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084A -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 및 그의 전력 수요 감축 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 및 그의 전력 수요 감축 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084A
KR20140017084A KR1020120083230A KR20120083230A KR20140017084A KR 20140017084 A KR20140017084 A KR 20140017084A KR 1020120083230 A KR1020120083230 A KR 1020120083230A KR 20120083230 A KR20120083230 A KR 20120083230A KR 20140017084 A KR20140017084 A KR 20140017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oad
signal
demand
intelli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수
박홍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이씨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이씨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이씨앤코
Priority to KR1020120083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7084A/ko
Publication of KR20140017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관리 서버가 수요자원시장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전력 수요 감축 지시를 전송받은 경우, 각 세대별 등록된 월 패드로 알람 발생 제어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월 패드가 알람 발생 제어 신호를 송출받은 경우, 전력 사용을 제한하도록 하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상기 알람 신호 발생 후 설정 시간 동안 전력의 계속 사용에 대한 사용자 응답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등록된 각 부하의 제어장치인 부하제어장치로 전원 오프(OFF) 명령을 송출하는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 및 그의 전력 수요 감축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능형 수요자원 시장참여를 통해, KPX와 단지 관리 사무소 간 계약된 수요감축 가능용량의 실행에 따른 정산금(용량 정산금 + 감축 정산금) 수령 후 참여 세대의 참여비율에 따라 이익금을 분배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 및 그의 전력 수요 감축 방법과 장치{Managing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of the payback system for reduction of electric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은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홈 네트워크) 연계 시스템 및 그의 전력 수요 감축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능형 수요자원 시장참여를 통해, 한국전력거래소(KPX: Korea Power Exchange)와 단지 관리 사무소 간 계약된 수요감축 가능용량의 실행에 따른 정산금(용량 정산금 + 감축 정산금) 수령 후 참여 세대의 참여비율에 따라 이익금을 분배받을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 및 그의 전력 수요 감축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7-8월의 한낮이나 혹한기에는 에어컨이나 히터 등 전기제품의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전력예비율이 5% 아래로 떨어지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전력예비율이 낮아질 경우, 고장이나 정기점검으로 인해 1-2개 정도의 발전소가 중단되기만 해도 전력공급에 차질이 벌어질 수 있는 만큼, 전력예비율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이기 위한 방법을 마련하여야 한다.
한편, 공급적인 측면에서 전력예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발전소를 더 짓거나 송배전 시설의 개량을 통한 전력 손실을 줄이는 등의 방안이 실시되며, 수요적인 측면에서는 여름철 과도한 에어컨 사용을 자제하고, 가정이나 사무실, 공공시설 등의 실내 온도를 적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캠페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공급을 늘려서 해결하는 방식은 많은 비용이 들고, 석유나 석탄의 사용증가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증가 등, 많은 환경적인 문제가 유발되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취급된다.
그러나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전력 수요 억제 방식은 환경 개선효과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이지만, 특별한 보상이나 인센티브가 없이 단순하게 이루어지는 홍보와 캠페인만으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지능형 수요자원 시장참여를 통해, 한국전력거래소(KPX)와 단지 관리 사무소 간 계약된 수요감축 가능용량의 실행에 따른 정산금(용량 정산금 + 감축 정산금) 수령 후 참여 세대의 참여비율에 따라 이익금을 분배받을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 및 그의 전력 수요 감축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의 전력 수요 감축 방법은,
통합 관리 서버가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전력 수요 감축 지시를 전송받은 경우, 각 세대별 등록된 월 패드로 알람 발생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월 패드가 알람 발생 제어 신호를 송출받은 경우, 전력 사용을 제한하도록 하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월 패드는 상기 알람 신호 발생 후 설정 시간 동안 전력의 계속 사용에 대한 사용자 응답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등록된 각 부하의 제어장치인 부하제어장치로 전력 감축 시그널을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월 패드는 상기 알람 신호 발생 후 사용 제한 동의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사용 제한 동의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부터 설정 시간 경과 후 기등록된 각 부하의 제어장치인 각 부하제어장치로 전력 감축 시그널을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단지 AMI 서버로부터 상기 수요 감축 지시 전과 후의 전력 사용량의 차이 값에 해당하는 각 세대별 감축된 전력 수요량을 입력받고, 각 세대별로 분류 저장하여 전력 수요 감축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부하 설정은 부하 명과 부하 상태 및 모드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소정의 부하 설정 UI(User Interface)를 이용해 이루어지고, 상기 부하제어장치는 대기전력 차단스위치, 일괄소등 스위치, 지능형 분전반, 지능형 가전(월패드와 가전간 통신을 통해 제어 또는 전력 감축 모드 변경이 가능한 가전), 딤머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은,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전력 수요 감축 지시를 전송받은 경우, 각 세대별 등록된 월 패드로 알람 발생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통합 관리 서버 및,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알람 발생 제어 신호를 송출받은 경우, 전력 사용을 제한하도록 하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월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월 패드는 상기 알람 신호 발생 후 설정 시간 동안 전력의 계속 사용에 대한 사용자 응답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등록된 각 부하의 제어장치인 각 부하제어장치로 전력 감축 시그널을 송출하고, 상기 송출된 전력 감축 시그널에 따라 해당 부하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하제어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월 패드는 상기 알람 신호 발생 후 사용 제한 동의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사용 제한 동의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부터 설정 시간 경과 후 기등록된 각 부하의 제어장치인 각 부하제어장치로 전력 감축 시그널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단지 AMI 서버로부터 상기 수요 감축 지시 전과 후의 전력 사용량의 차이 값에 해당하는 각 세대별 감축된 전력 수요량을 입력받고, 각 세대별로 분류 저장하여 전력 수요 감축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하 설정은 부하 명과 부하 상태 및 모드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소정의 부하 설정 UI(User Interface)를 이용해 이루어지고, 상기 부하제어장치는 대기전력 차단스위치, 일괄소등 스위치, 지능형 분전반, 지능형 가전, 딤머 스위치, 기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의 전력 수요 감축 장치는,
통합 관리 서버가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전력 수요 감축 지시를 전송받아 각 세대별로 알람 발생 제어 신호를 송출한 경우, 전력 사용을 제한하도록 하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 발생 모듈 및, 상기 알람 신호 발생 후 설정 시간 동안 전력의 계속 사용에 대한 사용자 응답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등록된 각 부하의 제어장치인 각 부하제어장치로 전력 감축 시그널을 송출하는 제1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직하게, 상기 알람 신호 발생 후 사용 제한 동의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사용 제한 동의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부터 설정 시간 경과 후 기등록된 각 부하의 제어장치인 각 부하제어장치로 전력 감축 시그널을 송출하는 제2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부하 설정은 부하 명과 부하 상태 및 모드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소정의 부하 설정 UI(User Interface)를 이용해 이루어지고, 상기 부하제어장치는 대기전력 차단스위치, 일괄소등 스위치, 지능형 분전반, 지능형 가전, 딤머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합 관리 서버가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전력 수요 감축 지시를 전송받은 경우, 각 세대별 등록된 월 패드로 알람 발생 제어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월 패드가 알람 발생 제어 신호를 송출받은 경우, 전력 사용을 제한하도록 하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상기 알람 신호 발생 후 설정 시간 동안 전력의 계속 사용에 대한 사용자 응답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등록된 각 부하의 제어장치인 부하제어장치로 전력 감축 시그널을 송출하는 동작을 통한 지능형 수요자원 시장참여를 통해, KPX와 단지 관리 사무소 간 계약된 수요감축 가능용량의 실행에 따른 정산금(용량 정산금 + 감축 정산금) 수령 후 참여 세대의 참여비율에 따라 이익금을 분배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의 전력 수요 감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절차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의 전력 수요 감축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의 운영시나리오(직접 거래 사업자)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 감축 알림 UI(User Interface)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요감축 부하등록 UI(User Interface)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외부의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정보처리장치(예: KPX 전산시스템)(100)와, 단지(또는, 댁내)의 통합 관리 서버(200), 각 세대별로 설치된 월 패드(300) 및 부하제어장치(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정보처리장치(예: KPX 전산시스템)(100)는 단지(또는, 댁내)의 통합 관리 서버(200)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것으로, 통합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력량 데이터를 전송받고, 그 전송받은 전력량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전국의 최대 전체 전력량을 초과하여 예비 비율 이하로 떨어진 경우 소정의 전력 수요 감축 지시를 단지(또는, 댁내)의 각 통합 관리 서버(200)로 하달하는 것이다.
통합 관리 서버(200)는 각 단지(또는, 댁내)에 설치된 정보처리장치로, 외부의 수요자원시장 정보처리장치(예: KPX 전산시스템)(100)로부터 전력 수요 감축 지시를 전송받은 경우, 등록된 각 세대에 설치된 월 패드(300)로 전력 수요 감축을 위한 소정의 알람 발생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월 패드(300)로부터 해당 세대의 전체 전력 감축량을 전달받고 그 전달받은 각 세대의 전체 전력 감축량을 세대별로 분류, 저장하여 전력 수요 감축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시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단지 AMI 서버(500)로부터 상기 수요 감축 지시 전과 후의 전력 사용량의 차이 값에 해당하는 각 세대별 감축된 전력 수요량을 입력받고, 각 세대별로 분류 저장하여 전력 수요 감축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시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월 패드(300)는 각 세대에 설치되며, 통합 관리 서버(200)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것으로, 상기 통합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력 수요 감축을 위한 알람 발생 제어 신호를 송출받은 경우, 전력 사용을 제한하도록 하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준다(이때 알람 신호를 거부했을 경우 인센티브를 차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월 패드(300)는 상기 알람 신호 발생 후 설정 시간 예를 들어 5분 ~ 10분 동안 전력의 계속 사용에 대한 사용자 응답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등록된 각 부하의 제어장치인 부하제어장치(예: 대기전력 차단스위치, 일괄소등 스위치, 지능형 분전반, 지능형 가전(월패드와 가전간 통신을 통해 제어 또는 전력 감축모드 변경이 가능한 가전), 딤머 스위치, 기타 장치 등)(400)로 전력 수요 감축을 위한 전력 감축 시그널을 송출한다. 또는 상기 전력 사용을 제한하도록 하는 알람 신호 발생 후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사용 제한 동의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사용 제한 동의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부터 설정 시간(예: 5분) 경과 후 기등록된 각 부하의 제어장치인 각 부하제어장치(예: 대기전력 차단스위치, 일괄소등 스위치, 지능형 분전반, 지능형 가전, 딤머 스위치, 기타 장치 등)(400)로 전력 수요 감축을 위한 전력 감축 시그널을 송출한다. 상기 전력 감축 시그널은 전력 오프(OFF) 명령, 스마트 가전 기능 제어(예: 에어콘 실외기 RPM 조정, 세탁기 딜레이 스타트, 냉장고 성애 제거 기능 OFF 등), 딤머 스위치를 통한 조도 조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하 설정은 부하 명과 부하 상태 및 모드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소정의 부하 설정 UI(User Interface)를 이용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스템으로 지능형 수요자원 시장참여를 통해 KPX와 단지 관리 사무소 간 계약된 수요감축 가능용량의 실행에 따른 정산금(용량 정산금 + 감축 정산금) 수령 후 참여 세대의 참여비율에 따라 이익금을 분배받게 된다.
이하, 도 1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월 패드에 내장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의 전력 수요 감축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 2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의 전력 수요 감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알람 발생 모듈(301), 제1 제어모듈(302), 제2 제어모듈(3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며, 추가로 감축량 관리 모듈(30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알람 발생 모듈(301)은 통합 관리 서버(200)가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전력 수요 감축 지시를 전송받아 각 세대별로 알람 발생 제어 신호를 송출한 경우, 상기 송출된 제어 신호 입력시, 전력 사용을 제한하도록 하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해당 사실을 알려주는 것으로, 상기 알람은 UI(User Interface) 또는 음성으로도 가능하다.
제1 제어 모듈(302)은 상기 알람 발생 모듈(301)에 의한 알람 신호 발생 후 설정 시간 동안 예를 들어, 5분 ~ 10분 동안, 전력의 계속 사용에 대한 사용자 응답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등록된 각 부하의 제어장치인 각 부하제어장치(예: 대기전력 차단스위치, 일괄소등 스위치, 지능형 분전반, 지능형 가전, 딤머 스위치, 기타 장치 등)로 전력 감축 시그널을 송출하는 것이다. 상기 부하 설정은 부하 명과 부하 상태 및 모드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소정의 부하 설정 UI(User Interface)를 이용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제어 모듈(303)은 상기 알람 발생 모듈(301)에 의한 알람 신호 발생 후 사용자 키 조작에 따른 사용 제한 동의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사용 제한 동의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부터 설정 시간(예: 5분) 경과 후 기등록된 각 부하의 제어장치인 각 부하제어장치로 전력 감축 시그널을 송출한다.
감축량 관리 모듈(304)은 상기 제1, 2 제어 모듈(302, 303)에 의한 전원 오프(OFF) 명령 후, 상기 각 부하제어장치로부터 전원 온(ON)/오프(OFF) 상태 정보와 전원 오프(OFF) 명령에 따라 감축된 해당 부하의 전력량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당 세대의 전체 전력 감축량을 산출하여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하, 도 1, 2의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된 도 3과 도 4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의 전력 수요 감축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먼저,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정보처리장치(예: KPX 전산시스템)(100)가 단지(또는, 댁내)의 각 통합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력량 데이터를 전송받고, 그 전송받은 전력량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전국의 최대 전체 전력량을 초과하여 예비 비율 이하로 떨어진 경우 소정의 전력 수요 감축 지시를 단지(또는, 댁내)의 각 통합 관리 서버(200)로 하달한다.
다음, 통합 관리 서버(200)는 상기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정보처리장치(예: KPX 전산시스템)(100)로부터 전력 수요 감축 지시를 전송받은 경우(S401), 등록된 각 세대에 설치된 월 패드(300)로 전력 수요 감축을 위한 소정의 알람 발생 제어 신호를 송출한다(S402).
그러면, 각 세대에 설치된 월 패드(300)는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전력 수요 감축을 위한 알람 발생 제어 신호를 송출받은 경우, 전력 사용을 제한하도록 하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준다(S403).
그리고, 상기 월 패드(300)는 상기 알람 신호 발생 후 설정 시간 예를 들어 5분 ~ 10분 동안 전력의 계속 사용에 대한 사용자 응답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S404), 기등록된 각 부하의 제어장치인 부하제어장치(예: 대기전력 차단스위치, 일괄소등 스위치, 지능형 분전반, 지능형 가전, 딤머 스위치, 기타 장치 등)(400)로 전력 수요 감축을 위한 전력 감축 시그널을 송출한다(S406).
상기 부하 설정은 부하 명과 부하 상태 및 모드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소정의 부하 설정 UI(User Interface)를 이용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월 패드(300)는 상기 전력 사용을 제한하도록 하는 알람 신호 발생 후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사용 제한 동의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사용 제한 동의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부터 설정 시간(예: 5분) 경과 후(S405) 기등록된 각 부하의 제어장치인 각 부하제어장치(예: 대기전력 차단스위치, 일괄소등 스위치, 지능형 분전반, 지능형 가전, 딤머 스위치, 기타 장치 등)(400)로 전력 수요 감축을 위한 전력 감축 시그널을 송출한다(S406).
다음, 상기 월 패드(300)는 전원 오프(OFF) 명령 송출 후, 상기 각 부하제어장치(4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상태 정보와 전원 오프(OFF) 명령에 따라 감축된 해당 부하의 전력량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당 세대의 전체 전력 감축량을 산출하여 상기 통합 관리 서버(200)로 전달한다(S407~S409).
한편, 상기 통합 관리 서버(200)는 단지 AMI 서버(500)로부터 상기 수요 감축 지시 전과 후의 전력 사용량의 차이 값에 해당하는 각 세대별 감축된 전력 수요량을 입력받고, 각 세대별로 분류 저장하여 전력 수요 감축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시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합 관리 서버가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전력 수요 감축 지시를 전송받은 경우, 각 세대별 등록된 월 패드로 알람 발생 제어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월 패드가 알람 발생 제어 신호를 송출받은 경우, 전력 사용을 제한하도록 하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상기 알람 신호 발생 후 설정 시간 동안 전력의 계속 사용에 대한 사용자 응답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등록된 각 부하의 제어장치인 부하제어장치로 전력 감축 시그널을 송출하는 동작을 통한 지능형 수요자원 시장참여를 통해, KPX와 단지 관리 사무소 간 계약된 수요감축 가능용량의 실행에 따른 정산금(용량 정산금 + 감축 정산금) 수령 후 참여 세대의 참여비율에 따라 이익금을 분배받을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의 운영시나리오(직접 거래 사업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운영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1단계(관리사무소(직접거래 사업자))
1-1. 시장 참여 희망 세대 접수 전체 세대 일괄 참여(개별 선택 가능).
1-2. 세대 평균 전력사용 패턴 분석 후 계절시간별 감축가능용량에 따른 감축기준용량 산정.
1-3. 가격 결정 후 입찰 참여(매년 11월 ~ 12월).
2단계(KPX)
낙찰자 선정 후 계약(계약기간 1월 1일 ~ 12월 31일)
3단계(KPX 전산 시스템)
수요감축 가능용량에 대한 감축지시(필요 시)
4단계(통합 관리 서버)
4-1. KPX의 감축지시 신호 접수 후 세대별 월패드로 제어 신호 발송
4-2. KEPCO를 통해 수신한 전력량 데이터를 KPX로 실시간 전송
5단계(월 패드)
5-1. 제어 신호에 따라 세대별 월패드에서 전력 사용 제한 알람 발생.
5-2. 알람 발생 후 5분 ~ 10분 동안 전력의 계속 사용에 대한 응답이 없을 경우 전력 부하 조절(예: 에어컨, 조명 등)
6단계(KPX)
감축 정산금 정산(분기 1회) 후 관리사무소로 대금 지급
7단계(단지 내 AMI)
세대 전력량 데이터 통계정보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
8단계(관리사무소)
세대별 감축량에 따른 대금 정산 후 관리비를 통해 계상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량 감축 알림 UI(User Interface)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가 수요자원시장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전력 수요 감축 지시를 전송받아 각 세대별로 알람 발생 제어 신호를 송출한 경우, 월 패드는 상기 송출된 제어 신호 입력시, 전력 사용을 제한하도록 하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해당 사실을 알려준다.
상기 알람은 도 6의 UI(User Interface)(예: 지금은 전력 수급비상 상황입니다. 5분 뒤 등록된 부하의 전력 사용을 제한합니다. 제한 거부 시 인센티브가 차감됩니다. 계속 사용 희망 시 거부를 선택 바랍니다.) 또는 음성으로도 가능하다.
전력에 대한 계속 사용 희망 시 거부 버튼을 클릭할 수 있으며, 사용 제한 동의 시 5분 후 설정된 부하에 대한 오프(OFF) 명령을 시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요감축 부하등록 UI(User Interface)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월 패드는 전력 사용 제한에 대한 알람 신호 발생 후 설정 시간 예를 들어 5분 ~ 10분 동안 전력의 계속 사용에 대한 사용자 응답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등록된 각 부하의 제어장치인 부하제어장치(예: 대기전력 차단스위치, 일괄소등 스위치, 지능형 분전반, 지능형 가전, 딤머 스위치, 기타 장치 등)로 전력 수요 감축을 위한 전력 감축 시그널을 송출하는데, 상기 부하 설정은 도 7과 같이, 부하 명과 부하 상태 및 모드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소정의 부하 설정 UI(User Interface)를 이용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 7에서는 수요감축에 참여할 부하 명(예; 거실중앙등, 거실보조등, 거실할로겐1, 거실할로겐2, ... )과 각 부하의 현재 상태(예: 켜짐, 꺼짐)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손쉽게 수요감축에 참여할 부하를 추가 또는 삭제하기 위해 오른쪽에는 해당 장치 명 등이 선택될 수 있도록 표시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수요자원시장 정보처리장치
200 : 통합 관리 서버 300 : 월 패드
400 : 부하제어장치
301 : 알람 발생 모듈 302 : 제1 제어모듈
303 : 제2 제어모듈 304 : 감축량 관리 모듈

Claims (13)

  1. 통합 관리 서버가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전력 수요 감축 지시를 전송받은 경우, 각 세대별 등록된 월 패드로 알람 발생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월 패드가 알람 발생 제어 신호를 송출받은 경우, 전력 사용을 제한하도록 하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의 전력 수요 감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월 패드는
    상기 알람 신호 발생 후 설정 시간 동안 전력의 계속 사용에 대한 사용자 응답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등록된 각 부하의 제어장치인 부하제어장치로 전력 감축 시그널을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의 전력 수요 감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월 패드는
    상기 알람 신호 발생 후 사용 제한 동의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사용 제한 동의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부터 설정 시간 경과 후 기등록된 각 부하의 제어장치인 각 부하제어장치로 전력 감축 시그널을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의 전력 수요 감축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단지 AMI 서버로부터 상기 수요 감축 지시 전과 후의 전력 사용량의 차이 값에 해당하는 각 세대별 감축된 전력 수요량을 입력받고, 각 세대별로 분류 저장하여 전력 수요 감축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의 전력 수요 감축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설정은
    부하 명과 부하 상태 및 모드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소정의 부하 설정 UI(User Interface)를 이용해 이루어지고,
    상기 부하제어장치는
    대기전력 차단스위치, 일괄소등 스위치, 지능형 분전반, 지능형 가전, 딤머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의 전력 수요 감축 방법.
  6.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전력 수요 감축 지시를 전송받은 경우, 각 세대별 등록된 월 패드로 알람 발생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통합 관리 서버; 및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알람 발생 제어 신호를 송출받은 경우, 전력 사용을 제한하도록 하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월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월 패드는
    상기 알람 신호 발생 후 설정 시간 동안 전력의 계속 사용에 대한 사용자 응답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등록된 각 부하의 제어장치인 각 부하제어장치로 전력 감축 시그널을 송출하고,
    상기 송출된 전력 감축 시그널에 따라 해당 부하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하제어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월 패드는
    상기 알람 신호 발생 후 사용 제한 동의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사용 제한 동의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부터 설정 시간 경과 후 기등록된 각 부하의 제어장치인 각 부하제어장치로 전력 감축 시그널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단지 AMI 서버로부터 상기 수요 감축 지시 전과 후의 전력 사용량의 차이 값에 해당하는 각 세대별 감축된 전력 수요량을 입력받고, 각 세대별로 분류 저장하여 전력 수요 감축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설정은
    부하 명과 부하 상태 및 모드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소정의 부하 설정 UI(User Interface)를 이용해 이루어지고,
    상기 부하제어장치는
    대기전력 차단스위치, 일괄소등 스위치, 지능형 분전반, 지능형 가전, 딤머 스위치, 기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
  11. 통합 관리 서버가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전력 수요 감축 지시를 전송받아 각 세대별로 알람 발생 제어 신호를 송출한 경우, 전력 사용을 제한하도록 하는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 발생 모듈; 및
    상기 알람 신호 발생 후 설정 시간 동안 전력의 계속 사용에 대한 사용자 응답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등록된 각 부하의 제어장치인 각 부하제어장치로 전력 감축 시그널을 송출하는 제1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의 전력 수요 감축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신호 발생 후 사용 제한 동의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사용 제한 동의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부터 설정 시간 경과 후 기등록된 각 부하의 제어장치인 각 부하제어장치로 전력 감축 시그널을 송출하는 제2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의 전력 수요 감축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설정은
    부하 명과 부하 상태 및 모드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소정의 부하 설정 UI(User Interface)를 이용해 이루어지고,
    상기 부하제어장치는
    대기전력 차단스위치, 일괄소등 스위치, 지능형 분전반, 지능형 가전, 딤머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의 전력 수요 감축 장치.
KR1020120083230A 2012-07-30 2012-07-30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 및 그의 전력 수요 감축 방법과 장치 KR20140017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230A KR20140017084A (ko) 2012-07-30 2012-07-30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 및 그의 전력 수요 감축 방법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230A KR20140017084A (ko) 2012-07-30 2012-07-30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 및 그의 전력 수요 감축 방법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084A true KR20140017084A (ko) 2014-02-11

Family

ID=50265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230A KR20140017084A (ko) 2012-07-30 2012-07-30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 및 그의 전력 수요 감축 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708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685B1 (ko) 2015-11-20 2017-04-0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참여고객과 수요관리 사업자가 함께 사용가능한 수요자원통합관리시스템
CN107392578A (zh) * 2017-06-26 2017-11-24 中国人民银行数字货币研究所 一种数字货币的间接支付方法和系统
KR20190041266A (ko) * 2017-10-12 2019-04-22 전자부품연구원 수요반응 처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0101056A1 (ko) * 2018-11-14 2020-05-22 전자부품연구원 수요반응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685B1 (ko) 2015-11-20 2017-04-0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참여고객과 수요관리 사업자가 함께 사용가능한 수요자원통합관리시스템
CN107392578A (zh) * 2017-06-26 2017-11-24 中国人民银行数字货币研究所 一种数字货币的间接支付方法和系统
KR20190041266A (ko) * 2017-10-12 2019-04-22 전자부품연구원 수요반응 처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0101056A1 (ko) * 2018-11-14 2020-05-22 전자부품연구원 수요반응 처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1977B2 (en) Total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Kiliccote et al. Characterization of demand response in the commercial, industrial, and residential sectors in the United States
AU2011205063B2 (en) Load shed system for demand response without AMI/AMR system
AU2010307299B2 (en) Controlled restart of electrical service within a utility service area
AU20102842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the effects of a request to change power usage
AU2010276364B2 (en)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8565903B2 (en) Critical resource notification system and interface device
US20090187499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Demand Response Functionality
US200900245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ement and control of individual circuits
US20120065798A1 (en) Demand response of devices when different devices are being signaled to shed load
EP2616892B1 (en) Network system
KR20140017084A (ko) 지능형 수요자원시장 참여를 위한 스마트 홈 연계 시스템 및 그의 전력 수요 감축 방법과 장치
US20230283103A1 (en) Third party energy management
EP2850711A1 (en) Energy management gateway
Martinez et al. Demand response enabling technologies for small-medium businesses
Whaley et al. Resident experiences using load management devices in an Australian monitored low-energy housing development
Bharathi et al. Embedded Energy and Power Management System
Metering Smart Grid Metering, Cost Recovery, Demand Respon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