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0834A -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0834A
KR20140010834A KR1020120077964A KR20120077964A KR20140010834A KR 20140010834 A KR20140010834 A KR 20140010834A KR 1020120077964 A KR1020120077964 A KR 1020120077964A KR 20120077964 A KR20120077964 A KR 20120077964A KR 20140010834 A KR20140010834 A KR 20140010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peaker
display device
sound
tele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석구
Original Assignee
경석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석구 filed Critical 경석구
Priority to KR1020120077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0834A/ko
Publication of KR20140010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3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5Transducer mountings or cabinet supports enabling variable orientation of transducer of cabi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40Details of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covered by H04R1/4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403Linear arrays of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부 전면에는 음향이 전방으로 출력되도록 전방을 향해 설치되는 다수의 제 1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SPEAKER SYSTEM INSTALL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텔레비전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를 용이하게 장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가 전방을 향해 출력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텔레비전(television)은 브라운관 텔레비전에서 Plasma 텔레비전, LCD 텔레비전, LED 텔레비전, Smart 텔레비전으로 그 기술이 날로 발전해 오면서 텔레비전 프레임이 점점 더 대형화, 평면화, 슬림화 되었다.
하지만, 텔레비전의 화면 기술이 날로 발전하는 것에 비해, 텔레비전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Sound, 음향) 기술은 화면기술만큼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텔레비전 자체의 사운드를 풍부하고 강력하게 출력시키기 위해서는 출력이 큰 스피커를 사용해야 한다.
스피커는 앰프로부터 들어오는 전기적인 형태의 에너지를 "소리"라는 음향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일종의 에너지 변환기이다.
스피커는 크게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자기회로,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Voice Coil) 등으로 구성된 진동부, 자기회로와 진동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나눌 수 있다.
출력이 큰 스피커는 대체적으로 스피커의 크기가 커지게 되나, 텔레비전 프레임이 슬림화됨에 따라, 출력이 큰 스피커를 슬림한 텔레비전 프레임에 내장하기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 개발된 필름형 스피커는 자기회로 없이 필름 형태의 진동판 자체에서 소리를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얇은 공간에서도 동작이 가능하지만, 아직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에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에 그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최근에 개발된 텔레비전은 스피커를 최대한 작게 만들고, TV 프레임의 하면이나 후면에 설치되되, 텔레비전의 바닥이나 후면을 향해 음향이 출력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텔레비전 프레임에 내장된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전방으로 직접 방출되지 못하고, 텔레비전 프레임이 설치된 하 방향의 바닥이나, 텔레비전 프레임이 설치된 벽면에 일차적으로 반사된 후, 복잡한 반사 경로를 거쳐 비로소 시청자에게 도달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음의 크기나 에너지가 많이 감소하고, 정보가 왜곡되어 전체적인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처럼, 종래에는 텔레비전의 슬림화에 따라, 텔레비전 프레임에 내장 설치되는 자체 스피커의 성능이 떨어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홈시어터 개념의 AV 시스템(audio visual system) 별도로 구매하여 텔레비전과 연결해 사용하였으나, 이 또한 AV 시스템이 고가라는 문제가 있으며, 5.1ch, 6.1ch, 7.1ch과 같이 다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복잡한 구성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설치가 번거로워 음향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에게는 사용이 힘든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텔레비전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를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콤팩트하도록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부 전면에는 음향이 전방으로 출력되도록 전방을 향해 설치되는 다수의 제 1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제 1 스피커는 상기 본체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하단부 전면에는 음향이 전방으로 출력되도록 전방을 향해 설치되는 다수의 제 2 스피커;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 2 스피커는 상기 본체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지면에 대해 직각되게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상기 본체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스피커를 상기 본체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인입/인출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입/인출 유닛은 상기 스피커의 측방에 고정 설치된 실린더; 일측은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고, 타측은 상기 본체 내에 고정되는 로드; 상기 실린더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크; 상기 본체에 내에 설치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래크에 맞물려진 피니언;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기 스피커가 상기 본체의 좌우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상기 본체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음향 출력을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신호 감지시,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구동제어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 감지시,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동작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 상기 안착홈의 하측에 형성된 음향 유입구와, 상기 본체 하단부 전면에 형성된 음향 배출구와, 상기 음향 유입구와 상기 음향 배출구를 연결하되 상기 음향유입구로부터 상기 음향 배출구로 갈수록 확장되는 음향 이동 유로를 구비한 음향 확성부;를 포함하여, 상기 안착홈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하방향으로 출력되는 음향이 상기 음향 확성부를 거쳐 확성되면서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방향 전환되어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체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손쉽게 장착하여, 음향을 전방을 향하도록 출력함으로써, 시청자가 보다 양질의 음향을 청취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피커가 본체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는 구조이므로,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을 콤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본체 내에 인입시킴으로써, 스피커를 오염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즉, 텔레비전을 켜면, 텔레비전으로부터 나오는 음향에 따라, 자동으로 스피커가 본체로부터 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텔레비전의 음향에 따라, 다단의 스피커가 단계적으로 본체로부터 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 레벨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에서 스피커 모듈이 본체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에서 스피커 모듈이 본체에 인입 또는 인출시키기 위한 인입/인출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인입/인출 유닛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의 구성블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10)을 설명한다.
상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모니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텔레비전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10)은 벽걸이 타입으로서, 본체(11)와, 제 1 스피커(13a,13b)를 포함한다.
본체(11)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11) 중앙에는 전면을 향해 개방된 안착홈(12)이 형성된다. 안착홈(12)에는 통상의 텔레비전(미도시)이 장착되는 공간으로서, 텔레비전(미도시)는 안착홈(12)에 전방에서 삽입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과 같이, 안착홈(12)의 상부도 개방되게 형성되어, 텔레비전(미도시)으로 안착홈(12)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안착홈(12)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체(11)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텔레비전(미도시)을 장착할 수 있는 안착홈(12)이 형성될 수만 있으면, 다양한 형태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 1 스피커(13a,13b)는 본체(11)의 양측부 전면에 각각 설치되되, 음향이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해 설치된다.
제 1 스피커(13a,13b)는 좌우 스피커 기능을 하며, 각각은 다수개로 구성되어, 도 1과 같이, 본체(11)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텔레비전(미도시)을 안착홈(12)에 장착하게 되면, 제 1 스피커(13a,13b)가 텔레비전(미도시)의 양측을 감싸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1)에는 음성입력단자 및 조정부(21), 증폭부(23)가 마련된다.
음성입력단자 및 조정부(21)는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고, 음성입력단자 및 조정부(21)가 증폭부(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증폭부(23)는 제 1 스피커(13a,1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텔레비전(미도시)을 안착홈(12)에 장착하고, 텔레비전(미도시)의 음성출력단자(5)를 본체(11)에 설치된 음성 입력단자(21) 단자에 오디오 케이블(미도시)로 연결하면, 텔레비전(미도시)의 음향이 스피커(13a,13b)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조정부(21)는 누름 방식 또는 다이얼 방식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증폭부(23)를 제어하여 스피커(13a,13b)의 출력을 조절한다.
다만, 상기에서는 텔레비전의 음성출력단자(5)를 본체(11)에 설치된 음성입력단자(21)와 오디오 케이블(미도시)로 연결하는 유선방식이 적용된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그비, 블루투스, WIFI, 적외선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텔레비전의 음성출력을 본체(11)의 스피커(13a,13b)로 출력할 수 있는 구성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10)은 본체(11)의 안착홈(12)에 텔레비전(미도시)을 장착하고, 텔레비전(미도시)의 음향이 스피커(13a,13b)를 통해 본체(11)의 전방 즉, 텔레비전(미도시)의 전방을 향해 출력됨으로써, 음향이 바닥이나 벽면에 반사되어 왜곡되지 않고, 시청자에게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정보가 왜곡되지 않고 양질의 음향이 전달되게 된다.
특히, 본체(11)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1 스피커(13a,13b)가 본체(11)의 안착홈(12) 양측에서 전방을 향해 설치되는 구조로서, 하나의 일체로 모듈 형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콤팩트할 뿐 아니라,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체(11)의 후면에는 벽걸이 형태로 벽체에 고정할 수 있는 고리나 걸림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10)은 도 1과 같이, 제 2 스피커(13c)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제 2 스피커(13c)는 본체(11)의 하단부 전면에 각각 설치되되, 음향이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해 설치된다. 제 2 스피커(13c)는 저음 보강용 우퍼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다수개로 구성되어, 도 1과 같이, 본체(11)의 좌우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 2 스피커(13c)도 제 1 스피커(13a,13b)와 마찬가지로, 본체(11)에 내장된 증폭부(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2 스피커(13c)를 통해 텔레비전(미도시)의 음향이 본체(11)의 전방을 향해 출력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10)은 도 2와 같이, 음성입력단자(21)가 아이폰, 아이패드, 스마트폰, MP3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7)의 음성출력단자와 유선방식에 의해 연결되거나, 또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휴대형 단말기(7)의 음향이 제 1 스피커(13a,13b) 또는 제 2 스피커(13c)를 통해 본체(11)의 전방을 향해 출력되게 할 수 있다. 본체(11)의 전방에 있는 사람은 양호한 음질을 들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10')을 설명한다.
제 2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10')은 스탠드 타입으로서, 벽걸이 타입의 제 1 실시 예에 비해, 제 2 스피커(13c)가 설치되지 않고, 본체(11)의 하단에 본체(11)에 직각되게 지지판(14)을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체(11)는 넘어지지 않고 지지판(14)에 의해 지면에 대해 직각되게 지지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10'')은 스탠드 타입 텔레비전(2)의 상부를 통해 씌워 사용하는 포켓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체(11')에는 하부가 개방되도록 슬릿(11a)이 형성되어 스탠드 타입 텔레비전(2)이 슬릿(11a)에 끼워지도록 본체(11')를 텔레비전(2)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30)을 설명한다.
제 3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30)은 본체(31)와, 상기 본체(31)로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제 1 및 제 2 스피커 모듈(34a,35a,334b,35b)을 포함한다.
본체(31)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31) 중앙에는 전면을 향해 개방된 안착홈(32)이 형성된다. 안착홈(12)은 통상의 텔레비전(미도시)이 장착되는 공간이다.
제 1 및 제 2 스피커 모듈(34a,35a,34b,35b)은 본체(31)의 개방된 좌우 양측면을 통해 본체(31) 내부로 인입되거나 본체(31)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 모듈이란, 스피커 케이싱(34a-1)에 스피커(34a-2)가 결합된 모듈형태의 스피커를 의미한다.
제 1 스피커 모듈(34a,35a)은 본체(31)의 좌측에 설치되고, 제 2 스피커 모듈(34b,35b)은 음향이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스피커가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제 1 스피커 모듈(34a,35a)과 제 2 스피커 모듈(34b,35b)은 본체(31)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방향만 반대이며, 나머지는 구조는 동일하므로 제 1 스피커 모듈(34a,35a)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1 스피커 모듈(34a,35a)의 두 개의 스피커 모듈이 서로 연결된 형태이며, 각각은 다수의 스피커(34a-2,35a-2)가 스피커 케이스(34a-1,35a-1)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다만, 하나의 스피커 모듈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제 1 스피커 모듈(34a,35b)은 도 5와 같이, 본체(31)의 좌측단을 통해 본체(31) 내부로 인입되거나, 도 6과 같이, 본체(31)의 개방된 좌측단으로부터 인출되어, 본체(31)로부터 돌출된 형태가 된다. 제 1 스피커 모듈(34a,35a)이 본체(31)로부터 인출된 경우에는 스피커들(34a-2,45a-2)들이 본체(31)의 전방을 향하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30)은 본체(31)의 하단부를 통해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제 3 스피커 모듈(34c)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30)은 제 1 및 제 2 스피커 모듈(34a,35a,34b,35b)을 본체(31)에 인입 또는 인출시키기 위하여 본체(31)에 내장설치되는 인입/인출 유닛(50)을 더 구성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인입/인출 유닛(50)은 제 1 및 제 2 스피커 모듈(34a,34b)에 각각 설치되나, 구조가 동일하므로 제 1 스피커 모듈(34a)과 본체(31)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인입/인출 유닛(50)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인입/인출 유닛(50)은 실린더(51), 로드(53), 레크(54)와, 피니언(56) 및, 구동부재인 스텝 모터(55)를 포함한다.
실린더(51)는 측단이 제 1 스피커 모듈(34)의 내측면 즉, 스피커 케이싱(34a-1)에 결합되고, 로드(53)는 일 측단이 실린더(51)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설치되고, 타측단은 본체(31) 내부에 고정설치된 브라켓(38)에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제 1 스피커 모듈(34)은 본체(31)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때, 실린더(51)와 로드(53)가 제 1 스피커 모듈(34)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보조 실린더(51')와 보조 로드(53')를 설치할 수 있다.
레크(54)는 실린더(51)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피니언(56)은 본체(31)의 내부에 고정설치된 스텝 모더(55)에 회전축에 설치되며, 레크(54)와 피니언(56)은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제 1 스피커 모듈(34)은 본체(31)의 좌우 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스피커 모듈(34)은 본체(31)의 측방을 통해 본체(31)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본체(31)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의 인입/인출 유닛(50)을 제 3 스피커 모듈(34c)에 적용하여 제 3 스피커 모듈(34c)이 본체(31)의 하단에 인입 또는 인출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7과 같은 인입/인출 유닛(50) 이외에도 도 8과 같이 유압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입/인출 유닛(60)은 메인 시린더(61), 측방 실린더(62), 가동 피스톤 로드(63), 메인 피스톤 로드(65), 나사산(66), 회전판(67), 모터(68)를 포함한다.
메인 실린더(61)는 본체(31)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설치되며, 측방 실린더(62)는 메인 실린더(61)의 측방으로 연장되며, 메인 실린더(6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가동 피스톤 로드(63)는 일측이 제 1 및 제 2 스피커 모듈(34a,34b)에 고정되고, 타측은 측방 실린더(62)에 삽입되어, 측방 실린더(62)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메인 피스톤 로드(65)는 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메인 실린더(61)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메인 피스톤 로드(65)의 상하 이동에 따라 메인 실린더(61) 내의 유체를 측방 실린더(61)에 넣거나 측방 실린더(61)로부터 메인 실린더(61)로 빼낸다.
나사산(66)은 메인 피스톤 로드(65)의 내주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나사산(66)의 내부에는 나사산(66)과 나사방식으로 체결된 회전판(67)이 형성된다.
회전판(67)의 회전에 따라, 나사산(66)이 회전판(67)에 가이드 되면서 메인 피스톤 로드(65)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모터(68)의 회전축에는 회전판(67)이 고정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모터(68)가 정회전하여, 메인 피스톤 로드(65)가 상방향을 이동하면, 메인 실린더(61) 내의 유체가 측방 실린더(62)에 이동되면서 가동 피스톤 로드(63)를 밀어냄으로써, 가동 피스톤 로드(63)가 신장하여, 스피커 모듈(34a,34b)이 본체(31) 외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본체(31)로부터 스피커 모듈(34a,34b)이 인출되게 된다.
반대로, 모터(68)가 역회전하여, 메인 피스톤 로드(65)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측방 실린더(62) 내의 유체가 메인 실린더(61)로 이동되면서 가동 피스톤 로드(63)가 당겨짐으로써, 가동 피스톤 로드(63)가 수축하여, 스피커 모듈(34a,34b)이 본체(31)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본체(31) 내부로 스피커 모듈(34a,34b)이 인입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스피커 모듈(34a,34b)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름형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필름형 스피커로 구성할 경우, 본체(31) 좀더 얇게 구성하여 콤팩화할 수 있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30)은 제 1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10)과 동일하게, 본체(31)에 음성입력단자 및 조정부(21), 증폭부(23)가 설치되어, 텔레비전 음성출력단자(5)와 입력단자(21)를 연결함으로써, 텔레비전의 음향이 제 1 및 제 2 스피커 모듈(34a,35a,34b,35b)을 통해 본체(31) 전방을 향해 출력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30)은 본체(31)에 센서부(24), 구동제어부(25), 발광다이오드(26, LE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4)는 증폭부(23)에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이때, 구동 제어부(25)는 발광 다이오드(26)를 온(ON) 시켜 점등하고, 모터(55,68)를 구동하여, 제 1 및 제 2 스피커 모듈(34a,35a,34b,35b)이 본체(31)로 부터 인출되게 한다. 이때, 발광 다이오드(26)는 본체(31)의 테두리 부근에 설치되어, 본체(31)의 테두리를 미려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30)은 안착홈(32)에 텔레비전(미도시)을 장착한 후, 텔레비전(미도시)을 온 시킬 경우, 텔레비전의 음향 신호가 입력단자(21)를 통해 증폭부(23)에 전달되게 되고, 센서부(24)가 증폭부(23)에 전달된 음향신호를 감지하면, 구동제어부(25)가 모터(55,68)를 구동하여, 제 1 및 제 2 스피커 모듈(34a,35a,34b,35b)을 본체(31)로부터 인출시키게 된다. 이렇게 텔레비전을 온 시킴에 따라 자동으로 제 1 및 제 2 스피커 모듈(34a,35a,34b,35b)가 본체(31)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스피커 모듈(34a,35a,34b,35b)를 통해 텔레비전의 음향이 본체(31)의 전방으로 출력되게 된다. 아울러, 구동제어부(25)가 발광 다이오드(26)를 점등하게 함으로써, 본체(31) 테두리에 불빛을 비추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40)의 구동 제어부(25)는 음향 레벨에 따라 두 개씩으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스피커 모듈(34a,35a,34b,35b)이 단계적으로 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음향이 정해진 기준 레벨보다 미만일 경우, 1단의 제 1 스피커 모듈(34a) 및 1단의 제 2 스피커 모듈(34b)만이 인출되도록 하고, 음향이 정해진 기준 레벨 이상이 될 경우, 2단의 제 1 스피커 모듈(35a) 2단의 제 2 스피커 모듈(35b)까지 모두 인출되도록 모터(55,68)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레벨이 15라 할 때, 사용자가 텔레비전 리모컨 또는 조정부(21)를 통해 음향 레벨을 10으로 맞추면, 센서부(24)가 이를 감지하고, 센서부(24)에서 감지된 음향 레벨에 따라 구동 제어부(25)가 모터(55,68)를 구동시켜, 1단의 제 1 스피커 모듈(34a) 및 1단의 제 2 스피커 모듈(34b)만이 인출되게 하며, 이후, 사용자가 음향 레벨을 17로 맞추면, 센서부(24)가 이를 감지하고, 센서부(24)에서 감지된 음향 레벨에 따라 구동제어부(25)가 2단의 제 1 스피커 모듈(35a) 및 2단의 제 2 스피커 모듈(35b)까지 모두 인출되도록 모터(55,68)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70)을 설명한다.
제 4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70)은 제 1 내지 제 3 실시 예와는 다르게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고, 음향 확성부(73)를 통해 텔레비전(3)의 하방으로 출력되는 음향을 텔레비전(3)의 전방으로 확성하여 방향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70)은 본체(71)와 음향 확성부(73)를 포함한다.
본체(71)의 중앙에는 텔레비전(3)이 장착되는 안착홈(72)이 형성된다.
음향 확성부(73)는 음향 유입구(74), 음향 배출구(75), 음향 이동 유로(76)로 이루어진다.
음향 유입구(74)는 안착홈(72)의 하단에 본체(7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음향 배출구(75)는 본체(71)의 하단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본체(71)의 하부 내측에는 음향 유입구(74)와 음향 배출구(75)를 연결하는 음향 이동 유로(76)가 형성된다.
이때, 음향 배출구(75)는 음향 유입구(74) 보다 크기가 크며, 음향 이동 유로(76)는 음향 유입구(74)로부터 음향 배출구(75)로 갈수록 확장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안착홈(72)에 텔레비전(3)을 장착하고, 텔레비전(3)을 온 시키면, 텔레비전(3)의 하방으로 출력되는 음향이, 도 10의 화살표와 같이, 음향 확성부(73)를 통해 본체(71)의 전방 즉, 텔레비전(3)의 전방으로 방향전화되면서 확성되어 출력되게 된다.
이처럼, 텔레비전(3)의 하방향으로 출력된 음향이 확성되고 전방으로 방향 전환되게 됨으로써, 시청자는 보다 양호한 음향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본체
12...안착홈
13a,13b...스피커
14...지지판
21....인력단자 및 조정부
23...증폭부
25...구동제어부
26...LED
31...본체
32...안착홈
34a,34b,35a,35b...스피커 모듈
50...인입/인출 유닛
51...실린더
53...로드
54...래크
55...스텝모터
56...피니언
60...인입/인출 유닛
71...본체
72...안착홈
73...음향 확성부
74...음향 유입구
75...음향 배출구
76...음향 이동 유로

Claims (10)

  1. 디스플레이 장치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부 전면에는 음향이 전방으로 출력되도록 전방을 향해 설치되는 다수의 제 1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 1 스피커는 상기 본체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단부 전면에는 음향이 전방으로 출력되도록 전방을 향해 설치되는 다수의 제 2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 2 스피커는 상기 본체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지면에 대해 직각되게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본체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스피커를 상기 본체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인입/인출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입/인출 유닛은 상기 스피커의 측방에 고정 설치된 실린더;
    일측은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고, 타측은 상기 본체 내에 고정되는 로드;
    상기 실린더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크;
    상기 본체에 내에 설치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래크에 맞물려진 피니언;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기 스피커가 상기 본체의 좌우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상기 본체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음향 출력을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신호 감지시,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구동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 감지시,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
  10. 디스플레이 장치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
    상기 안착홈의 하측에 형성된 음향 유입구와, 상기 본체 하단부 전면에 형성된 음향 배출구와, 상기 음향 유입구와 상기 음향 배출구를 연결하되 상기 음향유입구로부터 상기 음향 배출구로 갈수록 확장되는 음향 이동 유로를 구비한 음향 확성부;를 포함하여,
    상기 안착홈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하방향으로 출력되는 음향이 상기 음향 확성부를 거쳐 확성되면서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방향 전환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
KR1020120077964A 2012-07-17 2012-07-17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 KR20140010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964A KR20140010834A (ko) 2012-07-17 2012-07-17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964A KR20140010834A (ko) 2012-07-17 2012-07-17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834A true KR20140010834A (ko) 2014-01-27

Family

ID=5014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964A KR20140010834A (ko) 2012-07-17 2012-07-17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08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862A (ko) * 2017-11-28 2019-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0753197A (zh) * 2019-11-15 2020-02-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及音频输出方法
KR20220043000A (ko) * 2020-09-28 2022-04-05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사운드박스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장치, 오디오 출력 방법 및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862A (ko) * 2017-11-28 2019-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43087A (ko) * 2017-11-28 2022-04-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0753197A (zh) * 2019-11-15 2020-02-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及音频输出方法
KR20210060366A (ko) * 2019-11-15 2021-05-26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단말 기기 및 오디오 출력 방법
US11363358B2 (en) 2019-11-15 2022-06-14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CN110753197B (zh) * 2019-11-15 2024-03-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及音频输出方法
KR20220043000A (ko) * 2020-09-28 2022-04-05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사운드박스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장치, 오디오 출력 방법 및 장치
US11641547B2 (en) 2020-09-28 2023-05-0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Sound box assembly, display apparatus, and audio output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5444B2 (en) Decorative flat panel sound system
AU2013296585B2 (en) Weatherproof loudspeaker and speaker assembly
CN102711002A (zh) 集成的电视支架和音频系统
US9706278B2 (en) Wireless modular speaker
US9288600B2 (en) Sound generator
US20150049894A1 (en) Low profile flat panel speaker system
US20150195633A1 (en) Configurable portable sound systems with interchangeable enclosures
KR20140010834A (ko) 디스플레이 장치 합체형 스피커 시스템
CN201904916U (zh) 多振膜扬声器
GB2489289A (en) Display stand includes sets of loudspeakers
CN204206457U (zh) 螺旋增压平面振膜扬声器
US9584891B1 (en) Reconfigurable audio drivers
CN102172015A (zh) 扬声器系统
CN101272634A (zh) 扬声器系统
CN1991248A (zh) 音频播放器结合型台灯
CN204948332U (zh) 一种可遥控的立体声蓝牙音响装置
KR20130111104A (ko) 노트북 테이블
CN103763657A (zh) 一种立体平板电视显示器多功能组合音响系统
CN202183846U (zh) 一种超薄条形音响
US20220043483A1 (en) Multimedia desktop, permanet or portable system
CN209314032U (zh) 一种用于会议室音响集中控制的控制器
RU45218U1 (ru) Активный сабвуфер
KR20200043179A (ko)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10868057U (zh) 音箱
CN211791927U (zh) 一种可提升智能电视机音质的外接长条音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