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514A - 5-플루오로시토신과 다른 살진균제의 상승적 살진균 상호작용 - Google Patents

5-플루오로시토신과 다른 살진균제의 상승적 살진균 상호작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514A
KR20140017514A KR1020137016733A KR20137016733A KR20140017514A KR 20140017514 A KR20140017514 A KR 20140017514A KR 1020137016733 A KR1020137016733 A KR 1020137016733A KR 20137016733 A KR20137016733 A KR 20137016733A KR 20140017514 A KR20140017514 A KR 20140017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synergistic
compound
acre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쓰 로스배치
더블유 존 오웬
쳉린 야오
Original Assignee
다우 아그로사이언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아그로사이언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다우 아그로사이언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40017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5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41,3-Diazines; Hydrogenated 1,3-diaz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 A01N33/02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01N33/1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살진균적 유효량의 (a)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b) 미클로부탄일, 펜부콘아졸, 디페노콘아졸, 트리플록시스트로빈, 펜티오피라드, 플루오피람, 보스칼리드, 만코젭 및 피리메탄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살진균제를 함유하며 선택된 진균의 상승적 방제를 제공하는 살진균성 조성물.

Description

5-플루오로시토신과 다른 살진균제의 상승적 살진균 상호작용{SYNERGISTIC FUNGICIDAL INTERACTIONS OF 5-FLUOROCYTOSINE AND OTHER FUNGICIDE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본원에 명시적으로 참고로 포함되는 2010년 12월 16일자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61/423,857의 이익을 청구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a)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b) 미클로부탄일, 펜부콘아졸, 트리플록시스트로빈, 펜티오피라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보스칼리드, 만코젭 및 피리메탄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살진균제를 함유하는 상승적 살진균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살진균제는 진균에 의한 피해로부터 식물을 보호하도록 작용하는 천연 또는 합성 기원의 화합물이다. 현재의 농법은 살진균제의 사용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사실상, 일부 작물은 살진균제의 사용 없이는 유용하게 재배될 수 없다. 살진균제의 사용은 재배자가 수확량 및 작물 품질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작물의 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대부분의 경우, 작물 가치의 증가는 살진균제 사용 비용의 3배 이상에 달한다.
그러나 1종의 살진균제가 모든 상황에 유용한 것은 아니며, 단일 살진균제의 반복된 사용은 흔히 당해 및 관련 살진균제에 대한 내성 발생으로 이어진다. 결과적으로, 보다 안전하고 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지며 보다 낮은 투여량을 필요로 하고 사용하기 보다 쉬우며 비용도 낮은 살진균제 및 살진균제 조합의 제조를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상승 효과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의 활성이 단독 사용 시의 화합물 활성을 초과할 때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살진균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승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이러한 상승적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승적 조성물은 자낭균류(Ascomycetes)에 속하는 진균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 또는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상승적 조성물은 사과붉은곰팡이병(apple scab)을 비롯한 자낭균 병원체에 대해 향상된 효능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승적 조성물은 그의 사용 방법과 함께 제공된다.
본 발명은 살진균적 유효량의 (a)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b) 미클로부탄일, 펜부콘아졸, 트리플록시스트로빈, 펜티오피라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보스칼리드, 만코젭 및 피리메탄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살진균제를 포함하는 상승적 살진균성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빅사펜은 N-(3',4'-디클로로-5-플루오로[1,1'-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사미드의 관용명이다. 그의 살진균 활성은 http://www.agropages.com에 기재되어 있다. 빅사펜은 곡류 질병의 방제를 위해 개발되었다.
보스칼리드는 2-클로로-N-(4'-클로로[1,1'-비페닐]-2-일)-3-피리딘카르복사미드의 관용명이다. 그의 살진균 활성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 Fourteenth Edition, 2006]에 기재되어 있다. 보스칼리드는 다양한 과일 및 채소에 대해 백분병균(powdery mildew), 알테르나리아종(Alternaria spp.), 보트리티스종(Botrytis spp.), 스클레로티니아종(Sclerotinia spp.) 및 모닐리아종(Monilia spp.)의 방제를 제공한다.
펜부콘아졸은 α-[2-(4-클로로페닐)에틸]-α-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의 관용명이다. 그의 살진균 활성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 Fifteenth Edition, 2009]에 기재되어 있다. 펜부콘아졸은 다양한 과일, 채소 및 농작물에 대해 광범위한 진균 병원체의 방제를 제공한다.
플루오피람은 N-[2-[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디닐]에틸]-2-(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드의 관용명이다. 그의 살진균 활성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 Fifteenth Edition, 2009]에 기재되어 있다. 플루오피람은 다양한 과일, 채소 및 농작물에서 회색곰팡이(grey mold), 백분병균 및 스클레로티니아 및 모닐리니아 질병의 방제를 제공한다.
만코젭은 [[2-[(디티오카르복시)아미노]에틸]카르바모디티오에이토(2-)-κS,κS']망간과 [[2-[(디티오카르복시)아미노]에틸]카르바모디티오에이토(2-)-κS,κS']아연의 혼합물에 대한 관용명이다. 그의 살진균 활성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 Fifteenth Edition, 2009]에 기재되어 있다. 만코젭은 다양한 과일, 채소 및 농작물에 대해 광범위한 진균 병원체의 방제를 제공한다.
미클로부탄일은 α-부틸-α-(4-클로로페닐)-1H-1,2,4-트리아졸-1-프로판니트릴의 관용명이다. 그의 살진균 활성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 Fifteenth Edition, 2009]에 기재되어 있다. 미코부탄일은 광범위한 작물에 대해 자낭균류, 불완전균류(Fungi Imperfecti) 및 담자균류(Basidiomycetes)의 방제를 제공한다.
피리메탄일은 4,6-디메틸-N-페닐-2-피리미딘아민의 관용명이다. 그의 살진균 활성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 Fifteenth Edition, 2009]에 기재되어 있다. 피리메탄일은 다양한 과일 및 포도에 대해 회색곰팡이 및 과일붉은곰팡이병(fruit scab)의 방제를 제공한다.
펜티오피라드는 N-[2-(1,3-디메틸부틸)-3-티에닐]-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카르복사미드의 관용명이다. 그의 살진균 활성은 문헌[The Pesticide Manual, Fourteenth Edition, 2006]에 기재되어 있다. 펜티오피라드는 녹병(rust) 및 라이족토니아(Rhizoctonia) 질병 및 회색곰팡이, 백분병균 및 사과붉은곰팡이병에 대한 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살진균 효과가 상승적인 화학식 1의 화합물과 미클로부탄일의 중량비는 약 1:5 내지 약 5:1 범위 내이다. 살진균 효과가 상승적인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펜부콘아졸의 중량비는 약 1:5 내지 약 5:1 범위 내이다. 살진균 효과가 상승적인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트리플록시스트로빈의 중량비는 약 1:5 내지 약 5:1 범위 내이다. 살진균 효과가 상승적인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펜티오피라드의 중량비는 약 1:5 내지 약 5:1 범위 내이다. 살진균 효과가 상승적인 화학식 1의 화합물과 빅사펜의 중량비는 약 1:5 내지 약 5:1 범위 내이다. 살진균 효과가 상승적인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플루오피람의 중량비는 약 1:5 내지 약 5:1 범위 내이다. 살진균 효과가 상승적인 화학식 1의 화합물과 보스칼리드의 중량비는 약 1:20 내지 약 1:1 범위 내이다. 살진균 효과가 상승적인 화학식 1의 화합물과 만코젭의 중량비는 약 1:200 내지 약 1:1 범위 내이다. 살진균 효과가 상승적인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피리메탄일의 중량비는 약 1:20 내지 약 1:1 범위 내이다.
상승적 조성물의 시용량은 방제 대상 진균의 구체적인 종류, 필요한 방제 정도 및 시용 시기 및 방법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중 활성 성분의 총량을 기준으로 약 210 그램/에이커(g/acre) 내지 약 2050 g/acre의 시용량으로 시용될 수 있다. 미코부탄일은 약 10 g/acre 내지 약 50 g/acre의 비율로 시용되고,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 10 g/acre 내지 약 50 g/acre의 비율로 시용된다. 펜부콘아졸은 약 10 g/acre 내지 약 50 g/acre의 비율로 시용되고,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 10 g/acre 내지 약 50 g/acre의 비율로 시용된다. 트리플록시스트로빈은 약 10 g/acre 내지 약 50 g/acre의 비율로 시용되고,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 10 g/acre 내지 약 50 g/acre의 비율로 시용된다. 펜티오피라드는 약 10 g/acre 내지 약 50 g/acre의 비율로 시용되고,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 10 g/acre 내지 약 50 g/acre의 비율로 시용된다. 빅사펜은 약 10 g/acre 내지 약 50 g/acre의 비율로 시용되고,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 10 g/acre 내지 약 50 g/acre의 비율로 시용된다. 플루오피람은 약 10 g/acre 내지 약 50 g/acre의 비율로 시용되고,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 10 g/acre 내지 약 50 g/acre의 비율로 시용된다. 보스칼리드는 약 50 g/acre 내지 약 200 g/acre의 비율로 시용되고,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 10 g/acre 내지 약 50 g/acre의 비율로 시용된다. 만코젭은 약 200 g/acre 내지 약 2000 g/acre의 비율로 시용되고,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 10 g/acre 내지 약 50 g/acre의 비율로 시용된다. 피리메탄일은 약 50 g/acre 내지 약 200 g/acre의 비율로 시용되고,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 10 g/acre 내지 약 50 g/acre의 비율로 시용된다.
본 발명의 상승적 혼합물의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다부분(multipart) 살진균 시스템의 한 부분으로서 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승적 혼합물은 보다 다양한 바람직하지 않은 질병을 방제하기 위해 1종 이상의 다른 살진균제와 함께 시용될 수 있다. 다른 살진균제(들)와 함께 사용될 경우, 본 발명에 청구된 화합물은 다른 살진균제(들)와 제제화되거나, 다른 살진균제(들)와 탱크 혼합되거나, 또는 다른 살진균제(들)와 순차적으로 시용될 수 있다. 그러한 다른 살진균제로는 2-(티오시아네이토메틸티오)-벤조티아졸, 2-페닐페놀, 8-히드록시퀴놀린 술페이트, 아메톡트라딘(ametoctradin), 아미설브롬(amisulbrom), 항마이신, 암펠로마이세스 퀴즈콸리스(Ampelomyces quisqualis), 아자콘아졸, 아족시스트로빈,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QST713, 벤아락실, 베노밀, 벤티아발리카르브-이소프로필, 벤질아미노벤젠-술포네이트 (BABS) 염, 비카르보네이트, 비페닐, 비스메르티아졸, 비테르탄올, 빅사펜, 블라스티시딘-S, 보락스, 보르도(Bordeaux) 혼합물, 보스칼리드, 브로무콘아졸, 부피리메이트, 칼슘 폴리술피드, 캅타폴, 캅탄, 카르벤다짐, 카르복신, 카르프로파미드, 카르본, 클라자페논, 클로로넵, 클로로탈로닐, 클로졸리네이트, 코니오티륨 미니탄스(Coniothyrium minitans), 구리 수산화물, 구리 옥타노에이트, 구리 옥시클로라이드, 황산구리, 황산구리 (삼염기성), 산화 제1구리, 시아조파미드, 시플루펜아미드, 시목사닐(cymoxanil), 시프로콘아졸, 시프로딘일, 다조메트, 데바카르브, 디암모늄 에틸렌비스-(디티오카르바메이트), 디클로플루아니드, 디클로로펜, 디클로시메트, 디클로메진, 디클로란, 디에토펜카르브, 디페노콘아졸, 디펜조콰트 이온, 디플루메토림, 디메토모르프, 디목시스트로빈, 디니콘아졸, 디니콘아졸-M, 디노부톤, 디노캡, 디페닐아민, 디티아논, 도데모르프, 도데모르프 아세테이트, 도딘, 도딘 자유 염기, 에디펜포스, 에네스트로빈, 에네스트로부린, 에폭시콘아졸, 에타복삼, 에톡시퀸, 에트리디아졸, 파목사돈, 페나미돈, 페나리몰, 펜부콘아졸, 펜푸람, 펜헥사미드, 페녹사닐, 펜피클로닐, 펜프로피딘, 펜프로피모르프, 펜피라자민, 펜틴, 펜틴 아세테이트, 펜틴 수산화물, 페르밤, 페림존, 플루아지남, 플루디옥소닐, 플루모르프, 플루오피콜리드, 플루오피람, 플루오로이미드, 플루옥사스트로빈, 플루퀸콘아졸, 플루실아졸, 플루술파미드, 플루티아닐, 플루톨라닐, 플루트리아폴, 플룩사피록사드, 폴펫, 포름알데히드, 포세틸, 포세틸-알루미늄, 푸베리다졸, 푸랄락실, 푸라메트피르, 구아자틴, 구아자틴 아세테이트, GY-81, 헥사클로로벤젠, 헥사콘아졸, 히멕사졸, 이마잘릴, 이마잘릴 술페이트, 이미벤콘아졸, 이미녹타딘, 이미녹타딘 트리아세테이트, 이미녹타딘 트리스(알베실레이트), 요오도카르브, 입콘아졸, 입펜피라졸론, 이프로벤포스, 이프로디온, 이프로발리카르브, 이소프로티올란, 이소피라잠, 이소티아닐, 카수가마이신(kasugamycin), 카수가마이신 히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 크레속심-메틸, 라미나린, 만코퍼, 만코젭, 만디프로파미드, 마넵, 메페녹삼, 메파니피림, 메프로닐, 멥틸-디노캅, 염화수은, 산화수은, 머큐러스(mercurous) 클로라이드, 메탈락실, 메탈락실-M, 메탐, 메탐-암모늄, 메탐-칼륨, 메탐-나트륨, 메트콘아졸, 메타술포카르브, 메틸 요오드화물,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메티람, 메토미노스트로빈, 메트라페논, 밀디오마이신, 미클로부탄일, 나밤, 니트로탈-이소프로필, 누아리몰, 옥틸리논, 오푸라스(ofurace), 올레산 (지방산), 오리사스트로빈, 옥사딕실, 옥신-구리, 옥스포콘아졸 푸마레이트, 옥시카르복신, 페푸라조에이트, 펜콘아졸, 펜시쿠론, 펜플루펜, 펜타클로로페놀, 펜타클로로페닐 라우레이트, 펜티오피라드, 페닐수은 아세테이트, 포스폰산, 프탈리드, 피콕시스트로빈, 폴리옥신 B, 폴리옥신스, 폴리옥소림, 중탄산칼륨, 칼륨 히드록시퀴놀린 술페이트, 프로벤아졸, 프로클로라즈, 프로시미돈, 프로파모카르브, 프로파모카르브 히드로클로라이드, 프로피콘아졸, 프로피넵, 프로퀸아지드, 프로티오콘아졸, 피라클로스트로빈(pyraclostrobin), 피라메토스트로빈, 피라옥시스트로빈, 피라조포스, 피리벤카르브, 피리부티카르브, 피리페녹스, 피리메탄일, 피로페논, 피로퀼론, 퀴노클라민, 퀴녹시펜, 퀸토젠, 레이노우트리아 사카리넨시스(Reynoutria sachalinensis) 추출물, 세닥산, 실티오팜, 시메콘아졸, 나트륨 2-페닐페녹시드, 중탄산나트륨, 나트륨 펜타클로로페녹시드, 스피록스아민, 황, SYP-Z048, 타르 오일, 테부콘아졸, 테부플로퀸, 텍나젠, 테트라콘아졸, 티아벤다졸, 티플루자미드, 티오파네이트-메틸, 티람, 티아딘일, 톨클로포스-메틸, 톨릴플루아니드,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멘올, 트리아족사이드, 트리시클라졸, 트리데모르프, 트리플록시스트로빈, 트리플루미졸, 트리포린, 트리티콘아졸, 발리다마이신, 발리페날레이트, 발리페날, 빈클로졸린, 지넵, 지람, 족사미드, 칸디다 올레오필라(Candida oleophila), 푸사리움 옥시스포럼(Fusarium oxysporum), 글리오클라디움종(Gliocladium spp.), 플레비옵시스 기간티아(Phlebiopsis gigantea),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오비리디스(Streptomyces griseoviridis), 트리코데르마종(Trichoderma spp.), (RS)-N-(3,5-디클로로페닐)-2-(메톡시메틸)-숙신이미드, 1,2-디클로로프로판, 1,3-디클로로-1,1,3,3-테트라플루오로아세톤 수화물, 1-클로로-2,4-디니트로나프탈렌, 1-클로로-2-니트로프로판, 2-(2-헵타데실-2-이미다졸린-1-일)에탄올, 2,3-디히드로-5-페닐-1,4-디티-인 1,1,4,4-테트라옥사이드, 2-메톡시에틸수은 아세테이트, 2-메톡시에틸수은 클로라이드, 2-메톡시에틸수은 실리케이트, 3-(4-클로로페닐)-5-메틸로다닌, 4-(2-니트로프로프-1-에닐)페닐 티오시아나템(thiocyanateme), 암프로필포스, 아닐라진, 아지티람, 바륨 폴리술피드, 바이엘 (Bayer) 32394, 베노단일, 벤퀴녹스, 벤탈루론, 벤즈아마크릴; 벤즈아마크릴-이소부틸, 벤즈아몰프, 비나파크릴, 비스(메틸수은) 술페이트, 비스(트리부틸주석) 옥사이드, 부티오베이트, 카드뮴 칼슘 구리 아연 크로메이트 술페이트, 카르바모르프, CECA, 클로벤티아존, 클로라니포르메탄, 클로르펜아졸, 클로르퀴녹스, 클림바졸, 구리 비스(3-페닐살리실레이트), 구리 아연 크로메이트, 큐프라넵(cufraneb), 큐프릭(cupric) 히드라지늄 술페이트, 큐프로밤, 시클라푸라미드, 시펜다졸, 시프로푸람, 데카펜틴, 디클론, 디클로졸린, 디클로부트라졸, 디메티리몰, 디녹톤, 디노술폰, 디노테르본, 디피리티온, 디탈림포스, 도디신, 드라족솔론, EBP, ESBP, 에타콘아졸, 에템, 에티림, 펜아미노술프, 페나파닐, 페니트로판, 플루오트리마졸, 푸르카르바닐, 푸르콘아졸, 푸르콘아졸-시스, 푸르메시클록스, 푸로파네이트, 글리오딘, 그리세오풀빈, 할라크리네이트, 허큘레스(Hercules) 3944, 헥실티오포스, ICIA0858, 이소팜포스, 이소발레디온, 메베닐, 메카르빈지드, 메타즈옥솔론, 메트푸록삼, 메틸수은 디시안디아미드, 메트술포박스, 밀넵, 무코클로릭 무수물, 미클로졸린, N-3,5-디클로로페닐-숙신이미드, N-3-니트로페닐이타콘이미드, 나타마이신, N-에틸머큐리오-4-톨루엔술폰아닐리드, 니켈 비스(디메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OCH, 페닐수은 디메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페닐수은 질산염, 포스디펜, 프로티오카르브; 프로티오카르브 히드로클로라이드, 피라카르볼리드, 피리디니트릴, 피록시클로르, 피록시푸르, 퀸아세톨; 퀸아세톨 술페이트, 퀸아자미드, 퀸콘아졸, 라벤자졸, 살리실아닐리드, SSF-109, 술트로펜, 테코람, 티아디플루오르, 티시오펜, 티오클로르펜핌, 티오파네이트, 티오퀴녹스, 티옥시미드, 트리아미포스, 트리아리몰, 트리아즈부틸, 트리클라미드, 우르바시드, 자릴아미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a)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b) 미클로부탄일, 펜부콘아졸, 트리플록시스트로빈, 펜티오피라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보스칼리드, 만코젭 및 피리메탄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살진균제의 조성물을 식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제제의 형태로 시용된다.
농축 제제는 시용을 위해 물 또는 다른 액체에 분산될 수도 있고, 또는 제제는 분제형 또는 과립형일 수 있으며 이는 이후 추가의 처리 없이 시용될 수 있다. 제제는 농화학업계에서 통상적이지만 상승적 조성물의 존재로 인해 신규하고 중요한 절차에 따라 제조된다.
가장 흔하게 시용되는 제제는 수현탁액 또는 에멀전이다. 그러한 수용성, 수현탁성, 또는 유화성 제제는, 통상 습윤성 분말로 공지된 고체, 또는 통상 유화성 농축액, 수현탁액 또는 현탁 농축액으로 공지된 액체이다. 본 발명은 상승적 조성물을 전달 및 살진균제로서의 사용을 위해 제제화할 수 있는 모든 비히클(vehicle)을 고려한다.
쉽게 인식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상승적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임의의 물질은, 이들이 이들 상승적 조성물의 항진균제로서의 활성을 현저히 방해하지 않으면서 원하는 유용성을 제공하는 한, 첨가할 수 있다.
수분산성 과립을 형성하도록 압축될 수 있는 습윤성 분말은 상승적 조성물, 담체 및 농업적으로 허용가능한 계면활성제의 잘 섞인 혼합물을 포함한다. 습윤성 분말 중의 상승적 조성물의 농도는 통상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중량% 내지 약 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 중량% 내지 약 75 중량%이다. 습윤성 분말 제제의 제조시, 상승적 조성물은 임의의 미분된 고체, 예를 들어 프로필라이트(prophyllite), 활석, 백악, 석고, 풀러토(Fuller's earth), 벤토나이트, 아타풀자이트, 전분, 카제인, 글루텐, 몬모릴로나이트 점토, 규조토류, 정제 실리카 등과 배합될 수 있다. 그러한 공정에서, 미분된 담체는 휘발성 유기 용매 중에서 상승적 조성물과 함께 분쇄 또는 혼합된다. 습윤성 분말의 약 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를 차지하는 효과적 계면활성제로는, 술폰화 리그닌, 나프탈렌술포네이트,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킬 술포네이트,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알킬 페놀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을 들 수 있다.
상승적 조성물의 유화성 농축액은 적합한 액체 중에 유화성 농축액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중량% 내지 약 50 중량%와 같은 편리한 농도를 차지한다. 상승적 조성물의 성분들은 조합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수혼화성 용매 또는 수혼화성이 아닌 유기 용매와 유화제의 혼합물인 담체에 용해된다. 농축액은 물 및 오일로 희석되어 수-중-유 에멀전 형태의 분무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유용한 유기 용매로는 방향족 화합물, 특히 석유의 고비점 나프탈렌 및 올레핀 부분, 예를 들어 중질 방향족 나프타를 들 수 있다. 로진(rosin) 유도체를 비롯한 테르펜계 용매, 지방족 케톤 예컨대 시클로헥산온, 및 복합 알콜 예컨대 2-에톡시에탄올과 같은 다른 유기 용매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는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각종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양쪽성 유화제, 또는 둘 이상의 유화제의 블렌드를 포함한다. 유화성 농축액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비이온성 유화제의 예로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및 알킬 및 아릴 페놀, 지방족 알콜, 지방족 아민 또는 지방산과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에톡시화 알킬 페놀 및 폴리올 또는 폴리옥시알킬렌으로 가용화된 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양이온성 유화제로는 4차 암모늄 화합물 및 지방 아민 염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유화제로는 알킬아릴 술폰산의 유용성 염(예컨대, 칼슘), 황산화 폴리글리콜 에테르의 유용성 염 및 인산화 폴리글리콜 에테르의 적절한 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화성 농축액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 유기 액체는 방향족 액체 예컨대 크실렌, 프로필 벤젠 분획, 또는 혼합 나프탈렌 분획, 광유, 치환된 방향족 유기 액체 예컨대 디옥틸 프탈레이트, 케로센, 다양한 지방산의 디알킬 아미드, 특히 지방 글리콜의 디메틸 아미드 및 글리콜 유도체 예를 들어 디에틸렌 글리콜의 n-부틸 에테르, 에틸 에테르 또는 메틸 에테르, 및 트리에틸렌 글리콜의 메틸 에테르이다. 2종 이상의 유기 액체의 혼합물이 또한 유화성 농축액 제조에 종종 적합하게 사용된다. 바람직한 유기 액체는 크실렌 및 프로필 벤젠 분획이며, 크실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표면-활성 분산제는 통상 액체 제제에 사용되며 분산제와 상승적 조성물의 합계 중량의 0.1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제제는 또한 다른 상용성 첨가제, 예를 들어 식물 성장 조절제 및 농업에 사용되는 다른 생물학적 활성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수현탁액은 수성 비히클에 수현탁액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중량% 내지 약 70 중량% 범위의 농도로 분산된 1종 이상의 수불용성 화합물의 현탁액을 포함한다. 현탁액은 상승적 조합의 성분들을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미분쇄하고, 그 분쇄된 물질을 물 및 상기 논의된 것과 동일한 종류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비히클에 격렬하게 혼합해 넣음으로써 제조된다. 다른 성분들, 예를 들어 무기염 및 합성 또는 천연 검이 또한 수성 비히클의 밀도 및 점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수성 혼합물을 제조하고 그것을 샌드 밀, 볼 밀, 또는 피스톤형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와 같은 설비에서 균질화함으로써 동시에 분쇄 및 혼합하는 것이 흔히 가장 효과적이다.
상승적 조성물은 과립 제제로서 시용될 수 있으며, 이는 토양에 시용하는 데에 특히 유용하다. 과립 제제는, 전적으로 또는 대부분 굵게 분쇄된 아타풀자이트, 벤토나이트, 규조토, 점토 또는 유사한 저가 물질로 이루어진 담체에 분산된, 통상 과립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화합물을 함유한다. 그러한 제제는 통상 상승적 조성물을 적합한 용매에 용해시키고 이를 약 0.5 내지 약 3 mm 범위의 적당한 입자 크기로 사전 형성된 과립 담체에 적용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러한 제제는 또한 담체와 상승적 조성물의 반죽(dough) 또는 페이스트(paste)를 제조하고 파쇄 및 건조하여 원하는 과립형 입자를 얻음으로써 제조될 수도 있다.
상승적 조성물을 함유하는 분제는 분말화된 형태의 상승적 조성물을 예를 들어 카올린 점토, 분쇄된 화산암 등과 같은 적합한 분제형 농업용 담체와 잘 혼합함으로써 간단히 제조된다. 분제는 적합하게는 약 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상승적 조성물/담체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제제는 상승적 조성물의 표적 작물 및 유기체에의 퇴적, 습윤 및 침투를 향상시키기 위해 농업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보조 계면활성제는 임의로는 제제의 성분으로서 또는 탱크 믹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보조 계면활성제의 양은 물의 분무 부피를 기준으로 0.01% 내지 1.0% (v/v),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로 변할 것이다. 적합한 보조 계면활성제로는 에톡시화 노닐 페놀, 에톡시화 합성 또는 천연 알콜, 에스테르 또는 술포숙신산의 염, 에톡시화 유기실리콘, 에톡시화 지방 아민, 및 계면활성제와 광유 또는 식물유의 블렌드를 들 수 있다.
제제는 임의로는 1종 이상의 상승적 조성물 1 중량% 이상과 다른 살충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부가적인 살충 화합물은, 시용을 위해 선택된 매질 중에서 본 발명의 상승적 조성물과 상용성이고 본 발명의 화합물의 활성에 길항 작용을 갖지 않은 살진균제, 살곤충제, 살선충제, 살비제, 살절지동물제, 살균제,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실시양태에서, 다른 살충 화합물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살충 용도를 위한 보조 살충제로서 사용된다. 살충 화합물 및 상승적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1:100 내지 100:1의 중량비로 함께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진균 공격의 방제 또는 예방 방법을 그의 범위에 포함한다. 이 방법은 진균의 장소(locus) 또는 침입을 예방해야 하는 장소(예를 들어, 밀 또는 보리 식물에 시용)에 살진균적 유효량의 상승적 조성물을 시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승적 조성물은 살진균 수준으로 다양한 식물을 처리하기에 적합하며, 낮은 식물독성을 나타낸다. 상승적 조성물은 예방보호제(protectant) 또는 직접살균제(eradicant) 방식으로 유용하다. 상승적 조성물은 임의의 다양한 공지 기술에 의해 상승적 조성물로서 또는 상승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제로서 시용된다. 예를 들어, 상승적 조성물은 식물의 상품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다양한 진균의 방제를 위해 뿌리, 종자 또는 잎에 사용될 수 있다. 상승적 조성물은 임의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류의 제제 형태로, 예를 들어 용액, 분제, 습윤성 분말, 유동성 농축액, 또는 유화성 농축액으로서 시용된다. 이들 물질은 다양한 공지 방식으로 편리하게 적용된다.
상승적 조성물은 특히 농업적 용도에서 현저한 살진균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승적 조성물은 농작물 및 원예 식물, 또는 목재, 도료, 가죽 또는 카펫 배킹에 사용하기에 특히 효과적이다.
특히, 상승적 조성물은 유용한 식물 작물을 감염시키는 다양한 바람직하지 않은 진균의 방제에 효과적이다. 상승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하기의 대표적 진균 종을 포함하는 다양한 자낭균 진균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밀잎 얼룩병(미코스파에렐라 그라미니콜라; 아나모르프: 셉토리아 트리티시; 바이엘 코드 SEPTTR); 밀껍질 얼룩병(렙토스파에리아 노도룸; 바이엘 코드 LEPTNO; 아나모르프; 스타고노스포라 노도룸); 보리잎 얼룩병(코클리오보루스 사티붐; 바이엘 코드 COCHSA; 아나모르프; 헬민토스포리움 사티붐); 사탕무 잎 반점병(세르코스포라 베티콜라: 바이엘 코드 CERCBE); 땅콩잎 반점병(미코스파에렐라 아라키디스; 바이엘 코드 MYCOAR; 아나모르프: 세르코스포라 아라키디콜라); 오이 탄저병(글로메렐라 라게나리움; 아나모르프; 콜레토트리쿰 라게나리움; 바이엘 코드 COLLLA); 사과붉은곰팡이병(벤투리아 인아에쿠알리스; 바이엘 코드 VENTIN); 및 바나나의 블랙 시가토카 병(미코스파에렐라 피지엔시스; 바이엘 코드 MYCOFI).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진균 중 1종 이상에 대한 상승적 조성물의 효능이 살진균제로서 상승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유용성을 확립함을 이해할 것이다.
상승적 조성물은 살진균제로서의 광범위한 효능을 가진다. 시용될 상승적 조성물의 정확한 양은 성분들의 상대량 뿐만 아니라, 요망되는 특정 작용, 방제 대상 진균 종 및 그의 성장 단계, 및 상승적 조성물과 접촉될 식물의 부분 또는 다른 생성물에 또한 좌우된다. 따라서, 상승적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제는 유사한 농도 또는 동일한 진균 종에 대해서 동등하게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상승적 조성물은 질병-억제 및 식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양으로 식물에 사용하기에 효과적이다. 용어 "질병 억제 및 식물학적으로 허용되는 양"은 방제가 요망되는 식물 질병을 억제하거나 죽이지만 식물에는 현저하게 독성이지 않은 화합물의 양을 지칭한다. 요구되는 상승적 조성물의 정확한 농도는 방제 대상 진균성 질병, 사용되는 제제의 종류, 시용 방법, 특정 식물 종, 기후 조건 등에 따라 변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적인 지면 분무기, 산립기, 및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른 종래 수단을 사용하여 진균 또는 그 장소에 시용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추가로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것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오해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사과붉은곰팡이병(벤투리아 인아에쿠알리스; 바이엘 코드: VENTIN)에 대한 살진균제 혼합물의 예방보호 활성 평가
10% 아세톤 및 100 ppm Triton X-100를 함유하는 살진균제 분무 용액을 고부피 형태로 사과 묘목('골든 딜리셔스(Golden Delicious)')에 시용하였다. 살진균제 시용 1일 후 식물에 VENTIN 포자 현탁액을 접종하였다(1일 예방보호 활성). 미처리 식물에서 질병이 완전히 발현되면, 묘목상의 질병 중증도를 평가하였고, 미처리 식물에 대한 VENTIN 미감염 잎 면적의 백분율에 의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처리제는 화학식 1의 화합물, 개별적으로 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과 2-웨이 혼합물로서 시용되는 미클로부탄일, 펜부콘아졸, 트리플록시스트로빈, 펜티오피라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보스칼리드, 만코젭 및 피리메탄일을 포함한 살진균제로 이루어진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1% 수용액을 시험에 사용하였다. 공업용 등급의 다른 물질들을 아세톤에 용해시켜 원액을 제조하고, 이어서 이를 사용하여 각각의 개별적인 살진균제 성분에 대해 또는 2-웨이 혼합물에 대해 아세톤 중에서 3배 희석하였다. 110 ppm Triton X-100을 함유하는 9개 부피의 물로 혼합 희석한 후 원하는 살진균제 비율을 얻었다. 15 mL 살진균제 용액을 잎 양면을 도포하도록 마주보는 각도로 설정된 20 파운드/제곱인치(psi)로 작동되는 2개의 6218-1/4 JAUPM 분무 노즐을 사용한 자동화 부스 분무기(booth sprayer)를 사용하여 3개의 화분에 시용하였다. 모든 분무된 식물을 추가의 취급 전에 공기 건조시켰다. 대조군 식물을 용액 블랭크와 동일한 방식으로 분무하였다.
대조군 식물상에 질병이 완전히 발현되었을 때, 처리된 식물상의 감염 수준을 시각적으로 평가하고 0 내지 100%의 스케일로 평점하였다. 이어서, 대조군 식물에 대한 처리 식물상의 질병의 비율을 사용하여 질병 방제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콜비 방정식(Colby's equation)을 사용하여 혼합물로부터 예상되는 살진균 효과를 측정하였다. (문헌[S. R. Calculation of the synergistic and antagonistic response of herbicide combinations. Weeds 1967, 15, 20-22] 참조).
하기 방정식을 사용하여 2종의 활성 성분 A 및 B를 함유한 혼합물의 예상 활성을 계산하였다:
예상 활성 = A + B - (A × B/100)
A = 혼합물에 사용된 것과 동일 농도의 활성 성분 A의 관찰된 효능;
B = 혼합물에 사용된 것과 동일 농도의 활성 성분 B의 관찰된 효능.
대표적 상승적 상호작용을 표 1에 나열하였다.
%DC Obs = 관찰된 질병 방제 백분율
%DC Exp = 예상된 질병 방제 백분율
상승 효과 인자 = %DC obs/%DC exp
사과붉은곰팡이병에 대한 1일 예방보호 시험에서의 상승적 상호작용의 예 ("콜비"법을 이용한 예측)
살진균제 혼합물 비율 (ppm) %DC obs %DC exp 상승 효과 인자
화학식 1 + 미클로부탄일 2.8 + 2.8 97 78 1.25
화학식 1 + 미클로부탄일 0.9 + 0.9 38 34 1.1
화학식 1 + 펜부콘아졸 0.9 + 0.9 65 58 1.12
화학식 1 + 펜부콘아졸 0.3 + 0.3 38 13 2.89
화학식 1 + 디페노콘아졸 2.8 + 2.8 90 88 1.02
화학식 1 + 트리플록시스트로빈 0.9 + 0.01 100 72 1.38
화학식 1 + 펜티오피라드 0.9 + 0.9 92 67 1.37
화학식 1 + 펜티오피라드 0.3 + 0.3 94 26 3.64
화학식 1 + 빅사펜 0.9 + 0.9 86 61 1.41
화학식 1 + 빅사펜 0.3 + 0.3 73 26 2.82
화학식 1 + 플루오피람 2.8 + 2.8 95 73 1.31
화학식 1 + 플루오피람 0.9 + 0.9 95 47 2.01
화학식 1 + 플루오피람 0.3 + 0.3 59 23 2.55
화학식 1 + 보스칼리드 2.8 + 2.8 93 85 1.1
화학식 1 + 보스칼리드 0.9 + 0.9 84 58 1.44
화학식 1 + 만코젭 0.9 + 0.9 54 49 1.11
화학식 1 + 만코젭 0.1 + 0.1 27 16 1.73
화학식 1 + 피리메탄일 2.8 + 2.8 81 69 1.17

Claims (11)

  1. 살진균적 유효량의 (a)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b) 미클로부탄일, 펜부콘아졸, 트리플록시스트로빈, 펜티오피라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보스칼리드, 만코젭 및 피리메탄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살진균제를 포함하는 상승적 살진균성 혼합물.
    <화학식 1>
    Figure pct00002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과 미클로부탄일의 중량비가 약 1:5 내지 약 5:1인 혼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펜부콘아졸의 중량비가 약 1:5 내지 약 5:1인 혼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트리플록시스트로빈의 중량비가 약 1:5 내지 약 5:1인 혼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펜티오피라드의 중량비가 약 1:5 내지 약 5:1인 혼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과 빅사펜의 중량비가 약 1:5 내지 약 5:1인 혼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플루오피람의 중량비가 약 1:5 내지 약 5:1인 혼합물.
  8.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과 보스칼리드의 중량비가 약 1:20 내지 약 1:1인 혼합물.
  9.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과 만코젭의 중량비가 약 1:200 내지 약 1:1인 혼합물.
  10.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피리메탄일의 중량비가 약 1:20 내지 약 1:1인 혼합물.
  11. 살진균적 유효량의 제1항의 살진균성 혼합물 및 농업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살진균성 조성물.
KR1020137016733A 2010-12-16 2011-11-30 5-플루오로시토신과 다른 살진균제의 상승적 살진균 상호작용 KR201400175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2385710P 2010-12-16 2010-12-16
US61/423,857 2010-12-16
PCT/US2011/062547 WO2012082370A2 (en) 2010-12-16 2011-11-30 Synergistic fungicidal interactions of 5-fluorocytosine and other fungicid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514A true KR20140017514A (ko) 2014-02-11

Family

ID=46235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733A KR20140017514A (ko) 2010-12-16 2011-11-30 5-플루오로시토신과 다른 살진균제의 상승적 살진균 상호작용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8709458B2 (ko)
EP (1) EP2651224A4 (ko)
JP (1) JP2014503532A (ko)
KR (1) KR20140017514A (ko)
CN (1) CN103379826A (ko)
AR (1) AR084302A1 (ko)
AU (1) AU2011341545A1 (ko)
BR (1) BR112013014997A2 (ko)
CA (1) CA2821240A1 (ko)
CL (1) CL2013001714A1 (ko)
CO (1) CO6721016A2 (ko)
CR (1) CR20130284A (ko)
EC (1) ECSP13012681A (ko)
MX (1) MX2013006826A (ko)
RU (1) RU2013132730A (ko)
TW (1) TW201230958A (ko)
WO (1) WO2012082370A2 (ko)
ZA (1) ZA2013043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2012DN03094A (ko) * 2009-10-07 2015-09-18 Dow Agrosciences Llc
AU2013370494B2 (en) * 2012-12-31 2017-08-17 Adama Makhteshim Ltd. 3-alkyl-5-fluoro-4-substituted-imino-3,4-dihydropyrimidin-2(1H)-one derivatives as fungicides
CN103053562B (zh) * 2013-01-06 2014-12-31 广东中迅农科股份有限公司 啶酰菌胺和代森锰锌杀菌组合物
CA2933191C (en) * 2013-12-31 2022-10-25 Dow Agrosciences Llc Synergistic picolinamide-containing fungicidal mixtures for fungal control in cereals
CN114794123A (zh) * 2013-12-31 2022-07-29 阿达玛马克西姆股份有限公司 用防治谷类中真菌的协同杀真菌混合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5842B2 (en) * 2003-04-07 2006-10-24 Canbas Co. Ltd. Anti-fungal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HUE026195T2 (en) * 2008-01-22 2016-05-30 Dow Agrosciences Llc 4-Amino-5-fluoropyrimidine derivatives as fungicides
KR20100126599A (ko) 2008-04-08 2010-12-01 다우 아그로사이언시즈 엘엘씨 2-알키닐-6-피리딘-2-일-피리다지논, 2-알키닐-6-피리딘-2-일-디히드로피리다지논, 2-알키닐-6-피리미딘-2-일-피리다지논 및 2-알키닐-6-피리미딘-2-일-디히드로피리다지논 및 이들의 살진균제로서의 용도
UA107651C2 (en) * 2008-08-01 2015-02-10 Dow Agrosciences Llc Use of 5-fluorocytosine as a fungicide
IN2012DN03094A (ko) * 2009-10-07 2015-09-18 Dow Agrosciences Ll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L2013001714A1 (es) 2013-11-15
AR084302A1 (es) 2013-05-08
WO2012082370A2 (en) 2012-06-21
CA2821240A1 (en) 2012-06-21
CN103379826A (zh) 2013-10-30
WO2012082370A3 (en) 2012-08-02
AU2011341545A1 (en) 2013-07-04
CR20130284A (es) 2013-08-09
TW201230958A (en) 2012-08-01
US8709458B2 (en) 2014-04-29
EP2651224A2 (en) 2013-10-23
EP2651224A4 (en) 2014-06-04
JP2014503532A (ja) 2014-02-13
BR112013014997A2 (pt) 2016-07-12
CO6721016A2 (es) 2013-07-31
US20120157485A1 (en) 2012-06-21
MX2013006826A (es) 2013-09-13
RU2013132730A (ru) 2015-01-27
ECSP13012681A (es) 2013-08-30
ZA201304370B (en)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2489B2 (ja) 穀類において真菌を制御するための相乗的殺真菌混合物
KR102488258B1 (ko) 곡류에서의 진균 방제를 위한 상승작용적 살진균 혼합물
JP5655080B2 (ja) 穀類において真菌を制御するための5−フルオロシトシンを含有する相乗的殺真菌組成物
JP5683592B2 (ja) 穀類における菌類防除のための5−フルオロピリミジン誘導体を含有する相乗性殺菌剤組成物
RU2650402C2 (ru) Синергические фунгицидные смеси для борьбы с грибковыми болезнями злаков
JP6560619B2 (ja) 相乗的殺真菌性組成物
RU2769157C2 (ru) Синергические смеси для контроля грибков у зерновых культур
RU2765230C2 (ru) Синергические смеси для контроля грибов в зерновых культурах
KR102640779B1 (ko) 채소류에서의 진균 방제를 위한 상승작용적 혼합물
JP6169722B2 (ja) 相乗的殺真菌性組成物
RU2749224C2 (ru) Фунгицидные соединения и смеси для борьбы с грибковыми заболеваниями зерновых культур
KR20140017514A (ko) 5-플루오로시토신과 다른 살진균제의 상승적 살진균 상호작용
JP7084396B2 (ja) 殺真菌組成物および穀類における真菌防除のための混合物
KR20180098614A (ko) 도열병의 진균 방제를 위한 상승작용적 살진균 혼합물
RU2759948C2 (ru) Фунгицидные соединения и смеси для борьбы с грибковыми заболеваниями зерновых культур
KR20140003459A (ko) 아미노피리미딘과 다른 살진균제의 상승적 살진균 상호작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