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489U - Apparatus for contacting a door fr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acting a door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489U
KR20140006489U KR2020130005040U KR20130005040U KR20140006489U KR 20140006489 U KR20140006489 U KR 20140006489U KR 2020130005040 U KR2020130005040 U KR 2020130005040U KR 20130005040 U KR20130005040 U KR 20130005040U KR 20140006489 U KR20140006489 U KR 201400064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support
contact portion
steel plate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04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50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6489U/en
Publication of KR201400064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489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프레임을 벽면에 밀착시키는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강판 벽면과 상기 강판 벽면에 용접되는 도어 프레임을 밀착시킬 수 있는,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는, 제1밀착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1밀착부; 일측 끝단이 상기 제1밀착부와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 및 제2밀착면이 상기 제1밀착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밀착부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는 제2밀착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frame fastening apparatus for closely fitting a door frame to a wall surface,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 door frame fastening apparatus capable of closely contacting a steel plate wall surface and a door frame welded to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To this end, the door frame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fastening portion having a first fastening face; A suppo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art;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so as to face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so as to linearly reciprocate in a direction approaching or away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

Description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APPARATUS FOR CONTACTING A DOOR FR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frame,

본 고안은 도어 프레임을 벽면에 밀착시키는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박의 벽면으로 이용되는 강판 벽면(STEEL WALL)에 도어 프레임을 밀착시키는,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frame attaching apparatus for tightly attaching a door frame to a wall surf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frame attaching apparatus for closely attaching a door frame to a steel wall used as a wall surface of a ship.

선박은 전세계 물자수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운송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함에 있어서는, 강판 등과 같은 소재로 부품을 조립하고, 이들 부품으로부터 선체블록을 조립한 후에, 선체블록들을 조립하는 블록건조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Vessels are widely used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accounts for more than half of the world's goods transport. Generally, in drying a ship, a block drying method is widely used in which parts are assembled with a material such as a steel plate, the hull blocks are assembled from these parts, and then the hull blocks are assembled.

따라서, 상기 선박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벽면들은 강판(STEEL)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선박은 강판 벽면들로 구성되어 있다.Therefore, most of the wall surfaces constituting the ship are made of steel. That is, the ship is composed of steel plate walls.

상기 강판 벽면에는 다양한 장치들이 용접 등에 의해 장착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강판 벽면의 양쪽 측면을 관통시키기 위한 도어 프레임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도어가 장착된다. Various devices may be mounted on the steel plate wall by welding or the like. In particular, a door frame for passing through both side surfaces of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may be mounted, and a door is mounted on the door frame.

이 경우, 상기 도어 프레임 역시 강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oor frame may also be formed of a steel plate.

도 1은 선박을 구성하는 강판 벽면에 도어 프레임이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강판 벽면(20)과 도어 프레임(10)을 지면에 나란하게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상기 강판 벽면(20)의 양쪽 측면(도 1에서는 상측과 하측)은 상기 도어 프레임(10)을 통해 관통되어 있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oor frame is mounted on a wall surface of a steel sheet constituting a ship,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plate wall surface 20 and a door frame 10 cut in parallel to the ground. That is, both side surfaces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in FIG. 1) of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20 shown in FIG. 1 penetrate through the door frame 10.

상기한 바와 같이, 선박은 강판들의 조립에 의해 건조되고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선박을 구성하는 벽면 역시 강판 벽면(STEEL WALL)(20)으로 구성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hip is dried by the assembly of the steel plates, and thus the wall surface constituting the ship is also composed of the steel wall 20.

상기 강판 벽면(20)의 양쪽 측면을 관통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강판 벽면(20)의 일부를 절단하고, 절단된 부분에 상기 도어 프레임(10)을 장착시킬 수 있으며, 관통된 부분을 개폐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 프레임(10)에 추가적으로 도어를 장착할 수 있다 .In order to penetrate both side surfaces of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20, a part of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20 may be cut and the door frame 10 may be mounted on the cut portion.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through- The door can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door frame 10.

상기 강판 벽면(20)과 상기 도어 프레임(10)은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Since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20 and the door frame 10 are formed of steel plates, they can be firm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welding.

그러나, 강판 벽면(20)의 절단 시, 절단면이 매끄럽지 못하거나, 또는 상기 도어 프레임(10)의 절곡부 또는 절단면 등이 매끄럽지 못한 경우, 상기 강판 벽면(20)과 상기 도어 프레임(10) 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간격(A)이 발생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20 is cut, when the cut surface is not smooth, or when the bent portion or the cut surface of the door frame 10 is not smooth,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20 and the door frame 10 An interval A as shown in Fig.

즉, 도 1에 도시된 간격(A)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강판 벽면(20)과 상기 도어 프레임(10)이 용접되어야, 상기 강판 벽면(20)과 상기 도어 프레임(10)이 용접되어야, 용접 부분이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20 and the door frame 10 must be welded together with the interval A shown in FIG. 1 being in close contact, and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20 and the door frame 10 must be welded , The welding portion can be firmly formed.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간격(A)을 별도의 충전물질을 이용하여 충전시킨 후, 상기 강판 벽면(20)과 상기 도어 프레임(10)을 용접하거나, 또는 러그와 야피스 등을 이용하여 상기 강판 벽면(20)과 상기 도어 프레임(10)을 용접하였다.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after the gap A as described above is filled with a separate filling material, the steel plate wall 20 and the door frame 10 are welded together, or by using lugs,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20 and the door frame 10 were welded.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들을 사용하는 것은, 상기 강판 벽면(20)과 상기 도어 프레임(10)의 용접 과정을 복잡하게 하고 있으며, 작업자에게 추가적인 노력을 요구하고 있다. However, using the above-described devices complicates the welding process of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20 and the door frame 10, and requires additional effort for the operator.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강판 벽면과 상기 강판 벽면에 용접되는 도어 프레임을 밀착시킬 수 있는,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frame tightening device capable of closely contacting a steel plate wall surface and a door frame welded to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는, 제1밀착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1밀착부; 일측 끝단이 상기 제1밀착부와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 및 제2밀착면이 상기 제1밀착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밀착부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는 제2밀착부를 포함한다.The door frame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fastening portion having a first fastening face; A suppo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art;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so as to face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so as to linearly reciprocate in a direction approaching or away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

여기서, 상기 제1밀착부는, 일측면에는 상기 제1밀착면이 형성되어 있는 강판 벽면 밀착부; 및 상기 강판 벽면 밀착부의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의 상기 일측 끝단에 연결되는 강판 벽면 연장부를 포함한다.Here, the first tight contact portion may include a steel plate wall close contact portion having the first close contact face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steel plate wall extend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steel plate wall close contac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또한, 상기 제2밀착부는, 일측면에는 상기 제2밀착면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 프레임 밀착부; 상기 도어 프레임 밀착부의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밀착부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는 도어 프레임 연장부; 및 상기 도어 프레임 연장부의 끝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 프레임 연장부가 상기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외력이 가해지는 손잡이를 포함한다.The second tight contact portion may include a door frame tight contact portion having the second close contact surface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door frame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door frame close part and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art so as to reciprocate linearly in a direction approaching or away from the first close part; And a handle mounted on an end of the door frame extension portion and exerting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door frame extension portion performs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밀착부가 상기 제2밀착부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제1밀착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밀착부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제2지지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밀착부가 상기 제1밀착부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제2밀착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3지지부를 포함한다.The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such that the first contact portion linearly reciprocates in a direction that the first contact portion approaches or moves away from the second contact portion; A second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so as to linearly reciprocate in a direction of approaching or separating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is configured to reciprocate linearl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contact portion approaches or departs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a third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close contact portion.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는, 강판 벽면과 상기 강판 벽면에 용접되는 도어 프레임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강판 벽면과 상기 도어 프레임에 대한 용접 과정을 간편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The door frame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erform a welding process on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and the door frame by fixing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and the door frame welded to the steel plate wall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도 1은 선박을 구성하는 강판 벽면에 도어 프레임이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의 또 다른 일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를 이용하여 강판 벽면과 도어 프레임을 밀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oor frame is mounted on a wall surface of a steel plate constituting a ship;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3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 door frame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and the door frame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using the door frame adh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elements, but they are number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word " first, "" second," and the lik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re to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representat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들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t least one"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means that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or the third item, as well as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Means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two or more.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의 또 다른 일실시예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를 이용하여 강판 벽면과 도어 프레임을 밀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door frame close-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oor frame close-u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eel plate wall surface and a door frame are clos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using an apparatus; Fig.

선박은 강판들의 조립에 의해 건조되고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선박을 구성하는 벽면 역시 강판 벽면(STEEL WALL)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ship is being dried by the assembly of the steel plates, and thus the wall constituting the ship is also composed of a steel wall.

상기 강판 벽면의 양쪽 측면을 관통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강판 벽면의 일부를 절단하고, 절단된 부분에 상기 도어 프레임을 장착시킬 수 있으며, 관통된 부분을 개폐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 추가적으로 도어를 장착할 수 있다 .In order to penetrate both side surfaces of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a part of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may be cut, and the door frame may be mounted on the cut portion.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penetrated portion, .

상기 강판 벽면과 상기 도어 프레임(10)은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Since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and the door frame 10 are formed of steel plates, they can be firm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welding.

그러나, 강판 벽면의 절단 시, 절단면이 매끄럽지 못하거나, 또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절곡부 또는 절단면 등이 매끄럽지 못한 경우, 상기 강판 벽면과 상기 도어 프레임 간에는 간격이 발생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is cut, when the cut surface is not smooth, or when the bent portion or the cut surface of the door frame is not smooth, a gap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and the door frame.

선박 이외에도 강판 벽면으로 구성되는 다양한 종류의 구조물(이하, 선박과 구조물을 총칭하여 간단히 '구조물'이라 함)에서, 용접을 통해 상기 강판 벽면에 도어 프레임을 밀착시키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강판 벽면과 상기 도어 프레임 간에 간격이 발생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door fram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steel plate through various types of structures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structure") composed of steel plate wall surfaces in addition to the vessel, And the door frame may be spaced apart.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강판 벽면과 상기 도어 프레임 간에 발생되는 간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도어 프레임을 상기 강판 벽면에 밀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door frame adhe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bringing the door fra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steel plate so that a gap generated between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and the door frame is not generated.

상기 도어 프레임이 상기 강판 벽면에 밀착된 이후, 상기 도어 프레임과 상기 강판 벽면이 용접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도어 프레임과 상기 강판 벽면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After the door frame is closely attached to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the door frame and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are welded to each other, so that the door frame and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can be firmly connect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밀착면(111a)이 형성되어 있는 제1밀착부(110), 일측 끝단이 상기 제1밀착부(110)와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120) 및 제2밀착면(131a)이 상기 제1밀착부(110)와 마주보도록 상기 지지부(120)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밀착부(110)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지지부(120)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는 제2밀착부(130)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door frame close-u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ight contact portion 110 formed with a first close contact surface 111a, The supporting portion 120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31a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are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20 so as to face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And a second tight contact portion 130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20 so as to reciprocate linearly in a direction of approaching or separating from the tight contact portion 110.

첫째, 상기 제1밀착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판 벽면(20)의 일측면에 밀착된다. First, the first tight contact portion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20, as shown in FIG.

상기 제1밀착부(110)는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 끝단에서, 상기 지지부(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지지부(120)와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120)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지지부(120)와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밀착부(130)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지지부(1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The first tight contact portion 1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port portion 120 at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120 or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support portion 120, Or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120 so as to linearly reciprocat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120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support portion 120 so as to move toward or away from the second contact portion 130. [

즉, 상기 제1밀착부(110)는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 끝단에, 완전히 고정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 끝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That is, the first tight contact portion 110 may be completely fixed to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120, or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120 so as to be detachable.

예를 들어, 상기 강판 벽면(20)에 용접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도어 프레임(1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밀착부(110)가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 끝단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 프레임의 상기 'ㄱ'자 형태의 부분이, 도 4에서 하단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면, 상기 제1밀착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밀착면(111a)이 상기 강판 벽면(20)의 일측면에 접촉되지 않을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door frame 10, which is welded to the steel plate wall 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etter 'A' as shown in FIG. 4, Shaped portion of the door frame is elongated in the lower direction in FIG. 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oor frame from being formed in the first tightening portion 110 The first contact surface 111a may not be in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steel plate wall 20.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제1밀착부(110)가, 상기 지지부(120)와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밀착부(130)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지지부(1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first tight contact portion 110 is formed in a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support portion 120 so as to reciprocate linearly in a direction approaching or away from the second tight contact portion 13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120.

이 경우, 상기 제1밀착부(110)는, 일측면에는 상기 제1밀착면(111a)이 형성되어 있는 강판 벽면 밀착부(111) 및 상기 강판 벽면 밀착부(111)의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120)의 상기 일측 끝단에 연결되는 강판 벽면 연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tight contact portion 110 has a steel plate wall close contact portion 111 having the first close contact face 111a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side face 111b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face of the steel plate wall close contact portion 111 And a steel plate wall extension part 112 connected to the one end of the support part 120.

상기 강판 벽면 밀착부(111)는 상기 강판 벽면과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합성수지, 강판, 고무 등 다양한 종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eel plate wall surface-adhering portion 111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ynthetic resin, steel plate, and rubber,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teel plate wall.

상기 강판 벽면 연장부(112)는 상기 강판 벽면 밀착부(111)의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 끝단에 탈부착될 있도록 연결된다.The steel plate wall extension portion 112 extends from the other side of the steel plate wall face attachment portion 111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120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hereto.

이를 위해, 상기 강판 벽면 연장부(112)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강판 벽면 연장부(112)가 연결되는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돌기(113)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돌기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 2, at least one protrusion 113 may be formed on the steel plate wall extension 112 and the support 120, to which the steel plate wall extension 112 is connected, At least two protrusion holes 121a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protrusion 113 so that the protrusion 113 can be inserted and fixed.

작업자는 상기 제1밀착부(110)를,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 끝단 방향으로 밀거나, 상기 일측 끝단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 상기 돌기(113)가 삽입되는 상기 돌기홀(121a)을 다양하게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1밀착부(11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operator pushes the first tight contact portion 110 toward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120 or pushes the first tight contact portion 11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end so that the protrusions 113 are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holes 121a The entire length of the first tight contact portion 110 can be adjusted.

여기서, 상기 돌기(113)는 작업자가 손으로 누르면 상기 강판 벽면 연장부(112)의 내부로 삽입되고, 외력이 사라지면 다시 원래의 상태대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강판 벽면 연장부(112)의 내부에는 상기 돌기(113)와 연결된 스프링 등이 장착될 수 있다.Here, the protrusion 113 may be inserted into the steel plate wall extension 112 when the operator presses it with his hand, and may protrude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disappears. For this purpose, a spring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projection 113 may be mounted in the steel plate wall extension 112.

상기 돌기(113)가 상기 돌기홀(121a)을 통해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돌기(113)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의 수직 방향, 즉, 상기 제1밀착부(110)와 상기 제2밀착부(130)가 마주하고 있는 직선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돌기(113)는 상기 돌기홀(121a)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밀착부(110)의 끝단까지의 길이는 일정한 길이로 유지될 수 있다. When the protrusion 113 protrudes through the protrusion hole 121a, the protrusion 113 protru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113 protrudes, that is, The projection 113 is not separated from the projection hole 121a even if a force is applied in a linear direction facing the projection 130. [ Therefore, one side of the support 120 The length from the end to the end of the first contact part 110 may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ngth.

한편, 상기 강판 벽면 연장부(112)가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 끝단에 탈부착될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강판 벽면 연장부(11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1체결부홈(1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강판 벽면 연장부(112)가 연결되는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 끝단에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체결부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 3, the steel plate wall extending portion 112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or more first and second openings 110a and 110b, And at least one first fastening hole 121a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ort 120 to which the steel plate wall extension 112 is connected.

작업자는 상기 제1밀착부(110)를,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 끝단 방향으로 밀거나, 상기 일측 끝단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 상기 제1체결부홈(114)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체결부홀(121a)에 일치시킴으로써, 상기 제1밀착부(11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operator pushes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toward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120 or pushes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end portion so that any one of the first connection recesses 114 The entire length of the first tight contact portion 110 can be adjusted by matching the fastening hole 121a.

여기서, 상기 제1체결부홈(114)에 대응되는 상기 제1체결부홀(121a)과, 상기 제1체결부홈(114)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와 같은 제1체결부(14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first fastening hole 121a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4 and the first fastening groove 140 (see FIG. 3) Can be inserted and fixed.

상기 제1체결부(140)가 상기 제1체결부홈(114)과 상기 제1체결부홀(121a)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밀착부(110)와 상기 제2밀착부(130)가 마주하고 있는 직선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밀착부(110)의 끝단까지의 길이는 일정한 길이로 유지될 수 있다.
Since the first fastening part 140 is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4 and the first fastening hole 121a, the first tightening part 110 and the second tightening part 130 The length from one end of the support part 120 to the end of the first contact part 110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ngth even if a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facing straight line.

둘째, 상기 제2밀착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판 벽면(20)의 타측면 방향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의 일측 끝단에 밀착된다. Second,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tight contact portion 130 is closely attached to one end of the door frame in the other lateral direction of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20. As shown in FIG.

상기 제2밀착부(130)는 제2밀착면(131a)이 상기 제1밀착부(110)와 마주보도록 상기 지지부(120)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밀착부(110)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지지부(120)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다. The second tight contact portion 130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20 such that the second close contact surface 131a faces the first tight contact portion 110 and is close to the first tight contact portion 110 And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20 so as to linearly reciprocat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120 moves toward or away from the support portion 120.

즉, 상기 제2밀착부(130)는 상기 지지부(120)의 타측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That is, the second tight contact part 13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art 120 so as to be detachable.

예를 들어, 상기 강판 벽면(20)에 용접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도어 프레임(1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밀착부(130)가 상기 지지부(120)의 타측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다면, 상기 제2밀착부(13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밀착면(131a)이 상기 도어 프레임(10)의 일측 끝단에 접촉되지 않을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door frame 10, which is welded to the steel plate wall 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etter 'A'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contact surface 131a formed on the second contact portion 130 may not contact one end of the door frame 10 if the second contact surface 130a is completely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20 .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제2밀착부(130)가, 상기 지지부(120)와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밀착부(110)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지지부(120)에 연결되어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ight contact portion 130 is formed in a separate structure from the support portion 120, and is configured to reciprocate linearly in a direction approaching or departing from the first tight contact portion 110 A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ortion 120.

이 경우, 상기 제2밀착부(130)는, 일측면에는 상기 제2밀착면(131a)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 프레임 밀착부(131), 상기 도어 프레임 밀착부(131)의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밀착부(110)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지지부(120)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는 도어 프레임 연장부(132) 및 상기 도어 프레임 연장부(132)의 끝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 프레임 연장부(132)가 상기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외력이 가해지는 손잡이(133)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tight contact portion 130 includes a door frame tight contact portion 131 having the second close contact face 131a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door frame close contact portion 131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door frame close contact portion 131 And a door frame extension part 132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art 120 so as to reciprocate linearly in a direction approaching or away from the first tight contact part 110, And a handle 133 for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door frame extension 132 so as to perform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상기 도어 프레임 밀착부(131)는 상기 도어 프레임과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합성수지, 강판, 고무 등 다양한 종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door frame fastening part 131 may be formed of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synthetic resin, steel, and rubber,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door frame.

상기 도어 프레임 연장부(132)는 상기 도어 프레임 밀착부(131)의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120)의 타측에 탈부착될 있도록 연결된다.The door frame extension part 132 extends from the other side of the door frame close part 131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art 120.

이를 위해, 상기 도어 프레임 연장부(132)의 외주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120)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3지지부(123)에 형성되어 있는 홀(123b)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산과 대응되는 홀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2, an extension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oor frame extension part 132, and a third support part 123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art 120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123b, a hole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 is formed.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133)를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도어 프레임 연장부(132)를 상기 제1밀착부(110)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또는 상기 도어 프레임 연장부(132)를 상기 제1밀착부(110)의 반대 방향으로 후진시킴으로써, 상기 제2밀착부(130)가 상기 도어 프레임(1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The operator rotates the knob 133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advance the door frame extension 132 toward the first contact unit 110 or to move the door frame extension 132 toward the first contact unit 110. [ The second tight contact portion 13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oor frame 10 by reversing the first tight contact portion 11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tight contact portion 110. [

셋째,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제1밀착부(110)와 상기 제2밀착부(13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부(12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ird, the support 120 functions to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tightly coupled parts 110 and 130. The support 120 may have various shapes.

상기 지지부(120)의 제1실시예는 다음과 같다.A first embodiment of the support part 120 is as follows.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밀착부(110)가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120, as described above.

상기 지지부(120)의 타측에는, 상기 제2밀착부(13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밀착부(130)는, 상기 제2밀착면(131a)이 상기 제1밀착부(110)와 마주보도록 상기 지지부(120)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밀착부(110)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지지부(120)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다. The second tight contact portion 13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20. The second tight contact portion 130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20 such that the second close contact surface 131a faces the first tight contact portion 110, And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20 so as to linearly reciprocat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120 moves closer to or away from the support portion 120.

즉, 상기 지지부(120)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밀착부(110)는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 끝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밀착부(130)는 상기 제1밀착부(110)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지지부(120)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다. That i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upport part 120, the first tight contact part 110 is fixed to one end of the support part 120, and the second tight contact part 130 is fixed to one end of the support part 120,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20) so as to linearly reciprocate in a direction of approaching or separating from the support portion (110).

상기 지지부(120)의 제2실시예는 다음과 같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upport part 120 is as follows.

상기 지지부(120)의 타측에는, 상기 지지부(120)의 타측에는, 상기 제2밀착부(13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밀착부(130)는, 상기 제2밀착면(131a)이 상기 제1밀착부(110)와 마주보도록 상기 지지부(120)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밀착부(110)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지지부(120)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다.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art 120, the second tight contact part 13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art 120. The second tight contact portion 130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20 such that the second close contact surface 131a faces the first tight contact portion 110, And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20 so as to linearly reciprocat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120 moves closer to or away from the support portion 120.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밀착부(110)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제1밀착부(110)는, 상기 제2밀착부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ight contact portion 1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120 in a detachable manner. That is, the first tight contact part 1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pport part 120 so as to linearly reciprocate in a direction approaching or away from the second tight contact part.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 끝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돌기홀(121a)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체결부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t least one protrusion hole 121a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ort part 120, and at least one first fastener hole 121a may be formed.

여기서, 상기 지지부(120) 중, 상기 제1밀착부(110)가 상기 제2밀착부(120)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제1밀착부(110)와 연결되는 부분은, 제1지지부(121)라 한다. The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20 connected to the first adhered portion 110 so that the first adhered portion 110 linearly reciprocates in a direction of approaching or moving away from the second adhered portion 120, , And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21.

즉, 상기 제1지지부(121)에는, 제1지지부(121)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밀착부(110)의 끝단까지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밀착부(110)가 탈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지지부(12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홀(121a)가 형성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체결부홀(121a)이 형성될 수도 있다. That is, the first support part 121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support part 121 so that the length from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121 to the end of the first contact part 110 can be varied 2, the protrusion hole 121a may be formed in the first support portion 121 or the first fastening hole 121a may be formed in the first support portion 121 as shown in FIG. It is possible.

상기 지지부(120)의 제3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The third embodiment of the support part 120 is as follows.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밀착부(110)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제1밀착부(110)는, 상기 제2밀착부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tact part 1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pport part 120 so as to be attachable and detachable. That is, the first tight contact part 1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pport part 120 so as to linearly reciprocate in a direction approaching or away from the second tight contact part.

상기 지지부(120)의 타측에는, 상기 제2밀착부(130)를 지지하고 있는 제3지지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지지부(123)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121)와 연결되어 있는 제2지지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지지부(122)에 연결되어 있다.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20, a third support portion 123 supporting the second adhesion portion 130 is formed. 2 or 3, the third support portion 123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2 so as to be moved along the second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121, .

즉, 상기 제3지지부(123)는, 상기 제1밀착부(110)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제2지지부(12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밀착부(130)가 상기 제1밀착부(110)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제2밀착부(130)와 연결되어 있다. That is, the third support part 123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art 122 so as to reciprocate linearly in a direction approaching or away from the first contact part 1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tight contact part (130) so as to linearly reciprocat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tight contact part (110) approaches or moves away from the first tight contact part (110).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2지지부(122)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부돌기(12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지지부(122)에 연결되는 상기 제3지지부(123)의 끝단에는, 지지부돌기홀(123a)이 형성될 수 있다.2, at least two support protrusions 122a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2 to perform the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s 122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2, The supporting protrusion hole 123a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third supporting part 123 to be connected.

작업자는 상기 제3지지부(123)를, 상기 제1밀착부(110) 방향으로 밀거나, 상기 제1밀착부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 상기 지지부돌기홀(123a)에 삽입될 상기 지지부돌기(122a)를 다양하게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3지지부(123)와 상기 제1밀착부(11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강판 벽면(20) 또는 상기 도어 프레임(10)의 폭이 길어, 상기 도어 프레임 연장부(132)의 길이 조정만으로는, 상기 제2밀착부(130)를 상기 도어 프레임(10)에 밀착시킬 수 없을 때 작업자는, 상기 제3지지부(123)를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The operator pushes the third support part 123 toward the first contact part 110 or pushes the third support part 123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contact part so that the support part protrusion 122a to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part projection hole 123a,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123 and the first tightening portion 110 can be adjusted. The width of the steel plate wall 20 or the door frame 10 is long so that the second tight contact portion 130 can be closely contacted to the door frame 10 only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door frame extension portion 132 The operator can move the third support portion 123 using the method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지지부돌기(122a)는 작업자가 손으로 누르면 상기 제2지지부(122) 내부로 삽입되고, 외력이 사라지면 다시 원래의 상태대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지지부(122)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부돌기(122a)와 연결된 스프링 등이 장착될 수 있다.Here, the support protrusion 122a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2 when the operator presses it with his hand, and may protrude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disappears. For this purpose, a spring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support protrusion 122a may be mounted in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2. [

상기 지지부돌기(122a)가 상기 지지부돌기홀(123a)을 통해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돌기(122a)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의 수직 방향, 즉, 상기 제1밀착부(110)와 상기 제3지지부(123)가 마주하고 있는 직선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지지부돌기(122a)는 상기 지지부돌기홀(123a)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밀착부(110)와 상기 제3지지부(123) 간의 길이는 일정한 길이로 유지될 수 있다. When the support protrusion 122a protrudes through the support protrusion hole 123a, the protrusion 122a protru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122a protrudes, that is, The support projection 122a is not separated from the support projection hole 123a even if a force is applied in a linear direction facing the support portion 123. [ Therefore, the length between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123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ngth.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2지지부(12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2체결부홈(122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지지부(122)에 연결되는 상기 제3지지부(123)의 끝단에는, 제2체결부홀(123a)이 형성될 수 있다.3, at least two second fastening grooves 122b may be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2 to perform the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A second fastening hole 123a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123 connected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22.

작업자는 상기 제3지지부(123)를, 상기 제1밀착부(110) 방향으로 밀거나, 상기 제1밀착부(110)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 상기 제2체결부홀(123a)을 어느 하나의 상기 제2체결부홈(122b)에 일치시킴으로써, 상기 제1밀착부(110)와 상기 제3지지부(123) 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operator pushes the third support portion 123 toward the first tightening portion 110 or pushes the third tightening portion hole 123a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tightening portion 110, The length between the first tight contact portion 110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123 can be adjusted by matching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22b.

여기서, 상기 제2체결부홈(122b)에 대응되는 상기 제2체결부홀(123a)과, 상기 제2체결부홈(122b)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와 같은 제2체결부(15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fastening holes 123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astening grooves 122b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s 122b have second fastening portions 150 Can be inserted and fixed.

상기 제2체결부(150)가 상기 제2체결부홈(122b)과 상기 제2체결부홀(123a)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밀착부(110)와 상기 제3지지부(123)가 마주하고 있는 직선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제1밀착부(110)와 상기 제3지지부(123) 간의 길이는 일정한 길이로 유지될 수 있다. Since the second fastening part 15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22b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123a so that the first fastening part 110 and the third supporting part 123 face each other, The length between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123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ngth.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 이외에도, 상기 지지부(1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밀착부(110) 및 상기 제2밀착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support portion 1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ightly coupled portions 110 and 130.

한편,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강판 벽면(20)과 상기 도어 프레임(10)을 밀착시키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강판 벽면(20)과 상기 도어 프레임(10)이 밀착될 수도 있다.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eel plate wall 20 and the door frame 1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using the door frame close-up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However, The steel plate wall surface 20 and the door frame 1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using the door frame attachme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00 :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 110 : 제1밀착부
120 : 지지부 130 : 제2밀착부
100: door frame tightening device 110: first tightening part
120: support part 130: second adhesion part

Claims (4)

제1밀착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1밀착부;
일측 끝단이 상기 제1밀착부와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 및
제2밀착면이 상기 제1밀착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밀착부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는 제2밀착부를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
A first contact portion on which a first contact surface is formed;
A suppo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art; And
And a second tight contact portion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such that the second close contact surface faces the first tight contact portion and is reciprocated linearly in a direction approaching or away from the first close contact portion, Wherein the door frame is attached to the door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착부는,
일측면에는 상기 제1밀착면이 형성되어 있는 강판 벽면 밀착부; 및
상기 강판 벽면 밀착부의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의 상기 일측 끝단에 연결되는 강판 벽면 연장부를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ightly-
A steel plate wall surface adhering part formed on one side surface with the first adhering surface; And
And a steel plate wall extend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steel plate wall close contac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밀착부는,
일측면에는 상기 제2밀착면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 프레임 밀착부;
상기 도어 프레임 밀착부의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밀착부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장착되어 있는 도어 프레임 연장부; 및
상기 도어 프레임 연장부의 끝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 프레임 연장부가 상기 직선왕복운동을 하도록 외력이 가해지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tightly-
A door frame fastening part having a first side surface formed with the second side surface;
A door frame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door frame close part and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art so as to reciprocate linearly in a direction approaching or away from the first close part; And
And a handle attached to an end of the door frame extension portion and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door frame extension portion to perform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밀착부가 상기 제2밀착부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제1밀착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밀착부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제2지지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밀착부가 상기 제1밀착부와 가까워지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하도록 상기 제2밀착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3지지부를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밀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ortion
A first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such that the first contact portion linearly reciprocat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ntact portion approaches or moves away from the second contact portion;
A second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so as to reciprocate linearly in a direction approaching or away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configured to reciprocate linearly in a direction of approaching or departing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a third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door frame.

KR2020130005040U 2013-06-21 2013-06-21 Apparatus for contacting a door frame KR2014000648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040U KR20140006489U (en) 2013-06-21 2013-06-21 Apparatus for contacting a door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040U KR20140006489U (en) 2013-06-21 2013-06-21 Apparatus for contacting a door fr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489U true KR20140006489U (en) 2014-12-31

Family

ID=53611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040U KR20140006489U (en) 2013-06-21 2013-06-21 Apparatus for contacting a door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6489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6509A (en) * 2019-05-22 2019-08-02 荷顿智能制造(太仓)有限公司 A kind of automobile production weld clamp device
CN110977290A (en) * 2019-12-11 2020-04-10 江苏华电铁塔制造有限公司 Balance arm position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6509A (en) * 2019-05-22 2019-08-02 荷顿智能制造(太仓)有限公司 A kind of automobile production weld clamp device
CN110977290A (en) * 2019-12-11 2020-04-10 江苏华电铁塔制造有限公司 Balance arm position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4129B1 (en) Clamping device for DIN rail
BR0011841A (en) Mounting for sheet material
KR20140006489U (en) Apparatus for contacting a door frame
CA3103720A1 (en) Assembled plastic pallet
US3769730A (en) Painting fastener
AU2016358314B2 (en) Clamping assembly
KR20180005382A (en) Formwork system
KR101691962B1 (en) Coaming assembly
US20160341231A1 (en) Support bracket and assembly formed of connected structural members
JP2018534456A5 (en)
US8167288B2 (en) Force multiplying handle mechanism for a bar clamp
US6663479B2 (en) Contouring hand sander tool
US10617272B2 (en) Squeegee and component of same
KR20170064690A (en) Prefabricating structure of aluminum window frame reinforced clamping force
US8262071B2 (en) Positioning assembly for lens trimmer blades
JP2019030605A (en) Panel apparatus
EP3024023B1 (en) Slat fastening assembly
JP2007523748A (en) Sliding closure element with coupling
US1150962A (en) Hand-clamp.
JP2017031990A (en) Clip and joining structure using clip
US847161A (en) Attachment for newspaper-presses.
US20140331827A1 (en) Screwdriver with screwdriver mounting handle
KR101722236B1 (en) a measuring apparatus for curved surfaces
KR200455840Y1 (en) Stud plate assembly structure for large display device
US20170087685A1 (en) Pressing Device Having a Toothed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