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855U -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855U
KR20140005855U KR2020130003666U KR20130003666U KR20140005855U KR 20140005855 U KR20140005855 U KR 20140005855U KR 2020130003666 U KR2020130003666 U KR 2020130003666U KR 20130003666 U KR20130003666 U KR 20130003666U KR 20140005855 U KR20140005855 U KR 201400058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roller
spring
rope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7618Y1 (ko
Inventor
김효복
Original Assignee
김효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복 filed Critical 김효복
Priority to KR2020130003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618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8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8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6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3/00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D07B3/08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in which the take-up reel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or in which a guide member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to guide the rope or cable on the take-up reel in fixed position and the supply reels are fixed in position
    • D07B3/085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in which the take-up reel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or in which a guide member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to guide the rope or cable on the take-up reel in fixed position and the supply reels are fixed in position in which a guide member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to guide the rope or cable on the take-up reel in fixed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8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보온시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덮개(1)의 일단이 권취롤러(10)상에 권취되고, 다른 일단은 로프(22)에 의해 구동롤러(20)상에 연결되어 개폐되며, 상기 권취롤러(10)는 태엽스프링(12)에 연결되어, 구동롤러(20)가 로프(22)를 당겨 덮개(1)를 덮을시 태엽스프링(12)이 압축되고, 로프(22)를 풀어 덮개(1)를 개방시 태엽스프링(12)의 복원력에 의해 덮개(1)가 권취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덮개를 개폐작동하는 구동롤러와 덮개가 권취 대기되는 권취롤러가 태엽스프링에 의해 간단하게 동기화되어 덮개가 일정한 장력조건에서 팽팽하게 개폐작동되고, 특히 구조가 간단하여 장기간 운영에 따른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greenhouse}
본 고안은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를 개폐작동하는 구동롤러와 덮개가 권취대기되는 권취롤러가 태엽스프링에 의해 간단하게 동기화되어 덮개가 일정한 장력조건에서 팽팽하게 개폐작동되는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온시설은 채소류나 화훼류, 열대식물 등의 작물을 계절에 영향을 받지 않고 촉성 재배하기 위하여 만든 시설로서, 작물의 특성상 생육환경 변화에 민감하여 일조량 및 온도 등에 따라 그 수확량, 품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보온시설에 덮개를 설치하여, 일조량이 많을 경우 자외선을 일부 차단하고, 동절기 및 기온이 떨어지는 야간에는 보온효과를 극대화하여 작물을 보호하게 된다.
여기서 덮개는 보온시설 외벽에서 롤형태로 권취되고, 권취롤러의 작동에 의해 개폐작동되는바, 이때 롤형태로 권취되어 이송되는 덮개의 풀림 또는 권취량에 따라 직경이 가변하므로 동일한 회전속도로 권취롤러를 구동시 덮개의 장력이 저하되거나 강하게 작용하여 권취불량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따랐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덮개 개폐장치를 살표보면, 실용신안 공개번호 실1998-19112호에서 제1 및 제 2가변드럼이 각각 대경부에서 소경부로 그리고 소경부에서 대경부로 와이어와 같은 전동기구가 이동하므로 권취드럼에 권취되는 보온덮개의 자체 두께에 의한 오차를 가변드럼에서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보온덮개가 풀림/감김작동시 와이어가 제1, 2가변드럼의 서로 대응하는 소경부 또는 대경부상에 권취되어야 하지만, 자칫 와이어가 제1, 2가변드럼상에 순차적으로 권취되지 못할 경우 작동불량으로 이어지고, 이러한 와이어의 권취불량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와이어를 모두 풀었다가 재권취해야 하는 실정이다.
또한, 제1, 2가변드럼을 연계작동하기 위해 와이어로 서로 연결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이로 인해 초기 시공 및 유지보수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덮개를 개폐작동하는 구동롤러와 덮개가 권취 대기되는 권취롤러가 태엽스프링에 의해 간단하게 동기화되어 덮개가 일정한 장력조건에서 팽팽하게 개폐작동되고, 구조가 간단하여 장기간 운영에 따른 유지관리가 용이한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특징은, 보온시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덮개(1)의 일단이 권취롤러(10)상에 권취되고, 다른 일단은 로프(22)에 의해 구동롤러(20)상에 연결되어 개폐되며, 상기 권취롤러(10)는 태엽스프링(12)에 연결되어, 구동롤러(20)가 로프(22)를 당겨 덮개(1)를 덮을시 태엽스프링(12)이 압축되고, 로프(22)를 풀어 덮개(1)를 개방시 태엽스프링(12)의 복원력에 의해 덮개(1)가 권취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덮개(1)는 보온시설 양측에 한 쌍으로 대향하게 설치되고, 로프(22)가 연결되는 덮개(1) 일단에는 보조덮개(30)가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엽스프링(12)은 일단이 권취롤러(10)와 연결되는 피동축(14)상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피동축(14)상에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드럼(16) 내주면에 고정되며, 지지드럼(16)은 스톱수단에 의해 위치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톱수단은 지지드럼(16)상에 구비되는 스톱기어(18)와, 스톱기어(18)에 맞물려 지지드럼(16)을 위치고정하는 레버(1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프(22)는 보온시설의 용마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다수의 가이드롤러(22a)를 경유하여 구동롤러(20)상에 권취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취롤러(10)는 보온시설에 고정되어 상부가 개방된 C형 받침대(40) 내측에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고안은 덮개를 개폐작동하는 구동롤러와 덮개가 권취 대기되는 권취롤러가 태엽스프링에 의해 간단하게 동기화되어 덮개가 일정한 장력조건에서 팽팽하게 개폐작동되고, 특히 구조가 간단하여 장기간 운영에 따른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를 전제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에 따른 태엽스프링의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a 내지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의 스톱기어와 레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는 덮개를 개폐작동하는 구동롤러와 덮개가 권취 대기되는 권취롤러가 태엽스프링에 의해 간단하게 동기화되어 덮개가 일정한 장력조건에서 팽팽하게 개폐작동되고, 장기간 운영에 따른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태엽스프링(12)이 구비되는 권취롤러(10), 구동롤러(2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보온시설용 덮개는 아치형 지붕의 양측으로 개폐되도록 2개소에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단일의 덮개를 이용하여 경사형 및 아치형 지붕 전체를 개폐하도록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는 보온시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덮개(1)의 일단이 권취롤러(10)상에 권취되고, 다른 일단은 로프(22)에 의해 구동롤러(20)상에 연결되어 개폐된다. 덮개(1)는 권취롤러(10)상에 권취된 상태로 대기되어, 구동롤러(20)의 작동에 의해 로프(22)가 당겨지면 권취롤러(10)상에서 덮개(1)가 풀리면서 보온시설이 폐쇄되고, 구동롤러(2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로프(22)를 풀어주면 후술하는 태엽스프링(12)의 복원력에 의해 덮개(1)가 권취롤러(10)상에 권취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권취롤러(10)는 태엽스프링(12)에 연결되어, 구동롤러(20)가 로프(22)를 당겨 덮개(1)를 덮을시 도 2처럼 태엽스프링(12)이 압축되고, 로프(22)를 풀어 덮개(1)를 개방시 태엽스프링(12)의 복원력에 의해 덮개(1)가 권취되도록 구비된다.
도 3a에서, 상기 태엽스프링(12)은 일단이 권취롤러(10)와 연결되는 피동축(14)상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피동축(14)상에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드럼(16) 내주면에 고정되며, 지지드럼(16)은 스톱수단에 의해 위치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구동롤러(20)의 회전력에 의해 덮개(1)가 풀리면 권취롤러(10)가 회전하여 태엽스프링(12)이 압축되고, 이어서 구동롤러(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권취롤러(10)가 태엽스프링(12)에 의해 역회전하여 덮개(1)를 권취하는 간단한 덮개 개폐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즉 덮개(1)를 개폐시 태엽스프링(12)에 의해 구동롤러(20)와 권취롤러(10)가 동기화되어, 덮개(1)가 일정한 장력조건에서 팽팽하게 개폐작동됨에 따라 권취불량 및 강풍에도 날림현상이 방지되고, 특히 구조가 간단하여 장기간 운영에 따른 유지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톱수단은 지지드럼(16)상에 구비되는 스톱기어(18)와, 스톱기어(18)에 맞물려 지지드럼(16)을 위치고정하는 레버(19)가 구비된다. 도 3b에서 지지드럼(16) 일측에 톱니기어를 가진 스톱기어(18)가 구비되고, 스톱기어(18)와 대응하는 지지드럼(16) 측면에 레버(19)가 선회되도록 구비되는바, 이때 레버(19)는 기어의 일방향 회전을 허용하도록 일면에 경사면이 구비된다. 도 3a에서는 레버(19)가 지지드럼이 수용된 상태로 보호되는 케이스상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고, 이때 케이스는 보온시설의 골조 또는 별도의 지지다리를 통하여 지상에 고정된다.
이에 레버(19)를 해제한 상태로 지지드럼(16)을 회전하는 방식으로 태엽스프링(12)의 압축력을 가변하므로 사용 중 덮개(1)의 텐션력이 간편하게 조절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지지드럼(16)은 텐션력을 조절시 외부에서 회전력을 가할수 있도록 일측에 회전레버(도시생략)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권취롤러(10)는 보온시설에 고정되어 상부가 개방된 C형 받침대(40) 내측에서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C형 받침대(40)는 원형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C형 받침대(40)의 직경대비 30~80% 축소된 사이즈의 개방부가 형성되어 덮개(1)가 통과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C형 받침대(40)는 보온시설의 길이방향으로 1~4미터 간격으로 복수개소에 배치되어 권취롤러를 지지함에 따라 권취롤러(10)를 장사이즈로 구비하더라도 하중에 의한 처짐현상이 방지되고, 특히 덮개를 폐쇄시 로프에 의해 당겨지더라도 C형 받침대(4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되므로 상부로 휘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로프(22)는 보온시설의 용마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다수의 가이드롤러(22a)를 경유하여 구동롤러(20)상에 권취되도록 구비된다. 도 1에서 로프(22)는 가이드롤러(22a)를 경유하여 보온시설 측면에 위치된 구동롤러(20)상에 권취되도록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4에서는 보온시설의 용마루부를 따라 이송되는 주로프와, 주로프와 덮개(1)를 연결하는 다수의 보조로프로 구성되어, 구동롤러(20)에 의해 주로프가 당겨지면 보조로프가 가이드롤러(22a)를 경유하여 당겨지면서 덮개를 폐쇄하도록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상기 덮개(1)는 보온시설 양측에 한 쌍으로 대향하게 설치되고, 로프(22)가 연결되는 덮개(1) 일단에는 보조덮개(30)가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온시설의 지붕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덮개(1)를 이용하여 지붕을 개폐하도록 운영시, 덮개(1)를 폐쇄함에 있어 한 쌍의 덮개(1) 연장선상에 구비된 보조덮개(30)가 보온시설의 용마루부까지 도달하여 서로 맞닿아 보온시설을 긴밀하게 폐쇄하게 된다.
10: 권취롤러 12: 태엽스프링
20: 구동롤러 30: 보조덮개
40: C형 받침대

Claims (6)

  1. 보온시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덮개(1)의 일단이 권취롤러(10)상에 권취되고, 다른 일단은 로프(22)에 의해 구동롤러(20)상에 연결되어 개폐되며,
    상기 권취롤러(10)는 태엽스프링(12)에 연결되어, 구동롤러(20)가 로프(22)를 당겨 덮개(1)를 덮을시 태엽스프링(12)이 압축되고, 로프(22)를 풀어 덮개(1)를 개방시 태엽스프링(12)의 복원력에 의해 덮개(1)가 권취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는 보온시설 양측에 한 쌍으로 대향하게 설치되고, 로프(22)가 연결되는 덮개(1) 일단에는 보조덮개(30)가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엽스프링(12)은 일단이 권취롤러(10)와 연결되는 피동축(14)상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피동축(14)상에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드럼(16) 내주면에 고정되며, 지지드럼(16)은 스톱수단에 의해 위치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수단은 지지드럼(16)상에 구비되는 스톱기어(18)와, 스톱기어(18)에 맞물려 지지드럼(16)을 위치고정하는 레버(1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22)는 보온시설의 용마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다수의 가이드롤러(22a)를 경유하여 구동롤러(20)상에 권취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
  6.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러(10)는 보온시설에 고정되어 상부가 개방된 C형 받침대(40) 내측에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
KR2020130003666U 2013-05-09 2013-05-09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 KR2004776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666U KR200477618Y1 (ko) 2013-05-09 2013-05-09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666U KR200477618Y1 (ko) 2013-05-09 2013-05-09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855U true KR20140005855U (ko) 2014-11-19
KR200477618Y1 KR200477618Y1 (ko) 2015-07-02

Family

ID=52454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666U KR200477618Y1 (ko) 2013-05-09 2013-05-09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61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0929A (zh) * 2018-06-19 2020-05-26 黑革萝有限公司 塑料大棚结构
KR20220050533A (ko) * 2020-10-16 2022-04-25 전정진 온실의 에너지절감 보온차광장치
KR102610693B1 (ko) * 2022-11-21 2023-12-06 손성구 태양광 발전 셔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367A (ja) * 2001-10-16 2003-04-22 Seiwa:Kk 温室用シートの開閉装置
KR100965779B1 (ko) * 2008-07-08 2010-06-25 이지연 시원한 비닐하우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0929A (zh) * 2018-06-19 2020-05-26 黑革萝有限公司 塑料大棚结构
CN111200929B (zh) * 2018-06-19 2021-10-22 黑革萝有限公司 塑料大棚结构
KR20220050533A (ko) * 2020-10-16 2022-04-25 전정진 온실의 에너지절감 보온차광장치
KR102610693B1 (ko) * 2022-11-21 2023-12-06 손성구 태양광 발전 셔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618Y1 (ko)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618Y1 (ko) 보온시설용 덮개 개폐장치
ES2340881T3 (es) Sistema de apertura y cierre de la pelicula plastica y/o la red que c ubre el techo de invernaderos metalicos.
CN201064118Y (zh) 塑料棚膜揭盖装置
NO321285B1 (no) Anordning for tettende a dekke og avdekke en portal, som for eksempel et vindu.
CA2257237A1 (en) Covering mechanism for a greenhouse
KR20150003779U (ko) 시설재배용 덮개 개폐장치
KR101363258B1 (ko) 바람막이그물 자유개폐형 전동식 방풍펜스
CN103482432A (zh) 一种禽类养殖卷线器的使用方法
KR101360227B1 (ko) 온실용 무그림자형 보온커튼 개폐장치
KR101490496B1 (ko) 온실용 덮개 개폐장치
KR101306764B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
KR101455113B1 (ko) 비닐하우스용 보온커튼의 개폐시스템
KR20160039750A (ko)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KR102116882B1 (ko) 비닐하우스의 개폐 모니터링장치 및 방법
JP4338687B2 (ja) ハウス用保護ネットと保護ベルトの同時締め付け構造と使用方法
JP3210790U (ja) ビニールハウスの換気装置
KR200391548Y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
KR101385092B1 (ko) 온실용 커버 개폐장치
CN209017547U (zh) 大棚卷帘装置
CN202050750U (zh) 温室的托压膜线结构
CN201726710U (zh) 一种烟草育苗温室大棚卷膜装置
KR102095359B1 (ko) 비닐하우스의 개폐 모니터링장치 및 방법
KR100401804B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
KR200486736Y1 (ko) 비닐하우스 자동개폐기용 가이드롤러유닛
CN206147156U (zh) 一种机房用光缆盘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