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272U - Apron - Google Patents

Apr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272U
KR20140003272U KR2020120010818U KR20120010818U KR20140003272U KR 20140003272 U KR20140003272 U KR 20140003272U KR 2020120010818 U KR2020120010818 U KR 2020120010818U KR 20120010818 U KR20120010818 U KR 20120010818U KR 20140003272 U KR20140003272 U KR 201400032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pron
wire
present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81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76110Y1 (en
Inventor
전용갑
Original Assignee
전용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용갑 filed Critical 전용갑
Priority to KR2020120010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110Y1/en
Publication of KR201400032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27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11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4Aprons; Fastening devices for aprons
    • A41D13/046Aprons secured to the user by means of one or more split hoops of resili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앞치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앞치마는, 사용자의 전면을 가리기 위한 전면부와, 전면부에 결합되어 전면부를 사용자의 몸에 고정시키기 위한 날개부를 구비하며, 날개부는 곡선 형태로 구부러져 양단부가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사용자의 등 뒤에서 사용자의 몸을 조여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전면부에 결합되는 와이어인 것에 특징이 있다.
This design relates to the apr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ron includes a front portion for covering a front surface of a user and a wing portion for fixing the front portion to the user's body, the wing portion being bent in a curved shape, And is a wire that is biased and joined to the front portion so as to be tightly fixed by tightening the user's body behind the user's back.

Description

앞치마{Apron}Apron {Apron}

본 고안은 생활용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부들이 주방에서 사용하는 앞치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ousehold appliances, particularly aprons used by housewives in kitchens.

앞치마는 주방일을 할 때 착용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이 개발되어 있다. 앞치마는 사용자의 다리부터 가슴 또는 허리까지를 가리는 전면부와, 전면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등 뒤에서 묶어서 전면부를 사용자의 몸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는 전면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고리부를 전면부의 상측에 형성한 형태도 있으며, 고리부와 연결끈부가 함께 적용된 경우도 있다. The apron is worn when working in the kitchen, and various forms and designs have been developed. The apron is generally composed of a front part covering the user's legs to the chest or waist and a connecting strap coupled to the front part so as to be tied behind the back of the user and fixing the front part to the user's body. Alternatively, the hook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art so as to be hooked on the user's neck so as to fix the front part, and the hook part and the hook part may be applied together.

연결끈부의 경우 사용자가 끈을 등 뒤로 돌린 상태에서 매듭을 지어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으며, 고리부의 경우도 고개를 숙여서 착용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connecting strap portion, the user must make a knot in a state in which the strap is turned back to back, which is inconvenient for use.

또한 연결끈부만을 적용한 앞치마의 경우 사용자의 가슴 부분을 가릴 수 없어 제품 디자인에 한계가 있었다. Also, in case of the apron applying only the connection cord, the user can not cover the user's bust, thereby limiting the product design.

이에 보다 간편하게 앞치마를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는 구조의 개선이 필요하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tructure in which the apron can be easily worn or taken off.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우 간편하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앞치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ron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worn or peeled of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앞치마는, 사용자의 전면을 가리기 위한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부를 사용자의 몸에 고정시키기 위한 날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부는 곡선 형태로 구부러져 양단부가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사용자의 등 뒤에서 사용자의 몸을 조여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부에 결합되는 와이어인 것에 특징이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ron having a front portion for covering a front surface of a user and a wing portion for fixing the front portion to a user's body, the wing portion being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And is biased elastically in a direction in which both ends are bent so as to be mutually approached, and is a wire coupled to the front part so as to be tightly fixed to the back of a user's body by tightening the user's body.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부는 사용자의 허리로부터 다리를 가리는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로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가슴까지 가리는 상면부로 이루어진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portion comprises a bottom portion covering a leg from a waist of a user, and a top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to cover the user's chest.

그리고,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는 포켓부가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의 양단은 각각 상기 포켓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면부에 고정된다. Pocke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and both ends of the wires are inserted into the pocket portions and fixed to the front portions.

또한 상기 상면부의 하단 양측은 사용자의 등 뒤쪽까지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포켓부는 상기 연장부의 양단에 형성된다. Further,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are formed with an extension extending to the back of the user's back, and the pocket portion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extension por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면부가 아래쪽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기 상면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는 상면부의 중앙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por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bas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surface portion does not flow downward, and the support base can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앞치마를 매우 용이하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wear or remove the apron, making it simple and convenient to use.

또한 본 고안에서는 지지대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상반신을 가리는 부분이 흘러내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된다는 이점이 있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ortion that covers the upper half of the user is supported stably without falling down by using a suppor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앞치마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앞치마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앞치마의 배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앞치마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앞치마를 실제 착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6은 착용한 상태의 사용자의 후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앞치마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pr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pron shown in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back portion of the apron shown in Fig. 1. Fig.
Fig. 4 is a view showing the wearing state of the apron shown in Fig. 1. Fig.
FIG. 5 is a photograph showing an apron actually wo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hotograph showing a rear face of a wearer.
7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pr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앞치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pr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앞치마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앞치마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앞치마의 배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pron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rear view of the apron shown in FIG. 1 .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앞치마(100)는 전면부(50)와 날개부(60)로 이루어진다. 1 to 3, an apr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portion 50 and a wing portion 60.

전면부(50)는 사용자의 전면을 가리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천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부(50)는 사용자의 다리부터 가슴 부분까지 가릴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전면부(50)는 다시 하면부(10)와 상면부(20) 및 연결부(30)로 이루어진다. 하면부(10)는 사용자의 다리 부분부터 허리 부분까지를 가리는 부분이며, 사용자의 측면과 후면도 일부 가릴 수 있다. 하면부(10)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양측에 두 개의 주머니(11)가 형성되어 있다. The front portion 50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user and is generally made of a cloth materia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portion 50 is formed to have a length that can cover the user's leg to the chest. Particular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portion 50 is composed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10, the upper surface portion 20 and the connecting portion 30 again. The lower surface portion 10 is a portion covering the leg portion to the waist portion of the user, and the side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user may be partially covered. The bottom part 10 is formed with two pockets 11 on both sides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상면부(20)는 박음질 등에 의해 하면부(10)의 상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허리부터 가슴 부분까지 가릴 수 있다. 상면부(20)의 양측에는 상면부(20)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등 뒤까지 이어지는 날개부(30)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날개부(30)는 상면부(20)의 하측에서는 수평하게, 그리고 상면부(20)의 상측으로부터는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대략 삼각 형상을 이룬다. The upper surface portion 2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10 by means of a staple or the like, and may be covered from the user's waist to the chest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20, a wing portion 30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20 and extending to the back of the user's back is formed. More specifically, the wing portion 30 is inclin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20 to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20 to form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날개부(30)의 배면 양측에는 후술할 와이어(60)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포켓부(3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wing portion 30, a pocket portion 31 into which the end of a wire 6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is formed.

고정부(60)는 전면부(50)를 사용자의 몸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가 사용된다. 이 와이어(60)는 스틸 소재로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대략 원형으로 구부러져 있다. 즉, 원형(반드시 원형은 아니어도 됨)에서 일부가 절개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양 단부가 서로 교차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The fixing portion 60 is for fixing the front portion 50 to the user's body, and in this embodiment, a wire is used. The wire 60 is made of a steel material and is formed into an elongated shape and bent into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That is, it is partially cut in a circular shape (it may not necessarily be a circular shape), and both end portions may be formed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스틸 소재를 구부려 놓은 것이므로 와이어(60)의 양단부를 사용자가 힘을 주어 벌릴 수 있으며, 가압을 해제하면 와이어(60)의 양단부는 탄성적으로 원위치로 복원한다. Since the steel material is bent, both ends of the wire 60 can be opened by the user.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both ends of the wire 60 are elastically restor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와이어(60)의 양단부는 각각 전면부(50)에 형성된 두 개의 포켓부(30)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된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면부(50) 전체에 수용부를 형성하여 와이어가 띠 형태의 수용부에 전체적으로 삽입되어 전면부(5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전면부(50)의 중앙 부분에 중간 삽입부를 형성하고, 양측에 포켓부를 설치하여 와이어(6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할 수도 있다. Both ends of the wire 60 are inserted into the two pocket portions 30 formed in the front portion 50, respectively.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eceiv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entire front portion 50 so that the wire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strip in its entirety and installed in the front portion 50. Alternatively, an intermediate insertion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50, and a pocket portion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so that the wire 60 is stably supported.

와이어(60)의 크기는 대략 사용자의 몸체 둘레에 맞게 설치되거나, 몸체 둘레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와이어(60)가 사용자의 몸(대략 허리 부분)에 완전히 밀착되어 고정되게 한다. The size of the wire 60 may be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circumference of the user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so that the wire 60 is completely fixed to the user's body (substantially the waist).

한편, 상면부(20)의 배면에는 두 개의 지지대(40)대 설치된다. 이 지지대(40)는 플라스틱 소재로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면부(20)가 밑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면부(20)의 배면에는 두 개의 지지대(4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부가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wo support rods 40 are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20. The support base 40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cts to support the upper face portion 20 so as not to flow downward. An insertion portion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20 so that two support rods 40 can be inserted.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앞치마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앞치마를 실제 착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6은 착용한 상태의 사용자의 후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Fig. 4 is a view showing the wearing state of the apron shown in Fig. 1, Fig. 5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where the apron is actually wo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hotograph showing a rear face of the wearer.

사용자는 앞치마(100)를 착용할 때 단지 와이어(60)의 양단을 벌려서 허리 부분을 감싸기만 하면 된다. 사용자가 와이어(60)를 놓으면 와이어(60)는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완전히 밀착되어 앞치마(100)가 사용자의 몸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반대로 앞치마(100)를 벗고자 할 때에는 와이어(60)를 다시 벌려서 앞치마(100)를 빼내면 된다. The user merely wraps both ends of the wire 60 to cover the waist portion when wearing the apron 100. When the user releases the wire 60, the wire 60 is resiliently restored to be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waist of the user, so that the apron 100 can be stably supported on the user's body. 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desires to take off the apron 100, the user can pull out the apron 100 by opening the wire 60 again.

또한, 사용자의 가슴 부분을 가리는 상면부(20)는 지지대(40)에 의해서 지지되어 앞치마(100)를 착용하는 동안 상면부(20)가 흘러내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상반신을 가릴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portion 20 covering the user's bus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40 so that the upper surface portion 20 can stably cover the user's upper body while the apron 100 is worn.

기존의 앞치마에서 연결부를 등 뒤로 돌려 끈을 묶는 방식이나, 고리부를 두어 사용자의 목에 두르는 방식과 비교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앞치마(100)는 착용하거나 벗는 동작이 매우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The apro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very convenient to wear or pull off the apron 100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apron in which the connecting part is turned back to tie the string or the ring is put on the user's neck.

한편, 본 고안에서는 앞치마(100)의 제조도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와이어(60)와 전면부(50)가 별도로 마련된 상태에서 와이어(60)의 양단을 포켓부(31)에 끼워 넣기만 하면 되므로 제조 공정이 매우 단순하여 경제적이다. 또한, 와이어(60)가 좀 더 안정적으로 전면부(50)에 지지될 수 있도록 전면부에 삽입부를 형성하는 경웅에도, 허리띠를 바지에 착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와이어의 일단을 삽입부를 통해 일측의 포켓부(30)에 넣어서 고정하면 되므로 제조가 간편하고 경제적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apron 100 is very easy to manufacture. Since both ends of the wire 60 are inserted into the pocket portion 31 in a state where the wire 60 and the front portion 50 are separately provide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very simple and economical. 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wearing the waistband on the pants, one end of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pocket of one side through the insertion portion, So that it is simple and economical to manufacture.

마찬가지로, 지지대(40)의 경우도 두 개의 지지대를 각각 상면부에 있는 삽입부에 끼워 넣기만 하면 되므로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Likewise, in the case of the support table 40, the two steps are merely requir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s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respectively,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지금까지, 앞치마의 전면부가 사용자의 가슴 부분까지 가릴 수 있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200)와 같이 사용자의 복부 부분까지만 가리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front portion of the apron has been described and shown as being able to cover the user's chest, it is not necessarily so limited, and may be manufactured to cover only the abdomen portion of the user, such as the embodiment 200 shown in Fig. 7 have.

이러한 형태의 실시예에서도 전면부의 상측, 즉 복부를 가리는 부분에 지지대를 설치하여 이 부분이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In this embodiment as well, a support base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ortion, that is, the portion covering the abdomen, so that this portion does not flow down.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앞치마를 착용하지 않을 때 앞치마를 걸이에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앞치마의 일부에는 작은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mall ring may be formed on a part of the apron so that the apron can be hung on the hook when the apron is not worn.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200 ... 앞치마 10 ... 하면부
11 ... 주머니 20 ... 상면부
30 ... 날개부 31 ... 포켓부
40 .... 지지대 50 ... 전면부
60 ... 고정부(와이어)
100, 200 ... apron 10 ... underside
11 ... bag 20 ... upper surface portion
30 ... wing portion 31 ... pocket portion
40 .... support 50 ... front portion
60 ... fixed portion (wire)

Claims (6)

사용자의 전면을 가리기 위한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부를 사용자의 몸에 고정시키기 위한 날개부를 구비하는 앞치마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곡선 형태로 구부러져 양단부가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사용자의 등 뒤에서 사용자의 몸을 조여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부에 결합되는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치마.
An apron having a front part for covering a front surface of a user and a wing part for fixing the front part to a user's body, the front part being coupled to the front part,
Wherein the wing portion is curved in a curved shape and is biased elastically in a direction in which both ends are mutually approached, and is connected to the front portion so as to be tightly fixed to the user's ba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사용자의 허리로부터 다리를 가리는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로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가슴까지 가리는 상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치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portion comprises a bottom portion covering a leg from a waist of a user and an upper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to cover the user's ches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는 포켓부가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의 양단은 각각 상기 포켓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치마.
3. The method of claim 2,
Pocke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And both ends of the wire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ocket portion and fixed to the front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의 하단 양측은 사용자의 등 뒤쪽까지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포켓부는 상기 연장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치마.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is formed with an extension extending to the back of the user's back, and the pocket portion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extension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가 아래쪽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기 상면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지지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치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pper surface por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bas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surface portion does not flow downwar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면부의 중앙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치마.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support base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KR2020120010818U 2012-11-23 2012-11-23 Apron KR20047611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818U KR200476110Y1 (en) 2012-11-23 2012-11-23 Apr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818U KR200476110Y1 (en) 2012-11-23 2012-11-23 Apr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272U true KR20140003272U (en) 2014-06-02
KR200476110Y1 KR200476110Y1 (en) 2015-01-29

Family

ID=5244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818U KR200476110Y1 (en) 2012-11-23 2012-11-23 Apr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11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9809A (en) * 2016-04-20 2017-10-30 주식회사 하이디 Manufacturing method of apron and apron manufactured of the same tha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483Y1 (en) * 2015-08-28 2016-02-01 정명석 No shoulder strap Apr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7422A (en) * 2002-06-26 2004-01-29 Kikulon Co Ltd Apron
JP3138982U (en) * 2007-09-26 2008-01-31 株式会社サンヒット apron
JP3157347U (en) * 2009-11-27 2010-02-12 モリト株式会社 apr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9809A (en) * 2016-04-20 2017-10-30 주식회사 하이디 Manufacturing method of apron and apron manufactured of the same th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110Y1 (en)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92283A1 (en) Pants Having Hip-Up Function
US7168096B1 (en) Bikini assembly
JP6337953B2 (en) Clothing with cup
US9314052B2 (en) Apparel pouch assembly
KR101551364B1 (en) Functional underwear for man
KR200476110Y1 (en) Apron
KR200467731Y1 (en) Women's clothing equipped with a Tee Top
JP6364935B2 (en) Clothing with cup
JP2007262606A (en) Lady's garment with cup
JP3226285U (en) Adjustable apron
JP2013234396A (en) Clothes having cup parts
CN205728211U (en) A kind of Mrs's multiple changing type divided skirt
CN205321237U (en) Bra without steel rings
KR200473981Y1 (en) Brassiere
RU171883U1 (en) Trouser product
CN212117158U (en) Convenient kitchen apron
CN209106349U (en) A kind of man's jeans with wrinkle resistant anti-static function
JP3211646U (en) apron
CN207461439U (en) Inside turn side type trousers
CN204635095U (en) A kind of Full-plastic baby Dribble towel
CN207383546U (en) One kind comfortably carries chest body beautification underwear
JP5221808B1 (en) Undergarment
CN104799442A (en) Full-plastics infant pinafore
CN204888791U (en) Oversleeve apron integral type kitchen guarding protective clothing
CN203748702U (en) Novel side se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