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029U - Washstand with a Soap Holder - Google Patents

Washstand with a Soap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029U
KR20140005029U KR2020130001845U KR20130001845U KR20140005029U KR 20140005029 U KR20140005029 U KR 20140005029U KR 2020130001845 U KR2020130001845 U KR 2020130001845U KR 20130001845 U KR20130001845 U KR 20130001845U KR 20140005029 U KR20140005029 U KR 201400050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groove
washstand
shelf
soa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84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유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체
Priority to KR20201300018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029U/en
Publication of KR201400050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029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2Soap boxes or recept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누선반이 안착되는 홈이 형성된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는, 급수밸브로부터의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세면기와, 상기 세면기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홈 상에 거치되는 비누선반을 포함하는 비누거치대를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k having a soap holder on which a soap shelf is seated.
The wash basin provided with the soa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sh bowl formed to be concave so as to contain water from the water supply valve, a soap formed on one side of the top of the wash bowl and a soap shelf And a mounting base.

Description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Washstand with a Soap Holder}Washstand with a Soap Holder < RTI ID = 0.0 >

본 고안은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누선반이 안착되는 홈이 형성된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k having a soap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nk having a soap holder with a groove on which a soap shelf is seated.

일반적으로 가정용이나 상업용은 물론 각종 공공장소의 욕실이나 화장실에는 세면대가 설치된다. 이러한 세면대의 주변에는 손을 씻거나 세안을 하는 등에 필요한 물품이 구비되며, 그 중 비누는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물품이다.Generally, washbasins are installed in bathrooms and toilets in various public places as well as in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In the vicinity of such a sink, articles necessary for washing hands or washing hands are provided, and soap is the most frequently used article.

이러한 비누는 표면이 미끄럽고 물에 닿으면 녹는 특성을 가져, 비누를 세면대 주변에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비누거치대를 마련하여 설치해야 한다. 하지만, 이 경우 비누거치대를 별도로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함은 물론, 비누거치대로부터 물이나 비누거품 등이 세면대 상면이나 기타 주변으로 흘러내리면서 비위생적으로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Such a soap has a slippery surface and a melting property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water, and a separate soap holder must be provided in order to stably mount the soap around the sink. However, in this case, it is troublesome to separately install the soap holder, and water and soap bubbles flow down from the soap hold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and other places, which is unsanitary.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비누를 보다 위생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한,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stand provided with a soap holder for facilitating user's convenience and allowing the soap to be mounted more hygienically.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급수밸브로부터의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세면기와, 상기 세면기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홈 상에 거치되는 비누선반을 포함하는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ap holder including a soap holder formed to be concave so as to contain water from a water supply valve, a s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top of the washer, And a washing machine.

여기서, 상기 비누거치대는, 상기 비누선반이 안착되도록 상기 홈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단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oap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step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groove so that the soap shelf is seated.

또한, 상기 홈의 바닥면은 물구배가 형성되도록 비스듬하게 구현되어 상기 세면기의 바닥면과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may be obliquely embodied to form a water tank, and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stand.

또한, 상기 홈의 바닥면은 상기 세면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위치되되, 상기 홈의 바닥면과 상기 세면기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물구배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may include a water gradient formed between a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toilet, the bottom surface being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washstand.

또한, 상기 홈의 바닥면은 상기 세면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위치되되 상기 세면기의 바닥면을 향하는 경사를 가지고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may be formed at an oblique angle with a slope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stand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stand.

또한, 상기 비누선반은 상기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ap shelf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또한, 상기 비누선반은 적어도 바닥면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ap shelf may have an opening at least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또한, 상기 비누선반은 다수의 봉체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바닥면을 통해 배수가 가능한 봉선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Also, the soap rack may be embodied as a bar rack which is coupled with the plurality of b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an drain through the bottom.

또한, 상기 비누선반은 상기 세면기와 별도로 형성되어 탈착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Further, the soap shelf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washstand and be removably mounted.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세면기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홈 상에 안착된 비누선반을 포함하는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를 제공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비누를 보다 위생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shstand comprising a soap holder including a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an upper end of the wash bowl and a soap lathe placed on the groove. Thereby,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provided and the soap can be mounted more hygienically.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stand including a soa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top plan view of the washstand with the soap holder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stand including a soap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op plan view of the washstand with the soap holder shown i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stand including a soap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op plan view of the washstand with the soap holder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Hereinafter,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ortion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rom the drawings. do.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stand including a soa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top plan view of the washstand with the soap holder shown in FIG. 1. FIG.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100)는, 세면기(110)와, 상기 세면기의 상단 일측에 구현된 비누거치대(130)를 포함한다.1 and 2, a basin 100 having a soap ba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in 110 and a soap basin 130 implemented at an upper end of the basin .

세면기(110)는 급수밸브(120)와 결합되며, 상기 급수밸브(120)로부터의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세면기(110)의 바닥면에는 배수관(미도시)과 연결되는 배수구(140)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140)에는 탈착 가능한 배수마개가 구비될 수 있다.The wash basin 110 is coupled to the water supply valve 120 and is recessed to contain water from the water supply valve 120. A drain port 140 connected to a drain pipe (not show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stand 110, and a drain plug capable of being detachable from the drain port 140 may be provided.

비누거치대(130)는 세면기(110)에 일체화되어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일례로 세면기(110)의 상단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soap holder 1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wash bowl 110, for example, at one side of the top of the wash bowl 110.

이러한 비누거치대(130)는, 세면기(110)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홈(132)과, 상기 홈(132) 상에 거치되는 비누선반(13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홈(132)의 측면 상부에는 비누선반(136)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수납하기 위한 단차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The soap holder 130 may include a groove 132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wash bowl 110 and a soap holder 136 mounted on the groove 132. At this time, a stepped portion 134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groove 132 to stably store the soap shelf 136 in a stable manner.

즉, 본 실시예에서 비누거치대(130)는 세면기(110)에 형성되는 홈(132)과, 상기 홈(132)의 측면에 형성되는 단차부(134)와, 상기 단차부(134)에 안착되어 홈(132) 상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는 비누선반(136)을 포함한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oap holder 130 includes a groove 132 formed in the toilet 110, a stepped portion 134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groove 132, And a soap shelf 136 stably mounted on the groove 132.

홈(132)은 다양한 형상, 크기 및 깊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례로 홈의 바닥면(132a)이 세면기(110)의 바닥면과 연결되도록 깊게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홈의 바닥면(132)은 물구배가 형성되도록 비스듬하게 구현되면서 세면기(110)의 바닥면과 연결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홈(132)에 물이나 비누거품 등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grooves 132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sizes, and depths, and may be deeply embodied such that the bottom surface 132a of the groove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bowl 110, for example.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132 of the groove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ing machine 110 while being obliquely implemented so as to form a water tank, thereby preventing water or soap bubbles from sticking to the groove 132.

단차부(134)는 비누선반(136)의 가장자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일례로 홈(132)의 측면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차부(134)를 홈(132)의 측면 상부에 형성하게 되면, 비누선반(136)을 홈의 바닥면(132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거치할 수 있어 비누를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차부(134)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The step portion 134 stably supports the edge of the soap rack 136, and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groove 132, for example. If the step 134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groove 132, the soap rack 136 can be mounted to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132a of the groove, so that the soap can be used more hygienically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on of the stepped portion 134 may be variously changed.

비누선반(136)은 일례로, 세면기(110)와는 다른 물질,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 등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봉체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바닥면을 통해 배수가 가능한 봉선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비누선반(136)의 바닥면을 통해 물이나 비누거품 등이 자연스럽게 배출되면서, 비누거치대(130) 내에 물이나 비누거품 등이 고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누의 건조에 유리함은 물론 비누거치대(130)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누선반(136)을 세면기(110)와 별도로 형성하여 단차부(134) 상에 끼우거나 얹는 등의 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현하게 되면, 비누거치대(130)의 활용도를 넓히고 청소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The soap shelf 136 may be embodied as a bar rack which is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washstand 110, for example, stainless steel or the like, so that a plurality of bars are arranged in a spaced- . In this case, water, soap bubbles, and the like are naturally discharg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soap shelf 136, thereby preventing water and soap bubbles from accumulating in the soap holder 130. As a result, the soap holder 130 can be used hygienically as well as drying the soap. In addition, if the soap shelf 136 is separately formed from the wash bowl 110 and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step portion 134 or the like, the use of the soap holder 130 can be widened, There are advantages.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누선반(136)의 형상이나 재질 등은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비누선반(136)은 적어도 바닥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다양한 형상 및 재질의 선반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ape and materials of the soap rack 136 may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the soap rack 136 may be embodied in a shelf of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at least having openings in the bottom surfac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세면기(110)에 형성되는 홈(132)과, 상기 홈(132) 상에 안착된 비누선반(136)을 포함하는 비누거치대(130)를 구비한 세면대(100)를 제공한다. 이에 의하여, 별도의 비누거치대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비누를 보다 안정적이고 위생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ink 100 having a soap holder 130 including a groove 132 formed in the washer 110 and a soap holder 136 seated on the groove 132 ). Thereby,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soap holder,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and the soap can be stably and hygienically mounted.

한편, 본 고안을 적용함에 있어, 세면기(110)의 형상, 크기 및 재질 등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홈(132)의 형상 또한 그러할 것임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홈의 다른 실시예들을 개시하기로 한다.
Meanwhile, in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size, and material of the wash basin 110 may be variously embodied, and the shape of the groove 132 may also be a matter of course. Hereinafter, other embodiments of the gro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Fig.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편의상, 도 3 내지 도 4를 설명할 때,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 또는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stand including a soap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top plan view of the washstand with the soap holder shown in FIG. 3. FIG. For the sake of convenience, in the description of Figs. 3 to 4, the same or similar parts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100')에 있어서, 비누거치대(130')를 구성하는 홈(132')은 세면기(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홈(132')의 깊이는 다양하게 변경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홈(132')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홈(132)보다 얕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홈의 바닥면(132a')은 세면기(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3 to 4, in the basin 100 'having the soap bas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ove 132' constituting the soap basin 130 ' And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That is, the depth of the groove 132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the groove 13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made shallower than the groove 132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 In this case, the bottom surface 132a 'of the groove may be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stand 110.

이때, 물이나 비누거품 등이 홈(132') 내부에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원활히 배출하기 위하여, 홈의 바닥면(132a')과 세면기(110)의 바닥면 사이에는, 일례로 나선형태의 물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132a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 basin 110, for example, a spiral water hole (not shown) is formed in order to prevent water and soap bubbles from being caught in the groove 132' A ship can be formed.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편의상, 도 5 내지 도 6에서도,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혹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 또는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stand including a soap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op plan view of the washstand with the soap holder shown in FIG. 5 to 6,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2 or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3 to 4,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100")에 있어서, 비누거치대(130")를 구성하는 홈(132")은 세면기(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형성되되, 홈의 바닥면(132a")은 세면기(110)의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의 경사를 가지고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5 to 6, in a sink 100 '' having a soap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ove 132 '' constituting the soap holder 130 ' And the bottom surface 132a "of the groove may be formed obliquely with a slop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stand 110. The bottom surface 132a "

즉, 홈의 바닥면(132a")이 세면기(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되되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비스듬하게 형성됨에 의하여, 홈(132") 내부에 물이나 비누거품 등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홈의 바닥면(132a')과 세면기(110)의 바닥면 사이에 추가적으로 물구배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since the bottom surface 132a "of the groove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stand 110 and is formed obliquely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ater or soap bubbles are accumulated in the groove 132 " And it can be effectively discharged. Furth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in this embodiment, an additional water gradient may be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132a 'of the groov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stand 110.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면기(110)의 형상, 크기 및 재질 등은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일례로 세면기(1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모서리가 라운딩된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다 사각에 가까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ape, size, and material of the wash basin 110 may be variously modified. For example, the wash basin 110 may have an edge Or may be implemented in a rounded shape, or may be implemented in a more rectangular shape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5 to 6. FIG.

전술한 본 실시예에 의한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100")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세면대(100, 100')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비누를 보다 안정적이고 위생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The sink 100 '' equipped with the soap hold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als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like the sink 100 'and 100' shown in FIGS. 1 to 4,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hygienic.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100', 100": 세면대 110: 세면기
120: 급수밸브 130, 130', 130": 비누거치대
132, 132', 132": 홈 132a, 132a', 132a": 홈의 바닥면
134: 단차부 136: 비누선반
140: 배수구
100, 100 ', 100 ": Sink 110: Wash basin
120: water valve 130, 130 ', 130 ": soap holder
132, 132 ', 132'': grooves 132a, 132a', 132a '':
134: step 136: soap shelf
140: drain

Claims (9)

급수밸브로부터의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세면기와,
상기 세면기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홈 상에 거치되는 비누선반을 포함하는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
A washbasin recessed to contain water from the water supply valve,
A sink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washstand, and a soap tray mounted on the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선반이 안착되도록 상기 홈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epped portion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groove so that the soap shelf is se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바닥면은 물구배가 형성되도록 비스듬하게 구현되어 상기 세면기의 바닥면과 연결되는,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is obliquely embodied so as to form a water trough a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st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바닥면은 상기 세면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위치되되, 상기 홈의 바닥면과 상기 세면기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물구배를 포함하는,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comprises a water gradient formed between a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washbowl, the surface being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washbow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바닥면은 상기 세면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위치되되 상기 세면기의 바닥면을 향하는 경사를 가지고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stand, and is formed obliquely with an inclination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st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선반은 상기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거치되는,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ap shelf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선반은 적어도 바닥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ap shelf has an opening formed at least on a bottom surfac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선반은 다수의 봉체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바닥면을 통해 배수가 가능한 봉선반으로 구현되는,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ap shelf is embodied as a rod shelf capable of being drained through a bottom surface by being coupled in such a manner that a plurality of rods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선반은 상기 세면기와 별도로 형성되어 탈착 가능하게 구현되는, 비누거치대를 구비한 세면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ap shelf is separately formed and removably embodied from the wash basin.
KR2020130001845U 2013-03-12 2013-03-12 Washstand with a Soap Holder KR2014000502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845U KR20140005029U (en) 2013-03-12 2013-03-12 Washstand with a Soap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845U KR20140005029U (en) 2013-03-12 2013-03-12 Washstand with a Soap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029U true KR20140005029U (en) 2014-09-22

Family

ID=52450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845U KR20140005029U (en) 2013-03-12 2013-03-12 Washstand with a Soap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029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3125B1 (en) Mountable soap dish
CN111344461B (en) Face washing device
US20070056862A1 (en) Angled Soap Dish
ITBG20080007U1 (en) SINK
KR20140005029U (en) Washstand with a Soap Holder
JP2005034238A (en) Water splash preventer
KR200456807Y1 (en) Washing bowl with soap storage case
KR20220001801U (en) Dishpan of sink unit
JP3143240U (en) Sponge case for dishwashing
JP2022157352A (en) Bowl-added tank system
JP2009007907A (en) Sink
JP5276617B2 (en) Bathroom unit
KR200473356Y1 (en) A soap rest
KR100684882B1 (en) Washstand
CN216880724U (en) Cleaning tank
US5457827A (en) Soap saddle
US20060202097A1 (en) Soap Dish Receptacle For Liquid Containment and With Overflow Relief
KR200329292Y1 (en) drying plate for dishwashing
JP5418043B2 (en) Bathroom counter
KR20180006382A (en) Vessel with sinking soap bowl and integral detention drain
KR20100006608U (en) Attachment and wall hanging Wash bowl
JP2001107410A (en) Sink
KR200416936Y1 (en) washstand
KR20140111885A (en) Washstand with Storage Space
KR200422641Y1 (en) washing device for oral cavity diver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