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058U - 산소 음이온 발생장치의 구조 - Google Patents

산소 음이온 발생장치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058U
KR20140004058U KR2020120012144U KR20120012144U KR20140004058U KR 20140004058 U KR20140004058 U KR 20140004058U KR 2020120012144 U KR2020120012144 U KR 2020120012144U KR 20120012144 U KR20120012144 U KR 20120012144U KR 20140004058 U KR20140004058 U KR 201400040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magnetic field
air
pole
electr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2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의식
Original Assignee
윤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의식 filed Critical 윤의식
Priority to KR2020120012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058U/ko
Publication of KR20140004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05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이온발생기에서 전자와 공기가 결합하는 결합공간에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자성인 산소를 결합공간으로 끌어 공기 중 산소의 농도를 높여 산소 음이온의 발생 확률을 높인 산소 음이온 발생장치이다.

Description

산소 음이온 발생장치의 구조{A structure of oxygen anion generator}
본 고안은 산소 음이온 발생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음이온 발생장치에서 전자와 공기가 결합하는 결합공간에 자기장을 형성하면, 산소는 상자성이 있어 결합공간으로 끌려 공기 중 산소의 농도가 높아지고, 전자와 공기가 결합하여 발생하는 음이온 중 산소 음이온의 농도가 높아지는 산소 음이온 발생장치의 구조이다.
산소는 자기장이 있는 경우 자기장 쪽으로 끌리는 상자성이 있다. 산소센서에도 자기장을 이용한 자기식 산소센서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음이온발생기는 전자를 방출하여 공기를 구성하는 여러 성분과 전자가 결합하여 얻어진다.
음이온 중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은 산소 음이온이므로, 음이온발생장치에서 발생하는 음이온 중 산소 음이온의 발생 확률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음이온 발생장치에서 전자와 공기가 결합하는 결합공간에 자기장을 형성하여 결합공간의 산소 농도를 높이면 음이온 발생장치에서 발생하는 음이온 중 산소 음이온의 발생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음이온발생장치에서 발생하는 음이온 중 산소 음이온의 발생 확률을 높인다.
제1도 본 고안에 따른 자기장에 끌리는 산소의 이동을 보인 예시도
제2도 본 고안에 따른 자기장이 형성된 음이온발생장치의 예시도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N극(4)과 S극(5)의 자기장이 형성되어 있어, 공기(6)에서 산소(11)가 끌리는 것을 보여준다. 전자(7)와 공기(6)가 결합하는 결합공간(9)에서 산소(11)가 끌려 산소(11)의 농도가 높게 형성됨을 보여준다.
도 2는 음이온발생장치(1)에서 전자(7)와 공기(6)가 결합하는 공간인 결합공간(9)에 N극(4)과 S극(5)으로 자기장을 형성하고 있다.
산소(11)는 상자성 성질이 있어 N극(4)과 S극(5)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면 자기장으로 끌리게 된다. 그러므로 자기장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간(9)에서 공기 중 산소의 농도는 높아진다.
방전침(2)과 접지(3) 사이에는 고압이 걸려 공기의 해리가 일어나고 있어, 방전침(2)에서 전자(7)가 방출하여 접지(3) 방향으로 끌리고 있다.
방출된 전자(7)는 산소(11)의 농도가 높은 결합공간(9)에서 공기(6)와 결합하여 음이온(8)이 된다. 이때 발생한 음이온(8)에서 산소 음이온의 농도가 높게 된다.
1: 음이온발생장치
2: 방전침
3: 접지
4: N극
5: S극
6: 공기
7: 전자
8: 음이온
9. 결합공간
10: 전자이동
11: 산소

Claims (2)

  1. 음이온 발생장치에 있어서,
    전자(7)와 공기(6)가 결합하는 결합공간(9)에 N극(4)과 S극(5)의 자기장을 형성하여, 결합공간(9)으로 산소(11)를 끌리게 하여, 공기(6) 중 산소(11)의 농도를 높여 전자와 산소의 결합 확률을 높인 산소 음이온 발생기의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N극(4)과 S극(5)의 자기장을 형성함에 있어서, 영구자석 대신 전기자석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음이온 발생기의 구조
KR2020120012144U 2012-12-24 2012-12-24 산소 음이온 발생장치의 구조 KR201400040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144U KR20140004058U (ko) 2012-12-24 2012-12-24 산소 음이온 발생장치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144U KR20140004058U (ko) 2012-12-24 2012-12-24 산소 음이온 발생장치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058U true KR20140004058U (ko) 2014-07-02

Family

ID=52445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2144U KR20140004058U (ko) 2012-12-24 2012-12-24 산소 음이온 발생장치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405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685A (ko) * 2019-06-19 2020-12-3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기장을 이용한 산소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685A (ko) * 2019-06-19 2020-12-3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기장을 이용한 산소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98958A3 (en) Speaker device
EP2871856A3 (en) Dual coil moving magnet transducer
NZ705667A (en) Negative ion-based neutral beam injector
EP2538529A3 (en) An electrical machine with contra-rotating rotors
EP2391190A3 (en) Accelerator and cyclotron
EP2448088A3 (en) Encapsulated magnet assembly and process for making
MX359737B (es) Generador de neutrones de fuente de iones de nano emisores.
WO2014107604A3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ical power
KR20140004058U (ko) 산소 음이온 발생장치의 구조
WO2012094624A3 (en) Organic magnetic field sensor
EP2644476A3 (en) Torque detection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including the torque detection device
WO2014044987A3 (fr) Actionneur de volet d'un circuit d'air de moteur thermique
WO2014072267A3 (de) Induktionsgenerator und verfahren zum generieren eines elektrischen stroms unter verwendung eines induktionsgenerators
TWM512853U (zh) 電磁裝置
FR2969371B1 (fr) Dispositif generateur d?ions a resonance cyclotronique electronique
RU2017130327A (ru) Двигатель на эффекте холла и космическ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включающее в себя такой двигатель
EP2978111A3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stator permanent magnet demagnetization during vacuum pressure impregnation
EP2763284A3 (en) Construction arrangement of a permanent magnet rotor for a generator
CN204465157U (zh) 一种偏心电机磁瓦
WO2012079930A3 (de) Magnethalteeinrichtung
CN104612924A (zh) 离子发电机
CN103856875B (zh) 一种外磁式磁路改良结构
GB201112824D0 (en) Magnetic apparatu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electronic equipment
GB2559309A (en) Electromagnet current constraints
RS20180327A1 (sr) Elektromagnet sa jezgrom dostupnim za rotaciona kretan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