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419U -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charging cradle therefor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charging cradle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419U
KR20140003419U KR2020120011089U KR20120011089U KR20140003419U KR 20140003419 U KR20140003419 U KR 20140003419U KR 2020120011089 U KR2020120011089 U KR 2020120011089U KR 20120011089 U KR20120011089 U KR 20120011089U KR 20140003419 U KR20140003419 U KR 201400034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air
contact
portable terminal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08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염동석
Original Assignee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11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419U/en
Publication of KR201400034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419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촉부가 병렬 형태로 확장된 접속단자를 구비하여 접속단자간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휴대단말기 및 이를 위한 충전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속단자는 판 형상의 이음부 및 상기 이음부의 양측이 대향되도록 굽혀진 한 쌍의 제1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1 접촉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형성된 제1 단자구멍을 향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거치대는 휴대단말기가 안착되는 거치대 본체에 한 쌍의 제2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속단자는 단자 고정구에 끼워지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고 휘어짐이 가능한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거치대 본체에 형성된 제2 단자구멍을 통해 전면부 상에 돌출되도록 꺾인 제2 접촉부를 단부에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extended in a parallel form with a contact portion to improve contact reliability between connection terminals and a charging stand for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pair of first connection terminals provided on a main body of the terminal,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plate-like joint portion and a pair of bent portions And the pair of first contact portions extend in parallel to the first terminal hole formed in the terminal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cradle includes a pair of second connection terminals on a cradle main body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seate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fixing portion fitted to the terminal fixing portion, Wherein the extension has a second contact portion at an end thereof which is bent so as to project on the front portion through a second terminal hole formed in the base body.

Description

휴대단말기 및 이를 위한 충전거치대{PORTABLE TERMINAL DEVICE AND CHARGING CRADLE THEREFO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a charging cradle for the same,

본 고안은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접속단자를 갖는 휴대단말기 및 이를 위한 충전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for charging a battery and a charging stand for the portable terminal.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 예컨대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소모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케이블 혹은 충전거치대가 사용된다. 충전거치대는,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426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충전케이블이 탈착될 수 있으며, 충전케이블에는 상용전압을 충전전압으로 변환하는 어댑터가 구비된다.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such as a cellular phone with a built-in battery is used. The portable terminal is powered by the built-in battery, and a charging cable or a charging stand is used to charge the spent battery. The charging cradle can be detached, for example, 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44264, and the charging cable is provided with an adapter for converting a commercial voltage to a charging voltage.

배터리를 내장한 채로 충전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및 이를 위해 휴대단말기가 거치되는 충전거치대의 일 예가 도 1a와 도 1b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10)와 충전거치대(20)는 상보적으로 접촉가능한 접속단자(12, 22)를 각기 가지며, 이를 통해 상호 접속된다. 접속단자(12, 22)는 암형단자와 수형단자를 포함하며, 휴대단말기(10)와 충전거치대(20)에 나뉘어 구비된다. 또한, 휴대단말기(10)와 충전거치대(20)에 구비된 복수의 접속단자(12, 22)는 기능별로 전원단자, 접지단자, 식별단자로 사용된다.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charged with a built-in battery and a charging stand 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s shown in FIGS. 1A and 1B, respectively. Referring to FIGS. 1A and 1B,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the charging cradle 20 have connection terminals 12 and 22 which can be complementarily contacted with each other. The connection terminals 12 and 22 include a female terminal and a male terminal and are divided into a portable terminal 10 and a charging cradle 20. The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12 and 22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the charging cradle 20 are used as a power terminal, a ground terminal and an identification terminal by function.

접속단자(12, 22)는 금속 박판을 소정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접속단자(12, 22) 중에서 휴대단말기(10)에 구비되는 암형단자는 작은 판(plate) 형태로 외부에 드러나는 접촉부를 가지며, 충전거치대(20)에 구비되는 수형단자는 핀(pin) 형태로 돌출되는 접촉부를 가진다. 따라서, 휴대단말기(10)를 충전거치대(20)에 거치시키면, 암형단자의 접촉부와 이에 대면하는 수형단자의 접촉부가 밀착되면서 서로 접촉된다. 즉, 충전케이블의 어댑터에서 변환된 충전전압이 충전거치대(20)를 통해 휴대단말기(10)로 전달될 수 있어 휴대단말기(10)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s 12 and 22 are formed by bending a thin metal plate into a predetermined shape. The female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10 has a contact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form of a small plate and the male terminal provided in the charging cradle 20 is in the form of a pin And has a protruding contact portion. Therefor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mounted on the charging stand 20, the contact portions of the female terminals and the contact portions of the male terminals facing to each other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at is, the charging voltage converted from the adapter of the charging cable can be transferr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through the charging cradle 20, so that the battery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be charg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4264호(등록일 2001.08.14)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44264 (registered on August 14, 2001)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거치대를 사용하여 충전하기 위해서는, 휴대단말기와 충전거치대에 구비되는 복수의 접속단자가 기능별로 모두 접촉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접속단자마다 단일한 형태의 접촉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접속단자간 접촉 불량이 쉽게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휴대단말기와 충전거치대 각각에 구비되는 접속단자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접촉부가 이물질이 끼거나 묻어 오염되거나 또는 접촉부가 도금이 벗겨져 손상되거나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된 경우 등에는 충전거치대를 통해 휴대단말기에 충전전압을 제대로 전달할 수 없어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정상적으로 충전하기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charge the battery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charging st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harging stand must be contacted by function. However, conventionally, since a single contact portion is provided for each connection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a contact failure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s is easily caused. That is, when any one of the connection terminal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harging stand is contaminated or dirty, or if the contact portion is damaged due to peeling or being deformed by an external impact, The charging voltage can not be properly transmitted and the battery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can not be normally charged.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촉부가 병렬 형태로 확장된 접속단자를 구비하여 접속단자간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휴대단말기 및 이를 위한 충전거치대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ntact terminal extended in parallel to improve contact reliability between connection terminals and a charge holder for the sam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배터리가 내장되며 하단에서 개방되는 한 쌍의 제1 단자구멍을 갖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단자구멍 각각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드러나는 한 쌍의 제1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단자는 판 형상의 이음부 및 상기 이음부의 양측이 대향되도록 굽혀진 한 쌍의 제1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1 접촉부는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제1 단자구멍을 향해 평행하게 연장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terminal body having a battery and a pair of first terminal holes opened at a lower end thereof, a substrate mounted inside the terminal body, And a pair of first connection terminals through which a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each of the pair of first terminal holes,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has a plate-like joint portion and a pair of bent portions And the pair of first contact portions extend in parallel from the substrate toward the first terminal hole.

상기 제1 접촉부는 복수의 겹으로 접혀 포개어진 변형 방지부를 상기 제1 단자구멍을 향하는 단부에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 방지부는 상기 제1 단자구멍을 향해 경사진 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contact portion may have a plurality of folded folded deformation preventing portions at the end portion facing the first terminal hole. In addition, the deformation preventing portion may have an inclined edge toward the first terminal hole.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이음부와 상기 변형 방지부 사이에서 돌출되어 상기 기판에 끼워지는 돌기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contact portion may have a protrusion protruded between the joint portion and the deformation preventing portion and fitted to the substrat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거치대는 전술한 휴대단말기가 거치되는 충전거치대이며, 상기 휴대단말기가 안착되는 경사진 전면부를 가지며, 상기 전면부의 하부에서 개방된 한 쌍의 제2 단자구멍을 갖는 거치대 본체와, 상기 거치대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단자 고정구와, 상기 단자 고정구에 의해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단자구멍을 통해 타단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단자는 상기 단자 고정구에 끼워지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고 휘어짐이 가능한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단자구멍을 통해 상기 전면부 상에 돌출되도록 꺾인 제2 접촉부를 단부에 갖는다.The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rging cradl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above is mounted, has a slanting front portion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seated, and has a pair of second terminal holes ope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And a pair of second connections,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terminal fixture, and a part of the other end is proj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air of second terminal holes,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fixing portion fitted to the terminal fixing portion and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in parallel from the fixing portion and capable of bending,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bent at an end portion so as to protrude from the front portion.

상기 거치대 본체는 상기 제2 접속단자마다 구비된 상기 한 쌍의 제2 접촉부의 양측을 협지하며, 상기 한 쌍의 제1 단자구멍 각각에 삽입가능하게 돌출되는 한 쌍의 끼움부를 상기 전면부의 하부에 가질 수 있다.And the pair of first contact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holes, respectively, and the pair of first contact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Lt; / RTI >

상기 연장부는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을 가질 수 있다.The extending portion may have a slit form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및 이를 위한 충전거치대는,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복수의 접속단자를 각각 가지며, 복수의 접속단자는 병렬 형태로 확장된 접촉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와 충전거치대에 구비된 복수의 접속단자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접촉부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손상이나 변형 등이 된 경우에도 병렬 형태로 확장된 접촉부를 통해 접속단자간의 접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접속단자간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휴대단말기와 충전거치대의 접속 시 접속단자간에 접촉 불량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원활하게 충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and a charging stand for the portable terminal each have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for charging a battery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are formed to have extended contact portions in parallel. Therefore, even when any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harging stand is contaminated, damaged or deformed by the foreign substance, contact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s can be made possible through the extended contact portions The contact reliability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s can be improved.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contact failure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s when 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harging stand, so that the battery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moothly charged.

도 1a는 종래의 일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휴대단말기가 거치되는 충전거치대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설치되는 기판 및 제1 충전단자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충전단자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거치대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거치대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단자 고정구 및 제2 충전단자를 보인 사시도이다.
1A is a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related art.
FIG. 1B is a view showing a charging cradl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substrate and a first charging terminal installe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charging terminal shown in FIG.
5 is a view showing a charging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harge hol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erminal fixture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및 이를 위한 충전거치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 portable terminal and a charging stand for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에서, 휴대단말기는 휴대폰, 휴대용 무전기, 무선 전화기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전력이 소모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거치대가 사용될 수 있는 DMB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PMP 등의 다양한 휴대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cellular phone, a portable radio, and a wireless telephone.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uilt-in battery. And may include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DMB player, an MP3 player, and a PMP that can be used.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와 충전거치대는 접속단자를 각각 가지며, 이들 접속단자끼리 접촉되는 배터리 충전 구조를 갖는다.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harging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have connection terminals, and have a battery charging structure in which these connection terminal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미도시)가 내장되는 단말기 본체(110)를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110)에는 배터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탈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말기 본체(1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body 110 having a battery (not shown) therein, as shown in FIG. The terminal body 1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or detachably attached to the terminal body 110. The terminal body 110 may have various shapes.

단말기 본체(110)의 전면부(112)에는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다양한 버튼(112a)과 휴대단말기(100)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출력창(112b) 등이 구비된다. 단말기 본체(110) 내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 즉 배터리에 충전전압을 공급하기 위해서 단말기 본체(110)의 하단에는 후술되는 제1 접속단자(130)가 드러나도록 개방되는 한 쌍의 제1 단자구멍(114)이 구비된다. 실시예에서, 제1 단자구멍(114)은 사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110)는 한 쌍의 제1 단자구멍(114) 사이에 커넥터 접속구(116)를 구비하여 충전케이블과 직접 커넥터 연결될 수 있다.The front body 112 of the terminal body 110 is provided with various buttons 112a that can be operated by the user and an output window 112b that shows the oper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 A first connection terminal 130 to be described later is opened at the lower end of the terminal main body 110 in order to charge the battery built in the terminal main body 110, A terminal hole 114 is provided. In the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hole 114 is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to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and a polygonal shape. The terminal body 110 may have a connector connection port 116 between a pair of first terminal holes 114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harge cable.

단말기 본체(110)는 내부가 빈 중공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단말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전자 부품들이 실장되는 기판(120)이 설치된다. 기판(120)은 플라스틱판 위에 각종 전자 부품들을 실장할 수 있도록 배선을 인쇄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한다. 기판(120)은 단말기 본체(11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와 모서리에 고정홈(122)과 고정구멍(124)을 구비한다. 고정구멍(124)에는 단말기 본체(110)와 기판(120)을 고정하도록 나사 등이 끼워져 체결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110 has a hollow hollow structure. Inside the terminal body 110, as shown in FIG. 3, a substrate 120 on whic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mounted is installed. The substrate 120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printed with wiring so that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mounted on a plastic plate. The substrate 120 has fixing holes 122 and fixing holes 124 at edges and corners so that the substrate 120 can be fixed inside the terminal body 110. A screw or the like may be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fixing hole 124 to fix the terminal body 110 and the substrate 120.

기판(120)에는, 단말기 본체(110)의 하단에 면하는 단부에 한 쌍의 제1 접속단자(130)가 결합된다. 또한, 한 쌍의 제1 접속단자(130)는 기판(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충전거치대에 구비된 제2 접속단자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1 단자구멍(114)을 통해 일부가 외부에 노출된다.A pair of first connection terminals 130 are coupled to the substrate 120 at an end facing the lower end of the terminal main body 110. The pair of first connection terminals 130 are connected to the board 120 through a pair of first terminal holes 114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s provided on the charging stand, And exposed to the outside.

제1 접속단자(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박판을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접속단자(130)는 판 형상의 이음부(132) 및 이음부(132)의 양측이 대향되도록 굽혀진 한 쌍의 제1 접촉부(134)를 가진다. 즉, 이음부(132)와 한 쌍의 제1 접촉부(134)는 일체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제1 접촉부(134)는 서로 평행하게 이음부(132)로부터 연장된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30 may be formed by bending a thin metal plate, as shown in FIG. In the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30 has a plate-like joint portion 132 and a pair of first contact portions 134 bent so that both sides of the joint portion 132 are opposed to each other. That is, the joint portion 132 and the pair of first contact portions 134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pair of first contact portions 134 extend from the joint portion 132 in parallel with each other.

한 쌍의 제1 접촉부(134) 각각의 단부에는 복수의 겹으로 접혀 포개어진 변형 방지부(134a)가 구비된다. 또한, 변형 방지부(134a)에는 제1 단자구멍(114)을 향해 경사진 가장자리(134b)가 구비된다(여기서, 제1 단자구멍(114)을 향하는 제1 접촉부(134)의 끝단, 즉 변형 방지부(134a)의 가장자리(134b)는 충전거치대에 구비되는 제2 접속단자와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제1 접촉부(134)에 변형 방지부(134a)를 구비함으로써, 충전거치대의 제2 접속단자와의 접촉 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크랙이나 휘어짐 등이 발생하여 제1 접촉부(134)가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변형 방지부(134a)의 가장자리(134b)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휴대단말기(100)가 충전거치대에 다양한 각도로 기울어져 거치되더라도 거치되는 각도와 상관없이 제1 접속단자(130)와 이에 대응되는 제2 접속단자를 접촉시킬 수 있다. 제1 접속단자(130)는 이음부(132)와 변형 방지부(134a) 사이의 제1 접촉부(134)에서 돌출되는 돌기(134c)를 통해 기판(120)에 끼워진다. 즉, 제1 접속단자(130)는 한 쌍의 돌기(134c)를 통해 기판(120)에 고정된다.At each end of each of the pair of first contact portions 134, there is provided a plurality of folded folded over deformation preventing portions 134a. The deformation preventing portion 134a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edge 134b toward the first terminal hole 114. Herein, the end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134 facing the first terminal hole 114, i.e., And the edge 134b of the prevention portion 134a is a portion which is substantially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charging stand). By providing the deformation preventing portion 134a in the first contacting portion 134 as described above, cracks, warping, and the like are generated by the pressing force applied when the charging cradle contacts the second connecting terminal,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or deformed. The edge 134b of the deformation preventing portion 134a is inclined so that even if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clined at various angles to the charging st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30 and the So that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can be brought into contac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30 is fitted to the substrate 120 through the protrusion 134c protruding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134 between the joint portion 132 and the deformation preventing portion 134a.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30 is fixed to the substrate 120 through the pair of projections 134c.

휴대단말기(1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접속단자(130)는 전원단자와 접지단자로 각각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접속단자(130)는 병렬 형태로 이루어진 제1 접촉부, 즉 이음부(132)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접촉부(134)를 갖기 때문에 접촉 부분이 확장된다. 즉, 한 쌍의 제1 접촉부(134) 중 어느 하나라도 접촉이 이루어지면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접속단자간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air of first connection terminals 130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used as a power terminal and a ground terminal, respectively. In an embodiment, the contact portion extends becaus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30 has a first contact portion in parallel, that is, a pair of first contact portions 134 extending in parallel from the joint portion 132. That is, if any one of the pair of first contact portions 134 is contacted, the battery can be charged, thereby improving the contact reliability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s.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100)가 거치되는 충전거치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harging stand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mount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거치대(2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100)가 수용되는 경사진 전면부(212)를 갖는 거치대 본체(210)를 포함한다. 거치대 본체(210)는 휴대단말기(100)의 형상에 맞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휴대단말기(100)를 동시에 거치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전면부(212)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거치대 본체(210)는 여러 개의 부품이 조립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거치대 본체(21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5 and 6, the charging crad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dle body 210 having an inclined front portion 212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accommodated do. The main body 210 may have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may have a plurality of front portions 212 so that the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100 can be simultaneously mounted. In addition, the mount base body 2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omponents are assembled, and an empty space is formed in the mount base body 210.

휴대단말기(100)가 안착되는 전면부(212)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2 단자구멍(214)이 구비된다. 한 쌍의 제2 단자구멍(214)은 휴대단말기(1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단자구멍(114)에 대응하여 전면부(212) 하부에서의 위치, 간격 등이 정해진다.A pair of second terminal holes 214 are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212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mounted. The pair of second terminal holes 214 corresponds to a pair of first terminal holes 114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positions, intervals, and the lik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212 are determined.

충전거치대(200)는 후방에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충전케이블(240)을 포함한다. 충전케이블(240)의 일단에는 커넥터(242)가 구비되며, 타단에는 플러그를 가지며 상용전압(예, AC 110~220V)을 충전전압(예, DC 5V)로 변환하는 어댑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충전케이블(240)은 실시예에서와 같이 충전거치대(20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충전거치대(200)에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충전거치대(200)의 내부에는 충전케이블(240)의 일단에 구비되는 커넥터(242)가 끼워지는 커넥터 접속구(250)가 구비되며, 이러한 커넥터 접속구(250)는 거치대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260)에 실장된다. 또한, 기판(260)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어댑터에서 변환된 충전전압이 후술되는 제2 접속단자(23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전선(262)을 통해 제2 접속단자(230)와 연결된다.The charging cradle 200 includes a charging cable 240 detachably connected at the rear. An adapter (not shown) for converting a commercial voltage (for example, AC 110 to 220V) to a charging voltage (for example, DC 5V)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charging cable 240 and a connector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do. The charging cable 24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harging cradle 200 as in the embodiment or integrated into the charging cradle 200. The charging cradle 200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connection port 250 through which a connector 242 provided at one end of the charging cable 240 is inserted. The connector connection port 250 is installed inside the cradle body 210 (Not shown). The substrate 260 also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30 through the wire 262 so that the charge voltage converted at the adapter can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30 do.

거치대 본체(210)의 내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고정구(220)가 결합된다. 단자 고정구(220)는 한 쌍의 제2 접속단자(230)를 끼워 거치대 본체(210)의 내부에서 지지한다. 단자 고정구(220)는 거치대 본체(210)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단자 고정구(220)는 한 쌍의 제2 접속단자(230)가 끼워지는 홈을 양측에 가지며, 중앙에 나사 구멍(222)을 가진다. 단자 고정구(220)는 나사 구멍(222)에 끼워지는 나사를 통해 거치대 본체(210)에 고정될 수 있다.7, the terminal fixture 22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radle body 210. As shown in Fig. The terminal fixture 220 supports the pair of second connection terminals 230 in the interior of the cradle body 210 by interposing the pair of second connection terminals 230 therebetween. The terminal fixture 220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such as the cradle body 210. The terminal fixture 220 has grooves on both sides where the pair of second connection terminals 230 are fitted and has a screw hole 222 at the center. The terminal fixture 220 can be fixed to the holder main body 210 through a screw fitted in the screw hole 222.

거치대 본체(210)의 내부에서 한 쌍의 제2 접속단자(230)는 단자 고정구(220)로부터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그 단부의 일부가 한 쌍의 제2 단자구멍(214) 각각을 통해 외부에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제2 접속단자(230)는 단자 고정구(220)에 끼워지는 블록 형상의 고정부(232)와, 고정부(232)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어 휘어짐이 가능한 가는 판 형상의 한 쌍의 연장부(234)를 가진다. 또한, 한 쌍의 연장부(234) 각각은 제2 단자구멍(214)을 통해 거치대 본체(210)의 전면부(212) 상으로 돌출되도록 꺾인 제2 접촉부(235)를 갖는다.A pair of second connection terminals 230 extend inwardly from the terminal fixture 220 in an inclined manner and a part of the ends of the pair of second connection terminals 230 extends through each of the pair of second terminal holes 214 And projects outwardly. That is,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30 includes a block-shaped fixing portion 232 fitted to the terminal fixing portion 220, and a pair of thin plate- (234). Each of the pair of extension portions 234 has a second contact portion 235 that is bent so as to protrude onto the front portion 212 of the base 210 via the second terminal hole 214.

이와 같이, 충전거치대(2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접속단자(230) 각각은 병렬 형태의 제2 접촉부, 즉 고정부(232)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234)와, 한 쌍의 연장부(234) 각각의 단부에서 상방을 향해 꺾인 제2 접촉부(235)가 구비되어 휴대단말기(100)의 제1 접속단자(130)와 접촉되는 부분이 확장된다. 즉, 휴대단말기(100)와 충전거치대(200)의 접속 시 한 쌍의 제2 접촉부(235) 중 어느 하나라도 휴대단말기(100)에 구비되는 제1 접속단자(130)의 제1 접촉부(134)와 접촉이 이루어지면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접속단자간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pair of second connection terminals 230 provided in the charging cradle 200 has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234 extending in parallel from the second contact portion in parallel form, that is, the fixing portion 232 A second contact portion 235 bent upward is provided at an end of each of the pair of extension portions 234 so that the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at contacts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30 is extended. That is,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cradle 200, any one of the pair of second contact portions 23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134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30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battery so that the contact reliability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s can be improved.

한편, 제2 접속단자(230)의 연장부(234)에는 연장 방향을 따라 살빼기 홀, 즉 슬릿(234a)이 형성된다. 즉, 연장부(234)에 슬릿(234a)을 형성함으로써 접속단자간의 접촉 시 제2 접촉부(235)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연장부(234)가 탄성범위 내에서 원활하게 휘어진다. 연장부(234)의 휘어지는 정도는 슬릿(234a)의 폭, 길이 등을 다르게 하여 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a slit 234a is formed in the extending portion 234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30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That is, by forming the slit 234a in the extension portion 234, the extension portion 234 is smoothly bent within the elastic range by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235 when the connection terminals are contacted.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extension portion 234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width, length, etc. of the slit 234a.

거치대 본체(2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단자구멍(214) 각각에 하나씩의 제2 접속단자(230)가 대응되며, 제2 접속단자(230)마다 한 쌍의 제2 접촉부(235)가 구비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제2 단자구멍(214) 각각을 통해 한 쌍의 제2 접촉부(235)가 돌출된다. 전면부(212) 상에 돌출된 제2 접촉부(235)는 휴대단말기(100)에 구비된 제1 접촉부(134)와 밀착되어 접촉되면서 거치대 본체(210)으로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며, 제1 접촉부(134)와의 접촉이 해제되면 원래의 상태로 회복된다. 실시예에서는, 휴대단말기(100) 측의 제1 접촉부(134)와 충전거치대(200) 측의 제2 접촉부(235)가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끼움부(270)가 한 쌍의 제2 단자구멍(214)에 맞춰 전면부(212)의 하부에 구비된다. 한 쌍의 끼움부(270) 각각은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접촉부(235)의 양측을 협지하도록 전면부(212)의 하부에서 돌출된다. 이러한 끼움부(270)는, 휴대단말기(100)의 거치 시에 대응되는 제1 단자구멍(114)에 삽입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100)가 충전거치대(2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제1 접촉부(134)와 제2 접촉부(235)의 접촉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30 corresponds to each of the pair of second terminal holes 214 provided in the base 210 and a pair of second contact portions 235 are provided for each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s 230. [ . Therefore, a pair of second contact portions 235 protrude through each of the pair of second terminal holes 214. The second contact portion 235 protruding on the front portion 212 is elastically deformed inward by the cradle body 210 while closely contac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134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134) is released, the original state is restored. The fitting portion 270 is formed in a shape such that the first contact portion 134 on the portable terminal 100 side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235 on the charging stand 200 side are in stabl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212 in alignment with the hole 214. Each of the pair of fitting portions 270 protrud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212 to sandwich both sides of a pair of second contacting portions 235 protruding outward. The fitting portion 270 is inserted into the first terminal hole 114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first contact portion 134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235 from being arbitrarily released in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mounted on the charging stand 20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100) 및 이를 위한 충전거치대(200)는, 휴대단말기(100)에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상보적으로 접촉가능한 복수의 접속단자(130, 230)를 가지며, 접촉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접속단자(130, 230) 각각은 병렬 형태로 이루어진 접촉부(134, 235)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배터리의 충전 불량 상태를 야기하지 않고 휴대단말기(100)에 내장된 배터리를 정상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harging cradle 200 for the portable terminal 10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for example, 130 and 230. To increase the contact reliability,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130 and 230 has contact portions 134 and 235 formed in parallel. Therefore, the battery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normally charged without causing a poor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휴대단말기 110: 단말기 본체
114: 제1 단자구멍 120: 기판
130: 제1 접속단자 132: 이음부
134: 제1 접촉부 200: 충전거치대
210: 거치대 본체 212: 전면부
214: 제2 단자구멍 220: 단자 고정구
230: 제2 접속단자 235: 제2 접촉부
270: 끼움부
100: portable terminal 110:
114: first terminal hole 120:
130: first connection terminal 132:
134: first contact portion 200: charging holder
210: cradle body 212: front part
214: second terminal hole 220: terminal fastener
230: second connection terminal 235: second contact portion
270:

Claims (7)

배터리가 내장되며 하단에서 개방되는 한 쌍의 제1 단자구멍을 갖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단자구멍 각각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드러나는 한 쌍의 제1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단자는 판 형상의 이음부 및 상기 이음부의 양측이 대향되도록 굽혀진 한 쌍의 제1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1 접촉부는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제1 단자구멍을 향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휴대단말기.
A terminal body having a battery and a pair of first terminal holes opened at a lower end thereof,
A board mounted inside the terminal main body,
And a pair of first connection terminals coupled to ends of the substrate and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each of the pair of first terminal holes,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has a plate-shaped joint portion and a pair of first contact portions bent so that both sides of the joint portion face each other, wherein the pair of first contact portions are parallel to the first terminal hole Prolonged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는 복수의 겹으로 접혀 포개어진 변형 방지부를 상기 제1 단자구멍을 향하는 단부에 갖는 휴대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tact portion has a plurality of folded folded over deformation preventing portions at the end portions facing the first terminal hol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방지부는 상기 제1 단자구멍을 향해 경사진 가장자리를 갖는 휴대단말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deformation preventing portion has an edge inclined toward the first terminal ho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이음부와 상기 변형 방지부 사이에서 돌출되어 상기 기판에 끼워지는 돌기를 갖는 휴대단말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contact portion has a protrusion protruded between the joint portion and the deformation preventing portion and fitted to the substrat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거치되는 충전거치대이며,
상기 휴대단말기가 안착되는 경사진 전면부를 가지며, 상기 전면부의 하부에서 개방된 한 쌍의 제2 단자구멍을 갖는 거치대 본체와,
상기 거치대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단자 고정구와,
상기 단자 고정구에 의해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단자구멍을 통해 타단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단자는 상기 단자 고정구에 끼워지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고 휘어짐이 가능한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단자구멍을 통해 상기 전면부 상에 돌출되도록 꺾인 제2 접촉부를 단부에 갖는
충전거치대.
A charging cradle for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cradle main body having an inclined front portion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seated and having a pair of second terminal holes ope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A terminal fixture fixed to the inside of the cradle main body,
And a pair of second connection terminals,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terminal fixture, and a part of the other end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pair of second terminal holes,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fixing portion fitted to the terminal fixing portion and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in parallel from the fixing portion and capable of bending, the extending portion projecting on the front portion through the second terminal opening Having a second contact portion that is bent so as to have an end
Charging stan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는 상기 제2 접속단자마다 구비된 상기 한 쌍의 제2 접촉부의 양측을 협지하며, 상기 한 쌍의 제1 단자구멍 각각에 삽입가능하게 돌출되는 한 쌍의 끼움부를 상기 전면부의 하부에 갖는 충전거치대.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pair of first contact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holes, respectively, and the pair of first contact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Charging cradle with.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을 갖는 충전거치대.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extending portion has a slit form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KR2020120011089U 2012-11-30 2012-11-30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charging cradle therefor KR2014000341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089U KR20140003419U (en) 2012-11-30 2012-11-30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charging cradl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089U KR20140003419U (en) 2012-11-30 2012-11-30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charging cradle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419U true KR20140003419U (en) 2014-06-10

Family

ID=52444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089U KR20140003419U (en) 2012-11-30 2012-11-30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charging cradle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419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64277C (en) Fixing structure of battery seat affixing cross-over connection equipment
JP4908621B1 (en) Electronics
US8773067B2 (en) Charging base with drainage features
US9871312B2 (en) Foldable plu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474486B1 (en) Connector for battery
US8277246B2 (en) Battery terminal adapter
US805247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lectrostatic protection
JP4937418B2 (en) Electronics
KR20140003419U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charging cradle therefor
US20050170676A1 (en) Battery charger
CN201044260Y (en) Notebook computer antenna fixing structure
US8100714B2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0629533B1 (en) docking and charging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US20110130043A1 (en) Combination of socket and plug for battery connector
CN203312845U (en) Charger
US20140340028A1 (en) Charger with hub
US7066745B1 (en) Power supply connector
US7179098B2 (en) Terminal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JP2003051875A (en) Charger for wireless telephone
US20090289597A1 (en) Charging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1360357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microphone device
KR101291775B1 (en) Smart wall socket
CN210490736U (en) Charging adapter
CN209860636U (en) Power adapter capable of directly charging mobile phone
CN108023249B (en) Adjustable charging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