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873A - 철근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873A
KR20140008873A KR1020120076276A KR20120076276A KR20140008873A KR 20140008873 A KR20140008873 A KR 20140008873A KR 1020120076276 A KR1020120076276 A KR 1020120076276A KR 20120076276 A KR20120076276 A KR 20120076276A KR 20140008873 A KR20140008873 A KR 20140008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coupling
body portion
coupler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9825B1 (ko
Inventor
윤용수
나병관
Original Assignee
윤용수
나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수, 나병관 filed Critical 윤용수
Priority to KR1020120076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825B1/ko
Publication of KR20140008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2Anchoring devices the tensile members are anchored by wedge-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과 같은 현상에 따라 건축물의 거동시에도 이음된 철근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철근 이음작업 공수를 줄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철근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근 이음장치는 제1확장판(110)이 결합되는 제1결합구(10)와, 제2확장판(120)이 결합되는 제2결합구(20) 및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철근 이음장치{Steel bars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철근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지진과 같은 현상에 따라 건축물의 거동시에도 이음된 철근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철근 이음작업 공수를 줄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철근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는 철근과 콘크리트의 결합구조로서, 콘크리트가 압축하중을 부담하고 철근이 인장하중을 부담하는 구조이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형으로 시공하게 되는데, 시공과정에서 철근은 필요에 따라 일정 길이의 규격품을 서로 이어가며 시공해야 하는 바, 철근과 철근 간에는 당연히 이음부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철근과 철근 사이에 형성된 이음부에서는 콘크리트의 양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정의 인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인장력에 충분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철근 상호간에 긴밀한 연결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는 바, 여기에는 통상 겹침 이음 또는 압접 등의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겹침 이음은 철근과 철근을 소요 이음길이 이상으로 겹쳐서 배근하고 결속선으로 묶는 방식이다. 이는 배근작업이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겹침을 위한 철근 소요량이 많아져 공사비를 증가시키고, 철근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편심에 의해 철근의 응력집중이 일치되지 않아 구조 내력상의 문제가 있다.
압접에 의한 철근 이음방법은 철근과 철근의 단부를 이어서 맞댄 후 가열하 고 압착하여 단부를 일체로 성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압접은 인장력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길고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화재의 위험이 있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어 현장에서 이를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상기의 겹침 이음 및 압접에 의한 철근 이음방식에서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고,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22367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는 마디(5)가 형성된 철근(1)(1')의 양단 내부로 커플링(3)(3')을 각각 끼워 넣은 상태에서 마디(5)가 결합되는 홈(6)이 형성된 반원체(2)(2')를 이음 할 철근 (1)(1')에 덮어 한 조로서 결합시키고, 이 상태에서 철근 (1)(1')의 양단에 미리 끼운 커플링(3)(3')과 반원체(2)(2')의 양단의 사이에 고정철핀(7)(7')를 끼워 삽입하게 되면 두 개의 반원체(2)(2')는 커플링(3)(3')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철근(1)(1')을 이음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철근 이음장치는 반원체(2)(2')와 고정철핀(7)(7')이 두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는 등 이음을 위한 부품수가 많아 현장에서 이음작업공수가 많고, 또한 철근(1)(1') 연결작업후 충격등에 의해서 커플링(3)(3')으로부터 고정철핀(7)(7')이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2236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철근의 이음작업이 간편하고 충격등에 의한 철근 이음부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철근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외주면에 환형의 돌기가 형성된 제1철근과 제2철근을 서로 연결시키는 철근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철근이 진입되는 입구측에 제1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철근의 단부가 수용되는 제1공간부가 형성된 제1몸통부를 가지는 제1결합구와;
상기 제1공간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몸통부의 내벽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1걸림턱에 의해서 외부로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제1공간부의 중심부를 향하여 복수의 제1탄성편이 돌출되도록 형성된 탄성의 제1확장판과;
상기 제2철근이 진입되는 입구측에 제2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철근의 단부가 수용되는 제2공간부가 형성된 제2몸통부를 가지는 제2결합구와;
상기 제2공간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2몸통부의 내벽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2걸림턱에 의해서 외부로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제2공간부의 중심부를 향하여 복수의 제2탄성편이 돌출되도록 형성된 탄성의 제2확장판과;
상기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몸통부의 단부에 결합돌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의 외주면에 경사면을 갖는 경사턱이 적어도 한쌍 형성되며,
상기 제2몸통부의 단부에 격판을 경계로 상기 결합돌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관부의 내주면에 상기 각 경사턱의 경사면에 슬라이딩되는 적어도 한쌍의 걸림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은 제1 및 제2확장판(110)(120)이 결합된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를 구비함으로써, 제1 및 제2철근(11)(21)들을 제1 및 제2확장판(110)(120)에 결합시키고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를 상호 결합하여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도 2개의 철근(11)(21)의 돌기(211a)(221a)들이 제1및 제2탄성편(111)(121)에 록킹됨으로써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게 하여서, 지진과 같은 현상에 따라 건축물의 거동시에도 이음된 철근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종래 장치보다 철근 이음작업 공수를 줄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종래 장치보다 부품수를 절감하여 장치의 조립, 관리 및 운반이 편리하고 공비를 절감한다.
도 1은 종래 철근이음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철근 이음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철근 이음장치는 지진과 같은 현상에 따라 건축물의 거동시에도 이음된 철근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철근 이음작업 공수를 줄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서로 연결시키고자 하는 제1철근(211)과 제2철근(221)의 외주면에는 통상과 마찬가지로 환형의 돌기(211a)(221a)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철근 이음장치는 제1확장판(110)이 결합되는 제1결합구(10)와, 제2확장판(120)이 결합되는 제2결합구(20) 및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합구(10)는 상기 제1철근(211)이 진입되는 입구측에 제1걸림턱(14)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철근(211)의 단부가 수용되고 상기 제1확장판(110)이 수용되는 제1공간부(11a)가 형성된 제1몸통부(11)를 가진다.
상기 제1확장판(110)은 상기 제1공간부(11a)에 수용되어 상기 제1몸통부(11)의 내벽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1걸림턱(14)에 의해서 외부로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제1공간부(11a)의 중심부를 향하여 복수의 제1탄성편(111)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확장판(110)은 얇은 금속판 형태로서 복수의 제1탄성편(111)들이 형성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축소된 상태로 말아서 상기 제1공간부(11a)에 수용시키게 되면 탄성복원에 의해서 직경이 확경되면서 상기 제1몸통부(11)의 내벽면에 밀착되게 되고, 제1걸림턱(14)에 의해서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제2결합구(20)는 상기 제2철근(221)이 진입되는 입구측에 제2걸림턱(24)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철근(221)의 단부가 수용되고 상기 제2확장판(120)이 수용되는 제2공간부(21a)가 형성된 제2몸통부(21)를 가진다.
상기 제2확장판(120)은 상기 제2공간부(21a)에 수용되어 상기 제2몸통부(21)의 내벽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2걸림턱(24)에 의해서 외부로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제2공간부(21a)의 중심부를 향하여 복수의 제2탄성편(121)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확장판(120)은 상기 제1확장판(110)과 마찬가지로 얇은 금속판 형태로서 복수의 제2탄성편(121)들이 형성된 상태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축소된 상태로 말아서 상기 제2공간부(21a)에 수용시키게 되면 탄성복원에 의해서 직경이 확경되면서 상기 제2몸통부(21)의 내벽면에 밀착되게 되고, 제2걸림턱(24)에 의해서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제1몸통부(11)의 단부에 결합돌부(12)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부(12)의 외주면에 경사면(13a)을 갖는 경사턱(13)을 적어도 한쌍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몸통부(21)의 단부에는 격판(23)을 경계로 상기 결합돌부(1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관부(22)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관부(22)의 내주면에는 상기 각 경사턱(13)의 경사면에 슬라이딩되는 적어도 한쌍의 걸림편(25)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결합수단은 상기 결합돌부(12)를 상기 결합관부(22)에 진입시킨 상태에서 약 180도 회전시키게 되면, 경사턱(13)의 경사면(13a)에 걸림편(25)이 슬라이딩 되면서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를 상호 결속하게 된다.
상기 결합수단의 다른 구성으로는 상기 결합돌부(12)의 외주면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관부(2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를 형성하여서 상호 나사결합으로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를 상호 결속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를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 바, 이 경우 제1철근(211)과 제2철근(221)의 연결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철근 이음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철근(211)을 제1결합구(10)에 진입시키게 되면, 제1철근(211)의 돌기(211a)들이 제1확장판(110)의 제1탄성편(111)에 록킹되게 되고, 제1철근(211)으로부터 제1결합구(10)는 제1탄성편(111)들에 의해서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제2철근(221)을 제2결합구(20)에 진입시키게 되면, 제2철근(221)의 돌기(221a)들이 제2확장판(120)의 제2탄성편(121)에 록킹되게 되고, 제2철근(221)으로부터 제2결합구(20)는 제2탄성편(121)들에 의해서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철근(211)이 결합된 제1결합구(10)의 결합돌부(12)를 제2철근(221)이 결합된 제2결합구(20)의 결합관부(22)에 결합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가 경사턱(13)과 걸림편(25)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결속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장치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를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서 먼저 결합시킨 후에, 제1철근(211)과 제2철근(221)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철근(211)과 제2철근(221)을 제1 및 제2결합구(10)(2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이음작업을 하는것 보다 철근 이음작업을 편리하게 한다.
10...제1결합구 13...경사턱
20...제2결합구 25...걸림편
110...제1확장판 120...제2확장판

Claims (2)

  1. 외주면에 환형의 돌기가 형성된 제1철근과 제2철근을 서로 연결시키는 철근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철근(211)이 진입되는 입구측에 제1걸림턱(14)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철근(211)의 단부가 수용되는 제1공간부(11a)가 형성된 제1몸통부(11)를 가지는 제1결합구(10)와;
    상기 제1공간부(11a)에 수용되어 상기 제1몸통부(11)의 내벽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1걸림턱(14)에 의해서 외부로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제1철근(211)의 돌기(211a)가 탄력적으로 록킹되는 복수의 제1탄성편(111)이 상기 제1공간부(11a)의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형성된 탄성의 제1확장판(110)과;
    상기 제2철근(221)이 진입되는 입구측에 제2걸림턱(24)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철근(221)의 단부가 수용되는 제2공간부(21a)가 형성된 제2몸통부(21)를 가지는 제2결합구(20)와;
    상기 제2공간부(21a)에 수용되어 상기 제2몸통부(21)의 내벽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2걸림턱(24)에 의해서 외부로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제2철근(221)의 돌기(221a)가 탄력적으로 록킹되는 복수의 제2탄성편(121)이 상기 제2공간부(21a)의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형성된 탄성의 제2확장판(120)과;
    상기 제1결합구(10)와 제2결합구(2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몸통부(11)의 단부에 결합돌부(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12)의 외주면에 경사면(13a)을 갖는 경사턱(13)이 적어도 한쌍 형성되며,
    상기 제2몸통부(21)의 단부에 격판(23)을 경계로 상기 결합돌부(1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관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관부(22)의 내주면에 상기 각 경사턱(13)의 경사면에 슬라이딩되는 적어도 한쌍의 걸림편(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장치.
KR1020120076276A 2012-07-12 2012-07-12 철근 이음장치 KR101389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276A KR101389825B1 (ko) 2012-07-12 2012-07-12 철근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276A KR101389825B1 (ko) 2012-07-12 2012-07-12 철근 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873A true KR20140008873A (ko) 2014-01-22
KR101389825B1 KR101389825B1 (ko) 2014-04-29

Family

ID=50142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276A KR101389825B1 (ko) 2012-07-12 2012-07-12 철근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8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0420A (zh) * 2018-07-10 2020-01-17 周兆弟 一种装配式建筑的预制墙体和装配结构及其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611B1 (ko) 2014-11-12 2015-07-06 윤용수 철근 연결장치
CN109057166B (zh) * 2018-08-29 2020-11-27 同济大学 一种卡扣式易定位灌浆套筒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474Y1 (ko) * 2001-04-11 2001-10-11 이정수 철근 이음구
KR20090011990A (ko) * 2007-07-28 2009-02-02 박동수 원터치식 철근연결구
KR200457568Y1 (ko) * 2009-02-27 2011-12-26 유진테크주식회사 철근 연결 구조
KR101121931B1 (ko) * 2009-03-30 2012-04-03 엘케이테크 주식회사 철근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0420A (zh) * 2018-07-10 2020-01-17 周兆弟 一种装配式建筑的预制墙体和装配结构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825B1 (ko) 201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941B1 (ko) 철근 커플러
KR101959076B1 (ko) 철근 커플러
JP2013501863A (ja) 棒連結器
CN110832151A (zh) 一触式钢筋联接件
KR101223407B1 (ko) 내진용 철근 커플링 구조
JP2013501863A5 (ko)
KR101389825B1 (ko) 철근 이음장치
US20120195681A1 (en) Steel bar connector
KR20110134352A (ko) 커플러
KR101123347B1 (ko) 철근 결속장치
KR101374598B1 (ko) 철근 커플러
KR101285704B1 (ko) 철근 연결용 커넥터
KR101498662B1 (ko) 철근 이음새 커플링
CA2954818A1 (en) Bayonet duct coupler assembly for post-tensioned concrete member
KR20190125896A (ko) 철근용 커플러
KR102192741B1 (ko) 걸쇠 일체형 이형철근 이음장치
KR101552321B1 (ko)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방법
KR20100090330A (ko) 철근 커플러
KR100837113B1 (ko) 철근 커플러
KR20150025315A (ko) 철근 연결 장치
KR20090009578A (ko) 철근 연결장치
KR20140128853A (ko) 철근 커플러
TWM543900U (zh) 鋼筋續接器
KR101547290B1 (ko) 강구를 이용한 철근 커플러
KR102158627B1 (ko) 초기슬립을 최소화한 초고장력 철근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