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012A -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012A
KR20140011012A KR1020120058303A KR20120058303A KR20140011012A KR 20140011012 A KR20140011012 A KR 20140011012A KR 1020120058303 A KR1020120058303 A KR 1020120058303A KR 20120058303 A KR20120058303 A KR 20120058303A KR 20140011012 A KR20140011012 A KR 20140011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gital system
owner
rights holder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김대진
심충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씽크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씽크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씽크풀
Priority to KR1020120058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1012A/ko
Publication of KR20140011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2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 G06F21/121Restricting unauthorised execution of programs
    • G06F21/123Restricting unauthorised execution of programs by using dedicated hardware, e.g. dongles, smart cards, cryptographic processors, global positioning systems [GP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 G06F21/77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in smart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by operating on the power supply, e.g. enabling or disabling power-on, sleep or resume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8Detecting or preventing theft or lo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ultimedia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현재 권리자 또는 이전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 기록하고 있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독출하거나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권리자 메모리 영역의 접근을 통제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은 기록된 데이터가 삭제되지 않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Digital system having righ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pplication system, and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및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디지털 시스템이 권리자를 식별할 수 있는 권리자 식별정보를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이용한 정당한 인증이 가능해질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통상 범용의 형태를 가지는 디지털 시스템에 권리자를 식별할 수 있는 권리자 식별정보를 부여함으로써 범용의 기기를 개별 특정하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많은 디지털 시스템들(예컨대, PC, 타블렛, 네비게이션, 뮤직 플레이어, 카메라, 모바일 폰, 차량용 디지털 시스템, IPTV, 디지털TV 등)이 널리 판매 및 사용되고 있다.
특히 IT 기술들은 소형화 및 컨버전스(convergence) 화 되면서, 디지털 시스템들은 어느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능들을 가지면서도 사용자가 휴대하기 편하도록 제작 및 유통되고 있다.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예컨대, 스마트 폰 등)의 경우, 원래의 통신기능뿐만 아니라 카메라, 정보저장장치, 뱅킹(결제, 이체 등)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복합적 기능들을 모두 수행하면서도 소자들의 집적화 등을 통해 이러한 디지털 시스템은 사용자들이 휴대하기 충분할 정도의 크기로 소형화되고 있다.
디지털 시스템들은 다양한 기능들의 컨버전스와 소형화가 되면서 단순히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역할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들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디지털 시스템들은 이처럼 사용자 개인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장치이지만, 원칙적으로 사용자에 대해서는 범용성 있게 구현된다(즉, 누구나 사용가능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즉, 디지털 시스템은 불특정 다수가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므로 정당한 소유권과 관련하여 분쟁의 여지를 가지게 되고 디지털 시스템을 습득하거나 훔친 부정한 사용자는 정당한 권리자가 원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시스템을 부정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정당한 소유권과 관련한 분쟁의 마땅한 해결 수단은 없는 것이 현실이고, 다만 부당하게 습득한 디지털 시스템에 의한 부당한 인증이나 사용 등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식들이 일부 제공되고 있다. 부정한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미리 설정된 인증정보를 통해 인증이 되어야만 상기 디지털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즉, 특정 정보(인증정보)를 알고 있는 자(소유하고 있는 자)를 정당한 사용자로 취급하는 방식이었다. 예컨대, 로그인 정보(ID, Password 등), 비밀번호나 패턴 정보 등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이 그러한 예이다. 이러한 정보 기반의 인증방식은 해당 정보가 타인에게 알려지거나 유출되는 경우에는 인증기능으로서 전혀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일부 종래의 인증방식 중 하나로서 디바이스(device) 식별정보를 이용한 디바이스 인증방식이 공지된 바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 인증방식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가 누구인지와는 무관하게 특정 디바이스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제공 측에서는 서비스 제공이 허용된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서비스를 요청하는 디바이스(예컨대, 디지털 시스템)의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된 디바이스 식별정보에 해당하는지를 검사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인증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서비스를 이용하는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것이지, 디바이스의 권리자(예컨대, 소유주)를 인증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특정 디바이스 식별정보가 서비스 제공 측에 등록되어 있다면, 상기 특정 디바이스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디바이스(디지털 시스템)를 통해서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확인하거나 인증할 수는 없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 형태의 다양화 및 서비스 분야별 필요에 의해 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청자의 권리(예컨대, 소유권, 사용권 등)가 인정되는 디지털 시스템에게만 서비스를 허락하는 개념의 인증방식이 필요할 수도 있다. 예컨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측은 해당 계정의 사용자 명의로 인정되는 디바이스(디지털 시스템)에게만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서비스 정책을 세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계정은 사용자 1의 계정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계정을 통해 소정의 디바이스가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1의 디바이스인 경우에만 서비스를 허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형식의 서비스뿐만 아니라, 디지털 시스템 자체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권리자가 누구인지 명확하게 기록되어 유지될 수 있고, 이러한 정보가 부정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조 또는 위조될 수 없다면 다양한 기능의 실현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도난당한다 하더라도 불법 이용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도난의 위험성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점유에 상관없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정당한 권리자가 누구인지를 알 수 있어 소유권과 관련한 분쟁의 여지를 없앨 수 있다.
결국, 디지털 시스템의 권리자(예컨대, 소유주)의 식별정보를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미리 기록해두고, 이러한 식별정보를 부정 사용자가 용이하게 변조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기록된 권리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권리자만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면 부정사용이나 도난의 위험성은 현격히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시스템의 권리자(예컨대, 소유주)의 식별정보를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미리 기록해둠으로써, 디지털 시스템의 소유권 관련 분쟁도 쉽게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디지털 시스템에 미리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권리자의 식별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상기 권리자만이 정상적으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기록된 권리자 식별정보를 부정한 사용자가 용이하게 변조하지 못하도록 구현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하드웨어를 물리적으로 디지털 시스템에서 분리 또는 교체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도록 하고 잔여가치를 크게 낮춤으로써,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대한 도용의 의지를 약화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디지털 시스템이 누구나 사용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소유권 분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거나 도난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디지털 시스템을 중고품으로 매매하는 경우 등 정당한 방식으로 그 소유권을 제3자에게 양도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경우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변경이 쉽지 않게 기록된 권리자 식별정보이지만 용이하게 그 소유권을 양도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현재 권리자 또는 이전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 기록하고 있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독출하거나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권리자 메모리 영역의 접근을 통제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은 기록된 데이터가 삭제되지 않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현재 권리자 또는 이전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 기록하고 있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독출하거나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권리자 메모리 영역의 접근을 통제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구비된 소정의 제1하드웨어에 내장된 메모리 장치 또는, 소정의 제2하드웨어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메모리 장치로 구현되며, 상기 제1하드웨어는 분해할 수 없도록 제조되거나, 상기 제2하드웨어에 결합된 상기 메모리 장치를 상기 제2하드웨어에서 분리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구현되거나, 상기 제1하드웨어 또는 제2하드웨어는 교체 불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현재 권리자 또는 이전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 기록하고 있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독출하거나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권리자 메모리 영역의 접근을 통제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장치로 미리 설정된 소정의 페어장치와 페어링이 되는 경우 또는 미리 결정된 외부 시스템을 통해 인증을 받고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인증이 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에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기록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설정된 소정의 인증정보가 입력되어야,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저장하거나,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장치와 페어링이 되지 않는 경우 페어링이 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소정의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구비된 음성출력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음성출력 설정과 관계없이 일정한 음성출력 크기 이상으로 상기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장치와 페어링이 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파워오프 요청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인증정보를 요청하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인증정보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상기 디지털 시스템을 파워오프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장치로 미리 설정된 소정의 페어장치와 페어링이 되는 경우에만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저장하거나,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변경하는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착탈되지 않도록 구현되는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구비된 소정의 제1하드웨어에 내장된 메모리 장치이거나, 소정의 제2하드웨어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메모리 장치로 구현되며, 상기 제1하드웨어는 분해할 수 없도록 제조되거나, 상기 제2하드웨어에 결합된 상기 메모리 장치를 상기 제2하드웨어에서 분리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구현되거나, 상기 제1하드웨어 또는 제2하드웨어는 교체 불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하드웨어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구비된 타 하드웨어와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리자 메모리 영역 중 현재의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메모리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웹 서버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는 상기 웹 서버에 의해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스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록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접근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접근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된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스에 의해 접근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디지털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현재 권리자 또는 이전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 기록하고 있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독출하거나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권리자 영역의 접근을 통제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에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을 비활성화시키고, 소정의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를 통해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에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되는 경우에 비활성화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현재 권리자 또는 이전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 기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저장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독출하거나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권리자 메모리 영역의 접근을 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시스템은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은 기록된 데이터가 삭제되지 않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은 디지털 시스템이 현재 권리자 또는 이전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저장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독출하거나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권리자 메모리 영역의 접근을 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현재 권리자 또는 이전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구비된 소정의 제1하드웨어에 내장된 메모리 장치 또는, 소정의 제2하드웨어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메모리 장치에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하드웨어는 분해할 수 없도록 제조되거나, 상기 제2하드웨어에 결합된 상기 메모리 장치를 상기 제2하드웨어에서 분리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구현되거나, 상기 제1하드웨어 또는 제2하드웨어는 교체 불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현재 권리자 또는 이전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 기록하거나 기록되어 있는 권리자 식별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저장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독출하거나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권리자 메모리 영역의 접근을 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현재 권리자 또는 이전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 기록하거나 기록되어 있는 권리자 식별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장치로 미리 설정된 소정의 페어장치와 페어링이 되는 경우 또는 미리 결정된 외부 시스템을 통해 인증을 받고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인증이 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지털 시스템에 의하면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정당한 권리자의 식별정보를 저장 및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정당한 권리자만이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또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하드웨어에 기록된 권리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이나 결제 등 다양한 사용자 식별에 이용될 수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을 부정한 방식으로 이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다양한 서비스의 구현이 가능해질 수 있다. 예컨대, 디지털 시스템에 권리자 식별정보 A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A 명의로 요청되는 서비스(결제, 로그인 등)만이 허용되도록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다. A가 아닌 B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을 습득하여 임의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B 명의의 서비스라 하더라도 상기 디지털 시스템을 전혀 이용하지 못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디지털 시스템의 도난이나 악의적 사용의 의도를 사전적으로 감퇴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지털 시스템에 의하면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정당한 권리자의 식별정보를 저장 및 유지할 수 있으므로, 디지털 시스템이 범용적으로 구현됨으로써 즉, 누구나 디지털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면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소유권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뮤직 플레이어나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범용적 형태의 디지털 시스템은 단순히 점유에 의해 소유권의 분쟁이 야기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지털 시스템은 정당한 권리자의 식별정보가 저장 및 유지될 수 있으므로 그 점유로 인한 소유권 분쟁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지털 시스템에 의하면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정당한 권리자의 식별정보를 저장 및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대한 상기 정당한 권리자의 친근감과 소유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권리자에 의해 정상적으로 양도되는 경우에만 상기 권리자의 식별정보가 변경될 수 있고, 또한 변경되는 경우에도 소유주의 히스토리 정보가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정상적인 소유주 변경을 용이하게 수행하면서도 그 소유주의 히스토리를 추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기 위한 도면의 개략적인 설명은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에 따른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를 수행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의 메모리부가 타 하드웨어에 내장되거나 타 하드웨어와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당한 권리자만이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소정의 서비스 시스템(300)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페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디지털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원래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정의된 기능을 수행하거나, 사용자가 요구하는 결과를 산출하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예컨대, 컴퓨터(데스크 탑, 노트북, 태블릿 PC 등), 모바일 폰, MP3, 네비게이션, 셋탑박스, 자동차 등 차량에 탑재된 데이터 처리 시스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가진 디지털 TV, 디지털 유무선 전화기,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디지털 디바이스 등 다양한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장착한 시스템일 수도 있지만 기존의 장치에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새롭게 장착하는 시스템일 수도 있다. 예컨대, 자전거나 오토바이 등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장착하고 있지 않던 장치에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가 장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그대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예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모바일 폰인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될 수는 없다.
상기 서비스 시스템(300)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 처리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서비스 시스템(30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요청하는(request) 기능 또는 자원에 대해 해당 기능 또는 자원을 제공할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자원을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 및/또는 기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시스템(300)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함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 응답 및/또는 자원을 전송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요청을 수행하기 위해 타 시스템과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서비스 시스템(300)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제공하는 소정의 서비스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상기 서비스 시스템(300) 및/또는 상기 서비스 시스템(300)이 제공하는 소정의 웹 페이지나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을 수행하도록 하는 서비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소정의 네트워크(예컨대, 3G망, 4G 망 등의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네트워크 접속 서비스 등 구현 예에 따라 매우 다양해질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페어장치(200)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페어장치(200)와 페어링(pairing) 즉, 소정의 방식으로 통신이 가능하여야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정당한 권리자가 페어장치(200)를 획득하기 위한 경로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최초로 구입할 때 미리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페어를 이루는 상기 페어장치(200)가 정당한 권리자에게 지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페어장치(200)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제조사에서 미리 제조되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유통하는 업체에 배포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유통업체가 배포하거나 최초 사용자가 상기 페어장치(200)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최초로 소정의 사용자에게 구입될 때에는 상기 페어장치(200)가 특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상기 페어장치(200)가 상기 사용자의 것이라고 특정되기 위해 일정 기간(예컨대, 며칠 이상)이 걸리는 경우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페어장치(200)가 소정의 금융거래 수단(예컨대, 신용카드나 신분증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상기 페어장치(200)의 발급에 통상 일정기간이 걸릴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페어장치(200)를 보유하고 있다 하더라도 사후적으로 해당 시스템에 접속하여 페어링 설정절차를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유통사가 직접 발급을 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유통사가 임시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페어를 이루는 임시 페어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소정의 외부 시스템(예컨대, 공인된 기관의 시스템, 이동통신사 시스템, 제조사 시스템, 클라우딩 시스템 등)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인증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를 수행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고, 이러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페어장치(2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가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별로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모바일 폰, 태블릿 PC 등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디지털 장치인 경우,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권리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사 시스템이 상기 외부 시스템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제조사, 또는 클라우딩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다양한 형태의 조직이 운영하는 시스템일 수도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대응되는 페어장치(200)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상기 외부 시스템을 통해 소정의 인증절차가 수행된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가 페어링이 되지 않아도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가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가 페어링이 되는 경우 또는 상기 외부 시스템을 통해 소정의 인증절차가 수행된 경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최초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될 때에는 예외적으로 페어장치(200)와 페어링이 되지 않아도 권리자 식별정보가 설정절차가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최초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되는 경우는 통상 정당한 권리자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정당한 권리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대응되는 페어장치(200)가 특정되지 않은 상황 또는 특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페어장치(200)를 선택하여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페어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페어를 이룰 수 있는 장치가 이미 사용자에게 적어도 1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대응되는 페어장치(200)가 특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별도의 인증절차 없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설치된 소정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상기 페어장치(200)를 특정할 수 있도록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절차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구매할 때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대응되는 페어장치(200)가 존재하는 상황에서도 사용자는 원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장치를 변경하고자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현재의 페어장치(200)와 페어링이 되는 경우에만 사용자가 새로운 페어장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페어장치(200)의 설정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서 제공되는 소정의 UI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페어장치(200)의 식별정보를 직접 입력하도록 하거나,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소정의 장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장치를 상기 페어장치(200)로 설정할지 여부를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디지털 시스템(100)의 최초 구입시 또는 사용시가 아니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장치(200)가 설정되는 경우는, 예컨대, 소정의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구입하거나 정당한 권리자로부터 양도받은 후, 자신이 이미 보유하고 있고 일반적으로 휴대하고 다니는 소정의 장치(예컨대, 신용카드나 전자주민증 등 본인인증이 가능한 스마트카드 장치)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페어장치(200)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일 수 있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장치는 상기 페어장치(200)와 페어링이 될 수 있도록 소정의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현된 장치임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사용자가 페어링 기능이 없는 상기 장치를 페어링 기능이 있는 장치로 교환해 줄 것을 상기 장치의 발급기관에 요청할 수도 있다.
상기 페어장치(200)와 페어링(pairing)이 되어야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권리자 식별정보를 새롭게 기록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소정의 외부 시스템을 통한 인증절차를 거쳐야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시스템을 통한 인증절차의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를 인식하고 확인할 수 있는 소정의 증빙서류나 자료를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 제출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고, 현재 온라인상에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방식(예컨대, 주소나 주민번호 등의 확인), 공인인증서를 통한 인증, 또는 유선상으로 사용자와 통화를 통해 소정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식, 클라우딩 시스템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권리자 식별정보의 변동이 쉽게 이루어지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배치되므로 페어링 구성 등 강화된 방식에 의해 권리자 식별정보 변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권리 변동이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디지털 시스템은 권리자 식별정보가 입력될 수 있고, 입력된 권리자 식별정보는 쉽게 변경되거나 제거될 수 없다. 그런데 정상적인 거래 등에 의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을 타인에게 양도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권리자 식별정보를 변경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때 페어링장치(200) 등에 의해 정당 권리자임을 확인하고 권리의 양도, 즉 권리자 식별정보의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페어장치(200)와 페어링이 되어야만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 또는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는 예컨대, 소정의 RF 통신을 통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기타 RF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가 페어링이 되기 위해서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는 소정의 거리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통신이 되도록 상기 통신 프로토콜이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는 동일한 사람이 소유하고 있는 경우에만 페어링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페어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가 페어링이 된다고 함은, 적어도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이용 또는 점유하고 있는 자가 상기 페어장치(200) 역시 점유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가 페어링이 된다고 함은, 적어도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현재 이용하는 자는 상기 페어장치(200)를 점유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페어링 상태에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현재 이용하고 있는 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권리자일 확률이 매우 높음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가 페어링이 되기 위해서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는 상기 페어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소정의 통신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통신수단(미도시)은 예컨대, 동일인이 소유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가 서로 통신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수단(미도시)은 일정 거리(예컨대, 10cm, 수 m 등)에서 상기 페어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간의 통신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에 따라, 페어링이 가능한 거리 및/또는 환경은 달라질 수 있음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간의 통신은 예컨대, 블루투스, NFC, 적외선 통신, 광통신 등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통신을 위한 통신장치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 및 상기 페어장치(20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는 RF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무선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페어장치(200) 역시 자체 전력 공급원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시스템일 수 있다. 한편, 지그비 통신의 경우에는 블루투스에 비해 저전력으로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이외에도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는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예컨대, IrDA, UWB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의 종류에 따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 및 상기 페어장치(200)에는 해당 무선통신에 필요한 환경을 위한 소정의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페어장치(200)는 자체적인 전력 공급원이 없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부터 출력된 RF 시그널에 의해 구동되는 시스템일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페어장치(200)는 RF 태그 또는 상기 RF 태그를 포함하는 IC 칩, 또는 상기 IC 칩을 포함하는 소정의 스마트 카드(IC 카드) 등으로 구현되거나, 상기 RF 태그 또는 IC 칩을 포함하는 소정의 데이처 처리 시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RF 태그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리더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소정의 RF 시그널을 출력하여, 상기 페어장치(200)를 검색하거나, 상기 페어장치(200)에 저장된 소정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출력 전력에 따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간의 통신거리는 다양해질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즉,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가 통신하는 방식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를 페어링시키기 위해 소정의 거리내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를 위치시켜야 할 수도 있다.
상기 페어장치(200)는 금융거래를 위한 금융거래 수단(예컨대, 신용카드, 체크카드, 보안카드, OTP(One Time Password) 장치 등), 신분증(예컨대, 주민등록증, 사원증, 전자여권, ID카드 등)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페어장치(200) 역시 소정의 데이터 처리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페어장치(200)와 페어링이 된 경우에,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권리자 식별정보가 정당한 권리를 가지지 않은 사람에 의해서는 용이하게 기록되거나 변경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정당한 권리자는 간편하게(즉, 페어장치(200)를 소지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새로운 권리자 식별정보를 입력하거나 기록되어 있는 권리자 식별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최초로 사용자에게 판매될 때뿐만 아니라, 정당한 권리자에 의해 사용되던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타인에게 양도될 때에도 용이하게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현재 권리자의 식별정보를 계속하여 기록하고 있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 및/또는 상기 페어장치(200)는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를 위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페어링의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알람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 및/또는 상기 페어장치(200)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는 일반적으로 페어링이 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페어링이 유지되는 상태는 정당한 권리자에 의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가 보유되고 있는 경우일 수 있으며,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페어장치(200)와 페어링이 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일정한 주기로 상기 페어장치(200)와 통신을 시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가 페어링이 되고 있다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상기 페어장치(200)와 페어링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 및/또는 상기 페어장치(200)는 소정의 알람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알람신호는 예컨대, 소정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가 통신이 되지 않는 상황 즉, 어느 하나를 분실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알람을 줄 수도 있다. 또한, 부정 사용자가 무단으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 및/또는 상기 페어장치(200) 중 어느 하나를 절취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알람신호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 및/또는 상기 페어장치(200)의 음성출력 설정(예컨대, 매너모드, 무음모드, 또는 음성출력 크기가 일정크기보다 작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등)과 관계없이 일정한 출력크기 이상으로 소정의 음성출력장치(예컨대, 스피커 등)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제어부(110)는 이를 위해 상기 음성출력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 및/또는 상기 페어장치(200)를 무단으로 절취하는 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 및/또는 상기 페어장치(200)가 출력하는 알람신호가 타인에게 들리지 않기 위한 시도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일정 크기 이상의 알람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러한 알람신호가 계속 출력되는 경우에는 부정 사용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 및/또는 상기 페어장치(200)를 파워오프하기 위한 시도를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포함된 상기 제어부(110)는 파워오프 시에도 소정의 인증정보(예컨대, 비밀번호 또는 비밀패턴 등)의 입력을 요구하고, 이러한 인증정보를 통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만 파워오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은 특히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 및/또는 상기 페어장치(200)의 배터리가 사용자에 의해 착탈되지 않도록 구현되는 경우에 부정 사용자에 의해 무단으로 절취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정당한 권리자에 의해 이러한 알람신호 출력기능 또는 인증을 통한 파워오프 기능은 선택적을 활성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정당한 권리자가 의식적으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 및/또는 상기 페어장치(200) 중 어느 하나만을 보유하는 경우에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도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제어부(110) 및 메모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권리자 식별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소유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자 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정당하게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자를 의미할 수 있다. 기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법률적 또는 사실적 상태에 따라 다양한 권리를 갖는 사람이 권리자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권리자는 소유권을 가진 자 즉, 소유자인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특정 기업에서 직원에게 제공하는 디지털 시스템(100)은 소유권은 상기 특정 기업에 있고, 사용권은 상기 직원에게 있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위해서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저장된 권리자 식별정보는 상기 직원에 상응하는 식별정보일 수도 있다. 또는 특정기업과 직원 정보가 함께 식별정보로서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특히 서비스 시스템(300)이 기업 내부망이거나 특정 기업이나 조직에 소속된 개인에게만 접속이 허용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권리자 식별정보는 소유권, 사용권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는 권리자의 이름일 수 있다. 하지만, 이름 이외에도 상기 권리자를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정보(예컨대, 주민번호, 여권번호, 생체정보(지문, 홍체, 음성 정보 등), 애칭이나 별칭 등)일 수도 있다.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생체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소정의 장치가 구비되어야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름이나 별칭 등과 같이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는 반드시 사람별로 유니크(unique)한 정보일 필요도 없다. 왜냐하면, 이름은 동명이인이 존재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과 효과는 단지 디바이스의 정당한 권리자가 누구인지가 구분되고 이러한 식별정보가 서비스 시스템(300) 의해 인증수단으로 유의미하게 활용되면 족한 것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판매 또는 유통될 때에는 어떠한 권리자 식별정보도 기록하지 않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일정 권리(소유권)를 갖게 된 경우에 최초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특정 사용자의 소유가 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소유주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하드웨어에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기록된 소유주 식별정보 즉, 권리자 식별정보는 유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삭제 또는 변경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허가된 시스템(또는 사람)만이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에 억세스(access) 되고, 허가된 시스템(또는 사람)만이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수정(삭제 또는 변경)할 수 있음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억세스(access)의 제어는 후술할 바와 같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제어부(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모든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스에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의 억세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의 수정은 불가능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권리자 식별정보의 수정의 불가능은 물리적으로, 또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구현 예에 의하면, 상기 메모리부(120)에 새로운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되는 경우에는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의 기록을 요청하는 주체의 정당성(즉, 권리자가 실제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소유 또는 사용할 권리가 있는 경우)이 인증된 경우에만,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또는 수정)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되면,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 또는 서비스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특정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할 때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음성으로 출력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훔치거나 부정하게 사용하려는 자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사용할 때마다 정당한 권리자 식별정보가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부정 사용의 의지 또는 도용의 의지 자체를 약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도 부정 사용의 의지 또는 도용의 의지 자체를 약화시킬 수도 있고, 점유에 의한 소유권 분쟁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소정의 웹 서버 즉, 서비스 시스템(300)에 로그인, 결제, 또는 다양한 웹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시스템(300)은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 요청만을 허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명의자에게만 서비스를 허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사용자 1의 식별정보인 경우, 상기 서비스 시스템(300)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통해서는 상기 사용자 1의 계정에만 로그인을 허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1 명의의 금융거래만 허용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되고,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는 부정 사용자에 의해 변경 또는 삭제되지 않도록 하며, 만약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메모리부(120)에 기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아예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 또는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는 경우에는, 권리자 식별정보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 또는 서비스의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메모리부(120) 또는 상기 메모리부(120)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자체를 부정 사용자가 교체 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서 분리하지 못하도록 구현하거나, 교체 또는 분리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의 무결성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상기 메모리부(120)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서 착탈되지 않도록 구현되거나, 소정의 하드웨어(예컨대, CPU 또는 MPU 등)에 내장되도록 구현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20) 또는 상기 메모리부(120)를 포함한 하드웨어(예컨대, CPU 또는 MPU 등)가 타 하드웨어(예컨대, 메인보드 등)와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모리부(120) 또는 상기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예컨대, CPU 또는 MPU 등)만을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서 분리하거나 교체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부정 사용자가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없애기 위해 상기 하드웨어(예컨대, CPU 또는 MPU 등)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드웨어(예컨대, CPU 또는 MPU 등)와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타 하드웨어(예컨대, 메인보드 등)까지 교체하여야 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가격 대비 상당한 규모의 비용이 소모되게 함으로써 아예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도난 또는 도용을 하고자 하는 의지를 약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는 복수의 메모리 디바이스들이 존재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디바이스가 상기 메모리부(120)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는 복수의 메모리 디바이스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메모리 디바이스들의 일 예는, SD(Secure Digital)카드, 미니 SD 카드, 마이크로 SD카드, SSD(Solid State Drive), HDD(Hard Disk Drive), 램, 롬,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포함된 하드웨어 디바이스들(예컨대, CPU, 그래픽 장치, 네트워크 장치, 통신칩 등) 각각에 내장된 각종 메모리들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포함된 하드웨어 디바이스의 종류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는 이처럼 복수의 메모리 디바이스 중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부(130)는 내장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내부에 장착된 내장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내부에 장착되었다 함은, 소유주 또는 소유주가 아닌 다른 사람이 상기 내장 메모리를 탈착할 수 없거나, 탈착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분해하여야 하는 등의 과도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제조되어 판매 또는 유통될 때, 일반 유저에게 허용되거나 허용을 예정한 방식으로는 상기 내장 메모리의 제거나 분리를 할 수 없도록 구현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하우징에 분리 가능한 소정의 오픈부(예컨대, 핸드폰 배터리 덮개 등)가 포함된 경우, 상기 오픈부가 분리되어도 상기 내장 메모리의 제거나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핸드폰의 USIM 카드와 같이 일반적인 유저가 착탈할 수 있도록 구현된 메모리가 아닌,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내장 메모리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포함된 시스템 메모리 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소정의 하드웨어(예컨대, CPU 등) 자체 내에 구비된 내장 메모리 등일 수 있다. 이처럼 소정의 하드웨어의 내장 메모리에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저장됨으로써,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습득하거나 훔친 자 등의 부정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상기 내장 메모리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으로부터 분리 또는 교체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소정의 하드웨어에 구비된 내장 메모리에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저장된 경우에는 부정 사용자는 상기 하드웨어 자체를 교체하고자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하드웨어 자체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지 못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하드웨어의 교체에 많은 비용이 들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포함되며,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저장된 내장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1하드웨어(예컨대, CPU 등)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다른 제2하드웨어(예컨대, 메인보드(기판) 등)와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구현함으로써, 상기 제1하드웨어를 물리적으로 상기 제2하드웨어와 분리하는 경우 상기 제1하드웨어와 상기 제2하드웨어 중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는 손상되고 대체될 수 없게 하여 상기 제1하드웨어 및/또는 상기 제2하드웨어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시스템(100)이 메인보드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메인보드에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다양한 하드웨어 디바이스들이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자체 또는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하드웨어가 상기 메인보드에 일체형으로 결합됨으로 인해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내장 메모리라 함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탁찰되지 않도록 구현되는 메모리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일 예로는 상기 메모리가 소정의 다른 하드웨어(예컨대, 메인보드 등)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경우, 또는 상기 메모리가 다른 하드웨어(예컨대, CPU 등)에 내장되어 구비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하드웨어(예컨대, CPU 등)에 내장되어 구비되는 경우, 상기 다른 하드웨어 역시 소정의 하드웨어(예컨대, 메인보드 등)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하드웨어는 구현 예에 따라 CPU 또는 MPU뿐만 아니라, 메모리를 내장하는 어떠한 하드웨어도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장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는 유저가 소프트웨어적으로 삭제 또는 변경을 할 수 없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유저가 소정의 유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접근할 수 없는 영역에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저장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는 한 번 기록되면 기록된 정보가 변경될 수 없고, 추가적인 정보의 기입만 가능하도록 구현되거나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는 메모리일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메모리는 정보의 변경 또는 삭제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의 변경, 삭제, 또는 상기 메모리에 추가적인 정보의 기입 등과 같은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는 소정의 조건(예컨대, 비밀번호의 입력 등)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조건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미리 설정된 페어장치(200)와 페어링되는 경우일 수도 있다.
또한, 교체를 한다고 하더라도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 또는 기능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만이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기록할 때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는 소정의 해시 값 또는 CRC 코드 등을 같이 기록하고, 상기 해시 값 또는 CRC 코드를 산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공인된 특정 기관(또는 시스템), 또는 특정 인증기관(또는 시스템)만 알 수 있도록 한다면, 부정 사용자가 상기 메모리부(120)를 임의로 교체하여도 유효성 있는 권리자 식별정보를 기록할 수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물론, 정당 권리자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공인된 특정 기관(또는 시스템)을 이용하여서만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20)에 기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20)에 기록하기 위한 소정의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조건은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주체 또는 상황이 정당한 권리자에 의한 것인지 또는 정당한 권리자의 요청에 의한 것인 경우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조건은 소정의 인증정보(예컨대, 비밀번호 또는 비밀패턴 등)를 통한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일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미리 정의된 소정의 페어장치(200)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페어링이 되는 경우일 수도 있다.
상기 인증정보를 이용하는 경우는 상기 인증정보는 정당한 권리자만이 알 수 있다는 가정하에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를 수행하는 경우일 수 있다.
먼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제조사로부터 최초로 출고되는 시점에서는 상기 메모리부(120)에는 어떠한 권리자 식별정보도 기록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메모리부(120)에 어떠한 권리자 식별정보도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을 제어하거나 디스에이블 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정상적으로 특정 사용자에게 판매가 되고, 상기 특정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상기 메모리부(120)에 기록되는 경우에만 정상적으로 모든 기능 또는 구성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만약, 상기 메모리부(120)가 부정한 방식으로 교체되는 경우에도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부정한 사용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거나 디스에이블(disable) 또는 비활성화되는 구성 또는 기능은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만약, 최초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구매한 상기 특정 사용자가 자신의 식별정보를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미리 설정된 기본 인증정보를 입력한 후 자신의 식별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인증정보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판매하는 판매자만이 알 수 있거나, 최초로 구매한 특정 사용자만이 알 수 있도록 유통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구매하고, 특정 봉인을 풀거나 스티커를 제거하면 상기 특정 사용자는 상기 기본 인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특정 사용자만이 상기 기본 인증정보를 입력하고, 자신의 식별정보 즉, 권리자 식별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기본 인증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UI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인증정보를 이용한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의 인증의 경우에는 최초 구매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미리 설정된 기본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이후에는 상기 구매자에 의해 설정된 인증정보를 통해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의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인증정보를 알고 있는 자(즉, 정당한 권리자로 추측되는 자)에 의해서만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인증정보를 이용한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의 인증은 상기 인증정보가 유출되거나 공격자에 의해 탐지되는 경우에는 인증의 기능이 무용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의 인증은 전술한 바와 같은 페어장치(200)를 이용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페어장치(200)는 물론,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정당한 권리자에게만 지급되어 보유된다는 가정하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페어장치(200)를 이용한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의 인증의 일 예는 도 3에 도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에 따른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를 수행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최초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구매한 사용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페어링을 이루도록 설정된 상기 페어장치(200)를 판매자 또는 유통자로부터 지급받을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페어장치(200)를 제조회사가 생산단계에서부터 공급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구입하거나 지니고 다닐 수 있는 장치(예컨대, 페어링 기능이 가능한 스마트카드 등)일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가 페어링이 되는 경우에만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는 상기 페어장치(200)의 식별정보가 미리 기록되어 있을 수 있으며, 기록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페어장치(200)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의해 탐색되고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페어장치(200)와 페어링이 수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페어장치(200)에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식별정보가 기록되고,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자신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페어장치(200)와 통신이 되는 경우에만 페어링이 수행되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이처럼, 페어링이 수행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를 위한 기능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UI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가 수행하는 통신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 또는 상기 페어장치(200)를 상기 페어장치(200) 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키는 행위를 수행하여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페어장치(200)를 소유하고 있는 경우에만,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어장치(200)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권리자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변경된 권리자에게 양도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페어장치(200)가 있는 상태에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권리자가 변경되고 상기 페어장치(200)는 변경된 권리자에게 양도되지 않고 변경된 권리자가 새로운 페어장치를 다양한 형태를 통해 구비할 수도 있다. 예컨대, 모바일 폰 판매점 등 양도를 인증 받을 수 있는 곳을 통해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디지털 시스템(100)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장치(200)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기존 페어장치(200)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페어 해제한 후 정당 양수인의 페어장치를 새로운 페어장치로 등록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장치의 식별정보를 입력받음으로써 상기 페어장치와 페어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페어장치의 식별정보의 입력은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OS가 제공하는 소정의 UI를 통해 정당 권리자가 직접 수행하거나,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페어를 이룰 페어장치로부터 페어장치의 식별정보를 통신을 통해 수신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새로운 페어장치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페어가 되는 상기 페어장치(200)가 되고 기존의 페어장치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페어설정이 해제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특히 본인인증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카드 등 개인이 각자 지니고 다닐 수 있는 장치가 페어장치로 사용되는 경우 더욱 용이하게 적용되어질 수 있다. 특히, 본인인증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카드 등 개인이 지니고 다닐 수 있는 장치가 복수 개 존재하고, 페어장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더욱 용이하게 적용되어질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페어장치를 복수 개 등록해두고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페어링을 수행하는 상기 페어장치(200)를 필요시마다 선택되도록 구현되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페어장치(200)를 소유하고 있는 자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권리자로 취급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 입력이나 변경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반면에, 부정 사용자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과 상기 페어장치(200)를 모두 점유하고 있지 않는 이상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 입력이나 변경절차를 수행할 수 없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 입력 단계에서는 소정의 기준에 의한 입력방식에 의해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입력되어지고,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 변경 단계에서는 상기 페어장치(200)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이 페어링이 되어야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 변경절차가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권리자 식별정보가 입력이 되고 난 다음에 그 변경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의 변경절차에 보다 강력한 보안성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를 통해 새로운 권리자 식별정보의 입력만 받도록 구현될 수도 있지만,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를 통해 기존에 기록된 권리자 식별정보의 수정 또는 삭제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를 통해 기존의 권리자 식별정보의 수정 또는 변경이 가능한지 여부는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되는 메모리부(120)의 구현 예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메모리부(120)는 권리자 식별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권리자 메모리 영역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 각각은 데이터가 한 번 기록만 될 수 있으며, 삭제 또는 변경이 되지 않도록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으로 상기의 기능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에 해당하는 메모리 소자는 한 번 기록만 될 수 있는 소정의 메모리 소자(예컨대, PROM 등)로 구현될 수 있다. 한 번 기록만 가능하고, 삭제 또는 변경이 되지 않는 메모리 소자의 일 예는 다양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상기 메모리 소자(예컨대, PROM)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메모리 소자(예컨대, PROM)와 소정의 다른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의 억세스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에 접근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하고자 하는 리퀘스트를 차단함으로써 소프트웨어적으로도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에는 기록만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부(120)에 포함된 메모리 소자는 기록, 삭제, 및 변경이 가능한 다양한 메모리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에 기록된 권리자 식별정보의 삭제 또는 변경을 허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삭제 또는 변경은 전술한 바와 같이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만 가능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메모리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권리자 메모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메모리부(120)는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되는 제1영역(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상기 제1영역(121)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권리자 식별정보 외에 소정의 응용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는 제2영역(122)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영역(121)은 적어도 하나의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권리자 메모리 영역(예컨대, 121-1, 121-2, 12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권리자 메모리 영역(예컨대, 121-1, 121-2, 121-3 등)은 각각 기록된 권리자 식별정보(예컨대, 권리자 식별정보 1, 2, 또는 3)가 현재의 권리자의 식별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소정의 지정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예컨대, 12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정정보가 특정 값(예컨대, 1)을 갖는 권리자 메모리 영역(예컨대, 121-3)에 기록된 권리자 식별정보가 현재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일 수 있다.
상기 지정정보는 반드시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구비된 어떠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지정정보는 현재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메모리 영역의 주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유효성 코드가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예컨대, 121-1, 121-2, 121-3 등) 각각에 더 기록될 수도 있다. 상기 유효성 코드는 예컨대,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유효한 권리자 식별정보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소정의 값(예컨대, 해시 값, CRC 코드 등) 또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효성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예컨대, 121-1, 121-2, 121-3 등) 각각에 기록된 권리자 식별정보가 정상적인 방식 또는 인가된 방식으로 기록된 권리자 식별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메모리부(120)에 기록된 권리자 식별정보는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의 인증, 삭제 또는 변경을 허용하지 않는 기능, 또는 허용된 주체 또는 방식에 의해서만 삭제 또는 변경을 허용하도록 함으로써 무결성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무결성이 유지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상기 메모리부(120)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서 용이하게 분리되거나 교체될 수 있는 경우에는 부정 사용자에 의한 악의적 사용이 가능해질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물리적으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메모리부(120)의 교체 또는 분리가 용이하지 않거나 불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4에 도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의 메모리부가 타 하드웨어에 내장되거나 타 하드웨어와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제어부(110) 및 상기 메모리부(120) 외에 타 하드웨어(예컨대, 메인보드 등, 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상기 타 하드웨어(예컨대, 메인보드, 130)는 메인보드인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메모리부(120)는 소정의 하드웨어(예컨대, CPU 또는 MPU를 포함하는 칩, 10)에 내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110) 및 상기 메모리부(120)는 원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부정 사용자는 상기 메모리부(120)만을 분리할 수 없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메모리부(120)는 소정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지는 않더라도 다른 하드웨어(예컨대, 메인보드(13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부(120)와 상기 하드웨어(예컨대, 메인보드(130))를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부(120)와 상기 하드웨어(예컨대, 메인보드(13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예컨대, 연결선, 데이터 버스 등)가 끊어져서 상기 메모리부(120) 및 상기 하드웨어(예컨대, 메인보드(130))를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메모리부(120)는 소정의 하드웨어(예컨대, CPU 칩, 10) 등에 내장되고, 상기 하드웨어(예컨대, CPU 칩, 10)가 타 하드웨어(예컨대, 상기 메인보드(13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되는 메모리부(120)는 소정의 하드웨어에 내장되거나, 소정의 하드웨어와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상기 메모리부(120)를 포함하는 하드웨어가 타 하드웨어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물리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부정 사용자는 과도한 비용을 소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도난 또는 도용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권리자의 식별정보가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메모리부(120)에 기록되고,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는 부정 사용자가 (용이하게) 삭제 또는 변경하지 못하도록 구현되는 경우에는 다양한 서비스 또는 기능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5에 도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당한 권리자만이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소정의 웹 서버 또는 서비스 시스템(300)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서비스 시스템(300)으로 소정의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는 예컨대, 로그인 요청, 로그인 후에 상기 서비스 시스템(3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또는 결제나 이체 등의 다양한 금융거래 서비스 등, 상기 서비스 시스템(3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은 상기 서비스를 요청할 때 또는 요청한 후에 상기 메모리부(120)에 기록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상기 서비스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시스템(300)은 전송된 권리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300)은 다양한 서비스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의 소유주(또는 기타 권리자)의 명의로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 요청자의 식별정보가 디지털 시스템(100)을 통해 입력하는 식별정보(예컨대, ID 등)가 아니라,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권리자 식별정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디지털 시스템(100)의 권리자가 아닌 부정 사용자가 부정 사용자의 명의 즉, 계정으로 상기 서비스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더라도, 상기 서비스 시스템(300)은 서비스를 거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을 통해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 요청자가 실제로 누구인지(예컨대, 소유주, 훔친 자, 습득자 등)와는 관계없이, 상기 서비스 시스템(300)은 권리자 식별정보를 서비스 요청자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서비스 요청자는 로그인 ID 등을 입력할 필요가 없이, 단순히 패스워드 등의 인증정보만을 입력하여 로그인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하는 명의자를 선택하지 못하므로, 항상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계정 또는 명의로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타인의 디지털 시스템을 자신의 시스템으로 악용하고자 하는 의도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개인정보를 도용하거나 악용하고자 하는 자가 권리자 명의의 디지털 시스템(100)을 보유하지 못한 이상 개인정보를 도용하였다 하더라도 이를 악용하지 못하므로 원천적으로 개인정보를 도용하거나 악용하고자 하는 의도 자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20)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100)에 포함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유저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에 접근하여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스의 화이트 리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스만이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에 접근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해 유통되거나 전송될 때 공격자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스에 의해 변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의 기록, 유지/관리에서의 무결성뿐만 아니라,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의 이용에 대한 무결성도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원천적으로 공격자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스가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권리자 메모리 영역(예컨대, 121-1, 121-2, 121-3 등)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권리자 식별정보의 무결성은 더욱 안전하게 보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디지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현재 권리자 또는 이전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 기록하고 있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독출하거나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권리자 메모리 영역의 접근을 통제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은 기록된 데이터가 삭제되지 않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2. 디지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현재 권리자 또는 이전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 기록하고 있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독출하거나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권리자 메모리 영역의 접근을 통제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구비된 소정의 제1하드웨어에 내장된 메모리 장치 또는, 소정의 제2하드웨어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메모리 장치로 구현되며,
    상기 제1하드웨어는 분해할 수 없도록 제조되거나, 상기 제2하드웨어에 결합된 상기 메모리 장치를 상기 제2하드웨어에서 분리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구현되거나, 상기 제1하드웨어 또는 제2하드웨어는 교체 불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3. 디지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현재 권리자 또는 이전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 기록하고 있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독출하거나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권리자 메모리 영역의 접근을 통제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장치로 미리 설정된 소정의 페어장치와 페어링이 되는 경우 또는 미리 결정된 외부 시스템을 통해 인증을 받고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인증이 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에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기록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설정된 소정의 인증정보가 입력되어야,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저장하거나,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변경하는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를 수행하는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6.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장치와 페어링이 되지 않는 경우 페어링이 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소정의 알람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구비된 음성출력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음성출력 설정과 관계없이 일정한 음성출력 크기 이상으로 상기 알람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8.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장치와 페어링이 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파워오프 요청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인증정보를 요청하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인증정보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상기 디지털 시스템을 파워오프하도록 제어하는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장치로 미리 설정된 소정의 페어장치와 페어링이 되는 경우에만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저장하거나,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변경하는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착탈되지 않도록 구현되는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구비된 소정의 제1하드웨어에 내장된 메모리 장치이거나, 소정의 제2하드웨어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메모리 장치로 구현되며,
    상기 제1하드웨어는 분해할 수 없도록 제조되거나, 상기 제2하드웨어에 결합된 상기 메모리 장치를 상기 제2하드웨어에서 분리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구현되거나, 상기 제1하드웨어 또는 제2하드웨어는 교체 불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드웨어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구비된 타 하드웨어와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13. 제 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권리자 메모리 영역 중 현재의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메모리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정보를 저장하는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1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웹 서버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는,
    상기 웹 서버에 의해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15.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스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록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접근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접근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된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스에 의해 접근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17. 디지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현재 권리자 또는 이전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 기록하고 있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독출하거나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권리자 영역의 접근을 통제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에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을 비활성화시키고,
    소정의 권리자 식별정보 설정절차를 통해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에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되는 경우에 비활성화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18.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현재 권리자 또는 이전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 기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저장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독출하거나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권리자 메모리 영역의 접근을 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시스템은,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상기 권리자 메모리 영역은 기록된 데이터가 삭제되지 않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
  19.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현재 권리자 또는 이전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저장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독출하거나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권리자 메모리 영역의 접근을 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현재 권리자 또는 이전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에 구비된 소정의 제1하드웨어에 내장된 메모리 장치 또는, 소정의 제2하드웨어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메모리 장치에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하드웨어는 분해할 수 없도록 제조되거나, 상기 제2하드웨어에 결합된 상기 메모리 장치를 상기 제2하드웨어에서 분리하면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구현되거나, 상기 제1하드웨어 또는 제2하드웨어는 교체 불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
  20.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현재 권리자 또는 이전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 기록하거나 기록되어 있는 권리자 식별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저장된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를 독출하거나 상기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권리자 메모리 영역의 접근을 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현재 권리자 또는 이전 권리자의 권리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 기록하거나 기록되어 있는 권리자 식별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시스템이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장치로 미리 설정된 소정의 페어장치와 페어링이 되는 경우 또는 미리 결정된 외부 시스템을 통해 인증을 받고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인증이 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제공방법.
KR1020120058303A 2012-05-31 2012-05-31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400110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303A KR20140011012A (ko) 2012-05-31 2012-05-31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303A KR20140011012A (ko) 2012-05-31 2012-05-31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012A true KR20140011012A (ko) 2014-01-28

Family

ID=50143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303A KR20140011012A (ko) 2012-05-31 2012-05-31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10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8480B2 (en) Authenticator centralization and protection based on authenticator type and authentication policy
US11664997B2 (en) Authentication in ubiquitous environment
US10397780B2 (en) Anonymous authentication and remote wireless token access
KR101829266B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인증
KR20140007251A (ko)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11449631B2 (en)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personal inform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226918B1 (ko) 페어링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248130B1 (ko)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385723B1 (ko) 금융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시스템,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 시스템, 및 금융거래 방법
KR101437050B1 (ko) 페어링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40011012A (ko)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30135034A (ko)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502800B1 (ko)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응용 시스템, 및 서비스 시스템
WO2006024991A1 (en) A method and system of authenticating access to a domain using a user identify card
KR20140083935A (ko) 권리자 식별정보가 기록된 디지털 시스템, 응용 시스템, 및 서비스 시스템
KR20130141131A (ko) 분실 예방 가능한 보안 디지털 시스템, 상기 보안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30126446A (ko) 금융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시스템, 상기 디지털 시스템과 페어를 이루는 페어 시스템, 및 금융거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