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846U -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 - Google Patents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846U
KR20140005846U KR2020130003643U KR20130003643U KR20140005846U KR 20140005846 U KR20140005846 U KR 20140005846U KR 2020130003643 U KR2020130003643 U KR 2020130003643U KR 20130003643 U KR20130003643 U KR 20130003643U KR 20140005846 U KR20140005846 U KR 201400058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nosaur
arm
coupled
excavator
t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토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토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토이즈
Priority to KR2020130003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846U/ko
Publication of KR201400058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84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12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with cranes, winc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14Endless-track automobiles or tru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50Frames, stands, or wheels for dolls or toy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굴삭기, 불도저, 스팀롤러를 포함한 중장비 완구에 공룡의 머리 부분, 꼬리 부분을 포함한 공룡 외형을 접목하여 공룡이 입을 벌려 먹이를 먹는 과정과 중장비 완구를 이용하여 흙이나 모래를 굴삭하거나 푸시하거나 바닥을 평탄화하는 과정이 일체화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어린이들은 굴삭기 놀이와 공룡 놀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고생대에 생존하던 공룡이 현대의 굴삭기로 다시 태어난 듯한 상상력을 불러 일으킬 수 있고, 바퀴와 조립부재를 포함한 완구의 일부를 나사나 피스 없이 어린이들이 직접 끼우는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면서도, 공룡머리, 입, 이빨과 중장비와의 결합관계, 공룡 꼬리의 마디별 움직임, 바퀴 부분과 몸체와의 결합관계 등을 독특하게 설계하여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굴삭기, 불도저, 스팀롤러를 포함한 중장비 완구에 공룡의 머리 부분, 꼬리 부분을 포함한 공룡 외형을 접목하여 공룡이 입을 벌려 먹이를 먹는 과정과 상기 중장비 완구를 이용하여 흙이나 모래를 굴삭하거나 푸시하거나 바닥을 평탄화하는 과정이 일체화되도록 구현하되, 굴삭기의 경우 일측 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암이 공룡의 목에 해당하고, 상기 제1 암의 타측 단부에는 공룡의 앞다리와 제2 암의 일측 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 암은 공룡의 목에 해당하며, 상기 제2 암의 타측 단부에는 공룡 입의 하관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삽 역할을 수행하고 동시에 상기 제2 암의 타측 단부에는 공룡 입의 상관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버킷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Heavy Equipment toys with dinosaur}
본 고안은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굴삭기, 불도저, 스팀롤러를 포함한 중장비 완구에 공룡의 머리 부분, 꼬리 부분을 포함한 공룡 외형을 접목하여 공룡이 입을 벌려 먹이를 먹는 과정과 중장비 완구를 이용하여 흙이나 모래를 굴삭하거나 푸시하거나 바닥을 평탄화하는 과정이 일체화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어린이들은 굴삭기 놀이와 공룡 놀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고생대에 생존하던 공룡이 현대의 굴삭기로 다시 태어난 듯한 상상력을 불러 일으킬 수 있고, 바퀴와 조립부재를 포함한 완구의 일부를 나사나 피스 없이 어린이들이 직접 끼우는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면서도, 공룡머리, 입, 이빨과 중장비와의 결합관계, 공룡 꼬리의 마디별 움직임, 바퀴 부분과 몸체와의 결합관계 등을 독특하게 설계하여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에 관한 것이다.
유아용 완구의 일종으로 불도저와 굴삭기를 비롯한 중장비 완구는 어린이들에게 큰 인기가 있다. 이러한 중장비 완구는 실제로 어린이가 작동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모래 등에서 굴삭기를 이용하여 모래를 퍼 올려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거나, 모래를 밀어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놀이를 하면서 어린이들은 큰 흥미를 느끼게 된다.
통상적으로 중장비 완구의 바퀴는 막대 형상의 철심의 양측 단부에 바퀴를 고정키고, 바퀴가 고정된 철심이 회전가능하도록 홈에 삽입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중장비 완구에 압력 또는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철심이 삽입된 홈이 부러지는 현상을 종종 발생시키게 된다. 홈이 부러지면 홈과 몸체 간의 접착면적이 좁기 때문에 강력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부러진 부분을 접착시키더라도 다시 부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홈이 손상되면 바퀴가 고정된 철심을 몸체에 결합할 수 없어 중장비 완구 전체를 더이상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어린이들은 중장비 완구를 비롯한 장난감을 직접 조립하여 완성하고자 하는 욕구가 높다. 그러나, 대부분의 중장비 완구들은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각 부품을 피스나 나사 등으로 고정시켜 놓아 어린이들이 인위적으로 볼트를 풀지 않는 이상 조립과정을 체험해 보기 힘든 한계점이 있다. 처음부터 전체적인 조립은 어렵더라도 중장비 완구의 일부를 피스나 볼트 등을 이용하지 않고 끼우는 방식 등에 의해 직접 완성시켜 보는 체험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어린이들은 공룡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그에 따라 시중에는 다양한 종류의 공룡완구들이 출시되어 있다.
대부분의 공룡완구들은 플라스틱, 고무 등의 재질로 공룡의 외형을 본따 고정된 형상으로 완구를 제작하고 있다. 이러한 공룡완구는 처음 접할 때 독특한 형상으로 어린이들의 관심을 끌게 되나, 시간이 지날수록 어린이들이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굴삭기, 불도저와 같은 중장비 완구를 공룡과 접목하여 공룡이 입을 벌려 먹이를 먹는 과정과 중장비를 이용하여 흙이나 모래를 굴삭하는 과정이 일체화되도록 구현하고, 바퀴를 비롯한 완구의 일부를 어린이들이 직접 끼우는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면서도, 공룡머리, 입, 이빨과 중장비와의 결합관계, 공룡 꼬리의 마디별 움직임, 바퀴 부분과 몸체와의 결합관계 등을 독특하게 설계하여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완구에 대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어린이들에게 다양한 상상력을 불러 일으킬 수 있고, 어린이들에게 조립과 분리 등의 체험 기회를 제공하면서도, 독특한 설계로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에 따른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는 굴삭기, 불도저, 스팀롤러를 포함한 중장비 완구에 공룡의 머리 부분, 꼬리 부분을 포함한 공룡 외형을 접목하여 공룡이 입을 벌려 먹이를 먹는 과정과 상기 중장비 완구를 이용하여 흙이나 모래를 굴삭하거나 푸시하거나 바닥을 평탄화하는 과정이 일체화되도록 구현하되, 굴삭기의 경우 일측 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암이 공룡의 목에 해당하고, 상기 제1 암의 타측 단부에는 공룡의 앞다리와 제2 암의 일측 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 암은 공룡의 목에 해당하며, 상기 제2 암의 타측 단부에는 공룡 입의 하관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삽 역할을 수행하고 동시에 상기 제2 암의 타측 단부에는 공룡 입의 상관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버킷(Bucket)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룡의 머리 부분과 반대 방향에는 공룡의 꼬리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공룡의 꼬리는 복수개의 마디가 상호 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마디별로 작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룡의 머리 부분과 꼬리 부분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바퀴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바퀴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퀴 결합부는 상기 몸체의 측면과 이격되고, 상기 몸체의 측면과 상기 바퀴 결합부에는 각각 상기 바퀴가 끼워지기 위한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바퀴의 양측에는 상기 결합공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되, 절곡된 내각이 예각으로 형성되어 끼워서 밀어넣는 방식으로 조립가능한 조립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바퀴에는 공룡 발자국 문양이 새겨져 있어 모래사장이나 흙바닥에서 전후진시켰을 때 바닥에 공룡 발자국 문양이 새겨지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굴삭기, 불도저, 스팀롤러를 포함한 중장비 완구에 공룡의 머리 부분, 꼬리 부분을 포함한 공룡 외형을 접목하여 공룡이 입을 벌려 먹이를 먹는 과정과 중장비 완구를 이용하여 흙이나 모래를 굴삭하거나 푸시하거나 바닥을 평탄화하는 과정이 일체화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어린이들은 굴삭기 놀이와 공룡 놀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고생대에 생존하던 공룡이 현대의 굴삭기로 다시 태어난 듯한 상상력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바퀴와 조립부재를 포함한 완구의 일부를 나사나 피스 없이 어린이들이 직접 끼우는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면서도, 공룡머리, 입, 이빨과 중장비와의 결합관계, 공룡 꼬리의 마디별 움직임, 바퀴 부분과 몸체와의 결합관계 등을 독특하게 설계하여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측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측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측면도,
도 3c는 제1 목과 목커버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바퀴의 결합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조립부재 결합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는,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공룡 중 티라노사우루스와 굴삭기를 접목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티라노사우루스와 스키드로더(Skid Loader)가 접목된 것으로, 스키드로더는 소형불도저라고도 불리며, 주로 도로공사에 사용되는 장비로 흙이나 장애물 등을 파거나, 판 후 들어올려 이동시키거나, 공사하려는 면을 고르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굴삭기 완구에 공룡의 머리부분(10, 12), 꼬리부분(14, 16, 18, 20)을 포함한 공룡 외형을 접목하여 공룡이 입을 벌려 먹이를 먹는 과정과, 굴삭기를 이용하여 흙이나 모래를 굴삭하는 과정이 일체화되도록 구현한 것이다.
제1 암(4)은 일측 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몸체(2)에 결합되어, 공룡의 목 역할을 수행한다.
제2 암(6)은 제1 암(4)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공룡의 목 역할을 수행한다.
공룡 앞다리(8)는 제1 암(4)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공룡의 앞다리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제2 암(6)과 공룡 앞다리(8)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1 암(4)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즉, 제1 암(4)에 대하여 제2 암(6)만 회전시키거나 공룡 앞다리(8)만 회전시키거나, 제2 암(6)과 공룡 앞다리(8)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삽(10)은 제2 암(6)의 타측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공룡의 입 중 하관 역할을 수행한다.
버킷(Bucket)(12)은 제2 암(6)의 타측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공룡의 입 중 상관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제2 암(6)과 공룡 앞다리(8)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1 암(4)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즉, 제2 암(6)에 대하여 삽(10)만 회전시키거나 버킷(12)만 회전시키거나, 삽(10)과 버킷(12)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꼬리부분(14, 16, 18, 20)은 머리 부분(10, 12)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몸체(2)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공룡의 꼬리(14, 16, 18, 20)는 복수개의 마디(14, 16, 18, 20)가 상호 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마디별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즉, 제1 마디(14)는 몸체(2)에 대하여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고, 제2 마디 내지 제4 마디(16, 18, 20)는 제1 마디(14)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1의 실시예는 공룡머리부가 회전하여 굴삭기의 삽과 버킷 기능을 하고, 공룡머리부 자체가 작동하여 먹이를 씹을 수 있는 입 형태가 되며, 머리를 받치고 있는 앞다리가 상하 방향으로 작동된다. 또한, 공룡 발자국 모양의 궤적이 궤도바퀴에 구현되어 모래 지면에서 이동시 공룡 발자국의 문양이 새겨진다. 또한, 꼬리부는 공룡꼬리를 형상화하여 마디별로 작동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이를 통해 어린이들은 굴삭기 놀이와 공룡 놀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고생대에 생존하던 공룡이 현대의 굴삭기로 다시 태어난 듯한 상상력을 불러 일으킬 수 있게 된다.
도 2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측면도이다. 도 2의 실시예는 불도저와 공룡이 접목되었다는 점 이외에는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공룡 중 트리케라톱스와 불도저를 접목한 것이다. 불도저(Bulldozer)는 토목공사에 다방면으로 사용되는 흙이나 장애물 등을 파거나, 판 후 들어올려 이동시키거나, 공사하려는 면을 고르는데 사용된다.
불도저 완구에 공룡의 머리부분(24, 26, 28), 꼬리부분을 포함한 공룡 외형을 접목하여 공룡이 입을 벌려 먹이를 먹는 과정과, 불도저를 이용하여 흙이나 모래를 푸시(push)하는 과정이 일체화되도록 구현한 것이다.
암(22)이 몸체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공룡의 목에 해당하고, 압(22)에 대하여 공룡의 머리부분(24, 26, 28)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불도저의 푸시부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관(26)과 상관(28)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공룡이 먹이를 씹는 동작도 구현 가능하다.
도 3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측면도이며, 도 3c는 제1 목과 목커버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의 실시예는 굴삭기와 공룡이 접목되되, 굴삭기의 버킷과 공룡의 머리가 별개로 구성되었다는 점 이외에는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의 실시예는 공룡 중 브라키오사우루스와 굴삭기를 접목한 것이다. 굴삭기(Backhoe)는 주로 토목공사 현장에서 구조물을 만들기 전 기초공사를 위해 터파기를 하거나, 장애물 등을 파거나, 판 후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데 사용된다.
제1 목(32)은 몸체에 결합되고, 제2 목(34)은 제1 목(32)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하관(36)과 상관(38)은 제2 목(34)에 대하여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공룡이 먹이를 씹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머리의 반대 방향에는 일반적인 굴삭기의 암과 버킷(30)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굴삭기 놀이를 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도 3c를 참조하면, ㄷ자 형상의 목커버(33)의 양 가장자리에 돌기(35)가 구비되고, 목커버(33)의 ㄷ자는 내각이 예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이 상태로 제1 목(32)에 체결하면 돌기(35)가 제1 목(32)의 홈에 삽입되므로, 목커버(33)를 꽉 끼게 잡아주고, 결합된 후에는 낙하 등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목커버(33)가 제1 목(32)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피스나 나사와 같은 결합수단이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측면도이다. 도 4의 실시예는 스팀롤러와 공룡이 접목되었다는 점 이외에는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의 실시예는 공룡 중 안킬로사우루스와 스팀롤러가 접목된 것이다. 스팀롤러는 주로 도로공사(특히 포장공사)에 쓰이는 면을 고르거나, 다져주는 데 사용된다.
공룡 머리부(40, 42)는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공룡의 입을 구현하기 위해 하관(40)과 상관(42)이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또한, 팔(46)은 몸체에 결합된다.
또한, 하부의 스팀롤러 롤러부(44)는 팔(46)에 대하여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모래나 흙 바닥을 평탄하게 만든다. 꼬리부는 공룡 꼬리를 형상화하여 마디별로 작동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바퀴의 결합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공룡의 머리 부분과 꼬리 부분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몸체(50)와, 몸체(50)의 하부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바퀴(58)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바퀴 결합부(54)가 구비된다.
바퀴 결합부(54)는 몸체(50)의 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고, 몸체(50)의 측면에는 바퀴(58)가 끼워지기 위한 결합공(52)이 구비되며, 바퀴 결합부(54)에도 바퀴(58)가 끼워지기 위한 결합공(56)이 구비된다. 또한, 바퀴(58)의 양측에는 결합공(52)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돌출부(60)가 구비된다.
바퀴 결합부(54)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있어서, 바퀴(58)를 바퀴 결합부(54)에 삽입할 때에는 바퀴 결합부(54)에 약간의 휨이 발생하면서 돌출부(60)가 결합공(56)에 딸가닥 하고 끼워지고, 돌출부(60)가 결합공(56)에 삽입되면 바퀴 결합부(54)가 복원되어 바퀴(58)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철심의 양측에 바퀴를 고정시키고 홈에 끼워넣는 일반적인 방식에서 홈이 파손될 경우 완구로서의 기능을 더 이상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어린이들이 직접 바퀴를 조립 및 분리함으로써 체험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조립부재 결합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조립부재(62)는 몸체(60)의 일측에 결합된다.
조립부재(62)는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되 절곡된 내각(α)이 90도보다 작은 예각으로 형성되어, 몸체(60)에 끼워서 밀어넣는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다. 조립부재(62)는 중앙판(64)과 양측판(66, 68)을 구비하며, 양측판(66, 68)의 단부에는 몸체(60)에 결합될 결합돌기(7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바퀴와 조립부재를 비롯한 완구의 일부를 피스나 나사 없이 어린이들이 직접 끼우는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면서도, 공룡머리, 입, 이빨과 중장비와의 결합관계, 공룡 꼬리의 마디별 움직임, 바퀴 부분과 몸체와의 결합관계 등을 독특하게 설계하여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몸체 4 - 제1 암
6 - 제2 암 8 - 앞다리
10 - 하관 12 - 상관
14, 16, 18, 20 - 꼬리

Claims (3)

  1. 삭기, 불도저, 스팀롤러를 포함한 중장비 완구에 공룡의 머리 부분, 꼬리 부분을 포함한 공룡 외형을 접목하여 공룡이 입을 벌려 먹이를 먹는 과정과 상기 중장비 완구를 이용하여 흙이나 모래를 굴삭하거나 푸시하거나 바닥을 평탄화하는 과정이 일체화되도록 구현하되,
    굴삭기의 경우 일측 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암이 공룡의 목에 해당하고, 상기 제1 암의 타측 단부에는 공룡의 앞다리와 제2 암의 일측 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 암은 공룡의 목에 해당하며, 상기 제2 암의 타측 단부에는 공룡 입의 하관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삽 역할을 수행하고 동시에 상기 제2 암의 타측 단부에는 공룡 입의 상관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버킷(Bucket)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공룡의 머리 부분과 반대 방향에는 공룡의 꼬리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공룡의 꼬리는 복수개의 마디가 상호 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마디별로 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룡의 머리 부분과 꼬리 부분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바퀴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바퀴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퀴 결합부는 상기 몸체의 측면과 이격되고, 상기 몸체의 측면과 상기 바퀴 결합부에는 각각 상기 바퀴가 끼워지기 위한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바퀴의 양측에는 상기 결합공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되, 절곡된 내각이 예각으로 형성되어 끼워서 밀어넣는 방식으로 조립가능한 조립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바퀴에는 공룡 발자국 문양이 새겨져 있어 모래사장이나 흙바닥에서 전후진시켰을 때 바닥에 공룡 발자국 문양이 새겨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




KR2020130003643U 2013-05-09 2013-05-09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 KR201400058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643U KR20140005846U (ko) 2013-05-09 2013-05-09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643U KR20140005846U (ko) 2013-05-09 2013-05-09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846U true KR20140005846U (ko) 2014-11-19

Family

ID=52454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643U KR20140005846U (ko) 2013-05-09 2013-05-09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84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47887A1 (de) * 2015-01-21 2016-07-27 Bruder Spielwaren GmbH + Co. KG Spielfahrzeug-bagger
EP3047886A1 (de) * 2015-01-21 2016-07-27 Bruder Spielwaren GmbH + Co. KG Spielfahrzeu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47887A1 (de) * 2015-01-21 2016-07-27 Bruder Spielwaren GmbH + Co. KG Spielfahrzeug-bagger
EP3047886A1 (de) * 2015-01-21 2016-07-27 Bruder Spielwaren GmbH + Co. KG Spielfahrzeu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9591B2 (en) Multi-purpose bucket arrangement
HRP20190616T1 (hr) Potrošni dio i potrošni sklop opreme za jaružanje
KR20140005846U (ko) 공룡 겸용 중장비 완구
KR101679474B1 (ko) 장식판재가 장착되는 옹벽블록
KR101558867B1 (ko) 토낭 연결 및 보강 부재
KR200396205Y1 (ko) 친환경 식생블럭
US6612632B2 (en) Child's handheld digging implement
CN206143842U (zh) 斗齿组件
FR2561936A1 (fr) Jouet d'integration
KR100603532B1 (ko) 비탈면의 옹벽구조
US9017131B1 (en) Hand manipulated construction vehicle toy
USD604333S1 (en) Snow plow and/or replica thereof
CN112806113A (zh) 带有自清洁功能的农业用翻土结构
KR200338738Y1 (ko) 생태블록
JP2012246735A (ja) ショベル系掘削機用ツース部材及びそのバケット
KR100999185B1 (ko) 성벽 이미지 연출이 가능한 축조블록과 축조구조
CN206045402U (zh) 玩具挖掘机齿轮爪
KR100719281B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조립체
CN206613183U (zh) 一种玩具铲子
JPS5828035Y2 (ja) ショベルの骨組
JP6628080B2 (ja) バケット用ツース構造及びそのバケット
JP4826910B2 (ja) 建設機械に取付ける穴掘用ツル口バケット
CN204887884U (zh) 履带旋耕机
KR200400428Y1 (ko) 식생 기능을 가지는 법면용 블럭어셈블리
KR200374655Y1 (ko) 식생 녹화용 옹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