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881A - 제어권 이동을 통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제어권 이동을 통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881A
KR20140011881A KR1020120079587A KR20120079587A KR20140011881A KR 20140011881 A KR20140011881 A KR 20140011881A KR 1020120079587 A KR1020120079587 A KR 1020120079587A KR 20120079587 A KR20120079587 A KR 20120079587A KR 20140011881 A KR20140011881 A KR 20140011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rol
user
command
control r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트랜스지보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랜스지보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트랜스지보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9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1881A/ko
Publication of KR20140011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8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30Distributed recognition, e.g. in client-server systems, for mobile phones or network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권 이동을 통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단말기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말기시스템; 및 사용자별로 복수의 단말기시스템이 등록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단말기시스템 중 오직 하나의 단말기시스템만이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어 상기 단말기시스템이 구비된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시스템이 상기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인 제어권을 관리하는 제1서버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어권 이동을 통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Remote control system through transfer of control righ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격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정해진 사람이 자신의 음성 또는 텍스트 입력 등을 이용하여 복수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전제품 등의 원격제어를 위해서 일반적으로 리모컨이 이용된다.
리모컨에는 정해진 기능이 버튼 형식으로 되어 있어서 그 버튼이 눌러지면, 그 버튼에 할당된 기능이 수행된다.
그러나, 리모컨에 구비할 수 있는 버튼의 수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되는 장치가 그 버튼 수를 넘어가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전 기능을 리모컨을 통하여 제어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하나의 리모콘으로 복수의 전자제품을 제어하도록 고안된 경우에는 하나의 리모컨에 구비할 수 있는 버튼의 수의 한계 때문에 더 더욱 리모컨을 통하여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의 종류는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특허공개공보 제2006-125735호와 같이 리모컨의 버튼을 터치스크린에 출력하고 터치에 의해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면, 버튼을 스크린 상에 출력만 하면 되므로 제어하는 장치에 따라 필요한 버튼을 생성하여 배치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리모컨으로 다양한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한 화면에 나타낼 수 있는 버튼의 수의 한계 때문에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방식 외에 다른 방식으로는 특허공개공보 제2007-89411호와 같이 사람이 말을 하면 직접 그 말을 인식하여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음성인식 및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의 리모컨을 이용해서 구현하는 기능보다 더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음성으로 제어를 하는 경우, 여러 대의 장치가 한 곳에 있는 경우 특정 장치를 정하여 그 장치만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TV와 라디오가 같은 장소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볼륨 업'이라고 했을 때 어느 하나의 장치만 음량이 커지는 것이 아니라 두 장치 모두 음량이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6-125735호(2006.12.6 공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범용 원격제어장치) 요약, 도 1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7-89411호(2007.8.31 공개) (인공지능 대화형 네비게이션 시스템) 요약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장치 중 사용자가 지정한 장치만이 사용자의 음성 등에 의해 제어가 될 수 있는 원격제어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단말기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말기시스템; 및 사용자별로 복수의 단말기시스템이 등록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단말기시스템 중 오직 하나의 단말기시스템만이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어 상기 단말기시스템이 구비된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시스템이 상기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인 제어권을 관리하는 제1서버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시스템은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는 음성인식부; 상기 제1서버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추출된 텍스트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 및 상기 단말기시스템에 상기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권이 주어졌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권이 주어진 경우에만 상기 단말기제어부에 의한 단말기 제어가 가능하도록 상기 단말기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활성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서버시스템은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명령해석부; 및 사용자별로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시스템 중 오직 하나의 단말기시스템에만 상기 단말기시스템에 구비된 단말기에 대한 제어권이 주어지도록 상기 제어권을 관리하는 제어권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시스템은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는 음성인식부;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명령해석부;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 및 상기 단말기시스템에 상기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권이 주어졌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권이 주어진 경우에만 상기 단말기제어부에 의한 단말기 제어가 가능하도록 상기 단말기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활성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서버시스템은 사용자별로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시스템 중 오직 하나의 단말기시스템에만 상기 단말기시스템에 구비된 단말기에 대한 제어권이 주어지도록 상기 제어권을 관리하는 제어권이동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시스템은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는 음성인식부;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소정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제1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1명령해석부; 상기 제1제어명령 또는 제2제어명령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 및 상기 단말기시스템에 상기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권이 주어졌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권이 주어진 경우에만 상기 단말기제어부에 의한 단말기 제어가 가능하도록 상기 단말기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활성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서버시스템은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명령해석부에 의해 해석되지 않은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제2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2명령해석부; 및 사용자별로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시스템 중 오직 하나의 단말기시스템에만 상기 단말기시스템에 구비된 단말기에 대한 제어권이 주어지도록 상기 제어권을 관리하는 제어권이동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시스템은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지 확인하기 위한 보안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활성화부는 상기 보안인증부에 의해 상기 명령을 내린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밀기제어부에 의한 단말기 제어를 금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제2서버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권이동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시스템 중 제어권이 주어지는 단말기시스템에 상기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시스템은 상기 수신한 상기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1서버시스템 및 상기 제2서버시스템에 전송하고, 상기 제1서버시스템으로부터 제1보안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서버시스템으로부터 제2보안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보안식별정보와 상기 제2보안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보안 인증이 된 것으로 판단하는 보안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활성화부는 상기 보안인증부에 의해 보안 인증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밀기제어부에 의한 단말기 제어를 금지시키고, 상기 제1서버시스템은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별로 제1보안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대응되는 제1보안식별정보를 검색하여 전송하는 제1보안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서버시스템은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별로 제2보안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대응되는 제2보안식별정보를 검색하여 전송하는 제2보안인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보안인증부와 상기 제2보안인증부는 동일한 암호화알고리즘에 의해서 상기 제1보안식별정보와 상기 제2보안식별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보안인증부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보안인증부와 상기 제2보안인증부는 상기 단말기시스템에서 전송된 상기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각각 다른 형태의 오류메시지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안인증부는 상기 제어권이 주어지는 경우 상기 제어권이동부로부터 상기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권이 다른 단말기시스템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말기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화면 및 아바타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명령에는 상기 아바타의 동작을 출력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단말기시스템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휴대용무선통신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단말기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말기시스템; 및 사용자별로 복수의 단말기시스템이 등록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단말기시스템 중 오직 하나의 단말기시스템만이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어 상기 단말기시스템이 구비된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시스템이 상기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인 제어권을 관리하는 제1서버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어권을 부여받는 단계;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권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권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방법은 보안 인증을 거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보안 인증이 된 경우에만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권을 부여받는 단계는 상기 제1서버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인증을 거치는 단계는 보안 인증을 위하여 상기 제1서버시스템 및 제2서버시스템에 상기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1보안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서버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2보안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보안식별정보와 상기 제2보안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보안 인증이 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단말기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말기시스템; 및 사용자별로 복수의 단말기시스템이 등록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단말기시스템 중 오직 하나의 단말기시스템만이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어 상기 단말기시스템이 구비된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시스템이 상기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인 제어권을 관리하는 제1서버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시스템 중 현재 제어권이 주어진 제1단말기시스템으로부터 제2단말기시스템으로 상기 제어권을 이동할 것으로 요청받는 단계; 상기 제2단말기시스템의 이용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단말기시스템의 이용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권을 상기 제2단말기시스템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권을 상기 제2단말기시스템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단말기시스템에 상기 제2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시스템에서 상기 제1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가 삭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2단말기시스템으로부터 보안인증을 위하여 상기 제2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단말기시스템으로 상기 제2단말기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1보안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단말기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말기시스템; 및 사용자별로 복수의 단말기시스템이 등록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단말기시스템 중 오직 하나의 단말기시스템만이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어 상기 단말기시스템이 구비된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시스템이 상기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인 제어권을 관리하는 제1서버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시스템 중 현재 제어권이 주어지지 않은 제1단말기시스템으로부터 제어권 이동을 위한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권 이동을 위한 식별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현재 제어권이 주어진 제2단말기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1단말기시스템으로 상기 제어권이 이동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기들을 정해진 사용자만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음성으로 단말기를 제어하는 경우 단말기들이 이웃해 있는 경우에도 원하는 단말기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아바타가 사용자가 제어하는 단말기에만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아바타가 단말기를 이동해가면서 사용자와 대화를 나누고 단말기 제어를 하여 주는 것과 같은 느낌이 들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각 시스템별로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선도
도 4 내지 도 7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아바타가 출력되고 단말기가 제어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아바타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제어권이 이동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서버로부터 보안식별정보를 받아서 보안인증을 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현재 제어권이 부여된 단말기에 접근하여 단말기 이동명령을 내릴 수 없는 경우에 제어권을 이동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300)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제품(100-1, 100-2, 100-3…)을 음성으로 제어한다.
각 제품(100-1, 100-2, 100-3…)에 설치된 시스템은 서버(200)와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해석하고, 사용자 명령에 대한 대응 동작에 대한 정보를 받아서 각 제품을 제어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제품을 지정하여 제어하게 되며, 지정되지 않은 제품들은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더라도 그에 반응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TV(100-1)를 지정하고, "전원 온" 이라는 명령어를 내린 경우, 이 명령어는 핸드폰(100-2)이나 자동차(100-3)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명령어이지만 지정을 받지 않은 제품(100-2, 100-3)은 이 명령어에 반응하여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TV(100-1)를 지정하여 명령을 내리다가, 핸드폰(100-2)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TV(100-1)에 제어권을 핸드폰으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내리고, 이에 따라 TV(100-1)는 서버(200)를 통하여 제어권을 핸드폰(100-2)에 넘기게 된다.
이렇게 제어권이 이동하게 되면, TV(100-1)는 더 이상 사용자의 명령어에 반응하지 않으며, 이후 사용자가 내린 명령은 핸드폰(100-2)에서만 반응하게 된다.
한편, 각각의 제품(100-1, 100-2, 100-3…)에 설치된 시스템은 단순히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그 음성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만 수행할 수도 있지만, 화면상에 아바타를 출력하여 사용자와 대화를 하는 기능을 더 부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어권의 이동을 아바타의 이동으로 표현하여 전달할 수 있고, 제어권이 이동된 단말기에 아바타가 출력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제로 아바타가 각 제품을 이동하면서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고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이게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제어 명령은 직접 사람의 음성으로 전달이 가능하지만, 별도의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등 단거리 무선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제품에 설치된 시스템이 직접 사람의 음성을 수신하여 인식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주위의 잡음 등의 영향으로 음성인식률이 떨어질 수 있는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별도의 무선통신장치에 말을 하도록 하면 주위의 잡음 등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음성으로뿐만 아니라 텍스트 입력으로도 각 제품의 제어가 가능하다.
텍스트 입력은 사용자가 별도로 소지하고 있는 무선통신장치를 통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직접 제품에 설치된 키패드 등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가장 기본적으로 명령수신수단(11), 명령해석수단(12), 단말기제어수단(13) 및 제어활성화수단(14)을 포함한다.
명령수신수단(11)은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수단이다. 이 수단은 제품(이하 '단말기'와 혼용하여 사용)에 구비되어 직접 사용자로부터 음성, 텍스트 등의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별도로 소지하는 휴대용무선통신시스템 및 제품에 구현되어 사용자가 휴대용무선통신시스템에 대고 말을 하거나 텍스트를 입력하면 그 신호를 제품에 구현된 통신수단이 받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음성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내리는 경우 명령수신수단(11)은 음성인식기능을 구비하며,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한다.
명령해석수단(12)은 명령수신수단(11)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 텍스트 등의 명령을 해석하고, 이에 대응되는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명령을 출력한다.
명령해석수단(12)에서 해석하는 내용은 사용자의 음성 등으로부터 추출한 텍스트가 아바타를 호출하는 것인지, 제품의 기능 실행을 지시하는 것인지, 기타 제품의 기능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더라도 명령해석수단(12)에 무언가를 질문하는 것인지 등을 해석하고, 그에 대응되는 아바타 출력 및 답변 출력, 기능 제어 등을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따라서, 명령해석수단(12)에서 출력되는 제어명령은 본 발명의 시스템이 설치된 단순히 제품(단말기)의 동작을 지시하는 명령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내린 질문에 대하여 아바타 등을 이용하여 답변을 하는 동작, 기타 사용자의 명령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출력 등을 위한 명령일 수도 있다.
명령해석수단(12)은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제품에 구비될 수도 있고, 서버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제품과 서버에 분산되어 구비되어 일부의 명령은 제품에 구비된 시스템에서, 나머지는 서버에 구비된 시스템에서 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자연어를 인식하여 그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거나 답변을 하는 방법은 크게 1) 몇 개의 단어 및 그 단어에 대응되는 동작 등을 등록하여 두고, 그 단어가 포함된 문장이 입력되는 경우 대응되는 동작 등이 수행되도록 하는 방법, 2) 문장이 입력되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인공지능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을 하고, 그 분석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 등에 계속 축적시켜서 분석능력을 향상시켜가면서 입력된 문장에 대응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 3) 문장이 입력되면 역시 인공지능 시스템을 이용하여 검색 등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문장에 대한 대응 동작, 답안 등이 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다.
2), 3)의 방법을 이용하는 기능까지 제품에 구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품에 제품 자체의 목적에 따라 요구되는 성능 - 예를 들어 TV의 경우에는 방송화면 수신 및 출력 - 외에 본 발명을 위하여 부가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너무 높은 성능이 요구되고 결과적으로 생산원가가 높아지게 되므로, 2), 3)의 방법을 이용하는 기능을 제품 자체에 구현하는 것은 제품의 가격과 관련하여 효율적인 방법이 아닐 수 있으므로, 적어도 2), 3)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은 서버쪽에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단말기제어수단(13)은 명령해석수단(12)에 의해 발생된 제어명령에 따라 단말기(제품)를 제어한다.
단말기제어수단(13)에 의해 제어되는 기능은 제품 자체의 목적을 위한 기능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해 부가되는 기능, 즉, 아바타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한 말에 대한 답변을 하고, 단말기의 제어권을 이동시키는 등 사용되는 단말기의 제어 기능 외에 본 발명의 시스템 고유의 기능을 위해서 사용되는 기능도 포함한다.
제어활성화수단(14)은 각 단말기(제품)의 기능 제어를 활성화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기능 제어를 활성화한다는 말은 사용자가 제품(단말기) 고유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음성 등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명령을 내린 경우 그 명령에 따라 그 단말기의 기능이 제어되도록 한다는 말이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가 있는 경우 등록된 사용자는 그 중 하나의 단말기만 제어를 할 수 있으며, 다른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현재 제어하고 있는 단말기의 제어 기능을 비활성화시킨 후, 새로운 단말기를 제어하여야 한다.
현재 제어하고 있는 단말기의 제어 기능을 비활성화할 때에는, 먼저 새로운 단말기로 제어권을 이동시킬 수 있는지 확인한 후, 새로운 단말기로 제어권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그 새로운 단말기로 제어권을 이동시켜서 새로운 단말기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어되도록 함과 동시에 현재 제어되고 있는 단말기의 제어기능은 비활성화하여 대기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각 단말기에 설치되는 제어활성화수단(14)은 자신이 설치된 단말기에 제어권이 허용이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제어권이 있는 경우에 단말기제어수단(13)을 통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허용한다.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시스템별로 분리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각 시스템별로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용무선통신시스템(300), TV 등 각 제품(이하 '단말기'와 혼용하여 사용)에 설치되는 단말기시스템(100), 전체적인 단말기들을 관리하고 자연어인식 등 복잡한 연산을 수행하는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 및 각 제품의 제조사서버시스템(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각각의 시스템들이 언제나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며 실시형태에 따라 사용이 될 수도 있고, 사용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먼저, TV, 휴대폰, 자동차 등 각종 제품에 설치되는 단말기시스템(100)에 대해 알아본다.
단말기시스템(100)은 음성인식부(110), 명령송수신부(120), 명령해석부(130), 단말기제어부(140), 제어활성화부(150), 보안인증부(160), 텍스트입력부(170) 및 출력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음성인식부(11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다.
음성을 인식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말한 소리를 직접 수신하여 인식을 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휴대용무선통신시스템(300)을 통하여 말을 하고, 그 소리를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전송받아 음성을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음성인식부(110)는 설정된 바에 따라, 직접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용무선통신시스템(300)으로부터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양자가 모두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명령송수신부(120)는 음성인식부(110)를 통하여 인식하여 텍스트화되어 추출된 사용자의 명령어를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단말기시스템(10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명령송수신부(120)는 이러한 통신망을 통하여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과 통신한다.
명령해석부(130)를 설명할 때, 다시 설명하겠지만, 단말기시스템(100) 내에 명령해석부(130)가 구비되어 기본적인 명령의 해석을 담당하도록 시스템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이 그 기본적인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에 명령송수신부(120)는 별도로 음성인식부(110)를 통하여 인식된 사용자의 명령어를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에 전송하지 않고,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이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에서 해석되어야 하는 명령인 것으로 명령해석부(130)에서 판단된 경우에만 사용자의 명령을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에 전송한다.
명령해석부(130)는 음성인식부(110)를 통하여 인식된 사용자의 명령어의 의미를 해석하고, 그 명령어에 대응되는 제어코드를 생성한다.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그에 대응되는 동작을 지시하는 기능은 단말기시스템(100)에만 포함시킬 수도 있고,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에서만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일부 명령어에 대한 해석 등은 단말기시스템(100)에서 수행되고, 다른 일부 명령어에 대한 해석 등은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에서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TV 등의 단말기에 설치되는 단말기시스템(100)에 복잡한 연산수단 및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간단한 정해진 명령어 등만 단말기시스템(100)에서 해석되도록 하거나, 모든 명령어를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에서 해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는 기능을 단말기시스템(100) 및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에 모두 두는 경우, 단말기시스템(100)의 명령해석부(130)는 1차적으로 '전원 온', '볼륨 업' 등과 같이 단말기의 제어를 하기 위해 등록된 단어 또는 문장들이 입력되는지 여부 정도를 확인하여, 그러한 단어들이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그에 대응되는 제어명령 등을 생성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검색이나 자체 데이터베이스 등을 이용하여 해석을 하여야 하는 문장 등은 2차적으로 명령송수신부(120)를 통하여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에 전송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단말기제어부(140)는 명령송수신부(120)를 통하여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된 제어명령 혹은 명령해석부(130)를 통하여 생성된 제어명령을 이용하여 단말기시스템(100)이 설치된 단말기의 동작 등을 제어한다.
제어가 가능한 기능은 원격으로 혹은 단말기에 설치된 버튼 등을 누름으로써 제어가 가능한 모든 기능이 포함되며, 그 기능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제어활성화부(150)는 단말기제어부(140)의 활성화여부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말하더라도 제어활성화부(150)에 의해 단말기제어부(140)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아무 기능도 수행하지 않게 되며, 제어활성화부(150)에 의해 단말기제어부(140)가 활성화된 경우에만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게 된다.
제어활성화부(150)는 후술하는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의 제어권이동부(230)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아 단말기제어부(140)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거나, 보안인증부(160)의 보안인증을 거친 후 단말기제어부(140)를 활성화하게 된다. 즉, 제어활성화부(150)는 기본적으로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의 제어권이동부(230)로부터 제어권을 부여받지 못한 경우에는 단말기제어부(140)를 비활성화시키며, 제어권을 부여받은 경우에도 보안인증을 통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기제어부(140)를 비활성화시킨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명의 사용자는 한 번에 오직 하나의 단말기에 설치된 단말기시스템(100)의 제어권만을 획득하게 되며, 이 제어권이 획득된 단말기시스템(100)의 단말기제어부(140)만이 활성화되며, 나머지 단말기에 설치된 단말기제어부(140)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대기를 하게 된다.
대기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수신하는 등의 기능은 수행될 수 있지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단말기시스템(100)이 설치된 단말기가 제어되지는 않는다.
보안인증부(160)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제어하기 전에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가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보안을 위한 인증 작업을 수행한다.
보안 인증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하나는 등록된 사용자만이 단말기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불법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접근하여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등록된 사용자인지 확인하는 인증방법 중의 하나는 사용자가 등록한 특정 단어를 음성 등으로 입력하도록 하여 등록된 단어를 말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사용자의 음성 톤을 분석하여 등록된 음성톤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는 방법으로는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하는 방법이 있다.
불법 사용을 방지한다는 말은 정상적으로 제어권이 이동된 단말기 외의 단말기에 타인이 해킹으로 접속하여 그 단말기를 제어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말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권은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에만 부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과 가까이 있는 단말기 혹은 자신이 사용하는 단말기에 제어권을 이동시켜 놓을 확률이 높다.
이렇게 사용자와 가까이 있거나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는 다른 사람이 몰래 와서 그 단말기를 제어하는 것이 쉽지 않으나, 사용자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단말기의 경우 다른 사람이 단말기에 접속하여 간단한 해킹으로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특히, 단말기의 종류가 자동차 등 이동성이 있는 고가의 제품인 경우 타인이 사용자가 없는 틈을 타서 자동차 등을 제어할 수 있게 되면 도난의 위험이 크므로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등록되어 있는 단말기 중 오직 하나의 단말기에만 제어권이 인정되도록 하고, 제어권이 인정된 단말기에만 보안 인증을 할 수 있는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고, 제어권이 없는 단말기에는 다른 사용자가 해킹 등으로 접속을 하더라도 보안 인증을 하기 위한 정보가 없어서 보안 인증 과정을 통과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권이 이동되면, 제어권을 받게 되는 보안인증부(160)는 단말기시스템(100)이 설치된 단말기의 모델명 및 단말기시스템 고유코드 등 단말기시스템(100)의 식별정보를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의 제어권이동부(23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반대로 제어권을 잃게 되는 단말기스템의 보안인증부는 저장하고 있던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삭제한다. 이 과정은 제어권이동부(230)의 지시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잇고, 보안인증부(160)가 자동으로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삭제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안 인증 과정에서 제어권이동부(230)로부터 수신한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 및 제조사서버시스템(400)에 전송하고, 각각의 시스템(200, 400)으로부터 보안코드 등의 보안용 식별정보를 수신한 후,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한 보안용 식별정보(제1보안식별정보)와 제조사서버시스템(400)으로부터 수신한 보안용 식별정보(제2보안식별정보)를 비교하여 두 보안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사용자가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제1보안식별정보와 제2보안식별정보는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 및 제조사서버시스템(400)에서 암호화처리되어 전송된다.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 및 제조사서버시스템(400)는 단말기시스템 식별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단말기시스템 식별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식별정보인 경우에는 그에 대응되는 보안식별정보를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여 단말기시스템(100)에 전송한다.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 및 제조사서버시스템(400)에서 보안식별정보를 암호화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암호화알고리즘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실제 전송되어 온 보안식별정보의 내용을 알지 못하더라도 암호화된 코드를 비교해보고, 제1보안식별정보의 암호화된 코드와 제2보안식별정보의 암호화된 코드가 일치한다면 전송되어 온 제1보안식별정보와 제2보안식별정보가 일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여 인증을 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에서 수신된 단말기시스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1보안식별정보를 찾지 못한 경우, 즉 보안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 전송하는 오류메시지와, 제조사서버시스템(400)에서 수신된 단말기시스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2보안식별정보를 찾지 못하여 보안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 전송하는 오류메시지는 서로 다르거나, 혹은 다른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될 것이 요구된다.
이렇게 되면, 보안 인증에 성공할 경우에는 굳이 암호화된 보안식별정보를 복호화하지 않더라도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된 코드와 제조사서버시스템(400)으로부터 전송된 코드가 일치할 것이고, 보안 인증에 실패할 경우에는 양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온 코드가 불일치할 것이므로, 단순히 전송되어온 코드를 비교하는 것만으로도 보안인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보안인증을 수행하게 되면, 제어권이 인정되지 않은 단말기시스템(100)의 경우 단말기시스템(100) 내에 보안 인증을 위하여 필요한 단말기시스템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해킹 등을 통하여 단말기시스템(100)에 접속한다 하더라도 서버에 어떤 정보를 전송하여야 하는지 알 수가 없으므로 서버를 이용한 보안인증 과정을 뚫을 수 없게 되고, 결국 그 단말기를 제어할 수 없게 된다.
단말기시스템(100)에 보안인증부(16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활성화부(150)는 보안인증부(160)에 의해 보안 인증이 수행된 경우에만 단말기제어부(140)를 활성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음성 등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지 않고, 직접 단말기에 설치된 버튼 등을 누름으로써 직접 제어를 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보안인증 과정이 적용되지 않도록 한다. 즉, 보안인증이 되지 않는 경우에도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보안 인증을 하는 이유는 정당한 권한이 없는 다른 사람이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데, 사용자가 직접 단말기에 있는 버튼 등을 눌러서 단말기를 제어하는 경우는 원격제어와는 상관이 없고, 제품에 직접 버튼 등을 입력하여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타인의 사용을 허용하는 제품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굳이 보안 인증을 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텍스트입력부(170)는 사용자가 음성이 아닌 텍스트입력을 통하여 명령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그 텍스트 입력을 받는다.
텍스트 입력을 위한 구성요소는 단말기시스템(100) 또는 휴대용무선통신시스템(300)에 구비될 수도 있고, 두 시스템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시스템(100) 또는 휴대용무선통신시스템(300)에는 음성을 통한 명령만 수신할 수 있도록 음성인식부(110)만 구비될 수도 있고, 텍스트 입력을 통한 명령만 수신할 수 있도록 텍스트입력부(170)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 3과 같이 단말기시스템(100) 및 휴대용무선통신시스템(300)에 음성인식부(110) 및 텍스트입력부(170)이 모두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출력부(180)는 화면 또는 소리 등으로 소정 정보를 출력한다.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정보는 사용자가 명령한 내역의 확인,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 메뉴 선택의 도움말 등 제품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기타 사용자가 음성 등으로 입력한 내용에 대한 답변을 출력할 수도 있다.
특히, 출력부(180)는 아바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상의 캐릭터와 대화를 통하여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처럼 느끼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게 되면 출력부(180)는 단말기에 구비된 화면에 아바타가 출력될 수 있는 창이 출력되도록 하고, 그 창에 아바타가 등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아바타와 대화를 통하여 자신이 요구하는 바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아바타는 사용자가 한 말의 내용, 수행되는 동작 등에 따라 다양한 포즈를 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바타를 통하여 출력되는 내용, 아바타의 포즈 등 출력부(180)를 통하여 출력되는 내용은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의 명령해석부(220)나 단말기시스템(100)의 명령해석부(130)를 통하여 생성된 제어명령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아바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간단한 명령을 실행시키는 예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제어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블루투스를 통하여 컴퓨터와 통신하는 휴대용무선통신시스템(300)을 통하여 컴퓨터에 명령을 전달하고 있다.
사용자가 특정한 명령어를 전달하기 전에는 아바타를 출력하기 위한 별도의 창은 생성되지 않고 대기상태의 화면만이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아바타의 이름을 '수진'이라고 할 때, 사용자가 '수진아'라고 부르면, 도 5에서와 같이 아바타를 출력하기 위한 창이 생성되고 아바타가 출력되어 응답한다. 이 응답은 화면을 통한 출력만으로도 할 수 있고,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동시에 음성으로도 출력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메뉴를 오픈하라는 명령을 내리면 화면상의 아바타는 그에 대한 대답을 하고, 도 7에서와 같이 메뉴를 오픈하고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내린 명령이 제대로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은 명령송수신부(210), 명령해석부(220), 제어권이동부(230) 및 보안인증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명령송수신부(210)은 단말기시스템(100)의 명령송수신부(12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명령, 즉 음성인식부(110)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추출한 텍스트에 대응되는 정보 또는 텍스트입력부(170)를 통하여 입력된 텍스트에 대응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명령해석부(220)는 명령송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그 해석된 바에 따라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그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기능은 단말기시스템(100)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양 시스템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단말기시스템(100)에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기능을 구현하더라도, 데이터베이스의 이용이나 검색 등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작업은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에 구비되도록 하는 점이 더 바람직하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제어권이동부(230)는 등록되어 있는 여러 단말기 중에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이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그 단말기의 기능 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어권을 부여한다.
단말기의 제어권의 이동은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현재 제어권이 부여된 단말기의 단말기시스템(100)에 다른 단말기로 제어권 이동을 요청하는 경우 그 제어권이 이동되도록 한다.
그 외에 사용자가 현재 제어권이 부여된 단말기에 명령을 입력할 수 없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제어권이 부여되지 않은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정해진 코드 등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제어권 이동을 요청하도록 하고, 제어권이동부(230)는 이 제어권 이동을 요청받으면 제어권이 현재 제어권이 부여된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요청한 단말기로 이동되도록 한다.
단말기의 제어권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제어권이동부(230)는 제어권 이동이 요청된 새로운 단말기에 접속하여 현재 제어권 이동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이동이 가능한 상태이면 제어권을 이동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새로운 단말기가 꺼져 있어서 제어권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 등에는 다시 원 단말기로 제어권을 복귀시키고 사용자에게 제어권 이동이 불가능하다는 점이 알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어권이동부(230)에는 각 단말기에 설치된 단말기시스템(100)의 고유코드와 단말기의 모델명 등 단말기시스템(100)별 식별정보가 저장되며, 제어권을 이동시킬 때에는 기존의 제어권이 인정되던 단말기시스템(100)의 보안인증부(160)에는 단말기시스템 식별정보를 삭제하도록 하고, 새로 제어권이 이동되는 단말기시스템(100)에 그 단말기시스템의 고유코드 및 단말기의 모델명 등 단말기 시스템 식별정보를 전송한다.
아바타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대화하는 형식을 취하는 경우, 제어권의 이동은 아바타의 이동과 같이 보일 수 있다.
즉, A 단말기에서 아바타를 이용하여 대화를 하다가 B 단말기로 제어권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A 단말기에 아바타를 B 단말기로 이동하라고 명령하게 되고, 명령을 받은 아바타는 A 단말기에서 사라지고 B 단말기에 출력되게 되어 마치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아바타가 이동한 것처럼 보일 수 있게 된다.
아바타를 이동시키는 동작예를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컴퓨터에 명령을 전달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아바타에게 스마트폰으로 이동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면 도 8에서와 같이 아바타가 사라지고, 스마트폰의 어플을 실행하라는 메시지가 출력된다.
도 8에서는 제어권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새로운 단말기에서 해당되는 어플을 실행시켜야 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제어권이 이동되면 자동으로 이동된 단말기에서 해당되는 어플, 즉 단말기시스템(100)이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직접 시스템을 시작해야만 구동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도 9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해당 어플을 실행시킴으로써 제어권 이동이 수행된다.
혹은 제어권 이동이 되면 도 10에서와 같이 수진이(아바타)가 호출되었다는 점이 화면의 상단에 출력됨으로써 제어권(아바타)의 이동을 나타낼 수도 있다.
아바타의 이동이 완료되면 도 11에서와 같이 아바타가 출력되어 사용자의 명령에 응답하게 되고, 사용자는 새로운 단말기인 스마트폰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보안인증부(240)는 단말기시스템(100)에 대한 보안 인증을 수행한다.
보안 인증은 보안인증부(160)을 설명할 때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기시스템(100)이 설치된 단말기의 모델명 및 단말기시스템 고유코드 등 단말기시스템(100)의 식별정보와 그에 대응되는 보안용 식별정보(제1보안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단말기시스템(100)의 보안인증부(160)로부터 단말기시스템(100)이 설치된 단말기의 모델명 및 단말기시스템 고유코드 등 단말기시스템(1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그에 대응되는 제1보안식별정보를 보안인증부(160)에 전송한다.
보안인증부(240)에 의해 보안 인증이 이용되는 경우는 단말기의 제어권이 이동된 후 최초로 단말기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한편, 제조사서버시스템(400)도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
제조사서버시스템(400)은 보안 인증을 위하여 이용되며, 보안인증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보안인증부(410)는 제조사가 생산한 단말기의 모델명 및 단말기시스템 고유코드 등 단말기시스템(100)의 식별정보와 그에 대응되는 보안용 식별정보(제2보안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단말기시스템(100)의 보안인증부(160)로부터 단말기시스템(100)이 설치된 단말기의 모델명 및 단말기시스템 고유코드 등 단말기시스템(1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그에 대응되는 제2보안식별정보를 보안인증부(160)에 전송한다.
보안인증부(160)는 제1보안식별정보와 제2보안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렇게 보안 인증을 함으로써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 및 제조사서버시스템(400)에 동시에 등록된 정상 제품만이 사용자의 제어가 가능해지고, 현재 제어권이 인정되지 않는 단말기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그 단말기를 제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한편,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으로부터 발생되는 제1보안식별정보와 제조사서버시스템(400)로부터 발생되는 제2보안식별정보는 동일한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하여 암호화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이 때 보안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는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 및 제조사서버시스템(400)에서 출력되는 오류 메시지는 서로 다른 정보를 가지고 있거나 서로 다른 암호화방법으로 암호화되어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무선통신시스템(300)은 음성수신부(310), 텍스트입력부(320) 및 송신부(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별한 통신장치가 없더라도 사용자가 직접 음성으로 단말기 제어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렇게 되는 경우 일상에서 발생하는 많은 소음에 일일이 시스템이 반응하게 되고, 또한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노이즈가 많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무선통신시스템(300)을 이용하여 보다 선명한 사용자의 음성이 단말기에 전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성수신부(310)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한다. 수신된 음성은 송신부(330)를 통하여 단말기시스템(100)에 전송되게 된다.
텍스트입력부(320)는 사용자가 직접 타이핑 등으로 텍스트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된다. 이렇게 입력된 텍스트는 송신부(330)를 통하여 단말기시스템(100)에 전송되게 된다.
송신부(330)는 음성수신부(310)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또는 텍스트입력부(320)를 통하여 수신된 텍스트를 단말기시스템(10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면서 본 발명을 다시 한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전제는 도 12의 방법이 수행되는 단말기시스템이 제어권이동부(230)로부터 제어권을 부여받았다는 점이 전제가 된다.
먼저, 사용자의 특별한 명령이 없는 경우에 단말기시스템(100)은 대기상태에서 사용자의 음성 또는 텍스트 입력이 되는지를 감시한다(1201). 이 상태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사용자의 명령은 음성으로 입력될 수도 있고, 텍스트로 입력될 수도 있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음성으로 사용자가 명령을 내리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가 음성을 입력하면, 음성인식부(110)는 그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를 추출하고(1203), 아바타를 호출하는 명령인지 판단, 즉 제어를 위한 명령인지를 판단하게 된다(1204). 이 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도 5에서와 같이 아바타가 나오는 창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아바타를 호출하는 명령인지 판단하는 과정은 단말기시스템(100)의 명령해석부(130)에서 음성인식부(110)에서 추출된 텍스트를 기반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명령송수신부(120)가 이 추출된 텍스트를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의 명령송수신부(210)로 전송하고, 명령해석부(220)가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아바타의 이름을 부르는 행위 등은 아바타를 호출하는 명령이라고 판단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가 본격적으로 단말기를 제어하기에 앞서 보안인증 과정(1205)을 거친 후 사용자가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보안 인증 과정은 등록된 사용자인지 확인을 위하여 정해진 단어를 발음하게 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시스템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 및 제조사서버시스템(400)으로부터 보안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비교함으로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보안 인증이 성공하면(1206) 보안이 해제되고(1207), 사용자는 비로소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보안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활성화부(150)는 단말기제어부(140)를 활성화시켜서 사용자가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12에서는 명시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한 과정은 제어활성화부(150)에 의해 제어권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음성을 명령하면, 음성인식부(110)는 이를 인식하여 이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고(1208), 명령해석부는 추출된 텍스트를 기초로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생성한다(1209).
이 때 명령을 해석하고,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과정은 단말기시스템(100)의 명령해석부(130)에서 음성인식부(110)에서 추출된 텍스트를 기반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명령송수신부(120)가 이 추출된 텍스트를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의 명령송수신부(210)로 전송하고, 명령해석부(220)가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는 점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렇게 제어명령이 생성되면, 그 제어명령에 따라 단말기가 제어되거나 아바타의 동작 등이 제어되게 된다(1210).
여기서 제어명령은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일 수도 있고, 아바타 등 출력부(180)를 통하여 출력되는 내용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일 수도 있다.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일 경우에는 단말기제어부(140)에 의해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고,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되는 내용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일 경우에는 출력부(180)에서 아바타의 동작, 화면 출력, 음성 출력 등을 위하여 사용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 제어권이 이동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안을 해제하는 단계까지의 설명은 도 12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의 명령에 대한 음성인식(1308) 및 명령해석(1309)을 한 결과, 다른 명령인 경우에는 도 12에서와 같은 과정을 거치는 처리를 하지만(1311), 사용자가 아바타의 이동, 즉 단말기 제어권의 이동을 명령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1310)에는 제어권이동부(230)는 사용자가 말한 명령에 포함되는 이동하라고 한 단말기의 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한다(1312).
이동할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전원이 꺼져 있는 등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제어권이동부(230)는 이 사실이 현재 사용자가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단말기시스템(100)의 출력부(180)에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그 사실을 알게 한다(1313).`
이동할 단말기의 접속이 가능한 경우에는 제어권이동부(230)는 이동할 단말기에 제어권을 전송한다(1314).
여기서, 제어권을 전송한다는 말은 이동할 단말기의 제어활성화부(150)를 활성화시켜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할 단말기의 출력부(180)를 통하여 아바타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며, 제어권이동부(230)가 단말기시스템(100)의 보안인증부(160)에 보안 인증을 할 수 있도록 보안에 필요한 정보인 단말기시스템 식별정보를 제공한다는 말이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도 14에서 다시 한 번 후술한다.
이 때, 제어권이동부(230)는 새로 아바타가 이동한 단말기의 출력부(180)를 통하여 사용자를 호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1315), 사용자가 이 호출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아바타가 기존 단말기로 돌아가도록 한다(1316). 즉 단말기 제어권이 기존 단말기에 남아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자동차 등과 같이 타인에게 제어권을 주는 경우 도난 사고의 위험이 있는 제품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없는 상태에서 제어권이 활성화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어권이 이동된 후 사용자가 옆에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어권을 다시 복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 때, 제어권이 이동된 후 사용자가 호출에 응답한 경우에만 제어권 이동이 유지되도록 하는 단말기를 특정하여 미리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의 제어권이동부(230)에 등록시켜서 특정 단말기만 위와 같은 과정을 거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단말기별로 제어권 이동되는 절차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단말기 제어권이 이동되면 사용자는 보안 인증(1317) 등을 수행한 후 제어권이 이동된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1318).
제어권이 이동된 후, 단말기를 제어하는 과정은 도 12에 도시된 과정과 유사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 특히 제어권이 이동된 후 서버로부터 보안식별정보를 받아서 보안인증을 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3에서 보안인증 과정(1317)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에서 이동할 새 단말기에 제어권을 전송하는 단계(1314)에서, 새로운 단말기에는 보안 인증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가 전송된다.
보안인증부(160)는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의 제어권이동부(230)로부터 보안인증에 이용될 식별정보, 예를 들어 단말기시스템(100)이 설치된 단말기의 모델명 및 단말기시스템 고유코드를 수신한다(1401).
이 단말기시스템(100)의 식별정보는 제어권을 받을 때 같이 수신하여 보안인증부(160)에서 저장하고 있다가, 제어권이 다른 단말기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삭제하게 된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단말기 제어권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기시스템(100)의 식별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게 된다.
이렇게, 제어권의 이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보안인증부(160)에는 단말기시스템(100)이 설치된 단말기의 모델명 및 단말기시스템 고유코드 등 단말기시스템(100)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제어권 획득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정보를 인공지능서버시스템(200)에 전송하여 제1보안식별정보를 요청하고(1402), 또한 상기 정보를 제조사서버시스템(400)에 전송하여 제2보안식별정보를 요청한다(1403).
제1보안식별정보와 제2보안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경우(1404), 보안인증부(160)는 사용자에게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단말기제어부(140)를 활성화하고(1405),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제어할 수 없도록 단말기제어부(140)를 제어한다(1406).
도 15는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 사용자가 현재 제어권이 부여된 단말기에 접근하여 단말기 이동명령을 내릴 수 없는 경우에 제어권을 이동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특정 단말기를 제어한 후, 일정 거리를 이동한 후 다른 단말기를 제어하고자 한 경우, 먼저 제어하던 기존의 단말기에 제어권의 이동을 명령하지 않은 경우에는 새로운 단말기의 제어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제어권 이동을 명령하기 위해 다시 기존의 단말기 있는 곳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15와 같은 방법으로 제어권의 이동이 가능하다.
먼저, 사용자는 제어를 하고자 하는 단말기에 음성 또는 텍스트 입력을 통하여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식별정보를 입력한다(1501).
이 식별정보는 단말기별로 다를 수도 있고, 모든 단말기에 공통된 식별정보일 수도 있다.
이 제어권 이동을 위한 식별정보는 제어권이동부(230)로 전송되고, 제어권이동부(230)는 입력된 식별정보가 등록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1502).
일치하는 경우에는 기존에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단말기의 제어권을 새로운 단말기로 이동시킨다(1503).
제어권을 이동시키는 과정은 도 13의 단계(1314) 이하의 과정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Claims (19)

  1. 단말기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말기시스템; 및
    사용자별로 복수의 단말기시스템이 등록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단말기시스템 중 오직 하나의 단말기시스템만이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어 상기 단말기시스템이 구비된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시스템이 상기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인 제어권을 관리하는 제1서버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시스템은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는 음성인식부;
    상기 제1서버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추출된 텍스트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 및
    상기 단말기시스템에 상기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권이 주어졌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권이 주어진 경우에만 상기 단말기제어부에 의한 단말기 제어가 가능하도록 상기 단말기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활성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서버시스템은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명령해석부; 및
    사용자별로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시스템 중 오직 하나의 단말기시스템에만 상기 단말기시스템에 구비된 단말기에 대한 제어권이 주어지도록 상기 제어권을 관리하는 제어권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시스템은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는 음성인식부;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명령해석부;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 및
    상기 단말기시스템에 상기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권이 주어졌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권이 주어진 경우에만 상기 단말기제어부에 의한 단말기 제어가 가능하도록 상기 단말기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활성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서버시스템은
    사용자별로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시스템 중 오직 하나의 단말기시스템에만 상기 단말기시스템에 구비된 단말기에 대한 제어권이 주어지도록 상기 제어권을 관리하는 제어권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시스템은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는 음성인식부;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소정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제1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1명령해석부;
    상기 제1제어명령 또는 제2제어명령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 및
    상기 단말기시스템에 상기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권이 주어졌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권이 주어진 경우에만 상기 단말기제어부에 의한 단말기 제어가 가능하도록 상기 단말기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활성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서버시스템은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명령해석부에 의해 해석되지 않은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제2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2명령해석부; 및
    사용자별로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시스템 중 오직 하나의 단말기시스템에만 상기 단말기시스템에 구비된 단말기에 대한 제어권이 주어지도록 상기 제어권을 관리하는 제어권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시스템은
    상기 사용자가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지 확인하기 위한 보안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활성화부는 상기 보안인증부에 의해 상기 명령을 내린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밀기제어부에 의한 단말기 제어를 금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제2서버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권이동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시스템 중 제어권이 주어지는 단말기시스템에 상기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시스템은
    상기 수신한 상기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1서버시스템 및 상기 제2서버시스템에 전송하고, 상기 제1서버시스템으로부터 제1보안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서버시스템으로부터 제2보안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보안식별정보와 상기 제2보안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보안 인증이 된 것으로 판단하는 보안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활성화부는 상기 보안인증부에 의해 보안 인증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밀기제어부에 의한 단말기 제어를 금지시키고,
    상기 제1서버시스템은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별로 제1보안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대응되는 제1보안식별정보를 검색하여 전송하는 제1보안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서버시스템은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별로 제2보안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대응되는 제2보안식별정보를 검색하여 전송하는 제2보안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안인증부와 상기 제2보안인증부는 동일한 암호화알고리즘에 의해서 상기 제1보안식별정보와 상기 제2보안식별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보안인증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안인증부와 상기 제2보안인증부는 상기 단말기시스템에서 전송된 상기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각각 다른 형태의 오류메시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인증부는 상기 제어권이 주어지는 경우 상기 제어권이동부로부터 상기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권이 다른 단말기시스템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화면 및 아바타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명령에는 상기 아바타의 동작을 출력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화면 및 아바타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명령 또는 상기 제2제어명령에는 상기 아바타의 동작을 출력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단말기시스템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휴대용무선통신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13. 단말기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말기시스템; 및 사용자별로 복수의 단말기시스템이 등록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단말기시스템 중 오직 하나의 단말기시스템만이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어 상기 단말기시스템이 구비된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시스템이 상기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인 제어권을 관리하는 제1서버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어권을 부여받는 단계;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고,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권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권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보안 인증을 거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보안 인증이 된 경우에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권을 부여받는 단계는
    상기 제1서버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인증을 거치는 단계는
    보안 인증을 위하여 상기 제1서버시스템 및 제2서버시스템에 상기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서버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1보안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서버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2보안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보안식별정보와 상기 제2보안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보안 인증이 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16. 단말기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말기시스템; 및 사용자별로 복수의 단말기시스템이 등록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단말기시스템 중 오직 하나의 단말기시스템만이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어 상기 단말기시스템이 구비된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시스템이 상기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인 제어권을 관리하는 제1서버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시스템 중 현재 제어권이 주어진 제1단말기시스템으로부터 제2단말기시스템으로 상기 제어권을 이동할 것으로 요청받는 단계;
    상기 제2단말기시스템의 이용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단말기시스템의 이용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권을 상기 제2단말기시스템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권을 상기 제2단말기시스템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단말기시스템에 상기 제2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시스템에서 상기 제1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가 삭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2단말기시스템으로부터 보안인증을 위하여 상기 제2단말기시스템의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단말기시스템으로 상기 제2단말기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1보안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18. 단말기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말기시스템; 및 사용자별로 복수의 단말기시스템이 등록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단말기시스템 중 오직 하나의 단말기시스템만이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어 상기 단말기시스템이 구비된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시스템이 상기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인 제어권을 관리하는 제1서버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시스템 중 현재 제어권이 주어지지 않은 제1단말기시스템으로부터 제어권 이동을 위한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권 이동을 위한 식별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현재 제어권이 주어진 제2단말기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1단말기시스템으로 상기 제어권이 이동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권 이동을 통하여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만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079587A 2012-07-20 2012-07-20 제어권 이동을 통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1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587A KR20140011881A (ko) 2012-07-20 2012-07-20 제어권 이동을 통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587A KR20140011881A (ko) 2012-07-20 2012-07-20 제어권 이동을 통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881A true KR20140011881A (ko) 2014-01-29

Family

ID=5014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587A KR20140011881A (ko) 2012-07-20 2012-07-20 제어권 이동을 통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188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534A1 (ko) * 2017-03-10 2018-09-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KR20190053366A (ko) * 2017-11-10 2019-05-20 효성아이티엑스(주) 고객 센터 채널 장치
KR20200049744A (ko) * 2017-03-10 2020-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WO2022039578A1 (ko) * 2020-08-21 2022-02-24 주식회사 아모센스 화자들의 음성을 처리하기 위한 음성 처리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534A1 (ko) * 2017-03-10 2018-09-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KR20200049744A (ko) * 2017-03-10 2020-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US11474683B2 (en) 2017-03-10 2022-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and screen control method of portable device
KR20190053366A (ko) * 2017-11-10 2019-05-20 효성아이티엑스(주) 고객 센터 채널 장치
WO2022039578A1 (ko) * 2020-08-21 2022-02-24 주식회사 아모센스 화자들의 음성을 처리하기 위한 음성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88760A1 (en) Automatic injection of security confirmation
EP3533196B1 (en) Securing audio data
JP2019062281A (ja) 音声情報による入力を受け付ける情報処理端末、方法、その情報処理端末を含むシステム
CN108648431B (zh) 遥控器功能的配置方法、装置、终端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1757214B1 (ko) 신뢰된 실행 환경 기반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6100845B (zh) 一种利用声波通信的身份认证方法及其系统
WO2018147908A1 (en) Voice signature for user authentication to electronic device
CN106372479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6127900A (zh) 一种用户身份综合验证开锁方法及装置
US1160012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oice-activated control of an access control platform
US9721082B2 (en) Computing devices having access control
CN109600343A (zh) 车辆的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车辆及远程服务器
KR20150121892A (ko) 생체 정보 인식을 이용한 결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40011881A (ko) 제어권 이동을 통한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07911386A (zh) 获取服务授权信息的方法及装置
JP2019152024A (ja) 解錠システム、解錠装置、解錠方法、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764438B1 (en) Establishing a voice authentication credential
KR102312087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7316962A (ja) 作業者管理方法、これに用いる情報処理装置及び作業者端末、プログラム
KR20180062692A (ko) 출입문 개폐 통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도어락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CN106211156B (zh) WiFi网络连接方法、装置、终端设备和WiFi接入点
KR20130049016A (ko) 휴대 전화기를 이용한 출입관리기 제어방법 및 그 출입관리기
CN105991825A (zh) 一种语音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2044099B (zh) 通用身份表示及操作控制系统
KR10097144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식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