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8105A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anagement device and base station management method - Google Patent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anagement device and base station management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8105A
KR20140018105A KR1020130086675A KR20130086675A KR20140018105A KR 20140018105 A KR20140018105 A KR 20140018105A KR 1020130086675 A KR1020130086675 A KR 1020130086675A KR 20130086675 A KR20130086675 A KR 20130086675A KR 20140018105 A KR20140018105 A KR 20140018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radio
area
frequency band
radio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6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95154B1 (en
Inventor
가즈야 네기시
마사카즈 시라카와
게이지 야마모토
다이치 다시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40018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1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1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Abstract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nagement device (3) including a wireless parameter list (32) for storing an ID and wireless parameters of a base station (2) having area information indicating the area in which the base station (2) is installed, a wireless parameter allocating part (33) for allocating the wireless parameters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s based on the area information, and a network communication part (31) for transmitting the allocated wireless parameters to the base station (2); and the base station (2) including a network communication part (21) for receiving the wireless parameters from the management device (3) and a wireless parameter setting part (22) for setting the wireless parameters. [Reference numerals] (1) Terminal; (21,31) Network communication part; (22) Wireless parameter setting part; (23) Wireless part; (32) Wireless parameter list; (33) Wireless parameter allocation part; (AA) Base station; (BB) Management device; (CC) Maintenance network; (DD) Communication network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관리 장치 및 기지국 관리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ANAGEMENT DEVICE AND BASE STATION MANAGEMENT METHOD}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ANAGEMENT DEVICE AND BASE STATION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복수의 기지국을 집중 관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관리 장치 및 기지국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management apparatus, and a base station management method for centrally managing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본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 2012-172770(출원일: 2012년 8월 3일)을 기초로 하며, 이 출원으로부터 우선의 이익을 향수한다. 본 출원은 이 출원을 참조함으로써, 동 출원의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This application is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2-172770 (filed date: August 3, 2012), which receives preferential benefit from this application. This application includes the contents of this application by reference to this application.

종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치국(置局) 설계는 커버 에리어 및 간섭 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치국 설계에서는, 기지국의 송신 전력값 및 무선 주파수는, 사전에 수동으로 설치 예정지 주위의 기지국이 송출하는 전력값을 고려한 후에 결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설치자에게 있어서는 큰 수고이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station design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ver area and interference suppression. However, in the station design, since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and the radio frequency of the base station need to be determined after considering the power value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around the installation site manually in advance, it is a great effort for the installer.

또한, 새롭게 설치된 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한 단말기로부터 수신 전력값이나 간섭 정보에 관한 정보의 보고를 받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주파수나 송신 전력값을 결정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이미 기지국이 어떠한 전파를 송신하고 있을 것이 전제로 되어 있으며, 또한 송신되는 전파에는 다른 기지국에 대한 영향이 고려되어 있지 않아, 기존의 서비스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In addition, a method of receiving a report on the received power value or the interference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receiving the radio wave from the newly installed base station and using this information can be considered a method of determining the radio frequency or the transmit power value. However, in this method, it is assumed that the base station is already transmitting some radio waves, and the radio waves to be transmitted have no effect on other base stations, which may adversely affect existing services.

또한, 일본 특허 공개 2001-169338호 공보에는, 기지국이 무선 주파수를 전환하면서 주파수마다 수신 전계 강도를 측정하여, 각 무선 주파수의 수신 전파 내의 간섭파의 유무를 검출하고, 무선 통신 환경을 적정화할 수 있는 기지국이 제안되어 있다.Further,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169338 discloses that the base station measures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for each frequency while switching the radio frequencies,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terference waves in the received radio waves of each radio frequency, and optimizes the radio communication environment. A base station is proposed.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의 경우, 기지국이 송신하는 주파수대와, 단말기가 송신하는 주파수대가 상이하기 때문에, 기지국에 대하여 새롭게 수신하는 무선 주파수대를 실장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때문에, 그러한 기능이 실장되어 있지 않은 기지국에 대해서는 유효하지 않다.However, in this method, in the case of a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system, since the frequency band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and the frequency band transmitted by the terminal are different, a radio frequency band newly received is required for the base station. For this reason, it is not valid for a base station in which such a function is not implemented.

일본 특허 공개 2001-169338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16933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지국 설치에 있어서의 수고와 비용을 삭감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 관리 장치 및 기지국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management apparatus, and a base station management method that can reduce the effort and cost in base station installation.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에리어를 갖는 관리 에리어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지국과, 기지국을 관리하는 관리 장치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관리 장치는, 기지국이 설치된 에리어를 나타내는 에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식별 정보와 당해 기지국의 무선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와, 에리어 정보에 기초하는 기지국 간의 거리에 따라 무선 파라미터를 할당하는 무선 파라미터 할당부와, 할당된 무선 파라미터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제1 통신부를 구비하며, 기지국 장치는, 관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와, 무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부를 구비하는 것이다.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provided in a management area having a plurality of areas and a management device for managing the base station, wherein the management device indicates an area in which the base station is provided. A radio parameter assignment unit for allocating radio parameter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and the radio parameters of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area information, and the assigned radio parameters to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apparatus is provided with the 1st communication part to transmit, The base station apparatus is equipped with the 2nd communication part which receives the radio parameter transmitted from a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radio parameter setting part which sets a radio parameter.

상기 구성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기지국 설치에 있어서의 수고와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adio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labor and the cost of installing the base station can be reduced.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각 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기지국 신설 시의 문제점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실시예 1에 있어서 기지국 ID와 기지국이 설치된 위치를 맵핑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기지국 ID와 기지국이 설치된 위치를 맵핑하는 것 이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실시예 1의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의 갱신 처리를 도시하는 시퀀스도.
도 8은 기지국 신설 전의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기지국 신설 직후의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무선 주파수대의 결정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은 무선 파라미터 조정 후의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무선 파라미터 조정 후의 각 기지국의 커버 에리어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실시예 2에 있어서 기지국 ID와 기지국이 설치된 위치를 맵핑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실시예 3에 있어서 기지국 ID와 기지국이 설치된 위치를 맵핑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each devi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ireless parameter list.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blem when a base station is newly established.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mapping a base station ID and a location where a base station is installed in Embodiment 1;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ther than mapping of a base station ID and a location where a base station is installed.
7 is a sequence diagram showing an update process of a radio parameter lis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radio parameter list before base station establishment.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radio parameter list immediately after the base station is established.
10 is a flowchart showing a determination procedure of a radio frequency band.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radio parameter list after radio parameter adjustment.
Fig. 12 is a diagram showing a cover area of each base station after radio parameter adjustment.
Fig. 1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mapping a base station ID and a location where a base station is installed in Embodiment 2;
FIG. 1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radio parameter list in Example 2. FIG.
Fig. 1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mapping a base station ID and a location where a base station is installed in the third embodim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기지국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management method which concern on this embodiment are demonstrated, referring drawings.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이 시스템은, 단말기(1-1 내지 1-m)(이하, 단말기(1)라 총칭함), 기지국(2-1 내지 2-n)(이하, 기지국(2)이라 총칭함), 관리 장치(3), 보수용 네트워크 및 통신용 네트워크를 갖는다. 기지국(2)은 그 커버 에리어에 존재하는 단말기(1)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관리 장치(3)는 복수의 기지국(2)과 유선 또는 무선 회선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관리 장치(3)는 보수용 네트워크 및 통신용 네트워크와 접속되며, 보수용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 서버(4)와 접속된다. 보수용 네트워크 및 통신용 네트워크는, 각 장치 간에서 임의의 통신을 행할 수 있으면 되며, IP 망이나 ISDN 망과 같은 네트워크의 종별을 불문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관리 장치(3)에 의해 배하(配下)의 기지국(2)을 집중 관리함으로써, 국소적으로 기지국(2)의 설정 정보를 최적화할 수 있다.1 shows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ystem includes terminals 1-1 to 1-m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erminal 1), base stations 2-1 to 2-n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base station 2), and management apparatus. (3) It has a maintenance network and a communication network. The base station 2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1 existing in the cover area. The management device 3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2 by a wired or wireless line. In addition, the management apparatus 3 is connected with the maintenance network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is connected with the management server 4 via the maintenance network. The maintenance network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only need to be able to perform arbitrary communication between the devices,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network such as an IP network or an ISDN network. In this system, th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2 can be optimized locally by centrally managing the base station 2 underneath by the management apparatus 3.

도 2는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각 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기지국(2)은 네트워크 통신부(21), 무선 파라미터 설정부(22) 및 무선부(23)를 갖는다. 관리 장치(3)는 네트워크 통신부(31),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32) 및 무선 파라미터 할당부(33)를 갖는다. 또한, 기지국 본래의 기능에 대해서는, 주지의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네트워크 통신부(21)는 관리 장치(3)의 네트워크 통신부(31)와 접속되어 있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each devi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FIG. The base station 2 has a network communication unit 21, a radio parameter setting unit 22, and a radio unit 23. The management device 3 has a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 a radio parameter list 32, and a radio parameter assignment unit 33.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base station has a known function.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21 is connected to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 of the management device 3.

관리 장치(3)는 자신과 접속되는 배하의 기지국(2)마다의 무선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32)를 갖는다.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32)의 상세한 것은 후술되겠지만, 이 리스트 중에 각 기지국이 송신하는 전파의 무선 파라미터(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대 및 송신 전력값)가 포함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는, 무선 주파수대는, 간단히 무선 주파수라고 기재되어 있다. 무선 파라미터 할당부(33)는 이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32)에 포함되는 무선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각 기지국이 송신하는 전파의 무선 주파수대 및 송신 전력값을 결정하고(할당하고), 네트워크 통신부(31)를 통하여 기지국(2)에 무선 주파수대, 송신 전력값을 통지하며, 그 후 결정한 무선 파라미터로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32)를 갱신한다.The management apparatus 3 has a radio parameter list 32 which stores radio parameters for each base station 2 connected to it. Although the details of the radio parameter list 32 will be described later, radio parameters (for example, radio frequency band and transmission power value) of radio waves transmitted by each base station are included in this list. In addition, in the figure, the radio frequency band is simply described as a radio frequency. The radio parameter assignment unit 33 refers to radio parameters included in this radio parameter list 32 to determine (assign) radio frequency bands and transmission power values of radio waves transmitted from each base station, and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 The base station 2 is notified of the radio frequency band and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through the radio station. The radio parameter list 32 is then updated with the radio parameters determined.

기지국(2)은 네트워크 통신부(21)를 통하여 관리 장치(3)로부터 통지되는 무선 주파수대 및 송신 전력값을 포함하는 무선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무선 파라미터를 무선 파라미터 설정부(22)에 의해 무선부(2)에 설정하며, 전파(무선 신호)의 송출을 개시한다.The base station 2 receives a radio parameter including a radio frequency band and a transmission power value notified from the management apparatus 3 via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21, and wirelessly receives the received radio parameter by the radio parameter setting unit 22. It sets in the part 2 and starts transmission of a radio wave (radio signal).

도 3은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32)의 일례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32)는 기지국 ID 및 무선 주파수대 및 송신 전력값을 포함하는 무선 파라미터를 저장한다.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32)에서는, 기지국 ID와 무선 파라미터는 관련지어져 있다. 또한, 리스트로서 유지되는 무선 파라미터의 종류는, 시스템에 따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3 is an example of a wireless parameter list 32. As shown in FIG. 3, the radio parameter list 32 stores radio parameters including a base station ID and radio frequency band and a transmission power value. In the radio parameter list 32, the base station ID and radio parameters are associated. In addition, the kind of radio parameter maintained as a list can be changed arbitrarily according to a system.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각 실시예를 따라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실시예 1)(Example 1)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기지국 신설 시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도 4에서는, 관리 장치(3)의 관리 에리어 내에 이미 기지국 A, 기지국 B 및 기지국 C의 3대의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1대의 기지국 D가 새롭게 설치된다. 이 시스템에서는 3개의 무선 주파수대 α, β, γ를 사용 가능하고, 기지국 A는 무선 주파수대 α를, 기지국 B는 무선 주파수대 β를, 기지국 C는 무선 주파수대 γ를 사용하고 있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4, the problem at the time of establishing a base station is demonstrated. In FIG. 4, three base stations of the base station A, the base station B, and the base station C are already installed in the management area of the management device 3, and one base station D is newly installed. In this system, three radio frequency bands α, β, and γ can be used, base station A uses radio frequency band α, base station B uses radio frequency band β, and base station C uses radio frequency band γ.

사용되고 있지 않는 무선 주파수대가 있는 경우에는, 단순히 사용되고 있지 않는 무선 주파수대를 기지국 D가 이용하면, 간섭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기지국 D는 기존의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의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고 있는 무선 주파수대가 없기 때문에, 다른 기지국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무선 주파수대 및 송신 전력값을 산출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이 작업을 사람의 손으로 행하고 있으며, 이 작업에 드는 노동력이 문제가 되고 있었다.When there is a radio frequency band that is not in use, if the base station D simply uses a radio frequency band that is not in use, since the interference does not occur, the base station D can operate without affecting the existing service. However, in the case of Fig. 4, since there is no unused radio frequency band,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radio frequency band and transmission power values which do not affect other base stations. In general, this work is performed by human hands, and labor for this work has become a problem.

도 5는 본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 ID와 기지국이 설치된 위치를 맵핑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5 shows an example of mapping a base station ID and a location where a base station is installed in the present system.

도 5에서는 관리 장치(3)가 관리하는 건물을 남북 방향으로 3분할하고, 동서 방향으로 5분할하며, 합계 15분할하여, 복수의 에리어를 형성한다. 각각의 에리어에, 에리어의 위치를 나타내는 고유한 에리어 ID가 부여된다. 이 예에서는, 기지국 ID의 첫머리 2문자가 이 기지국이 설치된 에리어를 나타내는 에리어 정보를 나타내고, 첫머리로부터 첫번째 문자는 동서 방향의 위치, 첫머리로부터 두번째 문자는 남북 방향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A는, 관리 장치(3)가 관리하는 에리어의 최북단, 최서단의 에리어(에리어 「A1」)에 속해 있다. 따라서, 기지국 ID는, 관리 에리어 내에서 기지국이 설치된 에리어를 나타내는 에리어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지국 ID와 에리어의 대응 관계를 관리 장치(3)에서 관리해 둔다.In FIG. 5, the building managed by the management apparatus 3 is divided into three in the north-south direction, five in the east-west direction, and 15 in total to form a plurality of areas. Each area is given a unique area ID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area. In this example, the first two letters of the base station ID indicate area information indicating the area in which the base station is installed, the first letter from the first indicates the position in the east-west direction, and the second letter from the first indicates the position in the north-south direction.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A belongs to the northernmost and westernmost regions (area "A1") of the area managed by the management apparatus 3. Therefore, the base station ID includes area information indicating the area where the base station is installed in the management area.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base station ID and the area is managed by the management apparatus 3.

또한, 이 이외의 다음 4자리의 ID에 대해서는, 임의의 문자이어도 되고, 시스템에 따라 달리 필요한 정보로서 이용해도 되며, 또한 자릿수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bout next ID of 4 digits other than this, arbitrary characters may be sufficient, it may be used as necessary information according to a system, and the number of digits can also be changed.

예를 들어, 기지국 A는 에리어 「A1」에 속하기 때문에 기지국 ID는 A1으로부터 시작되고, 또한 기지국 A는 그 에리어의 1대째의 기지국이기 때문에 기지국 ID는 A1 뒤에 0001이 부여된다. 따라서, 기지국 A의 기지국 ID는 「A10001」이 된다. 이 ID를, 설치자가 기지국 설치 시에 수동으로 기지국에 설정한다.For example, since the base station A belongs to the area "A1", the base station ID starts from A1, and since the base station A is the first base station of the area, the base station ID is assigned 0001 after A1. Therefore, the base station ID of the base station A is "A10001". The installer sets this ID to the base station manually at the time of base station installation.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 ID는, 기지국이 설치된 에리어를 나타내는 에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식별 정보로서 사용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station ID is use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which includes area information indicating the area where the base station is installed.

또한, 관리 장치(3)는 건물의 크기와 분할한 에리어 수를 기초로, 인접하는 에리어의 거리의 가중치(weight)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건물의 크기가, 남북 방향으로 30m, 동서 방향으로 50m이며, 건물이 남북 방향에 3분할되고, 동서 방향에 5분할되면, 인접하는 에리어의 거리의 가중치는 각각 1이다. 이 경우, 인접하는 에리어의 거리의 가중치는 동서:남북=1:1이다. 즉, 남북 방향으로의 1에리어의 이동과, 동서 방향으로의 1에리어의 이동은, 수신 전력의 같은 감쇠를 부여하는 것을 나타낸다.Moreover, the management apparatus 3 calculates the weight of the distance of the adjacent area based on the size of a building and the number of divided areas. For example, if the size of the building of FIG. 5 is 30 m in the north-south direction and 50 m in the east-west direction, and the building is divided into three in the north-south direction and five in the east-west direction, the weights of the distances of the adjacent areas are each one. . In this case, the weight of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areas is east-west: north-south = 1: 1. That is, movement of one area in the north-south direction and movement of one area in the east-west direction indicate that the same attenuation of the received power is given.

이에 비해, 도 6에서는, 도 5와 동일한 크기의 건물이, 남북 방향으로 3분할되고, 동서 방향으로 3분할된다. 인접하는 에리어의 거리의 가중치는 동서:남북=1.66:1이다. 즉, 남북 방향으로의 1에리어의 이동이 가중치 1만큼의 수신 전력의 감쇠를 부여하는 것에 비해, 동서 방향으로의 1에리어의 이동이 가중치 1.66의 수신 전력의 감쇠를 부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FIG. 6, the building of the same size as FIG. 5 is divided into 3 parts in the north-south direction, and 3 parts in the east-west direction. The weight of the distance of adjacent areas is east-west: north-south = 1.66: 1. In other words, the movement of one area in the north-south direction imparts attenuation of the received power by the weight 1, whereas the movement of one area in the east-west direction imparts attenuation of the reception power of the weight 1.66.

시스템에 따라 에리어 분할 수를 적절히 정할 수 있으며, 에리어를 미세하게 분할하면, 기지국이 설치된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the system, the number of area divisions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nd when the area is finely divided, the position where the base station is installed can be represented more accurately.

기지국 ID는, 시스템에서 일의(一意)로 결정되는 ID이며,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등의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취득 가능한 파라미터의 일종이기 때문에, 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새로운 구조를 기지국(2)에 실장할 필요는 없다.The base station ID is an ID determined uniquely by the system, and is a kind of parameter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base station using a protocol for managing a network such as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It is not necessary to mount the new structure in the base station 2 in order to.

상기 구조로부터, 관리 장치(3)는 기지국 ID를 참조함으로써 기지국이 설치된 대략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관리 장치(3)는 기지국(2)의 기동 후에 기지국 ID를 취득하고, 취득한 기지국 ID를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32)에 추가하며, 무선 파라미터 할당부(33)에 의해 무선 주파수대 및 송신 전력값의 재할당을 행한다.From the above structure, the management device 3 can specify the approximate location where the base station is installed by referring to the base station ID. The management device 3 acquires the base station ID after the base station 2 is activated, adds the acquired base station ID to the radio parameter list 32, and resets the radio frequency band and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by the radio parameter assignment unit 33. The assignment is performed.

도 7은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의 갱신 처리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관리 장치(3)는 기지국 A의 설치 완료 통지(기지국 ID=A10001)를 받아,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32)에 기지국 ID(A10001)를 추가하고, 무선 파라미터 할당부(33)에 의해 무선 주파수대 및 송신 전력값의 재검토를 행한다. 기지국 A는, 관리 장치(3)로부터 무선 파라미터(무선 주파수대 α, 송신 전력값 40)의 통지를 받아, 무선 주파수대 α, 송신 전력값 40을 무선부(23)에 설정하고, 운용을 개시한다.7 is a sequence diagram showing an update process of a radio parameter list. The management apparatus 3 receives the installation completion notice (base station ID = A10001) of the base station A, adds the base station ID A10001 to the radio parameter list 32, and transmits the radio frequency band and the transmission by the radio parameter assignment unit 33. The power value is reviewed. The base station A receives the notification of the radio parameters (radio frequency band α, transmission power value 40) from the management device 3, sets the radio frequency band α and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40 to the radio unit 23, and starts operation.

마찬가지로, 관리 장치(3)는 기지국 B의 설치 완료 통지(기지국 ID=B30001)를 받아,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32)에 기지국 ID(B30001)를 추가하고, 무선 파라미터 할당부(33)에 의해 무선 주파수대 및 송신 전력값의 재검토를 행한다. 기지국 B는, 관리 장치(3)로부터 무선 파라미터(무선 주파수대 β, 송신 전력값 40)의 통지를 받아, 무선 주파수대 β, 송신 전력값 40을 무선부(23)에 설정하고, 운용을 개시한다. 또한, 관리 장치(3)는 기지국 C의 설치 완료 통지(기지국 ID=D20001)를 받아,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32)에 기지국 ID(D20001)을 추가하고, 무선 파라미터 할당부(33)에 의해 무선 주파수대 및 송신 전력값의 재검토를 행한다. 기지국 C는, 관리 장치(3)로부터 무선 파라미터(무선 주파수대 γ, 송신 전력값 50)의 통지를 받아, 무선 주파수대 γ, 송신 전력값 50을 무선부(23)에 설정하고, 운용을 개시한다.Similarly, the management device 3 receives the installation completion notice (base station ID = B30001) of the base station B, adds the base station ID B30001 to the wireless parameter list 32, and then uses the wireless parameter assignment unit 33 to set the radio frequency band. And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is reviewed. The base station B receives the notification of the radio parameters (radio frequency band β, transmission power value 40) from the management device 3, sets the radio frequency band β and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40 to the radio unit 23, and starts operation. In addition, the management device 3 receives the installation completion notification (base station ID = D20001) of the base station C, adds the base station ID D20001 to the radio parameter list 32, and then uses the radio parameter assignment unit 33 to set the radio frequency band. And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is reviewed. The base station C receives a notification of radio parameters (radio frequency band γ, transmission power value 50) from the management device 3, sets the radio frequency band γ and transmission power value 50 to the radio unit 23, and starts operation.

이 운용 상태에서, 기지국 D가 신설되고, 관리 장치(3)는 기지국 D의 설치 완료 통지(기지국 ID=E30001)를 받는다. 관리 장치(3)는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32)에 기지국 ID(E30001)를 추가하고, 이하와 같이 무선 파라미터 할당부(33)에 의해 무선 주파수대 및 송신 전력값의 재검토를 행한다.In this operating state, the base station D is newly established, and the management device 3 receives the completion notice of installation of the base station D (base station ID = E30001). The management apparatus 3 adds the base station ID E30001 to the radio parameter list 32, and reviews the radio frequency band and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by the radio parameter assignment unit 33 as follows.

도 8은 도 4에 있어서의 기지국 D가 신설되기 전의 관리 장치(3)가 유지하는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32)이다. 에리어 분할은, 도 5에 도시한 5×3이다. 이 단계에서는, 3대의 기지국이 있으며, 3대의 기지국은 각각 상이한 무선 주파수대를 이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 단계에서는 서로 간섭하지 않고 문제 없이 서비스 제공을 할 수 있다.FIG. 8 is a radio parameter list 32 held by the management device 3 before the base station D in FIG. 4 is newly established. The area division is 5x3 shown in FIG. At this stage, there are three base stations, each of which uses a different radio frequency band. Thus, at this stage, the service can be provided without problems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도 9는 기지국 D를 신설한 직후의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32)를 도시한다. 이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32)로부터 관리 장치(3)는 새로운 기지국 D가 E3의 에리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9 shows the radio parameter list 32 immediate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base station D. FIG. From this radio parameter list 32, the management device 3 can know that the new base station D is located in the area of E3.

이 신설된 기지국 D의 무선 주파수대 및 송신 전력값의 결정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무선 주파수대를 결정한다.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radio frequency band and transmission power value of this newly established base station D will be described below. First, the radio frequency band is determined.

도 10은 새롭게 기지국 D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의 무선 주파수대의 결정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radio frequency band when a base station D is newly located.

무선 파라미터 할당부(33)는 이용 가능한 무선 주파수대 중에서 대상의 에리어 내의 어느 기지국에도 설정되어 있지 않은 무선 주파수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스텝 S1: 「예」), 설정되어 있지 않은 무선 주파수대 중에서 무선 주파수대를 임의로 선택한다(스텝 S2). 즉, 기지국에 할당되어 있지 않은 무선 주파수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스텝 S1: 「예」), 할당되어 있지 않은 무선 주파수대 중에서 무선 주파수대를 임의로 선택한다(스텝 S2). 선택 방법은, 미리 결정된 순서대로 무선 주파수대를 결정해도 되고, 랜덤하게 무선 주파수대를 결정해도 된다.When there is a radio frequency band not set in any base station in the target area among the available radio frequency bands (step S1: YES), the radio parameter assignment unit 33 selects a radio frequency band from the unset radio frequency band. It selects arbitrarily (step S2). That is, when there is a radio frequency band not assigned to the base station (step S1: YES), the radio frequency band is arbitrarily selected from the unassigned radio frequency bands (step S2). The selection method may determine the radio frequency band in a predetermined order, or may randomly determine the radio frequency band.

한편, 이용 가능한 무선 주파수대의 전 종류가 에리어 내의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에 할당되어 있어, 할당되어 있지 않은 무선 주파수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스텝 S1: 「아니오」), 다음 기지국에 할당되는 무선 주파수대는 어딘가의 기지국과의 무선 주파수대와 반드시 동일해지기 때문에, 간섭 문제가 발생한다. 무선 파라미터 할당부(33)는 이 간섭 문제를 억제하기 위하여, 무선 주파수대의 검색을, 기지국이 설치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기지국으로부터 개시하여, 마지막으로 발견되는 무선 주파수대를 선택한다(스텝 S3). 거리의 원근을 측정할 때 기지국 ID에 포함되는 에리어 정보를 이용하고, 또한 관리 장치(3)에서 유지하고 있는 에리어 간의 거리의 가중치를 이용한다.On the other hand, if all kinds of available radio frequency bands are allocated to at least one of the base stations in the area, and there is no unassigned radio frequency band (Step S1: No), the radio frequency band allocated to the next base station is somewhere. The interference problem occurs because it is necessarily the same as the radio frequency band with the base station. In order to suppress this interference problem, the radio parameter assignment unit 33 starts the search of the radio frequency band from the base station nearest to the position where the base station is installed and selects the radio frequency band found last (step S3). When measuring the perspective of the distance, the area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ID is used, and the weight of the distance between the areas held by the management apparatus 3 is used.

예를 들어, 도 5에 있어서의 기지국 D의 무선 주파수대를 결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전제로서, 이 시스템에서는 무선 주파수대 α, β, γ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For example, consider a case where the radio frequency band of the base station D in FIG. 5 is determined. As a premise, it is assumed that the radio frequency bands alpha, beta and gamma can be used in this system.

기지국 D가 설치되고, 그 무선 주파수대를 정할 때, 이미 다른 기지국에 의해 무선 주파수대 α, β, γ가 이미 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E30001」의 무선 주파수대를 α, β, γ로부터 선택해야 한다. 다음으로 「E30001」로부터 다른 기지국과의 거리를 계산하여, 가장 가까이에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주파수대의 조사를 개시한다. 이 예의 경우, 기지국 A, 기지국 B, 기지국 C와의 각각의 거리는 이하와 같다.When the base station D is installed and the radio frequency band is determined, the radio frequency bands α, β, and γ are already used by other base stations. For this reason, the radio frequency band of "E30001" should be selected from alpha, beta, and gamma. Next, the distance from the other base station is calculated from "E30001", and radio frequency band investigation is started from the nearest base station. In this example, the distances from the base station A, the base station B, and the base station C are as follows.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결과로부터, 가장 가까운 기지국은 기지국 C이고, 이 기지국이 사용하고 있는 무선 주파수대는 γ이다. 가장 가까이에 있는 기지국의 무선 주파수대와 동일한 무선 주파수대를 사용했을 경우, 전파의 간섭의 영향이 높아지기 때문에, 무선 주파수대 γ를 선택지로부터 제외한다. 다음으로 가까운 기지국은 기지국 B이며, 이 기지국이 사용하고 있는 무선 주파수대는 β이다. 상기와 마찬가지의 사고 방식에서, 무선 주파수대 β도 선택지로부터 제외한다. 이 시점에서 이용 가능한 무선 주파수대 중, 남은 무선 주파수대는, 즉 마지막으로 발견되는 무선 주파수대는 α이기 때문에, 기지국 D의 무선 주파수대로서 α를 선택한다.From the above results, the nearest base station is base station C, and the radio frequency band used by this base station is γ. When the same radio frequency band as the radio frequency band of the nearest base station is used, the influence of radio wave interference is increased, so the radio frequency band γ is excluded from the choice. The next closest base station is base station B, and the radio frequency band used by this base station is β. In the same way of thinking as above, the radio frequency band β is also excluded from the choice. Of the radio frequency bands available at this point in time, the remaining radio frequency band, that is, the last radio frequency band found is α, and thus α is selected as the radio frequency band of the base station D.

이 실시예 1에서는, 상기 도 10의 무선 주파수대의 결정 순서를 사용했지만, 시스템에 따라 중요한 팩터가 상이하다. 상기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무선 주파수대를 결정하는 로직은 임의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although the radio frequency band determination procedure in Fig. 10 is used, important factors differ depending on the system. The above is only an example, and the logic for determining the radio frequency band is arbitrary.

그 후, 동일한 무선 주파수대를 이용하는 기지국 A와의 간섭을 고려하여, 서로 간섭하지 않는 송신 전력값을 결정한다. 송신 전력값의 결정에도 관리 장치(3)가 유지하는 에리어 간의 거리의 가중치를 이용한다. 도 11에, 무선 주파수대 및 송신 전력값의 확정 후의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를 도시한다. 도 11의 케이스에서는 기지국 A의 송신 전력값을 감소시킨다. 또한, 기지국 A의 송신 전력값을 감소시키는 것에 수반하여, 불감 지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무선 주파수대 β 및 무선 주파수대 γ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커버 에리어를 확보한다.Then, considering the interference with the base station A using the same radio frequency band, the transmission power values no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are determined. The weight of the distance between the areas held by the management apparatus 3 is also used to determine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11 shows a radio parameter list after the radio frequency band and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have been determined. In the case of FIG. 11,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of the base station A is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dead zone may occur along with the decrease of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of the base station A, the cover area is secured by increas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radio frequency band β and the radio frequency band γ.

즉, 이상과 같이 하여, 무선 파라미터 할당부(33)는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의 기지국 ID(식별 정보)에 기초하는 기지국 간의 거리에 따라 무선 파라미터인, 무선 주파수대 및 송신 전력값을 기지국에 할당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radio parameter assignment unit 33 allocates radio frequency bands and transmission power values, which are radio parameters, to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s based on the base station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radio parameter list.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 장치(3)는 결정한 무선 파라미터를 각 기지국에 통지한다. 이것에 의해, 기지국 A는, 관리 장치(3)로부터 무선 파라미터(무선 주파수대 α, 송신 전력값 30)의 통지를 받아 무선 주파수대 α, 송신 전력값 30을 무선부에 설정하고 운용을 개시한다. 기지국 B는, 관리 장치(3)로부터 무선 파라미터(무선 주파수 β, 송신 전력값 50)의 통지를 받아 무선 주파수대 β, 송신 전력값 50을 무선부에 설정하고 운용을 개시한다. 기지국 C는, 관리 장치(3)로부터 무선 파라미터(무선 주파수대 γ, 송신 전력값 60)의 통지를 받아 무선 주파수 γ, 송신 전력값 60을 무선부에 설정하고 운용을 개시한다. 기지국 D는, 관리 장치(3)로부터 무선 파라미터(무선 주파수대 α, 송신 전력값 30)의 통지를 받아 무선 주파수대 α, 송신 전력값 30을 무선부에 설정하고 운용을 개시한다.As shown in FIG. 7, the management apparatus 3 notifies each base station of the determined radio parameter. As a result, the base station A receives the notification of the radio parameters (radio frequency band α, transmission power value 30) from the management device 3, sets the radio frequency band α and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30 to the radio unit, and starts operation. The base station B receives the notification of the radio parameters (radio frequency β, transmission power value 50) from the management device 3, sets the radio frequency band β and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50 to the radio part, and starts operation. The base station C receives a notification of radio parameters (radio frequency band γ, transmission power value 60) from the management device 3, sets the radio frequency γ and transmission power value 60 to the radio unit, and starts operation. The base station D receives the notification of the radio parameters (radio frequency band α, transmission power value 30) from the management device 3, sets the radio frequency band α and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30 to the radio unit, and starts operation.

도 12는 무선 파라미터 조정 후의 각 기지국의 커버 에리어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렇게 관리 장치(3)를 설치함으로써, 다른 기지국과 연동하여 무선 주파수대 및 송신 전력값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수동으로 대응하고 있던 수고와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12 shows the state of the cover area of each base station after radio parameter adjustment. By providing the management device 3 in this way, the radio frequency band and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can be automatically determined in conjunction with other base stations, thereby reducing the effort and cost associated with manual operation.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 관리 장치 및 기지국 관리 방법에 의하면, 기지국 설치에 있어서의 수고와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base st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ffort and the cost in installing the base station.

또한, 실시예 1에서는, 기지국 D를 신설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을 이동했을 경우, 고장 등에 의해 기지국을 철거했을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를 갱신하여 배하의 기지국의 무선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다. 기지국 이동의 경우에는 기지국 ID를 이동처의 설치 위치에 맞춰 변경하고, 철거의 경우에는 기지국 ID를 삭제한 후에, 무선 주파수대 및 송신 전력값을 재설정한다.In addition, in Example 1, although the base station D was newly established, when the base station which has already been installed is moved, even when the base station is removed by failure etc., the radio parameter list is similarly updated and You can adjust the radio parameters. In the case of base station movement, the base station ID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moving destination, in the case of removal, the base station ID is deleted, and then the radio frequency band and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are reset.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2에서는, 본 실시 형태를 복수계(3차원)로 확장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기지국 ID와 기지국이 설치된 위치를 입체 공간에 맵핑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 1에서는, 평면 공간의 경우를 제시했지만, 실시예 2에서는 입체 공간, 특히 옥내에 설치하는 기지국에 대하여 유효하다. 이는, 옥내 설치이므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의한 위치 정보의 취득이 어렵고, 가령 취득할 수 있더라도 1F, 2F, 3F…로 동일 위치에 기지국이 설치되었을 경우, 동일한 개소에 여러 개의 기지국이 있는 것처럼 보여져 버리기 때문에, 취득한 위치 정보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In Example 2, the case where this embodiment is extended to multiple systems (three-dimensional) is demonstrated. Fig. 13 shows an example of mapping a base station ID and a location where a base station is installed to a three-dimensional space. In Example 1, the case of planar space is shown, but in Example 2, it is effective for a three-dimensional space, especially a base station installed indoors. Since this is an indoor installation, it is difficult to acquire positional information by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For example, even if it can be acquired, 1F, 2F, 3F... This is because when the base stations are installed at the same location, it is shown that there are several base stations in the same location, and thus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cannot be effectively utilized.

도 13에서는, 2층 건물의 건물이 도시되며, 1층, 2층은 공히 동일한 크기이고,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다. 위치 정보로서 층수의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 도 13의 예에서는 기지국 ID의 첫머리 3자리가 위치를 나타내고, 첫머리 첫번째 자리가 층수의 정보, 두번째 자리가 동서 방향의 정보, 세번째 자리가 남북 방향의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 A는 1층의 「B3」의 에리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기지국 ID를 「1B3001」로 설정한다. 또한, 후반 3자리는 임의이지만, 당해 에리어의 첫 기지국이므로, 「001」을 부여하고 있다.In Fig. 13, a two-story building is shown, and the first and second floors are the same size and have the same shape. In this example of FIG. 13, the first three digits of the base station ID indicate the position, the first first digit indicates the number of floors, the second digit information in the east-west direction, and the third digit in the north-south direction as the posi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of floors. Information is shown. For example, since the base station A is located in the area of "B3" on the first floor, the base station A is set to "1B3001". In addition, although the last 3 digits are arbitrary, since it is the first base station of the said area, "001" is given.

에리어 간의 거리의 가중치를 각각의 층만으로 고려한 경우에는 도 5와 동일하지만, 도 13은 1층과 2층 사이의 거리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있다. 층을 넘어가는 경우의 거리의 가중치를 단순히 거리로 나타내지 않고, 층을 지지하는 재질에 따라 거리의 가중치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투과하기 쉬운 재목(材木) 등의 경우 거리의 가중치를 작게 하고, 두꺼운 콘크리트 등의 경우에는 거리의 가중치를 크게 한다. 거리의 가중치를 크게 하면, 예를 들어 1층과 2층으로 동일한 장소에 기지국이 위치하고 있더라도 서로 영향(간섭)을 미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도 13의 예에서는 층수 간의 거리의 가중치를 7로 하였다. 또한, 도 14에, 이 경우의 무선 주파수대 및 송신 전력값을 나타내는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를 도시한다. 또한, 이 시스템에서는 무선 주파수대 α, β, γ를 이용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weight of the distance between the areas is taken into account only for each floor, it is the same as in FIG. 5, but FIG. 13 gives the weight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oors. The weight of the distance in the case of crossing the floor is not simply represented by the distance, but the weight of the distance is given according to the material supporting the floor. For example, in the case of lumber and the like that are easy to permeate, the weight of the distance is reduced, and in the case of thick concrete, the weight of the distance is increased.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distance means, for example, that the base stations are located in the same place on the first floor and the second floor, and thus do not affect each other. In the example of FIG. 13, the weight of the distance between floors was made into seven. 14 shows a radio parameter list indicating the radio frequency band and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in this case. In this system, radio frequency bands α, β, and γ can be used.

이어서, 도 13에 기지국 E를 신설했을 경우를 생각한다. 상술한 무선 주파수대의 결정 순서에 기초하여, 기지국 E와 그 이외의 기지국의 거리의 가중치를 하기 와 같이 계산한다.Next, the case where the base station E is newly established in FIG. 13 is consider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procedure of the radio frequency band, the weight of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E and the other base stations is calculated as follows.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 결과로부터, 가장 가까운 기지국은 기지국 B이고, 이 기지국이 사용하고 있는 무선 주파수대는 β이다. 또한 다음으로 가까운 기지국은 A이며, 이 기지국이 사용하고 있는 무선 주파수대는 α이다. 이 결과로부터, 마지막으로 발견되는 무선 주파수대는 γ이다. 가장 간섭하지 않는 무선 주파수대는 γ인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 E의 무선 주파수대로서 γ를 결정한다. 도 14의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로부터, 무선 주파수대 γ를 사용하는 것 이외의 기지국은 기지국 C인 것을 알 수 있다.From the above results, the nearest base station is base station B, and the radio frequency band used by this base station is β. The next closest base station is A, and the radio frequency band used by this base station is α. From this result, the last radio frequency band found is γ. Since it can be seen that the radio frequency band which does not interfere the most is γ, γ is determined as the radio frequency band of the base station E. It can be seen from the radio parameter list in FIG. 14 that the base stations other than using the radio frequency band γ are the base station C. FIG.

또한, 송신 전력값에 대해서는, 송신 전력값이 40일 때 거리의 가중치가 √30 이상 떨어져 있으면 서로 간섭하지 않는 것을 보증할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유일하게 간섭의 우려가 있는 기지국 C와의 거리의 가중치가 √62이므로, 서로 송신 전력값을 40 이하로 운용하면,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실제로는, 그 외의 커버 에리어 등을 고려하여 송신 전력을 더욱 좁힌다.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it is assumed that when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is 40, when the distance weigh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30, it can be ensured that they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Since the weight of the distance from the base station C, which may be the only interference source, is √62, if the transmission power values are 40 or less, the interference does not occur. In practice, the transmission power is further narrowed in consideration of other cover areas and the like.

이상과 같이 하여, 무선 파라미터 할당부(33)는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의 기지국 ID(식별 정보)에 기초하는 기지국 간의 거리에 따라 무선 파라미터인, 무선 주파수대 및 송신 전력값을 기지국에 할당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adio parameter assignment unit 33 assigns the radio frequency band and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which are radio parameters, to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s based on the base station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radio parameter list.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 관리 장치 및 기지국 관리 방법에 의하면, 기지국 설치에 있어서의 수고와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base st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ffort and the cost in installing the base station.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2에서는, 1층의 기지국과 2층의 기지국 사이의 거리를 실제의 거리가 아니라, 전파의 투과율을 고려한 거리의 가중치로 생각한다. 이는 3차원뿐만 아니라, 2차원으로 생각할 경우에도 유효하다. 예를 들어, 어떤 한 모서리만 콘크리트로 둘러싸인 방이 있다고 하면, 그 방에 대해서는 전파가 도달하기 어려워진다. 도 5 및 도 6은 2차원 평면에 장해물은 없으며, 자유 공간인 것이 전제된 실시예였지만, 이렇게 전파가 도달하기 어려운 에리어에 대해서는, 그 개소에 대한 거리의 가중치를 증가시킴으로써, 실제로 수신하는 전파 강도에 근접시킬 수 있다.In Embodiment 2,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on the first floor and the base station on the second floor is considered to be a weight of the distance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mittance of radio waves, not the actual distance. This is effective not only in three dimensions but also in two dimensions. For example, if there is a room surrounded by concrete with only one corner, radio waves are difficult to reach for that room. 5 and 6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re is no obstacle in the two-dimensional plane and it is assumed that it is a free space. However, for an area in which radio waves are difficult to reach, the radio wave intensity actually received by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distance to the location. Close to.

도 15는 실시예 3에 있어서 기지국 ID와 기지국이 설치된 위치를 맵핑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에는, 「E3」의 에리어를 포함하여 거리의 가중치를 계산할 때, 콘크리트의 거리의 가중치를 1이 아니라 4로 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E3」의 에리어에는 전파가 도달하기 어려운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더욱 실제의 전파 환경에 따른 적절한 무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FIG. 15 shows an example of mapping a base station ID and a location where a base station is installed in the third embodiment. In FIG. 15, when calculating the weight of the distance including the area of "E3", the weight of the distance of concrete is shown to be 4 instead of 1. That is, it shows that radio waves are hard to reach in the area of "E3". By doing so, it becomes possible to set an appropriate radio parameter according to the actual radio wave environment.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 관리 장치 및 기지국 관리 방법에 의하면, 기지국 설치에 있어서의 수고와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base st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ffort and the cost in installing the base station.

(변형예)(Modified example)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 ID가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리어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나, 기지국 ID 이외의 기지국의 식별 정보가 위치 정보를 포함해도 되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식별 정보는 시스템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168.1(층).1(에리어)」과 같이, 기지국에 설정되는 IP 어드레스가,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위치 정보를 포함한 IP 어드레스가, 기지국 ID와 함께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에 저장된다. 이 변형예에서는, IP 어드레스는, 기지국이 설치된 에리어를 나타내는 에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식별 정보로서 사용된다. 또한 기지국 ID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base station ID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area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Howev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other than the base station ID may includ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depending on the system. For example, as in " 10.168.1 (layer). 1 (area) ", the IP address set in the base station may includ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In this case, the IP address includ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radio parameter list together with the base station ID. In this modification, the IP address is use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including the area information indicating the area where the base station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ID does not have to include positional information.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기지국에 설정할 필요가 있는 기지국 ID 등에 위치로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부여해 두고, 기지국을 집중 관리하는 관리 장치에서, 기지국 ID 등을 수집함으로써 당해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무선 주파수대 및 송신 전력값을 자동으로 결정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의 무선 통신 시스템, 관리 장치 및 기지국 관리 방법에 의하면, 기지국 설치에 있어서의 수고와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modified exampl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as a location is assigned to the base station ID required to be set to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ID is collected by the management apparatus for centrally managing the base station. By grasp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determine the radio frequency band and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Therefore, accor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base station management method of at least one embodiment or modification, the effort and cost in base station installation can be reduced.

종래에는 기지국 설치 시에 수동으로, 무선 주파수대 및 송신 전력값을 주위의 무선 상황을 고려한 후에 정할 필요가 있었으나, 본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자동으로 다른 기지국이 송신하고 있는 전파 상황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진 송신 전력값을 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서비스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설치자의 노동력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기지국에 대하여 새롭게 수신 주파수대를 실장할 필요가 없으며, 이러한 기능이 실장되어 있지 않은 기지국에 대해서도 유효하다.Conventionally, when the base station is installed, it has been necessary to manually determine the radio frequency band and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after considering the surrounding radio situation.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modified example, consideration is given to the radio wave condition that other base stations automatically transmit. The transmission power value can be determined. This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labor of the installer without adversely affecting existing services.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nd a modification, it is not necessary to mount a reception frequency band newly with respect to a base station, and it is effective also for a base station in which such a function is not implemented.

또한, 몇 가지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고 있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아울러,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In addition, although some embodiment was described, these embodiment is shown as an example and does not intend limiting the range of invention. These new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various omission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These embodiments and their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11)

분할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에리어를 갖는 관리 에리어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을 관리하는 관리 장치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관리 장치는,
기지국이 설치된 에리어를 나타내는 에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기지국의 식별 정보와 상기 기지국의 무선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와,
상기 에리어 정보에 기초하는 기지국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무선 파라미터를 할당하는 무선 파라미터 할당부와,
할당된 상기 무선 파라미터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제1 통신부
를 구비하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무선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와,
상기 무선 파라미터를 무선부에 설정하는 무선 파라미터 설정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provided in a management area having a plurality of areas formed by division, and a management device for managing the base stations,
The management apparatus includes:
A radio parameter list fo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including area information indicating an area in which the base station is installed and radio parameters of the base station;
A radio parameter assignment unit for allocating the radio parameters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base stations based on the area information;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allocated radio parameter to the base station
Equipped with
The base station compris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which receives the radio parameter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device;
A wireless parameter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wireless parameter to a wireless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간의 거리는, 상기 관리 에리어의 크기와 분할한 에리어 수에 기초하여 가중치(weight)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s is given a weight based on the size of the management area and the number of divided area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파라미터는, 무선 주파수대 및 송신 전력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radio parameter comprises a radio frequency band and a transmission power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식별 정보는, 기지국이 설치된 에리어를 나타내는 에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is a base station ID including area information indicating an area in which the base station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식별 정보는, 기지국이 설치된 에리어를 나타내는 에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IP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is an IP address including area information indicating an area in which the base station is installed.
분할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에리어를 갖는 관리 에리어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지국을 관리하는 관리 장치로서,
기지국마다, 기지국이 설치된 에리어를 나타내는 에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기지국의 식별 정보와 상기 기지국의 무선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와,
상기 에리어 정보에 기초하는 기지국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무선 파라미터를 할당하는 무선 파라미터 할당부와,
할당된 상기 무선 파라미터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통신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A management apparatus for managing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installed in a management area having a plurality of areas formed by division,
For each base station, a radio parameter list fo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including area information indicating an area in which the base station is installed and radio parameters of the base station;
A radio parameter assignment unit for allocating the radio parameters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base stations based on the area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assigned radio parameter to the base station
A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간의 거리는, 상기 관리 에리어의 크기와 분할한 에리어 수에 기초하여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s is weighted based on the size of the management area and the number of divided areas.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파라미터는, 무선 주파수대 및 송신 전력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The radio parameter comprises a radio frequency band and a transmission power value.
분할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에리어를 갖는 관리 에리어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을 관리하는 관리 장치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기지국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관리 장치는,
기지국마다, 기지국이 설치된 에리어를 나타내는 에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기지국의 식별 정보와 상기 기지국의 무선 파라미터를 무선 파라미터 리스트에 기억하는 스텝과,
상기 에리어 정보에 기초하는 기지국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무선 파라미터를 할당하는 스텝과,
할당된 상기 무선 파라미터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스텝
을 가지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무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스텝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관리 방법.
A base station management method us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provided in a management area having a plurality of areas formed by division, and a management device for managing the base stations,
The management apparatus includes:
Storing, for each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including area information indicating an area in which the base station is installed and radio parameters of the base station in a radio parameter list;
Allocating the radio parameter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base stations based on the area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assigned radio parameter to the base station
Lt; / RTI >
The base station comprises:
Receiving a radio parameter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device;
Setting the wireless parameter
Base station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간의 거리는, 상기 관리 에리어의 크기와 분할한 에리어 수에 기초하여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관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s is weighted based on the size of the management area and the number of divided area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파라미터는, 무선 주파수대 및 송신 전력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관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adio parameter includes a radio frequency band and a transmission power value.
KR1020130086675A 2012-08-03 2013-07-23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anagement device and base station management method KR10159515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72770A JP5481534B2 (en) 2012-08-03 2012-08-03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anagement apparatus, and base station management method
JPJP-P-2012-172770 2012-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105A true KR20140018105A (en) 2014-02-12
KR101595154B1 KR101595154B1 (en) 2016-02-17

Family

ID=5005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675A KR101595154B1 (en) 2012-08-03 2013-07-23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anagement device and base station management method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481534B2 (en)
KR (1) KR101595154B1 (en)
CN (1) CN103581914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38386B2 (en) * 2016-12-20 2021-03-03 ヤマハ株式会社 Management equip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9338A (en) 1999-12-10 2001-06-2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Base station device and wireless access system
JP2008211583A (en) * 2007-02-27 2008-09-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Integrated type radio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base station device
JP2011521593A (en) * 2008-05-22 2011-07-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Femtocell channel assignment and power control for improved femtocell coverage and efficient cell search
KR20110134400A (en) * 2009-03-05 2011-12-14 톰슨 라이센싱 Method for configuring a wireless network
JP2012080312A (en) * 2010-10-01 2012-04-1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Radio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4363A (en) * 1995-02-01 1996-08-20 Hitachi Ltd Indoor base station arrangement method and indoor base station arrangement system in mobile radio communication
WO2005125249A1 (en) * 2004-06-18 2005-12-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utonomous cell formation method
CN101594173A (en) * 2008-05-27 2009-12-02 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Carrier wave in a kind of multicarrier system and power distribution method
JP2013258660A (en) * 2012-06-14 2013-12-26 Toshiba Corp Indo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aintenance terminal, installation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installation position determination progra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9338A (en) 1999-12-10 2001-06-2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Base station device and wireless access system
JP2008211583A (en) * 2007-02-27 2008-09-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Integrated type radio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base station device
JP2011521593A (en) * 2008-05-22 2011-07-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Femtocell channel assignment and power control for improved femtocell coverage and efficient cell search
KR20110134400A (en) * 2009-03-05 2011-12-14 톰슨 라이센싱 Method for configuring a wireless network
JP2012080312A (en) * 2010-10-01 2012-04-1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Radio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154B1 (en) 2016-02-17
CN103581914A (en) 2014-02-12
JP2014033343A (en) 2014-02-20
JP5481534B2 (en)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2375B2 (en) Dynamic physical resource block control apparatus and process for dynamically controlling allocation of a physical resource block
CN106993067B (en) Route issuing method and equipment
CN104115514B (en) Communication system, identifier distributing equipment, base station, identifier allocation method and th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mbodying instruction for controlling devices
JP499856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control nod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02860087B (en) Radio access device, a radio access system, a network selection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US20190297628A1 (en)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base station allocation method
JP2019068347A (en)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2010063035A (en) Distribution device, terminal device, system, and method
KR20130063626A (en) Method for assigning physical layer cell identity for femto-cell base station
US10194329B2 (en) Site position priority determination device and method
CN113574963A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40012893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menagement device and base station menagement method
KR20120093901A (en) System and method for spectrum split for 1x and hrpd operations of femtocell
KR20140018105A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anagement device and base station management method
CN105592167B (en) A kind of base station electromagnetic radiation monitoring system
CN107277761B (en) Terminal position sending method and device
EP3942848B1 (en) Dynamically allowing a guest device to a join a private cbrs network
KR101513658B1 (en) Emergency rescue method based on smart terminal location detection using wi-fi accesspoint scann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the same
JP6658189B2 (en) Fire fighting system
KR2017002712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Indoor Repeater
CN1871867A (en) Virtual cellular radio network
JP6083875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20240089948A1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14501477B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installation point of wireless base station and terminal equipment
JP6696685B2 (en) Host system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