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411U - 표면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표면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411U
KR20140006411U KR2020147000047U KR20147000047U KR20140006411U KR 20140006411 U KR20140006411 U KR 20140006411U KR 2020147000047 U KR2020147000047 U KR 2020147000047U KR 20147000047 U KR20147000047 U KR 20147000047U KR 20140006411 U KR20140006411 U KR 201400064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surface cleaning
cleaning apparatus
upflow
uppe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70000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556Y1 (ko
Inventor
댄 빌거
어맨드 수잔 리프킨 세인트
Original Assignee
유로-프로 오퍼레이팅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로-프로 오퍼레이팅 엘엘씨 filed Critical 유로-프로 오퍼레이팅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400064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4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5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5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5Handles for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직립형 표면 청소 장치는 표면 청소 헤드, 가요성 도관 섹션 및 청소 헤드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부 섹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부 섹션은 오염 공기 입구와 청결 공기 출구 사이의 공기 유동 통로에 위치된 공기 처리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면 청소 장치는 공기 유동 통로에 위치된 흡입 모터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상부 섹션은 가요성 도관 섹션과 공기 처리 부재 사이에서 공기 유동 통로에 위치된 상향류 도관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가요성 도관은 가요성 도관의 하류측 단부로 하방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고, 상향류 도관은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로부터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로 상방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표면 청소 장치 {SURFACE CLEANING APPARATUS}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교시의 본 고안의 요지는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와 같은 표면 청소 장치(surface cleaning apparatus)에 관한 것이다.
진공 청소기와 같은 표면 청소기 장치의 다양한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현재, 다수의 표면 청소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로닉 청소 스테이지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공기가 오염 공기 입구를 통해 진공 청소기 내로 흡인되고 사이클론 입구로 반송된다. 사이클론 내의 공기의 회전은 기류 스트림 내의 미립자 물질의 일부가 기류 시스템으로부터 동반해제(disentrained)되게 한다. 이 물질은 이어서 오물통 수집 챔버에 수집되고, 이 오물통 수집 챔버는 사이클로의 저부에 또는 사이클론 챔버의 외부의 직접 수집 챔버 내에 있을 수도 있다(예를 들어, WO2009/026709호 및 US 5,078,761호 참조). 하나 이상의 부가의 사이클로닉 청소 스테이지 및/또는 필터는 사이클론으로부터 하류측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하의 요약은 독자에게 뒤따르는 더욱 상세한 설명을 전달하도록 제시된다. 요약은 청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교시의 일 넓은 태양에 따르면, 표면 청소 장치는 표면 청소 헤드와, 표면 청소 헤드에 장착된 상부 섹션을 포함한다. 표면 청소 장치는 오염 공기 입구, 청결 공기 출구 및 이들 사이로 연장하는 공기 유동 통로를 포함한다. 흡입 모터 및 공기 처리 부재가 오염 공기 입구와 청결 공기 출구 사이에서 공기 유동 통로에 제공될 수 있다. 상부 섹션은 직립 위치와 사용중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부 섹션은 표면 청결 헤드로부터 착탈 가능할 수 있다.
공기 유동 통로는 오염 공기 입구와 기류 연통하는 제1 상향류 도관과, 공기 처리 부재와 기류 연통하는 제2 상향류 도관과, 제1 및 제2 상향류 도관 사이에 기류 연통하는 하향류 도관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상향류 도관의 부분은 착탈 가능한 청소 막대를 포함할 수도 있고, 표면 청소 모드와 바닥위(above-floor) 청소 모드의 모두로 작동 가능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향류 도관은 청소 막대를 공기 유동 통로에 유동 연결하는 가요성 노이즈 부재를 포함한다. 가요성 호스는 사용자가 상부 섹션으로부터 별도로 청소 막대를 조작하게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청소 막대를 이동시킬 때, 가요성 호스는 상부 섹션에 견인력을 인가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상부 섹션 상에 비교적 낮게 위치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부 섹션의 하부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하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는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에 결합될 수도 있고, 또한 상부 섹션의 하단부에 근접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구성의 장점은 가요성 호스로부터 상부 섹션으로 전달된 힘이 상부 섹션의 하단부를 향해 인가된다는 것일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호스를 잡아당기면 표면 청소 장치가 전복하는(tip over)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이는 표면 청소 장치 또는 그 부분이 사용자가 청소 막대를 사용할 때 뒤집어지는 대신에, 사용자 후방을 따라 잡아당겨지게 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넓은 태양에 따르면, 직립형 표면 청소 장치는 오염 공기 입구 및 오염 공기 입구로부터 청결 공기 출구로 연장하는 공기 유동 통로를 갖는 표면 청소 헤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면 청소 장치는 가요성 도관 섹션 및 청소 헤드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직립 위치와 제2 경사진 사용중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도 있는 상부 섹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부 섹션은 오염 공기 입구와 청결 공기 출구 사이에서 공기 유동 통로에 위치된 공기 처리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면 청소 장치는 공기 유동 통로에 위치된 흡입 모터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상부 섹션은 가요성 도관 섹션과 공기 처리 부재 사이에서 공기 유동 통로에 위치된 상향류 도관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가요성 도관은 가요성 도관의 하류측 단부로 하방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고, 상향류 도관은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로부터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로 상방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표면 청소 장치의 무게 중심 아래에 위치될 수도 있고,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는 표면 청소 장치의 무게 중심 위에 있을 수도 있다.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흡입 모터와 동일 높이에 있을 수도 있고, 흡입 모터는 직립 섹션의 하단부에서 공기 처리 부재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공기 처리 부재는 공기 입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사이클론 챔버의 공기 입구 아래에 있을 수도 있다.
표면 청소 장치는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표면 청소 헤드와 기류 연통하여 연결된 상류측 단부로부터 공기 처리 부재 위에 위치된 하류측 단부로 상방으로 연장하는 강성 상향류 도관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가요성 도관 섹션은 강성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와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강성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는 상부 섹션에 구동식으로 연결된 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공기 처리 부재는 사이클론 챔버와 사이클론 챔버로부터 오물을 수용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이클론 챔버 아래에 배치된 오물 수집 챔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오물 수집 챔버는 저부 단부벽을 가질 수도 있고,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오물 수집 챔버의 저부 단부벽 아래에 있을 수도 있다.
가요성 도관의 하류측 단부는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도 있다.
표면 청소 장치는 가요성 도관과 상향류 도관 사이에 배치된 만곡된 도관 부재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고, 회전 가능한 커플링이 만곡된 도관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만곡된 도관 부재는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가요성 도관의 하류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만곡된 도관 부재의 입구는 가요성 도관의 하류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만곡된 도관 부재의 출구는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만곡된 도관 부재의 입구 및 출구는 상이한 방향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상부 섹션은 청소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고, 청소 유닛은 적어도 공기 처리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향류 도관은 청소 유닛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청소 유닛의 하단부에 근접하여 위치될 수도 있다.
상류측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청소 유닛의 무게 중심 아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청소 유닛의 하단부에 근접한다.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는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청소 유닛의 무게 중심 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청소 유닛은 흡입 모터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흡입 모터의 무게 중심 아래에 위치될 수도 있고,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흡입 모터 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청소 유닛은 종방향 청소 유닛축의 방향에서 측정된 청소 유닛 높이를 갖고,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 사이의 종방향 간격은 상부 섹션 유닛 높이의 약 15% 내지 약 100%일 수도 있다.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 사이의 종방향 간격은 상부 섹션 유닛 높이의 약 35% 내지 약 85%이다.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청소 유닛의 저부 사이의 종방향 간격은 상부 섹션 유닛 높이의 약 25% 미만일 수도 있다.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청소 유닛의 저부 사이의 종방향 간격은 상부 섹션 높이의 약 10% 미만일 수도 있다.
표면 청소 장치는 표면 청소 헤드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장착 허브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고, 청소 유닛은 장착 허브에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청소 유닛은 청소 유닛이 표면 청소 헤드로부터 분리될 때 청소 유닛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청소 유닛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청소 유닛 지지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휠을 포함할 수도 있다.
공기 처리 부재는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와 유체 연통하는 사이클론 공기 입구를 갖는 사이클론 챔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공기 처리 부재는 사이클론 챔버 및 오물 수집 챔버를 포함하는 사이클론 통 조립체(cyclone bin assembly)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이클론 공기 입구는 사이클론 챔버의 저부를 향해 제공될 수도 있다.
표면 청소 장치는 바닥위 청소 막대를 더 포함하고, 표면 청소 장치는 바닥위 청소 막대가 공기 유동 통로의 부분을 형성하는 바닥 청소 모드와, 바닥위 청소 막대의 입구가 오염 공기 입구와 기류 연통 상태로부터 탈착될 수도 있는 바닥위 청소 모드에서 작동 가능할 수도 있고, 바닥위 청소 막대는 가요성 도관 섹션으로부터 상류측에 연결된 출구를 가질 수도 있다.
표면 청소 장치는 바닥위 청소 막대에 연결된 핸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핸들과 바닥위 청소 막대는 표면 청소 장치가 바닥 청소 모드에 있을 때 표면 청소 헤드에 구동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핸들은 제1 파지 부재 및 별도의 제2 파지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파지 부재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할 수도 있고, 제2 파지 부재는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2 방향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제2 파지 부재는 제1 파지 부재에 대해 약 15도 내지 약 75도의 각도로 배향될 수도 있다.
표면 청소 장치가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제2 파지 부재는 일반적으로 수직일 수도 있고 제1 파지 부재는 수평의 약 30도 이내에 있다.
제2 파지 부재는 핸들의 전방부 상에 제공될 수도 있고,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일반적으로 수직일 수도 있다.
핸들은 청소 막대의 출구에 근접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청소 막대는 막대 길이를 가질 수도 있고, 상향류 도관은 상향류 도관 길이를 가질 수도 있고, 상향류 도관 길이는 막대 길이의 적어도 35%일 수도 있다.
상향류 도관 길이는 막대 길이의 적어도 50%일 수도 있다.
청소 막대는 상부 섹션에 부착될 수도 있고,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청소 막대의 입구는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하류측 단부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된다.
상향류 도관은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가 표면 청소 장치의 운동 방향에서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부 섹션에 대해 경사질 수도 있다.
직립형 표면 청소 장치는 오염 공기 입구를 갖는 표면 청소 헤드와, 오염 공기 입구로부터 청결 공기 입구로 연장하는 공기 유동 통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부 섹션이 표면 청소 헤드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고 직립 위치와 제2 경사진 사용중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도 있다. 상부 섹션은 오염 공기 입구과 청결 공기 출구 사이에서 공기 유동 통로에 위치된 공기 처리 부재 및 공기 유동 통로에 위치된 흡입 모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공기 유동 통로는 표면 청소 헤드와 유체 유동 연통하는 강성 제1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공기 처리 부재 위에 위치된 강성 제1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 사이로 연장하는 강성 제1 상향류 도관, 상부 섹션의 하단부에 근접하여 위치된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로부터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 위에 위치된 제2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로 상방으로 연장하는 제2 상향류 도관 및 제1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와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 사이로 연장하는 하향류 도관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는 공기 처리 부재의 공기 입구에 근접할 수도 있다.
제1 상향류 도관, 제2 상향류 도관 및 하향류 도관은 공기 처리 부재의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표면 청소 장치의 무게 중심 아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제2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는 표면 청소 장치의 무게 중심 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하향류 도관과 제2 상향류 도관 중 적어도 하나는 가요성 호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공기 처리 부재는 공기 입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사이클론 챔버의 공기 입구 아래에 있을 수도 있다.
공기 처리 부재는 사이클론 챔버와 사이클론 챔버로부터 오물을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이클론 챔버의 아래에 배치된 오물 수집 챔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오물 수집 챔버는 저부 단부벽을 가질 수도 있고,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오물 수집 챔버의 저부 단부벽 아래에 있을 수도 있다.
하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는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도 있다.
표면 청소 장치는 하향류 도관과 제2 상향류 도관 사이에 배치된 만곡된 도관 부재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고, 회전 가능한 커플링이 만곡된 도관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만곡된 도관 부재는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하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만곡된 도관 부재의 입구 및 출구는 상이한 방향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상부 섹션은 청소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고, 청소 유닛은 공기 처리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상향류 도관은 청소 유닛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청소 유닛의 하단부에 근접할 수도 있다.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청소 유닛의 무게 중심 아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제2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는 청소 유닛의 무게 중심 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청소 유닛은 흡입 모터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흡입 모터의 무게 중심 아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와 제2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있을 때, 제2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는 흡입 모터 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부 섹션은 종방향 청소 유닛축의 방향에서 측정된 상부 섹션 높이를 가질 수도 있고,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제2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 사이의 종방향 간격은 상부 섹션 높이의 약 15% 내지 약 100%일 수도 있다.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제2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 사이의 종방향 간격은 상부 섹션 높이의 약 25% 내지 약 85%일 수도 있다.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청소 유닛의 저부 사이의 종방향 간격은 청소 유닛 높이의 약 25% 미만일 수도 있다.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청소 유닛의 저부 사이의 종방향 간격은 청소 유닛 높이의 약 10% 미만일 수도 있다.
장착 허브가 표면 청소 헤드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청소 유닛은 장착 허브 상에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공기 처리 부재는 제2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와 기류 연통하는 사이클론 공기 입구를 갖는 사이클론 챔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이클론 공기 입구는 사이클론 챔버의 저부를 향해 제공될 수도 있다.
표면 청소 장치는 바닥위 청소 막대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표면 청소 장치는 바닥위 청소 막대가 공기 유동 통로의 부분을 형성하는 바닥 청소 모드와, 바닥위 청소 막대의 입구가 오염 공기 입구와 기류 연통 상태로부터 탈착되는 바닥위 청소 모드에서 작동 가능할 수도 있다. 바닥위 청소 막대는 가요성 도관 섹션으로부터 상류측에 연결된 출구를 가질 수도 있다.
청소 막대는 막대 길이를 가질 수도 있고, 제2 상향류 도관은 제2 상향류 도관 길이를 가질 수도 있고, 제2 상향류 도관 길이는 막대 길이의 적어도 35%일 수도 있다.
제2 상향류 도관 길이는 막대 길이의 적어도 50%일 수도 있다.
청소 막대는 상부 섹션에 부착될 수도 있고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청소 막대의 입구는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 위에 그리고 제2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 아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제2 상향류 도관은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가 표면 청소 장치의 운동 방향에서 제2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부 섹션에 대해 경사질 수도 있다.
첨부 도면에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도면에서,
도 1은 표면 청소 장치의 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면 청소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면 청소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면 청소 장치의 부분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표면 청소 장치와 함께 사용 가능한 사이클론 통 조립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표면 청소 장치의 부분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표면 청소 장치의 부분의 후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표면 청소 장치의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표면 청소 장치의 부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표면 청소 장치와 함께 사용 가능한 표면 청소 헤드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보조 청소 모드에서 도 1의 표면 청소 장치의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보조 청소 모드에서 도 1의 표면 청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표면 청소 장치의 다른 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표면 청소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표면 청소 장치의 후방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표면 청소 장치의 부분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표면 청소 장치의 부분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3의 표면 청소 장치의 부분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3의 표면 청소 장치의 부분의 정면 사시도이다.
적절한 것으로 고려되는 경우에, 도면 부호는 대응 또는 유사 요소를 지시하기 위해 도면들 사이에서 반복될 수도 있다.
다양한 장치 또는 프로세스가 각각의 청구된 고안의 실시예의 예를 제공하기 위해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 설명된 어떠한 실시예도 임의의 청구된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청구된 고안은 이하에 설명된 것들과는 상이한 프로세스 또는 장치를 커버할 수도 있다. 청구된 고안은 이하의 설명된 임의의 하나의 장치 또는 프로세스의 모든 특징을 갖는 장치 또는 프로세스에 또는 이하에 설명된 다수의 또는 모든 장치에 공통적인 특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 설명된 장치 또는 프로세스는 임의의 청구된 고안의 실시예가 아닌 것이 가능하다. 본 문헌에 청구되지 않은 이하에 설명된 장치 또는 프로세스에 개시된 임의의 고안은 다른 보호 문헌(protective instrument), 예를 들어 계속 고안 출원의 요지일 수도 있고, 출원인, 고안자 또는 소유자는 본 문헌에서의 그 개시에 의해 임의의 이러한 고안을 포기하고, 기권하거나 대중에 기증하도록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표면 청소 장치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표면 청소 장치(100)는 직립형 표면 청소 장치이다. 대안 실시예에서, 표면 청소 장치는 예를 들어 핸디형 진공 청소기(hand vacuum), 캐니스터 진공 청소기(canister vacuum cleaner), 스틱형 진공 청소기(stick vac), 건습식 진공 청소기 및 카페트 청소기(carpet extractor)를 포함하는 다른 적합한 유형의 표면 청소 장치일 수도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면 청소 장치(100)는 표면 청소 헤드(102) 및 상부 섹션(104)을 포함하는 직립형 진공 청소기이다. 오염 공기 입구(106)가 표면 청소 헤드(102)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부 섹션(104)은 적어도 공기 처리 부재(110) 및 흡입 모터(도시 생략)를 포함하는 흡입 모터 하우징(112)과, 선택적으로 복수의 다른 부품을 포함하는 청소 유닛(108)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흡입 모터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부 섹션(104), 또는 그 적어도 일부는 표면 청소 헤드(102)로부터 착탈 가능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도 8 및 도 10 참조). 대안적으로, 상부 섹션은 표면 청소 헤드로부터 착탈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청소 유닛은 청결 공기 출구(114)를 포함할 수도 있고, 공기 유동 통로(116)가 그 사이로 연장하고, 오염 공기 입구(106)와 청결 공기 출구(114)를 유동 연결한다. 대안적으로, 청결 공기 출구는 다른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표면 청소 장치는 하나 초과의 청소 모드에서 작동 가능할 수도 있다. 상이한 작동 모드에서 작동하는 다용도성은 복수의 방식으로 성취될 수도 있고, 청소 유닛이 표면 청소 헤드로부터 분리되게 함으로써 성취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추가의 다용도성이 상부 섹션의 적어도 일부가 탈착되고 그리고/또는 재구성되게 함으로써 성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섹션 상에 제공된 공기 유동 통로의 부분은 공기 유동 통로를 변경하도록 재구성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면 청소 장치(100)는 청소 유닛(108)이 표면 청소 장치(100)에 기계적으로 유동적으로 연결되고 공기 유동 통로(116)가 표면 청소 헤드(102) 상의 오염 공기 입구(106)와 청결 공기 출구(114) 사이에서 연장하는 표면 청소 모드(예를 들어, 도 1 참조)에서 작동 가능할 수도 있다. 표면 청소 장치(100)는 또한 청소 유닛(108)이 표면 청소 헤드(102)로부터 탈착되는(예를 들어 도 8 참조) 보조 청소 모드에서 작동 가능할 수도 있다. 보조 청소 모드에서, 공기 유동 통로(114)는 상이한 오염 공기 입구[예를 들어, 보조 청소 막대(154), 청소 도구의 입구(106a) 또는 다른 적합한 공기 입구 - 도 11 참조]로부터 청결 공기 출구(114)로 연장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구성에서, 제2 오염 공기 입구(106a)의 위치, 예를 들어 청소 막대기(154)의 단부는 청소 유닛에 대해 조정 가능하다.
핸들(118)이 바람직하게는 표면 청소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해 상부 섹션(104)에 구동식으로 연결된다. 핸들(118)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도 있는 임의의 적합한 구성일 수도 있다. 상부 섹션(104)의 상부를 향해 위치된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핸들(118)은 표면 청소 장치(100) 상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표면 청소 장치(100)가 그 직립 위치에 있을 때, 표면 청소 헤드(102)의 저부(122)와 상부 섹션(104)의 상부, 이 경우에 핸들의 상단부(124) 사이의 수직 거리(120)는 표면 청소 장치 높이(120)를 규정한다. 높이(120)는 임의의 적합한 거리일 수도 있고, 약 1 미터 내지 2 미터일 수도 있다.
표면 청소 헤드(102)는 예를 들어 회전 브러시를 갖는 전동식 청소 헤드 및 브러시리스 청소 헤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청소 장치일 수도 있다. 표면 청소 헤드(102)는 임의의 적합한 구성일 수도 있고, 청소되는 표면에 접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휠 또는 다른 구름 지지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표면 청소 헤드(102)는 전방 단부에 제공된 오염 공기 입구(106) 및 표면을 가로질러 구르기 위한 한 쌍의 후방휠(126) 및 한 쌍의 전방휠(선택적으로, 캐스터형 휠, 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표면 청소 장치가 직립형 표면 청소 장치이면, 상부 섹션(104)은 당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표면 청소 헤드(102)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면 청소 장치(100)는 장착 허브(128)(임의의 적합한 구성의) 또는 다른 적합한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부 섹션(104)은 장착 허브(128)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착 허브(128)는 임의의 적합한 피벗 조인트를 사용하여 표면 청소 헤드(102)에 피벗식으로 장착될 수 있어, 장착 허브(128)와 상부 섹션(104)의 모두가 예를 들어 표면 청소 헤드(102)에 대해 피벗축(130) 둘레로 피벗될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부 섹션(104)은 장착 허브(12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장착 허브(128)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피벗축(132) 둘레에서 표면 청소 헤드(102)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 구성은 적어도 표면 청소 장치(100)가 사용중일 때, 상부 섹션(104)이 표면 청소 헤드(102)에 대해 회전되게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섹션(102)은 적어도 직립 또는 보관 위치와 사용중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예를 들어, 표면 청소 헤드에 피벗식으로 장착됨).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서, 표면 청소 장치(100)는 외부 하우징(134)을 갖는 장착 허브(128)를 포함하고, 그 위에 상부 섹션(104)의 대응 부분이 놓일 수 있는 상향 지향 지지면(136)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 섹션(104)은 지지면(136)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하향 지향 지지면(138)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장착 허브(128)는 표면 청소 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서비스 또는 부품을 위한 연결부(140)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부 섹션(104)이 장착 허브(128) 상에 장착될 때 진공 기류 및/또는 전력과 같은 복수의 서비스가 상부 섹션(104)과 표면 청소 헤드(102) 사이로 전달되게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공된 연결부(140)는 개별 액추에이터 또는 트리거링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상부 섹션(104)의 배치 및 제거에 의해 각각 자동으로 결합되고 그리고/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스위치, 밸브 및 다른 적합한 하드웨어가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장착 허브(128)는 장착 기둥(142) 및 전기 커넥터(144)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 장착 기둥(142)은 중공 도관(conduit) 부재이고, 선택적으로 오염 공기 입구(106)와 청결 공기 출구(114) 사이로 연장하는 공기 유동 통로(116)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장착 기둥(142)은 표면 청소 헤드(102)와 상부 섹션(104) 사이에 유체 연결을 제공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장착 허브(128)는 개별 장착 및 공기 유동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부 섹션(104)이 지지 플랫폼(136) 상에 장착될 때, 장착 기둥(14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청소 유닛(108)의 저부의 대응 리세스(146) 내에 수용된다. 리세스(146)는 공기 유동 통로(116)를 완성하는 것을 돕기 위해 다른 도관 부재와 유체 연통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장착 기둥(142) 및 리세스(146)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및 다각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대응 단면 형상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체결구(fastener)[예를 들어, 멈춤쇠(detent) 또는 다른 적합한 체결구 - 도시 생략]가 리세스(146) 내에 제공되어 리세스 내에 장착 기둥(142)을 선택적으로 잠금할 수 있다. 이는 표면 청소 헤드(102)를 청소 유닛(108)에 고정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연결부는 단지 표면 청소 헤드(102)를 청소 유닛(108)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잠금 기구일 수도 있다. 체결구가 장착 기둥(142)(또는 장착 허브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부분)에 결합하도록 제공되면, 임의의 적합한 체결구 해제 트리거가 상부 부분(104)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트리거를 작동하는 것은 리세스(146) 내의 장착 기둥(142)에 이들을 고정하는 체결구를 해제할 수도 있어, 이에 의해 청소 유닛(108)이 표면 청소 헤드(102)로부터 들어올려지게 한다.
전기 커넥터(144)가 상부 섹션 상에 제공된 선택적인 대응 전기 커넥터(148)와 정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커넥터일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표면 청소 헤드 상의 전기 커넥터(144)는 프롱(prong)(150)을 포함하고, 상부 섹션 상의 전기 커넥터(148)는 프롱(150)을 수용하기 위한 대응 소켓을 포함한다. 다른 유형의 전기 커넥터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예에서, 상부 섹션(104)은 공기 처리 부재(110) 및 바람직하게는 공기 처리 부재(110) 아래에 위치되어 있는 흡입 모터 하우징(112)을 포함하는 청소 유닛(108)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부 섹션(104)은 임의의 적합한 구성일 수도 있다.
공기 처리 부재(110)는 공기 유동 통로(116)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오물 입자 및 다른 부스러기(debris)를 제거하기 위해 오염 공기 입구(106)로부터 하류측에서 공기 유동 통로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공기 처리 부재(110)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특징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처리 부재일 수도 있고, 공기 유동 통로(116)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는 백, 필터, 하나 이상의 사이클론 및 임의의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공기 처리 부재는 사이클론 통 조립체(110)이다.
청결 공기 출구(114)는 청소 유닛(108) 내에 제공될 수도 있고, 흡입 모터로부터 하류측에 위치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필터 또는 여과 부재, 예를 들어 HEPA 필터가 청결 공기 출구(114)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릴(152)(도 3) 또는 다른 적합한 커버 부재가 청결 공기 출구(114)에 제공되어 임의의 이러한 필터를 수납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그릴(152)은 개방 가능할 수도 있고, 또는 바람직하게는 착탈 가능할 수도 있어, 청결 공기 출구(114)에서 필터에 접근을 허용한다.
선택적으로, 청소 유닛(108)은 표면 청소 헤드(102)로부터 착탈 가능한 일반적으로 내장형 유닛 또는 포드(pod)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 청소 유닛(108)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공기 처리 부재(110) 및 흡입 모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공기 처리 부재(110)와 연통하는 보조 오염 공기 입구를 제공하도록 재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부분(104)은 착탈 가능한 바닥위 청소 막대(154)(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보조 청소 도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청소 막대(154)는 청소 유닛(108)으로부터 탈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고 보조 오염 공기 입구(106a)로서 기능하는 입구(156)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 청소 유닛(108)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표면 청소 헤드(102)일 때 자립형 청소 장치로서 작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표면 청소 헤드(102)로부터 청소 유닛(108)을 분리하고 가구, 윈도우 커버, 천정 코너 및 임의의 다른 이러한 특징부들을 청소하기 위해 바닥위 청소 막대(154)를 이용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표면 청소 헤드(102)를 탈착하는 것은, 사용자가 표면 청소 헤드(102)의 중량을 들어올리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자가 단지 청소 유닛(108)을 휴대하게 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102)가 청소 유닛(108)에 여전히 부착된 때 사용자가 청소 막대(154)를 탈착하여 사용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청소 막대(154)를 조작하는 동안 청소 유닛(108)이 표면 청소 헤드(102) 상에 지지되게 할 수도 있다.
핸들이 표면 청소 헤드로부터 분리될 때 사용자가 청소 유닛(108)을 파지하여 조작하는 것을 돕기 위해 청소 유닛(108)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청소 유닛(108) 상에 제공된 핸들은 1차 핸들(118)로부터 별도인 핸들(156)과 같은 보조 핸들일 수 있다. 핸들(156)은 임의의 적합한 구성일 수도 있고, 청소 유닛(108) 상의 임의의 적합한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핸들(156)은 사이클론 통 조립체(110) 상에 제공될 수도 있고, 사이클론 통 조립체가 예를 들어 사이클론 통 조립체(110)로부터 오물을 비우기 위해 청소 유닛(108)(도 5 참조)으로부터 분리될 때 사이클론 통 조립체(110)를 지지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초과의 핸들이 청소 유닛(108)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공기 처리 부재는 사이클론 챔버(158) 및 오물 수집 챔버(160)를 포함하는 사이클론 통 조립체(110)를 포함한다. 도 4를 또한 참조하면, 도시된 예에서, 흡입 모터 하우징(112)은 흡입 모터(도시 생략)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예시된 바와 같이, 흡입 모터는 사이클론 통 조립체(110)로부터 하류측의 공기 유동 통로(116)와 기류 연통할 수도 있다. 흡입 모터는 임의의 적합한 모터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흡입 강도, 작동 노이즈, 전력 소비 및 물리적 크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인자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하우징(112)은 선택된 흡입 모터를 수용할 뿐만 아니라 사이클론 통 조립체(110)와 정합하여 선택적으로 이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청소 유닛(108)은 사이클론 통 조립체(11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유닛의 일단부, 즉 상부를 향해 제공되고, 흡입 모터는 청소 유닛의 다른 단부를 향해, 즉 청소 유닛(108)의 저부를 향해 제공될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 사이클론 통 조립체의 상부와 하향 지향 지지면(138)[또는 면(138)을 포함하는 평면(166)] 사이의 거리(162)[이 경우에, 사이클론 챔버(158)의 상부 단부벽을 포함하는 평면(164)으로부터 측정됨]는 청소 유닛 높이(162)를 규정한다. 다른 구성에서, 높이는 청소 유닛의 최상부 부분과 최하부 부분 사이에 규정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지지면(138)은 청소 유닛(108)이 표면 청소 헤드(102)로부터 탈착될 때 바닥 또는 다른 이러한 표면 상에 놓이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체 청소 프로세스 중에 청소 유닛(108)을 파지하기보다는, 청소되는 물체, 예를 들어 소정의 가구 부분의 옆의 바닥 상에 청소 유닛(108)을 놓아두기를 원할 수도 있다. 청소 유닛(108) 상에 지지 부재를 제공하는 것은 청소 유닛(108)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도울 수도 있고, 충격 및/또는 손상으로부터 전기 소켓(148)과 같은 청소 유닛의 부분을 보호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 구성에서, 지지 부재는 청소 유닛(108)으로부터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푸트(168)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지지 푸트(168)는 청소 유닛(108)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청소 유닛(108)에 부착될 수 있는 개별 부재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지지 부재는 지지 푸트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안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휠 또는 다른 유형의 구름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름 지지 부재를 제공하는 것은 청소 유닛(108)이 표면 청소 헤드(102) 상에 청소 유닛(108)을 장착할 필요 없이 바닥을 가로질러 구르게 할 수도 있다. 이 구성은 사용자가 청소 유닛을 들어올리는 대신에, 청소 유닛(108)을 바닥을 가로질러 구르게 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사용중에 있을 때 청소 유닛(108)을 사용자 후방을 따라 당겨지게 할 수도 있다.
청소 유닛(108)이 표면 청소 헤드(102) 상에 장착될 때, 청소 유닛 지지 부재, 예를 들어 푸트(168)는 장착 허브(128)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개지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수용될 수도 있고, 또는 장착 허브(128)의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사이클론 통 조립체(110)는 임의의 적합한 디자인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이클론 통 조립체는 임의의 적합한 구성, 크기 및 형상일 수도 있다. 사이클론 챔버는 예를 들어, 직립형 사이클론, 반전형 사이클론(inverted cyclone) 및 수평 또는 횡방향 사이클론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이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하나 초과의 사이클론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서, 사이클론 통 조립체(110)는 반전형 사이클론 챔버로서 구성된 사이클론 챔버(158)와, 사이클론 챔버(158) 아래에 배치된 오물 수집 챔버(16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오물 수집 챔버(160)는 사이클론 챔버(158)와 협동하고, 뿐만 아니라 표면 청소 장치(100)의 나머지와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사이클론 챔버(158)는 오물 수집 챔버(16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선택적으로 오물 수집 챔버(160)로부터 분리 가능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론 통 조립체(100)의 적어도 일부는 오물 수집 챔버(160)를 비우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돕기 위해 표면 청소 장치(100)의 상부 섹션(104)으로부터 제거 가능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전체 사이클론 통 조립체(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 가능하다. 비움 및/또는 검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이클론 통 조립체(110)의 상부(170) 및 저부(172)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모두는 사이클론 챔버(158) 및/또는 오물 수집 챔버(160)의 내부로의 접근을 제공하도록 개방 가능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사이클론 통 조립체(110)의 일부 또는 모두는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어, 사이클론 통 조립체(110)를 개방하거나 분해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사이클론 통 조립체(110)의 내용물, 예를 들어 오물 수집 챔버(160)의 내용물을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도 있게 된다. 이는 또한 표면 청소 장치(100)가 사용중에 있는 동안 사용자가 사이클론 통 조립체(110)의 내부를 검사하게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덮개(174)가 사이클론 챔버(158)의 상부(170)를 덮는다. 선택적으로, 덮개(174)의 내부면은 사이클론 챔버(158)의 제1 단부벽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덮개(174)는 당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사이클론 통 조립체(110)로부터 개방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착탈 가능하다.
덮개(174)의 개방은 사용자가 예를 들어 세척을 위해 사이클론 챔버(158)의 내부에 접근하게 할 수도 있다. 덮개(174)는 예를 들어 힌지(176)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기구에 의해 사이클론 통 조립체(110)에 피벗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폐쇄 구성과 개방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도 있다. 덮개(174)는 해제 가능한 래치(178)(도 1)와 같은 당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폐쇄 위치에 유지될 수도 있다. 핸들(156)은 덮개(174)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선방향 공기 입구(180)가 사이클론 챔버(158)의 측벽(182)에 제공되고, 오염 공기 입구(106 또는 106a)와 유체 연통한다. 접선방향 공기 입구(180)는 임의의 적합한 디자인 및/또는 단면적일 수도 있고, 사이클론 챔버(158)의 측벽(182)을 따라 임의의 적합한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공기 입구(180)를 거쳐서 사이클론 챔버(158) 내로 유입하는 공기는 사이클론 챔버(158)의 내부 주위로 순환할 수도 있고, 오물 입자 및 다른 부스러기는 순환 공기로부터 동반해제되게 될 수도 있다.
오물 수집 챔버(160)는 사이클론 챔버(158)를 거쳐서 오염 공기 입구로부터 분리된 오물 및 부스러기를 수용하여 보유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오물 수집 챔버(160)는 소정의 사이클론 챔버(158)를 수용할 수도 있는 임의의 적합한 구성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및 금속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사이클론 챔버(158) 내에서 순환하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사이클론 통 조립체가 사용중에 있을 때 오물 수집 챔버 내로 유입하여 순환할 수도 있다. 오물 수집 챔버(160) 내에서 순환한 후에, 공기가 사이클론 챔버(158) 내로 재차 유입하고 사이클론 챔버(158)의 공기 출구(도시 생략)를 거쳐서 유출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오물 수집 챔버(160)는 단일의 일체로 형성된 챔버일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임의의 적합한 단면 형상일 수도 있고, 그 높이를 따라 가변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공기 유동 통로(116)가 오염 공기 입구(106 및/또는 106a)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상부 섹션(104)에 제공되는 청결 공기 출구(114)로 연장한다. 공기 유동 통로(116)는 표면 청소 장치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유도하도록 협동할 수도 있는 강성 도관, 가요성 도관, 챔버 및 다른 특징부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부 섹션(104)은 다양한 구성일 수도 있고, 공기 유동 통로(116)는 상부 섹션(104) 및/또는 청소 유닛(108) 내의 그리고/또는 주위의 복수의 상이한 경로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동 통로(116)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작동 구성으로 위치될 수 있는 재구성 가능한 공기 유동 통로이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동 통로(116)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도관 섹션을 포함한다. 가요성 도관 섹션을 제공하는 것은 공기 유동 통로의 재구성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가요성 도관 섹션은 2개의 일반적으로 강성 도관 섹션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도관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공기 유동 통로는 도관 부재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관 섹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청소 유닛(108) 상에 제공되고, 선택적으로 청소 유닛(108)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모든 공기 유동 도관부는 청소 유닛(108)의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도 2, 도 3 및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서, 상부 섹션(104)에 제공된 공기 유동 통로(116)의 부분은 제1 상향류 도관(184), 제2 상향류 도관(186) 및 제1 및 제2 상향류 도관(184, 186) 사이에 위치된 하향류 도관(188)을 포함한다. 도 2에서, 그리고 몇몇 다른 도면에서, 하향류 도관(188)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 구성에서, 청소 유닛(108)이 표면 청소 헤드(도 3) 상에 장착될 때, 오염 공기가 오염 공기 입구(106)를 거쳐 흡인될 수도 있고 표면 청소 헤드(102)를 통해 청소 유닛(108)의 저부의 리세스(146) 내로 유동할 수도 있다. 오염 공기는 이어서 제1 상향류 도관(184)(도 3 및 도 6 참조)의 상류측 단부(190) 내로 상향으로 유동할 수도 있고[즉, 일반적으로 도 3에 화살표(189)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유닛(108)의 저부로부터 이격하여], 제1 상향류 도관(184)의 대향 하류측 단부(192)로 이동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1 상향류 도관(184)의 하류측 단부(192)는 핸들(118)에 근접하여 제공된다.
제1 상향류 도관(184)으로부터, 오염 공기가 하향류 도관(188)의 상류측 단부(194) 내로 이동할 수도 있고, 이어서 하향류 도관(188)의 대향 하류측 단부(196)로 하방으로[즉, 일반적으로 도 3에 화살표(19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유닛(108)의 저부를 향해] 유동할 수도 있다. 공기는 이어서 하향류 도관(188)의 하류측 단부(196)로부터 제2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로 전달될 수도 있다. 오염 공기는 이어서 일반적으로 제2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로부터 상향류 도관(186)의 하류측 단부(200)로 이동할 수도 있다[화살표(193)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는 제2 상향류 도관(186)의 하류측 단부(200)보다 청소 유닛(108) 상에서 더 아래에 위치된다.
제2 상향류 도관(186)의 하류측 단부(200)로부터, 오염 공기는 사이클론 통 조립체(110)(또는 다른 적합한 공기 처리 부재)의 공기 입구(180) 내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 공기 유동 통로(116)는 예를 들어 도관(184, 186)과 같은 2개의 개별의 상방 또는 상향류 도관 섹션들 사이에 제공된, 예를 들어 도관(188)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하방 또는 하향류 도관 섹션을 포함한다. 공기 유동 통로(116)는 원하는 바에 따라 임의의 다른 적합한 도관 섹션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상향류 도관(184), 제2 상향류 도관(186) 및 하향류 도관(188)의 일부 또는 모두는 가요성일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가요성 도관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상향류 도관(184)은 플라스틱 튜브와 같은 일반적으로 강성 도관 부재이고, 또한 구조적 부하 지탱 부재로서 기능한다. 도시된 예에서, 강성 상향류 튜브(184)는 핸들(118)용 지지체로서 또한 기능하고, 사용자가 표면 청소 장치(100)를 조작하게 한다. 이 구성에서, 상향류 도관(184)은 청소 유닛(108) 및/또는 표면 청소 헤드(102)에 근접한 그 하단부로부터 공기 처리 부재(108) 위에 위치된 그 상단부로 연장할 수도 있다[표면 청소 장치(100)가 직립 위치에 있을 때]. 바람직하게는, 제1 상향류 도관(184)의 상단부의 위치는 핸들(118)이 사용자의 편안한 높이에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핸들(118)과 청소 유닛(108)의 상부[도 8에 평면(164)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사이의 간격(202)은 임의의 적합한 거리일 수도 있고, 0.25 미터 내지 1.5 미터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간격(202)은 사용자가 청소 유닛(108) 및/또는 표면 청소 헤드(102)에 대한 핸들(118)의 높이를 변경하게 하도록 조정 가능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상향류 도관(184)의 일부 또는 모두는 가요성 또는 다르게는 비-하중 지탱형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전기 코드 왜곡 부재(204)(도 8)를 포함하는 표면 청소 장치(100)의 다른 부품들은 제1 상향류 도관(184)의 외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제1 상향류 도관(184)은 임의의 적합한 크기 및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 형상일 필요는 없다.
선택적으로, 제1 상향류 도관(184)의 적어도 일부는 청소 유닛(108)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거나 분리 가능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1 상향류 도관(184)은 착탈 가능한 바닥위 청소 막대(154)를 형성한다(도 11 및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청소 막대(154)의 입구(106a)는 제1 상향류 도관(184)의 상류측 단부(190)를 형성할 수도 있고, 임의의 적합한 기구를 사용하여 청소 유닛(108)에 착탈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청소 막대(154)의 입구(106a)는 청소 유닛(108)(도 6) 상의 대응 도크부(dock portion)(206) 내에 삽입 가능할 수 있고, 해제 가능한 래치(208)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체결구를 사용하여 적소에 유지될 수도 있다. 이 위치에 있을 때, 청소 막대(154) 및/또는 제1 상향류 도관(184)의 나머지는 오염 공기 입구(106)를 청결 공기 출구(114)에 연결하는 공기 유동 통로(116)의 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고, 표면 청소 헤드(102)에 구동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청소 막대(154)의 입구(106a)는 청소 유닛이 표면 청소 헤드 상에 장착될 때(도 12) 그리고 청소 유닛(108)이 표면 청소 헤드(102)로부터 분리될 때(도 11) 청소 유닛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하류측 단부(192) 또는 청소 막대(154)의 출구는 핸들(118)에 인접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 청소 막대의 하류측 단부(192)는 또한 제1 상향류 도관(184)의 하류측 단부로서 기능한다. 대안적으로, 제1 상향류 도관(184)은 청소 막대 출구로부터 별개인 하류측 단부 또는 출구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상향류 도관(184)의 하류측 단부(192)로부터, 오염 공기는 핸들(118)(도 3 및 도 12)에 근접하여 또한 제공된 하향류 도관(188)의 상류측 단부(194) 내로 유입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동 가능한 연결부가 하향류 도관(188)의 상류측 단부(184)와 제1 상향류 도관(184)의 하류측 단부(192)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오염 공기는 하향류 도관(188)의 하류측 단부(196)에 도달할 때까지 하향류 도관(188)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청소 막대(154)의 입구가 청소 유닛으로부터 탈착될 때, 이는 표면 청소 장치(100)용 보조 오염 공기 입구(106a)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막대(154)의 입구(106a)는 크레비스 툴(crevice tool) 및/또는 가구 청소 도구와 같은 하나 이상의 보조 청소 도구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공기 유동 통로 내에, 그리고 선택적으로 제1 상향류 도관(184)부 내에 하나 이상의 부가의 분리점 또는 접합점이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면 청소 장치(100)는 핸들(118)이 내부 공기 유동 도관부(210)(도 1 및 도 12)를 포함할 수도 있고 청소 막대 도관(154)의 하류측 단부(192)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 핸들(118)은 청소 막대(154)로부터 결합해제될 수도 있고, 이어서 그 자신에 사용될 수도 있는 보조 오염 공기 입구를 형성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보조 청소 도구에 부착될 수도 있다. 부가의 탈착점이 제1 상향류 도관(184)의 길이를 따라 그리고 공기 유동 통로(116) 내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하향류 도관(188)의 상류측 단부(194)는 제1 상향류 도관(184)의 하류측 단부(192)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하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196)는 제2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하향류 도관(188)은 오염 공기의 유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도관 부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향류 도관은 가요성 도관 부재(예를 들어, 가요성 호스)를 포함한다. 가요성 도관 부재를 제공하는 것은 청소 막대(154)의 제거 및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하향류 도관(188)은 가요성 호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호스는 청소 막대(154)가 사용중일 때 소정의 여분의 길이를 제공하도록 신장될 수 있고 청소 막대(154)가 청소 유닛(108) 상에 장착될 때 더 짧은 길이로 수축할 수 있도록 적어도 다소 신축성이다.
선택적으로, 청소 막대(154)가 청소 유닛(108)으로부터 탈착될 때, 호스(188)의 하류측 단부(196)와 제2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 사이의 연결부는 청소 막대(154), 핸들(118) 및 가요성 호스(188) 및 청소 유닛(108) 사이의 단지 기계적 및/또는 구조적 연결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 청소 막대(154)의 조작은 호스(188)에 견인력을 인가할 수도 있다. 이 견인력 또는 장력은 하향류 도관(188)의 하류측 단부(196)와 청소 유닛(108) 사이의 연결부를 거쳐서 표면 청소 장치(100)에 전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청소 막대(154)를 조작하는 사용자는 원격 위치에 도달하려고 시도할 수도 있고, 부가의 도달범위를 제공하기 위해 호스(188)를 잡아당길 수도 있다. 이 힘은 호스(188)를 거쳐서 청소 유닛(108)에 전달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힘은 표면 청소 장치(100)가 사용자를 향해 이동하게 할 수도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표면 청소 장치(100)는 이러한 이동 중에 직립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이는 표면 청소 장치(100)가 캐니스터형 진공 청소기에 사용된 캐니스터의 거동에 유사하게 일반적으로 표면을 가로질러 사용자를 따르게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면 청소 장치(100)는 표면 청소 장치(100)가 전복하는 대신에, 사용자를 향해 이동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도록 이러한 견인력을 받을 때 비교적 안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표면 청소 장치(100)는 청소 유닛(108)이 표면 청소 헤드(102) 상에 장착될 때, 또는 예를 들어 청소 유닛(108)이 바닥 위에 배치되면 청소 유닛(108)이 표면 청소 헤드(102)로부터 탈착될 때 일반적으로 안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예에서 청소 유닛(108) 위에와 같은 상부 섹션(104) 위의 비교적 낮은 위치/장소에서 가요성 호스(188)와 청소 유닛(108) 사이에 부착점(212)을 위치시키는 것(예를 들어, 도 2, 도 6 및 도 11 참조)은 가요성 호스(188)를 거쳐서 견인력을 받게될 때 표면 청소 장치(100)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는 일 구성일 수도 있다.
그러나, 공기 처리 부재(110) 및 선택적으로 그 공기 입구(180)가 청소 유닛(108)의 상부를 향해 제공되도록 표면 청소 장치(100)가 구성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너무 많이 구부릴 필요 없이 공기 처리 부재(110)를 더 용이하게 확인하고 접근하게 할 수도 있다.
청소 유닛(108) 상의 가요성 호스(188)의 연결점(212)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상향으로(수직으로 또는 경사각으로) 연장하도록 제2 상향류 도관(186)을 구성하는 것은 공기 처리 부재(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청소 유닛(108)의 상부 부분에 제공될 수 있는 제2 상향류 도관(186)의 하류측 단부(200)를 동시에 제공하면서 가요성 호스(188)와 청소 유닛(108) 사이에 비교적 낮은 연결점(212)을 수용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상향류 도관(186)은 청소 유닛(108)이 표면 청소 헤드(102) 상에 장착되고 일반적으로 직립 위치(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에 위치될 때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가 표면 청소 장치(100)(또한 도 8 참조)의 무게 중심(214)에 또는 그 아래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공기 처리 부재(110)의 원하는 배치를 수용하는 것을 돕기 위해, 상향류 도관(186)의 하류측 단부(200)는 제2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 위로 이격될 수도 있고 표면 청소 장치(100)의 무게 중심(214)에 또는 그 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 제2 상향류 도관(186)은 표면 청소 장치(100)의 무게 중심(214)을 가로질러 연장한다. 이 구성에서, 가요성 호스(188)와 상부 섹션(104) 사이의 연결부는 표면 청소 유닛(100)의 무게 중심(214) 아래에 배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2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는 예를 들어 청소 유닛(108)의 저부를 향해 그리고/또는 상부 섹션에 제공된 다른 작동 부품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서, 상부 섹션(104)의 하부 부분에 제공되고, 제2 상향류 도관(186)의 하류측 단부(190)는 상부 섹션(108)의 상부 부분에 위치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2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는 상부 섹션(104)의 저부 단부[예를 들어, 청소 유닛(108)의 저부]에 또는 그를 향해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청소 유닛(108)을 포함하여 상부 섹션(104)을 표면 청소 장치(100)로부터 제거하는 것은 표면 청소 장치의 무게 중심을 변경할 수도 있다. 상부 섹션(104)이 탈착될 때, 이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자신의 무게 중심(216)을 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는 상류측 단부(198)가 상부 섹션(104)의 무게 중심(216)에 또는 그 아래에 위치되도록 상부 섹션(104) 상에[예를 들어, 청소 유닛(108) 상에] 위치된다. 이 구성에서, 제2 상향류 도관(186)의 하류측 단부(200)는 상부 섹션(106)의 무게 중심(216) 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상부 섹션(104)의 무게 중심(216)은 사이클론 통 조립체(110) 외부 및 아래에 위치된다. 이 구성에서, 제2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는 사이클론 통 조립체(110)(또한 도 5 참조) 내의 오물 수집 챔버(160)의 바닥(218) 및 사이클론 챔버(158)의 아래에 위치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시된 예에서, 청소 유닛(108)의 저부를 포함하는 일반적으로 수평 평면(166)과 제2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 사이의 거리(220)(도관의 기하학적 중심선까지 측정됨)는 평면(166)과 무게 중심(214, 216) 각각 사이의 거리(222, 224)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거리(220)는 거리(222) 및/또는 거리(224)의 약 15% 및 약 45%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는 오물 수집 챔버(160) 및/또는 사이클론 챔버(158)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상향류 도관(186)의 하류측 단부(200)는 일반적으로 공기 처리 부재(110)의 공기 입구(180)에 인접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류측 단부(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입구(18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밀봉부 또는 다른 연결 기구가 인터페이스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 제2 상향류 도관(186)의 하류측 단부(200)는 본 예에서 덮개(174)의 하면에 의해 제공되는 사이클론 챔버(158)의 상부 단부벽과 오물 수집 챔버(160)의 바닥(218) 사이에 위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평면(166)과 제2 상향류 도관(186)의 하류측 단부(200) 사이의 간격(226)은 평면(166)과 공기 입구 사이의 간격과 대략 동일하다. 대안적으로, 직접 연결부 대신에, 별도의 커넥터 또는 도관 섹션이 제2 상향류 도관(186)의 하류측 단부(200)와 공기 입구(180)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 간격(226, 228)은 동일할 필요는 없다.
몇몇 구성에서, 흡입 모터는 상부 섹션(104) 상의 더 무거운 부품들 중 하나일 수도 있다. 도 8에는, 흡입 모터(228)의 개략도가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흡입 모터(228)의 무게 중심(230)은 상부 섹션의 무게 중심(216)과 일치할 수도 있고 또는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부 섹션(104)은 제2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가 흡입 모터(228)의 무게 중심(230) 아래에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어, 간격(220)이 평면과 흡입 모터의 무게 중심 사이의 간격(232)보다 작게 된다. 선택적으로, 거리(220)는 거리(232)의 약 15% 내지 약 100% 또는 100% 초과일 수 있다[예를 들어, 몇몇 구성에서, 상류측 단부(198)는 무게 중심(230)과 동일한 높이에 있을 수도 있고 또는 무게 중심(230) 위에 위치될 수도 있음]. 바람직하게는, 제2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는 흡입 모터(228) 아래에 위치될 수도 있고, 제2 상향류 도관(186)의 하류측 단부(200)는 흡입 모터(228) 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평면(166)에 일반적으로 직교하는 종축(236)을 따라 측정된, 제2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와 하류측 단부(200) 사이의 간격(234)은 종방향 상향류 도관 높이(234)를 규정한다. 상향류 도관 높이(234)는 하나 이상의 무게 중심(214, 216 및/또는 230)의 위치 및/또는 표면 청소 장치(100)의 다른 작동 부품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인자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청소 유닛 높이(162) 및 상부 섹션 높이(231)(도 3)는 또한 축(236)을 따라 측정된다. 선택적으로, 몇몇 구성에서, 청소 유닛 높이(162)는 일반적으로 상부 섹션 높이(231)에 동일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향류 도관 높이(234)는 청소 유닛 높이(162)의 적어도 약 35%일 수도 있고, 청소 유닛 높이(162)의 약 35% 내지 약 85%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향류 도관 높이(234)는 청소 유닛 높이(162)의 적어도 50%일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청소 유닛 높이(162)의 약 60% 내지 약 75%일 수도 있고, 청소 유닛 높이(162)의 약 65%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부 섹션(104)은 상향류 도관 높이(234)가 상부 섹션 높이(231)의 적어도 약 15%이고 약 15% 내지 약 60%일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향류 도관 높이(234)는 상부 섹션 높이(231)의 약 20% 내지 약 40%일 수도 있고, 상부 섹션 높이(231)의 약 25%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는, 상류측 단부(198)와 평면(166) 사이의 간격(220)이 표면 청소 유닛 높이(162)의 약 25% 미만이고 청소 유닛 높이(162)의 약 15% 미만 또는 약 10% 미만일 수도 있도록 청소 유닛(108)의 하단부에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간격(220)은 상부 섹션 높이(231)의 10% 미만일 수도 있고, 약 5% 미만일 수도 있다.
제2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와 하류측 단부(200) 사이로 연장하는 공기 유동 통로(116)의 길이를 따른 거리는 도관 길이(240)(도 3)를 규정한다. 상향류 도관 길이(240)는 임의의 적합한 길이가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유사하게, 바닥위 청소 막대(154)의 입구와 출구 사이의 거리(242)(도 11)는 막대 길이(242)를 규정할 수도 있고, 막대(154)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유닛에 연결될 때[호스(188)의 부분이 제거된 상태로] 하향류 도관(188)의 상류측 단부(194)와 하향류 도관(188)의 하류측 단부(196) 사이의 거리(244)는 하향류 도관 길이(244)를 규정한다. 선택적으로, 상향류 도관 길이(240)는 막대 길이(242) 및/또는 하향류 도관 길이(244)의 적어도 35%이고 막대 길이(242) 및/또는 하향류 도관 길이(244)의 약 50% 내지 약 85%이도록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향류 도관 길이(240)는 막대 길이(242) 및/또는 하향류 도관 길이(244)의 약 40% 내지 약 50%이도록 선택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길이(240)는 사이클론 통 조립체(110)의 높이(111)[예를 들어, 사이클론 챔버(158)의 상단부벽과 오물 수집 챔버(160)의 바닥(218)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호스(188)와 제2 상향류 도관(186) 사이의 연결부(212)는 이동 가능한 그리고/또는 회전 가능한 연결부이다. 호스(188)의 하류측 단부(196)와 제2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 사이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는 것은 청소 유닛(108) 상에 인가된 토크 및 다른 회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도 있고, 가요성 호스(188)의 비틀림 또는 다른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회전 가능한 연결부는 임의의 적합한 결합 기구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만곡된 엘보우 커넥터(246)와 같은 도관 부재가 가요성 호스(188)와 상향류 도관(186)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엘보우 커넥터(246)는 가요성 호스(188)의 하류측 단부(196) 및/또는 제2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는 제1 자유도를 제공할 수도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엘보우 커넥터(246)는 제2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와 하향류 도관(188)의 하류측 단부(196)의 모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엘보우 커넥터(246)의 제1 단부 또는 입구에서 커플링(248a)은 제1 회전축(250a) 둘레로 회전 가능하고, 엘보우 커넥터(246)의 제2 단부 또는 출구에서 커플링(248b)은 각각의 제2 회전축(250b)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제2 축(250b)은 제1 축(250a)에 대해 각도(252)에 있을 수도 있고, 제1 축에 일반적으로 직교하여 배향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 엘보우 커넥터의 제1 단부와 엘보우 커넥터의 제2 단부는 상이한 방향으로 배향된다. 이는 조인트(212)에서 부가의 자유도를 제공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부 섹션(104)과 하향류 도관(188) 사이의 연결부(212)는 상부 섹션(104) 상의 임의의 원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부 섹션(104)의 후방에 또는 후방을 향해 위치된다(표면 청소 장치의 운동 방향에 대해). 공기 처리 부재(110)의 공기 입구(180)는 공기 처리 부재(110) 상의 임의의 적합한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몇몇 구성에서, 공기 처리 부재(110)는 청소 유닛(108)의 측면에 제공될 수도 있고, 상부 섹션(104)의 후방으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고, 상부 섹션(104)과 하향류 도관(188) 사이의 연결부(212)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될 수도 있다.
상향류 도관(186)은 상부 섹션(104)과 하향류 도관(188) 사이의 연결부(212)와 공기 입구(180) 사이로 연장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형상 및 구성일 수도 있다. 즉, 제2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 및 하류측 단부(200)는 전후 방향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2 상향류 도관(186)은 일반적으로 선형 도관이고, 수평 평면(166)(도 8)에 대해 각도(254)로 경사진 도관축(252)을 따라 연장하고, 그 상류측 단부(198)로부터 상방으로 전방으로 연장한다. 각도(254)는 상부 섹션(104)의 구성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상향류 도관(186)은 비선형일 수도 있고, 임의의 다른 적합한 구성으로 만곡될 수도 있고, 경사지지 않을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2 상향류 도관(186)의 상류측 단부(198) 및 하류측 단부(200)는 측방향, 예를 들어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몇몇 구성에서, 제2 상향류 도관은 일반적으로 수직 도관일 수도 있고, 제2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는 수직으로 상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상류측 단부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상위에 놓일 수도 있다.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부 섹션(104) 상의 핸들(118)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핸들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핸들(118)은 하나 초과의 방향으로 파지 가능할 수 있다. 이는 표면 청소 모드(예를 들어, 도 1)에서 표면 청소 장치를 작동할 때 사용자가 일 방향에서, 그리고 보조 청소 모드(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에서 표면 청소 장치를 작동할 때 제2 방향에서 핸들을 파지하게 할 수도 있다. 이 구성은 사용자가 양 작동 모드에서 표면 청소 장치(100)를 편안하게 작동하게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핸들(118) 및 그로부터 연장하는 청소 막대(154)를 사용자의 팔에 대해 다수의 배향으로 배향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보조 청소 모드에서 작동할 때 증가된 자유도를 사용자에게 또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핸들(118)은 적어도 2개의 별개의 파지 가능한 위치에 제공하는 것을 돕기 위해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개별 파지 부재(260, 26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핸들(118)은 외부(또는 선택적으로 내부) 지지 부재(264)를 포함할 수도 있고, 파지 부재(260, 262)는 외부 지지 부재(264)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파지 부재(260, 262)는 사용자 편안함을 향상시키는 것을 도울 수도 있는 비교적 연성 발포체형 또는 겔형 재료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파지 부재(260, 262)는 외부 지지 부재(264)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파지 부재(260, 262)는 예를 들어 나사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체결구를 사용하여 외부 지지체에 결합될 수 있는 별도의 부재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파지 부재(260, 262)는 외부 지지 부재(264)에 결합될 수 있는 연속적인 인서트 부재(266)의 부분으로서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파지 부재(260)는 일반적으로 선형일 수도 있고, 제1 파지축(268)을 따라 제1 방향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제2 파지 부재(262)는 또한 선택적으로 일반적으로 선형일 수도 있고, 제2 파지축(270)을 따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제1 파지 부재와 제2 파지 부재 사이의 각도(272)는 약 10도 내지 약 175도일 수도 있고, 약 85도 내지 약 120도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핸들(118)은 2개 초과의 파지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3 파지 부재가 핸들 상에 제공될 수도 있고, 제3 축을 따라 연장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표면 청소 장치가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제2 파지 부재(262)는 일반적으로 직립 위치(예를 들어, 수직의 약 10도 이내에)에 있고, 제1 파지 부재(260)는 수평 평면에 대해 각도(274)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도(274)는 약 0도 내지 약 30도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파지 부재(262)는 핸들(118)의 전방을 향해 제공되고 제1 파지 부재(260)가 핸들(118)의 상부를 향해 제공되도록 위치된다. 대안적으로, 제2 파지 부재는 핸들의 후방을 향해 또는 다른 적합한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공기 유동 통로의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표면 청소 장치는 공기 유동 통로로부터 분리된 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핸들 샤프트는 청소 유닛으로부터 연장할 수도 있고, 청소 막대에 인접하여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3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표면 청소 장치(1100)의 다른 실시예는 표면 청소 헤드(1102) 및 상부 섹션(1104)을 포함한다. 상부 섹션(1104)은 공기 처리 부재(110) 및 흡입 모터 하우징(112)을 갖는 청소 유닛(1108)을 포함한다. 표면 청소 장치(100)의 특징부에 유사한 표면 청소 장치(1100)의 특징부는 1000만큼 증가된 유사한 도면 부호로 표현된다.
도시된 예에서, 표면 청소 장치(1100)는 표면 청소 헤드(2102) 상의 오염 공기 입구(2106)와 상부 섹션(2104) 상의 청결 공기 출구(2114) 사이로 연장하는 공기 유동 통로(1116)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 공기 유동 통로(2116)는 상부 섹션(2104) 상에 중심 설정되지 않고, 대신에 표면 청소 장치(1100)의 중심선(1300)(도 16)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도관을 포함한다. 공기 유동 통로(2116)는 제1 상향류 도관(1184), 하향류 도관(1188) 및 제2 유출 도관(1186)을 포함한다.
또한, 본 예에서, 상부 섹션(1104)에 구동식으로 연결된 핸들(1118)은 파지부와 청소 유닛(1108) 사이로 연장하는 핸들 샤프트부(1302)를 포함한다. 핸들 샤프트부(1302)는 중공 도관 부재일 필요는 없고, 공기 유동 통로(1116)의 부분을 형성할 필요도 없다. 도시된 구성에서, 핸들(1118)은 공기 유동 통로(1116)로부터 분리된다.
본 예에서, 제1 상향류 도관(1184)은 만곡된 도관 부재(1304)(도 15, 도 18 및 도 19)를 거쳐, 표면 청소 헤드(1102)와 기류 연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상류측 단부(1190)를 갖는다. 도관 부재(1304)는 상부 섹션에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청소 헤드(1102)의 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만곡된 도관 부재(1304)는 표면 청소 헤드(1102) 상에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공기 유동 통로(1116)는 표면 청소 장치(1100)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작동 모드로 구성될 수 있도록 재구성 가능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1 상향류 도관(1184)의 적어도 일부는 표면 청소 장치(1100)가 보조의 바닥위 청소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공기 유동 통로(1116)를 재구성하기 위해 상부 섹션(1104)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탈착될 수 있는 청소 막대(1154)로서 작동 가능할 수도 있다. 청소 막대(1154)는 만곡된 도관 부재(1304)의 하류측 단부(1306)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입구(1106a)를 가질 수도 있다. 청소 막대(1154)의 상부 부분(1308)은 예를 들어 클립(1310)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기구 내에 해제 가능하게 보유될 수도 있다.
청소 막대(1154)의 하류측 또는 출구 단부(1192)는 임의의 적합한 결합 도관 섹션(1312)에 의해 가요성 하향류 도관(1188)의 상류측 단부(1194)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도관(1312)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하도록 구성된 일반적으로 강성 도관 부재일 수 있다. 청소 막대(1154)가 상부 섹션(1104)으로부터 탈착될 때, 결합 도관(1312)은 사용자가 청소 막대(1154)를 파지하여 조작하게 하기 위한 핸들 또는 파지 부재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결합 도관(1312)과 청소 막대(1154) 사이의 연결부 및/또는 결합 도관(1312)과 하향류 도관(1188) 사이의 연결부는 회전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착탈 가능할 수도 있다. 이는 청소 막대(1154)가 탈착될 때 청소 유닛(1108)에 대한 청소 막대(1154)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향류 도관(1188)은 가요성 호스 부재이다. 도시된 예에서, 호스의 하류측 단부(1196)는 제2 상향류 도관(1186)의 상류측 단부(1198)에 결합된다. 호스(1188)와 제2 상향류 도관(1186) 사이의 커플링(1212)은 임의의 적합한 커플링일 수도 있고, 회전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착탈 가능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2 상향류 도관(1186)은 도관의 하류측 단부(1200)가 상류측 단부(1198) 위에 위치되는 일반적으로 수직 도관 부재이다. 하류측 단부(1200)는 사이클론 통 조립체(1110)의 공기 입구(1180)에 결합될 수 있는 도관벽(1318)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출구(1316)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류측 단부(1200)와 공기 입구(1180) 사이의 연결부는 사이클론 통 조립체(1110)가 비움을 위해 제거될 수 있도록 해제 가능하다. 이 구성에서, 제2 상향류 도관(1186)의 출구 단부(1200)는 비교적 작은 거리(1320)만큼 상류측 단부(1198)의 전방에 위치된다.
이 구성에서, 제2 상향류 도관(1186)의 상류측 단부(1198)와 하류측 단부(1200) 사이의 종축(1236)에 평행한 종방향 간격(1234)은 청소 유닛 높이(1162)의 약 35% 내지 약 75%이고, 청소 유닛 높이(1162)의 약 45% 내지 55%일 수도 있다. 종방향 간격(1234)은 또한 표면 청소 장치 높이(2120)의 약 15% 내지 약 50%, 약 20% 내지 약 30%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간격(1234)은 표면 청소 장치 높이의 약 25%일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2 상향류 도관(1186)의 상류측 단부(1198)는 표면 청소 장치의 무게 중심(1214) 아래에, 그리고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청소 유닛(1216)의 무게 중심 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 제2 상향류 도관(1186)의 상류측 단부(1198)는 공기 처리 부재(1110) 아래에[예를 들어, 오물 수집 챔버(1160)의 바닥(1218) 아래에] 위치되고, 제2 상향류 도관(1186)의 하류측 단부(1200)는 사이클론 통 조립체(1110)의 상부를 향해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제2 상향류 도관(1186)의 길이(1240)[도시된 예에서, 일반적으로 높이(1234)에 동일함]는 사이클론 통 조립체(1110)의 높이(1111)보다 클 수도 있다.
표면 청소 장치 내에 합체된 태양에 의존하여, 예시된 특징부들의 일부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당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디자인을 갖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전술되어 있는 것은 한정이 아니라 본 고안을 예시하도록 의도된 것이며, 다른 변형예 및 수정예가 여기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은 고안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4)

  1. 직립형 표면 청소 장치이며,
    (a) 오염 공기 입구를 갖는 표면 청소 헤드와,
    (b) 상기 오염 공기 입구로부터 청결 공기 입구로 연장하고 가요성 도관 섹션을 포함하는 공기 유동 통로와,
    (c) 상기 청소 헤드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직립 위치와 제2 경사진 사용중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상부 섹션으로서, 상기 상부 섹션은
    (d) 상기 오염 공기 입구과 청결 공기 출구 사이의 공기 유동 통로에 위치된 공기 처리 부재를 포함하는, 상부 섹션과,
    (e) 상기 공기 유동 통로에 위치된 흡입 모터를 포함하고,
    (f) 상기 상부 섹션은 상기 가요성 도관 섹션과 공기 처리 부재 사이에서 공기 유동 통로에 위치된 상향류 도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요성 도관은 가요성 도관의 하류측 단부로 하방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상향류 도관은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로부터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로 상방으로 연장하는 표면 청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표면 청소 장치의 무게 중심 아래에 위치되고,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는 표면 청소 장치의 무게 중심 위에 있는 표면 청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흡입 모터와 동일 높이에 있고, 흡입 모터는 직립 섹션의 하단부에서 공기 처리 부재 아래에 배치되는 표면 청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처리 부재는 공기 입구를 포함하고,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사이클론 챔버의 공기 입구 아래에 있는 표면 청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표면 청소 헤드와 기류 연통하여 연결된 상류측 단부로부터 공기 처리 부재 위에 위치된 하류측 단부로 상방으로 연장하는 강성 상향류 도관을 더 포함하고, 가요성 도관 섹션은 강성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와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표면 청소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는 상부 섹션에 구동식으로 연결된 핸들을 포함하는 표면 청소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처리 부재는 사이클론 챔버와 상기 사이클론 챔버로부터 오물을 수용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이클론 챔버 아래에 배치된 오물 수집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오물 수집 챔버는 저부 단부벽을 갖고,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오물 수집 챔버의 저부 단부벽 아래에 있는 표면 청소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도관의 하류측 단부는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표면 청소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도관과 상향류 도관 사이에 배치된 만곡된 도관 부재를 더 포함하고, 회전 가능한 커플링이 만곡된 도관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제공되는 표면 청소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도관 부재는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가요성 도관의 하류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표면 청소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도관 부재의 입구는 가요성 도관의 하류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만곡된 도관 부재의 출구는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표면 청소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도관 부재의 입구 및 출구는 상이한 방향으로 배향되는 표면 청소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은 청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 유닛은 적어도 공기 처리 부재를 포함하는 표면 청소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류 도관은 청소 유닛 상에 제공되는 표면 청소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청소 유닛의 하단부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표면 청소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청소 유닛의 무게 중심 아래에 위치되는 표면 청소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청소 유닛의 하단부에 근접하는 표면 청소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는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청소 유닛의 무게 중심 위에 위치되는 표면 청소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유닛은 흡입 모터를 또한 포함하는 표면 청소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흡입 모터의 무게 중심 아래에 위치되는 표면 청소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는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흡입 모터 위에 위치되는 표면 청소 장치.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유닛은 종방향 청소 유닛축의 방향에서 측정된 청소 유닛 높이를 갖고,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 사이의 종방향 간격은 상부 섹션 유닛 높이의 약 15% 내지 약 100%인 표면 청소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 사이의 종방향 간격은 상부 섹션 유닛 높이의 약 35% 내지 약 85%인 표면 청소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청소 유닛의 저부 사이의 종방향 간격은 상부 섹션 유닛 높이의 약 25% 미만인 표면 청소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청소 유닛의 저부 사이의 종방향 간격은 상부 섹션 높이의 약 10% 미만인 표면 청소 장치.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청소 헤드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장착 허브를 더 포함하고, 청소 유닛은 장착 허브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표면 청소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유닛은 청소 유닛이 표면 청소 헤드로부터 분리될 때 청소 유닛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청소 유닛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표면 청소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청소 유닛 지지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휠을 포함하는 표면 청소 장치.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처리 부재는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와 유체 연통하는 사이클론 공기 입구를 갖는 사이클론 챔버를 포함하는 표면 청소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처리 부재는 사이클론 챔버 및 오물 수집 챔버를 포함하는 사이클론 통 조립체를 포함하는 표면 청소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공기 입구는 사이클론 챔버의 저부를 향해 제공되는 표면 청소 장치.
  32. 제1항에 있어서, 바닥위 청소 막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면 청소 장치는 바닥위 청소 막대가 공기 유동 통로의 부분을 형성하는 바닥 청소 모드와, 바닥위 청소 막대의 입구가 오염 공기 입구와 기류 연통 상태로부터 탈착되는 바닥위 청소 모드에서 작동 가능하고, 상기 바닥위 청소 막대는 가요성 도관 섹션으로부터 상류측에 연결된 출구를 갖는 표면 청소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위 청소 막대에 연결된 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과 바닥위 청소 막대는 표면 청소 장치가 바닥 청소 모드에 있을 때 표면 청소 헤드에 구동식으로 연결되는 표면 청소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제1 파지 부재 및 별도의 제2 파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지 부재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파지 부재는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표면 청소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지 부재는 제1 파지 부재에 대해 약 10도 내지 약 175도의 각도로 배향되는 표면 청소 장치.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청소 장치가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제2 파지 부재는 일반적으로 수직이고 제1 파지 부재는 수평의 약 30도 이내에 있는 표면 청소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지 부재는 핸들의 전방부 상에 제공되고,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일반적으로 수직인 표면 청소 장치.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청소 막대의 출구에 근접하여 제공되는 표면 청소 장치.
  39.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막대는 막대 길이를 갖고, 상향류 도관은 상향류 도관 길이를 갖고, 상향류 도관 길이는 막대 길이의 적어도 35%인 표면 청소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류 도관 길이는 막대 길이의 적어도 50%인 표면 청소 장치.
  41.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막대는 상부 섹션에 부착되고,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청소 막대의 입구는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하류측 단부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표면 청소 장치.
  4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류 도관은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가 표면 청소 장치의 운동 방향에서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부 섹션에 대해 경사지는 표면 청소 장치.
  43. 직립형 표면 청소 장치이며,
    (a) 오염 공기 입구를 갖는 표면 청소 헤드와,
    (b) 상기 오염 공기 입구로부터 청결 공기 입구로 연장하는 공기 유동 통로와,
    (c) 상기 표면 청소 헤드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직립 위치와 제2 경사진 사용중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상부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섹션은
    (d) 상기 오염 공기 입구과 청결 공기 출구 사이의 공기 유동 통로에 위치된 공기 처리 부재, 및
    (e) 상기 공기 유동 통로에 위치된 흡입 모터를 포함하고,
    (f) 상기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공기 유동 통로는
    (i) 상기 표면 청소 헤드와 유체 유동 연통하는 강성 제1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공기 처리 부재 위에 위치된 강성 제1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 사이로 연장하는 강성 제1 상향류 도관,
    (ii) 상기 상부 섹션의 하단부에 근접하여 위치된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로부터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 위에 위치된 제2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로 상방으로 연장하는 제2 상향류 도관, 및
    (iii) 상기 제1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와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 사이로 연장하는 하향류 도관을 포함하는 표면 청소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는 공기 처리 부재의 공기 입구에 근접하는 표면 청소 장치.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향류 도관, 제2 상향류 도관 및 하향류 도관은 공기 처리 부재의 외부에 있는 표면 청소 장치.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표면 청소 장치의 무게 중심 아래에 위치되는 표면 청소 장치.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제2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는 표면 청소 장치의 무게 중심 위에 위치되는 표면 청소 장치.
  4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류 도관과 제2 상향류 도관 중 적어도 하나는 가요성 호스를 포함하는 표면 청소 장치.
  49.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처리 부재는 공기 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사이클론 챔버의 공기 입구 아래에 있는 표면 청소 장치.
  50.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처리 부재는 사이클론 챔버와 상기 사이클론 챔버로부터 오물을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이클론 챔버의 아래에 배치된 오물 수집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오물 수집 챔버는 저부 단부벽을 갖고, 상기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오물 수집 챔버의 저부 단부벽 아래에 있는 표면 청소 장치.
  51.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는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표면 청소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류 도관과 제2 상향류 도관 사이에 배치된 만곡된 도관 부재를 더 포함하고, 회전 가능한 커플링이 만곡된 도관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제공되는 표면 청소 장치.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도관 부재는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하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표면 청소 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도관 부재의 입구 및 출구는 상이한 방향으로 배향되는 표면 청소 장치.
  5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은 청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 유닛은 적어도 공기 처리 부재를 포함하는 표면 청소 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향류 도관은 청소 유닛 상에 제공되는 표면 청소 장치.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청소 유닛의 하단부에 근접하는 표면 청소 장치.
  58.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청소 유닛의 무게 중심 아래에 위치되는 표면 청소 장치.
  59.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는 청소 유닛의 무게 중심 위에 위치되는 표면 청소 장치.
  60.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유닛은 흡입 모터를 또한 포함하는 표면 청소 장치.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는 흡입 모터의 무게 중심 아래에 위치되는 표면 청소 장치.
  62.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와 제2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있을 때, 제2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는 흡입 모터 위에 위치되는 표면 청소 장치.
  63.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은 종방향 청소 유닛축의 방향에서 측정된 상부 섹션 높이를 갖고,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제2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 사이의 종방향 간격은 상부 섹션 높이의 약 15% 내지 약 100%인 표면 청소 장치.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제2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 사이의 종방향 간격은 상부 섹션 높이의 약 25% 내지 약 85%인 표면 청소 장치.
  65.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청소 유닛의 저부 사이의 종방향 간격은 청소 유닛 높이의 약 25% 미만인 표면 청소 장치.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와 청소 유닛의 저부 사이의 종방향 간격은 청소 유닛 높이의 약 10% 미만인 표면 청소 장치.
  6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청소 헤드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장착 허브를 더 포함하고, 청소 유닛은 장착 허브 상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표면 청소 장치.
  6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처리 부재는 제2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와 기류 연통하는 사이클론 공기 입구를 갖는 사이클론 챔버를 포함하는 표면 청소 장치.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공기 입구는 사이클론 챔버의 저부를 향해 제공되는 표면 청소 장치.
  70. 제43항에 있어서, 바닥위 청소 막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면 청소 장치는 바닥위 청소 막대가 공기 유동 통로의 부분을 형성하는 바닥 청소 모드와, 바닥위 청소 막대의 입구가 오염 공기 입구와 기류 연통 상태로부터 탈착되는 바닥위 청소 모드에서 작동 가능하고, 상기 바닥위 청소 막대는 가요성 도관 섹션으로부터 상류측에 연결된 출구를 갖는 표면 청소 장치.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막대는 막대 길이를 갖고, 제2 상향류 도관은 제2 상향류 도관 길이를 갖고, 제2 상향류 도관 길이는 막대 길이의 적어도 35%인 표면 청소 장치.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향류 도관 길이는 막대 길이의 적어도 50%인 표면 청소 장치.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막대가 상부 섹션에 부착될 때 그리고 상부 섹션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청소 막대의 입구는 제2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 위에 그리고 제2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 아래에 위치되는 표면 청소 장치.
  7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향류 도관은 상향류 도관의 상류측 단부가 표면 청소 장치의 운동 방향에서 제2 상향류 도관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부 섹션에 대해 경사지는 표면 청소 장치.
KR2020147000047U 2012-03-09 2013-03-08 표면 청소 장치 KR20048555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08919P 2012-03-09 2012-03-09
US61/608,919 2012-03-09
PCT/US2013/029862 WO2013134637A1 (en) 2012-03-09 2013-03-08 Surface clean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411U true KR20140006411U (ko) 2014-12-24
KR200485556Y1 KR200485556Y1 (ko) 2018-01-24

Family

ID=49117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7000047U KR200485556Y1 (ko) 2012-03-09 2013-03-08 표면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814361B2 (ko)
EP (1) EP2822433B1 (ko)
JP (1) JP3198489U (ko)
KR (1) KR200485556Y1 (ko)
CN (1) CN204410719U (ko)
CA (1) CA2881824C (ko)
NZ (1) NZ631579A (ko)
WO (1) WO201313463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343A (ko) * 2014-05-29 2017-02-08 오마크론 인텔렉튜얼 프로퍼티 아이엔씨. 표면 청소 장치
KR20220129950A (ko) * 2021-03-17 2022-09-26 주식회사 케이씨피 진공청소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3374B2 (en) 2006-12-12 2023-10-2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a variable inlet flow area
JP2010512195A (ja) 2006-12-12 2010-04-22 ジービーディー コーポレーション 切り替え可能な表面清掃装置
US11666189B2 (en) 2006-12-12 2023-06-0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a variable inlet flow area
AU2012216246B2 (en) * 2011-08-23 2014-03-27 Bissell Inc. Auxiliary suction nozzle and port for vacuum cleaner
US9456721B2 (en) * 2013-02-28 2016-10-0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D738583S1 (en) * 2013-11-11 2015-09-08 Euro-Pro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head
US10085603B2 (en) * 2014-09-03 2018-10-02 Samsung Electronic Co., Ltd. Vacuum cleaner
KR102277145B1 (ko) * 2014-09-03 202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CN206026220U (zh) * 2015-06-17 2017-03-22 碧洁家庭护理有限公司 真空吸尘器
US11478117B2 (en) 2016-08-29 2022-10-2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433689B2 (en) * 2016-08-29 2019-10-0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441125B2 (en) * 2016-08-29 2019-10-1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441124B2 (en) * 2016-08-29 2019-10-1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321794B2 (en) * 2016-08-29 2019-06-1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O2018161018A1 (en) * 2017-03-03 2018-09-07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Vacuum cleaner including a surface cleaning head having a display
USD887656S1 (en) 2018-08-10 2020-06-16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cleaner
USD924509S1 (en) * 2018-11-08 2021-07-06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cleaner
WO2020168417A1 (en) * 2019-02-22 2020-08-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a variable inlet flow area
USD996750S1 (en) * 2020-01-31 2023-08-22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clea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9568A1 (en) * 2010-03-12 2011-09-15 G.B.D. Corp. Valve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8761A (en) 1990-07-06 1992-01-07 Notetry Limited Shroud
JP2010512195A (ja) * 2006-12-12 2010-04-22 ジービーディー コーポレーション 切り替え可能な表面清掃装置
CA2599303A1 (en) 2007-08-29 2009-02-28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GB2449349B (en) * 2007-05-17 2011-11-16 Bissell Homecare Inc Dust cup latch for cyclone separator vacuum
US7937802B2 (en) 2007-08-14 2011-05-10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for use in both upright form and canister form
US8296900B2 (en) * 2010-03-12 2012-10-30 G.B.D. Corp. Seal construction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110219579A1 (en) 2010-03-12 2011-09-15 G.B.D. Corp. Suction motor housing for an upright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110219567A1 (en) 2010-03-12 2011-09-15 G.B.D. Corp. Reconfigurable upright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a powered brush mo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9568A1 (en) * 2010-03-12 2011-09-15 G.B.D. Corp. Valve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343A (ko) * 2014-05-29 2017-02-08 오마크론 인텔렉튜얼 프로퍼티 아이엔씨. 표면 청소 장치
KR20220129950A (ko) * 2021-03-17 2022-09-26 주식회사 케이씨피 진공청소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556Y1 (ko) 2018-01-24
US9814361B2 (en) 2017-11-14
EP2822433B1 (en) 2020-05-06
EP2822433A1 (en) 2015-01-14
US20150040340A1 (en) 2015-02-12
CA2881824C (en) 2020-04-28
CA2881824A1 (en) 2013-09-12
NZ631579A (en) 2016-06-24
EP2822433A4 (en) 2016-03-16
WO2013134637A1 (en) 2013-09-12
CN204410719U (zh) 2015-06-24
JP3198489U (ja)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556Y1 (ko) 표면 청소 장치
US11910992B2 (en) Handheld vacuum cleaner
CA3017664C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180310785A1 (en) Hand vacuum cleaner
US7188388B2 (en) Vacuum cleaner with detachable cyclonic vacuum module
US20100175217A1 (en) Cycloni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externally positioned dirt chamber
US20100251507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672397B2 (en) All in the hea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357136B2 (en) All in the head surface cleaning apparatus
CA2658006A1 (en) Cycloni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955831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an adjustable handle
US20100229334A1 (en) Dirt collection chamber for a cyclonic surface cleaning apparatus
AU2014101130A4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CA2658033A1 (en) Nozzle for a hand vacuum cleaner
CA2658048A1 (en) Hand vacuum cleaner
AU2017420074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CA2658497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CA2658038A1 (en) Configuration of a cleaning head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