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734A - 유체이송용 커플러 - Google Patents
유체이송용 커플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11734A KR20140011734A KR1020120078557A KR20120078557A KR20140011734A KR 20140011734 A KR20140011734 A KR 20140011734A KR 1020120078557 A KR1020120078557 A KR 1020120078557A KR 20120078557 A KR20120078557 A KR 20120078557A KR 20140011734 A KR20140011734 A KR 201400117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r
- fluid transfer
- nut
- coupling
- 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50—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 B25B13/500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35—Hose-clips fixed by means of teeth or hoo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 F16L37/24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 F16L37/244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in which a male cylindrical element is introduced into a female cylindrical element, each element containing several threads axially spaced and circumferentially discontinuous which engage with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rotation of one of th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유체이송용 커플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용 커플러는, 내주면에 원주 방향의 단차 및 나선 방향의 나사골을 포함하는 너트부; 외주면에 상기 너트부의 단차에 부합되는 단차를 포함하고, 커플링(coupling)된 경우에 전면과 후면 사이의 유체이동통로가 개방되는 커플링부; 외주면에 상기 너트부의 나사골과 결합되는 나사산을 포함하고, 내부로 상기 커플링부의 후면을 통해 상기 커플링부의 유체이동통로와 연통하는 호스가 통과되며, 상기 너트부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호스의 확관(flaring)된 부분을 상기 커플링부의 후면에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외주면에 상기 너트부의 나사골과 결합되는 나사산을 포함하고, 내부로 상기 호스가 통과되며, 상기 너트부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고정부의 후면에 밀착고정되는 잠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이송용 커플러가 소형화 및 경량화되어 유체이송용 커플러의 운반, 이동이 용이해지고, 유체이송용 커플러의 호스 고정력이 향상되며, 외부에 오접속 방지 홈의 길이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체이송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순도 케미칼 이송용 호스를 타단에 커플링(coupling)하는 커플러로서 내부에서의 이중 나사결합을 이용하여 호스를 고정하고 잠그는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공정이나 액정표시장치 제조공정 등에서는 고청정, 고순도 케미칼(chemical)이 사용된다. 이러한 케미칼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케미칼의 운반용기의 사이즈도 탱크로리 등으로 대형화되었다.
운반용기의 대형화는 케미칼의 공급자들이 운반용기에 케미칼을 채우기 위해 운반용기의 뚜껑을 개폐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케미칼의 수요자들이 운반용기로부터 케미칼을 이송시키기 위해 운반용기의 뚜껑을 개폐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이는 케미칼의 취급중에 야기될 수 있는 케미칼의 오염 및 취급자의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케미칼 이송용 호스를 다른 케미칼 이송용 호스와 연결하는 장치로는 통상적으로 접액부위의 소재가 테프론인 퀵 커플러(Quick Coupler)가 사용된다. 케미칼 이송용 호스와 케미칼 운반용기의 커플링(coulpling)에도 또한 퀵 커플러가 주로 사용된다.
퀵 커플러에는 암커플러와 수커플러가 있다. 암커플러에 하나의 케미칼 이송용 호스의 끝단을 고정하고 수커플러에 다른 하나의 케미칼 이송용 호스의 끝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암커플러와 수커플러를 결합함으로써 케미칼 이송용 호스들의 커플링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의 퀵 커플러는 고청정, 고순도의 화학약품인 케미칼의 충진, 운반, 이송, 공급 과정 중에 불순물 및 파티클(particle: 먼지 등 고형의 이물질) 등의 오염원에 노출되기 때문에 세정과정을 별도로 거치고 질소가스와 같은 초순수가스를 사용하는 건조과정을 별도로 거친 후 커플링시켜야만 했다.
이는 매우 번거로운 과정이며 작업시간의 지연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세정과정을 건조과정을 거친 후의 이동중에 대기중의 또다른 오염원에 의한 오염 또한 배제할 수 없는 것이었다.
특히, 전술한 퀵 커플러는 종래 운반용기의 뚜껑을 개폐하는 횟수를 줄여 안전사고 발생의 빈도를 감소시켜주는 효과가 있기는 하나, 독성이 강한 케미칼의 취급 중에 작업자가 퀵 커플러를 손으로 직접 착탈시키는 방식을 택하고 있기 때문에, 케미칼의 이송 후에 암커플러와 수커플러의 접액부위에 묻어있는 케미칼이 부주의한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었다. 그리고, 탱크로리의 사이즈가 커짐에 따라 전술한 퀵 커플러를 탱크로리에 인력으로 결합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고순도 케미칼 이송용 호스의 자동연결장치를 연구개발하여 국내 출원번호 특1994-019828, 실1995-008252, 실1995-047786으로 출원한 바 있다. 이들은 각각 공개번호 특1996-008966, 실1996-035043, 실1997-046645로 공개된 후 등록되었다 (등록번호 특0141985, 실0123199, 실0140819).
이 공보들에 개시된 자동연결장치는 암커플러와 수커플러의 세정과 접속, 분리작업이 하나의 장치 내에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고순도 케미칼의 오염을 상당부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함과 아울러 케미칼 취급에 따른 작업자의 위험과 번거로움을 배제하여 작업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 자동연결장치는 반도체 또는 액정표시장치 제조공정 등에 사용되는 경우 탱크로리와의 연장, 연결작업의 용이성을 위하여 건물 외벽에 별도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된 전용 캐비넷의 내부에 장착되었다.
그러나, 자동연결장치가 전면이 오픈되어 있는 캐비넷의 내부에 별도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오픈된 캐비넷 전면을 통해 외기가 그 내부로 쉽게 인입되어 인입된 내부의 청결성에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자동연결장치가 캐비넷 내부에 별도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고정되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 내에서의 작업성이 열악하고, 그로 인해 장착 작업이 번거로웠다. 또한 캐비넷의 내부에 장착되는 자동연결장치가 구조상 내부 깊숙히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커플링의 착탈작업시 작업자의 노고를 가중시키게되는 등의 개선해야할 점들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자동연결장치의 캐비넷 장착구조를 연구개발하여 국내 출원번호 20-1998-0002545로 출원한 바 있다. 이는 공개번호 실1999-0036615로 공개된 후 등록되었다 (등록번호 20-0196948).
이 공보에 개시된 장착구조는 자동연결장치를 격리판에 간단히 장착하여 외부와 캐비넷 내부를 완전히 격리시킴과 동시에 지지대의 역할을 동시 수행케 함으로써 설치작업의 단순화를 기하고 외기 차단에 의한 캐비넷 내부의 오염을 방지하며 수커플링의 착탈작업시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자동연결장치는 일측에 암커플러가 내장된 상태에서 타측을 통해 수커플러를 삽입하여 작동스위치를 ON시키면 암·수커플러의 세정과 건조, 접속, 분리작업이 자동연결장치 내에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데에는 전혀 지장이 없으나, 착탈가능한 수커플러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블럭에 케미칼의 종류나 그레이드, 즉 케미칼의 순도별 구분을 할 수 있는 장치나 구조가 구비되어 있지 않았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자칫 다른 종류의 케미칼이 주입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같은 종류의 케미칼이라 하더라도 제조공정에 따라 요구되는 일정수준의 순도에 미치지 못하는, 즉 그레이드(GRADE)가 낮은 케미칼이 주입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생산되는 제품의 불량율이 가중되고, 이를 해소 내지 복구하기 위한 공정으로 인하여 자동연결장치의 가동중지 시간이 길어져 생산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는 등의 개선해야할 점들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케미칼 이송용 호스의 오접속 방지장치를 연구개발하여 국내 출원번호 10-1997-0054276으로 출원한 바 있다. 이는 공개번호 특1999-0033042로 공개된 후 등록되었다 (등록번호 10-0257680).
이 공보에 개시된 오접속 방지장치는 자동연결장치에 설치되어 각종 케미칼별 또는 그레이드(GRADE)별 구분이 확실히 될 수 있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그레이드의 오접속에 따른 오염을 방지하고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케미칼끼리의 오접속사고를 방지함에 따라 케미칼 취급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배제하여 생산성, 작업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연결장치에 삽입되는 퀵 커플러에는 암커플러와 수커플러가 있으며, 암커플러에 하나의 케미칼 이송용 호스의 끝단을 고정하고 수커플러에 다른 하나의 케미칼 이송용 호스의 끝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암커플러와 수커플러를 결합함으로써 케미칼 이송용 호스들의 커플링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커플러는 플랜지를 이용하여 호스를 고정하였다. 종래에 호스의 고정에 사용된 이 플랜지는 커플러의 대형화를 초래하고 커플러의 무게를 가중시켰다. 이에 따라, 커플러의 운반, 이동시에 불편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는 운반, 이동이 상대적으로 더 빈번한 수커플러의 경우에 더욱 현저하였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 호스의 고정에 사용된 플랜지에서는 호스의 무게에 의하여 결합용 볼트의 조임 상태가 느슨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우에 커플러와 호스 사이에 틈이 발생할 수 있고, 이 틈으로 케미칼이 누출되는 등의 심각한 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호스를 플랜지 없이 고정하고 잠금으로써 소형화 및 경량화되고 호스 고정력이 향상된 유체이송용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원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용 커플러는, 내주면에 원주 방향의 단차 및 나선 방향의 나사골을 포함하는 너트부; 외주면에 상기 너트부의 단차에 부합되는 단차를 포함하고, 커플링(coupling)된 경우에 전면과 후면 사이의 유체이동통로가 개방되는 커플링부; 외주면에 상기 너트부의 나사골과 결합되는 나사산을 포함하고, 내부로 상기 커플링부의 후면을 통해 상기 커플링부의 유체이동통로와 연통하는 호스가 통과되며, 상기 너트부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호스의 확관(flaring)된 부분을 상기 커플링부의 후면에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외주면에 상기 너트부의 나사골과 결합되는 나사산을 포함하고, 내부로 상기 호스가 통과되며, 상기 너트부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고정부의 후면에 밀착고정되는 잠금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부는 상기 너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부분의 후단에 원주 방향의 플랜지 형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부는 상기 너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부분과 상기 플랜지 형상 사이에 상기 너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부분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연장된 링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부는 상기 너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부분의 후면에 상기 잠금부의 나사결합시 사용되는 나사결합용 공구와 결합가능한 하나 이상의 홀(hole)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부는 상기 너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부분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하는 홀은 내주면에 나사골을 구비하고, 상기 유체이송용 커플러는 상기 관통하는 홀과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의 후면에 밀착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잠금 볼트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 볼트는 무두(無頭)볼트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는 후면에 상기 고정부의 나사결합시 사용되는 나사결합용 공구와 결합가능한 하나 이상의 홀(hole)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체이송용 커플러는 상기 호스의 확관된 부분에 상기 고정부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와셔 슬리브(washer sleeve)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와셔 슬리브는 상기 호스의 확관된 부분과 상기 고정부 사이에서 상기 확관된 부분에 대한 상기 고정부의 회전미끄럼을 원활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너트부는 외주면에 상기 유체이송용 커플러의 오접속을 방지하기 위한 축 방향의 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너트부는 외주면에 상기 유체이송용 커플러의 오접속을 방지하기 위한 원주 방향의 단차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이송용 커플러가 호스를 플랜지 없이 일체형으로 고정할 수 있음으로써 유체이송용 커플러가 소형화 및 경량화된다. 이에 따라 유체이송용 커플러의 운반, 이동이 용이해진다.
유체이송용 커플러가 이중 나사결합을 이용하여 호스를 고정하고 잠금으로써 유체이송용 커플러의 호스 고정력이 향상된다.
이중 나사결합이 내부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외부에 오접속 방지 홈의 길이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관하여 설명하자면, 외부의 너트부를 이중으로 하여 나사결합하는 경우에는 나사결합된 전단 너트부의 홈을 별도로 나사결합된 후단 너트부의 홈에 맞추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전단에만 홈을 형성할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오접속 방지 홈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오접속 방지 홈의 기능이 약화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이중 나사결합이 내부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오접속 방지 홈이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외부의 너트부에 오접속 방지 홈의 길이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중 나사결합이 내부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외부의 너트부를 원형으로 만들수 있다. 이에 관하여 설명하자면, 외부의 너트부를 이중으로 하여 나사결합하는 경우에는 너트부의 나사체결시 너트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스패너나 몽키 렌치 등의 도구가 사용되고 너트부에는 이러한 도구가 계지할 수 있는 자리가 밀링(milling) 등의 작업을 통하여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너트부를 원형으로 만들기 곤란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이중나사결합이 내부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외부의 너트부를 원형으로 만들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의 너트부를 이중으로 하여 나사결합하는 경우보다 유체이송용 커플러의 활용폭이 넓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용 커플러에 호스가 고정되고 잠금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에서 원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3은 도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도2의 사시도이다.
도5는 도2의 커플링부가 커플링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6a는 도2에서 고정부 및 잠금부의 나사결합에 사용될 수 있는 나사결합용 공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6b는 도6a의 측면도이다.
도6c는 도6a의 저면도이다.
도7은 도2의 고정부 또는 잠금부를 결합하기 위하여 도6a 내지 도6c의 나사결합용 공구를 사용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8a는 도1의 유체이송용 커플러를 자동연결장치에 장착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8b는 도8a의 우측면도이다.
도9a는 도8a의 유체이송용 커플러를 자동연결장치로부터 탈착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9b는 도9a의 우측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용 커플러에 호스가 고정되고 잠금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11은 도10에서 원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12는 도1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3은 도11의 잠금부를 결합하기 위하여 도6a 내지 도6c의 나사결합용 공구를 사용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도11의 사시도이다.
도15a는 도10의 유체이송용 커플러를 자동연결장치에 장착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15b는 도15a의 우측면도이다.
도16a는 도15a의 유체이송용 커플러를 자동연결장치로부터 탈착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16b는 도16a의 우측면도이다.
도2는 도1에서 원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3은 도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도2의 사시도이다.
도5는 도2의 커플링부가 커플링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6a는 도2에서 고정부 및 잠금부의 나사결합에 사용될 수 있는 나사결합용 공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6b는 도6a의 측면도이다.
도6c는 도6a의 저면도이다.
도7은 도2의 고정부 또는 잠금부를 결합하기 위하여 도6a 내지 도6c의 나사결합용 공구를 사용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8a는 도1의 유체이송용 커플러를 자동연결장치에 장착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8b는 도8a의 우측면도이다.
도9a는 도8a의 유체이송용 커플러를 자동연결장치로부터 탈착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9b는 도9a의 우측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용 커플러에 호스가 고정되고 잠금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11은 도10에서 원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12는 도1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3은 도11의 잠금부를 결합하기 위하여 도6a 내지 도6c의 나사결합용 공구를 사용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도11의 사시도이다.
도15a는 도10의 유체이송용 커플러를 자동연결장치에 장착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15b는 도15a의 우측면도이다.
도16a는 도15a의 유체이송용 커플러를 자동연결장치로부터 탈착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16b는 도16a의 우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용 커플러에 호스가 고정되고 잠금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유체이송용 호스를 다른 유체이송용 호스와 연결하는 장치로는 유체이송용 암커플러(female coupler)와 유체이송용 수커플러(male coupler)가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이들 중에서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에 호스(150)가 고정되고 잠금되어 있다. 호스(150)는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와 연통한다.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 및 이와 연통하는 호스(150)를 통해 이송되는 유체들 중의 하나로서 케미칼(chemical)이 있다. 이 케미칼에는 반도체 제조공정이나 액정표시장치 제조공정 등에서 사용되는 고청정, 고순도 케미칼이 포함된다.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는 통상적으로 접액부위의 소재로서 테프론을 사용한다.
도2는 도1에서 원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것이고, 도3은 도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는 너트(nut)부(110), 커플링(coupling)부(120), 고정부(130) 및 잠금부(140)를 포함한다.
커플링부(120)는 바디(body)부(120-1)와 어댑터부(120-2)를 포함한다. 바디부(120-1)는 플런저(124) 및 스프링(126)을 수용한다. 어댑터부(120-2)는 바디부(120-1)와 연통하도록 바디부(120-1)의 후면에 밀착고정된다. 바디부(120-1)와 어댑터부(120-2) 사이에 생길 수 있는 간극을 밀봉하기 위하여, 바디부(120-1)와 어댑터부(120-2) 사이에 오링(O-Ring)(127)이 위치할 수 있다.
너트부(110)와 커플링부(120)는 각각 서로 부합하는 원주 방향의 단차(112, 122)를 포함한다. 커플링부의 단차(122)와 부합하는 너트부의 단차(112)는 너트부(11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너트부의 단차(112)와 부합하는 커플링부의 단차(122)는 커플링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플링부의 단차(122)와 부합하는 너트부의 단차(112)는 너트부(110)의 내주면에서 전단에 위치한다.
커플링부(120)와 너트부(110)의 결합은 커플링부(120)를 너트부(110)의 후방에서 너트부(110)의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삽입은 커플링부의 단차(122)가 너트부의 단차(112)에 부합된 상태에서 멈춰진다.
커플링부(120)가 유체이송용 암커플러와 커플링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부(120)의 전면은 막힌 상태이다. 그러나, 커플링부(120)와 유체이송용 암커플러의 커플링 과정에서, 유체이송용 암커플러의 첨단이 커플링부의 플런저(124)를 후방으로 압박하게 되고, 이 압박에 의해 커플링부의 플런저(124)는 스프링(126)을 후방으로 수축시키면서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에 따라, 커플링부(120)의 전면이 개방된다.
도5는 도2의 커플링부(120)가 커플링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5를 참조하면, 유체이송용 암커플러(미도시)와 커플링된 커플링부(120)는 유체이송용 암커플러(미도시)의 첨단의 압박에 의해 플런저(124)가 후방으로 밀린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커플링부(120)는 전면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커플링부(120)의 전면이 개방되면 커플링부(120)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유체이동통로(128)가 개방된다. 커플링부(120)는 개방된 유체이동통로(128)를 통해 유체이송용 암커플러로 또는 유체이송용 암커플러로부터 유체를 이송할 수 있다.
다시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너트부(110)는 내주면에 나선 방향의 나사골(도3의 11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너트부의 나사골(도3의 114)은 내주면의 후단에 형성된다. 도2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히 언급하자면, 본 실시예에서 너트부(110)의 나사골은 내주면에서 중단에 도시된 단차의 후단에 형성된다.
고정부(130)는 외주면에 너트부의 나사골(도3의 114)과 결합되는 나사산(도3의 13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의 나사산(도3의 134)은 외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고정부(130)와 너트부(110)의 결합은 커플링부(120)와 너트부(110)의 결합에 후속하여 이루어지고, 고정부(130)를 너트부(110)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너트부(1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동은 고정부(130)의 내부를 통과하는 호스의 확관된 부분(152)을 커플링부(120)의 후면과 고정부(130) 사이에 두고 이루어진다.
전방으로 이동하는 고정부(130)는 호스의 확관된 부분(152)을 전방으로 압박하면서 커플링부(120)의 후면에 밀착시킨다. 호스의 확관된 부분(152)은 커플링부(120)의 후면에 압박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부(130)와 너트부(110)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에 따라, 호스(150)는 커플링부(120)의 후면을 통해 커플링부(120)의 유체이동통로와 연통하는 상태로 고정된다. 고정부(130)도 전면이 호스의 확관된 부분(152)의 후면에 압박밀착된 상태에서 너트부(110)와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고정된다.
호스(150)와 커플링부(120) 사이에 생길 수 있는 간극을 밀봉하기 위하여, 호스(150)와 커플링부(120) 사이에 오링(O-Ring)(129)이 위치할 수 있다.
호스의 확관된 부분(152)과 고정부(130) 사이에는 와셔 슬리브(170)가 위치할 수 있다. 와셔 슬리브(170)는 호스의 확관된 부분(152)에 고정부(130)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고 호스의 확관된 부분(152)에 대하여 고정부(130)가 원활한 회전 미끄럼 마찰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호스(150)는 테프론층(153), 스테인레스 스틸층(154), PP(폴리 프로필렌) 직조층(155), 금속 슬리브층(156), 와이어(wire)층(157), 와이어 보호층(158), 쿠션층(159)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호스의 확관된 부분(152)에서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층(layer)은 스테인레스 스틸층(154)인데, 와셔 슬리브(170)는 이 스테인레스 스틸 층이 고정부(130)와의 접촉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호스(150)는 스프링 등의 와이어층(157)과 같은 보강층 등을 구비함으로써 호스(150) 자체의 무게 또는 이송하는 유체의 무게에 의해 호스(150)가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부(140)는 너트부의 나사골(도3의 114)과 결합되는 나사산(도3의 14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잠금부의 나사산(도3의 144)은 외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잠금부(140)와 너트부(110)의 결합은 고정부(130)와 너트부(110)의 결합에 후속하여 이루어지고, 잠금부(140)를 너트부(110)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너트부(1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동은 고정부(130)의 내부를 통과하는 호스(150)가 잠금부(140)의 내부도 통과하는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전방으로 이동하는 잠금부(140)는 고정부(130)의 후면에 압박밀착된 상태에서 너트부(110)와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고정된다.
만약 유체이송용 커플러(100)에 잠금부(140)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유체이송용 호스(100)의 사용과정에서 진동 등의 원인에 의해 고정부(130)가 너트부(110)의 나사골을 따라 후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정부(130)에 의한 호스(150)의 고정이 풀릴 수 있다. 이러한 풀림 현상은 특히 고정부(130)와 너트부(110) 중 적어도 하나의 나사가 헐거워진 경우에 더욱 발생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용 커플러(100)에서는 고정부(130)와 이에 밀착고정된 잠금부(140) 사이의 마찰력, 그리고 고정부(130) 및 잠금부(140)의 숫나사들과 너트부(110)의 암나사 사이의 나사결합들에 의한 마찰력들이 고정부(130)의 회전을 막음으로써 고정부(130)의 후진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정부(130)에 의한 호스(150)의 고정을 잠글 수 있다.
잠금부(140)는 후면에 나사결합용 공구와 결합가능한 하나 이상의 홀(hole)(142)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결합용 공구는 잠금부(140)를 너트부(110)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너트부(1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될 수 있다.
고정부(130)를 너트부(110)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너트부(1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도 나사결합용 공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고정부(130)도 후면에 나사결합용 공구와 결합가능한 하나 이상의 홀(hole)(1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6a는 도2에서 고정부(130) 및 잠금부(140)의 나사결합에 사용될 수 있는 나사결합용 공구의 사시도이고, 도6b는 도6a의 측면도이며, 도6c는 도6a의 저면도이다.
도6a 내지 도6c를 참조하면, 나사결합용 공구(300)는 본체부(310), 하나 이상의 돌기부(320), 및 손잡이부(330)를 포함한다.
본체부(310)는 반원의 원주 모양의 띠가 아래로 연장된 형상이다. 하나 이상의 돌기부(320)는 본체부(310)의 밑면의 양쪽 말단에 원기둥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다. 손잡이부(330)는 본체부(310)의 대칭축 상에 존재하는 막대(bar)형상으로서 본체부(310)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하단이 본체부(310)의 밑면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본체부(310)의 띠 모양은 내경이 호스(150)의 외경보다 크고, 외경이 너트부(110)의 내경보다 작다.
도7은 도2의 고정부(130) 또는 잠금부(140)를 결합하기 위하여 도6a 내지 도6c의 나사결합용 공구(300)를 사용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7을 참조하면, 고정부(130) 또는 잠금부(140)를 너트부(11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너트부(110)의 내주면에 고정부(130)의 외주면 또는 잠금부(140)의 외주면이 접하는 상태에서 고정부 후면의 홀(도2 및 도3의 132)들 또는 잠금부 후면의 홀(도2 및 도3의 142)들에 나사결합용 공구의 돌기부(도6a 내지 도6c의 320)들을 삽입결합한다. 그리고나서, 나사결합용 공구의 손잡이부(330)를 손으로 잡고 나사의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에 의하여 고정부(130) 또는 잠금부(140)를 너트부(110)의 내부에서 너트부(1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고정부(130)가 호스의 확관된 부분(152)을 커플링부(120)의 후면에 압박밀착시킬 때까지, 또는 잠금부(140)가 고정부(130)에 압박밀착될 때까지 이러한 회전을 반복함으로써 고정부(130)또는 잠금부(140)를 너트부(110)에 결합할 수 있다.
본체부(310)의 띠 모양의 내경이 호스(150)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고정부(130) 또는 잠금부(140)의 내부로 호스(150)가 통과하는 상태에서도 고정부(130) 또는 잠금부(140)를 너트부(110)에 나사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체부(310)의 띠 모양의 외경이 너트부(110)의 내경보다 작고 손잡이부(330)의 하단이 본체부(310)의 밑면보다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고정부(130) 또는 잠금부(140)의 전체가 너트부(110)의 내부에 들어가게 된 이후에도 고정부(130) 또는 잠금부(140)를 계속해서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나사결합용 공구(300)는 너트부(110)에 결합된 고정부(130) 또는 잠금부(140)를 너트부(110)로부터 분리할 때도 사용될 수 있다. 너트부(110)에 결합된 고정부(130) 또는 잠금부(140)를 너트부(1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고정부 후면의 홀(132)들 또는 잠금부 후면의 홀(142)들에 나사결합용 공구의 돌기부(도6a 내지 도6c의 320)들을 삽입결합한 상태에서 나사결합용 공구의 손잡이부(330)를 손으로 잡고 나사의 후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에 의하여 고정부(130) 또는 잠금부(140)를 너트부(11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너트부(110)에 결합된 고정부(130) 또는 잠금부(140)는 이러한 이동에 의하여 너트부(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잠금부(140)는 후면으로부터 전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143)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143)은 내주면에 나사골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잠금부(140)는 후면에 나사결합용 공구와 결합가능한 하나 이상의 홀(142)을 포함하는데, 나사결합용 공구(300)와 결합가능한 이 홀(142)과 내주면에 나사골을 포함하는 관통된 홀(143)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143)의 나사골을 따라 하나 이상의 잠금 볼트(160)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볼트(160)로서 무두(無頭)볼트가 사용된다. 잠금 볼트(160)는 고정부(130)의 후면에 압박밀착된 상태에서 관통하는 홀(143)과의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부(130)와 이에 밀착고정된 잠금 볼트(160) 사이의 마찰력, 그리고 잠금 볼트(160)와 홀(143) 사이의 나사결합은 고정부(130)의 회전을 막음으로써 고정부(130)의 후진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잠금부(140)에 의한 잠금에 더하여 고정부(130)를 이중으로 잠글 수 있다. 잠금 볼트(160)는 고정부(130)에 접촉하는 면적이 작기 때문에 고정부(130)와의 사이에서 높은 마찰력이 발생하게 한다. 따라서, 잠금 볼트(160)의 사용에 의해 보다 효과적인 잠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너트부(110)는 외주면에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의 오접속을 방지하기 위한 축 방향의 홈(116)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너트부(110)는 외주면에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의 오접속을 방지하기 위한 원주 방향의 단차(118)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오접속 방지 홈(116)과 오접속 방지 단차(118)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순도 케미칼 이송용 호스의 오접속 방지장치를 연구개발하여 국내 출원번호 10-1997-0054276으로 출원한 바 있고, 이는 공개번호 특1999-0033042로 공개된 후 등록되었다 (등록번호 10-0257680). 이 공보에 기재된 사항들은 모두 본 명세서에 포함된 것으로 한다.
도4는 도2의 사시도로서, 도3의 분해사시도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조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4를 참조하면, 너트부(110)의 전단에는 너트부(110) 내주면의 단차와의 부합에 의해 커플링부(120)가 결합되어 있다. 커플링부(120)의 외주면에는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의 오접속을 방지하기 위한 축 방향의 홈(116)들이 형성되어 있다.
호스의 확관된 부분을 커플링부(120)의 후면에 밀착고정하고 있는 고정부는 너트부(110)에 내부에 위치하여 보이지 않는다.
너트부의 후면에 밀착고정된 잠금부(140)의 후면에는 나사결합용 공구와 결합가능한 홀(142)과 잠금 볼트가 결합되는 홀(143)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결합용 공구와 결합가능한 홀(142)을 잠금 볼트가 결합되는 홀(143)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너트부(110)에 가려 보이지 않지만, 잠금부(140)의 내부를 통과하고 있는 호스(150)는 이어서 잠금부(140)의 전면에 밀착된 고정부의 내부를 통과하고, 전방의 확관된 부분이 고정부에 의해 커플링부(120)의 후면에 밀착고정되어 있으며, 커플링부(120)의 후면을 통해 커플링부(120)의 유체이동통로와 연통한다.
도8a는 도1의 유체이송용 커플러(100)를 자동연결장치에 장착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8a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순도 케미칼 이송용 호스의 자동연결장치를 연구개발하여 국내 출원번호 특1994-019828, 실1995-008252, 실1995-047786으로 출원한 바 있고, 이들은 각각 공개번호 특1996-008966, 실1996-035043, 실1997-046645 로 공개된 후 등록되었다 (등록번호 특0141985, 실0123199, 실0140819). 또한, 본 출원인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이송용 호스의 자동연결장치의 캐비넷 장착구조를 연구개발하여 국내 출원번호 20-1998-0002545로 출원한 바 있고, 이는 공개번호 실1999-0036615로 공개된 후 등록되었다 (등록번호 20-0196948). 이 공보들에 기재된 사항들은 모두 본 명세서에 포함된 것으로 한다.
도8a를 참조하면, 암커플러 지지용 4각 플랜지(800)에 유체이송용 호스의 자동 연결장치(70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 연결장치(700) 내에 유체이송용 암커플러(500)가 장착되어 있다. 유체이송용 암커플러(500)에는 연통하는 호스가 고정될 수 있다.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를 자동 연결장치(700)에 삽입하고 수커플러 장착 레버(720)로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의 후면을 계지(繫止)하여 잠금으로써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가 자동 연결장치(700)에 장착된다.
도8b는 도8a의 우측면도이다. 도8b를 참조하면,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를 자동연결장치(700)에 삽입한 후에 수커플러 장착 레버(720)를 화살표 방향으로 올려서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를 장착한다.
수커플러 장착 레버(720)를 화살표 방향으로 올리면 수커플러 장착 레버(720)의 하단이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의 후면을 계지하게 된다. 이 때 계지되는 면은 너트부(110)의 후면인데, 이는 잠금부(140)의 전체가 너트부(110)의 내부에 들어가 있어서 잠금부(140)의 후면이 너트부(110)의 후면보다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다시 도8a를 참조하면,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에 오접속 방지 홈(116)들이 형성되어 있고 자동 연결장치(700) 내에 오접속 방지 돌출부(716)들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를 자동 연결장치(700)에 삽입할 때 자동 연결장치(700) 내의 오접속 방지 돌출부(716)들에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의 오접속 방지 홈(116)들을 맞춰서 삽입한다.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는 기준 오접속 방지 홈과 유체별 오접속 방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별 오접속 방지 홈은 기준 오접속 방지 홈을 기준으로 하여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가 이송하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홈이다. 자동 연결장치(700)도 기준 오접속 방지 돌출부와 유체별 오접속 방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별 오접속 방지 돌출부도 기준 오접속 방지 돌출부를 기준으로 하여 유체이송용 암커플러(500)로 이송하고자하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돌출부이다.
유체별 오접속 방지 홈의 위치와 유체별 오접속 방지 돌출부의 위치가 상이하면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가 자동 연결장치(700)에 삽입될 수 없다. 따라서,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가 오접속되어 원하지 않는 다른 종류의 유체가 유체이송용 암커플러(500)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와 자동 연결장치(700)에 형성될 수 있는 오접속 방지 단차(118)들은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가 오접속되어 원하지 않는 낮은 등급의 유체가 유체이송용 암커플러(500)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동 연결장치(700) 내의 유체이송용 암커플러(500)는 자동 연결장치(700)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전진이 가능하다. 자동 연결장치(700)에 장착된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는 이러한 전진에 의해 유체이송용 암커플러(500)와 커플링된다.
도9a는 도8a의 유체이송용 커플러(100)를 자동연결장치(700)로부터 탈착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는 자동 연결장치(700) 내의 유체이송용 암커플러(500)가 자동 연결장치(700)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후진하여 도9a에서와 같이 커플링이 해제된 후에 탈착된다.
도9a를 참조하면, 수커플러 장착 레버(740)의 계지를 해제하여 잠금을 풀고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를 후방으로 당겨 자동 연결장치(700)에서 빼냄으로써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가 자동 연결장치(700)로부터 탈착된다.
도9b는 도9a의 우측면도이다. 도9b를 참조하면,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의 탈착시에는 수커플러 장착 레버(720)를 화살표 방향으로 내려서 유체이송용 수커플러(100)의 계지를 해제하여 잠금을 푼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용 커플러에 호스가 고정되고 잠금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10을 참조하면,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에 호스(150)가 고정되고 잠금되어 있다. 호스(150)는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와 연통한다.
도11은 도10에서 원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것이고, 도12는 도1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는 너트부(110), 커플링부(120), 고정부(130) 및 잠금부(440)를 포함한다.
너트부(110), 커플링부(120), 및 고정부(130)는 도1 내지 도9b에서 설명한 유체이송용 커플러(100)의 너트부, 커플링부, 및 고정부와 각각 동일하다.
참조중인 도11 및 도12를 포함하여 전술한 도10 및 후술할 도14 내지 도16b에서도, 도1 내지 도9b의 식별번호와 동일한 식별번호를 갖는 구성요소는 도1 내지 도9b에서의 해당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도10 내지 도16b에서 도1 내지 도9b의 식별번호와 동일한 식별번호를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는 도1 내지 도9b에서 설명한 유체이송용 커플러(100)의 잠금부(140)가 변형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의 변형된 잠금부(440)는 너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 연장된 링 형상(440-2), 및 플랜지 형상(440-3)을 포함한다.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은 외주면에 너트부의 나사골(도12의 114)과 결합되는 나사산(도12의 44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은 잠금부(440)의 전단에 위치한다.
플랜지 형상(440-3)은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의 후단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플랜지 형상(440-3)은 잠금부(440)의 가장 뒤에 위치한다.
연장된 링 형상(440-2)은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과 플랜지 형상(440-3) 사이에 위치하고,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플랜지 형상(440-3)은 연장된 링 형상(440-2)의 후단이 확관된 형태로 형성된다.
잠금부(440)와 너트부(110)의 결합은 고정부(130)와 너트부(110)의 결합에 후속하여 이루어지고, 잠금부(440)를 너트부(110)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너트부(1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동은 고정부(130)의 내부를 통과하는 호스(150)가 잠금부(440)의 내부도 통과하는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전방으로 이동하는 잠금부(440)는 고정부(130)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너트부(110)와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고정된다.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은 연장된 링 형상(440-2)과의 외경 차이에 의해 후면을 갖게 된다.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은 이 후면에 나사결합용 공구(도6a 내지 도6c의 300)와 결합가능한 하나 이상의 홀(hole)(442)을 포함할 수 있다.
도13은 도11의 잠금부(440)를 결합하기 위하여 도6a 내지 도6c의 나사결합용 공구(300)를 사용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13을 참조하면, 잠금부(440)를 너트부(11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너트부(110)의 내주면에 잠금부의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의 외주면이 접하는 상태에서 잠금부의 나사결합되는 부분 후면의 홀(도11 및 도12의 442)들에 나사결합용 공구의 돌기부(도6a 내지 도6c의 320)들을 삽입결합한다. 그리고나서, 나사결합용 공구의 손잡이부(도6a 내지 도6c의 330)를 손으로 잡고 나사의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에 의하여 잠금부(440)를 너트부(110)의 내부에서 너트부(1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잠금부(440)가 고정부(130)에 밀착될 때까지 이러한 회전을 반복함으써 잠금부(440)를 너트부(110)에 결합할 수 있다.
나사결합용 공구의 본체부(도6a 내지 도6c의 310)의 반원띠의 내경이 호스(150)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잠금부(440)의 내부로 호스(150)가 통과하는 상태에서도 잠금부(440)를 너트부(110)에 나사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체부(도6a 내지 도6c의 310)의 반원띠의 외경이 너트부(110)의 내경보다 작고 본체부(310)의 반원띠가 손잡이부(330)의 아래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부의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의 전체가 너트부(110)의 내부에 들어가게 된 이후에도 잠금부(440)를 계속해서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너트부(110)에 결합된 잠금부(440)는 나사결합용 공구(도6a 내지 6c의 300)의 사용에 의하여 너트부(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너트부(110)에 결합된 잠금부(440)를 너트부(1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잠금부의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의 후면에 형성된 홀(442)에 나사결합용 공구의 돌기부(도6a 내지 6c의 320)를 삽입결합한 상태에서 나사결합용 공구의 손잡이부(도6a 내지 6c의 330)를 손으로 잡고 결합시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에 의하여 잠금부(440)를 너트부(11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너트부(110)에 결합된 잠금부(440)는 이러한 이동에 의하여 너트부(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잠금부(440)가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의 후면에 나사결합용 공구와 결합가능한 하나 이상의 홀(442)을 구비할 수 있는 것은, 잠금부의 연장된 링 형상(440-2)이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데에 기인한다. 그리고, 잠금부의 홀(442)에 나사결합용 공구의 돌기부(도6a 내지 6c의 320)를 삽입결합하기 위하여 잠금부의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과 플랜지 형상(440-3) 사이에 나사결합용 공구(도6a 내지 6c의 300)를 넣을 수 있는 것은, 잠금부의 연장된 링 형상(440-2)의 연장된 길이가 나사결합용 공구(도6a 내지 6c의 300)의 총 길이(본체부의 반원띠가 아래로 연장된 길이와 돌기부의 길이의 합)보다 큰 데에 기인한다.
이와 같이 잠금부의 연장된 링 형상(440-2)은 나사결합용 공구(도6a 내지 6c의 300)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고, 연장된 링 형상(440-2)의 연장된 길이는 나사결합용 공구(도6a 내지 6c의 300)의 총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 잠금부(440)는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443)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443)은 내주면에 나사골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잠금부(440)는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의 후면에 나사결합용 공구(도6a 내지 도6c의 300)와 결합가능한 하나 이상의 홀(442)을 포함하는데, 나사결합용 공구와 결합가능한 이 홀(442)과 내주면에 나사골을 포함하는 관통된 홀(443)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443)의 나사골을 따라 하나 이상의 잠금 볼트(160)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볼트(160)로서 무두(無頭)볼트가 사용된다. 잠금 볼트(160)는 고정부(130)의 후면에 압박밀착된 상태에서 관통하는 홀(443)과의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부(130)와 이에 밀착고정된 잠금 볼트(160) 사이의 마찰력, 그리고 잠금 볼트(160)와 홀(443) 사이의 나사결합은 고정부(130)의 회전을 막음으로써 고정부(130)의 후진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잠금부(440)에 의한 잠금에 더하여 고정부(130)를 이중으로 잠글 수 있다.
도14는 도11의 사시도로서, 도12의 분해사시도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조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14를 참조하면, 너트부의 후면에 밀착고정된 잠금부(4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 연장된 링 형상(440-2), 플랜지 형상(440-3)을 포함하는데, 이들 중에서 전단에 위치하는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은 외주면이 너트부(110)의 내주면과 나사결합을 하고 있어서 후면만 보인다.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의 후면에는 나사결합용 공구와 결합가능한 홀(442)과 잠금 볼트가 결합되는 홀(443)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결합용 공구와 결합가능한 홀(442)을 잠금 볼트가 결합되는 홀(443)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너트부(110)에 가려 보이지 않지만, 잠금부(440)의 내부를 통과하고 있는 호스(150)는 이어서 잠금부(440)의 전면에 밀착된 고정부의 내부를 통과하고, 전방의 확관된 부분이 고정부에 의해 커플링부(120)의 후면에 밀착고정되어 있으며, 커플링부(120)의 후면을 통해 커플링부(120)의 유체이동통로와 연통한다.
도15a는 도10의 유체이송용 커플러(400)를 자동연결장치에 장착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15a를 참조하면,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를 자동 연결장치(700)에 삽입하고 수커플러 장착 레버(720)로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의 후면을 계지(繫止)하여 잠금으로써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가 자동 연결장치(700)에 장착된다.
이 때, 수커플러 장착 레버(720)로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의 후면을 계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될 때까지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의 거의 대부분이 자동연결장치(7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를 손으로 전방을 향해 밀어야 한다. 특히,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를 자동 연결장치(700)에 삽입하는 중에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가 자동 연결장치(700)에 걸리는 부분(750)을 만나게 되면 이 부분(750)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손으로 전방을 향해 밀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유체이송용 수커플러의 후면은 거의 대부분이 호스에 의해 점유되어 있고 종래의 유체이송용 수커플러에는 플랜지 형상(440-3)이 구비되지 않았기 때문에, 종래의 유체이송용 수커플러는 자동연결장치에 장착시 손으로 전방을 향해 미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는 플랜지 형상(440-3)을 구비하고, 사용자는 이 플랜지 형상(440-3)을 밀어서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를 자동연결장치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15b는 도15a의 우측면도이다. 도15b를 참조하면, 수커플러 장착 레버(720)로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의 후면을 계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될 때까지 플랜지 형상(440-3)을 밀어서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를 자동연결장치(700)에 삽입한 후에는 수커플러 장착 레버(720)를 화살표 방향으로 올려서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를 장착한다.
수커플러 장착 레버(720)를 화살표 방향으로 올리면 수커플러 장착 레버(720)의 하단이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의 후면을 계지하게 된다. 이 때, 계지되는 면은 너트부(110)의 후면인데, 이는 잠금부의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의 전체가 너트부(110)의 내부에 들어가 있어서 잠금부의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의 후면이 너트부(110)의 후면보다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수커플러 장착 레버(720)가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의 후면을 용이하게 계지할 수 있는 것은, 잠금부의 연장된 링 형상(440-2)이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데에 기인한다. 너트부(110)의 후면은 너트부(110)의 외경과 내경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폭이 넓지 않기 때문에, 만약 잠금부의 연장된 링 형상(440-2)이 나사결합되는 부분(440-1)보다 작은 외경을 갖지 않는다면 수커플러 장착 레버(720)로 너트부(110)의 후면을 계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이 잠금부의 연장된 링 형상(440-2)은 수커플러 장착레버(720)에 의해 너트부(110)의 후면이 용이하게 계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고, 연장된 링 형상(440-2)의 연장된 길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결합용 공구(도6a 내지 도6c의 300)의 총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는 한편 수커플러 장착레버(720)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도16a는 도15a의 유체이송용 커플러(400)를 자동연결장치(700)로부터 탈착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는 자동 연결장치(700) 내의 유체이송용 암커플러(500)가 자동 연결장치(700)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후진하여 도16a에서와 같이 커플링이 해제된 후에 탈착된다.
도16a를 참조하면, 수커플러 장착 레버(740)의 계지를 해제하여 잠금을 풀고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를 후방으로 당겨 자동 연결장치(700)에서 빼냄으로써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가 자동 연결장치(700)로부터 탈착된다.
종래의 유체이송용 수커플러는 플랜지 형상(440-3)을 구비하지 않았기 때문에 수커플러 장착 레버(720)의 잠금을 푼 직후에 손으로 후방을 향해 당기는 것도 용이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는 플랜지 형상(440-3)을 구비하므로, 사용자는 플랜지 형상(440-3)을 당겨서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를 자동연결장치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도16b는 도16a의 우측면도이다. 도16b를 참조하면,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의 탈착시에는 수커플러 장착 레버(720)를 화살표 방향으로 내려서 유체이송용 수커플러(400)의 계지를 해제하여 잠금을 푼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유체이송용 수커플러 110: 너트부
112: 단차 114: 나사골
116: 오접속 방지 홈 118: 오접속 방지 단차
120: 커플링부 120-1: 바디(body)부
120-2: 어댑터부 122: 단차
124: 플런저 126: 스프링
127: 오링 128: 유체이동통로
129: 오링 130: 고정부
132: 홀 134: 나사산
140: 잠금부 142, 143: 홀
144: 나사산 150: 호스
152: 확관된 부분 153: 테프론층
154: 스테인레스 스틸층 155: PP 직조층
156: 금속 슬리브층 157: 와이어층
158: 와이어 보호층 159: 쿠션층
160: 잠금 볼트 170: 와셔 슬리브
300: 나사결합용 공구 310: 본체부
320: 돌기부 330: 손잡이부
400: 유체이송용 수커플러 440: 잠금부
440-1: 나사결합되는 부분 440-2: 연장된 링 형상
440-3: 플랜지 형상 442, 443:홀
444: 나사산 500:유체이송용 암커플러
700: 자동연결장치 716: 오접속 방지 돌출부
720: 수커플러 장착 레버 750: 수커플러가 걸리는 부분
800: 암커플러 지지용 4각 플랜지
112: 단차 114: 나사골
116: 오접속 방지 홈 118: 오접속 방지 단차
120: 커플링부 120-1: 바디(body)부
120-2: 어댑터부 122: 단차
124: 플런저 126: 스프링
127: 오링 128: 유체이동통로
129: 오링 130: 고정부
132: 홀 134: 나사산
140: 잠금부 142, 143: 홀
144: 나사산 150: 호스
152: 확관된 부분 153: 테프론층
154: 스테인레스 스틸층 155: PP 직조층
156: 금속 슬리브층 157: 와이어층
158: 와이어 보호층 159: 쿠션층
160: 잠금 볼트 170: 와셔 슬리브
300: 나사결합용 공구 310: 본체부
320: 돌기부 330: 손잡이부
400: 유체이송용 수커플러 440: 잠금부
440-1: 나사결합되는 부분 440-2: 연장된 링 형상
440-3: 플랜지 형상 442, 443:홀
444: 나사산 500:유체이송용 암커플러
700: 자동연결장치 716: 오접속 방지 돌출부
720: 수커플러 장착 레버 750: 수커플러가 걸리는 부분
800: 암커플러 지지용 4각 플랜지
Claims (10)
- 내주면에 원주 방향의 단차 및 나선 방향의 나사골을 포함하는 너트부;
외주면에 상기 너트부의 단차에 부합되는 단차를 포함하고, 커플링(coupling)된 경우에 전면과 후면 사이의 유체이동통로가 개방되는 커플링부;
외주면에 상기 너트부의 나사골과 결합되는 나사산을 포함하고, 내부로 상기 커플링부의 후면을 통해 상기 커플링부의 유체이동통로와 연통하는 호스가 통과되며, 상기 너트부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호스의 확관(flaring)된 부분을 상기 커플링부의 후면에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외주면에 상기 너트부의 나사골과 결합되는 나사산을 포함하고, 내부로 상기 호스가 통과되며, 상기 너트부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고정부의 후면에 밀착고정되는 잠금부
를 포함하는 유체이송용 커플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너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부분의 후단에 원주 방향의 플랜지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용 커플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너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부분과 상기 플랜지 형상 사이에 상기 너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부분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연장된 링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용 커플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너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부분의 후면에 상기 잠금부의 나사결합시 사용되는 나사결합용 공구와 결합가능한 하나 이상의 홀(ho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용 커플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너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부분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하는 홀은 내주면에 나사골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이송용 커플러는 상기 관통하는 홀과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의 후면에 밀착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잠금 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용 커플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볼트는 무두(無頭)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용 커플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후면에 상기 고정부의 나사결합시 사용되는 나사결합용 공구와 결합가능한 하나 이상의 홀(ho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용 커플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의 확관된 부분에 상기 고정부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와셔 슬리브(washer sleev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용 커플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는
외주면에 상기 유체이송용 커플러의 오접속을 방지하기 위한 축 방향의 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용 커플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는
외주면에 상기 유체이송용 커플러의 오접속을 방지하기 위한 원주 방향의 단차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용 커플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8557A KR20140011734A (ko) | 2012-07-19 | 2012-07-19 | 유체이송용 커플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8557A KR20140011734A (ko) | 2012-07-19 | 2012-07-19 | 유체이송용 커플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1734A true KR20140011734A (ko) | 2014-01-29 |
Family
ID=50143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8557A KR20140011734A (ko) | 2012-07-19 | 2012-07-19 | 유체이송용 커플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11734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5002A (ko) | 2018-08-29 | 2020-03-10 | 김철원 | 유체이송 커플러용 접지장치 |
KR20200025017A (ko) | 2018-08-29 | 2020-03-10 | 김철원 |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 |
KR102254995B1 (ko) | 2019-11-22 | 2021-05-24 | 호산테크 주식회사 | 케미컬 이송용 커플러 수납장치 |
KR20220084889A (ko) | 2020-12-14 | 2022-06-21 | (주)동광엔지니어링 | 친환경 원터치 커플러 |
KR102488318B1 (ko) | 2022-08-27 | 2023-01-12 | 전성호 | 휨 부재 분절단에서 조립 가능한 소켓장치 |
KR20240030645A (ko) | 2022-08-31 | 2024-03-07 | (주)동광엔지니어링 | 원터치 결합 커플러 |
-
2012
- 2012-07-19 KR KR1020120078557A patent/KR20140011734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5002A (ko) | 2018-08-29 | 2020-03-10 | 김철원 | 유체이송 커플러용 접지장치 |
KR20200025017A (ko) | 2018-08-29 | 2020-03-10 | 김철원 | 유체이송 커플러에 사용하는 레버캠 |
KR102254995B1 (ko) | 2019-11-22 | 2021-05-24 | 호산테크 주식회사 | 케미컬 이송용 커플러 수납장치 |
KR20220084889A (ko) | 2020-12-14 | 2022-06-21 | (주)동광엔지니어링 | 친환경 원터치 커플러 |
KR102488318B1 (ko) | 2022-08-27 | 2023-01-12 | 전성호 | 휨 부재 분절단에서 조립 가능한 소켓장치 |
KR20240030645A (ko) | 2022-08-31 | 2024-03-07 | (주)동광엔지니어링 | 원터치 결합 커플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11734A (ko) | 유체이송용 커플러 | |
RU2581299C2 (ru) | Затянутый вручную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фитинг | |
US10047890B2 (en) | Quick connection coupling | |
CA3032192C (en) | Hybrid push-to-connect fitting device and assembly | |
US10865917B2 (en) | Plumbing fitting assemblies | |
US7942161B2 (en) | Push-fit valve with integrated mounting assembly | |
RU2766101C2 (ru) | Устройство в виде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части, компоновка и способ | |
US20080012314A1 (en) | Quick-connect fitting with unlocking ring | |
US9109727B1 (en) | Tool apparatus for use with a conduit union | |
US20080203723A1 (en) | Detachable pipe joint and joining method | |
US20080185842A1 (en) | Dual-mode connection device | |
US20100289260A1 (en) | Sanitary quick connector | |
US20150276110A1 (en) | Quick connect coupling | |
EP1178256A2 (en) | Universal Interlocking Fitting | |
EA017032B1 (ru) | Трубный фитинг | |
JP2010521630A (ja) | 雌ねじ継手に連結するための雄継手 | |
CN105003776B (zh) | 推入式连接配合集成密封结构、装置和方法 | |
KR20180030958A (ko) | 파이프 연결구 | |
US10876660B2 (en) | Retaining ring | |
US20030080563A1 (en) | Irrigation valve | |
GB2404956A (en) | A coupling arrangement having a removable locking member | |
FR2902855A1 (fr) | Raccord a fermeture rapide de tuyaux ou tuyauterie. | |
KR20200059646A (ko) | 원터치식 체결구조를 갖는 수전금구용 관체 연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