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974A -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974A
KR20140003974A KR1020120071966A KR20120071966A KR20140003974A KR 20140003974 A KR20140003974 A KR 20140003974A KR 1020120071966 A KR1020120071966 A KR 1020120071966A KR 20120071966 A KR20120071966 A KR 20120071966A KR 20140003974 A KR20140003974 A KR 20140003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ll
electronic device
distance
user
consid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4498B1 (ko
Inventor
정재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1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498B1/ko
Priority to US13/923,914 priority patent/US9282282B2/en
Publication of KR20140003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02Special television systems not provided for by H04N7/007 - H04N7/1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전자 장치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어 변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변수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PROVIDING VIDEO CALL SER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휴대의 용이성 및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및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전자 장치로 발전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 통화 서비스는 음성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나타낸다. 전자 장치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전자 장치 사용자는 전자 장치를 손에 파지하여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화면을 보면서 통화를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송화 음량 및 화면 크기는 거리에 비례하여 감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전자 장치 사용자는 전자 장치와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큰 목소리로 통화를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통화 상대방은 일정하지 않은 사용자의 목소리로 인해 원활한 통화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사용자와의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원활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장치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의 송화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에 따른 송화 음량 가중치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의 수화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의 화면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카메라의 배율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어 변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변수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에서 상기 통화 상대방의 송화 음량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의 음량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의 음량을 고려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program)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어 변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 변수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program)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에서 상기 통화 상대방의 송화 음량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의 음량을 결정하고, 상기 음성의 음량을 고려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어 변수를 결정함으로써, 전자 장치는 사용자와의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원활하게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어 변수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송화 음량을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송화 음량을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마이크 감도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수화 음량을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수화 음량을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화면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카메라 배율을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한 송화 음량 가중치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평소 영상 통화 서비스 이용 시 전자 장치를 손에 파지한 상태로 전자 장치 전면의 카메라가 사용자의 얼굴 방향을 향하게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Laptop),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텔레비전(Television),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내비게이션 및 MP3 등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20), 통신 시스템(130), 오디오 처리부(140), 카메라 시스템(150), 입출력 제어부(160), 표시부(170), 입력 장치(180) 및 센싱부(19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모리(1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20), 통신 시스템(130), 오디오 처리부(140), 카메라 시스템(150), 입출력 제어부(160), 표시부(170), 입력 장치(180) 및 센싱부(190)는 각각 다수 개 존재할 수도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11)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1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부(112)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영상을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112)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에 따른 송화 음량 가중치의 테이블을 저장한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그램 저장부(111)는 거리 결정 프로그램(113),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5)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116)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로 표현할 수도 있다.
거리 결정 프로그램(113)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거리 결정 프로그램(113)은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에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면적과 기준 영상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면적을 비교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여기서, 기준 영상은 기준 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의 영상을 나타낸다.
다른 예를 들어, 거리 결정 프로그램(113)은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에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에서 눈, 코 및 입의 각 거리와 기준 영상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에서 눈, 코 및 입의 각 거리를 비교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거리 결정 프로그램(113)은 센싱부(190)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시점과 초음파가 반사되어 수신되는 시점의 시간 차를 고려하여 전자 장치와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거리 결정 프로그램(113)은 센싱부(190)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의 좌표를 기준으로 좌표 변화량을 고려하여 전자 장치와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어 변수를 결정하고, 제어 변수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 변수는 영상 통화 데이터의 송화 음량 가중치, 수화 음량 가중치, 마이크 감도 가중치, 화면 크기 가중치 및 카메라 배율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송화 음량 가중치를 결정한다.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음성이 감지되는 경우,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은 송화 음량 가중치를 고려하여 감지된 음성의 음량을 갱신한다. 이때,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은 갱신된 음성을 포함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른 예를 들어,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송화 음량 가중치를 결정한다.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음성이 감지되는 경우,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은 감지된 음성 및 송화 음량 가중치를 포함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수화 음량 가중치를 결정한다. 영상 통화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은 수화 음량 가중치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을 송출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마이크 감도 가중치를 결정한다. 마이크 감도 가중치를 결정한 후,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은 마이크 감도 가중치를 고려하여 마이크의 감도를 결정한다. 이후,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은 마이크를 통해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음성을 감지한다. 이때,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은 감지된 음성을 포함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한다. 만일,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멀어지는 경우,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은 마이크 감도를 높인다. 또한,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가까워지는 경우,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은 마이크 감도를 낮춘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화면 크기 가중치를 결정한다. 영상 통화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은 화면 크기 가중치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에 포함된 통화 상대방의 화면 크기를 결정한다. 이때,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은 화면 결정된 화면 크기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에 포함된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한다. 만일,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먼 경우,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은 영상에서 통화 상대방의 얼굴을 기준으로 화면 크기를 확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은 영상에서 통화 상대방의 화면 크기를 기본 크기로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카메라 배율 가중치를 결정한다. 카메라 배율 가중치를 결정한 후,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은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한다. 이때,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은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영상을 포함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5)은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과 연동하여 표시부(17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응용프로그램(116)은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유닛(1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22)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세서 유닛(120)에 포함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2) 및 주변 인터페이스(123)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화된 회로로 집적화되거나 별개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인터페이스(121)는 프로세서(122) 또는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와 같은 구성요소의 메모리(110) 접근을 제어한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는 전자 장치(100)의 입출력 주변 장치와 프로세서(122)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121)의 연결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22)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자 장치(100)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프로세서(122)는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2)는 하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 결정 프로그램(113)을 실행하는 거리 결정 프로세서(200),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을 실행하는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5)을 실행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서(220)를 포함한다.
통신 시스템(130)은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때,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수 개의 통신 서브 모듈들로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무선랜, Bluetooth 네트워크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스피커(141) 및 마이크(142)를 통해 사용자와 전자 장치(100)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카메라 시스템(150)은 동화상(moving picture) 데이터 및 정지 화상(still picture) 데이터를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출력 제어부(160)는 표시부(170) 및 입력 장치(180) 등의 입출력 장치와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표시부(17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표시한다.
표시부(17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시부(170)는 터치스크린의 터치 정보를 입출력 제어부(160)를 통해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한다.
입력 장치(18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부(160)를 통해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80)는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버튼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예를 들어, 입력 장치(18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키패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센싱부(190)는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나 전자 장치 주변의 상태 정보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시점과 초음파가 반사되어 수신되는 시점의 시간 차를 고려하여 전자 장치와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다른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의 좌표를 기준으로 좌표 변화량을 고려하여 전자 장치와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2)는 거리 결정 프로세서(200),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서(220)를 포함한다.
거리 결정 프로세서(200)는 프로그램 저장부(111)의 거리 결정 프로그램(113)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추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거리 결정 프로세서(200)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에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면적과 기준 영상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면적을 비교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여기서, 기준 영상은 기준 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의 영상을 나타낸다.
다른 예를 들어, 거리 결정 프로세서(200)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에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에서 눈, 코 및 입의 각 거리와 기준 영상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에서 눈, 코 및 입의 각 거리를 비교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거리 결정 프로세서(200)는 센싱부(190)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시점과 초음파가 반사되어 수신되는 시점의 시간 차를 고려하여 전자 장치와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거리 결정 프로세서(200)는 센싱부(190)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의 좌표를 기준으로 좌표 변화량을 고려하여 전자 장치와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는 프로그램 저장부(111)의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어 변수를 결정하고, 제어 변수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 변수는 영상 통화 데이터의 송화 음량 가중치, 수화 음량 가중치, 마이크 감도 가중치, 화면 크기 가중치 및 카메라 배율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송화 음량 가중치를 결정한다.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음성이 감지되는 경우,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는 송화 음량 가중치를 고려하여 감지된 음성의 음량을 갱신한다. 이때,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는 갱신된 음성을 포함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른 예를 들어,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송화 음량 가중치를 결정한다.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음성이 감지되는 경우,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는 감지된 음성 및 송화 음량 가중치를 포함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수화 음량 가중치를 결정한다. 영상 통화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는 수화 음량 가중치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을 송출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마이크 감도 가중치를 결정한다. 마이크 감도 가중치를 결정한 후,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는 마이크 감도 가중치를 고려하여 마이크의 감도를 결정한다. 이후,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는 마이크를 통해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음성을 감지한다. 이때,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는 감지된 음성을 포함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한다. 만일,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멀어지는 경우,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는 마이크 감도를 높인다. 또한,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가까워지는 경우,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는 마이크 감도를 낮춘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화면 크기 가중치를 결정한다. 영상 통화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는 화면 크기 가중치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에 포함된 통화 상대방의 화면 크기를 결정한다. 이때,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는 화면 결정된 화면 크기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에 포함된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한다. 만일,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먼 경우,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는 영상에서 통화 상대방의 얼굴을 기준으로 화면 크기를 확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는 영상에서 통화 상대방의 화면 크기를 기본 크기로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카메라 배율 가중치를 결정한다. 카메라 배율 가중치를 결정한 후,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는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한다. 이때,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는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영상을 포함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서(220)는 프로그램 저장부(111)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5)을 실행하여 표시부(162)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서(220)는 영상 통화 제어 프로세서(210)와 연동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어 변수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표시부(162)에 표시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어 변수를 결정하기 위한 거리 결정 프로그램(113),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5)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프로세서(122)에서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어 변수를 결정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거리 결정 프로그램(113),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5)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세서(122)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어 변수를 결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프로세서(122)는 각각 거리 결정 프로그램(113), 영상 통화 제어 프로그램(114)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115)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어 변수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301단계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 제공 중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면적 및 사용자의 얼굴에서 눈, 코 및 입의 각 거리를 고려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센싱부(190)의 초음파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와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추정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어 변수를 결정한다. 여기서, 제어 변수는 영상 통화 데이터의 송화 음량 가중치, 수화 음량 가중치, 마이크 감도 가중치, 화면 크기 가중치 및 카메라 배율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주기적으로 결정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일정 시간마다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서비스의 시작과 동시에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통해 통화 상대방과 연결된 이후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미도시 되었지만,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어 변수를 결정한 후, 제어 변수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 사용자에게 제어 변수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어 변수를 결정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어 변수를 결정하는 각각의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어 변수를 결정하는 각각의 수단을 하나의 수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송화 음량을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401단계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영상 통화 응용프로그램이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로 영상 통화 연결을 요청한다. 만일,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에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면적과 기준 영상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면적을 비교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여기서, 기준 영상은 기준 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의 영상을 나타낸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에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에서 눈, 코 및 입의 각 거리와 기준 영상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에서 눈, 코 및 입의 각 거리를 비교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센싱부(190)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시점과 초음파가 반사되어 수신되는 시점의 시간 차를 고려하여 전자 장치와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센싱부(190)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의 좌표를 기준으로 좌표 변화량을 고려하여 전자 장치와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송화 음량 가중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화 음량 가중치 테이블(1101)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1105)에 대응되는 송화 음량 가중치(1107)를 결정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 중 "20cm이상 25cm미만"을 기준 거리(1103)로 결정하여 기준 가중치(1109)를 "×1.0"으로 결정한다.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송화 음량 가중치를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를 통해 음성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마이크를 통해 음성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마이크를 통해 음성이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 송화 음량 가중치를 고려하여 마이크를 통해 감지된 음성에 대한 송화 음량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가중치가 "×1.4"로 결정되고, 마이크를 통해 "40 데시벨(dB)"의 음성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는 "40 데시벨(dB)"의 음성을 "×1.4"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56 데시벨(dB)"로 송화 음량을 갱신한다.
송화 음량 가중치를 고려하여 송화 음량을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411단계로 진행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송화 음량 가중치에 따라 결정된 송화 음량을 고려하여 갱신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송화 음량을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501단계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영상 통화 응용프로그램이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로 영상 통화 연결을 요청한다. 만일,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503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에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면적과 기준 영상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면적을 비교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여기서, 기준 영상은 기준 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의 영상을 나타낸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에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에서 눈, 코 및 입의 각 거리와 기준 영상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에서 눈, 코 및 입의 각 거리를 비교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센싱부(190)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시점과 초음파가 반사되어 수신되는 시점의 시간 차를 고려하여 전자 장치와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센싱부(190)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의 좌표를 기준으로 좌표 변화량을 고려하여 전자 장치와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송화 음량 가중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화 음량 가중치 테이블(1101)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1105)에 대응되는 송화 음량 가중치(1107)를 결정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 중 "20cm이상 25cm미만"을 기준 거리(1103)로 결정하여 기준 가중치(1109)를 "×1.0"으로 결정한다.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송화 음량 가중치를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507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를 통해 음성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마이크를 통해 음성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마이크를 통해 음성이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509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 송화 음량 가중치를 포함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통화 상대방의 전자 장치는 전송받은 송화 음량 가중치를 고려하여 전송받은 영상 통화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의 음량을 결정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마이크 감도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601단계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영상 통화 응용프로그램이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로 영상 통화 연결을 요청한다. 만일,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603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에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면적과 기준 영상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면적을 비교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여기서, 기준 영상은 기준 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의 영상을 나타낸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에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에서 눈, 코 및 입의 각 거리와 기준 영상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에서 눈, 코 및 입의 각 거리를 비교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센싱부(190)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시점과 초음파가 반사되어 수신되는 시점의 시간 차를 고려하여 전자 장치와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센싱부(190)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의 좌표를 기준으로 좌표 변화량을 고려하여 전자 장치와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605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마이크 감도(Sensitivity)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멀어지는 경우, 전자 장치는 마이크 감도를 높인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가까워지는 경우, 전자 장치는 마이크 감도를 낮춘다.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마이크 감도를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607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를 통해 음성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 마이크 감도를 고려하여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 감도가 높게 결정된 경우, 전자 장치는 기준 마이크 감도에서 감지할 수 있는 음성보다 낮은 음량의 음성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마이크 감도가 낮게 결정된 경우, 전자 장치는 기준 마이크 감도에서 감지할 수 있는 음성보다 높은 음량의 음성을 감쇠시킬 수도 있다. 만일, 마이크를 통해 음성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마이크를 통해 음성이 감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609단계로 진행하여 감지된 음성을 포함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수화 음량을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701단계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영상 통화 응용프로그램이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로 영상 통화 연결을 요청한다. 만일,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703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에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면적과 기준 영상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면적을 비교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여기서, 기준 영상은 기준 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의 영상을 나타낸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에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에서 눈, 코 및 입의 각 거리와 기준 영상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에서 눈, 코 및 입의 각 거리를 비교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센싱부(190)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시점과 초음파가 반사되어 수신되는 시점의 시간 차를 고려하여 전자 장치와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센싱부(190)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의 좌표를 기준으로 좌표 변화량을 고려하여 전자 장치와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705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수화 음량 가중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화 음량 가중치 테이블(1101)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1105)에 대응되는 수화 음량 가중치(1107)를 결정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 중 "20cm이상 25cm미만"을 기준 거리(1103)로 결정하여 기준 가중치(1109)를 "×1.0"으로 결정한다.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수화 음량 가중치를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707단계로 진행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영상 통화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를 위한 상대방과 연결이 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영상 통화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709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 수화 음량 가중치를 고려하여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에 대한 수화 음량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가중치가 "×1.4"로 결정되고, "40 데시벨(dB)"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는 "40 데시벨(dB)"의 음성을 "×1.4"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56 데시벨(dB)"로 수화 음량을 갱신한다.
수화 음량 가중치를 고려하여 수화 음량을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711단계로 진행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 수화 음량을 고려하여 갱신된 음성 데이터를 송출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수화 음량을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801단계에서 영상 통화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영상 통화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를 위한 상대방과 연결이 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전자 장치에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803단계로 진행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에서 통화 상대방의 송화 음량 가중치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화 음량 가중치 테이블(1101)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1105)에 대응되는 수화 음량 가중치(1107)를 결정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 중 "20cm이상 25cm미만"을 기준 거리(1103)로 결정하여 기준 가중치(1109)를 "×1.0"으로 결정한다.
통화 상대방의 송화 음량 가중치를 검출한 후, 전자 장치는 805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에서 검출된 통화 상대방의 송화 음량 가중치를 고려하여 수신된 영상 통화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에 대한 수화 음량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송화 음량 가중치가 "×1.4"이고, "40 데시벨(dB)"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는 "40 데시벨(dB)"의 음성을 "×1.4"의 가중치를 고려하여 "56 데시벨(dB)"로 수화 음량을 결정한다.
통화 상대방의 송화 음량 가중치를 고려하여 수화 음량을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807단계로 진행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통화 상대방의 송화 음량 가중치에 따라 결정된 수화 음량을 고려하여 갱신된 음성 데이터를 송출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화면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901단계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영상 통화 응용프로그램이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로 영상 통화 연결을 요청한다. 만일,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903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에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면적과 기준 영상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면적을 비교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여기서, 기준 영상은 기준 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의 영상을 나타낸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에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에서 눈, 코 및 입의 각 거리와 기준 영상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에서 눈, 코 및 입의 각 거리를 비교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센싱부(190)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시점과 초음파가 반사되어 수신되는 시점의 시간 차를 고려하여 전자 장치와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센싱부(190)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의 좌표를 기준으로 좌표 변화량을 고려하여 전자 장치와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905단계로 진행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영상 통화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를 위한 상대방과 연결이 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영상 통화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907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의 화면 크기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먼 경우, 전자 장치는 통화 상대방의 영상에서 얼굴을 기준으로 화면 크기를 확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전자 장치는 통화 상대방의 영상에서 화면 크기를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의 화면 크기를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909단계로 진행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 영상 통화 서비스의 화면 크기를 고려하여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먼 경우,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서비스의 화면 구성(1207)에서 기준 거리에 해당하는 통화 상대방의 영상 화면(1205)보다 확대하여 통화 상대방의 영상 화면(1211)을 표시한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서비스의 화면 구성(1201)에서 기준 거리에 해당하는 영상 화면(1205)의 크기를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카메라 배율을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1001단계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영상 통화 응용프로그램이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로 영상 통화 연결을 요청한다. 만일,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1003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에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면적과 기준 영상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면적을 비교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여기서, 기준 영상은 기준 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의 영상을 나타낸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에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에서 눈, 코 및 입의 각 거리와 기준 영상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에서 눈, 코 및 입의 각 거리를 비교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센싱부(190)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시점과 초음파가 반사되어 수신되는 시점의 시간 차를 고려하여 전자 장치와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센싱부(190)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점의 좌표를 기준으로 좌표 변화량을 고려하여 전자 장치와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1005단계로 진행하여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카메라 배율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먼 경우, 전자 장치는 카메라의 배율을 확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전자 장치는 카메라 배율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카메라의 배율을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1007단계로 진행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 카메라의 배율을 고려하여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영상을 포함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배율이 적용되지 않은 전자 장치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먼 경우, 영상 통화 서비스의 화면 구성(1207)에서 기준 거리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영상 화면(1203)보다 축소되어 표시한다. 이때, 카메라 배율이 적용된 전자 장치는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통화 서비스의 화면 구성(1213)에서 카메라 시스템(150)을 통해 확대 획득된 사용자의 영상 화면(1215)을 전송한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전자 장치는 영상 통화 서비스의 화면 구성(1201)에서 기준 거리에 해당하는 영상 화면(1203)의 크기를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어 변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변수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변수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송화 음량 가중치, 수화 음량 가중치, 마이크 감도 가중치, 화면 크기 가중치 및 카메라 배율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음성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송화 음량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감지된 음성의 음량을 갱신하는 과정과,
    상기 갱신된 음성을 포함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음성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송화 음량 가중치 및 상기 음성을 포함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영상 통화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화 음량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을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마이크 감도 가중치를 고려하여 마이크의 감도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마이크를 통해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음성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음성을 포함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영상 통화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화면 크기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에 포함된 통화 상대방의 화면 크기를 갱신하는 과정과,
    상기 화면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에 포함된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카메라 배율 가중치를 고려하여 카메라의 배율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한 영상을 포함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를 결정하는 과정은,
    카메라, 초음파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에서 상기 통화 상대방의 송화 음량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의 음량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의 음량을 고려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program)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제어 변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 변수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변수를 결정하는 명령어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영상 통화 데이터의 송화 음량 가중치, 수화 음량 가중치, 마이크 감도 가중치, 화면 크기 가중치 및 카메라 배율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명령어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음성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송화 음량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감지된 음성의 음량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음성을 포함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명령어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음성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송화 음량 가중치 및 상기 음성을 포함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명령어는,
    영상 통화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화 음량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을 송출하는 전자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명령어는,
    상기 마이크 감도 가중치를 고려하여 마이크의 감도를 결정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음성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음성을 포함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명령어는,
    영상 통화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화면 크기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에 포함된 통화 상대방의 화면 크기를 갱신하고,
    상기 화면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에 포함된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명령어는,
    상기 카메라 배율 가중치를 고려하여 카메라의 배율을 결정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영상을 포함한 영상 통화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를 결정하는 명령어는,
    카메라, 초음파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얼굴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2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program)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영상 통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에서 상기 통화 상대방의 송화 음량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영상 통화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의 음량을 결정하고,
    상기 음성의 음량을 고려하여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20071966A 2012-07-02 2012-07-02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44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966A KR102044498B1 (ko) 2012-07-02 2012-07-02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3/923,914 US9282282B2 (en) 2012-07-02 2013-06-21 Method for providing video communication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966A KR102044498B1 (ko) 2012-07-02 2012-07-02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974A true KR20140003974A (ko) 2014-01-10
KR102044498B1 KR102044498B1 (ko) 2019-11-13

Family

ID=49777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966A KR102044498B1 (ko) 2012-07-02 2012-07-02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82282B2 (ko)
KR (1) KR1020444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1088A1 (ko) * 2020-08-07 2022-02-10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2050561A1 (ko) * 2020-09-01 2022-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22065663A1 (ko) * 2020-09-25 2022-03-31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3237B2 (en) * 2017-03-06 2020-02-04 JVC Kenwood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device
CN110970057B (zh) * 2018-09-29 2022-10-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声音处理方法、装置与设备
CN113284504A (zh) * 2020-02-20 2021-08-20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姿态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1595A1 (en) * 2001-02-23 2002-10-03 Jouppi Norman P. System and method for audio telepresence
JP2004040491A (ja) * 2002-07-03 2004-02-05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映像通信装置
KR20050120390A (ko) * 2004-06-1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거리 센서를 이용한 스피커폰 제어장치와 방법
KR100650022B1 (ko) * 2004-05-13 2006-11-24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상황인지형 화상 채팅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70045651A (ko) * 2005-10-28 2007-05-02 주식회사 팬택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른 볼륨 조절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49729A (ko) * 2005-11-09 2007-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US20080062252A1 (en) * 2006-09-08 2008-03-13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mixing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09294728A (ja) * 2008-06-02 2009-12-17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表示処理装置、表示処理方法、表示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KR20100131221A (ko) * 2009-06-05 2010-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통화시 음성 신호의 출력 레벨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1055076A (ja) * 2009-08-31 2011-03-17 Fujitsu Ltd 音声通話装置及び音声通話方法
WO2011063830A1 (en) * 2009-11-24 2011-06-03 Nokia Corporation A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771B1 (ko) 2000-12-23 2006-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통화용 휴대폰
EP1433335B1 (en) * 2001-08-15 2010-09-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3d video conferencing system
US20030169339A1 (en) * 2001-10-01 2003-09-11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 object during video communication
US6882971B2 (en) * 2002-07-18 2005-04-19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listener differentiation of talkers during a conference call
KR100556914B1 (ko) 2003-12-18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대일 방식의 휴대폰 화상통화 서비스 방법
JP2006135837A (ja) * 2004-11-09 2006-05-25 Nec Access Technica Ltd テレビ電話
US20070165106A1 (en) * 2005-05-02 2007-07-19 Groves Randall D Distributed Videoconferencing Processing
KR100724420B1 (ko) 2005-09-09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 게인제어장치 및 방법
DE602007007581D1 (de) * 2007-04-17 2010-08-19 Harman Becker Automotive Sys Akustische Lokalisierung eines Sprechers
US20080278516A1 (en) * 2007-05-11 2008-11-13 Santon John 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perceived eye rotation in image of face
US8355040B2 (en) * 2008-10-16 2013-01-15 Teliris, Inc. Telepresence conference room layout, dynamic scenario manager, diagnostics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170338B1 (ko) 2009-09-05 2012-08-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화상 통화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10019U (ko) 2009-09-14 2009-10-05 윤효권 화상통화휴대폰을 이용한 무인 감시 시스템
US8330793B2 (en) * 2009-10-09 2012-12-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deo conference
US8466952B2 (en) * 2009-10-27 2013-06-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nalysis of video composition of participants in a video conference
JP2012242948A (ja) * 2011-05-17 2012-12-10 Sony Corp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868597B1 (ko) * 2011-09-20 2018-06-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올바른 기기사용자세 유도 장치 및 방법
US10595014B2 (en) * 2011-09-28 2020-03-17 Koninklijke Philips N.V. Object distance determination from image
US8880605B2 (en) * 2012-06-27 2014-11-04 RHUB Communications Browser based web conferencing employing attendee side image scaling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1595A1 (en) * 2001-02-23 2002-10-03 Jouppi Norman P. System and method for audio telepresence
JP2004040491A (ja) * 2002-07-03 2004-02-05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映像通信装置
KR100650022B1 (ko) * 2004-05-13 2006-11-24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상황인지형 화상 채팅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50120390A (ko) * 2004-06-1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거리 센서를 이용한 스피커폰 제어장치와 방법
KR20070045651A (ko) * 2005-10-28 2007-05-02 주식회사 팬택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른 볼륨 조절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49729A (ko) * 2005-11-09 2007-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동작감지를 통한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US20080062252A1 (en) * 2006-09-08 2008-03-13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mixing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09294728A (ja) * 2008-06-02 2009-12-17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表示処理装置、表示処理方法、表示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KR20100131221A (ko) * 2009-06-05 2010-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통화시 음성 신호의 출력 레벨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1055076A (ja) * 2009-08-31 2011-03-17 Fujitsu Ltd 音声通話装置及び音声通話方法
WO2011063830A1 (en) * 2009-11-24 2011-06-03 Nokia Corporation An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1088A1 (ko) * 2020-08-07 2022-02-10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2050561A1 (ko) * 2020-09-01 2022-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22065663A1 (ko) * 2020-09-25 2022-03-31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02574A1 (en) 2014-01-02
US9282282B2 (en) 2016-03-08
KR102044498B1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777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ending virtual information card
CN108270919B (zh) 一种终端亮度调节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817939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移动终端
EP29988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unning application program
WO2019091486A1 (zh) 拍照处理的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KR102044498B1 (ko)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591120B2 (en) Method and device for adding application badge
US2017006026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external equipment
EP29277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picture
US20160226519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pressing firmware program, method and device for decompressing firmware program
EP3046068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page display
CN107741814B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20140004426A (ko) 영상 통화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322167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frequencies of intercom apparatuses
EP3015983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timizing memory
EP3322227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wireless connection,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8829475B (zh) Ui绘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8307105B (zh) 一种拍摄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229165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esenting tasks
EP3425533A1 (en) Displaying page
US201700756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pplication and smart device using the same
CN111541922B (zh) 显示界面输入信息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5955637B (zh) 处理文本输入框的方法和装置
US20170013118A1 (en) Electronic device and notification method thereof
CN107256149B (zh) 用户界面的更新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