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311A -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311A
KR20140003311A KR1020120144721A KR20120144721A KR20140003311A KR 20140003311 A KR20140003311 A KR 20140003311A KR 1020120144721 A KR1020120144721 A KR 1020120144721A KR 20120144721 A KR20120144721 A KR 20120144721A KR 20140003311 A KR20140003311 A KR 20140003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information
request signal
level
information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환주
박경민
김대호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03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3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은 교통 정보의 레벨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 및 수집 데이터를 변환하여 레벨 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레벨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인 송신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본 발명은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벨 별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단말은 교통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교통 정보를 제공한다. 즉,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교통 정보가 단말로 통신망을 통해 제공됨으로써, 단말은 최근 갱신된 교통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교통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확대, 축소 또는 이동을 요청하는 입력에 따라 빈번하게 교통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다수의 단말로 교통정보를 빈번하게 전송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레벨 별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교통 정보의 레벨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 및 수집 데이터를 변환하여 레벨 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레벨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인 송신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집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집 데이터를 변환하여 레벨 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단말로부터 교통 정보의 레벨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벨 별 교통 정보 중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레벨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인 송신 정보를 선정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송신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가 제고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 이상의 레벨 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수집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각 레벨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집 데이터는 지도 정보, 도로 정보, 지명 및 도로 정체 상황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는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벨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 중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의 교통 정보를 송신 정보로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미리 지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른 교통 정보의 레벨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교통 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교통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하나 이상의 축척 중 어느 하나의 지도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를 요청하는 입력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척에 따라 미리 지정된 레벨을 포함하도록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도록 상기 교통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통 정보를 요청하는 지역의 범위를 더 포함하도록 상기 교통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교통 정보 제공 장치가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집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집 데이터를 변환하여 레벨 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단말로부터 교통 정보의 레벨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레벨 별 교통 정보 중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레벨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인 송신 정보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송신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레벨 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 이상의 레벨 별로 분류하는 단계; 분류된 상기 수집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각 레벨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 데이터는 지도 정보, 도로 정보, 지명 및 도로 정체 상황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는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정보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레벨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 중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의 교통 정보를 송신 정보로 선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이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지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른 교통 정보의 레벨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교통 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교통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하나 이상의 축척 중 어느 하나의 지도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를 요청하는 입력이고,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축척에 따라 미리 지정된 레벨을 포함하도록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도록 상기 교통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교통 정보를 요청하는 지역의 범위를 더 포함하도록 상기 교통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통 정보 제공 장치가 단말로 교통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이 표시할 지도에 표시하기 적절할 교통 정보를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레벨 1의 교통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레벨 2의 교통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이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를 “전송한다”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은 단말(110) 및 교통 정보 제공 장치(120)를 포함한다.
단말(110)은 교통 정보 제공 장치(120)로 교통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교통 정보를 표시한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120)는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단말(110)의 요청에 따라 교통 정보를 단말(110)로 전송한다. 단말(110)과 교통 정보 제공 장치(120)는 공지된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교통 정보는 지도 정보, 도로의 형상 및 종류를 나타내는 도로 정보, 지도에 매칭되는 지명, 도로 정체 상황 정보 등의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교통 정보 제공 장치(120)는 레벨 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추후 레벨 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단말(110) 및 교통 정보 제공 장치(120)의 세부 기능부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110)은 위치 정보 생성부(112), 통신부(114), 표시부(116) 및 제어부(118)를 포함한다.
위치 정보 생성부(112)는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 생성부(112)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방식 또는 당해 단말(110)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에 따른 위치를 추정하는 방식을 통해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위치 정보 생성부(112)는 GPS 및 IP 이외의 방식으로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통신부(114)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4)는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유선 통신 방식 등의 공지된 통신 방식을 통해 교통 정보 제공 장치(120)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표시부(116)는 제어부(118)로부터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16)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교통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18)는 사용자의 교통 정보를 요청하는 입력 등의 미리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위치 정보 생성부(112)를 통해 생성된 위치 정보에 따라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8)는 위치 정보, 교통 정보를 요청하는 지역의 범위(예를 들어, 특정 반경의 범위), 지도의 축척, 교통 정보의 레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8)는 통신부(114)가 통해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교통 정보를 표시부(116)를 통해 표시한다. 예를 들어, 교통 정보 제공 장치(120)는 지명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를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고, 제어부(118)는 단말(110)에 구비된 저장매체(미도시)에 저장된 지도 정보 상에 교통 정보에 포함된 지명을 표시할 수 있다. 구현 방법에 따라, 교통 정보 제공 장치(120)는 지도 및 지명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를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고, 제어부(118)는 교통 정보에 포함된 지도 및 지명을 표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단말(110)의 각 기능부를 설명하였다. 이하 교통 정보 제공 장치(120)의 각 기능부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120)는 데이터 수신부(122), 통신부(124), 저장부(126) 및 제어부(128)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부(122)는 외부 장치로부터 교통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인 수집 데이터(예를 들어, 지도 정보, 도로 정보, 지도에 매칭되는 지명, 도로 정체 상황 정보 등)을 수신한다.
통신부(124)는 단말(1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24)는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유선 통신 방식 등의 공지된 통신 방식을 통해 단말(110)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26)는 제어부(128)로부터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26)는 교통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특정 위치, 범위, 레벨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를 검색하여 제어부(128)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28)는 데이터 수신부(122)로부터 수집 데이터를 수신하고, 미리 지정된 패턴에 따라 수집 데이터를 변환하여 레벨 별 교통 정보를 생성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레벨 별 교통 정보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레벨 1의 교통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레벨 2의 교통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28)는 수집 데이터의 도로 정보에 포함된 도로를 하기와 같은 기준으로 레벨 별로 분류할 수 있다.
레벨 1: 고속국도
레벨 2: 고속국도, 도시고속국도
레벨 3: 고속국도, 도시고속국도, 일반국도 중 왕복 6차선 이상인 도로, 특별 광역시도의 왕복 6차선 이상인 도로
레벨 4: 고속국도, 도시고속국도, 일반국도 중 왕복 4차선 이상인 도로, 특별 광역시도의 왕복 4차선 이상인 도로
레벨 5: 교통정보 수집이 되는 모든 도로
도 2에서 예시한 지도는 레벨 1에 따라 고속국도만을 나타내고 있고, 도 3에서 예시한 지도는 레벨 2에 따라 고속국도 및 도시고속국도만을 나타내고 있다. 즉, 제어부(128)는 레벨 별 미리 지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도로를 포함하도록 각 레벨에 따른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위 레벨의 교통 정보는 하위 레벨의 교통 정보를 포함하도록 기준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8)는 레벨 별 미리 지정된 기준(예를 들어, 각 지명에 해당하는 지역 또는 건물의 규모)에 따라 분류한 지명을 포함하도록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어부(128)는 도로 및 지명만을 레벨 별로 분류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로의 각 지점이 어떤 구간인지(예를 들어, 고속도로의 진출입 구간, 분기 및 합류 구간, 교차로)를 나타내는 도로구간 정보, 도로 정체 상황 정보 등의 교통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수집 데이터에 대해서도 상술한 레벨 별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28)는 생성한 레벨 별 교통 정보를 저장부(126)에 저장한다.
제어부(128)는 단말(110)로부터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128)는 교통 정보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레벨의 교통 정보를 저장부(126)에서 검출하여 통신부(124)를 통해 단말(11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8)는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판독하여 단말(110)이 요청하는 교통 정보의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레벨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를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8)는 교통 정보 요청 신호에 단말(110)의 위치 정보 및 반경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위치 정보에 따른 지점에서 해당 반경 내에 위치하는 지역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만을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8)는 교통 정보 요청 신호에 따른 교통 정보의 레벨이 낮을 수록 적은 용량의 교통 정보를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110)에서 표시하지 않을 대량의 교통 정보를 단말(110)로 전송함으로써 발생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120)의 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이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교통 정보 제공 장치(120)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420에서 교통 정보 제공 장치(120)는 수집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패턴에 따라 변환하여 레벨 별 교통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430에서 단말(110)은 미리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함을 감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110)은 사용자의 특정 축척에 대한 지도를 요청하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 440에서 단말(110)은 현재 단말(11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450에서 단말(110)은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교통 정보 제공 장치(12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단말(110)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축척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의 레벨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교통 정보 제공 장치(120)로 전송한다.
단계 460에서 교통 정보 제공 장치(120)는 교통 정보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교통 정보제공 장치(120)는 교통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레벨 및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를 검색한다.
단계 470에서 교통 정보 제공 장치(120)는 단계 460에서 검색된 교통 정보를 단말(110)로 전송한다.
단계 480에서 단말(110)은 교통 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단말(110)은 사용자가 요청한 특정 축척의 지도에 맞는 교통 정보를 교통 정보 제공 장치(12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축척에 따라 축소된 지도에서는 많은 지명이나 도로 등의 교통 정보를 표시할 수 없다. 따라서, 단말(110)은 축척에 맞지 않은 다량의 교통 정보를 수신할 경우, 교통 정보 중 표시할 정보를 선별하는 별도의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부하를 발생시킬 수 밖에 없다. 또는 단말(110)은 다량의 교통 정보를 모두 표시하도록 하여, 지명을 표시한 글자가 겹치거나 도로가 겹쳐 보이는 등의 사용자가 교통 정보를 식별하기 어렵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10)은 지도의 축척에 맞는 교통 정보만을 수신하여 별도의 선별 프로세스 없이 사용자가 식별하기 용이하게 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술한 실시 예 외의 많은 실시 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교통 정보의 레벨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 및
    수집 데이터를 변환하여 레벨 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레벨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인 송신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
    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2. 수집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집 데이터를 변환하여 레벨 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단말로부터 교통 정보의 레벨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벨 별 교통 정보 중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레벨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인 송신 정보를 선정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송신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 이상의 레벨 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수집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각 레벨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데이터는 지도 정보, 도로 정보, 지명 및 도로 정체 상황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는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벨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 중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의 교통 정보를 송신 정보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
  6. 미리 지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른 교통 정보의 레벨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교통 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교통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단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하나 이상의 축척 중 어느 하나의 지도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를 요청하는 입력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척에 따라 미리 지정된 레벨을 포함하도록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도록 상기 교통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통 정보를 요청하는 지역의 범위를 더 포함하도록 상기 교통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교통 정보 제공 장치가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집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집 데이터를 변환하여 레벨 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단말로부터 교통 정보의 레벨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레벨 별 교통 정보 중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레벨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인 송신 정보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기준에 따라 하나 이상의 레벨 별로 분류하는 단계;
    분류된 상기 수집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각 레벨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데이터는 지도 정보, 도로 정보, 지명 및 도로 정체 상황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방법.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는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정보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레벨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 중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의 교통 정보를 송신 정보로 선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방법.
  14. 단말이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지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른 교통 정보의 레벨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교통 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통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교통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하나 이상의 축척 중 어느 하나의 지도에 상응하는 교통 정보를 요청하는 입력이고,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축척에 따라 미리 지정된 레벨을 포함하도록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도록 상기 교통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교통 정보를 요청하는 지역의 범위를 더 포함하도록 상기 교통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방법.
KR1020120144721A 2012-06-29 2012-12-12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33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71056 2012-06-29
KR1020120071056 2012-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311A true KR20140003311A (ko) 2014-01-09

Family

ID=50139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721A KR20140003311A (ko) 2012-06-29 2012-12-12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3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8075B2 (en) Traffic information query system and traffic information query method
US9151617B2 (en) Selected driver notification of transitory roadtrip events
US9177471B2 (en) Navigation system
JP5024134B2 (ja) 走行情報作成装置、走行情報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15182B2 (ja) 情報共有システム、情報共有方法及び端末装置
TWI428249B (zh) 車載裝置及其行車輔助系統與行車輔助資訊提供方法
JP5971336B2 (ja) ルートの検索装置及びルートの検索方法
JP2015224871A (ja) センタ装置、運転支援システム及び運転支援方法
KR101475038B1 (ko) 실시간 도로 지도 생성 방법 및 시스템
JP2005114546A (ja) 経路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経路情報提供方法
US10145705B2 (en) Destination information provider server, destination information provider system and on-vehicle device
WO2015012029A1 (ja) 投稿文検索システム、投稿文検索装置、投稿文検索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4013749A1 (ja) 情報共有システム、情報共有方法及び端末装置
KR101955559B1 (ko) Poi 정보 제공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
JP5456835B2 (ja) 広告情報提供装置及び広告情報提供方法
KR100485868B1 (ko) 경로 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JP5615777B2 (ja) 経路案内装置及び経路案内方法
KR20140003311A (ko)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0210485A (ja) 走行支援システム、走行支援方法
TW202117663A (zh) 資訊處理設備、非暫態儲存媒體及系統
JP2016223790A (ja) 経路案内装置
JP2013170916A (ja) 地図情報処理装置、地図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303841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event data
KR20070067291A (ko) 도로정보 관리시스템 및 방법
EP4012680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cting a lane closure using probe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