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137A -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137A
KR20140003137A KR1020120070898A KR20120070898A KR20140003137A KR 20140003137 A KR20140003137 A KR 20140003137A KR 1020120070898 A KR1020120070898 A KR 1020120070898A KR 20120070898 A KR20120070898 A KR 20120070898A KR 20140003137 A KR20140003137 A KR 20140003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led
word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재상
강장묵
Original Assignee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0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137A/ko
Publication of KR20140003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1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스와이프 방식이나 터치 시간 차이에 의한 문자 입력방식을 가지는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일정한 공간에 다수의 LED 터치 패널을 배치하고, 이 LED 터치패널의 입력 조합 또는 스와이프 입력을 통하여 많은 기능을 제약된 공간 안에 만들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LED 터치 패널을 가지는 기기와의 소통 및 많은 명령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 및 방법{Through the LED panel system and method for motion-based input method}
본 발명은 LED 패널을 이용한 입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스와이프 방식이나 터치 시간 차이에 의한 문자 입력방식을 가지는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기의 LED 패널을 이용한 입력 시스템은 단순한 터치 센서를 사용하여 한번의 터치 시 1차 동작을 하고, 그 다음 터치 시 2차 동작을 하는 단순한 입력만을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은 LED 터치 입력 시스템은 다양한 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동작의 개수만큼의 LED 터치 버튼을 만들어야 하고, LED 터치 버튼을 다수 설치하기에는 공간적인 제약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의 입력 버튼을 만들다 보면 어떤 버튼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알기 어려우며, 이에 대한 설명을 부가하기에는 공간적인 제약이 있으며, 요즘과 같이 디자인이 중요시 되는 시점에서는 설명이 많이 부가되어 디자인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일정한 공간에 다수의 LED 터치 패널을 배치하고, 이 LED 터치패널의 입력 조합 또는 스와이프 입력을 통하여 많은 기능을 제약된 공간 안에 만들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LED 터치 패널을 가지는 기기와의 소통 및 많은 명령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은 터치 센서부를 구비하며 복수개의 LED 셀로 구성되며, 상기 LED 셀 상에 표시되는 다수의 문자입력영역을 가지며, 상기 문자입력영역은 다수의 모음과 자음이 할당되는 키 입력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단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스와이프 입력신호에 따른 유추 단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스와이프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매칭되는 단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단어를 확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키 입력부는 터치된 상기 LED 셀에 LED가 발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신호를 받아 입력된 문자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문자와 매칭되는 단어를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검색하는 검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방법은 키 입력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분석부에서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입력신호와 매치되는 단어 또는 명령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부로부터 검색된 단어 또는 명령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단어 또는 명령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어 또는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어를 확정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키 입력부의 LED 셀로부터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 및 모음이 한번에 스와이프 된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는 하나의 LED 셀을 지속적으로 터치하고 있는 시간의 차의 조합에 따른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제스처 동작을 따라 LED 패널을 연속적으로 드래그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 및 방법은 스와이프를 포함한 다양한 인간 친화적 입력 기술을 LED 기반으로 전환하여 문자, 이미지, 소리 등의 매체로 표현해내어 사용자가 LED 빛을 보면서 상호 소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감성을 충족하고 사용자의 소통 방법을 직접 입력 방식에서 모션 기반 방식의 자연스러운 처리로 바꾸어줌으로써, 불편을 해소하고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한정된 공간 안에 설치되어도 다양한 기능의 입력을 행할 수 있으며, 입력부의 간소됨에 따라 보다 다양한 디자인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양한 디자인 중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의 스와이프 입력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의 터치 지연시간 입력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의 제스처 입력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은 키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데이터베이스(130),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110)는 터치 센서부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LED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개의 LED 셀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셀을 가지며, 공간 제약에 따라 그 개수에는 제약이 없다. 한편, 상기 키 입력부를 터치할 경우 터치에 대한 입력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달됨과 동시에 LED 패널의 LED가 발광을 하여 사용자가 LED 패널의 터치여부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110)를 이용한 입력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키 입력부의 LED 셀로부터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 및 모음이 한번에 스와이프 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하나의 LED 셀을 지속적으로 터치하고 있는 시간의 차의 조합에 따른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제스처 동작을 따라 LED 패널을 연속적으로 드래그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키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LED 셀의 LED가 발광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키 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분석된 단어 또는 입력한 데이터와 대응되는 기능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 패널을 사용하여 표시되는 단어중 터치를 통하여 선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3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에 따른 유추 단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130)는 하나의 LED 셀을 지속적으로 터치하고 있는 시간의 차의 조합에 따른 단어 또는 명령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 …, ―ㅇ―와 같은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미리 정해진 제스처 동작을 따른 단어 또는 명령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키 입력부의 LED 패널을 연속적으로 드래그하여 일정한 모양을 형성하게 되는 경우 그에 따른 단어 또는 명령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스와이프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매칭되는 단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서 검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단어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키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한 신호를 분석한 결과에 대응되는 단어가 3개 분석되었다고 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분석된 단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이중 한가지를 선택할 경우 선택된 단어를 확정하여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어가 아닌 제어명령이 다수 검색되었을 경우 그중 한가지를 선택하면 선택된 제어명령에 따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는 분석부(141)와 검색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석부(141)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입력신호를 받아 입력된 문자를 분석한다. 상기 검색부(142)는 상기 분석부(141)로부터 분석된 문자와 매칭되는 단어를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검색한다.
예를 들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키 입력부(110)의 LED 패널(110)을 터치하는 손가락의 흐름을 따라 입력되는 ㄷ,ㅂ,ㅜ,ㅁ,ㄱ을 분석부에서 조합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통하여 이와 가장 유사한 단어가 있는지를 검색부에서 검색한다. 검색 결과가 '두오모','두부'라는 두 단어가 표시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단어인 '두부'를 선택함으로써 제어부에 의해'두부'가 확정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하나의 LED 셀을 지속적으로 터치하고 있는 시간의 차의 조합에 따른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모르스 부호화 같은 ―‥, …, ―ㅇ― 등과 같은 신호에 기능을 부여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로고 하거나, 모르스 부호를 차용하여 단어 및 문장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제스처 동작을 따라 LED 패널을 연속적으로 드래그하여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에를 들면, 왼쪽 드래그, 오른쪽 드래그, 'ㄱ'자 드래그 등의 신호를 미리 정의하여 제스처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인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 및 방법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입력 모션의 입력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의 스와이프 입력방법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의 터치 지연시간 입력방법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의 제스처 입력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방법은 키 입력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S110),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분석부에서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입력신호와 매치되는 단어 또는 명령을 검색하는 단계(S120), 상기 검색부(141)로부터 검색된 단어 또는 명령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는 단계(S130);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 단어 또는 명령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어 또는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S140); 제어부(140)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어를 확정 입력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키 입력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S110)는 키 입력부를 통하여 원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로, 입력 신호는 단어, 기능, 제어명령 등 일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S110)는 상기 키 입력부의 LED 셀로부터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 및 모음이 한번에 스와이프 된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 입력부의 LED 패널의 외면에 자음 및 모음이 이 인쇄되어 있고, 사용자는 원하는 단어의 자음과 모음을 스와이프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스와이프 방식은 손가락의 흐름을 따라 입력되는 자음 및 모음의 조합을 분석하여 가장 유사한 단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S110)는 하나의 LED 셀을 지속적으로 터치하고 있는 시간의 차의 조합에 따른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LED 셀을 지속적으로 터치하고 있는 시간의 차의 조합에 따른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모르스 부호와 비슷한 것으로, 한번 터치 시의 터치 시간을 계산하고 이를 조합하여 일정한 법칙을 만들어 활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S110)는 연속적으로 드래그하여 정해진 제스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제스처 동작을 따라 LED 패널을 연속적으로 드래그하여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분석부에서 분석하는 단계(S120)는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이다. 즉, 입력된 신호가 스와이프 신호이면 손가락의 흐름에 따른 자음 및 모음을 조합하여 분석한다. 또한, 터치 시간 차에 의한 신호이면 터치 시간의 조합에 따라 신호를 분석한다. 또한, 제스처를 사용한 신호인 경우 제스처의 모양을 분석한다.
상기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입력신호와 매치되는 단어 또는 명령을 검색하는 단계(S130)는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한 신호를 분석한 결과에 대응되는 단어를 검색하거나, 입력 신호와 매치되는 명령 신호를 검색한다.
상기 검색부로부터 검색된 단어 또는 명령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S140)는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다수개의 단어 또는 명령을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단어 또는 명령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어 또는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S150)는 상기 디스플레이 된 단어 또는 명령중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 또는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어를 확정 입력하는 단계(S160)는 상기 선택된 단어 또는 명령을 확정하여 단어를 입력하거나 명령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 및 방법은 스와이프를 포함한 다양한 인간 친화적 입력 기술을 LED 기반으로 전환하여 문자, 이미지, 소리 등의 매체로 표현해내어 사용자가 LED 빛을 보면서 상호 소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감성을 충족하고 사용자의 소통 방법을 직접 입력 방식에서 모션 기반 방식의 자연스러운 처리로 바꾸어줌으로써, 불편을 해소하고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한정된 공간 안에 설치되어도 다양한 기능의 입력을 행할 수 있으며, 입력부의 간소됨에 따라 보다 다양한 디자인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양한 디자인 중 선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키 입력부 111: LED 터치 패널
120: 디스플레이부 130: 데이터베이스
140: 제어부 141: 분석부
142: 검색부

Claims (7)

  1. 터치 센서부를 구비하며 복수개의 LED 셀로 구성되며, 상기 LED 셀 상에 표시되는 다수의 문자입력영역을 가지며, 상기 문자입력영역은 다수의 모음과 자음이 할당되는 키 입력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단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스와이프 입력신호에 따른 유추 단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스와이프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매칭되는 단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체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단어를 확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는
    터치된 상기 LED 셀에 LED가 발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신호를 받아 입력된 문자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문자와 매칭되는 단어를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검색하는 검색부를 포함하는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
  4. 키 입력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분석부에서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입력신호와 매치되는 단어 또는 명령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부로부터 검색된 단어 또는 명령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단어 또는 명령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어 또는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어를 확정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키 입력부의 LED 셀로부터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 및 모음이 한번에 스와이프 된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는 하나의 LED 셀을 지속적으로 터치하고 있는 시간의 차의 조합에 따른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제스처 동작을 따라 LED 패널을 연속적으로 드래그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방법.
KR1020120070898A 2012-06-29 2012-06-29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3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898A KR20140003137A (ko) 2012-06-29 2012-06-29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898A KR20140003137A (ko) 2012-06-29 2012-06-29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137A true KR20140003137A (ko) 2014-01-09

Family

ID=5013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898A KR20140003137A (ko) 2012-06-29 2012-06-29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1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88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inguishing between a gesture tracing out a word and a wiping motion on a touch-sensitive keyboard
Bi et al. Multilingual touchscreen keyboard design and optimization
CN104007832B (zh) 连续滑行输入文本的方法、系统及设备
US85834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CN103268154B (zh) 一种机顶盒虚拟键盘的字母输入方法及装置
CN103870192B (zh) 一种基于触摸屏的输入方法和装置、汉语拼音输入法和系统
KR2011001807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Alnfiai et al. SingleTapBraille: Developing a text entry method based on braille patterns using a single tap
KR101522375B1 (ko) 입력 방법 편집기
CN108700996A (zh) 用于多输入管理的系统和方法
US85991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80119647A (ko) 문자열에 문자를 삽입하기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JP2019220155A (ja) 手書き入力表示装置、手書き入力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845754B (zh) 用于移动虚拟现实头戴显示器的无驻留文本输入方法
EP230628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put character indicator
CN106445369A (zh) 一种输入的方法和装置
US10268310B2 (en) Inpu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809278B1 (ko)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60372B1 (ko) 단어예측을 통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정보입력방법
CN103608751A (zh) 使用扩展键输入信息的系统和输入信息的方法
US20120194438A1 (en) Electronic reader with chinese pinyin input function and chinese pinyin input method
TWI579760B (zh) 基於觸控軌跡之盲用點字輸入裝置與方法
KR20140003137A (ko) Led 패널을 통한 모션 기반 방식의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101659243B1 (ko) 아랍문자 입력장치 및 아랍문자 입력방법
JP2007213615A (ja) タッチ式キー入力装置、タッチ式キー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