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321U - 배관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321U
KR20140005321U KR2020130002531U KR20130002531U KR20140005321U KR 20140005321 U KR20140005321 U KR 20140005321U KR 2020130002531 U KR2020130002531 U KR 2020130002531U KR 20130002531 U KR20130002531 U KR 20130002531U KR 20140005321 U KR20140005321 U KR 201400053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ipe
jack bolt
sub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5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진
조전래
김현규
윤경상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25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321U/ko
Publication of KR201400053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32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05Closing devices introduced radially into the pipe or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1배관 플랜지를 관통한 잭 볼트가 스팩터클 플랜지의 중간부재를 관통한 후, 제2배관 플랜지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배관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개폐장치는, 제1배관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제1배관; 제2배관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제2배관;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 사이를 개폐시키기 위한 스팩터클 플랜지; 및 상기 제1배관 플랜지를 관통한 후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를 관통하여 상기 제2배관 플랜지의 내면에 밀착되는 잭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는 상기 잭 볼트를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 사이로 유체가 흐르도록 하거나 또는 유체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 개폐장치{APPARATUS FOR CLOSING OR OPENING A PIPE}
본 고안은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두 개의 배관들 사이를 개폐시키는, 배관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규모 시설에 장착되어 있는 배관들로는, 다양한 종류의 유체들이 흐르고 있다.
유체가 흐르는 경로는 하나의 배관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복수의 배관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배관들로 흐르는 유체의 양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이동경로의 최초 설계시에는 배관을 통해 유체가 흐르도록 설계되었으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특정 배관을 통해서는 유체가 흐르지 않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반대로, 유체이동경로의 최초 설계시에는 배관을 통해서 유체가 흐르지 않도록 설계되었으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해당 배관을 통해 유체가 흐르도록 변경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배관들 사이에는, 스팩터클 플랜지(Spectacle Flange)가 삽입되어, 상기 유체가 상기 배관들 사이로 흐르게 하거나, 또는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에 의해, 상기 두 개의 배관들 사이의 개폐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는, 상기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서브플랜지, 상기 유체의 흐름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2서브플랜지 및 상기 제1서브플랜지와 상기 제2서브플랜지를 연결시키는 중간부재를 포함한다.
배관 개폐장치는, 상기 두 개의 배관들과,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두 개의 배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이 조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두 개의 배관의 개폐 상태가 변경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상기 배관 개폐장치에서,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가 교체되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두 개의 배관들 사이로 유체가 흐르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서브플랜지가 상기 두 개의 배관 사이에 위치되어야 하며, 상기 두 개의 배관들 사이로 유체가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서브플랜지가 상기 두 개의 배관 사이에 위치되어야 한다.
종래의 배관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배관의 개폐상태가 변경되는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두 개의 배관들을 연결시키고 있는 볼트 및 너트를 풀어줌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배관 플랜지들의 체결상태를 해제시킨다. 즉, 두 개의 배관들의 연결부분에는, 나사 등이 체결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관의 외경보다 다소 큰 외경을 갖는 배관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배관을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배관 플랜지들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 및 나사가 해제되어야 한다.
다음, 오랜 기간 동안 체결 상태를 유지한 상기 두 개의 배관들에 형성된 배관 플랜지(flange)들은 잘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체인 블록(chain block)으로 상기 두 개의 배관 플랜지들 사이의 간격을 벌려준다.
다음, 상기 두 개의 배관 플랜지들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스팩터클 플랜지를 빼내 원하는 방향으로 돌린 후,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를 다시, 상기 두 개의 배관 플랜지들 사이에 삽입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스팩터클 플랜지에는, 배관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서브플랜지 및 배관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2서브플랜지가 중간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서브플랜지 및 상기 제2서브플랜지들 중에서, 원하는 종류의 서브플랜지가 상기 배관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를 상기 배관 플랜지들 사이에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두 개의 배관 플랜지들을, 다시 상기 볼트 및 너트로 체결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두 개의 배관들 사이의 개폐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유체가 흐르지 않던 배관들 사이로 유체가 흐를 수도 있으며, 유체가 흐르던 배관들 사이로 더 이상 유체가 흐르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배관 개폐장치를 이용한 배관들 사이의 개폐상태 교체 방법에서는,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를 상기 두 개의 배관 플랜지들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두 개의 배관들을 연결시키고 있는 볼트 및 너트가 모두 해제되어야 한다.
또한, 서로 단단하게 조여져 있는 상기 두 개의 배관 플랜지들을 이격시키기 위해서는, 별도로 구성된 체인 블록(chain block)이 이용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가 교체된 이후에는,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상기 두 개의 배관 플랜지들이, 상기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다시 체결되어야 한다.
즉, 종래의 배관 개폐장치에서,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모든 볼트 및 너트가 완전히 해제된 후, 다시 모든 볼트 및 너트가 완전히 체결되어야 하며, 별도로 구성되어 있는 체인 블록이 이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배관 개폐장치에서, 배관들 사이의 개폐상태를 변경시키는 작업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많은 작업과 많은 시간을 요구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제1배관 플랜지를 관통한 잭 볼트가 스팩터클 플랜지의 중간부재를 관통한 후, 제2배관 플랜지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배관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개폐장치는, 제1배관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제1배관; 제2배관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제2배관;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 사이를 개폐시키기 위한 스팩터클 플랜지; 및 상기 제1배관 플랜지를 관통한 후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를 관통하여 상기 제2배관 플랜지의 내면에 밀착되는 잭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는 상기 잭 볼트를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 사이로 유체가 흐르도록 하거나 또는 유체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배관 플랜지 및 상기 제2배관 플랜지는, 상기 제1배관 플랜지 및 상기 제2배관 플랜지를 관통하는 체결부에 의해 체결된다.
또한,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는, 상기 유체가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 사이를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서브플랜지; 상기 유체의 흐름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2서브플랜지; 및 상기 제1서브플랜지와 상기 제2서브플랜지를 연결시키는 중간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에는, 상기 잭 볼트가 관통되도록하는 잭 볼트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배관 개폐장치에서의 배관들의 개폐상태 변경작업 시, 상기 배관 개폐장치 자체에 장착되어 있는 잭 볼트(Jack bolt)를 이용하여, 두 개의 배관 플랜지들 사이의 간격을 벌려줄 수 있기 때문에, 배관들 사이의 개폐상태 변경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의 중간부재에 형성된 홀에 상기 잭 볼트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가 상기 두 개의 배관 플랜지들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배관들 사이의 개폐상태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배관 플랜지들의 사이가 상기 잭 볼트에 의해 벌려진 상태에서, 상기 잭 볼트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배관들 사이의 개폐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가 상기 두 개의 배관 플랜지들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서도, 상기 두 개의 배관들 사이의 개폐상태가 간편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개폐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개폐장치 중 제1배관 플랜지와 스팩터클 플랜지가 잭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개폐장치에서 스팩터클 플랜지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개폐장치가 이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배관들 사이의 개폐상태가 변경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들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선체블록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개폐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개폐장치 중 제1배관 플랜지와 스팩터클 플랜지가 잭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개폐장치에서 스팩터클 플랜지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개폐장치가 이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배관들 사이의 개폐상태가 변경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개폐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관 플랜지(11)가 형성되어 있는 제1배관(10), 제2배관 플랜지(21)가 형성되어 있는 제2배관(20), 상기 제1배관(10)과 상기 제2배관(20) 사이를 개폐시키기 위한 스팩터클 플랜지(30),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를 관통한 후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30)를 관통하여 상기 제2배관 플랜지(11)의 내면에 밀착되는 잭 볼트(40) 및 상기 제1배관 플랜지(10)와 상기 제2배관 플랜지(20)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50)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제1배관(10)과 상기 제2배관(20)은, 다양한 종류의 유체가 흐르는 관으로서, 상기 제1배관(10)과 상기 제2배관(20)의 연결부분에는, 각각 제1배관 플랜지(11) 및 제2배관 플랜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 및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의 직경은, 상기 제1배관(10) 및 상기 제2배관(2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배관(10) 및 상기 제2배관(20)의 외경, 내경 및 형태는, 상기 배관들의 배치 장소 및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잭 볼트 삽입홀(11a)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체결부 삽입홀(1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잭 볼트 삽입홀(11a)로는 상기 잭 볼트(40)가 삽입되며, 상기 체결부 삽입홀(11b)로는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와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가 삽입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잭 볼트(40)는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와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의 체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하나만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잭 볼트 삽입홀(11a)은 하나만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잭 볼트(40) 및 상기 잭 볼트 삽입홀(11a)은 두 개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50)는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와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를 체결시켜, 서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체결부(5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구비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체결부 삽입홀(11b) 역시,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에 두 개 이상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에는 상기 잭 볼트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체결부 삽입홀(11b) 만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잭 볼트(40)는, 상기 잭 볼트 삽입홀(11a)을 관통한 후,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30)를 관통하여,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의 내면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를 관통하지는 않는다.
상기 잭 볼트(40)의 이용 방법은, 이하에서 상기 잭 볼트(40)에 대한 설명 중 상세히 설명된다.
다음,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30)는, 상기 잭 볼트(40)를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배관(10)과 상기 제2배관(20) 사이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개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30)는, 상기 유체가 상기 제1배관(10)과 상기 제2배관(20) 사이를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홀(31a)이 형성되어 있는 제1서브플랜지(30), 상기 유체의 흐름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2서브플랜지(32) 및 상기 제1서브플랜지(31)와 상기 제2서브플랜지(32)를 연결시키는 중간부재(33)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제1서브플랜지(31)는, 상기 제1배관(10) 또는 상기 제2배관(20)으로부터, 상기 제2배관(20) 또는 상기 제1배관(10)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플랜지홀(31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유체는 상기 플랜지홀(31a)을 통해, 상기 두 개의 배관들 사이로 흐를 수 있다.
상기 플랜지홀(31a)의 크기 및 숫자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도 2에는, 상기 플랜지홀(31a)이 상기 제1배관(10)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하나만이 형성되어 있는 스팩터클 플랜지(30)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플랜지홀(31a)은 상기 제1배관(10)의 내경 보다 작은 크기로, 두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제2서브플랜지(32)는 상기 제1배관(10)과 상기 제2배관(20) 사이로 유체가 흐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30)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제1서브플랜지(31)와 상기 제2서브플랜지(32)의 조합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플랜지홀(31a)이 형성되어 있는 제1서브플랜지(31) 및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서브플랜지(32)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하나의 플랜지홀(31a)이 형성되어 있는 제1서브플랜지(31a) 및 상기 제1서브플랜지(31a)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플랜지홀(31a)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복수의 플랜지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2서브플랜지(32)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상기 잭 볼트(40)가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서브플랜지(31) 및 상기 제2서브플랜지(3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서브플랜지(31) 및 상기 제2서브플랜지(32)는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 및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상기 잭 볼트(40)가 두 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서브플랜지(31) 및 상기 제2서브플랜지(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두 개의 상기 잭 볼트(40) 사이에서, 상기 중간부재(30)를 관통한 잭 볼트(40)를 회전축으로 회전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서브플랜지(31) 및 상기 제2서브플랜지(32)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두 개의 잭 볼트(40) 사이에서, 상기 제1서브플랜지(31) 및 상기 제2서브플랜지(32)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상기 중간부재(33)는 상기 제1서브플랜지(31)와 상기 제2서브플랜지(32)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중간부재(33)에는, 상기 잭 볼트(40)가 관통되도록 하는 잭 볼트 관통홀(3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부재(33)의 형태 역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잭 볼트(40)는,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30)를 구성하는 상기 제1배관 플랜지(31) 및 상기 제2배관 플랜지(32)의 위치를 변경시켜, 상기 제1배관(10)과 상기 제2배관(20)을 흐르는 유체의 개폐상태를 변경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잭 볼트(40)의 외주면에는, 잭 볼트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잭 볼트 삽입홀(11a)의 내주면에는, 상기 잭 볼트 나사산에 대응되는, 삽입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잭 볼트(40)가 정회전되는 경우, 상기 잭 볼트(40)는, 상기 삽입홀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30) 및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와 밀착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잭 볼트(40)가 역회전되는 경우, 상기 잭 볼트(40)는, 상기 삽입홀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30) 및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잭 볼트(40)는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잭 볼트 삽입홀(11a)을 관통하여 전진 및 후진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잭 볼트(40)의 구체적인 이용 방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잭 볼트(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에 형성된 상기 잭 볼트 삽입홀(11a)에 삽입된다.
상기 잭 볼트(40) 및 상기 잭 볼트 삽입홀(11a)에는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나사산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잭 볼트(40)는 회전에 의해서만 상기 잭 볼트 삽입홀(11a)을 관통하여 직선운동할 수 있다.
상기 잭 볼트(40)가 정회전되면, 상기 잭 볼트(40)는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 및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30)의 상기 중간부재(33) 방향으로 직선이동한다.
상기 잭 볼트(40)가 계속해서 정회전되면, 상기 잭 볼트(40)는 상기 중간부재(33)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잭 볼트 관통홀(33a)을 관통한다. 상기 잭 볼트 관통홀(33a)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잭 볼트(40)가 계속해서 정회전되면, 상기 잭 볼트(40)는, 상기 잭 볼트를 완전히 관통한 후,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의 내부면에 밀착된다.
상기 잭 볼트(40)가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의 내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잭 볼트(40)가 계속해서 정회전되면, 상기 잭 볼트(40)가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의 내부면에 의해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잭 볼트(40)는 더 이상 앞으로 이동될 수 없다.
그러나, 상기 잭 볼트(40)가 지속적으로 정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잭 볼트(40)에 형성되어 있는 잭 볼트 나사산들은, 상기 잭 볼트 삽입홀(11a)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 나사산들을 지속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잭 볼트 삽입홀(11a)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가 상대적으로,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잭 볼트(40)가 정회전에 의해 진행하는 방향이 정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는 상기 정방향에 반대되는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와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의 간격이 벌어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30)를 상기 잭 볼트(40)를 회전축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서브플랜지(31) 또는 상기 제2서브플랜지(32)가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와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 사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체결부(50)는,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 및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체결부 삽입홀(11b)을 관통하여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 및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를 체결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부(50)는, 상기 체결부 삽입홀(11b)로 삽입되는 체결볼트 및 상기 체결볼트의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체결볼트의 회전을 차단시키기 위한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배관(10) 및 상기 제2배관(20) 사이의 유체의 흐름이 개폐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 및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의 사이에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50)를 이용하여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 및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를 체결시킨다.
상기 잭 볼트(40)는 상기 잭 볼트 삽입홀(11a) 및 상기 잭 볼트 관통홀(33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30)를 지지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잭 볼트(40)는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에 접촉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접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잭 볼트(40)는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에 어떠한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잭 볼트 삽입홀(11a)에 장착된다.
한편, 도 4에서는, 상기 제2서브플랜지(32)가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와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 사이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제1서브플랜지(31)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의 배관 개폐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배관 개페장치가 지속적으로 사용된 이후, 상기 제1서브플랜지(31)와 상기 제2서브플랜지(32)의 위치를 변경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우선,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와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를 체결시키고 있는 상기 체결부(50)를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 및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로부터 해제 시킨다.
다음, 사용자는, 상기 잭 볼트(40)를 정회전시켜서, 상기 잭 볼트(40)가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가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와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 사이에는 여유 공간이 발생되며,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30)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던 상기 제1서브플랜지(31)를 회전시켜, 상기 제1서브플랜지(31)가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 및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 사이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중간부재(33)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잭 볼트 관통홀(33a)에는 상기 잭 볼트(40)가 관통되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300는, 상기 잭 볼트(4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플랜지(31)가 상기 제2서브플랜지(32)를 대체하여,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 및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 사이에 배치되면, 사용자는, 상기 잭 볼트(40)를 역회전시킨다.
상기 잭 볼트(40)가 역회전 됨에 따라,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 및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의 이격 간격은 점점 줄어들게 되며, 결국,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와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가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해제되었던 상기 체결부(50)를 다시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와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에 형성된 상기 체결부 삽입홀(11b)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제1배관 플랜지(11)와 상기 제2배관 플랜지(21)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제1배관(10) 및 상기 제2배관(20) 사이의 개폐상태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제1배관 11 : 제1배관 플랜지
20 : 제2배관 21 : 제2배관 플랜지
30 : 스팩터클 플랜지 31 : 제1서브플랜지
32 : 제2서브플랜지 33 : 중간부재
33a : 잭 볼트 관통홀 40 : 잭 볼트
50 : 체결부

Claims (4)

  1. 제1배관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제1배관;
    제2배관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제2배관;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 사이를 개폐시키기 위한 스팩터클 플랜지; 및
    상기 제1배관 플랜지를 관통한 후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를 관통하여 상기 제2배관 플랜지의 내면에 밀착되는 잭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는 상기 잭 볼트를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 사이로 유체가 흐르도록 하거나 또는 유체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 플랜지 및 상기 제2배관 플랜지는, 상기 제1배관 플랜지 및 상기 제2배관 플랜지를 관통하는 체결부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팩터클 플랜지는,
    상기 유체가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 사이를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서브플랜지;
    상기 유체의 흐름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2서브플랜지; 및
    상기 제1서브플랜지와 상기 제2서브플랜지를 연결시키는 중간부재를 포함하는 배관 개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에는,
    상기 잭 볼트가 관통되도록하는 잭 볼트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개폐장치.

KR2020130002531U 2013-04-04 2013-04-04 배관 개폐장치 KR201400053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531U KR20140005321U (ko) 2013-04-04 2013-04-04 배관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531U KR20140005321U (ko) 2013-04-04 2013-04-04 배관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321U true KR20140005321U (ko) 2014-10-14

Family

ID=52451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531U KR20140005321U (ko) 2013-04-04 2013-04-04 배관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32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5538A (zh) * 2017-10-30 2020-06-16 沙特阿拉伯石油公司 眼镜盲板摆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5538A (zh) * 2017-10-30 2020-06-16 沙特阿拉伯石油公司 眼镜盲板摆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1399B2 (ja) 係止機構を備えたシングルレバー温/冷水栓上で使用される温水側のみのスプリングリターン
US3146792A (en) Ball valve
US20160186912A1 (en) Device for partially repairing pipe using hose band
CN102203487B (zh) 用于阀的流体流动控制部件
US20200088311A1 (en) Methods of use & valves with multi-directional ball check
US4605199A (en) Ball valve provided with a lock ring
GB2561764A (en) Boiler service and maintenance valve
KR20140005321U (ko) 배관 개폐장치
KR101534212B1 (ko) 밸브용 나사연결구
US9816628B2 (en) Check valve
KR20160131002A (ko) 위생 피팅
CN104254722A (zh) 快速维护海底止回阀
WO2015173811A1 (en) Fluid pipe hub
JP4920453B2 (ja) 可変オリフィス装置
JP6087159B2 (ja) 二栓式止水栓
JP5275824B2 (ja) 継手
RU2357141C1 (ru) Кран двухконтурный
RU2354875C1 (ru) Полукорпус шиберной задвижки и шиберная задвижка
TWM512082U (zh) 立式水龍頭結構
KR100849283B1 (ko) 버터플라이 밸브
CN210715980U (zh) 管道机构
CN219119869U (zh) 一种便于维修的球阀
US20240035585A1 (en) Modular Valve Assemblies with Optional Swing Out
DE10247066B4 (de) Sanitärarmatur mit Anschlussstück
CN107269893A (zh) 水龙头防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