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627A - Ultrasonic imaging system - Google Patents

Ultrasonic imag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627A
KR20140013627A KR1020120081470A KR20120081470A KR20140013627A KR 20140013627 A KR20140013627 A KR 20140013627A KR 1020120081470 A KR1020120081470 A KR 1020120081470A KR 20120081470 A KR20120081470 A KR 20120081470A KR 20140013627 A KR20140013627 A KR 20140013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forming
unit
dimensional array
focal point
array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4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41290B1 (en
Inventor
오현호
배무호
김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1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290B1/en
Publication of KR20140013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6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2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89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5/8906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 G01S15/8909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using a static transducer configuration
    • G01S15/8915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using a static transducer configuration using a transducer arr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17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particularly adapted to short-range imaging
    • G01S7/52085Details related to the ultrasound signal acquisition, e.g. scan sequences
    • G01S7/52095Details related to the ultrasound signal acquisition, e.g. scan sequences using multiline receive beamform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10K11/26Sound-focusing or directing, e.g. scanning
    • G10K11/34Sound-focusing or directing, e.g. scanning using electrical steering of transducer arrays, e.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1/00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11/04Colour television system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04N11/042Codec means
    • H04N11/048Sub-Nyquist sam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An ultrasonic imaging system is disclosed.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nalyze the pattern of an ultrasonic beam on a space from the two-dimensional array probe, when processing an ultrasonic image received from a two-dimensional array probe comprising a plurality of elements, to determine the maximum interval among focal points, can arrange the focal points at intervals less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interval among the focal points, wherein the distribution thereof gradually changes according to distances on the space, and can generate focusing delay,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elements of the two-dimensional array probe and the positions of the arranged focal points, thereby being applied to beamforming. [Reference numerals] (10) First beamforming unit; (20) Orthogonal demodulation unit; (30) Bandwidth sampling unit; (40) Second beamforming unit; (50) Interpolation unit; (60) Envelope detection unit; (70) Focal point setting unit; (80) Pixel point setting unit

Description

초음파 영상 시스템{ULTRASONIC IMAGING SYSTEM}[0001] ULTRASONIC IMAGING SYSTEM [0002]

본 발명은 초음파 영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파 데이터를 캡쳐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ltrasound imag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capturing ultrasound data to generate an image.

초음파의 영상화는 매우 다양한 질병상태 및 상황을 진단하기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써 개발되어 왔다. 초음파 장비시장은 오랜 세월에 걸쳐 꾸준히 성장해 오고 있으며, 영상의 화질이 꾸준히 개선되어 오고 있다.Ultrasound imaging has been developed as an effective tool for diagnosing a wide variety of disease states and conditions. The ultrasonic equipment market has been steadily growing over the years, and the image quality has been steadily improving.

현재, 초음파를 영상화하기 위해서는 2차원 어레이 프로브(array probe)가 바람직하다. 1차원 어레이의 경우에 비해 2차원 어레이를 사용하는 경우, 한번의 송신으로 더욱 많은 스캔라인을 얻을 수 있다. 이는, 1차원 어레이는 한 평면상에 여러개의 빔을 동시에 생성하여 여러개의 스캔라인을 병렬로 얻을 수 있지만, 2차원 어레이의 경우 상하좌우의 공간에 빔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으므로, 얻을 수 있는 스캔라인의 수가 1차원 어레이 프로브의 경우에 비해 제곱배가 되기 때문이다. Presently, a two-dimensional array probe is preferred for imaging ultrasound. When a two-dimensional array is u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a one-dimensional array, more scan lines can be obtained by one transmission. This is because a one-dimensional array can generate several beams simultaneously on one plane to obtain a plurality of scan lines in parallel, but in the case of a two-dimensional array, beams can be simultaneously generated in the upper and lower right and left spaces,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lines is doubl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the one-dimensional array probe.

종래의 하드웨어 방식(hardware based beamforming)에서는, 프로브 내부의 서브어퍼처 빔포밍에 의해 많은 엘리먼트의 신호를 소정의 수로 취합(예를 들어, 64×64=4096 엘리먼트의 신호를 128개의 신호로 취합)한 후, 시스템으로 보내어, 이를 시스템 내부에서 빔포밍하였다. 이때, 프로브 내부의 빔포밍은 아날로그 ASIC(Application Specific IC)으로 수행하며, 시스템 내부의 빔포밍은 디지털 ASIC으로 수행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hardware based beamforming, signals of many elements are collected by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64 x 64 = 4096 elements are collected into 128 signals) by sub-aperture beam forming in the probe, After that, it was sent to the system, which beamformed it inside the system. At this time, the beam forming in the probe is performed by an analog ASIC (Application Specific IC), and the beam forming inside the system is performed by a digital ASIC.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 내부에서 디지털 ASIC으로 처리하던 빔포밍을 시스템 내부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이 소프트웨어 방식(software based beamforming)이다. Software-based beamforming is a method of processing the beamforming processed by the digital ASIC in the conventional system by software in the system.

이러한 소프트웨어 방식중, 2차원 어레이 프로브 데이터를 취합하여 2차원 매핑하는 방식을 포워드 매핑(forward mapping) 방식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출력을 얻기 위해 필요없는 좌표의 신호를 다 연산하여야 하므로, 데이터 연산량이 방대한 문제점이 있다. Of these software methods, the method of collecting two-dimensional array probe data and performing two-dimensional mapping is called a forward mapping method. However, this requires a large number of computations for signals having coordinates that are not necessary for obtaining one output, an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data operation is enormou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백워드 매핑(backward mapping) 방식이 제시되어 있다. 이는 어떠한 출력영상을 위해 필요한 픽셀을 찾아, 해당 픽셀에 대해 연산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연산량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backward mapping method is proposed. This is a method of finding a necessary pixel for an output image and calculating the pixel. Therefore, the amount of computation is reduced.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 역시, 도 1과 같이 방사상으로 배치하여 하는 위상 어레이 프로브(phased array probe)의 경우, 가까운 거리에서는 스캔라인이 지나치게 조밀하게 되어 지나치게 많은 연산량이 발생하나, 화질의 향상에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고, 먼 거리에서는 지나치게 듬성하게 되어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phased array probe radially arranged as shown in FIG. 1, the scan line becomes excessively dense at a close distance, resulting in an excessive amount of computation.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mage quality is deteriorated due to excessively roughening at a long distan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빔포밍 연산에 요구되는 연산량을 최소화하는 초음파 영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ltrasound imaging system that minimizes the amount of computation required for a beamforming operation.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엘리먼트로 구성되는 2차원 어레이 프로브로부터 수신되는 초음파 영상을 처리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2차원 어레이 프로브로부터의 공간상의 초음파빔의 패턴을 분석하여, 포컬 포인트의 최대간격을 결정하는 분석부; 상기 포컬 포인트의 최대간격과 같거나 작은 간격으로 포컬 포인트를 배치하되, 공간상에서 거리에 따라 그 분포가 점진적으로 변화하도록 배치하는 설정부; 및 상기 2차원 어레이 프로브의 엘리먼트의 위치와 배치된 포컬 포인트의 위치에 따른 포커싱 지연을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processing an ultrasound image received from a two-dimensional array pro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elements, the system comprising: analyzing a pattern of an ultrasonic beam on a space from the two- An analysis unit for determining a maximum interval of the focal points; A setting unit for arranging the focal points at interval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maximum interval of the focal points so that the distribution gradually changes according to the distance in the space; And a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focusing dela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element of the two-dimensional array probe and the position of the focal point dispos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분석부는, 공간상의 초음파빔으로부터 공간주파수 성분을 분석하고, 공간에서의 나이키스트(Nyquist) 샘플링 주파수를 결정하고, 그로부터 공간상 포컬 포인트 최대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alysis unit may analyze the spatial frequency component from the ultrasound beam in space, determine the Nyquist sampling frequency in the space, and determine the spatial maximum focal point spacing therefrom.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설정부는, 빔패턴이 조밀한 영역에서는 균등하게 포컬 포인트를 배치하고, 빔패턴이 성긴 영역에서는 스캔라인에 따라 포컬 포인트를 배치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unit may uniformly arrange the focal points in a region where the beam pattern is dense, and arrange the focal points in accordance with the scan lines in the region where the beam pattern is spars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2차원 어레이 프로브의 복수의 엘리먼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 수의 신호로 결합한 서브어퍼처 빔포밍을 수행하는 제1빔포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eamform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from a plurality of elements of the two-dimensional array probe and to perform sub-aperture beamforming combined with a predetermined number of signal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빔포밍부로부터 출력되는 빔패턴에 대하여, 포컬 포인트를 적용하여 빔포밍을 수행하는 제2빔포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eamforming unit that performs beamforming by applying a focal point to the beam pattern output from the first beamforming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빔포밍부는, 배치된 포컬 포인트에 스캔라인이 위치하도록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eamforming unit may perform beamforming such that a scan line is located at an arranged focal poi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빔포밍부는, 포커싱 지연을 적용하여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eamforming unit may perform beamforming by applying a focusing dela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빔포밍부로부터 출력되는 빔을 복소수로 변환하는 복조부; 및 상기 복조부의 출력에 대해 대역폭 샘플링을 수행하는 샘플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modulator may include: a demodulator for converting a beam output from the first beamformer to a complex number; And a sampling unit for performing bandwidth sampling on the output of the demodulation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빔포밍부의 출력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픽셀/복셀 포인트의 위치를 참조로 보간을 수행하는 보간부; 및 상기 보간부의 출력의 엔벨롭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polation unit performs interpolation with reference to a position of a pixel / voxel point preset for an output of the second beamforming unit. And a detector for detecting the envelope of the output of the interpolato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어레이 프로브에 따른 빔패턴을 미리 분석하고, 해당 빔패턴에 대한 포컬 포인트를 배치하여, 이를 이용하여 빔포밍을 수행하여, 빔포밍에 요구되는 연산량을 효율적으로 줄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eam pattern according to the array probe is analyzed in advance, the focal point for the beam pattern is arranged, and the beam forming is performed using the focal point, thereby effectively reducing the amount of calculation required for beam forming It is effective.

도 1은 위상 어레이 프로브에서의 일반적인 스캔라인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영상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은 엘리먼트, 서브어퍼처 및 어퍼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포컬 포인트 설정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분포된 포컬 포인트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포커싱 딜레이 테이블 생성부가 생성하는 포커싱 딜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Figure 1 is intended to illustrate the general arrangement of scan lines in a phased array probe.
2 is a block diagram of an ultrasound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 sub-aperture and aperture. Fig.
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focal point setting unit of FIG.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focal points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ocusing delay generated by the focusing delay table generating unit of FIG. 5;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such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신 빔포밍 방식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receive beamforming scheme as follows.

1. 포커싱할 점을 반드시 스캔라인 위에 둘 필요가 없다. 또는, 반대로 포커싱할 점을 반드시 디스플레이할 픽셀(pixel)(또는, 복셀(voxel)) 위에 둘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포커싱할 점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1. It is not necessary to place the point to be focused on the scan line. Or, conversely, it is not necessary to place the point to be focused on the pixel (or voxel) to be display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se points may or may not be included.

본 발명에서는 빔패턴으로부터 공간해상도가 결정되며, 해당 공간해상도의 나이키스트율(Nyquist rate)을 만족하는 간격으로 가장 성긴 격자상에 포커싱할 점들을 필요한 공간 안에 최소 개수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격자는, 예를 들어, 직교좌표상의 격자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좌표계, 또는 원통좌표계상 격자라도 가능하고, 또는 임의의 곳에 자유롭게 격자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필요한 경우, 나이키스트율 이하의 밀도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tial resolution is determined from the beam pattern, and the minimum number of points to be focused on the lattice most spaced at an interval satisfying the Nyquist rate of the spatial resolution is set. The lattice is, for example, a lattice on a Cartesian coordinat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possible to use a spherical coordinate system or a grid on a cylindrical coordinate system, or to arrange the grid freely in an arbitrary position. Or, if necessary, it may be arranged at a density equal to or less than the Nyquist rate.

2. 이 점들에 대해 수신 포커싱(Rx focusing)을 수행한 후(이때, 예를 들어, 지연합(delay-and-sum) 방식을 사용함), 그 결과인 수신신호를 보간(interpolation)하여, 미리 설정된 원하는 픽셀(또는 복셀)의 RF(Radio Frequency) 데이터 또는 IQ(Inphase/Quadrature) 데이터, 또는 엔벨롭(envelope)를 구한다.
2. After performing Rx focusing on these points (using, for example, a delay-and-sum method), interpolating the resulting received signal, (RF) data or IQ (Inphase / Quadrature) data or an envelope of the desired pixel (or voxel).

3. 또한, 본 발명은 수신 포커싱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직교변조(Quadrature demodulation), 또는 힐버트 변환(Hilbert Transform)을 수행하여, 수신 포커싱의 출력이 복소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수신신호 보간의 연산량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이후 I/Q 데이터 또는 엔벨롭의 값도 쉽게 구할 수 있다.3.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quadrature demodulation or Hilbert transform at the same time while performing reception focusing so that the output of the reception focusing becomes a complex number. According to this, the amount of computation of the received signal interpolation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e values of I / Q data or envelopes can be easily obtained thereaft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영상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ultrasound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시스템은, 제1빔포밍부(10), 직교복조부(Quadrature Demodulator)(20), 대역폭 샘플링부(30), 제2빔포밍부(40), 보간부(interpolator)(50), 엔벨롭 검출부(envelope detector)(60), 포컬 포인트 설정부(70) 및 픽셀 포인트 설정부(8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an im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eamforming unit 10, a quadrature demodulator 20, a bandwidth sampling unit 30, a second beamforming unit 40, An interpolator 50, an envelope detector 60, a focal point setting unit 70, and a pixel point setting unit 80. The interpolator 50 includes an envelope detector 60, a focal point setting unit 70,

제1빔포밍부(10)는, 2차원 어레이 프로브(도시되지 않음)의 엘리먼트(element)로부터 복수의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 수(예를 들어 100개)의 신호로 결합하여 서브어퍼처(sub-aperture)에 대한 빔포밍(subaperture beamforming)을 수행한다. 서브어퍼처 빔포밍은, 마이크로빔포밍(microbeamforming)이라고도 하며, 이와 관련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져 있는 바와 같다.The first beamforming unit 10 receives a plurality of ultrasonic signals from an element of a two-dimensional array probe (not shown) and combines them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signals (for example, 100) and performs subaperture beamforming on the sub-aperture. Sub-aperture beamforming, also referred to as microbeamforming, is known in the ar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3은 엘리먼트, 서브어퍼처 및 어퍼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로서, 서브어퍼처로 분할된 어퍼처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Fig. 3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lement, a sub-aperture and an aperture, and shows an example of an aperture divided into sub-apertures.

각 서브어퍼처 내에서 수행되는 빔포밍 결과로 얻어지는 빔패턴(beam pattern)은 각 프로브 엘리먼트(element)의 신호에 상대적으로 어떠한 지연을 가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빔을 하나의 스캔라인(scanline)에 최대한 모을(focusing) 수도 있고, 평면파에 가까운 빔을 만들수도 있고, 또는 반대로 넓은 범위에 퍼뜨릴(defocusing) 수도 있다. 각각의 모든 서브어퍼처들은 각자 필요한 공간으로 향하는 초음파빔을 생성할 수 있다.The beam pattern obtained as a result of the beamforming performed in each subperifferer depends on how much delay is applied to the signal of each probe element. For example, the beam may be focused to a single scanline as much as possible, a beam close to a plane wave may be produced, or conversely may be defocused over a wide range. Each sub-aperture can generate an ultrasound beam directed towards the required space.

예를 들어, 한번의 송신으로 하나의 스캔라인을 얻고자 하는 경우, 각 서브어퍼처의 송수신 빔패턴은 최대한 그 스캔라인 위에 모이도록 할 것이다. 반면, 한번의 송신으로 넓은 범위에 걸쳐 있는 여러 스캔라인을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 서브어퍼처의 송수신 빔패턴은 그 범위 전체에 골고루 퍼지도록 할 것이다.For example, if one transmission is intended to obtain one scan line, the transmit / receive beam pattern of each sub-aperture will be gathered on the scan line as much as possible. 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scan lines over a wide range are to be obtained by one transmission, the transmit / receive beam patterns of each sub-aperture will spread evenly throughout the range.

본 발명의 제1 빔포밍부(10)는 후자의 경우에 더욱 효율적인 방식이지만, 전자에 대한 사용을 배제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It is obvious that the first beamforming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re efficient method in the latter case, but does not preclude the use of electrons.

직교복조부(20)는 제1빔포밍부(10)가 빔포밍을 수행한 서브어퍼처 빔에 대하여 직교복조 또는 힐버트 변환(Hilbert transform) 방식을 이용하여, 복소수로 변환한다. The direct masking unit 20 transforms the sub-aperture beam subjected to beamforming by the first beamforming unit 10 into a complex number using a quadrature demodulation or a Hilbert transform method.

대역폭 샘플링부(30)는, 직교복조부(20)의 출력에 대해 대역폭을 샘플링한다. The bandwidth sampling unit 30 samples the bandwidth with respect to the output of the direct masking unit 20.

제2빔포밍부(40)는, 포컬포인트 설정부(70)의 설정에 의해, 대역폭 샘플링부(30)의 출력에 대하여 빔포밍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포컬포인트 설정부(70)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 제2빔포밍부(40)를 설명하기로 한다.The second beamforming unit 40 performs beamforming on the output of the bandwidth sampling unit 30 by setting the focal point setting unit 70. [ Hereinafter, the focal point setting unit 70 will be described first and the second beamforming unit 40 will be described.

제2빔포밍부(40)는,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2차원 프로브(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사전에 한번 수행하여 포커싱 지연 테이블을 작성하여, 이후 실시간 동작에 대해 해당 테이블을 사용하여 빔포밍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second beamforming unit 40 does not operate in real time but performs a preliminary one-time operation on a given two-dimensional probe (not shown) to create a focusing delay table. Then, the second beamforming unit 40 uses the corresponding table Beamforming is performed.

도 4는 도 2의 포컬 포인트 설정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focal point setting unit of FIG.

포컬 포인트 설정부(70)는, 포컬 포인트(focal point)의 개수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즉, 꼭 필요한 장소에만 포컬 포인트를 배치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focal point setting unit 70 is for reducing the number of focal points. In other words, you want to place a focal point only where it is absolutely necessary.

초음파 B-모드(mode) 영상은 인체내 어떤 단면(또는 3차원 초음파의 경우는 어떤 부피) 내의 초음파 반사계수(reflection coefficient)의 분포를 영상화하는 것인데, 이때 포컬 포인트는 초음파빔을 써서 공간상의 초음파 반사계수를 샘플링하는 장소를 의미하기로 한다(실제로는 반드시 모든 샘플링 포인트에 포커싱을 맞출 필요는 없지만, 최고의 성능을 위해서는 샘플링 포인트를 포컬 포인트에 두는 것이 필요함).The ultrasound B-mode image is to image the distribution of the reflection coefficient within a section of the body (or a volume in the case of a three-dimensional ultrasound), wherein the focal point is an ultrasound beam (In practice, it is not always necessary to focus on all sampling points, but it is necessary to place the sampling point at the focal point for best performance).

그런데, 초음파의 회절(diffraction), 초음파 펄스의 길이(pulse length), 시스템과 매질의 불완전성 등에 의해 초음파빔이 일정 부피를 가지게 되므로, 한 점에서의 반사계수를 샘플링할 수는 없고 그 점 주변 일정 부피의 반사계수들을 적분한 값을 얻게 된다. 즉, 인체 내의 반사계수는 이상적으로 샘플링되는 것이 아니고, 초음파빔의 부피만큼 흐려(blur)진 채로 샘플링된다. However, since the ultrasonic beam has a certain volume due to the diffraction of the ultrasonic wave, the pulse length of the ultrasonic pulse, the incompleteness of the system and the medium, the reflection coefficient at one point can not be sampled, A value obtained by integrating reflection coefficients of a certain volume is obtained. That is, the reflection coefficient in the human body is not ideally sampled, but sampled while blurred by the volume of the ultrasonic beam.

따라서, 예를 들어 초음파 빔폭은 제법 넓은데(즉, 초음파 빔의 측방향 폭은 넓음), 측방향으로 너무 조밀하게 포컬 포인트를 배치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마찬가지로, 초음파 펄스 길이는 긴데(즉, 축방향(axial direction)의 빔의 길이가 김), 축방향으로 포컬 포인트를 조밀하게 배치하는 것도 비효율적이다. Thus,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ultrasonic beam is wide (i.e., the lateral width of the ultrasonic beam is wide), and it is inefficient to place the focal point in the lateral direction too tightly. Likewise, it is also inefficient to arrange the focal points in the axial direction densely (i.e., the length of the beam in the axial direction is steady), although the ultrasonic pulse length is long.

위와 같은 상황은 샘플링 이론에서 오버샘플링 하는 것과 동일하다. 이를 공간주파수(spatial frequency) 축상에서 살펴보면, 공간상의 반사계수의 스펙트럼은 초음파 빔 모양의 스펙트럼(낮은 주파수성분임)과 곱해져 낮은 주파수성분만 남아 있는데, 이것을 샘플링할 때 너무 높은 주파수로 샘플링하면, 샘플링한 스펙트럼에 불필요한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상적으로는, 샘플링 이론에서 나이키스트율(Nyquist rate)를 간신히 만족하도록 샘플링 주파수를 조절하면 샘플(즉, 포컬 포인트)의 개수가 최소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바를 만족하도록 공간상에 포컬 포인트를 배치하고자 하는 것이다. This situation is equivalent to oversampling in sampling theory. Looking at this on the spatial frequency axis, the spectrum of the reflection coefficient in space is multiplied by the spectrum of the ultrasonic beam shape (which is the low frequency component), so that only low frequency components remain. An unnecessary space is generated in the sampled spectrum. Ideally, the number of samples (ie, focal points) is minimized by adjusting the sampling frequency to barely satisfy the Nyquist rate in the sampling theor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arrange a focal point in space so as to satisfy such a bar.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컬 포인트 설정부(70)는, 빔패턴 분석부(71), 포컬그리드 설정부(72) 및 포커싱 딜레이 테이블 생성부(73)를 포함한다.The focal point setting unit 70 includes a beam pattern analyzer 71, a focal grid setting unit 72, and a focusing delay table generating unit 73, as shown in the figure.

빔패턴 분석부(71)는, 2차원 어레이 프로브로부터의 공간상의 초음파빔의 패턴을 분석하고, 그것의 공간주파수 성분을 분석하여, 공간에서의 나이키스트 샘플링 주파수를 결정하고, 그로부터 공간상의 포컬 포인트의 최대간격을 결정한다. The beam pattern analyzer 71 analyzes a pattern of an ultrasonic beam on a space from a two-dimensional array probe, analyzes its spatial frequency component, determines a Nyquist sampling frequency in space, Lt; / RTI >

빔패턴은 실측을 통해, 또는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통해 알아낼 수 있다. 빔패턴은 축방향 및 측방향 좌표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브에 가까운 정면부분은 빔의 측방향 폭이 좁고, 멀어질수록 또는 측면으로 치우칠수록 측방향 폭이 넓어진다. 축방향 폭은 펄스폭과 유사하므로, 위치에 따라 큰 변화가 없다.The beam pattern can be obtained through actual measurement or through simulation. The beam pattern may vary depending on the axial and lateral coordinates. Generally, the front portion closer to the probe is narrower in the lateral width of the beam, and the lateral width becomes wider as it gets farther from the side or more toward the side. Since the axial width is similar to the pulse width,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depending on the position.

따라서, 포컬 그리드 설정부(72)는 빔패턴 분석부(71)가 결정한 포컬 포인트의 최대간격과 같거나 작은 간격으로 포컬 포인트를 배치한다. 이 포컬 포인트에서 샘플링된 반사계수를 보간하여 영상을 출력하여야 하므로, 공간상에 골고루 분포되면서도 거리에 따라 그 분포가 점진적으로 변화하도록 배치해야 한다. Accordingly, the focal grid setting unit 72 arranges the focal points at interval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maximum interval of the focal points determined by the beam pattern analyzer 71. [ Since the reflection coefficient sampled at the focal point must be interpolated and the image must be output, the distribution must be arranged so that the distribution gradually varies according to the distance while being evenly distributed in the space.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분포된 포컬 포인트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5의 (a)는 종래의 포워드 매핑방식을, 도 5의 (b)는 종래의 백워드 매핑방식을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c)는 본 발명에 따라 배치된 포컬 포인트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focal points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shows a conventional forward mapping method, FIG. 5B shows a conventional backward mapping method, and FIG. 5C shows a conventional backward mapping method for describing a focal point arran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컬 그리드 설정부(72)는, 빔패턴이 조밀한 영역에서는 균등하게 포컬 포인트를 배치하고, 빔패턴이 성긴 영역에서는 스캔라인에 따라 포컬 포인트를 배치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ocal grid setting section 7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arranging focal points evenly in a region where the beam pattern is dense and arranging a focal point in accordance with the scan line in a region where the beam pattern is sparse Is applied.

포커싱 딜레이 테이블 생성부(73)는 포컬 포인트가 배치되면, 각 프로브의 어레이 엘리먼트의 위치와 포컬 포인트 위치에 따른 포커싱 딜레이를 다음과 같이 계산하고, 이를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한다.When the focal points are arranged, the focusing delay table generating unit 73 calculates the focusing delay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array elements of the probes and the focal point positions as follows and stores them in a table format.

도 6은 도 5의 포커싱 딜레이 테이블 생성부가 생성하는 포커싱 딜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ocusing delay generated by the focusing delay table generating unit of FIG. 5;

도 6에서,

Figure pat00001
는 포컬 포인트의 좌표이고,
Figure pat00002
는 어떤 엘리먼트의 좌표, 원점은 스캔라인과 프로브 표면의 교점이다.6,
Figure pat00001
Is the coordinates of the focal point,
Figure pat00002
Is the coordinate of an element, and the origin is the intersection of the scan line and the probe surface.

이때,

Figure pat00003
이고,
Figure pat00004
이다. 송신신호의 경우, 초음파가 원점을 통과하는 시간을 0초라 하면,
Figure pat00005
점에 위치한 엘리먼트의 송신시간은
Figure pat00006
로 주어진다. 또한, 수신신호의 경우도 거의 마찬가지로, 초음파가 원점에 도달하는 시간을 기준으로 할 때,
Figure pat00007
점에 위치한 엘리먼트의 신호의 시간지연은
Figure pat00008
이다. 이때, c는 초음파의 음속으로, 관습적으로 인체 내 연부조직(soft tissue)의 평균음속은 1540m/s라고 가정한다.At this time,
Figure pat00003
ego,
Figure pat00004
to be. In the case of a transmission signal, when the time for the ultrasonic wave to pass through the origin is 0 second,
Figure pat00005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element at the point is
Figure pat00006
. In the case of the received signal, similarly, when the time when the ultrasonic waves reach the origin is taken as a reference,
Figure pat00007
The time delay of the signal of the element at the point is
Figure pat00008
to be. In this case, c is the sound velocity of the ultrasonic wave, and it is customarily assumed that the average sonic velocity of the soft tissues in the human body is 1540 m / s.

즉, 포커싱 딜레이 테이블 생성부(73)는, 이 시간지연을 저장하고, 실시간 동작시 해당 시간지연을 빔포밍시 적용한다.That is, the focusing delay table generating unit 73 stores the time delay and applies the corresponding time delay during beamforming in real time operation.

도 2의 제2빔포밍부(40)는,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대역폭 샘플링된 초음파빔에 대하여, 설정된 포컬 포인트를 적용하여 2차 빔포밍을 수행한다. 즉, 배치된 포컬 포인트에 스캔라인이 위치하도록(도 5의 (c) 참조) 빔의 방향을 결정하여 빔포밍을 수행하며, 또한, 프로브 엘리먼트의 포커싱 지연을 적용(지연합 방식)하여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beamforming unit 40 of FIG. 2 performs a secondary beamforming by applying a set focal point to a bandwidth-sampled ultrasonic beam transmitted in real time. In other words, the beam forming is performed by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beam so that the scan line is located at the arranged focal point (see FIG. 5C), and the focusing delay of the probe element is applied Can be performed.

픽셀 포인트 설정부(80)는 영상품질의 저하를 막기 위해, 픽셀 포인트를 미리 설정하는 것으로서, 보간부(50)는 이러한 픽셀 포인트의 위치를 참조로 초음파빔에 대한 RF 보간을 수행하여, RF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출력되는 주파수는 1 내지 10MHz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interpolation unit 50 performs RF interpolation on the ultrasonic beam with reference to the position of the pixel point, and outputs the RF data . At this time, the output frequency is preferably 1 to 10 MHz.

엔벨롭 검출부(60)는 출력된 RF 데이터의 엔벨롭을 검출하여, 최종 픽셀값을 출력한다.The envelope detector 60 detects the envelope of the output RF data and outputs the final pixel value.

위 설명에서는, 2차원 영상처리 방식을 수행하였으나, 3차원 영상처리 방식 역시 이와 다르지 않을 것이다. 즉, 픽셀 포인트 설정부(80)의 픽셀 포인트 대신, 복셀(voxel) 포인트를 사용하는 등, 공지의 기술로부터 2차원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wo-dimensional image processing method is performed, but the three-dimensional image processing method will not be different. That is, a two-dimensional image can be converted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from a known technique such as using a voxel point instead of the pixel point of the pixel point setting unit 80.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방식에 비해 연산량을 줄일 수 있다. 빔포밍에 요구되는 연산량만을 보면, 도 5의 (a)의 포워드 매핑방식 대비 10배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구현할 수 있고, 도 5(b)의 백워드 매핑방식 대비 2배의 프레임 레이트를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computation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5 (a), a frame rate of 10 times as much as that of the forward mapping method of FIG. 5 (a) can be realized by only the amount of computation required for beamforming, Can be implemented.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40: 빔포밍부 20: 직교복조부
30: 대역폭 샘플링부 50: 보간부
60: 엔벨롭 검출부 70: 포컬 포인트 설정부
80: 픽셀 포인트 설정부 71: 빔패턴 분석부
72: 포컬 그리드 설정부 73: 포커싱 딜레이 테이블 생성부
10, 40: beam forming section 20:
30: Bandwidth sampling unit 50: Interpolation unit
60: Envelope detection unit 70: Focal point setting unit
80: Pixel point setting unit 71: Beam pattern analyzing unit
72: focal grid setting unit 73: focusing delay table generating unit

Claims (9)

복수의 엘리먼트로 구성되는 2차원 어레이 프로브로부터 수신되는 초음파 영상을 처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어레이 프로브로부터의 공간상의 초음파빔의 패턴을 분석하여, 포컬 포인트의 최대간격을 결정하는 분석부;
상기 포컬 포인트의 최대간격과 같거나 작은 간격으로 포컬 포인트를 배치하되, 공간상에서 거리에 따라 그 분포가 점진적으로 변화하도록 배치하는 설정부; 및
상기 2차원 어레이 프로브의 엘리먼트의 위치와 배치된 포컬 포인트의 위치에 따른 포커싱 지연을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1. A system for processing ultrasound images received from a two-dimensional array probe comprising a plurality of elements,
An analyzer for analyzing a pattern of an ultrasonic beam on a space from the two-dimensional array probe to determine a maximum interval of the focal points;
A setting unit for arranging the focal points at interval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maximum interval of the focal points so that the distribution gradually changes according to the distance in the space; And
And a generator for generating a focusing dela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element of the two-dimensional array probe and the position of the focal point dis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공간상의 초음파빔으로부터 공간주파수 성분을 분석하고, 공간에서의 나이키스트(Nyquist) 샘플링 주파수를 결정하고, 그로부터 공간상 포컬 포인트 최대간격을 결정하는 시스템.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alyzing unit analyzes a spatial frequency component from a spatial ultrasonic beam, determines a Nyquist sampling frequency in space, and determines a spatial maximum focal point spacing therefro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빔패턴이 조밀한 영역에서는 균등하게 포컬 포인트를 배치하고, 빔패턴이 성긴 영역에서는 스캔라인에 따라 포컬 포인트를 배치하는 시스템.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tting unit disposes the focal points evenly in the area where the beam pattern is dense, and arranges the focal point in accordance with the scan line in the area where the beam pattern is spar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어레이 프로브의 복수의 엘리먼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 수의 신호로 결합한 서브어퍼처 빔포밍을 수행하는 제1빔포밍부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beamforming portion that receives signals from a plurality of elements of the two-dimensional array probe and performs sub-aperture beamforming combined with a predetermined number of signal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빔포밍부로부터 출력되는 빔패턴에 대하여, 포컬 포인트를 적용하여 빔포밍을 수행하는 제2빔포밍부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second beamforming unit for applying beamforming to the beam pattern output from the first beamforming unit by applying a focal poi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빔포밍부는, 배치된 포컬 포인트에 스캔라인이 위치하도록 빔포밍을 수행하는 시스템.
6. The system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beamforming portion performs beamforming such that a scan line is located at an arranged focal poi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빔포밍부는, 포커싱 지연을 적용하여 빔포밍을 수행하는 시스템.
6. The system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beamformer performs beamforming by applying a focusing dela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빔포밍부로부터 출력되는 빔을 복소수로 변환하는 복조부; 및
상기 복조부의 출력에 대해 대역폭 샘플링을 수행하는 샘플링부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A demodulator for converting a beam output from the first beamformer into a complex number; And
And a sampling unit for performing bandwidth sampling on the output of the demodulation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빔포밍부의 출력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픽셀/복셀 포인트의 위치를 참조로 보간을 수행하는 보간부; 및
상기 보간부의 출력의 엔벨롭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An interpolator for performing interpolation with reference to a position of a pixel / voxel point preset for the output of the second beamforming unit; And
And a detector for detecting the envelope of the output of the interpolator.
KR1020120081470A 2012-07-25 2012-07-25 Ultrasonic imaging system KR1019412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470A KR101941290B1 (en) 2012-07-25 2012-07-25 Ultrasonic imag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470A KR101941290B1 (en) 2012-07-25 2012-07-25 Ultrasonic imag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627A true KR20140013627A (en) 2014-02-05
KR101941290B1 KR101941290B1 (en) 2019-01-22

Family

ID=5026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470A KR101941290B1 (en) 2012-07-25 2012-07-25 Ultrasonic imag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29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4826A (en) * 1995-10-30 1997-07-15 Hitachi Medical Corp Ultrasonic signal processor
JP2000333947A (en) * 1999-05-25 2000-12-05 Aloka Co Ltd Ultrasonograph
JP2002257803A (en) * 2001-02-28 2002-09-11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ing ultrasonic wave
KR100752334B1 (en) * 2001-04-13 2007-08-29 주식회사 메디슨 2 dimensional curved array transducer for use in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KR20090121739A (en) * 2008-05-23 2009-11-26 주식회사 메디슨 Ultrasound system and signal filtering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4826A (en) * 1995-10-30 1997-07-15 Hitachi Medical Corp Ultrasonic signal processor
JP2000333947A (en) * 1999-05-25 2000-12-05 Aloka Co Ltd Ultrasonograph
JP2002257803A (en) * 2001-02-28 2002-09-11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ing ultrasonic wave
KR100752334B1 (en) * 2001-04-13 2007-08-29 주식회사 메디슨 2 dimensional curved array transducer for use in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KR20090121739A (en) * 2008-05-23 2009-11-26 주식회사 메디슨 Ultrasound system and signal filte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290B1 (en) 201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219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filtering ultrasound image clutter
US6373970B1 (en) Image registration using fourier phase matching
US9198636B2 (en) Continuous transmit focu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ltrasound imaging system
JP4757307B2 (en) Ultrasonic image processing device
US95389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ultrasound imaging
JP48100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ash suppression in two-dimensional ultrasound imaging
US2013025880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ducing compounded ultrasound images
CN107789008B (en) Self-adaptive ultrasonic beam synthesis method and system based on channel data
US11737733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rmination of position in ultrasound imaging
JP2006122683A (en) Aperture shading estimation technique for reducing ultrasonic multi-line image distortion
KR20140012043A (en) An imaging device with image acquisition rate optimization
KR20070009201A (en) Ultra sound system for constituting image with use of additional information
EP2944266A1 (en) Ultrasonic imaging device
US6423004B1 (en) Real-time ultrasound spatial compounding using multiple angles of view
CN107661120A (en) Picture is moved into using multiple parallel reception wave beams
US8394027B2 (en) Multi-plane/multi-slice processing for 2-D flow imaging in medical diagnostic ultrasound
Hoeks et al. Methods to evaluate the sample volume of pulsed Doppler systems
US10993701B2 (en) Ultrasonic imaging device
JP4874497B2 (en) Wide beam imaging
US6740034B2 (en) Three-dimensional ultrasound imaging system for performing receive-focusing at voxels corresponding to display pixels
JP2000149015A (en) Method for edge enhancement of image and imaging device
US201102456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ltrasound signal acquisition and processing
WO201809986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iltering ultrasound image clutter
US20180284249A1 (en) Ultrasound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representing rf signals therein
KR101941290B1 (en) Ultrasonic imag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