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773A -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방법 및 이를 위한 개인 필체 적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방법 및 이를 위한 개인 필체 적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773A
KR20140008773A KR1020120075817A KR20120075817A KR20140008773A KR 20140008773 A KR20140008773 A KR 20140008773A KR 1020120075817 A KR1020120075817 A KR 1020120075817A KR 20120075817 A KR20120075817 A KR 20120075817A KR 20140008773 A KR20140008773 A KR 20140008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handwriting
input
personal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옥
박연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120075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8773A/ko
Publication of KR2014000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06F9/4488Object-oriented
    • G06F9/449Object-oriented method invocation or resolution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개인의 필체를 적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개인 필체를 이용함으로써 아날로그 감성이 묻어나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문자가 아닌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필체에 대한 라이브러리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에서 문자를 입력할 때 자동적으로 개인 필체로 변환된 문자를 제공함으로써 아날로그 감성이 묻어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방법 및 이를 위한 개인 필체 적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METHOD OF APPLYING PERSONAL HAND-WRITING FOR CHARACTER-INPUT APPLICATION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ERSONAL HAND-WRITING APPLYING PROGRAM FOR THE SAME}
본 발명은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개인의 필체를 적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개인 필체를 이용함으로써 아날로그 감성이 묻어나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유선단말이나 무선단말을 포함한 사용자 단말에서 문자 입력이 필요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이메일 클라이언트, 메시지 전송 프로그램 등의 경우에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면 당해 어플리케이션이나 브라우져에서 제공하는 폰트만 적용하여 표시가 가능하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필체를 전달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상에서 필기로 문자를 입력하면 그 입력된 문자를 소프트웨어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미리 설정된 폰트로 변경 표시하는 기술은 제공되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문자 입력의 편의를 위한 것이지 사용자의 필체로 전달하려는 기술은 아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각종의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필체를 그대로 표현해줌으로써 사용자의 개성을 표시하고 아날로그 감성을 살릴 수 있는 기술이 없었다. 이는 디지털 기술의 단점의 하나인 획일성의 일 면이다.
[관련기술문헌]
1. 컴퓨터 사용자의 필체를 인식하도록 컴퓨터를 훈련시키는 컴퓨터 구현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컴퓨터 사용자의 필체의 표현을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및 사용자의 필체를 인식하도록 컴퓨터를 구성하는 방법 (특허출원 제10-2008-7015395호)
2. 개인 필체를 이용한 인터넷 메일 전송 서비스 사업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특허출원 제10-2000-003954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아날로그 감성이 묻어나는 개인 필체를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방법은,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이 입출력부를 이용해 사용자의 개인 필체로 입력한 하나 이상의 문자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이 문자데이터로 사용자의 필체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개인폰트 라이브러리를 생성하여 라이브러리 저장부 상에 저장하는 제 2 단계;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이 입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문자 입력신호를 전달받는 제 3 단계;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문자에 대해 라이브러리 저장부에 저장된 개인폰트 라이브러리로부터 필체가 반영된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동일한 문자를 추출하여 입출력부로 구현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 1 단계에서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이 터치스크린인 입출력부로의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펜에 의한 터치에 의해 생성된 문자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카메라를 이용해 사용자가 용지에 기재한 문자에 대한 촬영 및 인식에 의해 생성된 문자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이 연관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필기체 입력이 필요한 다른 응용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개인 필체 사용내역을 탐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때 제 4 단계는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이 개인 필체 사용내역이 탐지된 경우, 문자데이터 및 개인 필체 사용내역에 따라 사용자의 필체정보를 분석하여 개인폰트 라이브러리를 생성하여 라이브러리 저장부 상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출력부를 통한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에 따라 제어부가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 및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시스템 메모리 영역(A)으로 로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단계는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이 입출력부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으로 입력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필기체 입력이 필요한 다른 응용 어플리케이션은 청첩장 생성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브라우저, 축하 카드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상과 같은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개인 필체 적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문자가 아닌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필체에 대한 라이브러리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에서 문자를 입력할 때 자동적으로 개인 필체로 변환된 문자를 제공함으로써 아날로그 감성이 묻어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방법이 구현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서의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개인폰트 라이브러리 생성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개인폰트 라이브러리가 적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방법이 구현되는 사용자 단말(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은 입출력부(11), 카메라(12), 제어부(13), 연관데이터 저장부(16a)와 라이브러리 저장부(16b)을 포함하는 저장부(16), 시스템 메모리 영역(A)에 구현되는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14) 및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15)을 포함한다. 이때, 입출력부(11)는 입력부(11a)와 출력부(11b)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는 입력부(11a)에 터치모듈이 구비된 출력부(11b)와의 일체형으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인식가능한 소위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에 적용되는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15)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15)은 필체 분석수단(15a), 라이브러리 생성수단(15b), 입력 인식수단(15c), 필체 제공수단(15d)을 구비한다.
이하,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15)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사용자 단말(1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필체 분석수단(15a)은 입출력부(110) 또는 카메라(12)로부터 사용자 단말(10) 사용자가 자신의 필체로 입력한 하나 이상의 문자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입출력부(110)로의 문자데이터 입력은 손가락 또는 터치펜에 의한 터치입력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용지에 기재한 문자를 카메라(12)를 이용해 촬영하여 소프트웨어로 인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필체 분석수단(15a)은 저장부(16)의 연관데이터 저장부(16a)에 저장된 사용자의 필기체 입력이 필요한 다른 응용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개인 필체 사용내역을 탐색하고,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14)은 개인 필체 사용내역 탐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필기체 입력이 필요한 다른 응용 어플리케이션은 청첩장 생성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이메일 브라우저, 축하 카드 생성 어플리케이션 등일 수 있다.
라이브러리 생성수단(15b)은 필체 분석수단(15a)의 판단결과 개인 필체 사용내역이 탐지된 경우, 문자데이터 그리고 개인 필체 사용내역에 따른 사용자의 필체정보를 분석하고, 개인폰트 라이브러리를 생성하여 저장부(16)의 라이브러리 저장부(16b) 상에 저장한다.
한편, 라이브러리 생성수단(15b)은 필체 분석수단(15a)의 판단결과 개인 필체 사용내역이 탐지되지 않은 경우, 문자데이터만을 이용해 사용자의 필체정보를 분석하고, 개인폰트 라이브러리를 생성하여 저장부(16)의 라이브러리 저장부(16b) 상에 저장한다.
사용자의 입출력부(11)를 통한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15) 실행 요청에 따라 제어부(13)의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14) 및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15)을 각각 시스템 메모리 영역(A)으로의 로딩이 완료되면, 입력 인식수단(15c)은 입출력부(11)로부터 문자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필체 제공수단(15d)은 입력 인식수단(15c)으로부터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문자에 대해 저장부(16)의 라이브러리 저장부(16b)에 저장된 개인폰트 라이브러리로부터 필체가 반영된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동일한 문자를 추출하여 입출력부(11)로 구현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방법 중에서 개인폰트 라이브러리 생성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 사용자의 입출력부(11)를 통한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14) 실행 요청에 따라 제어부(13)는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14)을 시스템 메모리 영역으로 로딩한다(S11).
단계(S11) 이후,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14)은 입출력부(110) 또는 카메라(12)를 이용해 사용자의 필체로 입력한 하나 이상의 문자데이터를 수신한다(S12). 여기서 입출력부(110)로의 문자데이터 입력은 손가락 또는 터치펜에 의한 터치에 의하거나 카메라(12)를 이용해 사용자가 용지에 기재한 하나 이상의 문자에 대한 촬영 및 인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2) 이후,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14)은 저장부(16)의 연관데이터 저장부(16a)에 저장된 사용자의 필기체 입력이 필요한 다른 응용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개인 필체 사용내역을 탐색한 뒤(S13),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14)은 개인 필체 사용내역 탐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여기서 필기체 입력이 필요한 다른 응용 어플리케이션은 청첩장 생성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브라우저, 축하 카드 생성 어플리케이션 등일 수 있다.
단계(S14)의 판단결과 개인 필체 사용내역이 탐지된 경우,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14)은 단계(S12)에서의 문자데이터 및 단계(S13)에서의 개인 필체 사용내역에 따른 사용자의 필체정보를 분석하고, 개인폰트 라이브러리를 생성하여 저장부(16)의 라이브러리 저장부(16b) 상에 저장한다(S15).
반대로, 단계(S14)의 판단결과 개인 필체 사용내역이 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14)은 단계(S12)에서의 문자데이터만을 이용해 사용자의 필체정보를 분석하고, 개인폰트 라이브러리를 생성하여 저장부(16)의 라이브러리 저장부(16b) 상에 저장한다(S16).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방법 중에서 개인폰트 라이브러리가 적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의 입출력부(11)를 통하여 이메일 클라이언트나 문자메세지 프로그램과 같은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15)을 구동하면 제어부(13)는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14)과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15)을 시스템 메모리 영역(A)으로 로딩하여 실행한다(S21).
단계(S21) 이후,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15)은 입출력부(11)로부터 문자 입력신호를 수신한다(S22). 여기서의 문자 입력은 입력부(11a)로 터치모듈 뿐만 아니라 키보드 또는 마우스 입력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직접적인 필체 입력이 아닌 기계적 문자 입력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14)은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15)으로부터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문자에 대해 저장부(16)의 라이브러리 저장부(16b)에 저장된 개인폰트 라이브러리로부터 필체가 반영된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동일한 문자를 추출하여 입출력부(11)로 구현한다(S23).
단계(S23) 이후,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15)은 입출력부(11)로부터 추가적인 문자 입력신호를 수신에 대한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S24). 단계(S24)의 판단결과 추가적인 문자 입력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종료되며, 반대로 추가적인 문자 입력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추가 문자에 대한 단계(S22) 내지 (SS24)의 과정이 반복되어 수행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 : 사용자 단말
11 : 입출력부
11a : 입력부
11b : 출력부
12 : 카메라
13 : 제어부
A : 시스템 메모리 영역
14 :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
15 : 필체적용 어플리케이션
15a : 필체 분석수단
15b : 라이브러리 생성수단
15c : 입력 인식수단
15d : 필체 제공수단
16 : 저장부
16a : 연관데이터 저장부
16b : 라이브러리 저장부

Claims (7)

  1.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이 입출력부를 이용해 사용자의 개인 필체로 입력한 하나 이상의 문자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문자데이터로 사용자의 필체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개인폰트 라이브러리를 생성하여 라이브러리 저장부 상에 저장하는 제 2 단계;
    상기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문자 입력신호를 전달받는 제 3 단계;
    상기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문자에 대해 상기 라이브러리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개인폰트 라이브러리로부터 필체가 반영된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동일한 문자를 추출하여 상기 입출력부로 구현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이 터치스크린인 상기 입출력부로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펜에 의한 터치에 의해 생성된 문자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카메라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가 용지에 기재한 문자에 대한 촬영 및 인식에 의해 생성된 문자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이 연관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필기체 입력이 필요한 다른 응용 어플리케이션 상에서의 개인 필체 사용내역을 탐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개인 필체 사용내역이 탐지된 경우, 상기 문자데이터 및 상기 개인 필체 사용내역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필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개인폰트 라이브러리를 생성하여 상기 라이브러리 저장부 상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입출력부를 통한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시스템 메모리 영역(A)으로 로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상기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필체구현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필기체 입력이 필요한 다른 응용 어플리케이션은 청첩장 생성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브라우저, 축하 카드 생성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개인 필체 적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75817A 2012-07-12 2012-07-12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방법 및 이를 위한 개인 필체 적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40008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817A KR20140008773A (ko) 2012-07-12 2012-07-12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방법 및 이를 위한 개인 필체 적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817A KR20140008773A (ko) 2012-07-12 2012-07-12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방법 및 이를 위한 개인 필체 적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773A true KR20140008773A (ko) 2014-01-22

Family

ID=50142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817A KR20140008773A (ko) 2012-07-12 2012-07-12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방법 및 이를 위한 개인 필체 적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877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44300A (zh) * 2017-01-23 2017-06-13 兰州海防信息科技有限公司 在显示设备上同时显示静态字和动态字的系统与方法
CN108228069A (zh) * 2017-12-21 2018-06-29 北京壹人壹本信息科技有限公司 手写字体输入方法、移动终端及装置
CN109241497A (zh) * 2018-09-27 2019-01-18 腾讯音乐娱乐科技(深圳)有限公司 文本处理方法及装置
US11847401B2 (en) 2020-12-18 2023-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s in multiple-user environmen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44300A (zh) * 2017-01-23 2017-06-13 兰州海防信息科技有限公司 在显示设备上同时显示静态字和动态字的系统与方法
CN106844300B (zh) * 2017-01-23 2021-02-19 兰州恒达彩印包装有限责任公司 在显示设备上同时显示静态字和动态字的系统与方法
CN108228069A (zh) * 2017-12-21 2018-06-29 北京壹人壹本信息科技有限公司 手写字体输入方法、移动终端及装置
CN109241497A (zh) * 2018-09-27 2019-01-18 腾讯音乐娱乐科技(深圳)有限公司 文本处理方法及装置
US11847401B2 (en) 2020-12-18 2023-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s in multiple-user environ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248B1 (ko) 텍스트 표현 변환을 위한 잉크
US9813882B1 (en) Mobile notifications based upon notification content
KR101955732B1 (ko) 캡처된 이미지 데이터를 스프레드시트와 연관시키는 방법
US20140337804A1 (en) Symbol-based digital ink analysis
WO2016095689A1 (zh) 基于终端界面多次触控操作进行识别搜索的方法及系统
WO2016091095A1 (zh) 基于终端界面触控操作进行搜索的方法及系统
EP2891041B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in a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supporting the same
US11250206B2 (en) Conversion of forms to action cards
US11516169B2 (en) Electronic messaging platform that allows users to change the content and attachments of messages after sending
CN107977155B (zh) 一种手写识别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06575300A (zh) 用于识别文档中的对象的基于图像的搜索
US20200236075A1 (en) Media enhancement system
US20210192744A1 (en) Image segmentation system
CN105379236A (zh) 用户体验模式转变
KR20140008773A (ko) 문자입력 어플리케이션의 개인 필체 적용 방법 및 이를 위한 개인 필체 적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9395911B2 (en) Computer input using hand drawn symbols
CN109033163B (zh) 一种在日历中添加日记的方法及装置
US20130339849A1 (en) Digital content preparation and presentation
US20160026613A1 (en) Processing image to identify object for insertion into document
WO2016169594A1 (en) Web technology responsive to mixtures of emotions
TWI412955B (zh) 漢字書寫筆順之提示方法、電子裝置及電腦程式產品
EP2575058A1 (en) Application generation apparatus, application gener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96199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n animated sequence of images into a document page
US10642929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program
KR102160249B1 (ko)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메모 페이지들을 편집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