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253U - Height adjustable bathtub for infant - Google Patents

Height adjustable bathtub for inf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253U
KR20140005253U KR2020130002350U KR20130002350U KR20140005253U KR 20140005253 U KR20140005253 U KR 20140005253U KR 2020130002350 U KR2020130002350 U KR 2020130002350U KR 20130002350 U KR20130002350 U KR 20130002350U KR 20140005253 U KR20140005253 U KR 201400052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pair
shaft portion
pedestal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35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흥기
Original Assignee
임흥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흥기 filed Critical 임흥기
Priority to KR20201300023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253U/en
Publication of KR201400052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253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3Baths attachable to other baths, sinks, wash-basins, or the like ; mounting frames therefor
    • A47K3/034Baths attachable to other baths, sinks, wash-basins, or the like ; mounting fram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6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 A47K3/07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attachable to other basins, or the like
    • A47K3/074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attachable to other basin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on dressing-tables for bab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 A47K3/127Body supports for children or babies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욕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로 개방된 개구부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일측 단부에는 회전축부를 갖는 욕조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욕조본체의 내측에 수용 가능하게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측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힌지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욕조본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아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욕조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아받침대의 회동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유아를 욕조본체 내의 목욕물로부터 꺼내어 전신에 비누칠을 하고 다시 목욕물에 담고자 하는 과정에서 힘들이지 않고 상기 유아받침대의 회동 각도만을 조절하기만 하면 되므로 보호자는 보다 안전하고 수월하게 유아의 목욕 및 머리감김을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htub for infants, comprising: a bathtub body having an opening upwardly opened and having a rotation axis portion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hinge shaft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ry shaft portion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tub body about the hinge shaft portion And an infant pedestal which is coupled to the infant pedestal.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infant pedestal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th body so that the infant can be taken out from the bath water in the bath body, soaped over the whole body, Just by adjusting the angle, the carer can safely and easily take up the baby's bath and hair.

Description

유아 높낮이 조절 가능 욕조{HEIGHT ADJUSTABLE BATHTUB FOR INFANT}HEIGHT ADJUSTABLE BATHTUB FOR INFANT

본 고안은 유아용 욕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욕조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아받침대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유아를 욕조본체 내의 목욕물로부터 꺼내어 전신에 비누칠을 하고 다시 목욕물에 넣는 과정을 힘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욕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htub for infants, and more particularly, it is difficult to remove infants from the bathtub body by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infant pedestal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thtub body, soap the whole body and put the bathtub back into the bathtub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htub for infants,

종래의 유아받침대를 갖는 유아용 욕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조본체(11)와 이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유아받침대(12)로 구성된다.A conventional baby bath 10 having an infant pedestal is composed of a bath main body 11 and an infant pedestal 12 detachably attached thereto as shown in Fig.

욕조본체(11)의 내측으로는 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유아받침대(12)는 욕조본체(11)의 상단 테두리(11a)에 얹혀져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욕조본체(11)의 상단부에 의해 수평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infant pedestal 12 is placed on the upper edge 11a of the bathtub main body 11 and is partially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bathtub body 11, As shown in Fig.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유아용 욕조(10)에 의하면, 유아의 전신에 비누칠을 하여 씻기는 경우 보호자가 유아를 안은 채로 유아받침대(12)를 욕조본체(11)로부터 분리해 떼내어야 하는 관계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such a conventional baby bath 10, when the whole body of the infant is soaped and washed, the infant's pedestal 12 must be detached from the bathtub body 11 while the protector holds the infant in use. There was a problem that this was uncomfortable.

그리고, 몸이 젖은 유아를 목욕물 밖으로 꺼내어 비누칠 할 때 체온이 저하된 상태에서 신속히 온수에 담그지 못하고, 또한 아이를 안은 상태에서 유아받침대(12)를 조립할 경우 비누칠 때문에 미끄러워 아이를 떨어뜨릴 위험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baby is soaked, it is difficult to immerse the wet baby in the hot water in a state where the body temperature is lowered when the baby is soaked in the bath water, and when the baby pedestal (12) is assembled while holding the child, There was a problem.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아의 목욕 및 머리감김이 힘들이지 않고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유아용 욕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baby bath so that the bathing of the infant and the winding of the head can be carried out easily and without difficul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유아용 욕조에 있어서, 상부로 개방된 개구부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일측 단부에는 회전축부를 갖는 욕조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욕조본체의 내측에 수용 가능하게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측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힌지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욕조본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아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htub for a child, comprising: a bathtub body having an opening portion opened to the top and having a rotation axis portion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hinge shaft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ry shaft portion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tub body about the hinge shaft portion And an infant pedestal which is coupled to the infant pedestal.

여기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욕조본체의 상기 일측 단부의 서로 대면하는 좌우 양측 벽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수용홈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축부는 상기 한 쌍의 수용홈부에 대응하여 상기 유아받침대의 좌우 양측 단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삽입돌기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 the rotary shaft portion is constituted by a pair of receiving groove portions provided on both right and left side wall surfaces of the tub main body facing one side end of the tub body, and the hinge shaft portion is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fant pedestal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receiving groove portions And a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provided at the end portions.

이때, 상기 한 쌍의 수용홈부는 상기 욕조본체의 좌우 양측 벽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로 연결되는 개방단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삽입돌기부는 상기 개방단부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수용홈부에 삽탈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유아받침대는 상기 욕조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air of receiving recesses have an open end extending upward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 wall surfaces of the tub body and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the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are connected to the pair of receiving recesses So that the infant pedestal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th main body.

나아가, 상기 한 쌍의 삽입돌기부는 상기 유아받침대의 상기 좌우 양측 단부로부터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아암부의 말단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Further, the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may be provided at a distal end portion of a pair of arms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infant pedestal.

그리고, 상기 유아받침대는 상기 힌지축부의 반대편인 타측 단부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받침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조받침대의 절첩을 통해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는 상기 힌지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욕조본체에 대하여 회동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auxiliary pedestal has an auxiliary pedestal rotatably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hinge shaft. The auxiliary pedestal is supported on the hinge shaft, So that the angle of rotation can be adjusted.

한편,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욕조본체의 상기 일측 단부의 벽면 상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축부는 상기 유아받침대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어 내측에 상기 지지턱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수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hinge shaft portion is provided at one end portion of the infant bearing base and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tubular body portion so that the supporting jaw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tubular body portion. .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욕조에 의하면, 욕조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아받침대의 회동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아를 경사지게 눕힐 수도 수평으로 눕힐 수도 있게 되어, 유아를 목욕시키거나 머리를 감기고자 할 때 힘들이지 않고 상기 유아받침대의 회동 각도만을 조절하기만 하면 되므로 보호자는 보다 안전하고 수월하게 유아의 목욕 및 머리감김을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aby b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angle of the infant pedestal rotatably coupled to the bathtub body can be adjusted, whereby the infant can be inclined or horizontally laid down, It is only necessary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infant pedestal so that the carer can safely and easily take up the baby's bath and hai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아용 욕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욕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유아용 욕조의 결합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유아용 욕조의 일 사용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욕조의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by bath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by bat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by bath i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e example of the infant bath of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bat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욕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개방된 개구부(21a)를 갖는 욕조본체(21), 상기 개구부(21a)를 통해 욕조본체(21)의 내측에 수용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아받침대(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and 3, the bathtu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 body 21 having an opening 21a opened to the top, a tub body 21 through the opening 21a, And an infant pedestal 26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baby carriage 21.

욕조본체(21)는 길이방향으로 일측(도면에서는 우측) 단부의 서로 대면하는 좌우 양측 벽면(22)에 마련되는 한 쌍의 수용홈부(23)를 갖는다.The bathtub body 21 has a pair of receiving groove portions 23 provided on left and right side wall surfaces 22 facing one side (right side in the figur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에 대응하여, 유아받침대(26)는 길이방향으로 일측(도면에서는 우측) 단부에 상기 한 쌍의 수용홈부(23)에 대응하여 한 쌍의 삽입돌기부(27)가 가로방향으로 좌우 양측 단부에 마련된다.Corresponding to this, the infant pedestal 26 is provided with a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27 on both sides in the later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receiving recesses 23 on one side (right side in the fig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o.

상기한 수용홈부(23)와 삽입돌기부(27)는 서로 결합하여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형홈 및 원형돌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groove 23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27 are circular grooves and circular protrusions so that they can be smoothly rotated by being coupled with each other.

한 쌍의 삽입돌기부(27)는 한 쌍의 수용홈부(23)에 삽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수용홈부(23)는 욕조본체(21)의 좌우 양측 벽면(22)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로 연결되는 개방단부(23a)를 갖는다.The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27 are provided so as to be removable from the pair of receiving recesses 23 so that the pair of receiving recesses 23 exten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2 of the bathtub body 21 And an open end portion 23a extending upward and connected to the outside.

이에 따라, 한 쌍의 삽입돌기부(27)는 상기와 같은 개방단부(23a)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수용홈부(23)에 삽탈 가능하게 마련되며, 결과적으로 유아받침대(26) 자체가 욕조본체(21)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27 are removably provided in the pair of receiving grooves 23 through the open end 23a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infant pedestal 26 itself is inserted into the tub body 21,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삽입돌기부(27)는 유아받침대(26)의 상기한 길이방향으로 일측에서 상기 유아받침대(26)의 가로방향으로 좌우 양측 단부로부터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아암부(28)의 말단부에 구비된다.In this embodiment, the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27 is formed by a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27 extending from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fant pedestal 26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both left and right end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infant pedestal 26 Of the arm portion 28 of the main body 30.

유아받침대(26)는 상기한 한 쌍의 삽입돌기부(27)가 형성된 측의 반대편인 타측(도면에서는 좌측) 단부의 저면으로 보조받침대(29)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infant pedestal 26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ther end (left side in the figur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27 are formed.

보조받침대(29)가 도 3에서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유아받침대(26)는 욕조본체(21) 내에서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지지된다. 반면, 보조받침대(29)가 유아받침대(26) 측으로 접힌 도 4의 상태에서는, 유아받침대(26)가 욕조본체(21) 내에서 경사각을 유지한 상태로 지지된다. 결과적으로, 유아받침대(26)에 대한 보조받침대(29)의 절첩을 통해 유아받침대(26)는 한 쌍의 삽입돌기부(27)가 결합되는 욕조본체(21) 측 한 쌍의 수용홈부(23)를 중심으로 상기 욕조본체(21)에 대하여 회동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3, the infant pedestal 26 is held in a horizontal state in the bathtub main body 21. As shown in Fig. 4, in which the auxiliary pedestal 29 is folded toward the infant pedestal 26 side, the infant pedestal 26 is supported in the bathtub body 21 while maintaining the inclined angle. As a result, through the folding of the auxiliary pedestal 29 with respect to the infant pedestal 26, the infant pedestal 26 has a pair of receiving grooves 23 on the side of the bathtub body 21 to which the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27 are coupled, So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tub main body 21 can be adjusted.

한편,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는, 욕조본체(21) 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수용홈부(23)가 회전축부의 일 구현례로서 이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아받침대(26) 측 힌지축부의 일 구현례인 한 쌍의 삽입돌기부(27)와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구현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receiving recesses 23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athtub body 21 is an example of the rotary shaft portion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ry shaft portion corresponding thereto And the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27, which is one example of the hinge shaft portion on the infant pedestal 26 si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욕조(30)에서는 상기 회전축부의 다른 구현례로서 지지턱(33)이 그리고 상기 힌지축부의 다른 구현례로서 축수부(37)가 제안된다.5, in the baby bath 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jaw 33 is provide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rotary shaft portion, 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hinge shaft portion, 37) is proposed.

지지턱(33)은 욕조본체(31)의 길이방향 일측(도면에서는 우측) 단부의 벽면 상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축수부(37)는 유아받침대(36)의 일측(역시 우측) 단부에 마련되어 내측에 상기 지지턱(33)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supporting jaw 33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wall surface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 body 31 (right side in the figur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step 33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이러한 지지턱(33)과 축수부(37)의 결합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받침대(36)를 욕조본체(31)의 내측에 배치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원하는 바에 따라 상기 유아받침대(36)의 좌측 끝단부를 잡아 회동 각도를 조절해가며 사용할 수도 있으며, 유아를 욕조본체(31)에 완전히 앉히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아받침대(36)를 우측으로 완전히 제껴 욕조본체(31)의 우측 외부로 내놓을 수도 있다.5, the user can place the infant pedestal 36 inside the bathtub main body 31, as desired, or, if desired, When the infant is to be completely seated in the tub body 31, the infant rest 36 is completely dislodged to the right side. When the infant is to be completely seated in the tub body 31, the left end of the infant rest 36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31).

이상에서 설명된 유아용 욕조(20, 30)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들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상기 설명된 바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곤란하다.As described above, the bathtubs 20 and 30 are merely examples for facilit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at the scope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The scope of rights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termined by the scope of claims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described below and the equivalents thereof.

20: 유아용 욕조 21: 욕조본체
22: 벽면 23: 수용홈부
26: 유아받침대 27: 삽입돌기부
28: 아암부 29: 보조받침대
33: 지지턱 37: 축수부
20: baby bath 21: bath body
22: wall surface 23: receiving groove
26: infant pedestal 27: insertion protrusion
28: arm portion 29: auxiliary support
33: support jaw 37: bearing support

Claims (6)

유아용 욕조에 있어서,
상부로 개방된 개구부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일측 단부에는 회전축부를 갖는 욕조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욕조본체의 내측에 수용 가능하게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측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힌지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욕조본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아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In the infant bath,
A bath main body having an opening upwardly opened and having a rotation axis portion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hinge shaft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ry shaft portion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tub body about the hinge shaf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fant pedestal coupled there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욕조본체의 상기 일측 단부의 서로 대면하는 좌우 양측 벽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수용홈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축부는 상기 한 쌍의 수용홈부에 대응하여 상기 유아받침대의 좌우 양측 단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삽입돌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ry shaft portion comprises a pair of receiving groove portions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 wall surfaces of the tub main body facing one end portion of the bath main body,
Wherein the hinge shaft portion comprises a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provided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infant pedestal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receiving reces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용홈부는 상기 욕조본체의 좌우 양측 벽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로 연결되는 개방단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삽입돌기부는 상기 개방단부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수용홈부에 삽탈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유아받침대는 상기 욕조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air of receiving recessed portions have open ends extending upwardly from left and right side wall surfaces of the tub body and connected to the outside,
Wherein the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are removably attached to the pair of receiving recesses through the open end so that the infant receiving bas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th main body.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삽입돌기부는 상기 유아받침대의 상기 좌우 양측 단부로부터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아암부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pair of insertion protrusions are provided at a distal end portion of a pair of arms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infant pedesta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받침대는 상기 힌지축부의 반대편인 타측 단부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받침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조받침대의 절첩을 통해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는 상기 힌지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욕조본체에 대하여 회동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infant pedestal has an auxiliary pedestal rotatably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hinge shaft portion so that the auxiliary pedestal can be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portion coupled to the rotary shaft through the folding of the auxiliary pedestal Wherein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tub is adjus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욕조본체의 상기 일측 단부의 벽면 상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축부는 상기 유아받침대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어 내측에 상기 지지턱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ry shaft portion is composed of a supporting jaw formed by an upper end portion of a wall surface of the one end portion of the tub body,
Wherein the hinge shaft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infant bearing base and has a bearing portion into which the supporting jaw is rotatably inserted.
KR2020130002350U 2013-03-29 2013-03-29 Height adjustable bathtub for infant KR2014000525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350U KR20140005253U (en) 2013-03-29 2013-03-29 Height adjustable bathtub for inf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350U KR20140005253U (en) 2013-03-29 2013-03-29 Height adjustable bathtub for inf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253U true KR20140005253U (en) 2014-10-08

Family

ID=52450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350U KR20140005253U (en) 2013-03-29 2013-03-29 Height adjustable bathtub for inf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253U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971B1 (en) 2015-01-23 2016-07-08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Bathtub and bouncer for infant
KR20180076861A (en) * 2016-12-28 2018-07-06 강주영 bathtub having a sub-bathtub for infant
KR102026162B1 (en) * 2018-06-20 2019-09-27 황세정 Bath tub for an infa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971B1 (en) 2015-01-23 2016-07-08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Bathtub and bouncer for infant
KR20180076861A (en) * 2016-12-28 2018-07-06 강주영 bathtub having a sub-bathtub for infant
KR102026162B1 (en) * 2018-06-20 2019-09-27 황세정 Bath tub for an inf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5253U (en) Height adjustable bathtub for infant
KR101098725B1 (en) Subsidiary apparatus for cleaning child for moving type
KR20090051835A (en) A bathtub for an infant
JP4051617B2 (en) Baby bathtub
KR101584860B1 (en) Bathtub for infant
KR100560600B1 (en) A Bathtub for an Infant
KR102028070B1 (en) Baby bath support
JP6659496B2 (en) Bathing equipment
KR102403894B1 (en) Baby Bathtub
KR20140069967A (en) Subsidiary apparatus for cleaning child for moving type
KR101185777B1 (en) Container liquid which hanger shower
KR101633960B1 (en) Subsidiary apparatus for cleaning child for moving type
JP4763859B1 (en) Hand tub
KR200450840Y1 (en) Foldable Baby Bathtub
KR20140128648A (en) a multi functional bathtub for baby
JP3216486U (en) Baby bath stopper
KR200173721Y1 (en) A tub for baby
JP3181591U (en) Quick and water-saving bathing bag
KR100739010B1 (en) A bathtub for an infant
CN218572078U (en) Folding bath deck chair for baby
KR20120115164A (en) A movable shower booth
JP3185497U7 (en)
JP2011056241A (en) Hand bath bucket
JP6656740B1 (en) Face towels, bath towels or towels for moisturizing the face and neck used in the bathtub and instructions for use.
JP3151294U (en) Hair washing a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