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064U - Folding type mattress - Google Patents

Folding type mattr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064U
KR20140005064U KR2020130001915U KR20130001915U KR20140005064U KR 20140005064 U KR20140005064 U KR 20140005064U KR 2020130001915 U KR2020130001915 U KR 2020130001915U KR 20130001915 U KR20130001915 U KR 20130001915U KR 20140005064 U KR20140005064 U KR 201400050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bodies
row direction
movable
f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91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76071Y1 (en
Inventor
신동현
Original Assignee
신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현 filed Critical 신동현
Priority to KR20201300019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071Y1/en
Publication of KR201400050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06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07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or loose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이식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서로 마주하여 접면되는 행 방향 면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부로 연결되어 열 방향으로 접어지는 제1,2,3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바깥쪽 행 방향 면으로부터 절개되되 행 방향 면의 상측이 상기 제1몸체의 행 방향 면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부로 연결되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것과 관련된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3단으로 접어지는 제1,2,3몸체로 이루어진 매트리스를 사용함에 있어서,
매트리스에 눕는 경우 제1몸체에 구비된 가동부를 제1몸체로부터 회전시키거나 분리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두고 베개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베개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고 간단한 방법을 통해 베개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베개를 이용하여 매트리스를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숙면 및 휴식을 취할 수 있어 매트리스의 효율성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mattres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able mattress which includes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in a row direction, And a movable portion which is cut from the direction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row direction surface is rotatable above the row direction surface of the first body.
According to this design,
In using a mattress composed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folded in three stages,
When the user lays down on the mattress, the movable part provided on the first body can be rotated or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and can be used as a pillow while the user is in a desired position. Therefore, the user does not need to carry the pillow separately. Therefor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The use of a mattress using a pillow allows the user to take a sleep and rest in a more comfortable posture, thereby doubling the efficiency of the mattress.

Description

접이식 매트리스{Folding type mattress}Folding type mattress

본 고안 접이식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매트리스를 일부분이 베개로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매트리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 및 매트리스의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접이식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mattress which can be partially deformed by a pillow to further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using the mattress and the functionality of the mattress.

일반적으로 좌식 주거생활을 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요와 이불이라는 침구문화를 오랫동안 사용해 왔다. 그러나 요와 이불의 경우 접어서 이불장에 넣고 빼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3단으로 쉽게 접어 수납할 수 있는 매트리스(Mattress)가 요와 이불을 대체하여 오래전부터 일부에서 사용되고 있다.In Korea, which usually lives in a residential living room, I have been using bedding culture for a long time. However, in the case of yoga and blanket, it is difficult to fold and unfold into a bed, so a mattress that can easily be folded into a three-tier can replace the yoga and blanket.

이와 같은 매트리스는 완충기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몸체를 직접 연결시키거나, 몸체를 마감재로 마감한 후 연결시키는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 완충소재가 내재 되고 외부가 마감재로 마감되어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Such a mattress is formed by directly connecting a bod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buffering function or connecting the body after finishing the body with a finishing material. In the form that the buffering material is contained in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is closed with the finishing material, .

한편 이러한 매트리스의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0313480호는 "둔부 및 척추를 보호하는 3단 접이식 매트리스" 를 개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0313480, which is a prior art of such a mattress, discloses a "three-stage folding mattress protecting the hip and spine. &Quot;

이러한 선행기술인 공개실용신안 1999-006557호는 인간의 신체부위 중 타 신체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률이 큰 둔부를 가장 편안한 상태로 지지케 함으로서, 고 반발 탄성력을 지닌 스펀지 등의 완충부재로부터 둔부 및 척추가 전가 받았던 압박감을 해소하여 인체의 건강을 유지시키고, 매트리스의 영역이 상단부, 중간부, 하단부로 분리결합되는 장점을 최대한 살려 효과적이며 경제적인 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This prior art public utility model 1999-006557 supports the buttocks with a relatively large protruding ratio in the most comfortable state among the human body parts relative to other body parts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ips and the buttocks from the buffer member such as a sponge having hig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ttress having an effective and economical structure by maximizing the advantage that the mattress area is separated and joined to the upper, middle, and lower ends by eliminating the pressure feeling that the vertebrae have been transferred to maintain the health of the human body.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0313480호는 둔부나 척추가 편안할 수는 있지만 머리가 편안하지 못하다는 단점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is prior art,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0313480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buttocks or the vertebrae can be comfortable but the head is not comfortable.

즉, 인간의 몸은 무거운 머리(약 몸무게의 8%)를 지탱하면서 균형을 잡고 두 다리로 걷기 위해 목과 경추는 C 자형으로 굽어져 있으며, 등뼈는 S 자형으로 굽어져 있다.In other words, the human body has a C-shaped bend of the neck and cervical vertebrae to support the balance (8% of the weight) and to walk on both legs while the backbone is curved in an S-shape.

따라서 인간이 누었을 경우에도 등뼈의 S 자형이 자연스럽게 유지되고 머리의 무게를 지탱하고 있는 경추가 안정되어야 비로서 편안함을 느끼게 되며, 이러한 편안함을 느끼게 해주는 도구가 베개다.Therefore, even when a person sits, the S-shape of the spine is maintained naturally,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head is stabilized, so that the user feels comfortable and comfort.

따라서 매트리스에 누울 때 베개가 없으면 편안함을 느끼지 못해 숙면이나 안정된 휴식을 취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종래에는 사용자가 베개를 별도로 준비하여 매트리스와 함께 사용함에 따라 매트리스를 이용시 베개를 따로 준비해야 불편함은 물론 매트리스와 베개를 개별적으로 보관 및 사용해야함으로 매트리스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ccordingly, since the user does not feel comfortable when there is no pillow when laying on the mattress, it is difficult to take a good night's sleep or a stable rest. Conventionally, since the user uses the pillow separately with the mattress, the pillow must be prepared separately when using the mattress.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mattress is deteriorated.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매트리스로부터 일부분이 절개되고 그 절개된 가동부가 매트리스에 연결된 상태에서 매트리스의 상면으로 회전되어 베개의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매트리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가동부를 통해 편안한 자세에서 숙면을 취하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으므로 매트리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매트리스의 기능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ttress-type mattress which is partially cut away from the mattress and is rota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ttress in a state where the cut- The user can comfortably use the mattress and the function of the mattress can be further improved.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고안은,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로 마주하여 접면되는 행 방향 면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부로 연결되어 열 방향으로 접어지는 제1,2,3몸체;와 제1몸체의 일부분이 절개된 상태에서 절개되지 않은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몸체의 상면에 올려지는 가동부;와 관련된다.A first, a second, and a third body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in a row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being folded in a column direction; And a moving part lif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더 바람직하게 본 고안은,More preferably,

가동부의 저면에는 함몰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된 것과 관련된다.And the recessed recessed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able portion.

더 바람직하게 본 고안은,More preferably,

제1,2,3몸체는 마감재에 의해 감싸지며, 제1,2몸체 사이의 연결부는 서로 마주하여 접면되는 행 방향 면의 대향된 상측 양 끝단 마감재가 연결되고, 제2,3몸체 사이의 연결부는 서로 마주하여 접면되는 행 방향 면의 대향된 하측 양 끝단 마감재가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과 관련된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are wrapped by the finishing material, and the connecting portion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opposite upper ends of the row directi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Are associated with opposing lower ends of the row facing surfaces facing each other.

더 바람직하게 본 고안은,More preferably,

가동부는 제1,2,3몸체의 마감재와 색상 및 재질이 다른 마감재에 의해 감싸0지고, 가동부와 제1몸체의 연결부는 서로 마주하여 접면되는 행 방향 면의 대향된 상측 양 끝단 마감재를 서로 연결시켜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The moving part is surrounded by the finishing material having different color and material from the finishing material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and the connecting parts of the movable part and the first bod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facing upper end finishing materials on the row- .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고안은,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로 마주하여 접면되는 행 방향 면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부로 연결되어 열 방향으로 접어지는 제1,2,3몸체;와 제1몸체의 어느 한 부분에 타공부가 형성되고, 타공부로부터 타공되어 제1몸체의 타공부에 탈착되는 가동부;와 관련된다.A first, a second, and a third body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in a row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are folded in a column direction; and a tread formed on one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a moving part which is detached from the tread of the body.

더 바람직하게 본 고안은,More preferably,

제1몸체의 타공부 내면과 가동부의 바깥면에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고정수단을 통해 타공부에 가동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The inner surface of the tread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movable portion are provided with fixing means, and the movable portion can be fixed to the tread through the fixing means.

더욱 바람직하게 본 고안은,More preferably,

고정수단은 자석, 벨크로 테이프, 지퍼, 스냅단추 중 어느 하나인 것과 관련된다.
The securing means is associated with being either a magnet, a velcro tape, a zipper, or a snap button.

본 고안은 3단으로 접어지는 제1,2,3몸체로 이루어진 매트리스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매트리스에 눕는 경우 제1몸체에 구비된 가동부를 제1몸체로부터 회전시키거나 분리 후 원하는 위치에 두고 베개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베개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고 간단한 방법을 통해 베개로 이용할 수 있어 매트리스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베개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숙면 및 휴식을 취할 수 있어 매트리스의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When the user lies on a mattress, the movable part provided on the first body is rotated or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and placed at a desired position It can be used as a pillow, so users do not have to carry the pillow separately. It can be used as a pillow through a simple method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mattress. By using the pillow, the user can sleep and relax in a more comfortable posture The efficiency of the mattress can also be improved.

도 1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트리스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접어지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는 보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접어진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매트리스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ttr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mattr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lded state of the mattr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lded state of the mattr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ttr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This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in nature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readily implement the invention, and this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invention is limited.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In addition, the size and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rms defined in particular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the operator And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우선,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매트리스의 구성은 연결부(200a)(200b)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제1,2,3몸체(110)(120)(130)와, 제1몸체(110)로부터 절개되되 절개되지 않은 부위가 제1몸체(110)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부(200c)로 연결되는 가동부(111)로 크게 구성됨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 1 과 도 2 와 도 3 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foldable mat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110, 120, and 130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rotatable by the connecting portions 200a and 200b, And a movable part 111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00c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110 without being cut from the first body 110. These components are shown in Figs. 1, 2 and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제1,2,3몸체(110)(120)(130)는,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110, 120,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상의 편평한 형태로 구성되며, 이러한 제1,2,3몸체(110)(120)(130)는 외피의 내부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완충재를 충진시켜 구성하거나, 완충기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110, 120, and 130 may be formed by filling a cushioning material capable of buffering the inside of the shell, The branch can be made of material.

제1,2,3몸체(110)(120)(130)의 형상은 사각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삼각형상이나 원형, 타원형 및 대칭 또는 비대칭의 다각형으로도 구성될 수 있고, 매트리스를 구성하는 몸체의 개수 또한 3개로 한정될 필요는 없이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110, 120, and 130 need not be limited to a rectangular shape, but may be a triangular shape,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a symmetric or asymmetric polygonal shape, The number of bodies is not limited to three, but may be three or more.

제1,2,3몸체(110)(120)(130)는 서로 분리되어 구성된 상태에서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서로 마주보는 행 방향 면이 연결부(200a)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2몸체(120)와 제3몸체(130)의 서로 마주보는 행 방향 면 또한 연결부(200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때 제1,2,3몸체(110)(120)(130)의 서로 마주하는 행 방향 면은 수직면 또는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110, 120 and 1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face each other in the row direction, And the second body 120 and the third body 130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ortion 200b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and third bodies 110 and 120 are rotatably connected. (120) and (130) may be configured as a vertical plane or an inclined plane.

제1,2,3몸체(110)(120)(130)는 제1,2,3몸체(110)(120)(130)가 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질 수 있도록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는 행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의 대향된 하측 양 끝단을 연결시켜 연결부(200a)로 구성하고, 제2몸체(120)와 제3몸체(130)는 행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의 대향된 상측 양 끝단을 연결시켜 연결부(200b)로 구성한 것이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110, 120, and 130 may includ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110, 120, and 130 so as to be folded in a zigzag shape along the column direction. The second body 120 and the third body 1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row direction by connecting the opposing lower ends of the opposing faces of the second body 120 in the row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200b is formed by connecting the opposit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rface.

제1,2,3몸체(110)(120)(130)는 접어지는 방향을 반대로 하기 위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행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의 대향된 상측 양 끝단을 연결시켜 연결부로 구성하고, 제2몸체(120)와 제3몸체(130)는 행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의 대향된 하측 양 끝단을 연결시켜 연결부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110, 120, and 130 are disposed on opposite upper ends of the surfaces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facing each other in the row direction, And the second body 120 and the third body 13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opposite lower ends of opposite surfaces of the third body 130 in the row direction.

제1,2,3몸체(110)(120)(130)의 표면은 바람직하게 마감재(300)에 의해 감싸져 구성될 수 있고, 그러한 마감재(300)의 색상이나 재질 및 감싸지는 부위는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마감재(300)가 제1,2,3몸체(110)(120)(130)의 표면 전체를 감싸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surfac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110, 120 and 130 are preferably wrapped by the finishing material 300 and the colo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ishing material 300 covers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110, 120, and 130.

제1,2,3몸체(110)(120)(130)의 표면이 마감재(300)의 의해 감싸져 구성되는 경우 제1,2몸체(110)(120)의 연결부(200a)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행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의 대향된 하측 또는 상측의 양 끝단 마감재(300)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연결부(200a)에 의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회전되면서 접어질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surfac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110, 120 and 130 are surrounded by the finishing material 300, the connecting portions 200a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0 and 120 are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10,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the opposing lower or upper end edge finishing materials 300 facing each other in the row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120) can be folded while being rotated.

그리고 제2,3몸체(120)(130)의 연결부(200b)는 제2몸체(120)와 제3몸체(130)의 행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의 대향된 상측 또는 하측의 양 끝단 마감재(300)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연결부(200b)에 의해 제2몸체(120)와 제3몸체(130)가 회전되면서 접어질 수 있는 것이다.The connecting portion 200b of the second and third bodies 120 and 13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both ends of the second body 120 and the third body 130 facing each other in the row direction, The second body 120 and the third body 130 can be folded while being rotated by the connecting portion 200b.

제1,2,3몸체(110)(120)(130)는 하나의 마감재(300)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마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제1,2,3몸체(110)(120)(130)를 개별적으로 각각 마감하고, 마감재(300)에 의해 마감된 제1,2,3몸체(110)(120)(130)를 행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의 상측 또는 하측에 자석이나 밸크로 테이프 또는 지퍼와 같은 연결수단(도면중 미도시)을 설치하여 제1,2,3몸체(110)(120)(130)가 서로 탈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Alth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110, 120 and 130 may be entirely finished using one finishing material 300, 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110, 120,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110, 120, and 130, which are finished by the finishing material 300,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surface facing each other in the row directi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110, 120, and 130 may be detached from each other by providing connection means (not shown in the figure).

가동부(111)는,The movable portion 111,

제1몸체(110)로부터 일부분이 절개된 상태에서 절개되지 않은 연결부(200c)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몸체(110)의 상면에 올려지는 것으로서, 이때 가동부(111)의 절개된 형태, 즉 잘라지는 형태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예시된 도면은 가동부(111)가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연결부(200a)에 대향되는 제1몸체(110)의 바깥쪽 측면으로부터 절개되어 형성되었지만, 이러한 가동부(111)는 제1몸체(110)의 바깥쪽 측면이 아닌 전후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후 제1몸체(110)의 안쪽을 향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A portion of the movable body 111 is cut off from the first body 110 and is rotated on the unconnected connection portion 200c to be rai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At this time, The movable body 111 may include a first body 110 and a second body 110 opposite to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In this case, The movable part 111 may be formed on on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body 110 but not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n be rotated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110 It is possible.

가동부(111)의 형상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이 바람직하지만, 그 형상은 베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직사각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타원형이나 다각형 및 영유아를 위한 캐릭터형 및 사물을 형상화한 형태 등 다양하게 변형실시 할 수 있는 것이다.The shape of the movable part 111 is preferably a rectangular shape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However, the shape of the movable part 111 is not limited to a rectangular shape as long as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a pillow. The shape of the movable part 111 is not limited to an elliptical shape, And a shape in which objects are shaped.

가동부(111)는 제1,2,3몸체(110)(120)(130)의 마감재(300)와 동일 마감재(300)에 의해 마감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가동부(111)의 마감재(300)를 제1,2,3몸체(110)(120)(130)의 마감재(300)와 색상이나 재질이 다른 마감재로 마감시켜 제1,2,3몸체(110)(120)(130)와 가동부(111)가 서로 구분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머리가 닿는 가동부(111)의 재질을 부드러운 재질이나 통기가 되는 재질 등으로 구성하여 기능성을 더 부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 movable part 111 may be closed by the same finishing material 300 as the finishing material 300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110, 120 and 130. However, if necessary, the finishing material 300 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110, 120, and 130 are formed by finish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110, 120, and 130 with a finish material having a different color or material from the finish material 300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able parts 11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movable part 111 of the user's head is made of soft material or air permeable material to give more functionality.

제1몸체(110)와 가동부(111)의 연결부(200c)는 제1몸체(110)와 가동부(111)의 행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의 대향된 상측 양 끝단 마감재(300)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연결부(200c)에 의해 가동부(111)가 제1몸체(110)의 상면쪽으로 회전되어 접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The connection portion 200c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movable portion 111 connects the opposing upper and both end finishing materials 300 facing each other in the row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movable portion 111, The movable part 111 can be rotated and fold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200c.

가동부의 다른 실시 예로는 도 5 와 같이 가동부(111a)를 제1몸체(110)의 테두리로부터 절개하지 않고, 제1몸체(110)의 어느 한 부분으로부터 따내는 형태, 즉 타공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가동부(111a)가 제1몸체(110)로부터 탈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5, the movable part 111a may be configured to be pulled from any part of the first body 110 without being cut from the rim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movable part 111a may be detached from the first body 110.

즉, 제1몸체(110)의 어느 한 부분에 필요로 하는 베개의 형상과 상응하는 타공부(113)를 형성하여 사용자는 제1몸체(110)의 타공부(113)로부터 타공되어 따내진 가동부(111a)를 매트리스의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베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tread 113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illow required for a part of the first body 110 is form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movable body 110 by pulling the tread 113 from the tread 113 of the first body 110, The pillow 111a can be used as a pillow while being positioned at a desired position of the mattress.

제1몸체(110)의 타공부(113)로부터 따내지는 가동부(111a)는 제1몸체(110)의 타공부(113)에 억지끼움 되도록 구성하여 타공부(113)로부터 가동부(111a)가 불필요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서로 마주하는 제1몸체(110)의 타공부(113) 내면과 가동부(111a)의 바깥면에 각각 벨크로 테이프나, 지퍼나, 스냅단추와 같은 고정수단(도면중 미도시)을 구비하여 그러한 고정수단에 의해 타공부(113)에 가동부(111a)가 탈착이 가능하면서 견고히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movable part 111a drawn from the tread 113 of the first body 110 is configured to be pressed against the tread 113 of the first body 110 so that the movable part 111a is unnecessary from the tread 113 And fastening means such as a velcro tape, a zipper, and a snap button (not shown)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ead 113 of the first body 110 facing each oth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movable portion 111a And the movable portion 111a can be fixed to the tread 113 by the fixing means so that the movable portion 111a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아울러 가동부(111)(111a)는 사용자의 머리가 닿는 부분에 함몰되는 형상의 안착홈(112)을 형성하여 베개를 이용하는 사용자 머리가 안착홈(112)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가동부(111)(111a)를 베개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안전하면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movable part 111 (111a) is formed to have a seating groove 112 that is recessed in a portion of the user's head, the user's head using the pillow can be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12, ) 111a as a pillow can feel safe and comfortable.

이와 같은 접이식 매트리스의 사용과정을 도 3 과 도 4 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use of such a foldable mattr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즉, 매트리스를 침구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매트리스의 제1,2,3몸체(110)(120)(130)를 열 방향으로 펼쳐 사용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제1,2,3몸체(110)(120)(130)의 저면이 연이어 놓이도록 함으로써 침구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매트리스를 운반 또는 보관시에는 제1,2,3몸체(110)(120)(130)의 연결부(200a)(200b)를 이용하여 매트리스를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mattress is used for bedd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110, 120, and 130 of the mattress are extended in the column direction, The connecting portions 200a and 200b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110, 120, and 130 may be used for bedding when the mattress is carried or stored. ), The mattress can be folded and stored in a zigzag form.

그리고 매트리스를 침구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제1,2,3몸체(110)(120)(130)를 열 방향으로 펼쳐 두고 사용자가 매트리스에 눕는 경우 제1몸체(110)에 구비된 가동부(111)(111a)를 제1몸체(110)의 상면으로 회전 또는 이동시켜 베개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가동부(111)(111a)를 통해 숙면 및 안정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것이며, 매트리스를 침구용이 아닌 일반적인 매트리스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몸체(110)의 상면으로 회전 또는 이동되어 있는 가동부(111)(111a)를 반대로 회전시켜 원상태로 만든 후 일반적인 매트리스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In order to use the mattress as an acupuncture, 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110, 120, and 130 are extended in the column direction, and when the user lies down on the mattress, the movable part 111 provided on the first body 110, (111a) can be used as a pillow by being rotated or mov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so that the user can take a good sleep and stable rest through the moving part (111) (111a) The movable part 111 or 111a, which is rotated or mov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can be reversely rotated and used as a general mattress.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Belongs to.

110 : 제1몸체 111,111a : 가동부
112 : 안착홈 113 : 타공부
120 : 제2몸체 130 : 제3몸체
200a,200b,200c : 연결부 300 : 마감재
110: first body 111, 111a:
112: seat groove 113:
120: second body 130: third body
200a, 200b, 200c: connection part 300: finishing material

Claims (7)

서로 마주하여 접면되는 행 방향 면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부로 연결되어 열 방향으로 접어지는 제1,2,3몸체; 및
상기 제1몸체의 일부분이 절개된 상태에서 절개되지 않은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몸체의 상면에 올려지는 가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리스.
A first, a second and a third bod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in a row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folded in a column direction; And
A movable part which is rotated on an uncut portion of the first body in an incised state and is lif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저면에는 함몰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cessed recess is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movabl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몸체는 마감재에 의해 감싸지고, 상기 제1,2몸체 사이의 연결부는 서로 마주하여 접면되는 행 방향 면의 대향된 상측 양 끝단 마감재가 연결되고,
제2,3몸체 사이의 연결부는 서로 마주하여 접면되는 행 방향 면의 대향된 하측 양 끝단 마감재가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are wrapped by a finishing material, and the connecting portion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n opposite upper end of the row direction surface facing each other,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opposite lower ends of the row direction faces facing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제1,2,3몸체의 마감재와 색상 및 재질이 다른 마감재에 의해 감싸지고, 가동부와 제1몸체의 연결부는 서로 마주하여 접면되는 행 방향 면의 대향된 상측 양 끝단 마감재를 서로 연결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part is wrapped by the finishing material having different color and material from the finishing material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bodies, and the connecting part of the moving part and the first bod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facing each other, Wherein the mattress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서로 마주하여 접면되는 행 방향 면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부로 연결되어 열 방향으로 접어지는 제1,2,3몸체; 및
상기 제1몸체의 어느 한 부분에 타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공부로부터 타공되어 제1몸체의 타공부에 탈착되는 가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리스.
A first, a second and a third bod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in a row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folded in a column direction; And
A movable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detached from the rudder of the first body by being punched from the ridge;
≪ / RTI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의 타공부 내면과 가동부의 바깥면에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수단을 통해 타공부에 가동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리스.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ovable body is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tread inner surface and the movable portion of the first body through fixing mean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자석, 벨크로 테이프, 지퍼, 스냅단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xing means is any one of a magnet, a velcro tape, a zipper, and a snap button.


















KR2020130001915U 2013-03-14 2013-03-14 Folding type mattress KR20047607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915U KR200476071Y1 (en) 2013-03-14 2013-03-14 Folding type mattr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915U KR200476071Y1 (en) 2013-03-14 2013-03-14 Folding type mattr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064U true KR20140005064U (en) 2014-09-24
KR200476071Y1 KR200476071Y1 (en) 2015-01-26

Family

ID=5245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915U KR200476071Y1 (en) 2013-03-14 2013-03-14 Folding type mattr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071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343A (en)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대성리빙 Mat having sound playing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695B1 (en) * 2000-09-15 2002-12-11 류현우 Folding Mattress Type Bed which Convertable to Armchair
KR200242866Y1 (en) 2001-05-17 2001-10-29 김형수 bed provided with a chair
KR200335841Y1 (en) 2003-09-03 2003-12-11 김기주 A bed
KR200453270Y1 (en) 2008-08-18 2011-04-18 정해천 A Multi Folding Mattress for Outdoor Lif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071Y1 (en) 201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5575B2 (en) Folding two section pillow comprised of horseshoe and contour pillows
US8336964B2 (en) Beanbag sofa with retractable headrest
US8448275B1 (en) Pillow assembly with multiple configurations
US7578014B1 (en) Pillow apparatus and method
US20120030876A1 (en) Sleepy Heads Neck Pillow
US20130187415A1 (en) Self-storable portable padding device
JP5508588B1 (en) Bedding
US20110254333A1 (en) Folded cushion for back support
KR200476071Y1 (en) Folding type mattress
JP2006346218A (en) Mattress with local height adjustment function
KR200416722Y1 (en) belted removable backrest
US10321766B2 (en) Lounge cushion
US20060255648A1 (en) Breast/storage cavity 1
JP3132068U (en) Pillow equipment
KR200436116Y1 (en) Multipurpose Mat
KR20200001349U (en) Portable camp chair with a neck rest by cover storage
US6694551B1 (en) Facial support device
KR101491029B1 (en) Multi-function pillow
WO2013042365A1 (en) Sleepy heads neck pillow
US20160081481A1 (en) Foldable cushioned seat
JP3169838U (en) Back cushion
JP3128187U (en) Wearing device for thigh stabilization
KR101649980B1 (en) Functional pillow with neck support pillow portion
KR200417962Y1 (en) A various usesing pillow
JP4669575B1 (en) Footrest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