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055U - 터치 감지 소자 및 그것을 갖는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감지 소자 및 그것을 갖는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055U
KR20140005055U KR2020137000070U KR20137000070U KR20140005055U KR 20140005055 U KR20140005055 U KR 20140005055U KR 2020137000070 U KR2020137000070 U KR 2020137000070U KR 20137000070 U KR20137000070 U KR 20137000070U KR 20140005055 U KR20140005055 U KR 201400050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trace
traces
conductive trace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7000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이 조우
Original Assignee
난창 오-필름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난창 오-필름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난창 오-필름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050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05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절연 기판 및 상기 절연 기판의 일 표면에 위치된 도전층을 포함하는 터치감지소자가 제공된다. 도전층은: 제1방향을 따라 간격을 가지고 배열된 복수의 제1도전성 트레이스, 여기서 각 제1도전성 트레이스는 제2방향으로 확장됨; 및 제2도전성 트레이스 열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를 포함하며, 각 제2도전성 트레이스 열은 제2방향을 따라 간격을 가지고 배열된 복수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를 포함하고, 각 제2도전성 트레이스 열은 제1도전성 트레이스의 가로방향에 대하여 대응하게 위치된다. 각 도전성 트레이스 열의 각 제2도전성 트레이스는 대응하는 제1도전성 트레이스와 이격되어 상호 인덕턴스를 형성한다. 도전층은 절연 기판의 일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판 및 고정은 더욱 간단해진다. 상기 터치 감지 소자를 가지는 터치 패널이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터치 감지 소자 및 그것을 갖는 터치 패널{TOUCH SENSING ELEMENT AND TOUCH PANEL HAVING THE SAME}
본 실용 신안은 터치 감지 소자에 관련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단일 도전층을 갖는 터치 감지 소자 및 상기 터치 감지 소자를 갖는 터치 패널에 관련된다.
터치 패널은 모바일폰 및 태블릿 등에 있어서 사람과 컴퓨터의 간단한 상호용 수단으로서 다양한 전자장치에서 폭넓게 이용된다.
터치 패널은 일반적으로 패널 및 패널의 일면에 부착된 터치 감지 소자를 포함한다. 터치 감지 소자는 절연층, 감지층(sensing layer), 및 상기 절연층의 대양하는 두 표면에 위치된 구동층(driving layer)을 포함한다. 감지층은 제1방향으로 확장된 복수의 교차되지 않는(uncrossed) 감지 트레이스를 포함한다. 구동층은 제2방향을 따라 확장된 복수의 교차되지 않는 구동 트레이스를 포함한다. 제1방향과 제2방향은 평행하지 않다. 감지 트레이스 및 구동 트레이스는 절연층에의해 분리되고, 이 두 트레이스는 커패시터의 전극 판으로 동작한다. 각 감지 트레이스 및 대응하는 구동 트레이스는 교차지점에서 감지 노드를 형성한다. 손가락, 스타일러스등과 같은 터치 객체가 패널에 접촉하면, 센서 노드의 커패시턴스가 변할 것이고, 터치 위치를 알 수 있고, 터치 명령을 실행한다.
그러나, 터치 패널의 터치 감지 조사는 복잡하고, 감지층 및 구동층은 소자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절연층의 대향하는 두 표면에 형성되며 이러한 공정은 복잡하다.
본 실용 신안은 목적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공정으로 터치 감지 소자 및 상기 터치 감지 소자를 갖는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절연 기판 및 상기 절연 기판의 일 표면에 위치된 도전층을 포함하는 터치 감지 소자로서, 상기 도전층은: 2차원 좌표계의 제1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제1도전성 트레이스, 여기서 각각의 상기 제1도전성 트레이스는 상기 2차원 좌표계의 제2방향을 따라 확장됨; 및 복수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로 배열된 복수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 열을 포함하되, 각각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 열은 상기 2차원 좌표계의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를 포함하고, 각 제2도전성 트레이스 열은 상기 제1도전성 트레이스의 가로방향(lateral direction)에 상에 위치된다. 각 도전성 트레이스 열의 각 제2도전성 트레이스 및 대응하는 제1도전성 트레이스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2도전성 트레이스 및 상기 제1도전성 트레이스는 상호 인덕턴스(mutual inductance)를 형성한다.
터치감지소자의 도전층은 절연 기판의 일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터치감지소자의 상기 구조 및 공정은 터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절연 기판의 두 표면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터치 패널에 비하여 더욱 간단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감지 소자는 복수의 컬러 트레이스를 더 포함하고, 컬러 트레이스는 제1도전성 트레이스 및 제2도전성 트레이스 사이에 위치되고, 제1도전성 트레이스 및 제2도전성 트레이스로부터 절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감지소자는 복수의 제1도전성 리드 및 복수의 제2도전성 리드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제1도전성 리드는 제1도전성 트레이스의 단부에 연결되고, 각각의 제2도전성 리드는 제2도전성 트레이스의 단부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컬러 트레이스의 형태 및 제1도전성 트레이스, 제2도전성 트레이스, 제1도전성 리드 및 제2도전성 리드로 형성되는 패턴은 상보적이고, 컬러 트레이스는 제1도전성 트레이스, 제2도전성 트레이스, 제1도전성 리드 및 제2도전성 리드로부터 절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도전성 트레이스, 제2도전성 트레이스, 컬러 트레이스, 제1도전성 리드, 제2도전성 리드는 도전성 와이어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도전성 트레이스, 제2도전성 트레이스, 컬러 트레이스, 제1도전성 리드 및 제2도전성 리드는 도전성 와이어의 교차로 형성된 도전성 격자 와이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컬러 트레이스를 형성하는 도전성 와이어는 격자형, 톱니형 또는 폴리라인형으로 배열되고, 컬러 트레이스를 형성하는 도전성 와이어는 소정 길이의 간격으로 절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와이어는 절단된 부분에 노치를 형성하고, 상기 노치는 2차원 좌표계에서 제1 및 제2방향 모두에 대하여 라인 형태로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와이어는 금속,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투명 폴리머 물질, 그래핀(grapheme) 및 탄소 나노튜브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물질로 만들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1도전성 트레이스는, 제1메인 와이어 및 상기 메인 와이어의 가로방향을 따라 확장된 복수의 제1가로 브랜치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는 제2메인 와이어 및 상기 제2메인 와이어의 가로방향을 따라 확장된 복수의 제2가로 브랜치를 포함하며, 제1메인 와이어 및 제2메인 와이어는 2차원 좌표계의 제2차원을 따라 확장되고, 제2메인 와이어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고, 제1가로 브랜치 및 제2가로 브랜치는 교대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로 브랜치 및 제2가로 브랜치는 2차원 좌표계의 제1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확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감지소자는 기판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층은 절연 기판의 일 표면에 위치된다. 복수의 홈이 기판층에 형성되고, 제1도전성 트레이스 및 제2도전성 트레이스가 상기 홈에 형성되며, 홈의 깊이는 제1도전성 트레이스 및 제2도전성 트레이스의 두께보다 작지 않다.
터치 패널은 패널 및 패널의 일 표면에 위치된 터치감지소자를 포함하고, 터치감지소자는 절연 기판 및 절연 기판의 일 표면에 위치된 도전층을 포함하며, 도전층은:
2차원 좌표계의 제1방향을 따라 간격을 가지고 배열된 복수의 제1도전성 트레이스, 여기서 각각의 제1도전성 트레이스는 2차원 좌표계의 제2방향을 따라 확장됨; 및
복수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 열을 형성하도록 배열하는 복수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 여기서 각각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 열은 2차원 좌표계의 제2방향을 따라 간격을 가지고 배열된 복수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를 포함하고, 각 제2도전성 트레이스 열은 제1도전성 트레이스의 가로방향에 위치되고; 각 제2도전성 트레이스 열의 각 제2도전성 트레이스는 대응하는 제1도전성 트레이스와 이격되어 상호 인덕턴스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감지소자는 복수의 컬러 트레이스를 더 포함하며, 컬러 트레이스는 제1도전성 트레이스 및 제2도전성 트레이스 사이에 위치되며, 제1도전성 트레이스 및 제2도전성 트레이스와 절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감지소자는 복수의 제1도전성 리드(lead) 및 복수의 제2도전성 리드를 더 포함하며, 각 제1도전성 리드는 제1도전성 트레이스의 단부에 연결되며, 각 제2도전성 리드는 제2도전성 트레이스의 단부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컬러 트레이스의 형태 및 제1도전성 트레이스, 제2도전성 트레이스, 제1도전성 리드 및 제2도전성 리드로 형성되는 패턴은 상보적이며, 컬러 트레이스는 제1도전성 트레이서, 제2도전성 트레이스, 제1도전성 리드 및 제2도전성 리드와 절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도전성 트레이스, 제2도전성 트레이스, 컬러 트레이스, 제1도전성 리드 및 제2도전성 리드는 도전성 와이어(wire)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도전성 트레이스, 제2도전성 트레이스, 컬러 트레이스, 제1도전성 리드 및 제2도전성 리드는 도전성 와이어의 교차로 형성된 도전성 격자 와이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컬러 트레이스를 형성하는 도전성 와이어는 격자형, 톱니형 또는 폴리라인형으로 배열되고, 컬러 트레이스를 형성하는 도전성 와이어는 소정길이의 간격으로 절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와이어는 절단된 부분에 노치를 형성하고, 노치는 2차원 좌표계의 제1 및 제2방향 모두에 라인 형태로 배열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개략도이다.
도2는 도1의 터치 패널의 터치감지소자의 개략도이다.
도3은 도2의 원부분(III)의 확대도이다.
도4는 다른 실시예에따른 터치감지소자의 개략도이다.
도5는 도4의 터치감지소자의 컬러 트레이스의 개략도이다.
도6은 도5의 부분(VI)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실용 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다음의 설명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가능하게 하고 전체적인 이해를 위해 구체적인 사항을 제공한다. 이 분야의 기술자는 본 실용 신안이 이와 같은 구체적인 사항 없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예에서, 잘 알려진 구조 및 기능들이 실시예의 설명을 불필요하게 방해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에서 도시하지 않는다.
청구범위 및 명세서전반에 걸쳐 상황이 명백하게 요구하지 않는 한, 용어“포함”, “포함하는” 및 이와 같은 용어들은 배타적이거나 완전한 의미가 아닌 포괄적 개념이고; 즉,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한정도지 않는”의 의미이다. 단수 또는 복수를 이용한 단어는 또한 복수 또는 단수를 각각 포함한다. 또한 용어“여기서”, “위에서”, “아래” 및 이와 유사한 단어는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본 출원의 특정한 임의의 부분이 아니라 전체로서의 명세서에 대하여 언급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둘 이상의 아이템의 리스트를 언급하도록 사용하는 용어 “또는”을 사용하는 경우, 이 용어는 다음의 해석을 모두 포함한다: 리스트 내의 임의의 아이템, 리스트 내의 모든 아이템, 리스트내의 아이템의 임의의 조합.
도1을 참조하면, 터치 패널(10)에 대한 실시예는 패널(100) 및 패널(100)의 일 표면에 위치된 터치감지소자(200)를 포함한다.
패널(100)은 투명패널이고, 예컨대, 패널(100)은 유리패널 또는 투명 플라스틱 패널일 수 있다.
터치감지소자(200)는 투명 절연 기판(210), 상기 절연 기판(210)의 일 표면에 형성된 도전층(230)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터치감지소자(200)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층(220)에 의해 패널(100)에 본딩된다.
절연 기판(210)은 시트(sheet)의 형태를 가지며, 이것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플라스틱(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lastic),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또는 유리로 만들어진다. 절연 기판(210)은 제1표면 및 제1표면에 대향하는 제2표면을 가진다. 도전층(230)은 절연 기판(210)의 제1표면상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전층(230)은 기판층(240)에 의해 절연 기판(210)의 제1표면에 부착된다. 기판층(240)은 솔벤트-프리 UV 경화 아크릴 수지(solvent-free UV curing acrylic resin)와 같은 절연되고 투명한 물질로 만들어진다. 기판층(240)은 복수의 홈(241)을 형성하고; 도전층(230)은 홈(241)내에 형성된다. 홈(241)의 깊이는 도전층(230)의 두께보다 작지 않다. 기판층(240)은 특정 제조에 있어서 도전층(230)을 형성하는데 이용된다.
도2를 참조하면, 도전층(230)은 복수의 이격된 제1도전성 트레이스(231) 및 복수의 이격된 제2도전성 트레이스(233)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도전성 트레이스(231) 및 제2도전성 트레이스(233)는 복수의 도전성 와이어를 격자형태로 배열함으로써 형성된다. 격자는 마름모형태이다. 도전성 와이어는 기판층(240)의 홈(241)내에 위치된다. 도전성 와이어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아연 및 이들의 합금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로 만들어진다.
복수의 제1도전성 트레이스(231)는 2차원 좌표계의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각 제1도전성 트레이스(231)는 2차원 좌표계의 제2방향으로 확장된다. 각각의 제1도전성 트레이스(231)는 제1메인 와이어(231a) 및 제1메인 와이어(231a)의 가로방향을 따라 확장된 복수의 가로 브랜치(231b)를 포함한다. 제1메인 와이어(231a)는 2차원 좌표계의 제2방향으로 확장되고, 2차원에 평행하며, 제1가로 브랜치(231b)는 2차원 좌표계의 제1방향을 따라 확장되고 제1차원에 평행하다.
제2도전성 트레이스(233)는 복수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 열에 배열되고, 각 제2도전성 트레이스 열은 2차원 좌표계의 제2방향에 따라 간격을 가지고 배열된 복수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233)를 포함하며, 각 제2도전성 트레이스 열은 대응하는 제1도전성 트레이스(231)의 가로면상에 위치되고, 각 도전성 트레이스 열의 각 제2도전성 트레이스(233)는 서로 이격되어 대응하는 제1도전성 트레이스(231)와 상호 인덕턴스를 형성한다. 각 제2도전성 트레이스(233)는 제2메인 와이어(233a) 및 제2메인 와이어(233a)의 가로방향을 따라 확장된 복수의 제2가로 브랜치(233b)를 포함한다. 제2메인 와이어(233a)는 2차원 좌표계의 제2방향을 따라 확장하며, 제2메인 와이어(233a)의 단부들은 이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2차원 좌표계는 XOY 테카르트(cartesian) 좌표계이고, 제1방향은 X축, 제2방향은 Y축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2차원 좌표계는 2차원 빗(oblique) 좌표계와 같은 다른 좌표계일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제2가로 브랜치(233b)는 2차원 좌표계의 제1방향을 따라 제1방향에 평행하게 확장된다. 제1가로 브랜치(231b) 및 제2가로 브랜치(233b)는 제1메인 와이어(231a) 및 제2메인 와이어(233a) 사이에 위치되고, 이들은 간격을 가지고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어 제1도전성 트레이스(231)와 상호 인덕턴스를 형성한다.
도전층(230)은 복수의 제1도전성 리드(235) 및 복수의 제2도전성 리드(237)을 포함하고, 각 제1도전성 리드(235)는 제1도전성 트레이스(231)의 단부에 연결되고, 따라서 제1도전성 트레이스(231) 및 외부 프로세싱칩 또는 외부 회로가 연결된다. 각 제2도전성 트레이스(233)는 제2도전성 트레이스(233)의 단부에 연결되고, 따라서 제1도전성 트레이스(231) 및 외부 프로세싱칩 또는 외부 회로가 연결된다.
제1도전성 리드(235) 및 제2도전성 리드(237)는 복수개의 도전성 와이어를 격자형태로 배열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격자는 마름모 형태이다. 도전성 와이어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아연, 니켈 및 이들의 합금에서 선택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터치 패널이 동작하는 동안, 도전층(230)의 제1도전성 트레이스(231)는2차원 좌표계의 제1방향상의 터치위치를 인식할 수 있고, 도전층(230)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233)는 2차원 좌표계의 제2방향상의 터치위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제2도전성 트레이스(233)는 2차원 좌표계의 제1방향 및 제2방향상에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며, 따라서 실제 다중-터치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유령 포인트(ghost point)가 나타나지 않는다. 게다가, 터치 패널(10)의 도전층(230)은 절연 기판(210)의 표면상에 형성되고, 터치감지소자(200)의 구조 및 공정이 절연 기판(210)의 두 표면상에 도전층(230)을 형성하는 터치 패널에 비교하여 더 간단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전층(230)의 제1도전성 트레이스(231), 제2도전성 트레이스(233), 제1도전성 리드(235), 제2도전성 리드(237)가 복수의 도전성 와이어가 격자형으로 배열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1도전성 트레이스(231), 제2도전성 트레이스(233), 제1도전성 리드(235), 및 제2도전성 리드(237)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도전성 폴리머 물질, 그래핀 및 탄소 나노튜브와 같은 다른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도4는 일 실시예의 터치감지소자(400)를 보여주며, 이는 이전 실시예의 터치감지소자(200)과 거의 유사하다. 상이한 점은: 도4에 나타난 실시예의 터치감지소자(400)이 도전층(430)은 복수의 컬러 트레이스(439)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도5를 참조하면, 컬러 트레이스(439)는 제1도전성 트레이스(431) 및 제2도전성 트레이스(433) 사이에 위치되고 제1도전성 트레이스(431), 제2도전성 트레이스(433), 제1도전성 리드(435) 및 제2도전성 리드(437)와 절연된다. 컬러 트레이스(439)의 형태 및 제1도전성 트레이스(431), 제2도전성 트레이스(433), 제1도전성 리드(435), 제2도전성 리드(437)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은 상보적이다.
도6을 참조하면, 컬러 트레이스(439)는 제1도전성 트레이스(431), 제2도전성 트레이스(433), 제1도전성 리드(435) 및 제2도전성 리드(437)사이에 위치된다. 컬러 트레이스(439)는 도전성 와이어로 형성되고; 컬러 트레이스를 형성하는 도전성 와이어는 격자형, 톱니형 또는 폴리라인형으로 배열된다. 컬러 트레이스(439)를 형성하는 도전성 와이어 및 제1도전성 트레이스(431), 제2도전성 트레이스(433), 제1도전성 리드(435) 및 데2도전성 리드(437)을 형성하는 도전성 와이어는 연결되지 않는다. 각 격자 단위(cell)는 그 중간부에서 단절되고, 도전성 와이어는 절단된 부분에 노치(439a)를 형성하며, 노치(439a)는 제1 및 제2방향 모두에 라인 형태로 배열된다. 컬러 트레이스(439)의 도전성 와이어의 지금 및 제1도전성 트레이스(431), 제2도전성 트레이스(433), 제1도전성 리드(435) 및 제2도전성 리드(437)를 형성하는 도전성 와이어의 지름은 같다.
컬러 트레이스(439)는 터치감지소자(400)의 광이 더욱 균일하게 나타나도록 하며, 이에 따라서 사용자의 편안함은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용 신안이 상기 실시예들 및 본 실용 신안을 수행하기 위한 최상의 모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본 실용 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해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고, 본 실용 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에의해 정해지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절연 기판 및 상기 절연 기판의 일 표면에 위치된 도전층을 포함하는 터치 감지 소자로서,
    상기 도전층은:
    2차원 좌표계의 제1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제1도전성 트레이스-각각의 상기 제1도전성 트레이스는 상기 2차원 좌표계의 제2방향을 따라 확장됨-; 및
    복수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 열을 형성하기 위해 배열된 복수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를 포함하되,
    각각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 열은 상기 2차원 좌표계의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를 포함하고, 각 제2도전성 트레이스 열은 상기 제1도전성 트레이스의 가로방향(lateral direction)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각 도전성 트레이스 열의 각 제2도전성 트레이스는 대응하는 제1도전성 트레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상호 인덕턴스(mutual inductance)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지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컬러 트레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컬러 트레이스는 상기 제1도전성 트레이스 및 상기 제2도전성 트레이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도전성 트레이스 및 상기 제2도전성 트레이스로부터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지 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1도전성 리드 및 복수의 제2도전성 리드를 더 포함하되,
    각 제1도전성 리드는 상기 제1도전성 트레이스의 단부(end)에 연결되고, 각 제2도전성 리드는 상기 제2도전성 트레이스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지 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트레이스의 형태 및 상기 제1도전성 트레이스, 상기 제2도전성 트레이스, 상기 제1도전성 리드 및 상기 제2도전성 리드에 의해 형성된 패턴은 상보적(complementary)이고, 상기 컬러 트레이스는 상기 제1도전성 트레이스, 상기 제2도전성 트레이스, 상기 제1도전성 리드 및 상기 제2도전성 리드로부터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지 소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성 트레이스, 상기 제2도전성 트레이스, 상기 컬러 트레이스, 상기 제1도전성 리드 및 상기 제2도전성 리드는 도전성 와이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지 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성 트레이서, 상기 제2도전성 트레이스, 상기 컬러 트레이스, 상기 제1도전성 리드, 및 상기 제2도전성 리드는 도전성 와이어의 교차(intersection)에의해 형성된 도전성 격자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지 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트레이스를 형성하는 상기 도전성 와이어는 격자형, 톱니형, 또는 폴리라인(poly line)으로 배열되고, 상기 컬러 트레이스를 형성하는 상기 도전성 와이어는 소정의 길이의 간격으로 절단된(truncat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지 소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와이어는 상기 절단된 부분에 노치(notch)를 형성하고, 상기 노치는 상기 2차원 좌표계의 상기 제1 및 제2 방향 모두에 라인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지 소자.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와이어는 금속, 인듐 주석 산화물(Indum Tin Oxide), 투명 폴리머 물질, 그래핀(grapheme), 및 탄소 나노튜브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지 소자.
  10. 제1항에 있어서,
    각 제1도전성 트레이스는 제1메인 와이어 및 상기 메인 와이어의 가로방향을 따라 확장된 복수의 제1가로 브랜치(lateral branch)를 포함하고,
    각 제2도전성 트레이스는 제2 메인 와이어 및 상기 제2메인 와이어의 가로방향을 따라 확장된 복수의 제2가로 브랜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메인 와이어 및 제2메인 와이어는 상기 2차원 좌표계에서 제2차원을 따라 확장되고,
    상기 제2메인 와이어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가로 브랜치 및 상기 제2가로 브랜치는 교대로 이격되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지 소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로 브랜치 및 상기 제2가로 브랜치는 상기 2차원 좌표계의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지 소자.
  12. 제1항에 있어서,
    기판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층은 상기 절연 기판의 일 표면에 위치되고, 복수의 홈이 상기 기판층에 형성되고, 상기 제1도전성 트레이스 및 상기 제2도전성 트레이스는 상기 홈 내에 형성되고,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제1도전성 트레이스 및 상기 제2도전성 트레이스의 두께와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감지 소자.
  13. 패널 및 상기 패널의 일 표면에 위치된 터치 감지 소자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로서,
    상기 터치 감지 소자는 절연 기판 및 상기 절연 기판의 일 표면에 위치된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층은:
    2차원 좌표계의 제1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제1도전성 트레이스-각각의 제1도전성 트레이스는 상기 2차원 좌표계의 제2방향을 따라 확장됨-; 및
    복수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 열을 형성하기 위해 배열된 복수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를 포함하되, 각각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 열은 상기 2차원 좌표계의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2도전성 트레이스 열은 상기 제1도전성 트레이스의 가로방향(lateral direction)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각 도전성 트레이스 열의 각 제2도전성 트레이스는 대응하는 제1도전성 트레이스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상호 인덕턴스(mutual inductance)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4. 제13항에 있어서,
    복수의 컬러 트레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컬러 트레이스는 상기 제1도전성 트레이스 및 상기 제2도전성 트레이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도전성 트레이스 및 상기 제2도전성 트레이스로부터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5. 제14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1도전성 리드 및 복수의 제2도전성 리드를 더 포함하고,
    각 제1도전성 리드는 상기 제1도전성 트레이스의 단부에 연결되고,
    각 제2도전성 리드는 상기 제2도전성 트레이스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트레이스의 형태 및 상기 제1도전성 트레이스, 상기 제2도전성 트레이스, 상기 제1도전성 리드 및 상기 제2도전성 리드로 형성되는 패턴은 상보적이고, 상기 컬러 트레이스는 상기 제1도전성 트레이스, 상기 제2도전성 트레이스, 상기 제1도전성 리드 및 상기 제2도전성 리드로부터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성 트레이스, 상기 제2도전성 트레이스, 상기 컬러 트레이스, 상기 제1도전성 리드 및 상기 제2도전성 리드는 도전성 와이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성 트레이스, 상기 제2도전성 트레이스, 상기 컬러 트레이스, 상기 제1도전성 리드 및 상기 제2도전성 리드는 도전성 와이어의 교차로의해 형성되는 도전성 격자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트레이스를 형성하는 도전성 와이어는 격자형, 톱니형 또는 폴리 라인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컬러 트레이스를 형성하는 상기 도전성 와이어는 소정의 길이의 간격으로 절단된(truncat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와이어는 상기 절단된 부분에 노치를 형성하고, 상기 노치는 상기 2차원 좌표계의 상기 제1 및 제2 방향 모두에 라인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KR2020137000070U 2013-02-06 2013-07-05 터치 감지 소자 및 그것을 갖는 터치 패널 KR20140005055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20070250.3 2013-02-06
CN2013200702503U CN203149516U (zh) 2013-02-06 2013-02-06 触摸感应元件及具有该触摸感应元件的触摸屏
PCT/CN2013/078921 WO2014121580A1 (zh) 2013-02-06 2013-07-05 触摸感应元件及具有该触摸感应元件的触摸屏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055U true KR20140005055U (ko) 2014-09-23

Family

ID=48977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7000070U KR20140005055U (ko) 2013-02-06 2013-07-05 터치 감지 소자 및 그것을 갖는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202201U (ko)
KR (1) KR20140005055U (ko)
CN (1) CN203149516U (ko)
TW (1) TWM472251U (ko)
WO (1) WO20141215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97795B (zh) * 2013-03-20 2015-04-08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触摸屏的导电层
GB2522875A (en) * 2014-02-07 2015-08-12 Touchnetix Ltd Touch sensors and touch sensing methods
CN105320338B (zh) * 2014-08-01 2018-09-07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KR102337892B1 (ko) * 2016-03-31 2021-12-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돌출형 전극이 형성된 터치 센서
KR102337696B1 (ko) * 2016-03-31 2021-12-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CN110857894B (zh) * 2018-08-24 2021-06-04 中山大学 基于有序石墨烯的可检测应力方向的柔性力学传感器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2448A2 (en) * 2003-06-13 2004-12-23 Semtech Corporation Sensor for capacitive touch pad pointing device
JP5445438B2 (ja) * 2010-12-15 2014-03-19 Smk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CN202533905U (zh) * 2012-03-19 2012-11-14 东元奈米应材股份有限公司 触控感应装置
CN103105972A (zh) * 2013-02-06 2013-05-15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触摸感应元件及具有该触摸感应元件的触摸屏
CN103176656B (zh) * 2013-03-20 2015-05-13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触摸屏及其制造方法
CN203178960U (zh) * 2013-03-20 2013-09-04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触摸屏
CN103176657B (zh) * 2013-03-20 2015-11-25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触摸屏及其导电层
CN203178962U (zh) * 2013-03-20 2013-09-04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触摸屏及其导电层
CN103197795B (zh) * 2013-03-20 2015-04-08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触摸屏的导电层
CN203178961U (zh) * 2013-03-20 2013-09-04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触摸屏的导电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21580A1 (zh) 2014-08-14
TWM472251U (zh) 2014-02-11
CN203149516U (zh) 2013-08-21
JP3202201U (ja)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5055U (ko) 터치 감지 소자 및 그것을 갖는 터치 패널
CN203573288U (zh) 触控面板
CN203299774U (zh) 触控面板以及触控显示面板
TWI511255B (zh) 觸控電極裝置
TWI604349B (zh) 電容式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US20120206401A1 (en) Hybrid touch panel device
JP3182680U (ja) タッチパネル
CN103970334A (zh) 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以及触控显示面板
CN103105972A (zh) 触摸感应元件及具有该触摸感应元件的触摸屏
CN105745609A (zh) 导电片、静电电容式触摸面板和显示装置
KR200477579Y1 (ko) 터치 전극 장치
US8921727B2 (en) Double-layer electrode device
CN104345955A (zh) 触控面板
CN104951161A (zh) 具有触控功能的液晶显示器及其导电层结构
CN202976024U (zh) 触摸感应元件及触摸屏
TWI515778B (zh) 觸控電極裝置
US9217678B2 (en) Touch sensor panel with conductive wires and color traces
WO2015125339A1 (ja) タッチセンサ、タッチデバイス及びタッチセンサの製造方法
JP5828519B2 (ja) 座標入力装置
CN105493016B (zh) 电容触摸屏及其制造方法
CN202649985U (zh) 透明电容触摸板的电磁屏蔽结构
TWM459449U (zh) 觸控面板
CN202120243U (zh) 平行方块单层电容式触控感测元件
CN202120244U (zh) 平行锯齿单层电容式触控感测元件
CN203178952U (zh) 触摸感应元件及触摸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466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812

Effective date: 2016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