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7991A -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 - Google Patents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7991A
KR20140007991A KR1020120074720A KR20120074720A KR20140007991A KR 20140007991 A KR20140007991 A KR 20140007991A KR 1020120074720 A KR1020120074720 A KR 1020120074720A KR 20120074720 A KR20120074720 A KR 20120074720A KR 20140007991 A KR20140007991 A KR 20140007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random
layer
layers
lab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돈
Original Assignee
박광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돈 filed Critical 박광돈
Priority to KR1020120074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7991A/ko
Publication of KR20140007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2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multilayered, e.g. laminated she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G06K19/041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은 불규칙한 배열을 갖는 식별입자 들로 이루어진 식별패턴을 고유정보로 하는 투과성재의 식별층을 2개 이상 적층하여 고유의 중첩패턴을 형성하는 중첩수단과, 상기 적층 된 한 쌍의 식별층 사이에 구비되어 상·하측에서의 중첩패턴을 구분하는 코어층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은 불규칙하게 식별입자가 배열된 식별층을 다층으로 적층 구성하고 이를 2차원 데이터로 인식하므로 기존의 인쇄 형태로 제공되는 QR코드, 바코드, 홀로그램 등의 인식체가 가지는 복제 가능성에 대한 불안요소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인식체는 다수의 식별층을 적층하는 구성이므로 원본 인식체에 대하여 동일한 식별층을 복제하고 이를 동일 위치에 적층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복제 가능성을 미연에 차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다층으로 이루어진 인식체에 대한 두께와 부피감을 쉽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인식체의 데이터값만 복제하여 사용하는 것도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인에게 널리 보급되어 있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나 개인 정보 단말기에 탑재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인식체에 대한 인식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인식장치에 대한 개발과 보급을 필요로 하지 않아 경제적으로 많은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적용에 대한 시장 진입의 장벽을 낮출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측에서 바라본 이미지와 하측에서 바라본 이미자가 간지요소인 코어에 의해 구분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층 구조임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간지요소인 코어층으로서 불투과 시트, 스마트칩, RF칩, 자기 시트, 식별입자에 대한 배색 시트, 홀로그램 시트,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시온 시트 들이 사용될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조합의 라벨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를 적용한 상품이나 제품에 대한 인증수단으로서의 신뢰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random-type multi layer label}
본 발명은 식별입자가 불규칙하게 배열된 식별층을 다수 적층하여 복제가 불가능한 고유의 중첩패턴을 형성한 랜덤형 다층 인식체를 이용한 라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별층과 식별층 사이에 중첩패턴을 구분하는 간지요소를 구비시켜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적층 구조임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제품의 보증, 계약을 포함하는 각종의 상거래, 출입절차, 정보의 접근절차 등 다수의 사회활동에서, 물건, 권한, 또는 사람 자신에 대한 확인작업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과거에는 물건에 붙어있는 라벨, 보증서 등을 통하여, 또는 상대방이 지참하는 신분증, 인장 등을 통하여 물건의 진위여부 또는 사람의 진위여부를 확인하고, 각종의 열쇠를 통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수준이었으나,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복제 기술이 발달하고, 따라서 복제가 어려운 인식수단개발의 필요성이 증대하게 되었다.
따라서, 바코드, 스마트코드, 마그네틱카드, QR코드, 홀로그램 스티커, IC 칩이 내장된 열쇠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인식수단과 지문인식, 홍체인식, 얼굴인식 등과 같이 신체적 특징을 이용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바코드, IC 칩등은 복제가 가능하여 보안상의 문제점이 있고, 지문인식 등과 같이 신체적 특성을 이용한 인식시스템의 경우 복제는 곤란하나, 신체의 일부분을 인식체로 사용함에 따라 사용범위(사용자수, 사용시간, 사용공간)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QR코드나 마그네틱 카드, 홀로그램 스티커는 복제가 쉬워 보안성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524272호를 통해 ′랜덤형 인식체, 그를 이용한 3차원 식별장치 및 식별방법′를 등록 받은 바 있다.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랜덤형 인식체, 그를 이용한 3차원 식별장치 및 식별방법′은 별도의 인식수단에 의하여 하나 혹은 다수의 방향에서 위치값 및 특성치가 인식되는 식별입자가 3차원 입체형상 내부에 불규칙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식별장치용 랜덤형 인식체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때의 상기 인식체는 합성수지재나 유리재질로 성형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수 마이크로미터(㎛)에서 수 밀리미터(mm)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식별입자가 불규칙하게 분산 배치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랜덤형 인식체는 3차원 식별장치를 통해 입력된 정보와 인증서버에 등록되 기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랜덤형 인식체를 이용한 3차원 식별장치에서 물체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 인식장치는 인식대상 물체에 대한 인식 효율성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로서 그에 따른 연구 개발을 필요로 하였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23036호를 통해 개선된 3차원 영상 인식장치를 등록 받은 바 있다.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 받은 3차원 영상 인식장치는, 다 방향에서 동시에 영상를 인식하는 인식장치로서, 외체를 형성하는 경통과, 이 경통의 전방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단면의 프리즘으로 된 굴절부 그리고 상기 굴절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렌즈유닛 및 상기 렌즈유닛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굴절부 및 상기 렌즈유닛을 통과한 영상을 획득하는 화상 인식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3차원 영상 인식장치는 렌즈유닛의 전방에 굴절부를 구비하고 잇는 바, 빛의 굴절각에 따라 다양한 방향에서 주시한 물체의 영상을 CCD 또는 CNOS로 된 이미지센서인 화상 인식부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3차원 위치 인식(x,y,z 좌표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 받은 3차원 영상 인식장치는 인식체 내부에 분산되어 있는 식별입자의 위치값이나 특성치에 대한 데이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독하여야 하나 인식체와 렌즈요소의 간격과 각도를 정확하게 조절 위치시킨 상태에서 인식체에 대한 조명을 확보해야만 인식이 가능하므로 결과적으로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것은 물론이고 인식률 저하에 따른 사용상의 불편함으로 보급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3차원 영상 인식장치는 고가의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로 된 화상 인식부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가격이 고가이고, 별도의 상기 화상 인식부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에 대한 인증 작업을 위하여 별도의 인식장치를 추가로 구비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보급이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고가이면서 부피가 크고 조작의 어려움과 더불어 휴대가 곤란하여 일반인들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용이하게 피검체에 대한 인증을 실시할 수 있는 용도로서는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723036호, 3차원 영상 인식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별입자가 불규칙하게 배열된 식별층을 두 개 이상 적층하여 고유의 중첩패턴을 형성하고, 이들 중첩패턴 사이에 간지요소를 개재시켜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적층구조임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박형으로의 제작을 가능하게 한 랜덤형 다층 라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누구나 쉽게 소지할 수 있는 2차원 데이터 획득 장치인 스마트폰이나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식별입자가 갖는 특성치를 파악하고, 이 인식용 간지라벨이 다층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복제가 불가능한 랜덤형 다층 라벨을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은 고유의 식별패턴을 갖는 식별층을 다층으로 구성시킴으로써 소비자가 간지라벨 외관에 대한 진위 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중첩된 식별패턴 또는 각 식별층의 개별 식별패턴에 대한 이미지 판독을 통해 이를 인증정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제가 불가능하면서 소비자가 휴대한 휴대폰이나 스마트폰을 비롯한 각종 개인정보 단말기에 탑재된 카메라모듈을 이용하여 손쉽게 인증을 행할 수 있는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은, 불규칙한 배열을 갖는 식별입자 들로 이루어진 식별패턴을 고유정보로 하는 투과성재의 식별층을 2개 이상 적층하여 고유의 중첩패턴을 형성하는 중첩수단; 상기 적층 된 한 쌍의 식별층 사이에 구비되어 상·하측에서의 중첩패턴을 구분하는 코어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코어층은 상기 식별층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면서, 불투과 시트, 스마트칩, RF칩, 자기 시트, 식별입자에 대한 배색 시트, 홀로그램 시트,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시온 시트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식별층은 수지재나 유리재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조성하여 성형되고, 상기 식별입자는 위치, 색상, 모양, 크기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조합된 특성치를 갖는 것으로 수지재 분말, 유리재 분말, 광물재 분말, 금속재 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성형되거나 또는 잉크 또는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인식체는 그 일측으로 색인정보가 기록된 인덱스 패턴부가 더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다층으로 적층된 식별층은 상대하는 식별층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상호 투명한 점착층을 사이에 두고 부착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은 불규칙하게 식별입자가 배열된 식별층을 다층으로 적층 구성하고 이를 2차원 데이터로 인식하므로 기존의 인쇄 형태로 제공되는 QR코드, 바코드, 홀로그램 등의 인식체가 가지는 복제 가능성에 대한 불안요소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인식체는 다수의 식별층을 적층하는 구성이므로 원본 인식체에 대하여 동일한 식별층을 복제하고 이를 동일 위치에 적층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복제 가능성을 미연에 차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다층으로 이루어진 인식체에 대한 두께와 부피감을 쉽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인식체의 데이터값만 복제하여 사용하는 것도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인에게 널리 보급되어 있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나 개인 정보 단말기에 탑재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인식체에 대한 인식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인식장치에 대한 개발과 보급을 필요로 하지 않아 경제적으로 많은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적용에 대한 시장 진입의 장벽을 낮출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측에서 바라본 이미지와 하측에서 바라본 이미자가 간지요소인 코어에 의해 구분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층 구조임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간지요소인 코어층으로서 불투과 시트, 스마트칩, RF칩, 자기 시트, 식별입자에 대한 배색 시트, 홀로그램 시트,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시온 시트 들이 사용될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조합의 라벨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를 적용한 상품이나 제품에 대한 인증수단으로서의 신뢰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불규칙한 배열을 갖는 식별입자 들로 이루어진 식별패턴을 고유정보로 하는 투과성재의 식별층을 2개 이상 적층하여 고유의 중첩패턴을 형성하는 중첩수단과, 상기 적층 된 한 쌍의 식별층 사이에 구비되어 상·하측에서의 중첩패턴을 구분하는 코어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어층은 상기 식별층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면서, 불투과 시트, 스마트칩, RF칩, 자기 시트, 식별입자에 대한 배색 시트, 홀로그램 시트,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시온 시트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 식별층은 수지재나 유리재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조성하여 성형되고, 상기 식별입자는 위치, 색상, 모양, 크기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조합된 특성치를 갖는 것으로 수지재 분말, 유리재 분말, 광물재 분말, 금속재 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성형되거나 또는 잉크 또는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 인식체는 그 일측으로 색인정보가 기록된 인덱스 패턴부가 더 구비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 다층으로 적층된 식별층은 상대하는 식별층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상호 투명한 점착층을 사이에 두고 부착 구성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 다층으로 적층된 식별층 중 어느 하나는 다른 식별층과 다른 색상을 갖는 투과성재로 형성되는 것에 있다.
또한 다층으로 적층된 식별층들은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
10 : 식별층
11 : 식별입자

Claims (7)

  1. 불규칙한 배열을 갖는 식별입자 들로 이루어진 식별패턴을 고유정보로 하는 투과성재의 식별층을 2개 이상 적층하여 고유의 중첩패턴을 형성하는 중첩수단;
    상기 적층 된 한 쌍의 식별층 사이에 구비되어 상·하측에서의 중첩패턴을 구분하는 코어층;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은 상기 식별층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면서, 불투과 시트, 스마트칩, RF칩, 자기 시트, 식별입자에 대한 배색 시트, 홀로그램 시트,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시온 시트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층은 수지재나 유리재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조성하여 성형되고, 상기 식별입자는 위치, 색상, 모양, 크기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조합된 특성치를 갖는 것으로 수지재 분말, 유리재 분말, 광물재 분말, 금속재 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성형되거나 또는 잉크 또는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체는 그 일측으로 색인정보가 기록된 인덱스 패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으로 적층된 식별층은 상대하는 식별층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상호 투명한 점착층을 사이에 두고 부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으로 적층된 식별층 중 어느 하나는 다른 식별층과 다른 색상을 갖는 투과성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 .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으로 적층된 식별층들은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

KR1020120074720A 2012-07-09 2012-07-09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 KR20140007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720A KR20140007991A (ko) 2012-07-09 2012-07-09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720A KR20140007991A (ko) 2012-07-09 2012-07-09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991A true KR20140007991A (ko) 2014-01-21

Family

ID=5014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720A KR20140007991A (ko) 2012-07-09 2012-07-09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79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1365B2 (en) Gaming chip and management system
WO2012057459A1 (ko) 랜덤형 다층 인식체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EP3465637B1 (en) A method for authenticating a document
US20210323337A1 (en) Security document and method for the authentication thereof
US20090242646A1 (en) Personal identification card comprising a two-dimensional image of the user
JP2020021507A (ja) コード発生装置
CN209199472U (zh) 光学防伪识别卡
KR102388969B1 (ko) 위변조 방지용 필름 및 이의 활용방법
EP3647916A2 (en) Code generation device
KR20140007991A (ko) 랜덤형 다층 간지라벨
CN201082605Y (zh) 带有3d光栅的金融卡
KR101060060B1 (ko) 랜덤형 다층 인식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KR101047271B1 (ko) 랜덤형 다층 인식체
KR20220032717A (ko) 위변조 방지용 필름 및 이의 활용방법
CN203084822U (zh) 一种卡式电子存折自助服务系统
KR20110011108A (ko) 식별입자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30037905A (ko) 다층인식체용 인식장치
CN203746079U (zh) 一种基于物联网的二维码会员身份识别系统
CA3150189A1 (en) Hybrid color image for identification documents
JP2009137147A (ja) 認証媒体およびその製作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