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451A - 소금채집장치 - Google Patents

소금채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451A
KR20140011451A KR1020120077563A KR20120077563A KR20140011451A KR 20140011451 A KR20140011451 A KR 20140011451A KR 1020120077563 A KR1020120077563 A KR 1020120077563A KR 20120077563 A KR20120077563 A KR 20120077563A KR 20140011451 A KR20140011451 A KR 20140011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outer disk
connecting member
moving
coll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태
Original Assignee
신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태 filed Critical 신영태
Priority to KR1020120077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1451A/ko
Publication of KR20140011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B65G29/02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for inclined or vertical trans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36Arrangements of motors
    • B62B5/004Arrangements of motors in whe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소금채집장치는 염전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하부에 형성된 개방부를 가지는 이동대차프레임; 상기 이동대차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대차프레임과 따로 회전가능한 회전축; 일측이 상기 회전축상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가능한 연결판;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판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판과 함께 회전가능한 원통형상의 외부원판; 상기 외부원판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외부원판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염전의 소금과 해수를 상기 이동대차프레임의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결부재; 상기 개방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에 따른 이동방향과 대응되어 상향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이동한 상기 소금 및 해수가 상부면을 따라 이동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한 소금을 저장하는 소금저장용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금채집장치{APPARATUS FOR TAKING A WAY AND LOADING SALT}
본 발명은 소금채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 형상의 외부원판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염전 바닥에 산재된 소금을 수집하여 소금저장용기에 적재하는 소금채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염전은 태양과 풍력 등의 자연력을 이용하여 바닷물을 증발 농축하여 소금을 생산하는 시설로서, 저수지, 증발지, 결정지를 구비한다. 염전의 모든 시설은 방조제방과 육수 침입 방지용 내제방에 의하여 외수와 단절된다. 저수지에서는 바닷물을 가두어 바닷물을 제염원료로 확보하고, 증발지에서 햇볕과 바람으로 물을 증발시켜 해수를 농축시키며, 결정지는 증발지의 하단에 위치하여 증발지에서 농축된 포하함수를 엷게 펴서 농축시키고, 소금을 결정석출시켜 채염한다. 바닷물은 저수지, 증발지와 결정지를 거치면서 소금이 석출된다.
또한, 소금은 해수를 염전으로 끌어와 바람과 태양열로 수분과 함께 유해성분을 증발시켜서 만든 가공되지 않은 천일염과, 바닷물을 전기분해하여 나트륨이온과 염소이온은 투과하는 이온수지막으로 불순물과 중금속 등을 제거하고 얻는 염화나트륨의 결정체인 정제염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소금이 생산되는 염전은 일정한 구역으로 분할 구획되는 제방을 쌓아 염전소로를 형성하고, 염전소로 상면에는 한 쌍의 레일로 이루어진 레일을 설치하며, 레일에 안착되어 바퀴를 통해 이동하는 소금운반용 대차가 구비되어 불할구획된 염전에서 생산된 소금을 소금운반용 대차에 적재하여 염전소로에 형성된 레일을 이용해 소금을 저장하는 소금저장창고까지 운반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연전의 소금 운반 시스템에서는 염전 바닥에서 생성된 소금을 작업자가 긁어 모아 수집하여 소금운반용 대차에 적재하게 되는데, 염전은 그 넓이가 넓기 때문에 염전 바닥에 산재된 소금을 일정한 위치로 긁어 모으는 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소금운반용 대차는 염전의 제방위에 위치되어 비교적 그 높이가 높기 때문에 수집된 소금을 퍼서 소금운반용 대차에 적재하는 작업은 매우 힘들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047149호 2011.07.06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원판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염전 바닥에 산재된 소금을 수집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원판과 연결부재 사이에 연통되는 배수구를 통해 소금과 소금물을 분리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소금채집장치는 염전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하부에 형성된 개방부를 가지는 이동대차프레임; 상기 이동대차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대차프레임과 따로 회전가능한 회전축; 일측이 상기 회전축상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가능한 연결판;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판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판과 함께 회전가능한 원통형상의 외부원판; 상기 외부원판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외부원판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염전의 소금과 해수를 상기 이동대차프레임의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결부재; 상기 개방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에 따른 이동방향과 대응되어 상향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이동한 상기 소금 및 해수가 상부면을 따라 이동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한 소금을 저장하는 소금저장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일변이 상기 외부원판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원판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일변과 나란한 타변이 상기 외부원판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전방판; 및 일변이 상기 전방판의 양측에 연결되며, 타변이 상기 외부원판의 외주면에 각각 고정되는 측판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판은 중심으로부터 양측을 향해 하향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부원판은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배수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소금채집장치는 일측이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위치하며, 타측이 상기 소금저장용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그리고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측을 향해 상향경사진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금채집장치의 외부원판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염전 바닥에 산재된 소금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외부원판과 연결부재 사이에 연통되는 배수구를 통해 소금과 소금물을 분리하여 수집된 소금을 소금저장용기에 적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금채집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소금 수집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소금채집장치가 소금을 수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배수구와 연결판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하는 ‘연결’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해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금채집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소금 수집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대차프레임(80)은 하단부에 바퀴(3)를 구비하며, 바퀴(3)는 이동대차프레임(8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이동대차프레임(80)은 바퀴(3)를 통해 이동가능하다. 소금채집장치(1)는 소금(5)을 수집하는 수집부(A)와 수집된 소금(5)을 이송하는 이송부(B) 및 이송된 소금을 적재하는 적재부(C)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대차프레임(80)의 하단부의 일측은 개방부(85)를 가지며, 이동대차프레임(80)의 개방부(85)를 통해 수집부(A)가 돌출되어 염전의 소금(5)을 수집가능하다. 수집부(A)는 이동대차프레임(80)의 내면에 고정설치되는 회전축(10)을 포함한다. 회전축(10)은 외부전원에 연결된 모터(도시안함)에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회전축(10)은 단면적이 원형일 수 있으며, 일정한 폭을 가지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판(20)의 일단부는 회전축(10)의 외주면에 각각 복수개가 기립설치되며, 연결판(20)의 타단부에는 원통 형상의 외부원판(40)이 설치된다. 외부원판(40)은 롤(roll)처럼 면적이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외부원판(4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연결부재(30)가 설치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30)는 외부원판(4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전방판(33) 및 전방판(33)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외부원판(40)의 외주면에 고정설치되는 측판(37)들을 포함한다. 전방판(33)은 일변이 외부원판(40)에 연결되어 외부원판(4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변과 나란한 타변은 외부원판(4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측판(37)들은 전방판(33)과 외부원판(40) 사이에 연결되어 연결부재(30)는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30)는 회전축(10)과 함께 회전하여 개방부(85)를 통해 돌출됨으로써 염전의 소금(5) 및 해수(7)를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 염전의 소금(5)이 완전히 건조되지 않아 해수(7)와 함께 혼합되어 있을 경우에는 연결부재(30)에 의해 소금(5) 및 해수(7)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에 의해 염전의 해수(7)와 혼합된 소금(5) 중 해수(7)를 배출하기 위해 연결부재(30)와 외부원판(40)이 연통되는 복수개의 배수구(45)가 설치되어 해수(7)는 연결부재(30)가 회전함에 따라 배수구(45)를 따라 배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대차프레임(80)은 받침대(60)가 설치된다. 받침대(60)는 연결부재(30)에 의해 이동된 해수(7)와 소금(5)을 컨베이어(5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받침대(60)는 이동대차프레임(80)의 개방된 하부를 향해 설치되며, 연결부재(30)의 회전 동선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수집된 소금(5)을 적재하는 적재부(C)는 소금저장용기(70) 일 수 있으며, 소금저장용기(70)와 받침대(60) 사이에는 이송부(B)가 설치된다. 이송부(B)는 컨베이어(50)로 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30)가 회전함에 따라 연결부재(30) 및 받침대(60)를 따라 이동된 소금(5) 및 해수(7)는 컨베이어(50)에 의해 소금저장용기(70)로 적재가능하다.
컨베이어(50)의 일측은 받침대(60)의 하부에 연결되며, 타측은 소금저장용기(70)의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30)에 의해 이송된 소금(5) 및 해수(7)는 받침대(60) 및 컨베이어(50)를 거쳐 해수(7)의 일부는 배출되며, 연결부재(30)로 이송된 해수(7)는 외부원판(40)에 형성된 배수구(45)에 의해 배출된다. 즉, 해수(7)는 대부분 배출되며, 소금(5)은 컨베이어(50)를 통해 소금저장용기(70)로 이송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금채집장치(1)는 이동대차프레임(80) 상에 설치되어 회전가능한 수집부(A)에 의해 염전의 소금(5)을 수집하여 컨베이어(50)를 따라 소금저장용기(70)로 적재된다. 이어지는 도 3 내지 도 7을 통해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소금채집장치가 소금을 수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연결부재의 대기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소금채집장치(1)의 연결부재(30)는 이동대차프레임(80)의 개방된 하부에 돌출되어 회전가능하여 염전의 소금(5)과 맞닿아 소금(5)을 수집할 수 있다. 이동대차프레임(80)의 하단부에는 바퀴(C)가 설치되어 염전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회전축(10)은 모터가 연결되어 일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회전축(10)의 외주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연결판(20)에 연결된 외부원판(40) 및 외부원판(40)의 외주면에 고정설치되는 연결부재(30) 또한 회전축(10)의 회전과 함께 회전가능하다. 이동대차프레임(80)의 개방부(85)를 향해 설치된 받침대(60)와 이동대차프레임(80)의 내측에 설치된 소금저장용기(70) 사이에 설치된 컨베이어(50) 또한, 모터(도시안함)와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도 4 및 도 5는 연결부재가 소금 및 해수를 수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염전의 소금(5)은 연결부재(30)에 맞닿아 연결부재(30)에 의해 수집되며, 연결부재(30)의 회전방향과 대응된 형상의 받침대(60)에 의해 안내되어 안정적으로 이송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염전의 소금(5)이 완전히 건조되지 않아 해수(7)와 함께 혼합되어 있을 경우에는 연결부재(30)에 의해 소금(5) 및 해수(7)가 함께 수집될 수 있다. 따라서, 소금(5)은 연결부재(30) 및 받침대(60)를 따라 컨베이어(50)를 향해 이송되며, 해수(7)는 연결부재(30)와 외부원판(40) 사이에 연통된 배수구(4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금(5) 및 해수(7)는 받침대(60)를 따라 이동하며, 해수(7) 중 일부는 받침대(60)의 경사를 따라 염전 바닥으로 흐른다. 또한, 해수 중 일부는 연결부재(30)와 외부원판(40) 사이에 연통된 배수구(4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금(5)은 연결부재(30)와 받침대(60)에 의해 컨베이어(50)로 운반된다. 운반된 소금(5)은 컨베이어(50)에 안착되어 소금저장용기로 운송되어 소금저장용기(70)에 적재된다. 반면, 해수(7)는 배수구(45)를 통해 배출되며, 소금(5)에 포함된 해수(7)는 경사진 컨베이어(50)를 통해 염전 바닥으로 흘러 소금저장용기(70)에는 대부분의 해수(7)를 거른 상태의 소금(5)이 적재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수(7)와 혼합된 소금(5) 중 해수(7)를 배출하기 위해 연결부재(30)와 외부원판(40)이 연통되는 복수개의 배수구(45)가 설치되어 해수(7)는 연결부재(30)가 회전함에 따라 배수구(45)를 따라 배출될 수 있다. 이어지는 도 7을 통해 해수(7)를 배수구(45)를 따라 배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배수구와 연결판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구(45)는 연결부재(30)와 외부원판(40) 사이에 연통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금(5)과 해수(7)는 연결부재(30)의 회전에 의해 수집되어 일방향으로 이송된다. 일정무게를 지닌 소금(5)은 연결부재(30) 및 받침대(60)를 따라 컨베이어(50)를 향해 이송되지만, 액체상태의 해수(7)는 연결부재(30)가 회전함에 따라 연결부재(30)의 내부공간을 따라 흘러 배수구(45)를 통해 배출된다. 해수(7)는 회전축(10)과 외부원판(40)을 연결하는 연결판(20)을 향해 낙하되며, 연결판(20)은 연결판(20)의 중심으로부터 양측을 향해 하향경사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회전축(10)의 외부를 향해 해수(7)를 배출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수(7)와 분리된 소금(5)만을 채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금채집장치(1)를 사용함으로써 염전 바닥에서 생성되는 소금(5)을 작업자가 긁어 모아 수집하여 소금운방용 대차에 적재하는 노동력과 시간을 감소할 수 있으며, 소금 결정지에서 소금(5)을 채집하는 경우 자동으로 소금(5)을 거둬들여 단시간에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소금(5)을 거둬들일 수 있다. 또한, 자동화로 인해 적은 인력으로도 대량의 소금(5)을 채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에 따른 인건비 절감 등의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소금채집장치 5 : 소금
10 : 회전축 20 : 연결판
30 : 연결부재 33 : 전방판
37 : 측판 40 : 외부원판
45 : 배수구 50 : 컨베이어
60 : 받침대 70 : 소금저장용기
80 : 이동대차프레임 85 : 개방부

Claims (5)

  1. 염전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하부에 형성된 개방부를 가지는 이동대차프레임;
    상기 이동대차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대차프레임과 따로 회전가능한 회전축;
    일측이 상기 회전축상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가능한 연결판;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판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판과 함께 회전가능한 원통형상의 외부원판;
    상기 외부원판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외부원판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염전의 소금과 해수를 상기 이동대차프레임의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결부재;
    상기 개방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에 따른 이동방향과 대응되어 상향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이동한 상기 소금 및 해수가 상부면을 따라 이동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한 소금을 저장하는 소금저장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채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변이 상기 외부원판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원판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일변과 나란한 타변이 상기 외부원판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전방판; 및
    일변이 상기 전방판의 양측에 연결되며, 타변이 상기 외부원판의 외주면에 각각 고정되는 측판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채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중심으로부터 양측을 향해 하향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채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원판은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배수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채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채집장치는,
    일측이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위치하며, 타측이 상기 소금저장용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그리고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측을 향해 상향경사진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채집장치.
KR1020120077563A 2012-07-17 2012-07-17 소금채집장치 KR20140011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563A KR20140011451A (ko) 2012-07-17 2012-07-17 소금채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563A KR20140011451A (ko) 2012-07-17 2012-07-17 소금채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451A true KR20140011451A (ko) 2014-01-28

Family

ID=5014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563A KR20140011451A (ko) 2012-07-17 2012-07-17 소금채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14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3427A (zh) * 2016-06-14 2016-08-24 大连盐化集团有限公司 海盐运输系统
CN110937382A (zh) * 2019-12-10 2020-03-31 太湖县裕顺防水工程有限公司 一种旋转式茶叶提升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3427A (zh) * 2016-06-14 2016-08-24 大连盐化集团有限公司 海盐运输系统
CN110937382A (zh) * 2019-12-10 2020-03-31 太湖县裕顺防水工程有限公司 一种旋转式茶叶提升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992B1 (ko) 염전구역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비트를 이용한 소금 자동 채염장치
CN100535433C (zh) 利用河水水流或海水水流的发电装置
KR20140011451A (ko) 소금채집장치
KR100855362B1 (ko)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RU2761348C2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ных пространств
KR20190013074A (ko) 친환경 식물공장
US11161753B1 (en) Solar-powered autonomous robotic water surface maintenance and cleaning system
CN205399372U (zh) 一种水电站拦污清理装置
KR200443278Y1 (ko) 소금 수집 및 적재 장치
KR101907679B1 (ko) 채염기
CN107311250A (zh) 水藻一体化处理设备
KR101775222B1 (ko) 수상 회전식 태양광 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CN207013341U (zh) 一种阳极炭块表面整体清刷装置
KR200472753Y1 (ko) 접이식 소비판 수납상자
CN206859192U (zh) 一种湖面清污装置
CN214090070U (zh) 一种水利工程清淤装置
KR20160051176A (ko)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CN212103975U (zh) 一种液面漂浮物捞取设备
CN210140449U (zh) 一种便携式海水淡化装置
IL301928A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a 24x7 solar thermal-based atmospheric water generator using desiccants
KR20150141468A (ko) 염전구역에서 주행 가능한 천일염 채취기
CN111727774A (zh) 一种便于回收雨水的农业大棚
KR102056750B1 (ko)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CN211275354U (zh) 一种无机氟化物加工用干燥筛分装置
CN213975521U (zh) 一种垃圾分类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