to time.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lor and brightness of the digital lighting apparatus 3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eceived color content to generate sensory lighting.

10A : 색상컨텐츠 제작단말
10B : 색상컨텐츠 수신단말
20 : 색상컨텐츠 관리서버
30 : 디지털 조명장치
40 : 유무선 네트워크
101 : 무선통신부
103 : 단말모뎀부
105 : 단말제어부
107 : 단말메모리부
109 : 화면표시부
111 : 터치입력부
601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603 : 서버모뎀부
605 : 서버제어부
607 : 서버메모리부
10A: Color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10B: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20: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30: digital lighting device
40: wired and wireless network
101: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3: terminal modem unit
105: terminal control unit
107: terminal memory unit
109: screen display
111: touch input unit
601: network interface unit
603: server modem unit
605 server control unit
607 server memory

Claims (9)

디지털 조명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색상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색상컨텐츠 제작단말이 색상컨텐츠 관리서버로 상기 색상컨텐츠의 업로드를 요구하고, 색상컨텐츠를 상기 색상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색상컨텐츠 관리서버가 상기 색상컨텐츠 제작단말로부터 색상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색상컨텐츠 관리서버가 색상컨텐츠 수신단말로부터 색상컨텐츠 검사 요구를 수신할 시 전송이 필요한 색상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색상컨텐츠 관리서버가 상기 색상컨텐츠 수신단말로부터 상기 색상컨텐츠의 전송 요구가 존재할 시 상기 색상컨텐츠를 상기 색상컨텐츠 수신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조명장치의 색상컨텐츠 관리 방법.
As a method of managing color conten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digital lighting device,
A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requesting uploading of the color content to a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color content to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Receiving, by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color content from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When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receives a color content inspection request from a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providing color content information that needs to be transmitted;
Providing, by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the color content to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when there is a request to transmit the color content from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Color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the digital lighting device comprising a.
디지털 조명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색상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색상컨텐츠 제작단말이 색상컨텐츠 관리서버로 상기 색상컨텐츠의 업로드를 요구하고, 색상컨텐츠를 상기 색상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색상컨텐츠 관리서버가 상기 색상컨텐츠 제작단말로부터 색상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색상컨텐츠 관리서버가 색상컨텐츠 수신단말로부터 색상컨텐츠가 요구되면, 제공할 수 있는 색상컨텐츠들을 검사하여 제공할 수 있는 색상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색상컨텐츠 수신단말로부터 특정 상기 색상컨텐츠의 전송 요구 시 전송 요구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요구된 색상컨텐츠를 상기 색상컨텐츠 수신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조명장치의 색상컨텐츠 관리 방법.
As a method of managing color conten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digital lighting device,
A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requesting uploading of the color content to a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color content to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Receiving, by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color content from the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Providing, by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a color content list that can be provided by checking color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when color content is requested from a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Providing the requested color content to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when a transmission request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request for transmission of a specific color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Color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the digital lighting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색상컨텐츠는 XML 파일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조명장치의 색상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the color content of the digital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XML fil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색상컨텐츠 수신단말이 주기적으로 상기 색상컨텐츠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에게 수신된 색상컨텐츠가 존재하는가를 문의하여 자신에게 수신된 색상컨텐츠가 존재할 시 수신된 색상컨텐츠가 존재함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조명장치의 색상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Periodically receiving, by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accessing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and inquiring whether the color content received from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exists;
Color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the digital ligh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색상컨텐츠 수신단말이 상기 색상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자신에게 수신된 색상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이를 재구성하여 상기 디지털 조명장치로 디스플레이 요청과 함께 상기 재구성된 색상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조명장치의 색상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and storing the color content received from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from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and reconstructing the color content to provide the reconstructed color content with a display request to the digital lighting apparatus;
Color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the digital ligh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색상컨텐츠 수신단말은 상기 색상컨텐츠를 패킷 포맷으로 재구성하되,
상기 패킷 포맷은 패킷의 시작을 알리는 헤더, 조명의 번호 필드, 디지털 조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시간 필드, 디지털 조명장치에서 색상 및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효과 필드, 스펙트럼 상태 필드, 패킷 1의 종료 필드, 패킷 2의 시작 필드, 적색/녹색/파란색의 조명 각각에 대하여 식별자 필드와 색상정보 필드, 패킷2의 종료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조명장치의 색상컨텐츠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reconstructs the color content into a packet format,
The packet format includes a header for indicating the start of a packet, a number field of illumination, a time field for controlling a digital illuminator, an effect field for adjusting color and brightness in the digital illuminator, a spectral state field, an end field of packet 1, And an identifier field, a color information field, and an end field of packet 2 for the start field of packet 2 and the illumination of red, green, and blue, respectively.
디지털 조명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색상컨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디지털 조명장치의 색상컨텐츠를 제작하여 색상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색상컨텐츠 제작단말(10A);
상기 색상컨텐츠를 수신하여 분류하여 저장하고, 특정 단말로부터 색상컨텐츠의 수신이 요청될 시 미리 결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저장된 색상컨텐츠를 제공하는 상기 색상컨텐츠 관리서버(20);
상기 색상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색상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디지털 조명장치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로 재구성하여 상기 디지털 조명장치로 제공하는 색상컨텐츠 수신단말(10B);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조명장치의 색상컨텐츠 관리 시스템.
A system for managing color conten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digital lighting device,
A color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A for producing color content of the digital lighting device and transmitting the color content to a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20 which receives the color content, classifies and stores the color content, and provides the stored color content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reception of the color content is requested from a specific terminal;
A color content receiving terminal (10B) for receiving color content from the color content management server, reconstructing it into data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digital lighting device, and providing the color content to the digital lighting device;
Color content management system of the digital lighting device is configured to includ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의 충족 여부는 해당 단말로 전송이 요청된 색상컨텐츠인지에 대한 제 1 검사, 해당 단말의 등급에서 수신 가능한 색상컨텐츠인지에 대한 제 2 검사, 해당 단말의 과금 처리가 완료되었는지에 대한 제 3 검사를 통해 상기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조명장치의 색상컨텐츠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ther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is determined by the first check whether the color content is requested to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the second check whether the color content can be received in the class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nd whether the charging process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is completed. Color content management system of the digital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inspec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satisfaction.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디지털 조명장치의 색상컨텐츠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디지털 조명장치 색상컨텐츠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digital lighting device color management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for managing color contents of a digital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KR1020120085484A 2012-08-04 2012-08-04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isplay data for digital light device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display data management program for digital light devices using the same KR201400187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484A KR20140018766A (en) 2012-08-04 2012-08-04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isplay data for digital light device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display data management program for digital light device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484A KR20140018766A (en) 2012-08-04 2012-08-04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isplay data for digital light device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display data management program for digital light device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766A true KR20140018766A (en) 2014-02-13

Family

ID=50266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484A KR20140018766A (en) 2012-08-04 2012-08-04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isplay data for digital light device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display data management program for digital light device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876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1768A (en) * 2020-11-03 2021-01-22 广东科徕尼智能科技有限公司 Lamp strip color control method and system, intelligent terminal and storag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1768A (en) * 2020-11-03 2021-01-22 广东科徕尼智能科技有限公司 Lamp strip color control method and system, intelligent terminal and storage device
CN112261768B (en) * 2020-11-03 2023-12-19 广东好太太智能家居有限公司 Lamp strip color control method and system, intelligent terminal and storag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0223C (en) Creation and management of near field communications tags
CN102984393B (en) Method for file transmission between mobile terminals and mobile terminal
EP2528351A1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using a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program
CN104702665B (en) Information sharing method and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US10972360B2 (en) Dynamic design of a lighting configuration
CN106911768B (en) Intelligent equipment, intelligent home system and sett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US2017009378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EP41521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stallation of application
CN107895468A (en) Remote control matching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4508699A (en)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uses the same
US20230300286A1 (en) Subtitle presentation based on volume control
CN109472849A (en) Method,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the storage medium of image in processing application
CN1031671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user configurable user interface in a portable terminal
CN103716760A (en)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and sending short message
KR20140018766A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isplay data for digital light device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display data management program for digital light devices using the same
CN110020261A (en) Document converts shar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CN102739705A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CN103781039A (en) Short message system with compression function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KR101513655B1 (en) Method of processing color-contents data based on touch-trajectory for digital ligh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CN102223610B (en) Method and the mobile device of exchanges data is carried out between mobile device
CN103186358B (en) Hand-held electronic equipment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pictures and multimedia system composed of same
US20140028450A1 (en) Remote control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207156942U (en) Intelligence instrument based on electric car
KR20140025093A (en) System for providing emotional light contents service for digital lighting devices
CN105915984A (en) Remote controller and WIFIMirocast conflict solving method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