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0246A -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0246A
KR20140010246A KR1020120077137A KR20120077137A KR20140010246A KR 20140010246 A KR20140010246 A KR 20140010246A KR 1020120077137 A KR1020120077137 A KR 1020120077137A KR 20120077137 A KR20120077137 A KR 20120077137A KR 20140010246 A KR20140010246 A KR 20140010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user terminal
user
electronic document
sc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120077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0246A/ko
Publication of KR20140010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2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전자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다. 상기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있는 적어도 일부의 문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회전되면 상기 페이지를 스크롤링하여 다른 문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방법{METHOD OF DISPLAYING DOCUMENT}
본 발명은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자 문서의 특정 페이지를 스크롤링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이나 휴대성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공간 할당에도 제약이 존재하고,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표시가능한 화면 크기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 전자문서나 웹페이지(web page) 등을 표시하는 경우, 전자문서나 웹페이지의 일 부분만을 한 화면에 표시하고, 그 화면을 상, 하, 좌, 우로 이동하는 화면 스크롤 조작을 통해 전체 내용을 볼 수 있는 것이일반적이다. 이러한 화면 스크롤 조작으로, 휴대 단말기에 터치스크린 적용되어 있으면, 사용자 손가락이나 터치 펜 등을 이용한 터치 앤 드래그 방식이나 플리킹(flicking)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104921호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문서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기 위한 프리젠테이션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부는 상기 문서내의 초점 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좌표 방향에 관련한 줌 팩터(zoom factor)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프리젠테이션 수단은 사용자-공급 스크롤 명령(user-supplied scroll command)에 응답하여 상기 초점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상기 프리젠테이션 수단은 상기 초점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에지에 도달하고 사용자가 상기 스크롤 명령을 하는 것을 유지할 때, 상기 줌 팩터를 자동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한국등록특허 10- 0842107호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문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PC 문서를 상기 화면에 표시할 때 해상도 차이로 인한 상기 PC 문서의표시 영역과 숨겨진 영역과의 화면경계를 기준으로 문자 또는 여백을 인식하여, 인식결과 하나의 연결된 문장이면 연결된 문장을 문장블럭으로 지정하고, 상기 지정한 문장블럭을 다음 행으로 개행시키는 그래픽처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국등록특허 10-1104921호 한국등록특허 10- 084210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이 회전되면 전자 문서의 특정 페이지를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쉽고 편리한 문서 열람 환경을 경험할 수 있는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전자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다. 상기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있는 적어도 일부의 문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회전되면 상기 페이지를 스크롤링하여 다른 문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페이지를 스크롤링하여 다른 문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페이지를 특정 방향으로 스크롤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페이지가 스크롤링되는 중에 상기 기울기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급격하게 변경되면 상기 스크롤링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페이지가 스크롤링되는 중에 상기 기울기 방향이 변경되면 상기 페이지의 스크롤링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속도에 따라 페이지의 스크롤링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방법은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이 회전되면 전자 문서의 특정 페이지를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쉽고 편리한 문서 열람 환경을 경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사용자 단말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회전 센싱부(110) 및 전자 문서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하고, 기울기 결정부(130) 및 제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센싱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회전을 센싱할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회전 센싱부(110)는 자이로 스코프, 관성센서, 각속도 센서, 네비게이션센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어지며 미세 움직임을 감지하여 측정 및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한다. 따라서, 회전 센싱부(110)는 물체의 움직임이나 가속도, 상하 좌우 기울어짐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문서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자 문서의 페이지에 있는 문서 내용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문서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행될 수 있는 문서로 예를 들어, 텍스트 도큐먼트, 스프레드시트, 또는 데이터베이스 리포트 같은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문서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회전되면 현재 표시되는 소정 페이지의 다른 영역 및 다른 페이지의 특정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전자 문서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단말(100)의 회전 기울기에 따라 현재 표시되는 소정 페이지의 다른 영역 및 다른 페이지의 특정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전자 문서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단말(100)의 회전 속도에 따라 현재 표시되는 소정 페이지의 다른 영역 및 다른 페이지의 특정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문서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천천히 기울어지면 화면 아래 방향으로 천천히 스크롤링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단말(100)을 튕기듯 빠르게 젖힐 경우 화면 밖 아래 영역이 빠르게 스크롤링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문서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뒤로 기울여 스크롤링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도중 앞으로 빠르게 기기를 젖히면 스크롤링을 멈추어 특정 페이지의 특정 영역을 디스플레이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문서 디스플레이부(120)는 문서의 페이지의 스크롤링을 디스플레이하는 도중에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이 기울어져 스크롤링의 속도를 줄인 경우, 문서의 2페이지의 끝 부분과 3페이지가 연속하여 디스플레이하고, 2페이지 끝 부분이 밀리며 3페이지의 처음 부분이 스냅이 걸리듯 화면 상단을 디스플레이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전자 문서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단말(1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현재 표시되는 소정 페이지의 다른 영역 및 다른 페이지의 특정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문서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이 뒤로 기울어지는 경우 화면 밖 아래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앞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화면 밖 위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문서 디스플레이부(120)는 전자 문서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이 문서 페이지의 중간 영역에서 좌우로 회전되면 문서의 첫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기울기 결정부(130)는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단말(100)의 기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울기 결정부(130)는 회전 센싱부(110)를 이용하여 기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100)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전자 문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방법은 전술한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행되므로, 서로 상응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으나, 당업자는 전술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사용자 단말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사용자 단말의 회전에 따라 페이지를 스크롤링하여 문서 내용을 디스플레이 하는 일 실시예에 해당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있는 적어도 일부의 문서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210). 단계 S21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문서 내용 사용자 조작에 해당하는 부분적인 문서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하여 회전이 발생되면 페이지를 스크롤링하여 다른 문서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220). 단계 S220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한 회전에 따른 회전 방향에 따라 페이지를 특정 방향으로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페이지가 스크롤링되는 중에 상기 기울기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변경되면 스크롤링이 정지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페이지가 스크롤링되는 중에 기울기 방향이 변경되면 페이지의 스크롤링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110: 회전 센싱부
120: 전자문서 디스플레이부 130: 기울기 결정부
140: 제어부

Claims (5)

  1.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전자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있는 적어도 일부의 문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회전되면 상기 페이지를 스크롤링하여 다른 문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를 스크롤링하여 다른 문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회전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페이지를 특정 방향으로 스크롤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가 스크롤링되는 중에 상기 기울기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급격하게 변경되면 상기 스크롤링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가 스크롤링되는 중에 상기 기울기 방향이 변경되면 상기 페이지의 스크롤링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속도에 따라 페이지의 스크롤링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20077137A 2012-07-16 2012-07-16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방법 KR20140010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137A KR20140010246A (ko) 2012-07-16 2012-07-16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137A KR20140010246A (ko) 2012-07-16 2012-07-16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246A true KR20140010246A (ko) 2014-01-24

Family

ID=5014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137A KR20140010246A (ko) 2012-07-16 2012-07-16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02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6407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US10095316B2 (en) Scrolling and zooming of a portable device display with device motion
KR101836381B1 (ko)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화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US8531410B2 (en) Finger occlusion avoidance on touch display devices
JP5304577B2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88667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dapted to receiving an input for user control using a touch pad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1885131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스크롤 방법 및 그 장치
US9433857B2 (en) Input control device, input control method, and input control program
JP5160579B2 (ja) 表示装置及び画面表示方法
US20220197458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US20200356250A1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EP2735960A2 (en) Electronic device and page navigation method
US92859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navigational views on a portable device
KR20150095540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WO201411202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2014201298A1 (en) Graph display apparatus, graph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graph display program
US9588660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electronic device,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20140082434A (ko) 전자장치에서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JPWO2013124912A1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04271671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端末装置
US20180173398A1 (en) Touch panel typ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information input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hereof
KR20140010246A (ko) 전자문서 디스플레이 방법
US20190121534A1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control method, and terminal device
JP7473854B2 (ja)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及びコンテンツ表示プログラム
WO2014061775A1 (ja) 表示用プログラム及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