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726U - Supporting unit of snap type - Google Patents

Supporting unit of snap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726U
KR20140004726U KR2020130001075U KR20130001075U KR20140004726U KR 20140004726 U KR20140004726 U KR 20140004726U KR 2020130001075 U KR2020130001075 U KR 2020130001075U KR 20130001075 U KR20130001075 U KR 20130001075U KR 20140004726 U KR20140004726 U KR 201400047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snap
slider
coupling bod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07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미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흥화
김미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흥화, 김미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흥화
Priority to KR2020130001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726U/en
Publication of KR201400047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726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5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반의 상하에 위치한 두 수평바의 간격에 맞게 상하 높낮이 조절한 스냅부를 마련하여 다양한 선반에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형 스냅 구조를 갖는 서포팅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형 스냅 구조를 갖는 서포팅 유닛은, 커플링바디, 상기 커플링바디 일단부(一端部)에 배열되어 포스트 삽입을 위한 U자형 개방부, 그리고 상기 커플링바디 타단부(他端部)에 배열되어 지지대상체와의 상호 결합을 위한 커넥팅수단을 포함하는 커플러; 및 상기 포스트에 상기 커플러를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홀딩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넥팅수단은 상기 커플링바디 타단부 상부 및 하부 측 각각에 배열되는 제1 및 제2 스냅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스냅부 또는 상기 제2스냅부, 또는 이들 모두는 상기 커플링바디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로 구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ing unit having a height adjustable snap structure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shelves by providing a snap portion adjusted up and down an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wo horizontal bars located above and below the shelf.
In order to achieve this, a supporting unit having a height-adjustable snap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upling body, a U-shaped opening for insertion of a post arranged at one end of the coupling body, A coupler arrang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including connecting means for mutual coupling with the support body; And a holding cap for pressing and fixing the coupler to the post,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comprises first and second snap portions arrang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body, 1 snap portion, or the second snap portion, or both of them are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body.

Description

높낮이 조절형 스냅 구조를 갖는 서포팅 유닛{SUPPORTING UNIT OF SNAP TYPE}[0001] SUPPORTING UNIT OF SNAP TYPE [0002]

본 고안은 선반의 두 수평형 바(bar)의 간격에 맞게 이에 결합되는 스냅부의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서포팅 유닛에 관한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up and down height of a snap portion coupled to a gap between two horizontal bars of a shelf.

선반 지지를 위한 기술로는,As a technique for shelf support,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210682호(2012.12.04.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조립식선반용 클램프』가 제시되어 있는바,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10682 (Registered on Dec. 4, 201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Clamp for Prefabricated Shelf"

상기 선행기술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포스트에 복수 개의 프레임을 구비한 조립식선반을 결합 지지하기 위한 조립식선반용 클램프에 있어서,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포스트의 외부면 일측에 끼워지는 커플러 내부에는 상기 개방부의 양단부가 삽입되도록 오목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오목홈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개방부의 양단부 외측에 형성된 나사부A와 대응되는 나사부B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A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포스트를 상기 커플러에 가압하며 고정시키는 캡 상기 커플러 또는 캡에 형성되되, 상기 조립식 선반의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프레임홈 및 하부프레임홈을 포함하는 고정홈부 상기 캡의 오목홈부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에는 상기 캡이 상기 나사부A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포스트의 외부면 타측을 상기 커플러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박부가 형성된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선반용 클램프에 관한 기술이다.
The prior art is characterized in that a clamp for a lathe shelf for engaging and supporting a prefabricated shelf having a plurality of frames on a post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t one side to form a U- And a screw part B corresponding to the screw part A formed on the outer side of both ends of the opening part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ncave groove part so as to be screwed to the screw part A A cap for pressing and fixing the post to the coupler; and a fixing groove formed on the coupler or the cap, the fixing groove including an upper frame groove and a lower frame groove to which the upper and lower frames of the prefabricated shelf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fixed, The cap is rotatably mounted within the groove, And a pressing member having an urging portion for urging the oth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in the direction of the coupler as it is threadedly coupled to the post.

이때 선반의 바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홈이 특정 위치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기에 상하 폭이 다르거나 동일하되 미세 차이로 인한 결합이 용이치 않을뿐더러 선반의 상하 바의 간격이 다양할 경우 이에 맞게 새로이 클램프를 제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frame grooves, which are tightly coupled to the shelf bar, are integrally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so that the upper and lower widths are different or the same, but the coupling due to the minute difference is insufficient.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 new clamp must be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is.

본 고안은 선반의 두 수평바에 결합되는 스냅부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상하 슬라이딩 동작케 함으로서, 선반의 두 수평바 간격에 맞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서포팅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pport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f such that one or both of the snap members coupled to the two horizontal bars of the shelf are vertically slidable.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형 스냅 구조를 갖는 서포팅 유닛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pporting unit having a height adjustable snap structure,

커플링바디, 상기 커플링바디 일단부(一端部)에 배열되어 포스트 삽입을 위한 U자형 개방부, 그리고 상기 커플링바디 타단부(他端部)에 배열되어 지지대상체와의 상호 결합을 위한 커넥팅수단을 포함하는 커플러; 및A coupling body arranged at one end of the coupling body and having a U-shaped opening for insertion of the post, and a coupling body arranged at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body for mutual coupling with the support body A coupler including means; And

상기 포스트에 상기 커플러를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홀딩캡;A holding cap for pressingly fixing the coupler to the post;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 / RTI >

상기 커넥팅수단은The connecting means

상기 커플링바디 타단부 상부 및 하부 측 각각에 배열되는 제1 및 제2 스냅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스냅부 또는 상기 제2스냅부, 또는 이들 모두는 상기 커플링바디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first snap member and a second snap member arrang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body, wherein the first snap member, the second snap member, or both are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body .

그리고 상기 커넥팅수단에서 상기 커플링바디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의 해당 스냅부는 상기 커플러의 개방부 내주면에서 이의 전방 영역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더의 외측 단부(端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rresponding snap portion of the coupling means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body is integrally formed at an outer end of the slider which is slid up and down along the front reg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coupler .

제1 구현예로서,As a first embodiment,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플러의 개방부 내주면에서 이의 전방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의 곡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slider has a curved surface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front reg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coupler.

제1 구현예의 제1 실시예로서,As a first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커플러는 상기 개방부 내주면에서 이의 전방 영역에 전후 관통되게 형성되는 상하 방향의 장공과, 상기 장공의 단부(端部)에 형성되는 확경부를 더 포함하고,Wherein the coupler further includes a vertically elongated hole formed in a front reg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so as to pass through the forward region thereof and a enlarged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elongated hole,

상기 슬라이더는 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장공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원형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확경부를 지나 슬라이딩 시 상기 장공 주변 영역에 지지되는 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lider further includes a circular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er and slid along the slot, and a plate integrally formed on the protruding end and supported on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slot when sliding through the enlarged portion.

제1 구현예의 제2 실시예로서,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커플러는 상기 개방부 내주면에서 이의 전방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요철(凹凸)부를 더 포함하고,The coupl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oncavo-convex portion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front region thereof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상기 슬라이더는 이의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요철부와 상호 맞물리는 다수의 대응요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lid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concave-convex part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e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terdigitated with the concave-convex part.

제2 구현예로서,As a second embodiment,

상기 커플러의 개방부 내주면에서 이의 전방 영역 양단부(兩端部) 각각에는 상하로 움푹 들어간 두 리세스(recess)가 형성되어 있고,Wherein two recess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ont reg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coupler, the recess being vertically recessed,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두 리세스에 안착되어 상하 슬라이딩 되는 두 로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slider has two rods which are seated on the two recesses and slide up and down.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형 스냅 구조를 갖는 서포팅 유닛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upporting unit having a height-adjustable snap structure,

선반의 두 수평바에 결합되는 스냅부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상하 슬라이딩 동작케 함으로서, 선반의 두 수평바 간격에 맞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One or both of the snap portions coupled to the two horizontal bars of the shelf have the greatest effect of being able to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spacing of the two horizontal bars of the shelf, by making them both slide up and dow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구현예의 서포팅 유닛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선반 및 포스트 장착 사용 상태 평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구현예의 서포팅 유닛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선반 및 포스트 장착 사용 상태 평단면 구성도,
도 6은 도 3의 측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구현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구현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
1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upport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shelf and post mounting state of Fig. 1,
3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upport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shelf and the post mounting state of FIG. 3,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Fig. 7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sign the concept of the term appropriately to describe its own design in the best way possib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a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stitu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도 3을 기준으로 커플러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홀딩캡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 제1스냅부 측을 상부 또는 상방, 제2스냅부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3, the coupler side is referred to as a front portion or front side, the holding cap side is referred to as a rear portion or rear side, a first snap portion side is defined as an upper portion or an upper portion, .

아울러 이하에서 사용될 일단부 측은 후단부(後端部)이고, 타단부 측은 전단부(前端部)을 의미한다.
In addition, one end side to be used hereinafter is the rear end portion, and the other end side means the front end portion.

그리고 이하에서 언급할 지지대상체(2)는 상하 이격된 두 수평바(2A1)를 포함하는 선반부재(2A)로서,The support body 2 to be referred to hereinafter is a shelf member 2A including two vertically spaced horizontal bars 2A1,

통상적으로 상기 선반부재(2A)는 싱크대 상부에 위치한 찬장 등에 설치되거나 욕실 코너 측에 설치되는 등, 이외에 다양한 용도의 형태일 수 있고, 이때 상기 선반부재(2A) 장착을 위해 찬장 등에 설치되는 파이프 등이 포스트(1)에 해당될 것이다.
In general, the shelf member 2A may be installed in a cupboard or the like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ink, or may be provided in a corner of the bathroom. In addition, a pipe or the like Will correspond to this post (1).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형 스냅 구조를 갖는 서포팅 유닛은,1 to 8, in a supporting unit having a height-adjustable snap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크게 커플러(10) 및 홀딩캡(20)으로 이루어지되, 본 고안에서는 푸셔(30)를 더 포함한다.And includes a coupler 10 and a holding cap 20, and further includes a pusher 30 in the present invention.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Looking at each configuration,

커플러(10)는The coupler 10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 to 4,

커플링바디(11),The coupling body 11,

상기 커플링바디(11) 일단부(一端部)에 배열되어 포스트(1) 삽입 시 이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기 위한 U자형 개방부(12),A U-shaped opening 12 arranged at one end of the coupling body 11 to cover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st 1 when the post 1 is inserted,

상기 개방부(12) 양단부(兩端部)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부(13), 그리고A spiral portion 13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both ends of the opening portion 12,

상기 커플링바디(11) 타단부(他端部)에 배열되어 지지대상체(2)와의 상호 결합을 위한 커넥팅수단(14)Connecting means (14) arranged at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body (11) for mutual coupling with the support body (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

이때 상기 커플러(10)는 상기 개방부(12)의 양단부 내주면에 후술할 푸셔(30)의 진입 방향으로 각각 나란히 형성되는 두 수평가이드(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두 수평가이드(15)는 단면이 사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coupler 10 further includes two horizontal guides 15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opening 12 so as to be aligned in the infeed direction of the pusher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 section has a square shape.

여기서 상기 커넥팅수단(14)은Wherein the connecting means (14)

상기 커플링바디(11) 타단부 상부 및 하부 측 각각에 배열되는 제1 및 제2 스냅부(141, 14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스냅부(141) 또는 제2스냅부(142), 또는 이들 모두는 상기 커플링바디(11)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And first and second snap portions 141 and 142 arrang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body 11, respectively. The first snap portion 141 or the second snap portion 142, Or both of them have a structure separable from the coupling body 11.

좀 더 상세하게는,More specifically,

우선 후술할 '해당 스냅부'라 함은 상기 제1 및 제2 스냅부(141, 142) 중 상기 커플링바디(11)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 스냅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 예로 도 1에서의 제2스냅부가 이에 해당할 것이다.First, the 'corresponding snap portion' refers to a snap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nap portions 141 and 142 that is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body 11. For example, The second snap portion may correspond to this.

도 1 및 도 3을 기준으로 설명하면,Referring to FIGS. 1 and 3,

상기 커넥팅수단(14)에서 상기 커플링바디(11)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의 해당 스냅부(도 1 기준이고, 제2스냅부가 해당 스냅부에 해당하므로, 도면부호는 '142'임)는 상기 커플러(10)의 개방부(12) 내주면에서 이의 전방 영역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더(143)의 외측 단부(端部)에 일체로 형성된다.A corresponding snap portion of the connecting means 14 which is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body 11 (reference numeral 142 in FIG. 1,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nap portion) (The end portion) of the slider 143 that slides up and down along the front region thereof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12 of the housing 10.

결국 상기 슬라이더(143) 단부에 해당 스냅부(1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143)가 상기 개방부(12) 내주면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가능함은 물론, 상기 개방부(12)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The slider 143 is integr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slider 143 and the slider 143 can be slid up and dow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12 as well as separated from the opening portion 12 It is possible.

한편,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제1 구현예로서,Meanwhile, as shown in FIG. 3 and FIG. 4,

상기 슬라이더(143)는 상기 커플러(10)의 개방부(12) 내주면에서 이의 전방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의 곡면부(144)를 갖는다.The slider 143 has a curved surface portion 144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front reg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12 of the coupler 10.

다시 말해, 상기 슬라이더(143)에는 개방부(12) 내주면 전방 영역의 곡률에 맞게 굴곡진 형상의 상기 곡면부(144)가 형성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curved surface portion 144 having a curved shape is formed in the slider 143 in accordance with the curvature of the front reg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12.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제1 구현예의 제1 실시예로서,7,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커플러(10)는 상기 개방부(12) 내주면에서 이의 전방 영역에 전후 관통되게 형성되는 상하 방향의 장공(121)과, 상기 장공(121)의 단부에 형성되는 확경부(122)를 더 포함하고,The coupler 10 further includes a vertically elongated hole 121 formed in the front reg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12 so as to pass therethrough in a forward and rearward direction and a diameter enlarged portion 122 formed at an end of the elongated hole 121 and,

상기 슬라이더(143)는 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장공(121)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원형 돌출부(143a)와, 상기 돌출부(143a)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확경부(122)를 지나 슬라이딩 시 상기 장공(121) 주변 영역에 지지되는 판부(143b)를 더 포함한다.The slider 143 includes a circular protrusion 143a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er 143 and slidable along the slot 121 and a protrusion 143a integrally formed on an end of the protrusion 143a, And a plate portion 143b supported on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substrate 121.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143) 슬라이딩 시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하고, 또 상기 커플링바디(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sliding operation is guided when the slider 143 is slid, and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oupling body 11.

그리고 도 8에서와 같이 제1 구현예의 제2 실시예로서,8,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커플러(10)는 상기 개방부(12) 내주면에서 이의 전방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요철(凹凸)부(123)를 더 포함하고,The coupler (10)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oncavo-convex portions (123) formed vertically in a front region thereof i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12)

상기 슬라이더(143)는 이의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요철부(123)와 상호 맞물리는 다수의 대응요철부(143c)를 더 포함한다.The slider 143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uneven portions 143c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er 143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uneven portions 123 in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143)에 대한 높낮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슬라이더(143)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upward or downward movement of the slider 143 is restricted when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slider 143 is completed.

한편,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제2 구현예로서,As shown in FIGS. 1 and 2,

상기 커플러(10)의 개방부(12) 내주면에서 이의 전방 영역 양단부(兩端部) 각각에는 상하로 움푹 들어간 두 리세스(recess)(124)가 형성되어 있고,Two recesses 124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ont reg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12 of the coupler 10,

상기 슬라이더(143)는 상기 두 리세스(124)에 안착되어 상하 슬라이딩 되는 두 로드(145)를 갖는다.
The slider 143 has two rods 145 that are seated on the two recesses 124 and slide up and down.

이때 제1 구현예의 제2 실시예와 같이, 제2 구현예에서 상기 두 리세스(124)에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두 로드(145)에 상기 요철부와 상호 맞물리는 대응요철부를 마련함으로서, 슬라이더(143) 높낮이 완료 시 슬라이더(143)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현 가능할 것이다.
At this tim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embodiment, the recesses are formed in the two recesses 124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corresponding rods 145 are provided with the corresponding concave- The movement of the slider 143 may be restricted when the height of the slider 143 is completed.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스냅부(141, 142)는 각각 개구되는 방향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데,Meanwhile, as shown in FIG. 6, the first and second snap portions 141 and 142 may have various opening directions,

상기 각 스냅부(141, 142)가 각각 후방으로 개구되되, 각 끝단부가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형태이거나,Each of the snap portions 141 and 142 may have a shape in which each of the end portions is located outside,

또는 상기 제1스냅부(141)는 후방으로 개구되고, 상기 제2스냅부(142)는 전방으로 개구된 형태이거나,Alternatively, the first snap portion 141 may be open rearward, and the second snap portion 142 may be open forward,

또는 상기 제1스냅부(141)는 후방으로 개구되고, 상기 제2스냅부(142)는 하방으로 개구된 형태이거나,Alternatively, the first snap portion 141 may be open rearward, the second snap portion 142 may be open downward,

또는 상기 각 스냅부(141, 142)가 각각 후방으로 개구되되, 각 끝단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형태일 수 있다.Or each of the snap portions 141 and 142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rearward and to be positioned inward such that the respective end portions face each other.

결국 상기 각 스냅부(141, 142)의 각 개구 방향은 상기 각 스냅부(141, 142)가 상기 선반부재(2A)의 두 수평바(2A1)에 끼워질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As a result, the opening directions of the snap portions 141 and 142 are set so that the respective snap portions 141 and 142 can be fitted to the two horizontal bars 2A1 of the shelf member 2A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ll be possible.

홀딩캡(20)은The holding cap 20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2 to 4,

상기 포스트(1)에 상기 커플러(10)를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For press-fixing the coupler (10) to the post (1)

내부 수용부(21), 그리고The inner receiving portion 21, and

상기 수용부(21)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나선부(13)와의 상호 체결을 위한 대응나선부(22)A corresponding spiral portion 22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21 for mutual engagement with the spiral portion 1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

여기서 상기 수용부(21)는 전방 측으로 개구(開口)된 형태의 원형 수용 공간부이고,Here,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is a circular accommodating space portion that is opened to the front side,

상기 홀딩캡(20)의 외주면에는 그립감 향상 및 손가락 슬립 방지를 위한 요철(凹凸)형 그립부(2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ing cap 20 is provided with a concave and convex type grip portion 23 for improving grip feeling and preventing finger slip.

푸셔(pusher)(30)는The pusher 30 is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2 to 4,

상기 홀딩캡(20)의 체결 동작에 의해 전진 동작하여 상기 커플러(10)의 개방부(13)에 위치한 포스트(1)의 외주면 타부를 가압하게 되는 것으로,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holding cap 20 pushe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st 1 located at the opening portion 13 of the coupler 10,

상기 홀딩캡(20)의 수용부(21)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푸싱바디(31),A pushing body 31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21 of the holding cap 20,

상기 푸싱바디(31) 타단부에 형성되어 포스트(1)의 외주면 타부를 감싸는 밀착부(32), 그리고A fastening part 32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pushing body 31 and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st 1,

상기 푸싱바디(31) 외주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두 수평가이드(15)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두 대응수평가이드(33)Two corresponding horizontal guides 3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shing body 31 and slidable along the two horizontal guides 1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

여기서 상기 푸싱바디(31)는 상기 홀딩캡(20)의 수용부(21)에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되, 후면이 개구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Here, the pushing body 31 is formed in a generally cylindrical shape so that one end of the pushing body 31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21 of the holding cap 20,

상기 밀착부(32)는 포스트(1)의 외주면과 상응한 곡률을 가지며, 전면 중앙에서 상기 푸싱바디(31) 내부까지 관통되는 끼움공간부(321)를 갖는다.
The contact portion 32 has a fitting space portion 321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st 1 and penetrating from the front center to the inside of the pushing body 31.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푸셔(30)는3 and 4, the pusher 30 is

포스트(1)를 향한 상기 푸셔(30)의 진입 동작 시 포스트(1)의 외주면 타부와 접하게 되도록 상기 밀착부(32)에 배열되는 슬립방지부재(34)를 더 포함한다.And a slip prevention member 34 arranged in the tightening portion 32 so as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st 1 when the pusher 30 is moved toward the post 1. [

상기 슬립방지부재(34)는 탄성 재질이고, 전면(前面)에 동일 중심을 갖고 직경이 다른 두 원형 돌기부(341)가 형성되고, 또 후면(後面)에 화살표형 끼움부(342)가 형성된다.The slip prevention member 34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has two circular protrusions 341 having the same center and different diameters on the front surface and an arrow shaped fitting portion 342 formed on the rear surface .

상기 끼움부(342)는 상기 밀착부(32)의 끼움공간부(321) 내로 억지끼움되어 화살표 단부(端部)가 상기 푸싱바디(31) 내부 바닥면에 걸리게 된다.
The fitting portion 342 is forced into the fitting space portion 321 of the tight fitting portion 32 so that the end of the arrow is caught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pushing body 31.

상기 슬립방지부재(34)는 상기 홀딩캡(20) 체결 동작 시 전진하게 되는 상기 푸셔(30)에 의해 포스트(1)의 외주면 타부와 상기 밀착부(32)에 개재(介在)된 상태에서 가압됨에 따라 포스트(1)와의 밀착성이 향상되므로, 결국 본 고안의 서포팅 유닛이 포스트(1)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The slip prevention member 34 is pressed by the pusher 30 which advances during the tightening operation of the holding cap 20 in a state where it is interposed between the tip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ost 1 and the close contact portion 3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ppor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slipping on the post 1. As a result,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푸셔(30)는And, as in Figure 3, the pusher 30

포스트(1)를 향한 상기 푸셔(30)의 진입 동작 시 상기 커플러(10)의 개방부(12) 상하로 각각 진입되도록 상기 푸싱바디(31)의 일단부 외주면 상부와 하부 측 각각에 돌출 형성되는 두 플랜지(35)를 더 포함한다.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ne end portion of the pushing body 31 so as to respectively ente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pening portion 12 of the coupler 10 in the entering operation of the pusher 30 toward the post 1 And further includes two flanges 35.

이때 상기 두 플랜지(35)는 상기 개방부(12)의 상부 및 하부 공간부를 각각 차지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two flanges 35 are preferably formed to occupy the upper and lower space portions of the opening portion 12, respectively.

결국 상기 두 플랜지(35)는 상기 개방부(12)에 진입한 상태에서 외력(뒤틀림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한 상기 푸셔(30)의 강제 회전 시 상기 개방부(12)의 상부 및 하부 측 양단부에 걸리게 됨에 따라 강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two flanges 35 are position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pening portion 12 when the pusher 30 is forcibly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such as a twist or an external impact) It is prevented from being forcibly rotated.

또한 상기 두 플랜지(35)가 상기 홀딩캡(20)의 수용부(21) 바닥면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홀딩캡(20) 체결 동작 시 원활하게 상기 푸셔(30)가 전진 동작할 수 있도록 기여하게 된다.
As the two flanges 35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21 of the holding cap 20, the pusher 30 can be smoothly moved forward during the fastening operation of the holding cap 20 do.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푸셔(30)의 밀착부(32) 양측 단부에는As shown in Fig. 1, both end portions of the contact portion 32 of the pusher 30

상기 푸셔(30)의 후퇴 방향으로 각각 경사진 두 진입가이드(322)가 형성된다.Two entry guides 322 inclined in the retracting direction of the pusher 30 are formed.

따라서 상기 두 진입가이드(322)를 통해 상기 푸싱바디(31)를 최초 상기 커플러(10)의 개방부(12)에 진입시키기 용이하고, 아울러 상기 푸셔(30)의 두 대응수평가이드(33)를 상기 커플러(10)의 두 수평가이드(15)에 맞게 삽입시키는 데에도 용이하다.
The pushing body 31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opening 12 of the coupler 10 through the two entry guides 322 and the two corresponding horizontal guides 33 of the pusher 30 It is also easy to insert it into the two horizontal guides 15 of the coupler 10.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높낮이 조절형 스냅 구조를 갖는 서포팅 유닛"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t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커플러
11 : 커플링바디 12 : 개방부
121 : 장공 122 : 확경부
123 : 요철부 124 : 리세스
13 : 나선부
14 : 커넥팅수단 141 : 제1스냅부
142 : 제2스냅부 143 : 슬라이더
143a : 돌출부 143b : 판부
143c : 대응요철부 144 : 곡면부
145 : 로드
15 : 수평가이드
20 : 홀딩캡
21 : 수용부 22 : 대응나선부
23 : 그립부
30 : 푸셔
31 : 푸싱바디 32 : 밀착부
321 : 끼움공간부 322 : 진입가이드
33 : 대응수평가이드
34 : 슬립방지부재 341 : 돌기부
342 : 끼움부
35 : 플랜지
10: Coupler
11: coupling body 12: opening
121: elongated hole 122:
123: concave portion 124: recess
13:
14: connecting means 141: first snap portion
142: second snap portion 143: slider
143a: projecting portion 143b:
143c: corresponding concave-convex portion 144:
145: Load
15: Horizontal guide
20: Holding cap
21: accommodating portion 22: corresponding spiral portion
23: grip portion
30: pusher
31: pushing body 32:
321: fitting space 322: entry guide
33: Corresponding horizontal guide
34: slip prevention member 341:
342:
35: Flange

Claims (6)

커플링바디(11), 상기 커플링바디(11) 일단부(一端部)에 배열되어 포스트(1) 삽입을 위한 U자형 개방부(12), 그리고 상기 커플링바디(11) 타단부(他端部)에 배열되어 지지대상체(2)와의 상호 결합을 위한 커넥팅수단(14)을 포함하는 커플러(10); 및
상기 포스트(1)에 상기 커플러(10)를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홀딩캡(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넥팅수단(14)은
상기 커플링바디(11) 타단부 상부 및 하부 측 각각에 배열되는 제1 및 제2 스냅부(141, 14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스냅부(141) 또는 상기 제2스냅부(142), 또는 이들 모두는 상기 커플링바디(11)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형 스냅 구조를 갖는 서포팅 유닛.
A coupling body 11 disposed at one end of the coupling body 11 and having a U-shaped opening 12 for insertion of the post 1, (10) comprising connecting means (14) arranged for mutual coupling with the support body (2) arranged at the ends of the coupler (10); And
A holding cap (20) for pressingly fixing the coupler (10) to the post (1);
, ≪ / RTI >

The connecting means (14)
And the first and second snap members 141 and 142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body 11. The first snap member 141 or the second snap member 142, , Or both of them are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body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수단(14)에서 상기 커플링바디(11)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의 해당 스냅부는 상기 커플러(10)의 개방부(12) 내주면에서 이의 전방 영역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더(143)의 외측 단부(端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형 스냅 구조를 갖는 서포팅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rresponding snap portion of the connecting means 14 which is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body 11 is slid up and down along the front reg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12 of the coupler 10,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integrally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43)는 상기 커플러(10)의 개방부(12) 내주면에서 이의 전방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의 곡면부(14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형 스냅 구조를 갖는 서포팅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lider (143) has a curved surface portion (144)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front reg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12) of the coupler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10)는 상기 개방부(12) 내주면에서 이의 전방 영역에 전후 관통되게 형성되는 상하 방향의 장공(121)과, 상기 장공(121)의 단부(端部)에 형성되는 확경부(1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143)는 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장공(121)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원형 돌출부(143a)와, 상기 돌출부(143a)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확경부(122)를 지나 슬라이딩 시 상기 장공(121) 주변 영역에 지지되는 판부(143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형 스냅 구조를 갖는 서포팅 유닛.
The method of claim 3,
The coupler 10 has a vertically elongated hole 121 formed to extend forward and backward in a front region thereof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12 and a narrowed portion 122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long hole 121 Further comprising:
The slider 143 includes a circular protrusion 143a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er 143 and slidable along the slot 121 and a protrusion 143a integrally formed on an end of the protrusion 143a, Further comprising a plate portion (143b) supported on a peripheral region of the supporting member (12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10)는 상기 개방부(12) 내주면에서 이의 전방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요철(凹凸)부(1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143)는 이의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요철부(123)와 상호 맞물리는 다수의 대응요철부(143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형 스냅 구조를 갖는 서포팅 유닛.
The method of claim 3,
The coupler (10)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oncavo-convex portions (123) formed vertically in a front region thereof i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12)
Wherein the slider (143)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uneven portions (143c)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er (143)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terdigitated with the uneven portions (12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10)의 개방부(12) 내주면에서 이의 전방 영역 양단부(兩端部) 각각에는 상하로 움푹 들어간 두 리세스(recess)(1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143)는 상기 두 리세스(124)에 안착되어 상하 슬라이딩 되는 두 로드(14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형 스냅 구조를 갖는 서포팅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Two recesses 124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ont reg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12 of the coupler 10,
Wherein the slider (143) has two rods (145) which are seated on the two recesses (124) and slide up and down.

KR2020130001075U 2013-02-13 2013-02-13 Supporting unit of snap type KR2014000472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075U KR20140004726U (en) 2013-02-13 2013-02-13 Supporting unit of snap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075U KR20140004726U (en) 2013-02-13 2013-02-13 Supporting unit of snap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726U true KR20140004726U (en) 2014-08-21

Family

ID=52445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075U KR20140004726U (en) 2013-02-13 2013-02-13 Supporting unit of snap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4726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349A (en) * 2017-11-27 2019-06-05 정영호 Systemic Shelf
US11896122B1 (en) * 2023-02-27 2024-02-13 Dongguan Lingquan Hardware products co. LTD Mounting structure of storage basket and multi-layer storage rack with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349A (en) * 2017-11-27 2019-06-05 정영호 Systemic Shelf
US11896122B1 (en) * 2023-02-27 2024-02-13 Dongguan Lingquan Hardware products co. LTD Mounting structure of storage basket and multi-layer storage rack with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28739B (en) Conversion positioning device of bracket
CN203262656U (en) Space-adjustable shoe cabinet
US8931862B2 (en) Drawer
US20080303399A1 (en) Front installing drawer pulling force adjusting apparatus
RU2615085C2 (en) Housing mounting device, in particular, a radio receiver in vehicle control panel compartment
KR200476100Y1 (en) Door connector
KR20140004726U (en) Supporting unit of snap type
AU2015273704A1 (en) Fastening part of a storage system
KR200483878Y1 (en) Curtain rail assembly with easy insertion and separation
JP2017086864A (en) Drawer slide rail kit
KR200470966Y1 (en) A supporting unit
CN107809927A (en) Drawer with bottom plate, two side walls, rear wall and baffle plate
CN106460428A (en) Easy-to-clean lower slide device of shower door
KR101588628B1 (en) Double type sliding Bookshelf
CN104064405B (en) Buckle type connection structure of contactor
CN115681274A (en) Quick assembly type table frame connecting structure and electric lifting table
US20160037734A1 (en) Flowerpot comprising adjustable arms and independent removable snap pins for coupling and supporting to railings, walls or other supports
KR20140005692A (en) Rail for drawer
KR20140127129A (en) Rods bar stopper
JP4568747B2 (en) Towel rack
CN203897778U (en) Movable shelf supporting device and movable shelf device
CA2726689C (en) Wall mounting bath accessory assembly
US8619418B2 (en) Mouse structure
CN210961719U (en) Ceramic bathing article placing support
KR20130115936A (en) T-shaped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